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9세기 나당관계와 재당신라인 사회

        이현주 부산경남사학회 2020 역사와 경계 Vol.115 No.-

        본 연구는 재당신라인의 정체성과 재당신라인사회의 매개적 역할을 ‘경계공간(middle ground)’의 개념으로 살펴본 연구이다. 재당신라인은 당 내지에 거주하고 있는 신라인을 일컫는다. 재당신라인 사회는 재당신라인의 거류지인 동시에 당의 행정질서 속에 편재된 공간이었다. 押新羅渤海兩蕃使와 勾當新羅押衙는 당이 재당신라인의 공간과 사회를 통제하고 관리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었다. 한편 이들 관직은 재당신라인이 당의 법률에 근거하여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방어막의 역할을 하였다. 즉 재당신라인 사회는 신라와 당의 경계에 위치한 ‘한정된 자율’의 공간이었다. 재당신라인의 묘지명인 <大唐故金氏夫人墓銘>은 중대이래 세거한 왕족출신 재당신라인의 정체성을 기록한 자료이다. <김씨부인묘명>의 김씨부인일족은 증조대에 당으로 이주하였고, 세거하였으나 여전히 ‘소호금천씨’의 후예라는 신라왕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동시에 재당신라인으로서 ‘김일제의 후손’이라는 자의식도 가졌다. 김씨부인과 그의 집안이 표방한 소호금천씨와 투정후의 후손이라는 인식은 중대 이후, 신라왕실의 정체성과 대당관계의 연장선상에서 갖게 된 정체성이었다. 즉 왕족출신 재당신라인의 정체성은 중대이후, 신라왕실의 정체성과 신라-당의 국제관계가 연관되어서 형성되었고, 지속되었다. 신라-당의 공적인 관계는 당에 거주하는 신라인, 즉 재당신라인의 입지와 연동되는 사안이었다. 신라와 당 사이의 우호를 기반으로 한 공식적인 외교관계가 지속되고, 신라와 당 내부의 비공식적인 교류가 활성화된 후에 신라와 당의 변경, 즉 경계공간으로서의 재당신라인 사회가 성립될 수 있었다. 이처럼 재당신라인 사회는 경계공간으로서 당과 신라의 두 사회를 연결하는 매개 역할을 하였고, 두 문화의 충돌을 완화시키는 완충지대의 역할을 하였다. 재당신라인 사회는 당과 신라의 연결고리였다. 재당신라인 사회는 신라와 당의 경계에 위치한 경계의 공간이었고, 동시에 신라와 당의 이질적인 문화가 융합되는 통섭의 공간이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between Shilla and Tang on the Shilla immigrants, namely the Shilla Residant in Tang. The official relationship between Shilla and Tang was an issue linked to the position of the Shilla Immigrants. The Shilla Immigrant society was not only a collective settlement area of Shilla people, but also a society compiled in the administrative order of Tang. After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based on friendship between Shilla and Tang continued and exchanges between Shilla and Tang were activated, the Shilla immigrant society in Tang as a boundary space, could be established. The Shilla Immigrant society served as the middle ground between the Tang and Shilla as a boundary space. The Shilla Immigrant society was an unofficial link between the Tang and Shilla dynasties. As such, the Shilla Immigrant society was a place of boundary between Shilla and Tang, and at the same time, a place of fusion where the heterogeneous culture of Shilla and Tang. As such, the joint space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of the Shilla-Tang relationship is the Shilla Immigrant society. After the reign of King Seongdeok of Shilla, friendly relations between Shilla and Tang became a prerequisit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hilla Immigrant society. Therefore, when the official relationship between Shilla and Tang became unstable, the society of the Shilla Immigrant society was also doomed to collapse. The Shilla Immigrant society was a border space between the Tang Dynasty and the Silla Dynasty, a buffer zone for coordinating interests between the two countries.

      • KCI등재후보

        엔닌의 入唐求法과 在唐新羅人社會의 정보력

        이유진 동국사학회 2009 동국사학 Vol.46 No.-

        엔닌의 『入康求法巡禮行記』를 통해 볼 때 엔닌이 10여 년에 걸친 구법순례를 무사히 마치고 일본으로 귀국할 수 있었던 것은 재당신라인의 절대적이 협력과 그들의 정보력을 이용함으로써 가능했던 것이다. 당에서 활동하는 상인들과 국제무역상들을 중심으로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를 입수한 재당신라인사회는 당 내부의 정보를 엔닌에게 제공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국제무역에 종사하는 선단을 통해 알게 된 신라본국의 사정이나 일본 ? 발해 등 외국의 다양한 국제정보도 전달하였다 특히 일본을 왕래하는 무역선을 통해 입수한 일본국의 사정이나 서신,위탁물 등을 거리를 멀다 않고 장안에 머물고 있는 엔닌에게 전해주었고 일본으로 귀국할 때에는 귀국선의 준비와 모든 편의를 제공해 주었다. 물자의 이동, 사람의 왕래, 서신의 전달 과정에서 획득한 정보를 재당신라인사회는 단지 정보의 입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신들의 연락망을 통해 서신이나 인편으로 서로 전달 ? 공유하며 정보력을 더욱 확대하고 있었다.

      • KCI우수등재

        재당 신라인사회의 형성과 발전

        고경석(Ko Kyong-Sok) 한국사연구회 2008 한국사연구 Vol.140 No.-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Silla residents in T'ang China had played most wide and clear role in history of Korean emigration, in pre-modern age. Their activities have been studied continuously by scholars researching the foreign relation and trade in Unified Silla period. But there is constant controversy concerning the activity of Silla resident in Tang China, and tendency to analyze their activity from subjective nationalistic angle. In this paper, historic cause, to constitute the communities of Silla residents in T'ang China, can be found in the people who had moved to China from Silla as a group, not in the communities consisted of migrants from Paekje or Koguryeo. People in Silla, suffered from the natural disaster and famine, had gone to the other countries to search for a new life. Emigrant had occurred as a group, not individually. As a result, the community of Silla residents was built up in many places of China. The communities of Silla residents was governed by T'ang dynasty, and partially self controlled. The class had been divided, like governor, merchant, citizen, and monk. Especially the growing of merchant class had produced leaders in the communities of Silla residents and the monk had given the comfort to the Silla residents in T'ang China. These facts made the communities of Silla residents to be sustained stably for a long time. Chang Pogo is very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existence of the communities of Silla residents in T'ang China. He tried to keep close relation to Silla residents in Tang China, centering around Cheonghae Garrison. The network between the two, played the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of Cheonghae Garrison, and development of maritime trade.

      • KCI등재

        9세기 재당신라상인과 당상인에 관한 연구

        이병로(李炳魯, Lee, Byung-Ro) 일본어문학회 2009 일본어문학 Vol.45 No.-

        今まで840年代から唐商人が本格的に訪日したと言われている森克己の 学説は再検討されるべきであろう。 第一に、森は840年代から訪日している数多い在唐新羅人を見逃してい る。したがって、唐商人の本格的な訪日は840年代からではなかった。 第二に、それでは唐商人の本格的な訪日の時期である。在唐新羅人をはじめとする新羅人を代わりにして、訪日した貿易業者がまさに唐商人であった。結局870年代から唐商人が本格的に訪日したのである。 第三に、唐商人の訪日の背景である。張保皐が暗殺された840年代から860年代までは主に在唐新羅人が唐と日本との間を往来しながら交易活動を展開した。かれらの中に唐商人が含まれることもあったのである。しかし860年代後半から新羅人が絡んだ謀反事件や新羅人海賊事件などを理由として、日本政府は新羅人を追放し、その代わりに870年代から唐商人の本格的な訪日が始まったのである。

      • KCI등재

        한국고대사 관련 中國 金石文 조사 연구

        권덕영(?悳永) 한국사학회 2010 史學硏究 Vol.- No.97

        중국에는 다양한 형태의 한국고대사 관련 금석문이 산재해 있다. 그럼에도 종래 한국에서는 중국 금석문 자료의 조사와 수집을 등한시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대사 관련 중국 금석문, 그 중에서도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사료적 가치가 높은 唐代 금석문을 종합적으로 조사, 정리하였다. 현재 중국에는 약 1만 점에 가까운 당나라 금석문이 존재한다. 그 중에서 276점의 금석문이 한국고대사와 관련된 자료이다. 비록 그것은 전체의 3% 미만에 불과하나, 사료 부족에 허덕이는 한국고대사 연구에 활력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자료를 국가별로 나누면, 고구려 관련 자료는 총 200점으로 신라나 백제 등에 비하여 압도적 다수를 차지한다. 그 가운데 고구려 遺民 자료는 18점에 불과하고 대부분이 중국인 來往 자료로 모두 182점에 이른다. 그리고 신라의 경우는 재당신라인을 포함한 신라인 관련 자료가 13점, 당인의 신라 내왕자료가 25점으로 총 38점이 확인되고, 백제는 유민자료가 9점, 중국인 내왕 자료가 9점, 발해는 유민 자료가 2점 중국인 내왕자료가 6점, 그리고 기타 자료가 12점 확인된다. 여타 금석문도 그렇겠지만, 한국고대사 관련 중국 금석문은 대부분 단편적인 사실을 전하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이들 자료는 문헌자료에 보이지 않는 귀중한 정보들을 싣고 있다. 재당 이주민 자료를 통해 한반도 삼국 유민의 생생한 생활상과 數代로 이어지는 가계 그리고 그들이 中國化 되어가는 모습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당대 중국인의 한반도 내왕 자료는 7세기 중엽 한반도 내왕 자료는 7세기 중엽 한반도 패권을 둘러싸고 벌어진 전쟁의 규모와 실상을 보여주고, 8·9세기 당 사신의 신라 및 발해 내왕을 통한 정치교섭과 문화교류의 일면을 확인시켜 준다.

      • KCI등재

        적산(赤山) 법화원(法華院)의 8월 15일 명절 연구

        김인희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4

        8월 15일 명절은 동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신라에만 있었는데 그 이유는 이 명절이 신라의 오묘제(五廟 祭)에서 기원하였기 때문이다. 8월 15일 명절이 형성되고 정착되는 과정에는 오묘제, 천신의례, 달숭배 , 고구려정복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이 작용하였는데 적산 법화원의 노승들이 고구려정복만을 말한 것 은 타국에서 생활하는 재당신라인들이 영광된 역사를 통하여 타국에서의 고단한 삶을 극복하고자 하 는 심리적 의도가 담겨 있다. 적산 법화원의 8월 15일 명절 음식 중 가장 중요한 음식은 박돈(餺飩)이다. 한국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박돈을 수제비로 번역하고 있으나 박돈은 제조방식이나 이후의 문헌자료로 보아 국수로 번역하는 것 이 옳다. 당시 국수는 보편화된 음식이 아니어서 사신접대, 제사음식, 잔치음식으로 사용되는 매우 귀 한 음식이었다. 귀한 박돈을 8월 15일 명절에 먹었다는 것은 8월 15일 명절이 매우 중요한 명절이었음 을 말한다. 박돈뿐만 아니라 매우 많은 음식을 설(設)하였다고 하는데 이는 잔치의 규격과 형식에 맞게 음식을 체계적으로 안배한 것으로 8월 15일 명절이 이미 체계를 갖춘 명절이었음을 말한다. 그리고 8월 15일 명절은 전문적인 공연단에 의해 3일 동안 밤낮으로 공연이 이루어지는 열정적인 축제였다. 적산 법화원의 8월 15일 명절이 체계를 갖춘 명절로 성대하게 거행되었으며, 적산 법화원이 나당간의 국제교류와 무역의 중심지이며, 중국 중추절이 전승기념일적 요소가 있는 것은 중국 중추절의 기원이 신라의 8월 15일 명절일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송나라 시기 중추절과 신 라 8월 15일 명절의 내용상에 있어 나타나는 현저한 차이, 엔닌(圓仁)의 기록 후 364년이 지난 후에 중 추절이 정식 명절로 지정된다는 시간적 차이를 극복해야 한다. The reason that the holiday on August 15 was existed in Silla only in East Asia was this holiday was oriented from Omyoje (五廟祭) of Silla. As for the process that the holiday on August 15 was formed and settled, various factors were worked such as Omyoje, offering the first harvest of the season to the gods, the moon worship and Goguryeo conquest etc, but the reason that old Buddhist priests of Jeoksan Beophwawon mentioned Goguryeo conquest only had a psychological intention that the people of Silla who resided in Tang would overcome their exhaustion in a foreign land through the glorious history. Jeoksan Beophwawon’s most important food among foods of holiday on August 15 is Bakdon (餺 飩). Korean scholars translated Bakdon into sujebi (clear soup with dumplings) but it is proper to translate into noodles by considering its making method or literature materials afterwards. At that time, noodles were not generalized food, so it was very important and precious food which were used to treat ambassadors and as the ritual foods and feast foods. The thing to eat precious Bakdon on the holiday on August 15 means that the holiday on August 15 was very important holiday. Not only Bakdon but “It was prepared plenty of foods”, and this arranged food systematically according to the standard and convention of the feast, so the holiday on August 15 was the one to have its own system already. And it was an enthusiastic festival to deliver performances three days and nights due to professional performance group. That the holiday on August 15 of Jeoksan Beophwawon was held magnificently with its system and Jeoksan Beophwawon was a center of international exchange and trade between Silla and Tang, and the Mid-Autumn Day in China has an element as an anniversary of a victory shows that it would have the possibility the origin of the Mid-Autumn Day was a holiday on August 15 of Silla. However, to verify this, it should have overcome the noticeable difference appeared in the contents between the holiday on August 15 of Silla and the Mid-Autumn Day of Sung, and the temporal difference that the Mid-Autumn Day was designated as an official holiday after 364 years after the record of yennin (圓仁).

      • 圓仁의 『入唐求法巡禮行記』를 통하여 본 新羅譯語

        장종진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1 한국고대사탐구 Vol.7 No.-

        This thesis examines the activities and features of Silla-yeokeo(新羅譯語), by mainly inspecting Ennin’s Diary. And it also identifies the examples of Yeokeo(譯語) and Tong-sa(通事) which are found in many pieces of historical documents on Ancient Japan. Silla-yeokeo can be translated into “an Silla interpreter”, or “an interpreter who speak the Silla language(新羅語).” By examining their activities, however, it can be found that they took on translating Japanese(日語) and Chinese(漢語) into the Silla language. The main purpose for establishing the post of Silla-yeokeo in the Japanese Mission to Tang(日本遣唐使), is for ensuring a convenient stay in Tang, using their navigation skills, and solving the problem of drifting to Silla. In particular, since Silla people got excellent navigation skills, they were hired separately from Japanese people. In other words, Silla-yeokeo was a man from Silla who can speak Japanese, Chinese, and Silla language. Therefore, “Silla-yeokeo” includes the meaning of “an Silla interpreter,” and “an interpreter who can speak Silla language” at the same time. In the historical documents around the 9th century, “Silla-yeokeo” is a factor that clearly demonstrates the feature of then East-Asia. Both Tang and Japan was open to foreigner’s naturalization, and Silla suffered from people’s drifting-away, mainly caused by the uncertainty of domestic affairs. Moreover, as Silla compatriots at Tang(在唐新羅人社會) were well organized, the Japanese Mission to Tang and Buddhist monks who studied abroad(留學僧) needed the help by Silla people for their activities in Tang. Therefore, it is noticeable that the Silla-yeokeo was established by regulation, separated from Tong-sa and Yoekeo. 본고는 圓仁의 『入唐求法巡禮行記』에 보이는 新羅譯語의 기사를 중심으로, 그 활동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일본 고대사료 등에서 散見되는 역어와 통사의 용례를 확인하여, 신라역어의 설치 기원을 찾아보면서, 그 설치목적을 검토하였다. 신라역어는 ‘新羅人 譯語’ 또는 ‘新羅語 譯語’라는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용어이다. 그런데 신라역어의 활동을 검토한 결과, 그들은 기본적으로 일본어와 漢語의 통역을 담당하는 직능을 가진 사람들임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이 일본견당사에 설치된 목적은 唐 체재활동에서의 편의성, 항해술, 그리고 항해 중 신라에의 표착 가능성과 이의 해결 등을 위해서였다. 특히 항해업자로서 신라인이 뛰어난 기술을 소유했기 때문에, 이들을 日本人인 通事 또는 譯語와는 구별하여 고용했음이 주목된다. 따라서 신라역어는 신라 출신으로 漢語와 일본어, 그리고 신라어의 통역이 가능한 인물이며, 또한 그 용어 속에는 ‘신라인 역어’와 ‘신라어 역어’의 의미를 모두 담고 있던 것으로 판단했다. 사료 상에서 9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특징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신라역어’는 당시 동아시아사의 성격을 잘 보여주는 존재이다. 唐과 일본, 모두 외래인의 귀화에 대해서 개방적인 자세를 취한 사실과 신라에서는 내정불안에 따른 인민 이탈이 심화됨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었던 현상이기 때문이다. 특히 在唐新羅人社會가 형성됨으로써, 견당사 및 유학승은 唐에서의 활동을 위해서 신라인의 도움을 필요로하게 되었다. 그 결과 견당사에 통사·역어와는 별도로 신라역어를 格式으로 규정해 설치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 KCI등재
      • KCI등재

        8~9世紀 唐朝의 蕃坊 運營과 在唐 新羅人社會 : 唐朝의 외래인 집단거주지에 대한 통제양상 비교

        崔宰榮 한국고대사학회 2004 韓國古代史硏究 Vol.35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ng dynasty and the foreign residents communities including Fanfang(蕃坊) and the Shilla residents community in Tang. During the Tang era foreign merchants came in great numbers to the South Sea Coast which was known even before the rise of Tang for it's prosperity and as a source of valuable merchandise. The attitudes of Tang Dynasty to foreign merchants can be seen in the Tang dynasty's administration of Fanfang and the establishment of Shiboshi (市舶使). In Guangzhou(廣州) foreign merchants formed separate resident communities and disputes between resident merchants were handIed by the Fanzhang(蕃長) according to their own religion and customs. This was codified in the Tang Code(唐律) and exemplifies the openness of the Tang dynasty to foreigners. However, as the Tang dynasty set up legal measures to regulate foreigners, likewise it instituted the Shiboshi system to control the fanfang. The intention of the Tang court was to supervise the South Sea Trade though the Shiboshi system. This is evident in the fact that the officials or eunuchs close to the Emperor were appointed to the post of Shiboshi. Moreover, the Shiboshi was in charge of dealing with the fanzhang and inspecting the merchandise thereby exercising control over the fanfang and fanzhang. It is probable that the Tang dynasty enforced similar policies on the Shilla resident communities in the Shangdong(山東) and Jianghui(江淮) regions, The establishment of the yaxinluobohailiangfanshi(押新羅渤海兩蕃使) would imply such intentions but the exact nature of the post cannot be ascertained,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ng dynasty and the Shilla resident communities can be inferred by examining the members of the those communities and the role of its headmen, Shilla resident communities were mainly comprised of Shilla people who had immigrated to Tang after the 8th century fleeing the famines in Shilla or those who had been sold into slavery to Tang but later acquired their freedom and remained there, It is most likely that the Shilla people who had settled down and made a living in Tang became Chinese subjects since there were favorable provisions which exempted naturalized foreigners from tax for 10 years, Also, influential members of the communities would have been appointed as their headmen, men such as Chang Young(張詠) and Wang Hun(王訓) cited in The Nitt -Guh, -Junrei-K, ki(入唐求法巡禮行記) being a representative case. The role of these headmen reveal that the Shilla resident communities were organized into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Though they were bestowed the titles of yaya(押衙), cunzhang(村長), zongguan(總管), they performed the duties equivalent of fangzheng(坊正), lizheng(里正), cunzheng(村正), Especially, the serviced rendered by Chang Young in the process of Ennin (圓仁) acquiring a Gongyan(公驗) is identical to that of a lizheng, These facts confirm that Shilla resident communities were under the control of the Tang dynasty.

      • KCI등재

        〈大唐故金氏夫人墓銘〉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

        권덕영(權德永)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4

        〈大唐故金氏夫人墓銘〉은 1954년에 중국 陝西省 西安市 교외에서 출토되어, 현재 서안 碑林博物館에 소장되어 있다. 묘지석이 특별히 크거나 화려하지 않고 또 고관을 역임한 유명인사의 묘지가 아니어서인지, 중국학자들은 이 자료에 별다른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고대사를 연구하는 입장에서 보면, 이 묘지명은 각별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우선 〈大唐故金氏夫人墓銘〉는 현재 알려진 재당 신라인 묘지명으로서 유일한 금석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이 묘지명은 4대에 걸친 김씨부인의 가계와 선대의 활동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즉 조부 金忠義와 부친 金公亮은 기존에 알려진 사실보다 훨씬 다양한 관직을 역임했음을 말해주고, 김씨부인의 선대는 원래 신라 왕실의 일원으로 증조부 金原得 때에 입당하여 정착했음을 암시한다. 뿐만 아니라 이 자료는 신라 왕족 김씨의 시조관념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주지하듯이 7세기 후반 이후 신라에서는 김씨의 시조를 少昊金天氏와 金日?에서 구하는 경향이 있었다. 김씨부인묘지명은 그러한 의식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또한 이 묘지명은 장안에 살던 재당신라인 群像들의 다양한 삶의 한 형태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