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자의 성숙을 위한 ‘자기-자기대상’의 목회적 적용과 함의

        변재봉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2

        코헛의 자기심리학과 목회신학은 개인의 성숙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코헛이 제시한 성숙하고 응집된 자기로 발달하는 과정과 이 발달과정에 필요한 자기-자기대상, 공감적 반응, 최적의 좌절, 그리고 변형적 내재화라는 요소는 평행과정으로 신자의 영적 성숙 과정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결 지어 살펴볼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자기심리학의 이론으로 신자의 영적 성숙에 필요한 요소들과 그 과정을 살피고, 신자의 영적 성숙을 위해 교회, 목회자가 제공해야 할 목회적 기능과 돌봄의 방안들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특별히 응집된 자기를 형성하는데 제공되어야 하는 양육자의 공감적인 세 가지 자기-자기대상을 목회현장에 적용해 보는 방안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코헛은 유아에게 완벽하게 행복했던 생애 초기의 경험을 회복하고 유지하고자 하는 자기애적 욕구가 있다고 보았다. 이점은 신자에게 동일하다. 완벽하고 신실하며 거룩한 신자로서 인정받고 싶은 과대 자기애적 욕구, 이상적이며 완벽한 하나님, 혹은 목회자와 연합하고 싶은 이상화 자기애적 욕구, 그리고 소속감, 참여감, 동료의식을 경험하고 싶은 쌍둥이 자기애적 욕구가 신자에게 있다. 그리고 이런 자기애적 욕구에 교회와 목회자가 공감적으로 반응해 줄 때 신자는 심리적, 영적 성숙을 이루고, 유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회와 목회자가 제공해야 할 거울/이상화/쌍둥이 자기대상을 케리그마, 디다케, 레이투르기아, 코이노니아, 그리고 디아코니아의 다섯 가지 목회 기능과 연결 지어 다루었다. 구체적으로 운영위원회, 공감적 예전 및 의례, 공감적 설교, 슬픈 노래 부르기, 다양한 봉사활동과 상담 심방 등의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설명했다. 특히 자기대상으로서 목회자의 자기성찰과 점검의 필요성을 제기했으며, 공감적 목회의 필요성을 이해와 경청, 환대와 무조건적 수용의 태도와 연결 지어 설명했다. 이를 통해 어느 때보다도 복잡하고 다양한 삶의 위기 가운데 있는 현대 목회현장에서 교회와 목회자가 제공하고 있는 자기대상이 시기적절한지, 신자가 처한 상황에 충분히 공감적인지를 살피고, 건강한 공감적 목회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Heinz Kohut's self psychology and pastoral theology have common ground in that they pursue individual maturity.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processes with the mature and cohesive-self presented by Kohut, and its developmental elements such as self-selfobject, empathic reaction, optimal frustration, and transmuting internalization are worth examining in that parallel process can be applied to the spiritual maturity process of the believ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lements and processes required for spiritual maturity of believers, and to explore the pastoral functions and care methods that churches and pastors should provide for spiritual maturity of believers. This study focused on applying three empathic self-selfobject of fosterer, which should be provided to form a cohesive-self, to the pastoral field. Kohut saw that children had narcissistic desires to restore and maintain their early life experiences that were perfectly happy. These are the same for believers. The believers had grandiose narcissistic desires to be recognized as a perfect, faithful, and holy believer; idealized narcissistic desires to unite with ideal, perfect God, or a pastor; twinship narcissistic desires to experience sense of belonging, participation, and fellowship. And when churches and pastors respond empathically to these narcissistic desires, believers can achieve and maintain psychological and spiritual maturity. This study linked mirrors/idealized/ twinship selfobjects to be provided by churches and pastors to five pastoral functions: Kerygma, Didache, Leitourgia, Koinonia, and Diaconia. Specifically,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such as steering committee, empathic liturgy and ritual, empathic preaching, sad singing, various volunteer activities and counsel visiting. In particular, the necessity of self-reflection and inspection of pastors as selfobjects was raised, and the necessity of empathic ministry was explained in connection with understanding and listening closely, hospitality and unconditional acceptance. Through this, it was tried to examine whether the selfobject provided by churches and pastors was timely and empathic enough to the situation of the believers in the present pastoral field, which was more complicated and diverse than ever, and to suggest a healthy empathic pastoral plan.

      • KCI등재

        성적대상화 경험,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 자기대상화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진주,이영순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through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sexual objectification and self-objectification. Participants were 229 females in their 20s who completed online assessm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tercorrelations between sexual objectification,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and self-objectification were positively significant, and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concept clarity. The mediation model showed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sexual objectification and self-objectification was full mediated by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There was also a moder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path from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to self-objectification. Finally, self-concept clarity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xual objectification on self-objectification through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of beaut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20대 여성들의 성적대상화 경험,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가 자기대상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을 자기개념 명확성이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가 성적대상화 경험을 매개하여 자기대상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20대 여성 22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적대상화 경험,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 및 자기대상화는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자기개념 명확성과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는 성적대상화 경험과 자기대상화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셋째, 자기개념 명확성은 성적대상화 경험과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고,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와 자기대상화의 관계에서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가치 내면화가 성적대상화 경험과 자기대상화를 완전매개하는 경로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용자의 자기대상 경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이진이(Lee, Jin Yi),김성훈(Kim, Sung H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미래 산업을 위한 현재의 기술 발전 경향성은 제품/서비스가 겉으로 드러나는 인간의 작동 방식과 사용구조만을 중심에 두었던 것과는 차원이 다른 인간적인 인터페이스의 등장을 예고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향을 고찰하고, 이를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의 이론에 대입하여 해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경험의 개념과 범의를 재정의 하였다. 재정의된 내용에 따라 본 연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경험하는 주체인 사용자가 인간적 인터페이스 자체가 될 수 있으며, 입 · 출력 구조를 통해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과정에서 내 · 외현적 사용자-인터페이스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자기심리학에 의하면 자기와 경험 대상과의 관계에서 공감적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와 대상이 분리되지 않고 자신의 일부 또는 확장된 상태로 경험하는 것을 ‘자기대상 경험’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경험에서도 사용자 자기 자신이 인터페이스의 내 · 외현적 입 · 출력을 담당하면서, 대상(제품/서비스)를 자신과 분리된 상태가 아닌 일부로 경험하고, 자기애(자기와 대상을 향한 애착 및 욕동에너지)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험이 사용자 개인의 삶 속에서 자기다움을 형성하며 지속적으로 융합되어 갈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과대 · 핵심 · 이상화 자기대상(자기애)’ 역할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역할 또한 동일하게 ‘대상’이라는 측면에서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을 비교 · 분석을 통한 해석 연구를 통해서 도출하였다. 나아가서 사용자 경험 과정에 따른 자기대상 인터페이스 유형별 최적의 반응 요소를 정의하고 ‘자기대상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경험 모델’을 도출하였다. Progress trend of the current technology for the future industry notice the appearance of the dimension what is different from the human interface means product/service wa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only human behavior or use structure on the surface. In this study, this kinds of trends discussed and analyzed research which was assigned to the theory of the self psychology of Heinz Kohut. This was redefining the concept and the range of user interface and user experience. Based on the redefinition has been content, this study attended a user who is a subject to experience is possible to be an interface itself, and it act to be an internal · an external user interface in the process of the interaction composed input · output. In the self psychology, the experience not as the separation existence buy as an extended status of the self, through empathic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object call the ‘selfobject experience’. In this way, the narcissism (Libido tend to the self and the object) is formed from the experience of the part of the self as the object (product/Service) rather than separated with itself, because the user itself charge of the internal · external input · output on the user interface and the user experience. These experiences to form the user’s own selfhood in the personal life of the user, and it can go continuously fusion. More specifically, in this study was derived the similarity for the role types of the ‘Grandiose · Nuclear · idealized selfobject (the narcissism)’ and the role of the user interface as ‘the object’ through analysis study of the comparison and analyze. In addition, this study defined the elements of the optimal reaction and ‘the user experience model on the selfobject interface’ by the types of the selfobject interfaces.

      • KCI등재

        교회의 회중과 목회자의 심리적 관계 유형에 관한 목회적 돌봄 - 자기심리학의 3가지 욕구를 중심으로

        오오현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4

        코헛의 자기심리학은 정신분석을 받게 되는 대부분의 사람들의 정신병리 핵심이 자기결손(defective self)이라고 간주한다. 즉, 환자들의 자기는 약하고 조화롭지 않으며 파편화되기 쉬운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자기 결손의 원인은 어린 시절 자기-자기대상 관계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성장과정에서 자기대상으로 하여금 최적의 좌절을 경험하지 못하고 과도한 좌절을 경험한 사람들이다. 그 결과, 건강한 자기를 형성하지 못한 채 자기(self)의 성장이 멈춰지거나 왜곡된 상태가 된 것이다. 따라서 병리적 자기애적 자기를 가진 사람들은 평생 동안 자기의 구조적 결핍을 채워보려고 필사적으로 노력을 한다. 자기심리학의 이론의 틀 안에서 치유하고 돌볼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은 바로 자기의 구조적 결핍을 메울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것은 목회적 돌봄의 관점에서 교회의 회중과 목회자가 갖는 거울 자기대상 욕구와 이상화 자기대상 욕구 혹은 쌍둥이 자기대상 욕구를 공감적으로 이해하고, 반응하여 자신들의 자존감을 회복하고 스스로 긴장을 잘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회복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는 자기대상과의 관계에서 자기대상 전이(selfobject transferences)를 형성하고, 자기대상으로서 적절하게 반응해 줄 때, 그들의 성장발달과정에서 받았던 상처가 다시 회복 되어 건강한 자기구조가 다시 새롭게 구축하도록 돕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랜달(Robert L. Randall)이 이해하고 있는 코헛(Heinz Kohut)의 자기심리학의 3가지 자기대상 욕구를 중심으로 교회의 회중과 목회자의 심리적 관계유형에 관한 9가지의 관계역동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목회적 돌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Heinz Kohut's Self Psychology considers that mostly defective self is the psychopathological essence of people who get psychoanalysis. That is to say, patient's self seems easy to be weak, inharmonious and fragmented. And, the reason of such defective self is because in their childhood they had some troubles in self-selfobject relationship. In other word, while they were growing, they didn't experience optimal frustration but extremely hard frustration as selfobject. As a result, the state of self become distorted and stop growing without developing healthy self. Therefore people who have pathological narcissistic syndrome try their best to make up for their structural deficiency. The most basic way to heal and care them in the frame of Self Psychology is considered to help them fill their structural deficiency. That is to sympathetically understand and respond to their needs to be mirrored and idealized as selfobject which pastor and parish have in the point of pastoral care. And help them restore their confidence and possibility to control there strain themselves. This will develop selfobject transferences in selfobject, they will overcome hurt from their childhood and restruct healthy self. Therefore, in the focus of three selfobject needs in Heinz Kohut's Self Psychology, Robert L. Randall inquires into nine dynamic features about psych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pastor and parish at church and studies pastoral care in the accordance with these features.

      • KCI등재

        자기대상 척도의 타당화와 종교집단 간의 비교 연구

        조난숙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se the selfobject experience scale(RSE)and examine its validation; this scale was originally developed by Kim(2001), and then changed as a “Measurement scale on the individual level of psychological & spiritual oxygen” by Kim(2007). 70 items were prepared either by adapting appropriate items from the original selfobject experience scale or plenishing new items. Based on items with proper item-total correlation and factor loading, factor analysis was tested and resulted in five interrelated factors and 52 items. At the same time, to examine the validation of RS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RSE, covert narcissism scale(CNS), and the selfobject need inventory(SONI) was performed. The result showed that RS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NS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factors of SONI. ANOVA was also tes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selfobject experience level among religious groups. It turns out that Christian groups have statistically higher average in RSE than Buddhist group or non-religious group.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more diverse and intensive not only experimental studies on selfobject become possible by the validation of RSE but also integration between self-psychology and pathological emotions. 이 논문에서는 Kim(2001)과 김갑성(2007)이 개발한 ‘자기대상경험 척도’를 개정하고 타당화 작업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요인분석과 함께 수렴타당도를 측정하기위하여 내현적 자기애 척도와 자기대상욕구 척도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시도한다. 내현적 자기애는 과민성 자기애와 비슷한 개념으로, 자기애를 외현적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로 분류한 Wink의 방식을 따른 명칭이다. 자기대상에 관한또 다른 척도인 자기대상욕구 척도는 크게 자기대상갈망과 자기대상회피의 요인으로 나뉘어진다. 연구결과, 자기대상경험은 내현적 자기애와 부적 상관관계이며, 자기대상욕구 척도의 하위요인들과 부적상관을 가짐이 밝혀졌다. 또한 분산분석을통해, 종교집단 간의 자기대상경험 척도를 비교하여 종교의 집단적 자기대상으로서의 기능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대상경험 척도의 개정과 타당화 검증으로 인하여 앞으로 자기대상에 관한 좀 더 다양한 양적 연구가 가능해졌다. 둘째, 자기대상경험의 요인분석을 통해 자기대상의 본질에 대한이해를 도운 점이다. 셋째, 종교 간 집단분석을 통해서 종교가 집단적 자기대상의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empirically) 증명하였고, 넷째, 자기대상경험과내현적 자기애와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임으로 자기대상경험이 부족할 때에 병리적인 자기애가 발전될 가능성을 보인 점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내현적 자기애와밀접한 관련이 있는 수치감이나 자존감뿐만 아니라 영적인 성숙도나 하나님과의관계경험, 초월과 관계한 양적 연구를 용이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여성의 자기대상화, 자기조절초점과 사회참여의 관계

        신홍임(辛洪任)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3

        여성 스스로가 자신을 활용되는 대상으로 보는 자기대상화(self-objectification)는 성 불평등 합리화 경향 및 사회참여와 어떤 관계를 갖는가?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자기대상화와 사회 참여의 관계를 자기조절초점의 개인차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여대생 160명을 대상으로 자기대상화의 경향, 성 불평등과 연관된 시스템 합리화경향과 사회참여의 관계를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성이 자신의 외모를 능력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할수록 사회참여의 경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여대생 90명을 대상으로 자기조절초점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수행하도록 한 후, 작문과제를 통해 자기대상화를 상태변인으로 조작한 실험조건(예: 성형수술 계획을 작성함)과 통제조건(예: 여름방학 계획을 작성함)에서 성 불평등의 시스템 합리화 경향 및 사회참여의 경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기대상화의 실험조건에서는 통제조건보다 여성의 외모가 능력보다 중요하다고 믿는 신념과 사회 불평등 합리화 경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성 불평등 합리화경향이 높을수록 사회참여의향이 더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여성의 자기대상화가 성 불평등을 합리화하면서, 여성의 사회참여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와 더불어 자기대상화조건에서 여대생의 향상초점 우세성이 높을수록 성 불평등의 시스템 합리화 경향이 낮았으며, 사회참여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자기 대상화가 유도된 상황에서 왜 어떤 여성들은 사회의 성 불평등을 합리화하기 보다는 여성에 대한 사회의 시각을 따르는 것을 거부하고, 성 불평등을 감소시키려는 사회활동에 참여 하는 행동을 더 선호하는지를 설명해준다. 논의에서는 자기대상화, 자기조절초점 및 사회참여의 관계를 토론하고,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다루었다. Self-objectification is defined as treating oneself as objects. Women view themselves through the perspective of an observer not as a whole existence, but as an usable object (i.e. fac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elf-objectification, self-regulatory focus and social engagement of women. Study 1 (N=160) tested the question whether self-objectification is associated with gender specific system justification and social engag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higher tendency of self-objectific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engagement of female students. In Study 2 (N=90), female students had to indicate a questionnaire for self-regulatory focus. After that, they were instructed to perform a writing task about a cosmetic surgery to induce the state of self-objectification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In addition, they completed survey questionnaires, which were same as those of Study 1. According to the results, higher scores of promotion focus dominance were related to the lower scores of self-objectification and system justification. In contrast, the promotion focus domina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igher tendency of social activism among female students. These results implicated that differences in the regulatory fit may explain the reason why some women in the sexually objectified situation prefer rejecting to follow conventional rules for women and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sm to justifying gender inequality.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regulatory fit theory for better understanding self-objecytification and gender behavior in social context.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방식과 섭식태도와의 관계 : 자기대상욕구 갈망과 회피의 매개효과

        김영미(Young-Mi Kim),한기백(Gi-Baeg Han)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2021 가족과 상담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양육방식의 두 가지 차원인 돌봄과 과보호가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 자기대상욕구의 갈망과 회피가 관여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부모의 돌봄과 과보호가 자기대상욕구를 갈망하거나 회피하는 형태로 섭식태도를 예측하는 심리적 경로를 Kohut의 자기심리학에 근거하여 이론적 경로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서울 지역 소재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382명(N=382)의 자기보고 설문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부모의 양육방식이 자기대상의 갈망과 회피를 완전매개로 섭식태도를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부모 양육방식의 돌봄과과보호가 자기대상욕구의 갈망과 회피를 경유해 섭식태도를 예측하는 경로는 다르게 나타났는데 돌봄은 자기대상욕구의 회피를, 과보호는 자기대상욕구의 갈망과 회피를 각각 매개하여 역기능적으로 섭식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친밀감이 중심인 돌봄이 낮으면 자기대상욕구의 회피는 커졌고 통제와 자율성 침해를 기반으로 한 과보호가 높으면 자기대상욕구의 갈망과 회피가 각각 높게 나타나 섭식태도를 매개했다. 자기대상이 중요해지는 청소년기의 발달특성을 고려할 때 청소년의 섭식문제를 예방하고 치료적 개입을 위해서는 좌절에 대한 욕구 충족으로서 자기대상욕구의 활성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갈망과 회피의 두 가지 자기대상욕구 유형은 상담 장면에서도 다르게 드러나므로 치료적 개입을 위해서도 욕구 유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적 의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 and overprotection of parenting style on eating attitude, and to verify whether hunger and avoidance of selfobject needs has been involved in the process. For this purpose, a theoretical path structure model was set up based on self psychology as a psychological path to predict eating attitude in the form of parental care and overprotection as a hunger or avoiding desire for selfobject needs. Analysis of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of 382 adolescents (N = 382) attending junior high schools in Seoul area showed that parenting style predicted eating attitude with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hunger or avoiding desire of selfobject needs. Parental care and overprotection showed different path in predicting eating attitudes via hunger and avoidance of selfobject needs. Care mediated avoidance, and overprotection mediated hunger and avoidance of selfobject needs, affecting eating attitude in dysfuntional way. When care is low, avoidance of selfobject needs increases, and when control overprotection is high, hunger and avoidance of selfobject needs increases,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 focus on the activation of selfobject needs is needed to prevent eating problem of adolescents and intervene in therapy. Also, since hunger and avoidance of selfobject needs type appear different in counseling setting, needs type should be examined for the interv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follow up research we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 KCI등재

        A Human Need for Relationship and Religious Experience: From a Perspective of Psychology of Religion

        김동영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14 신학논단 Vol.77 No.-

        이 논문의 목적은 ‘관계성을 향한 인간의 욕구’와 ‘종교적 체험’ 사이의 연관성에 대하여 종교심리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건강한 자기(self)는 지탱해 주고 견디어주는 자기대상들(selfobjects)과 나누어질 수 없는 것처럼, 인간은 신적 존재(/하나님)와 분리되어 살아갈 수가 없다. ‘신적 존재와 다른 사람들을 향한 온전한 관계성’으로서의 자기는 신적 존재와의 정감 있는 연대를 지향하며, 아울러 심리적이며 영적인 치유를 추구한다. 자기대상 전이들(selfobject transferences)은 단순히 인간의 성적인 욕구들이나 병리적인 퇴행현상들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온전한 관계성을 이루어 내려는 인간의 욕구들을 가리킨다. 하나님과 인간의 온전한 관계성 안에서, 하나님은 인간을 위한 사랑스러운 자기대상(a loving Selfobject) 혹은 충분히 공감하는 존재(an empathic Being)의 기능을 하신다. 우리가 온전한 관계성—나와 나 자신의 관계, 나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그리고 나와 신적 존재와의 관계—안에 있을 때, 우리는 정감 있는 반응과 정신적인 고양, 그리고 서로 닮아감(/동료의식)을 추구하는 우리의 욕구들(needs)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우리는 하나님의 은총, 하나님의 치유의 능력, 그리고 하나님과의 연합함을 통한 일치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는 우리 자신에 대한 자기 존중감, 응집력 있고 견고한 자기감정, 안녕에 대한 감정, 그리고 공동체성을 느낄 수 있다. 종교적 체험은 우리가 일생을 통하여 자기대상 경험들을 효과적으로 이루어낼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도구이다. 종교적 체험은 우리의 해결되지 못한 욕구들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우리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우리의 (부정적으로) 고착된 과거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성장을 지향하도록 하며, 나아가 우리 자신의 인격의 발달과 건전한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이러한 종교적 체험은 우리 자신들과 신적 존재와의 관계성이 형성되고 재형성되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인즈 코헛의 자기대상 모델은 심리치료와 종교적 체험 사이에서, 또한 심리학과 종교/신학 사이에서 하나의 중요한 다리(bridge)의 역할을 한다. 종교성의 주제와 깊이 씨름하는 동안, 코헛은 그의 연구업적들 가운데 종교적 체험의 주제를 가장 중요한 것들 중의 하나로 간주하고 있다. 코헛은 자기와 자기대상 관계들 속에서 드러내 보여지는 거울 자기대상(mirroring), 이상화 자기대상(idealization), 그리고 쌍둥이 자기대상(twinship/merger)의 경험들을 인간의 종교성과 연관시키며, 관계성을 추구하는 인간의 욕구들을 탐구한다. 어원학적으로, 종교라는 단어가 “서로를 묶는다” 혹은 “서로를 견고하게 얽어매다”라는 의미가 있는 것처럼, 건전한 자기대상 경험들은 인간을 신적 존재와,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재)연결시키도록 혹은 온전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한다. 종교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코헛의 자기대상 모델은 다양한 인간의 욕구들과 다양한 종교적 경험들의 연관성을 이해하기 위한 좋은 도구이며, 현대 사회과학(예, 심리학)과 기독교 전통(예, 신학)을 창조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 논문은 학문 간의 상호 보완적인 대화를 통해 인간의 발달과 영적 성숙의 과정을 적절하게 이해하도록 도움을 주며, 코헛의 자기대상 모델을 기초한 인간의 심리치료와 기독교 영성 이해 ...

      • KCI등재

        자기개념 명확성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자기대상욕구의 매개효과

        서규진,송현주 한국심리치료학회 2022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4 No.2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object needs in the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on relationship addic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men and women, and a total of 260 copies (129 men and 131 women) were used for analysis. As for the research tools, the Self-Concept Clarity Scale (SCCS), Korean Self object Need Inventory(K-SONI), and the Relationship Addiction Questionnaire(RAQ)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self object needs were completely mediated in the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on relationship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 object-hunger and self object-avoidance, which are subfactors of SON, were also examin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elf object-hunger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on relationship addiction, and self object-avoidance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 As such, it can be seen that self object needs is a major variable affecting relationship addiction.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predictable information on factors affecting relationship addiction revealed an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addiction. 본 연구에서는 자기개념 명확성이 관계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대상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60부(남 129명, 여 131명)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도구는 자기개념 명확성 척도(SCCS), 한국판 자기대상욕구 질문지(K-SONI), 관계중독 척도(RAQ)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기개념 명확성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대상욕구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대상욕구의 하위요인인 자기대상갈망, 자기대상회피의 매개효과도 각각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자기개념 명확성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대상갈망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자기대상회피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처럼 자기대상욕구는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예측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계중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보다 넓히고자 시도하였다.

      • KCI등재후보

        Kohut의 자기심리학을 적용한 미술치료사례연구

        문기라,최선남 한국미술치료학회 2005 美術治療硏究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주의가 산만하여 학교생활이 원만하지 않고 자기존중감이 결여되어있는 9세인 남자아동을 대상으로 자기심리학적 미술치료를 적용하였다. Kohut의 자기심리학은 내담자와 치료자와의 관계를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만일 내담자가 치료자로부터 자기대상욕구가 만족되지 않으면 좌절하고 분노하지만 그것이 만족되면 치료가 효과적으로 진행되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치료목표는 치료자가 내담자의 자기대상욕구를 만족시켜 자기구조를 새롭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총 21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응집력 있는 자기가 형성되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자기심리학적 미술치료접근이 치료자의 공감과 내담자 자신의 미술작품을 통해 자기대상욕구를 만족시켜 자기존중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내담자가 미술작업을 통해 자신의 심리적 상처를 교정적, 정서적 체험을 통하여 자기구조화를 새롭게 구축하여 긴장을 완화시켰다. 사전사후 검사인 K-CBCL의 결과를 비교해보면 우울/불안, 사회적 미성숙, 주의집중문제에 큰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Kohut의 자기심리학적 미술치료접근은 내담자를 공감하고 자기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is an art therapeutic case study, using Kohut's self psychology, as to a 9 year old boy who pays less attention, lacks self-esteem, and cannot make his school life smooth or integrated. Kohut's self psychology emphasizes mo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ent and the therapist, in a way that the client will be frustrated and resentful if he can't find his selfobject need in the therapist, while the therapy on the client will be effective and successful if the client's self-object need is fulfill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therapy is to help the client to fulfill his own selfobject need, so as to make the client's self-structure anew. With the therapist's empathy or attuned responsiveness during total 21 therapeutic sessions, the client has been able to establish or structure his own cohesive self to show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elf psychological art therapy through the therapist's empathy and the client's art work helped the client fulfill selfobject need and improve self esteem. Second, art work has enabled the client to experience psychological wounds inside himself correctively and emotionally, which in turn has helped him establish his self-structure anew and alleviate tensi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of K-CBCL indicates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change in the client's depression/anxiety, social immaturity, and attention to concentrate. Thus, it can be claimed that art therapy with Kohut's self psychology turns out to be an effective therapeutic method to provide the client with empathy and improve self esteem. Key Words : Selfobject need, Mirroring selfobject need, Twinship selfobject need, Self este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