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드라마 <쓸쓸하고 찬란하神 도깨비>의 자국화⋅이국화 번역 전략

        최연연,심보경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24 韓中關係硏究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드라마 <쓸쓸하고 찬란하神 도깨비>의 자막 텍스트에 나타난 문화소를 중국어로 어떻게 번역해야 하는지 그 번역 방법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자국화⋅이국화 번역 양상을 연구하는 데 있다. 드라마 <도깨비> 자막의 한국어와 중국어 번역본 텍스트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제적 부등성이 존재하는 문화소 번역에 사용된 자국화⋅이국화 번역전략을 비교 분석한 결과, 언어문화의 호칭어 번역에서는 출발어에 포함된 시대적 배경, 신분 등 문화소가 훼손되지 않도록 이국화 번역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관용어 번역에서는 도착어 문화권에서 사용하는 언어문화소로 대체하는 자국화 번역전략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유희에서는 자막에 주석을 달아 구체화시키는 번역전략을 활용하는 방안과 자국화와 이국화 전략을 적절하게 결합시키는 방안이 문화소의 보존과 전달에 합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물질문화에서는 문화공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자국화 전략을 사용하여 낯선 사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두 문화권에 동일하게 존재하지만 서로 다른 속성과 특성을 보유하고 있는 명칭에 관해서는 이국화 전략을 사용하여 출발어 문화권 사물과의 부등성을 나타내며 의미의 표층적 구조에서 대응되지만 심층적 구조에서 등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함축적인 의미를 명시적으로 드러내는 번역전략이 경제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translation patterns of localization and foreignization through a case analysis of how to translate cultural elements shown in the subtitle text of the Korean drama “Lone and Brilliant God Goblin” into Chinese. After selecting the Korean and Chinese translated texts of the Korean and Chinese subtitles of the drama “Goblin”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ranslation strategies of localization and foreignization used in the translation of cultural elements with actual problems, it was found that it was effective to use an exoticization translation strategy to prevent damage to cultural places such as the background and status of the times included in the ST in translating the titles of language culture, and to replace them with language and culture elements used in TL culture in idiom translation. In language play,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a translation strategy that specifies subtitles with annotations and the appropriate combination of localization and exoticization strategies were reasonable for the preservation and delivery of cultural elements. In material culture, when cultural gaps exist, localization strategies are us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unfamiliar objects, and for names that exist equally in both cultures but have different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exoticization strategies are used to show incompatibility with ST culture objects and respond in a superficial structure of meaning, but it is concluded that translation strategies that explicitly reveal implications are economical if there is no equivalence in a deep structure.

      • 박완서 소설의 중국어 번역본에 나타난 ‘자국화(naturalizing)전략’ 연구

        양레이 지식인문학연구회 2019 지식인문학 Vol.1 No.1

        본고는 박완서 작품의 중국어 번역 출간물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속에 나타나는 번역의 자국화 전략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번 역이 지향해야 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논의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한국의 저명한 여류 문학가인 박완서의 작품은 한중 수교 이래 장편소 설 5편과 단편소설집 2편, 동화집 1편 및 중단편 10편의 소설이 중국어로 번역되어 소개된 바 있다. 일찍이 박완서의 소설은 사용된 언어가 매우 세밀하며, 다루고 있는 소재들도 매우 폭넓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박완서 소설이 지니는 예술적 특징은 번역가들이 맞닥뜨려야 하는 고충이기도 한 데, 본고에서는 박완서 작품의 중국어 번역본을 통해 이러한 예술적 감성 이 어떠한 방식으로 번역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본고에서는 박완서 소설 작품의 번역 과정에서 일어나는 자국화 전략의 양상에 주목하였는데, 이를 정리하면 내용을 첨가하거나 독자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단어를 익숙한 개념이나 단어로 치환하는 경우 그리고 원문의 의미를 설명하듯 풀어서 번역하는 경우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러 한 번역의 자국화 전략은 가독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를 발휘 하였다고 할 수 있지만, 그 과정 속에서 원문의 의미가 훼손되거나 은폐되 는 경우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번역의 미학을 살리기 위해 서는 문화적, 언어적 특징들을 충분히 고려한 번역어 강구의 과정이 필요 할 것이며, 이는 번역 과정에서 끝없이 고민하고 실천해야 할 과제라고 하겠다.

      • KCI등재

        한국에서의 와카 번역사 연구

        박상현(Park, Sang Hyu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6 일본문화연구 Vol.0 No.57

        본고에서는 식민지 시기와 광복 후에 시도된 와카 (和歌) 번역 양상을 번역학의 관점에서 검토해보았다. 우선 식민지 시기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이 기간에 시도된 와카 번역양상은 와카를 시조 형식으로 옮기는 자국화 번역(최남선, 김억)과 와카의 리듬을 준수하여 옮기는 타국화 번역(이광수, 서두수)이 공존하며 경합하는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태평양전쟁기 직전과 전쟁기에는 타국화 번역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한편 광복 직후에 와카를 시조 형식으로 번역하는 자국화 번역(김사엽)이 있기는 했지만, 광복 후 대부분의 번역자는 와카를 타국화로 번역했다. 그런데 식민지 시기에 와카를 타국화로 번역한 배경에는 일본어로 된 원문에 대한 번역자의 존중과 경외가 있었고, 광복 후에는 와카는 정형시라는 것이 있었다. 따라서 언뜻 보기에 두 시기에 시도된 와카의 타국화 번역에는 어떤 공통점도 없어 보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중요한 공통점이 있다. 바로 원문과 번역문 사이에는 위계질서가 있다는 인식, 곧 원문 중심주의가 뿌리 깊게 자리잡고 있다는 것이다.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South Korea, there were two approaches to translating waka. First, there was domestication, in which waka was translated into sijo (Korean poem) form. Second, there was foreignization, in which waka was translated into Korean, in compliance with Korean’s own rhyme. Right before and during the Pacific War, around the time of the national liberation, Kim Sa-yeop translated waka into Korean in sijo form. Since then, however, most translators have preferred foreignizing translations.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foreignizing translation was dominant in waka translation patterns. This was true during the colonial period because of the Pacific War and translators’ respect for the original Japanese-language texts.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there was a fixed form of verse in Japanese. Therefore, at first glance, it would appear that there were no similarities between the foreignizing translations of waka done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those done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However, they actually share an important common feature – a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verse and its translation. In other words, original-text centrism is deeply rooted.

      • KCI등재

        이국화인가 자국화인가

        김영신(Youngshin Kim)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6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3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 folds: first, to investigate the relative dominance between foreignization and domestication in the translation of The Vegetarian and second, to discuss its ramification for the translation of Korea literature in the future. The analysis of The Vegetarian reveals a marked preference and high evaluation for a fluent, transparent, smooth translation. High evaluation for the fluent and smooth translation performed by translator Deborah Smith presents an important question for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should other Korean literary texts be also translated in a target-text reader friendly way? As to such question,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fluent translation should not be a cure-all remedy for translation of Korean literary texts, as the method runs the risk of naturalizing the unique and distinctive features of Korean literature. By way of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proposes the two following points. Nurturing competent ‘Korean’ translators is an equally urgent and important issue considering the huge amount of Korean literature, both classical and modern, not available in foreign languages. Secondly, domesticating translation, a method highly touted in media in the wake of The Vegetarian, should be cautiously approached in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아동문학의 한영 번역전략 연구

        권인경 ( In Kyoung Kwon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2 동화와 번역 Vol.23 No.-

        본고에서는 한국 아동문학이 영어로 번역될 때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적인 차이에 대해서 자국화, 이국화 관점에서 번역 방법들을 고찰해 본다. 그리고 기존에 제시되었던 자국화, 이국화 번역전략들을 종합하여 공통적인 전략들을 기준으로 실제 사례들을 번역본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자국화에 있어서는 번안, 의역, 관용어구 사용, 상위어, 하위어 사용, 대체하기, 풀어쓰기 등의 전략이 있었고, 이국화에 있어서는 직역과 차용 등의 방법이 대표적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방법으로도 설명될 수 없었던 사례들이 있었는데 주로 문장 층위와 관련해서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추가적으로 문장 나누기, 문장 삽입하기, 순서 변경하기 등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전에 사용되었던 번역 전략들은 주로 어휘적인 층위에서 제시되고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어휘뿐만 아니라 구문이나 통사적, 화용론적인 측면에 있어서의 상세한 번역전략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전략이 향후 한국의 아동문학을 영어로 번역하는 번역자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examined translation strategies of the Korean-English translation books by analyzing in four source texts. Based on existing translation strategies, this paper presented overall strategies. Domestication methods include adaptation, liberal translation, idiomatic translation, communicative translation(using hyperonym, hyponym), using culture alternatives, and generalization. Meanwhile, foreignization methods include literal translation and borrowing words or phrases from the source text. However, those strategies could not cover further texts in the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came up with new translation techniques in domestication ways. Considering sentence level, there were included adding sentences, separating sentences, and changing the order of words or sentences. Most of the existing translation strategies focused on the word level, but this case study tried to suggest the new strategies in sentence or syntactic level as well as word level. These strategies might be helpful to translators in English translation of Korean children`s books.

      • KCI등재

        조선전기 新圖像 선묘관음보살도

        정우택 동악미술사학회 2015 東岳美術史學 Vol.0 No.18

        이 그림은 세로 119.2cm 가로 70.9cm이며, 삼베에 붉은색을 전면에 칠하고 황토선 만으로 그린 線描불화로, 현재 일본 가마쿠라시 개인사찰이 소장하고 있다. 보살은 물에서 피어오른 커다란 연잎 위에 앉아 있고 보살의 두광 위에도 전신을 덮은 듯 한 연잎이 크게 묘사되어 있다. 보살은 보관을 쓰고 있으나 아무런 표식이 없어 이것만으로는 보살의 명칭을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이 그림에는 선재동자, 위태천, 정병 그리고 새가 표현되 어 있는 점에서 관음보살도로 보아도 좋을 듯하다. 이 선묘불화는 얼굴의 윤곽선을 가는 먹선과 붉은선으로 그렸고, 특히 정병에는 파도문과 연판문이 그려져 있는 등 고려불화이래의 전통적 표현 기법이 보인다. 또한 천의의 다양한 문양은 16세기 불화들과 아주 유사하다. 따라서 이 불화의 제작시기는 16세기 중반으로 짐작 된다. 이 그림은 현존하는 17세기의 몇 점의 목판본 관음보살도와 도상이 아주 유사하다. 그 가운 데 원광대본과 갑사본은 이 선묘불화의 모본이 되었다고 할 수 있을 만큼 화면구성과 모티프 가 거의 같다. 이 목판 관음보살도는 고려는 물론 조선시대 전기에도 보이지 않는, 즉 전통 도상에서는 전혀 찾아 볼 수 없어 정확한 명칭조차 없을 만큼 한국에서는 특이한 도상이다. 따라서 이러한 관음보살도는 아직까지는 발견하지 못하였지만 중국에서 수용한 도상이라 짐 작한다. 현존 목판본에는 ‘중국본을 바탕으로 하여 판각하였다’라는 제작기록이 적지 않게 남 이 있다. 한편, 목판의 그림은 채색불화 제작에도 영향을 주었다. 일본 혼가쿠지(本岳寺)의 석가탄 생도는 『석보상절』 또는 『월인석보』의 석가팔상도를, 일본 고쇼지(興正寺)의 석가설법도는 일본 사이라이지(西來寺)의 1459년 법화경변상도를 수용하여 불화로 재탄생시킨 좋은 사례 이다. 이 그림은 중국의 도상을 수용하여 적극적으로 채색불화로 재해석, 재탄생시킨, 즉 전통적 인 기법에 의거하여 자국화에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따라서 이 불화는 고려시대는 물론 특히 조선전기 불화의 다양성, 나아가 중국에서 수용된 목판본을 조선적으로 재해석 한, 국내 는 물론 중국에서 조차 찾아 볼 수 없는 아주 귀중한 작품이다. 이 그림은 여전히 일본을 비롯한 해외에 한국의 독특한 도상의 불화가 존재할 것임을 암시하며 적극적인 조사, 연구의 필요성을 재삼 확인시켜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이 그림의 명칭은 우선 ‘蓮葉坐 수월관음도’라 부르고자 한다. This line drawn Buddhist painting(dimensions: 119.2cm × 70.9cm) consists purely of yellow earthen-colored lines made on a red background on a piece of hemp cloth. It is currently kept at a Buddhist temple in Kamakura, Japan. The painting depicts a crowned bodhisattva sitting on a large lotus leaf in water, with another oversized lotus leaf placed above its halo. Although the bodhisattva offers no clue to help us identify its name, it is presumed to be representation of Avalokitesvara based on the illustration of Sudhana, Skanda, a kundika bottle, and a bird in the painting. The face of the bodhisattva is painted with thin black and red lines, while the kundika bottle contains wave and lotus patterns, both of which feature among the traditional techniques of expression handed down from the Goreyo Period(918-1392). As the diverse patterns on the robe worn by the bodhisattva are quite similar to those appearing in 16thcentury Buddhist paintings, this work is accordingly presumed to have been made in the mid-16thcentury. The iconography of this painting is quite similar to those of the few remaining woodblock prints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dating from the 17thcentury. The prints kept at Wonkwang University and at Gapsa Temple feature composition and motifs that are quite similar to the one housed in Kamakura, so it is quite possible that the latter was based on them. These images of woodblock prints of Avalokitesvara are presumed to have been adopted from China, as similar iconography has not been found among traditional paintings dating back to the Goryeo or early Joseon Period. Further, a considerable number of written records on the extant woodblocks indicate that they are made from Chinese woodblocks. Meanwhile, woodblock prints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production of colored Buddhist paintings. The Painting of Buddha’s Birth housed in Hongakuji Temple(本岳寺), Japan is an example of Buddhist painting which has been recreated based on the Illustration of the Eight Great Events contained in Seokbosangjeol and Worinseokbo of Korea. Further, the Painting of Shakyamuni’s Preaching Assembly kept at Koshoji Temple (興正寺), Japan is another example of a Buddhist painting which has been reinterpreted from the Illustrated Manuscript of the Lotus Sutra(1459) from Sairaiji Temple(西來寺), Japan. This painting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is a representative work which has successfully recreated Chinese iconography into a Korean style colored Buddhist painting with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s. Therefore, it is a particularly valuable work of art which was reinterpreted from Chinese woodblock prints and no other similar painting is found either in Korea or China. It also represents the sheer diversity of Buddhist paintings of the early Joseon Period as well as the Goryeo Period. Still, there may be other Korean Buddhist paintings like this work which contain unique iconography in other countries including Japan. In this regard, this painting serves as evidence confirming the need for thorough investigation and continuing research. This paper suggests the title of this work as Painting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Sitting on Lotus Leaf.

      • KCI등재

        외래어의 수용 방식에 관한 한일 대조 연구― 코로나19 관련 용어를 중심으로 ―

        이은조 한국일본학회 2022 日本學報 Vol.- No.133

        This paper examines the acceptance of loan words ​​in Korean and Japanese focusing on terms related to COVID-19. Since loan words are derived from foreign language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how they have been accepted into the native language. This process of acceptance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translation from a foreign language to the native language an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cceptance process was examined using the translation methodology. For the COVID-19 terms, which i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most commonly used terms by government agencies in both Korea and Japan were collected. Furthermore, the COVID-19 terms selected can also be identified in English COVID-19 terms. As research methodology, translation strategies and translation methodology have been presented and the accepted COVID-19 terms in Korea and Japanese were compared with the COVID-19 terms used in English. Results showed that majority of the terms were accepted in Korean as translation of paraphrase, which belong to the domesticating strategy. On the other hand, in Japanese, most of the terms were accepted as mixed translation, which neither belong to domesticating nor foreignizing strategies. The finding of this study reveal the adaptation of COVID-19 terms during the first two years of the pandemic. Thus, further research is needed so as to explore a series of changes in the COVID-19 neologisms over time. 본 연구는 한일 양국의 외래어의 수용 방식을 코로나19 관련 용어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외래어는 외국어에서 비롯된 말이기 때문에 수용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는 외국어를 자국어로 옮기는 번역의 과정과도 비슷하다. 여기에 착안하여 한일 양국에서 사용하는 코로나19 관련 용어가 양국에 어떻게 수용되었는지 번역 방법론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연구 대상인 코로나19 관련 용어는 한일 양국의 기관에서 쓰인 코로나19 관련 용어 중 공통적으로 많이 쓰인 용어를 정리한 후 원어를 확정할 수 있는 용어로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번역 전략을 자국화와 이국화, 기타 전략으로 구분하여 자국화 전략의 번역 방법으로는 의역과 대응역을, 이국화 전략의 번역 방법으로 음역을, 기타 전략의 번역 방법으로는 혼역을 제시한 후 양국의 코로나19 관련 용어를 원어와 비교하여 각 용어가 어떤 전략에 따라 어떤 번역 방법으로 수용되었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양국의 코로나19 관련 용어의 수용 방식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한국어의 코로나19 관련 용어는 자국화 전략에 속하는 의역의 번역 유형으로, 즉, 한국어의 기존 어휘를 활용하여 조어한 용어로 수용되었다. 반면 일본어의 코로나19 관련 용어는 기타 전략에 속하는 혼역의 번역 유형으로, 즉, 외국어를 차용한 어휘와 일본어의 기존 어휘를 조어한 용어로 수용되었다. 이번 결과는 코로나19 관련 용어가 들어온 지 2년이 지난 현시점에서의 결과로 앞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동일 원문에 대한 러시아어와 한국어 번역 사례 비교 분석 - 자국화와 이국화를 중심으로

        이혜승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3 통번역학연구 Vol.17 No.1

        Domestication is the translation strategy in which a transparent style is adopted in order to minimize the strangeness of the foreign text for target text readers. Foreignization is a term used to designate the type of translation in which a target text is produced which deliberately breaks target conventions by retaining something of the foreignness of the original. This article purports to analyze the differences found in translation of the same source text into Russian and Korean from the perspective of domestication and foreignization, which is related to such issues like literal vs. semantic translation, fidelity vs. readability, source text vs. target text oriented approaches. The source text is Lectures on Russian literature, which is written by Vladimir Nabokov and translated into Russian and Korean. Domestication and foreignization is not merely a matter of preserving or changing of the original text, but a way to adopt or resist dominant values in the receiving culture. Concrete routes by which domestication and foreignization theories in late 20th century are evolved, the meaning of this evolvement in translational act would be studied in detail. Further, the differences between Russian and Korean translation would be examined from domestication vs. foreignization point of view.

      • 번안소설의 ‘固有化’ 기법에 대해: 『龍宮赴宴錄』과 『龍宮の上棟』을 사례로

        노자키 미쓰히코(Nozaki, Mitsuhiko),노요한(번역자)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8 동아한학연구 Vol.- No.13

        번안소설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자국화, 혹은 고유화의 기법이 필요하게 되는데, 거기에는 시대배경이나 등장인물의 캐릭터 등의 재설정 외에도 각국 민간신앙이나 설화, 전통적 습속 및 작품을 수용하는 작자가 처한 사회적, 문화적, 혹은 문학적 환경도 중요하다. 왜냐하면 한중일과 같이 문화적 ㄱ반에 공통항이 있으면서도 다양한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그 차이가 미소하게 작품성립에 그림자를 드리우기 때문이다. 본고는 瞿佑의 『剪燈新話』에 수록된 『水宮慶会録』과 그와 함께 번안된 金時習의 『龍宮赴宴録』, 『浅井了意의 竜宮の上棟(むねあげ)』의 사례에 ①용궁으로의 이동수단, ②龍神의 딸의 혼인 모티프, ③三水神의 명칭, ④妖怪・異物들, ⑤胡人採宝譚의 흔적 등에 주목하여 번안소설의 기법에 대해 고찰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번안소설에서의 자국화 기법이 장소나 인물설정에 대해서는 비교적 단순한 것에 비해, 민간전승 등이 관여하면 의외일 정도로 역사적 문화적 깊이를 보이며, 또한 작자의 사회적 존재양상과 문학사적 위치도 작품구성과 문장표현의 선택에 영향을 끼쳐, 그것들이 혼연일체가 되어 새로운 문학세계를 낳음이 분명하게 되었다. 종래 『金鏊新話』연구는 작품의 주제나 독자성이라고 하는 작품론이 주를 이루었지만, 본고는 ‘작품의 구성과 문장표현의 취사선택이 어떠한 문화적 조건 하에 이루어졌는지?’, 바꿔 말하면 ‘작자의 시점에 서면 어떠한 선택지가 존재할 수 있는가?’에 주목한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쌓아나가면 소설기법의 해명이 보다 심화되고, 번안소설의 독해에 새로운 전개를 가져다 줄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For an adaptation, and its accompanied indigenization, resetting of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racter is needed as well as consideration of adopters’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ncluding religion, folk tales and other tradition. Even though Korea, Japan and China shared classical Chinese culture, each country developed their own style and tradition and this made various adaptations of earlier story. This thesis compares 瞿佑’s 「水宮慶会録」in『剪燈新話』with 金時習’s 「龍宮赴宴録」 and 浅井了意’s 「竜宮の上棟(むねあげ)」to find out the techniques of adaptation of a story as follows: ① transportation to the Sea God’s Palace ②the motif of marriage to the Sea God’s Princess ③the names of gods of three rivers [三水神] ④ spirits and monsters ⑤ traces of 胡人採宝譚. As conclusion, while the indigenization of background and character is rather simple, the engagement of folklore incredibly gives historical and cultural depth to the story, and of course the adapter’s social and literary position is also important factor of re-organizing the rewriting the story to be a whole new type of literature.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focused on the themes and originality of『金鏊新話』, this thesis asks new questions. That is, “Which cultural condition bear composition and expressions of the writing?” or “Which choices the writer have?” This approach will help further understanding of fictitious techniques and adaptations of classical stories.

      • KCI등재

        《牧羊哀話》의 시대별 한국어 번역 전략 연구

        문대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1

        《牧羊哀話, 목양애화》는 중국현대문학사상 최초의 한인제재 소설로 알려져 있으며, 저자가 직접 한국을 방문 하고 영감을 얻어 창작한 소설로 유명하다. 《牧羊哀話》의 번역본은 꾸준히 재번역(4종)되고 있다. 이러한 번역본은 시기별 특성도 반영하고 있으며, 활용한 번역 전략도 각기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4종의 번역본을 비 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역은 일제시기 출판된 작품으로 검열을 피하기 위해서 역자의 의도에 따라 일정 부분이 축소, 생략되었으며 이국화 번역 전략을 사용하였다. B역, C역, D역은 많은 부분 자국화 번역 전략을 활용하 여 내용적 등가를 구현해 내었으며,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보충설명을 덧붙여 놓았다. 번역은 의사 소통의 과정이므로 단순히 원천 텍스트를 목표 텍스트로의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작품에 대한 목표어 독자들의 반응 이 출발어 독자들의 반응과 같아야만 한다. 때문에 번역은 시대 환경과 독자층을 감안해야만하며, 가능한 모든 방법 을 동원하여 독자로 하여금 원문을 읽은 것과 같은 감동과 공감을 이끌어내야 한다. 그러므로 번역자는 목표어와 도 착어 국가의 정치, 경제, 역사, 문화 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이)국화 전략은 동시에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Mu Yang Ai Hua, 牧羊哀話》 is known as the first Korean-sanctioned novel in the history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and is famous for a novel created by the author himself visiting Korea and being inspired. The translation of 《牧羊哀話》 is constantly being re-translated (4 types). These translations als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nd the translation strategies used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ur types of transla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ole A was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some parts were reduced and omitted according to the intent of the translator, and a foreignization translation strategy was used. B, C, and D have implemented content equivalence by utilizing many of the localization translation strategies, and added supplementary explanations in part to help readers understand. Since translation is a process of communication, it should not just convert the source text to the target text, but the target reader's response to the work should be the same as that of the reader. Therefore, translation must be able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 of the times and the readership, and it must use all possible methods to elicit the same emotion and empathy as the reader has read the original text. Therefore, translators need to use their nationalization and foreignization strategies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target language and the politics, economy, history, culture, etc. of the destination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