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래동화를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가정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탁희욱 한국심리협회 2011 심리행동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존중감이 낮은 저소득층 가정아동들을 대상으로 전 래동화를 활용한 독 서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효과를 검증하 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는 체계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전래동화를 활용한 독서 치료 프로그램의 목적 및 개발원리, 차시별 목표, 프로그램 내용 및 시행절차를 결정하였다. 프로 그램은 초등학교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교과서에 수록된 전래동화 중 자아존중감 향상에 적합 하다고 판단되는 교재를 선정하여 Hynes와 Hynes-Berry(1994)의 인식, 고찰, 병치, 자기적용의 독 서치료 단계에 의거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반응중심수업모형을 근거로 이루어졌다. 자아 존중감을 하위요인인 일반 적, 가정적, 학업적, 사회적 자아존중감으로 구분하여 활동하도록 구성하 였다. 프로그램은 주 2회 90분씩 총 10차시 분량으로 구성되었다. 요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래동 화를 활용한 독서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아동 20명을 선별하여 실험 지단과 통제 집단 각 10명씩을 무선 배 정한 후 실험을 실시하였다. 2009년 1월 6일부터 2월 10일까지 매주 화, 목 요일 1시부터 2시 30분 까지 각 차시별 90분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검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2.0 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또한 실험·통제 집단간 비교 를 위하여 각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의 사후검사 점수에 대해 각각 공변량(ANCOVA) 분석 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래동화를 활용한 독서치료프로그램에 참 여한 저소득층 가정아동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아동들보다 자아 존중감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둘째, 전래동화를 활용한 독서치료프로그램에 참 여한 저소득층 가정아동 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아동들보다 자아존중감의 하위 요인인 일 반적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상승하지 않았다. 셋째, 전래동화를 활용한 독서 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층 가정아동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아동들보다 자아존중감 의 하위 요인인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자아 인식과 기능적 활용에 대한 탐색 연구 : 멈추어 생각해 보기

        배진형 ( Bae Jin Hyung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0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7 No.2

        다양한 도전들 속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사회복지사들, 그들에게 멈추어 서서 자신의 자아를 되돌아보는 성찰의 시간이 필요하다. 특별히 사회복지사의 자아가 실무에서 기능적으로 잘 활용되고 있는지 성찰하는 것은 동기 부여된 실천과 소진 예방을 위해 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사회복지 영역에서 10년 이상 경력을 가진 사회복지사들이 자신이 사회복지사로서 지금까지 일 해 온 과정을 포괄적으로 성찰하며 발견한 다양한 자아의 측면들을 어떻게 실무 상황에서 기능적으로 활용해 왔는지에 대한 경험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경력 10년 이상 된 여러 분야의 사회복지사 8명을 의도적 표본추출을 통해 모집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질적 분석되었고, 그 결과, 47개의 개념과 15개의 하위범주,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들은 첫째, ‘나는 나임을 인식함’, ‘나만의 독특한 경험을 확장함’, ‘신앙인으로서의 나를 조명함’, ‘밀도 있는 전문성을 발휘함’, ‘꾸준한 고민과 점검을 이어나감’, ‘선택과 구분을 통한 자기관리 방법을 적용함’, 그리고 ‘성숙한 상생을 위해 덜어주고 보태어 감’ 이었다. 이를 토대로 ‘타고난 본성과 경험을 디딤돌 삼고 신앙과 전문성을 활용해 가되 안주하지 않는 성찰과 구분된 자기관리를 통해 뜻을 향해 주변과 더불어 성장해 감’을 전체 주제로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복지 교육과정 차원에서 사회복지사의 자기인식, 자아의 기능적 활용과 자기 관리, 셀프케어 등 과목 개설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선배 사회복지사들이 경험을 통해 효과적이라고 입증한 기능적 자아활용의 모델 사례들을 본 연구에서 도출된 범주별로 공유하는 실질적 기회의 확대, 사회복지사가 자신의 신앙을 업무 상황들에 어떻게 기능적으로 반영하는지에 대한 심도 깊은 탐색, 자신만의 개성과 고유한 특성을 독특한 방식으로 홍보하고 공유함으로써 발생되는 효과에 대한 연구 및 예비사회복지사들의 차별화된 자아 발견 및 구체화된 공유 필요성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social workers recognize their self and use their self in functional ways. This study utilized in-depth interviews and subject analysis to collect and analyze data. Eight experienced social workers from various practice fields were recruited by purposive sampling, an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ubject analysis method through coding process. As a result, 47 concepts, 15 sub categories and 7 categories were found: ‘realizing themselves’, ‘expanding their unique experiences', 'recognizing both one’s religious and professional self', ‘using their professional perspective and skills richly’, ‘consistent self-reflection’, ‘trying to keep a healthy self with selection and separation’, and ‘sharing and contributing to mature cooperation’. The subject drawn from the analysis is ’Purposive co-growth through on the basis of in-nature personality and experience, utilization of religion and professional competence, and incessant reflection and distinguished self care’.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courses on self reflection, the opportunities to share each category presented in the study, functional self use and self care, addressing the necessity to explore on social workers’ self use through connecting religious self, and expressing their self effectively with their distinct strengths.

      • KCI등재

        모래상자를 활용한 자아성장 집단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길자,김은경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0 놀이치료연구 Vol.14 No.2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a sand tray for self-growth o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A parenting stress test was conducted to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and six mothers with high stress level were selecte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a test group or a control group. The issues were as follow: first, to examine effect of the sand tray for self-growth on parenting stress reduction for the mother with a disabled child; second, to examine whether the sand tray improves self-esteem and self acceptance of the mother with disabled child; third, to examine whether the sand tray changes verbal expression of the mother positively. The program was comprised of forming familiarity, self-discovery and exploration, self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enhancing self-esteem and behavior, and completion.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wice a week for 10 tim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and tray reduced the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 with disabled child. Second, the sand tray improved self-esteem and self-acceptance of the mother. Third, positive verbal expression of the mother during the session increased and negative verbal expression decreased regarding the verbal expression changes. Although the study was a short-term case study of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with limitations for a generaliz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and tray for self-growth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본 연구는 모래상자를 활용한 자아성장 집단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장애인부모회에 소속되어 있는 어머니 중 양육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여 점수가 높은 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3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은 친밀감 형성, 자아발견 및 탐색, 자아수용 및 이해, 자아존중 및 행동촉진, 종결의 단계로 이루어졌으며, 총 10회기로 주 2회 실시되었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사전 및 사후, 추후에 실시한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점수로, 자아성장은 자아존중감과 자아수용도 검사의 점수로 비교하였다. 전 회기를 녹음하여 프로그램 과정동안 어머니들의 회기 중 언어표현에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모래상자를 활용한 자아성장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양육스트레스는 감소되었고, 자아 존중감과 자아 수용도는 향상되었다. 추후 평가에서도 스트레스의 감소 및 자아존중감, 자아수용도의 향상은 지속되었다. 또한, 자아성장 프로그램의 진행과정동안 실험집단 어머니의 회기 내 긍정적 언어표현은 증가하고, 부정적 표현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소수사례 실험연구로 일반화 하는데 제한점이 있으나, 모래상자를 활용한 자아성장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뇌활용 마음깨움 교육과정 운영이 초등학생의 두뇌활용능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원영호 ( Won Yeong H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17 인성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학교 교육 전반에 걸쳐 뇌활용 마음깨움 교육과정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마음속에 잠재된 긍정적인 마음과 자존감을 일깨우고 스스로 자신의 행복을 위해 노력할 수 있는 마음가짐을 정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봄으로써 뇌활용 마음깨움 교육과정 운영이 학생들의 두뇌활용능력과 자존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16년 3월부터 2017년 2월 말까지 K도에 위치한 A초등학교 전교생 3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뇌활용 마음깨움 교육과정 운영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교육과정 적용 전과 후의 변화에 대한 비교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뇌활용 마음깨움 교육과정 운영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두 번째 도구로서 사티어 자아존중감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뇌파를 기반한 두뇌활용능력 검사는 사람의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인 뇌파를 활용하여 두뇌활용능력을 측정· 분석하고 두뇌활용 과정에서 관여 하는 고도의 인지기능들을 신경생리학적 뇌파 지표들을 통해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뇌활용 교수· 학습 모형을 적용한 활동 중심의 교과 수업과 뇌체조, 꿈 선택 행복마음 키움 활동 등 지속형 프로그램 운영, 뇌교육 인성 프로그램 등 단기 집중형 프로그램, 진로· 인성캠프와 같은 1회성 프로그램 등의 체험 중심 활동으로 재구성한 뇌활용 마음깨움 교육과정 운영이 학생들의 자기사랑, 타인사랑, 공동체 사랑, 지구사랑으로 범주화한 마음깨움 덕목과 인성 함양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remind the students of positive mind and self-esteem in their minds and to settle their minds to try their own happiness themsel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Brain-based mind awakening curriculum on students` brain utilization ability and self-esteem improvement. From March 2016 to the end of February 201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brain - awakening mind curriculum on the changes of pre and post application curriculum in this study, As a second requirement to verify the efficacy of curriculum training, we used Satir Self-Esteem questionnaire. The Brain Capability Test based on brain waves measures and analyzes the ability of the brain to utilize the electric signals, which are electric signals generated from the human brain, and analyzes the advanced cognitive functions involved in the brain utilization process objectively and accurately through the neurophysiological EEG indicators Can be measur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tivities-based curriculum using brain-bas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nd short-term intensive programs such as brain gymnastics, dream selection, happiness-minded activities, and brain education personality programs, and one-time programs such as career personality camp.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re is a curriculum in the brain awakening curriculum reconstructed by experiential centered activities, which is categorized by students` self love, others love, community love and earth love.

      • KCI등재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이현정(Hyunjung Lee),김유미(Youme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G 초등학교 5학년 7개 학급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자가 담임으로 있는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실험집단과 동질성이 확보된 다른 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4주 동안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총 11회기에 걸쳐 투입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별도의 처치를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종료 후, 두 집단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자아탄력성 차이와 집단 내 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변량 분산분석(MANOVA) 및 반복측정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탄력성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 활력성, 감정통제, 낙관성도 모두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실험집단 내의 자아탄력성 사전-사후검사 효과검증에서도 실험집단의 전체 자아탄력성과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 활력성, 감정통제, 낙관성이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현장에서 아동의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해 활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role-play on children s ego-resilience. Methods To reach this research purpose, the ego-resilience scale was administered to fifth graders of G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 experimental group is a class of which a researcher is in charge, whereas a control group is a class homogeneou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in a pretest. Subsequent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11 sessions of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role-play for four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given no treatment.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ego-resilience scale was administered to both group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Multivariate ANOVA(MANOVA) and repeated MANOVA.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role play had significantly higher ego-resilience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sub-factors of ego-resilience,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 vitality, emotional control, and optimism. In addition, in the pre-post-test effect verification of ego-resilience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interpersonal relationships, vitality, emotional control, and optimism, which are sub-factors of the ego-resilience and overall ego-resili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role-play is effective in increasing ego-resilience.

      • KCI등재

        시카고 지역 한인 사회복지사들의 자아 인식과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배진형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3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9 No.1

        Social workers are always busy causing to complex and multiple clients’needs. But it is necessary that social workers reflect their self and use of self as the methods of service provision. This study examines Korean social workers’self and use of self, among social workers who were working in Chicago Area, to explore basic data for the necessity of self reflection. First, literature review about use of self was studied. Through the purposive sampling, 8 different Korean immigrant social workers were selected. Data were collected wit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more than 2 hours for each. Data were analyzed by subject analysis with coding and finding concepts, sub-categories, and categories. Whole subject was introduced in the end of the result. As the result, 57 concepts, 17 sub-categories, and 6 category turned out as the Korean social workers’use of self. First category was “in born characters led and kept them as social worker”. Second category was “connecting real experience continuously with recognitions”. Third category was “productive utilization with resource and skills”. Fourth category was “keeping on concerns for growth of themselves and the agency they work for”. Fifth category was “using the means that can encourage and recharge”. Last category was “preparation for present self connecting to the future self”. Based on the result, necessity of reflecting in born and experimental effect, religion/multiple relations, neighboring resources, cultural competences based practice, systematization for reflecting themselves and sharing individual and agency concerns, recognizing and fulfillment of self-care methods were suggested. 부산한 일상을 잠시 멈추고 모든 서비스 전달의 도구로서 활용되는 사회복지사의 자아인식과 활용에 대하여 성찰해 봄은 소진과 스트레스를 예방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사회복지사 자기 성찰의필요성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 탐색을 위해 미국 시카고 인근에서 일해 온 한인사회복지사들의 자기 인식과 활용이 어떠하였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문헌 고찰을 통하여 자기활용 및 관련된 연구를 검토하였고, 이후 8명의 10년 이상 일 해 온 시카고 지역 한인사회복지사를 의도적 표본추출법을통하여 모집하였다. 개별 심층면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는 주제분석방법을 통하여 코딩되어 개념, 하위범주, 범주로 분석되고, 전체를 아우르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한인사회복지사의 자아 인식과활용은 57개의 개념, 17개의 하위범주 및 6개의 범주로 분석되었다. 먼저, “타고난 성격이 사회복지사로 이끌고 유지함” 범주, “실제로 겪으며 터득한 것을 발전적으로 연결함” 범주, “보유한 자원과 기술을 생산적으로 활용함” 범주, “나와조직의 성장을 위한 고민을 지속해 감” 범주, “자아를 격려하고 재충전하는방법을 활용함” 범주, 마지막으로 “현재와 연결된 미래의 자아를 준비해 감” 범주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타고나고 경험해 온 다양한 자아의 성향에 대한 탐색 필요성, 신앙, 다양한 관계 역량, 다양한 자원, 전문적인 문화역량을 발휘함, 자신이 가진 다양한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함, 자신의 고민과 조직의 발전을 위한 고려들을 정기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세팅 마련, 사회복지사 자신이 스스로를 위로하고 충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분명히 구분해 알고, 지속 실천하기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미술매체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흡연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강영주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9 임상미술심리연구 Vol.9 No.3

        이 연구는 미술매체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흡연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 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A시 B학교에 재학 중인 흡연 고등학 생 6명으로 구성되었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사전․사후검사를 포함하여 총 12회기로 구조화하였으며 주 2회 50분씩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미술매체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흡연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아탄력성 검 사를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실시하고 3가지 하위영역인 자기조절 능력, 대인관계 능력, 긍정성에 대하여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회기별 변화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매체를 활용한 집 단상담 프로그램은 흡연 청소년의 전체 자아탄력성과 자아탄력성의 하위영역 중 자기조 절과 긍정성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미술매체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회기별 진행 과정에 따라 흡연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변화에 효과적이었다. 프로그램의 구조화, 집단 구성, 미술매체를 활용 등이 결과를 효과적으로 이끈 것으로 본다. 이 연 구는 흡연을 단일요인으로 보고 미술매체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흡연 청소년의 금연동기를 강화하는 효과적인 심리치료의 개입임을 확인하고 임상현장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art media on resilience of smoking adolescents.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six smoking students in B high school located in A city.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structured as 12 sessions including pre- and post-test and conducted for 50 minutes twice a week. After pre- and post-test for a resilience was completed,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was performed as a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for the three sub-categories of self-regulat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positivity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on resilience of smoking adolescents. In addition, the process of change was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overall resilience score and self-regulation ability and positivity in sub-categories of smoking adolescents. Second,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art media was effective on resilience of smoking adolescents in the process of each session. The structure of the program, the composition of the group, and the use of art media are seen as having effectively led to the res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verifying that group counseling programs using art media, which view smoking as a single factor, are effec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that enhance the motivation of stop smoking for adolescents, and provide basic data to the clinical field.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사회극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오형숙,유형근,김현경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0 한국초등교육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d implement a program utilizing sociodrama group counseling to promote ego-resilience students in upper grades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assess and validate its effect on their ego-resilience. For this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ego- resilience test to 266 current students in fifth grade of I elementary school in Jejusi,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s a result of the test, 41 students obtained 55 and below(M = 66.00, SD = 11.00), among them 12 students who desired for the program were includ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2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was presided over by the writer of this report and was conducted two times per week from September 2 through October 9, totalling 10 sessions. The test tool was Ego- resilience Test of Lee, Son Young(2008). For data processing, ‘Mixed ANOVA’from SPSS /Window 12 was used to analyze statistical results, and analysis of experience reports and counselor observation contents was also indicat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result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go-resili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ook part in the sociodrama group counseling program designed to enhance ego- resilience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s well, when each item of the program were examined, the experimental group's vitality, emotion control, social relationship, optimism proved to be critically different. Second, the analysis of the per session reports and the counselor observation also showed that the program has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ego-resilience.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사회극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자아탄력성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적용의 5단계로 이루어졌다. 조사단계에서는 다양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초등학교 5학년 266명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검사를 실시하여 55점(M=66.00, SD=11.00) 이하 점수를 취득한 41명 중 프로그램 참여 희망학생 12명을 실험집단으로, 참여를 희망하지 않은 학생 중 12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범위의 학생들에게 요구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자아탄력성에 대한 선행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소를 검토하여 공통요소를 토대로 4개의 하위요소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사회극의 구조나 기법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목적과 회기별 목표를 설정하였다. 설계 및 구안단계에서는 목적, 목표, 회기별 목표에 따라 선별된 활동안을 이론전문가 및 현장전문가의 자문과정과 예비 검사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에게 2009년 9월 2일부터 10월 9일까지 주 2회 방과 후 시간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이선영(2008)의 자아탄력성 검사를 수정하여 프로그램 전과 후에 실시하고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으로 자료를 처리하였다. 또한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사회극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아탄력성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영역별 분석 결과에서도 실험집단의 '활력성', '감정통제', '대인관계', '낙관성'영역에서의 변화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사회극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과 미디어 이해 능력 및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뷰티 서비스를 중심으로

        홍재원 ( Jae-won Hong ),박승배 ( Seung-bae Park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1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미용 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과 미디어 이해 능력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실증연구로, 2020 한국미디어패널조사 데이터에 포함된 173명의 자료를 추출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특히 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인터넷 정보 판단 능력과 미디어 메시지 이해 능력의 매개효과 검증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은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터넷으로 연결된 사회 속에서 소통하고 참여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인터넷 정보 판단 능력은 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으며, 미디어 메시지 이해 능력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의 선행요인으로서 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을 바탕으로 미디어 정보와 메시지 측면에서의 이해 능력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미용 서비스 종사자들의 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이 인터넷 정보 판단 능력과 미디어 메시지 이해 능력을 통해 자아존중감으로 연결되는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미용 서비스 종사자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 미디어 측면에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device utilization ability, media understanding ability, and self-esteem for beauty service workers. Data from 173 people included in the 2020 Korea media panel survey data were extracted and analyzed. In particular, it focused on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et information judgment ability and media message understanding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device usage ability and self-estee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ability to use smart devices affects self-esteem positively. It suggests that smart devices utilization ability is essential to communicate and participate in an internet-connected society. Second, internet information judgment ability played a fully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device utilization ability and self-esteem. The ability to understand media messages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knowledge regarding media information and messages based on smart device utilization ability as a prerequisite for self-esteem.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wer of beauty service workers to use smart devices to self-esteem through the ability to judge Internet information and the ability to understand media messag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way to respond in the media aspect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beauty service workers.

      • KCI등재

        메이크업 국가자격증 시험제도, NCS 실기과제 현장활용성과 자아성취감 관계 연구

        박세진(Park Sejin),리순화(Li Shunhu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5

        목적 메이크업 국가자격증 취득 시험제도, NCS 기반 실기과제가 현장활용성과 자아성취감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방법 메이크업 국가자격증을 취득한 미용 종사자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메이크업 국가자격증 취득을 통한 NCS 실기과제의 현장활용성은 뷰티 메이크업, 시대 메이크업, 안전 위생 관리, 기초 메이크업, 캐릭터 메이크업, 속눈썹 연장 및 수염으로 나뉘어 분석하였다. 자아성취감은 자격증 만족도, 자기효능감, 직무수행능력으로 하위요인을 구성하였고 각 요인의 타당도 및 신뢰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메이크업 국가자격증 취득 목적에서 취업이 많았고 국가자격증 시험제도 인식에서 과제 인식은 높게, 시스템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실기과제 현장활용성의 하위요인 중 안전 위생 관리가 높게, 속눈썹 연장 및 수염이 가장 낮게, 자기효능감은 높게 인식하였다. 국가자격증 취득 목적에 따른 현장활용성 중 시대 메이크업에서 교육을 위한 현장활용성은 높게, 실제 취업을 위한 현장활용성은 낮게 인식하였다. 국가자격증 시험제도 인식 중 시스템 인식은 20대와 1년 이하 경력에서 제일 낮게 인식하여 젊은 세대에 맞는 시험 시스템 환경 및 실기시험 시행 주기 등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며 뷰티 메이크업, 시대 메이크업, 캐릭터 메이크업은 경력이 적을수록 현장활용성을 낮게 인식하였다. 국가자격증 시험제도 인식에서 시스템 인식이 과제 인식보다 더 많이 현장활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기과제 현장활용성 하위요인 중 안전 위생 관리가 자격증 만족도에 가장 많이, 뷰티 메이크업이 자기효능감에 가장 많이, 시대 메이크업이 직무수행능력에 가장 많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결론 메이크업 국가자격증 시험제도에서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며 특히 젊은 연령층에 맞는 원서접수 시스템, 실기 시행 주기, 환경 개선 등 보완 및 개선이 필요하다. 실기과제 현장활용성 중 속눈썹 연장 및 수염과 시대 메이크업은 실제 현장에서 필요한 과제로 개선하여 기획 의도에 따른 메이크업 표현과 캐릭터 이미지에 따른 제작 및 연출에 대하여 보완하고,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여 이미지와 메이크업 표현을 통한 자아성취감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가 국가자격증 NCS 실기과제의 현장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국가자격증 시험제도 개선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I analyzed how recognition of a test system through getting a national certificate affects NCS-based practical tests field utilization and self-fulfillment. Methods I surveyed 270 people who have make-up national certificates in the beauty industry. I categorized into beauty makeup, generation makeup, safety and hygiene management, basic makeup, character makeup, putting on false eyelashes and mustache for the field utilization of getting a make-up certificate about NCS-based practical tests. Results Employment is the major reason for getting a make-up certificate and in the recognition of a national certificate test, the test recognition was high, but the system recognition was low. One of the low-ranking factors of practical tests in the field utilization was safety and hygiene, which was high, and eyelash extension and beard was low. However, self-efficacy was high. For getting a national certificate, generation-makeup of field utilization was high for education, but the field utilization for getting a job was low. People in their 20 s and people who have less than one year experience acknowledge the system-cognition less in the recognition of a national certificate, so the system needs to be improved for young generation regarding environment of test system and the cycle of the practical test. Also, the recognition of beauty makeup, generation makeup, character makeup was low to people who have less experience in the field utilization. In the recognition of a national certificate test, the system recognition affects more than the test recognition in terms of the field utilization. Also, the safety-hygiene management gives satisfaction for getting a certificate the most in the practical test of the field utilization, and beauty makeup affects self-efficacy the most, and generation makeup gives positive influence on the job competency. Conclusions There needs to be some improvements regarding the system of a national makeup certificate test, especially the system of screening process for the young generation, the cycle of operating practical tests and upgrading the environment. We try to boost up our self-fulfillment through expressing every image that our customers want by using make up and make our customers satisfied. I hope this study gives basic materials to advance the system of getting a national certificate and enhances the field-utilization of NCS based practical te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