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천지역 협동조합 생존의 흐름과 현안

        김영곤(Kim Young kon)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4 인천학연구 Vol.20 No.-

        우리가 필요한 식·의·주 건강 교육 지속가능성 민주주의 평화 등의 물자 서비스를 스스로 생산·유통·소비하고??경영하며 소유하는 노동조직이 넓은 의미의 협동조합이다. 가정사를 보면 선대 할아버지 할머니는 계 두레 향 약을 운영했고, 아버지는 신용협동조합을 이용했고, 자녀는 협동조합을 이용하며 협동조합의 명맥을 잇는다.??그러나 협동조합은 일제와 해방이후 독재의 억압으로 활발하지 못했다. 2012년 협동조합기본법을 제정했다. 협 동조합을 널리 확산해 사회적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전환점이다. 인천항 인천공항이 인천 산업에 영향이 크다. 산업화 시기에 섬유 전자 기계 제철 산업이 활발했다. 지식사회에??들어와 항만 공항의 물류산업 관광 전자산업이 활발하며 고용이 줄었다. 인천지역에서 수명이 늘어나면서 퇴직 한 베이비부머 세대, 경력이 단절된 여성노동자 그리고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청년에게 일자리 마련에 협동조 합의 역할을 기대한다. 인천지역에서 개항 이래 부두노동조합, 인천신용조합(1911), 해방 전후 조봉암의 협동조합 사상, 대성목재노동 조합 소비조합(1956), 1987년 이후 공동육아, 푸른두레소비자생활협동조합(1993), 인천평화의료생협(1996), 키 친아트(2005), 기본법 제정 이후 협동조합의 활성화(2013)가 대표적인 협동조합이다. 2012년 기본법 제정 이후??79개를 조직했다. 기존 협동조합의 운영을 개선하고 새로 조직한 협동조합을 살려야 한다. 이들의 협의체를 바탕으로 협동조합의??협동조합이 인천의 사회적 경제를 설계 운영해야 한다. 협동조합은 조합원 민주주의를 넘어 종사 노동자의 근 로조건을 개선하는 민주주의까지 나가야 한다. 청년에게 협동조합을 교육하고 대학마다 생협을 조직해야 한다.??금융협동조합을 조직할 수 있도록 협동조합기본법을 개정해야 한다. 노동조합은 기업별 조합주의에서 사회적??조합주의로 전환해야 하지만, 대외의존도가 높은 경제 구조에서 쉽지 않다. 오히려 협동조합은 노동조합원에??비해 상대적으로 임금이 낮은 비조직 노동자에게 더 매력적이다. 동북아에서 협동조합의 국제연대를 한국 일본 에서 중국을 포함하는 쪽으로 확대하고, 세계연대의 시각에서 생각하고 실천한다. We need materials & service to fulfil the needs of the foods, clothing, house, health, education, democracy??and peace to live. This working organization of self-management of production, distribution, consumption??and labor-owned cooperative is the broad sense of the cooperative. In the history of our home,??grandparents operated the Gye, the Dure and the Hyangyak-the old cooperative system of Chosun??Kingdom Era. Parents took advantage of credit unions and child used the cooperative, following in the??footsteps. However the cooperative was not active due to the oppress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and??dictatorship of Korea. The Cooperative Framework Act was enacted in 2012. It is a good opportunity to??widespread the cooperatives & improve the social economy. The Incheon Port and Incheon Airport have had a big influence on the industry of Incheon City. In the??industrial era, the fiber, electronics, machine, steel industry were active. In the knowledge society, the??logistic industry of port and airport, electronic industry and tourism are active but employment has declined.??The cooperatives are expected to play a major role to help baby boomers early retired due to life extension,??career women disconnected with jobs and youngers difficult to seek jobs find jobs. The Incheon Port Union since 19th century, the Incheon Credit Union(1911), the cooperative theory of Cho??Bong-am, the Consumer Union of Dae-sung Timber Union(1956), cooperative child care after the 1987 Great??Revolt, the Green-Dure Consumer Cooperative(1993), Incheon Peace Medical Consumer Cooperative(1996),??Kitchen Art(2005), active cooperatives after the Cooperative Framework Act(2013) are representative??Cooperative in history. 79 cooperatives were organized since 2012 enactment of the Cooperative Framework??Act. For the development of cooperatives in Incheon area, We should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existing??cooperatives and have to save the newly organized cooperatives. Based on the Cooperative of??cooperatives, we should redesign regional cooperatives and operate the social economy of the city. The??democracy of Cooperative members and the democracy of workers employed in Cooperative should be??established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Cooperatives should educate the youth and organize the??consumer cooperative for each college. The Cooperative Framework Act should be amended to allow the??financial cooperative to be established. The workers union should be switched from company union to the??social unionism, but it is not easy under an export-driven, import-dependent economy of South Korea.??Rather it is attractive to the un-organized workers because whose wage are lower than unionist. The??cooperatives solidarity in the Northeast Asia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China in the South Korea- Japan solidarity and think & act with the viewpoint of world solidarity.

      • KCI등재

        인천문화관광 활성화를 통한 지역문화의 공고화

        정정훈(Jeong Jeong-hun)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1 인천학연구 Vol.35 No.-

        본고는 인천시의 문화와 지역정체성을 공고히 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천시 문화관광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인천시에 위치한 다양한 문화자원의 관광상품화 가능성을 모색하고, 이를 추동하는 일련의 정책방향과 추진 체계를 제시한다. 복지와 문화정책, 문화예술과 교육사업, 관광산업 등은 문화 분야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다. 특히 문화관광은 여러 분야와 융합 가능한 다양성이 있고, 이는 인천의 지역정체성을 공고히 하고 나아가 지역의 문화재생산과 경제발전의 동력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인천시의 다양한 역사문화자원과 문화예술자원의 분석을 시도했고, 이를 통해 인천시의 문화관광 정책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했다. 인천시 문화관광 정책의 방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시의 다양한 문화자원이 가진 역사성과 지역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고, 이를 토대로 인천문화자원 콘텐츠 육성 및 현대적 재창조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인천의 문화관광 활성화의 정책방향은 문화적 도시재생 뉴딜정책이다. 셋째, 인천시가 가진 지리적 이점의 활용을 위해 국제문화교류 네트워크 확장 및 증진이 필요하다. 문화관광 활성화는 본고의 주요 연구주제인 지역정체성 공고화의 선행조건이며, 향후 정책의 방향성과 관련 사업의 근간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a plan to revitalize Incheon’s culture tourism as a way to solidify the local identity of Incheon. Also through the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of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located in Incheon city. It presents a series of policy directions and implementation systems in this regard. Cultural tourism has the potential to converge with various fields such as welfare, cultural policy, and cultural arts. It can be used as a plan for regional cultural reprodu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by consolidating the region identity of Incheon.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various cultural resources of Incheon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Incheon’s cultural tourism policy. In the e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vitalization of cultural tourism in Incheon can firmly establish a local culture, and it can become a stepping stone for tourism growth. It presents the direction of Incheon"s cultural tourism policy.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the content suitable for the modernity of Incheon cultural resources. Second, the policy direction for revitalizing cultural tourism is the New Deal for Cultural Urban Regener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network. However, this study is a declarative article for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identity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cultural tourism. Follow-up studies on the issues presented in the text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

        Smart Water Grid 기술 도입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물 정책 개선방향 연구 : 인천광역시 물 시범도시 사업을 중심으로

        변성준,정재광,최계운,장동우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3

        인천광역시는 한강의 하구에 위치하며 수원으로 활용 가능한 하천이 없어서 먹는 물이 귀한 지역으로, 수십 킬로미터 떨어진 수원지로부터 관로를 설치하여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다. 인구 270만 명의 인천광역시는 해안도시이기 때문에 한강 본류의 상수원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여건으로, 한강 원수의 공급을 전제로 인천광역시가 존립할 수 있다는 자연적인 여건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과 물 정책에 대한 국내외 추세를 분석하여 물 시범도시로 선정된 인천광역시의 물 정책에 대한 발전방향을 제언하고, Smart Water Grid 기술 도입을 위한 물 정책 방향을 모색한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물과 물 정책에 대한 중요성과 국내·외의 현황을 파악하고, 인천광역시에서 현재 시행 중인 물 정책을 분석하여 각 항목별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인천광역시의 물 정책 범위로 제시한 항목은 상수도, 하수도, 하천, 해양 등으로 먹는 물과 하수, 중수도와 하수처리수의 재이용, 하천관리와 빗물관리, 해양환경과 해수담수화 및 해수온천 등 광범위한 영역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항목별로 여러 가지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인천광역시의 물 정책 추진방향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인천광역시에서 보다 주안점을 두어야 할 부분이 물 정책 체계와 대체수자원 활용, 하천관리 등에 대한 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 정책 체계의 발전을 위하여 정책의 일원화와 물 절약 정책화에 대한 부분을 강조하였다. 대체수자원 활용에 대한 단계적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됨에 따라 인천광역시에서 활용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하천관리에 대해서는 중장기 발전방향을 제시하여 관리의 선진화와 하천관리 사업소의 설치, 하천정보관리의 선진화 등에 역점을 두도록 하였다.

      • KCI등재후보

        인천광역시 공적개발원조(ODA)에 대한 인천지역 대학생 인식조사

        이경선,김주현,한성민 (재) 인천연구원 2016 도시연구 Vol.- No.10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중 공적개발원조 예산규모가 큰 인천광역시에서 집행하는 ODA에 대한 인천소재 대학생들의 인식을 다루었다.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바탕으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혼합하여 상호보완적인분석을 시도하였다. 인천시 ODA에 대한 인식과 태도, 효과성, 참여, 과제및 발전방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절반 이상이 인천시 ODA를지지하고 있었으나, 향후 인천시 ODA에 대한 참여의향은 거의 비슷하게나타났다. 대부분 인천시 ODA를 잘 알지 못하는 가운데 관련정보에 대한접근마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인천시의 SNS를 활용한 정보공개 및 소통의 노력이 필요하며, 대학생들의 관심과 전공에 따른 맞춤형 참여 프로그램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개발원조의 근본 취지를 기반으로 인천시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지역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인천시가 대학생들의 ODA에 대한 인식과 참여를 높이기 위한 정책방향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의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aims to find the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 on Incheon ODA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Incheon city is one of the important Korean local governments, which implement development assistance. We found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supported Incheon ODA and they were interested in taking part in the Incheon ODA programs almost alike. The majority of students in Incheon region were unaware of Incheon ODA and responded that it was difficult to get any information about it. We suggested that Incheon should utilize Incheon SNS to encourage the undergraduate students’ recognition and participation. It is necessary to tailor ODA programs to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eir interests and majors.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cheon should increase the positive impact on the region while not forgetting the fundamental purpose of ODA.

      • KCI등재후보

        인천해전의 선택적 기록과 목적적 기억

        장윤이(Jang, Yun-i)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1 인천학연구 Vol.15 No.-

        1904년, 열강의 극단적 경쟁지 인천에서 발발한 러일전쟁은 실질적으로 대한제국의 지배권을 둘러싼 제국주의 전쟁이었다. 전쟁을 원치 않았던 대한제국은 중립국 선언을 했지만 인천에서 1904년 2월 8~9일에 발발한 인천해전을 시작으로 전쟁의 소용돌이에서 빠져 나올 수 없었다. 결국 대한제국은 러일전쟁 시기 내내 중요한 격전장이 되어 막대한 인적?물적 피해를 입고, 전쟁의 결과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 최대의 희생양이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의미가 있는 러일전쟁의 서막인 인천해전을 러?일 양국은 각자의 방식으로 기록하고 과거부터 현재까지 기억해오고 있다. 러·일 양국은 공통적으로 인천해전을 기억함에 있어 자신들의 전쟁을 합리화시키기 위해 기록을 선택하여 은폐하고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선택적 기록을 바탕으로 일본은 자신들의 승리를 잊지 않기 위해 일제시기 내내 다양한 방식으로 기억?기념해왔다. 한편, 패배한 러시아 병사들은 고국으로 돌아가 용기와 희생을 상징하는 영웅이 되어 1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러시아 국민에게 애국심의 아이콘이 되었다. 그리고 이들의 기억은 최근까지 인천지역사회 내에서 사회적 문제로 등장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양국의 기억과 기념에는 대한제국과 한국인에 대한 기억은 부재되어 있다. 하지만 필자가 생각하는 더 큰 문제는 한국인 스스로도 인천해전이라는 역사적 사실에 대하여 인식조차 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인천해전에 관한 러?일 양국의 전개과정의 선택적 기록과 전쟁에 관한 목적적 기억 방식에 대하여 논하고, 현재 한국인에게 망각되어있는 인천해전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인식시키고자 한다. In 1904, Russo-Japanese war was an imperialism war which broke out in Incheon, an extreme competitive area between the powers. Even though Korea Empire did not want the war and claimed neutral declaration, it could not come out of a maelstrom of was started from Incheon naval battle which broke out on 8th to 9th of February, 1904 in Incheon. Finally, Korea Empire got damaged to huge human resource and physical resources and became a worst victim as there sult of becoming a colony of Japan. Incheon naval battle which was the beginning stage of Russo-Japanese war has been viewed in a different way from Russia and from Japan and recorded in their way. The both countries of Russia and Japan have differently selected and hidden the record in order to make it useful to each of them. Japan has commemorated its victory in various ways in the Japan Empire era. On the other hand, Russian soldiers who were lost and came back to their country became heroes symbolizing of courage and sacrifice and the icon of patriotism over 100 years. In addition, their memory has appeared as a social issue in the Incheon community until the latest. There was no memory about Korea Empire and Korean in memories and commemoration of those two countries. However, I think it is the worse problem that Korean themselves do not even recognize about historical facts of Incheon naval battl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mention about selective recording and purposive memory of the war in the different view from Russia and from Japan. Furthermore, I would like to make recognition of historical value in Incheon naval battle which has been forgotten to Korea.

      • KCI등재

        인천항의 전쟁 피해와 전후 복구사업의 전개

        박광명 숭실사학회 2021 숭실사학 Vol.- No.46

        근현대 인천항은 국도의 관문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미군정기와 한국전쟁기를 거치며 미군과 UN군이 직접 관리하는 항구로 분류되면서, 인천항의 전후 복구와 개발은 일정 부 분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더불어 기존의 역사를 반영하듯, 근현대 인천항의 역사 서술들은 대부분 1950년대의 전후 복구와 개발이라는 측면에 대해 제대로 분석하지 않고 있다. 본고는 그간 소외 받아왔던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 인천항의 전후 복구와 개발의 역사를 복원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인천항은 수도 서울로 향하는 국도의 관문으로, 부산항에 이어 한국을 대표하는 대표적 항 구였다. 특히 인천항은 수도 서울 점령을 최우선으로 한 미군의 진주 공간으로, 해방 이후 미군 이 가장 먼저 진주했던 곳이었다. 일제강점기 제2차세계대전의 영향으로 항구로서의 역할이 축소되 었던 인천항은 미군정의 수출입 통로로 활용되었고, 정부 수립을 전후로 해서는 원조 물자의 수입 창구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한국전쟁으로 인해 인천항은 항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였고, 전쟁 이 후 항만 복구 계획에 대한 논의와 계획이 1950년대에 지속되었다. 본고는 1·4후퇴 당시 인천항의 항구로서의 기능이 상실되는 과정과 전후 복구 과정에 대해 자 세히 살펴봄으로써 본격적인 개발연대기 이전 인천항의 복구 과정을 복원하였다. 더불어 1950년대 인천항이 ‘개발’이 아닌 ‘전후 복구’에 초점을 맞추어 항만 개발이 진행된 배경과 과정에 대해 살 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격적인 인천항의 발전 이전 시기, 전쟁 피해를 복구하던 인천항의 모습을 역 시 다시 복원하고자 한다. 1950년대에도 인천항은 중요 물자의 수입을 통한 국도 관문으로서의 역할을 계속하였고, 해당 시기 계획된 장기 항만 운영계획은 이후 인천항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Modern Incheon Port was an important gateway to national capital. However, as it was classified as a port directly managed by the U.S. and UN forces through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Korean War, the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 of Incheon Port was bound to be restricted to some extent. In addition, reflecting the existing history, most of the modern Incheon Port's historical descriptions don’t properly analyze aspects of postwar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 in the 1950s. This article aims to restore the history of post-war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 of Incheon Port in the 1950s a fter the liberation that had been neg lected. Incheon Port was the gateway to the national road to the capital, Seoul, and was the representative port of Korea after Busan Port. In particular, Incheon Port was the occupied space of the U.S. military, which prioritized the occupation of Seoul, the capital, and was the first place where the U.S. military stationed after liberation. Japanese colonial era Incheon Port, whose role as a port was reduced due to World War II, was used as an export and import channel for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was used as an import channel for aid supplies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However, due to the Korean War, Incheon Port lost its function as a port, and discussions and plans for port rehabilitation continued in the 1950s after the war. This article restored the rehabilitation process of Incheon Port before the fullfledged development solidarity by taking a closer look at the process of losing its function as a port of Incheon Port at the time of the Reds Marched(1·4후퇴) and the post-war rehabilit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port development in the 1950s focused on ‘post-war rehabilitation’ rather than ‘development’ in Incheon Port.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restore the appearance of Incheon Port, which had been recovering from the war damages before the fullscale development of Incheon Port. In the 1950s, Incheon Port continued to serve as a gateway to the capital through the import of important materials, and the long-term port operation plan planned for that period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Incheon Port later.

      • KCI등재

        인천시의 남북교류협력 사업에 대한 법제도적 이해

        이준한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1 인천학연구 Vol.34 No.-

        It has passed more than 15 years since the City of Incheon directly launched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The City of Incheon has worked on economic cooperation, sport exchanges, civic activities, humanitarian cooperation, and others between the two Koreas. This piece aims to expand the understandings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City of Incheon ever since 2004. The legal basis of the city’s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has been provided by the related acts of the National Assembly. This regulates what the city must and can do for the cross-border cooperation, and how. As a matter of fact, the passages, amendments, and abolitions of the related acts of the National Assembly have important impacts on the city’s roles and scopes in the inter-Korean business. Surely, the changes in the legal frameworks related to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have been greatly affected by the political and even military environments posed on the Korean peninsula at that moment. Thus, this essay traces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related acts across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s.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s the related Incheon City’s ordinances. The passages, amendments, and abolitions of the related Incheon City’s ordinances tend to follow the passages, amendments and abolitions of the related acts of National Assembly. Surely, enacting Incheon City’s ordinances is usually influenced by the political dynamics of the mayor, city councilors, and civic activists. These law making processes are well captured by the new institutionalism in the discipline of political science. Thus,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related City ordinances and organizations from a socio-historical perspective. The City of Incheon is expected to maximize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future. To this end, the City of Incheon will have to prepare for a better legal institutional framework. Furthermore, the City of Incheon is also expected to raise the inter-Korean cooperation fund to promote the various inter-Korean peaceful activities. 인천시가 직접 남북교류협력 사업을 추진한 지 벌써 15년이 넘어간다. 인천시는 2004년부터 직간접적으로 경제적 협력, 스포츠 교류, 시민사회단체 활동, 인도적 지원 등의 영역에서 다양하게 남북교류협력을 추진했다. 이 논문은 2004년 이래 인천시가 남북교류협력 사업을 추진하도록 가능하게 했던 법적, 제도적 장치에 대하여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인천시가 남북교류협력 사업을 추진하는 법적인 근거와 인천시의 책임이나 사업의 범위는 바로 국회를 통과한 법률로부터 출발한다. 사실 국회에서 제정된 남북교류협력 관련 법률이 만들어지고 고쳐지며 또 없어지고 새로 제정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그때마다 인천시의 남북교류협력 관련 사업에 있어서 구체적인 방법이나 범위가 영향을 받아왔다. 물론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남북 사이에 새롭게 조성된 정치적이고 군사적인 환경이 자리를 잡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국회를 통과한 남북교류협력 관련 법령의 특징과 의의는 물론, 그 시대적 맥락을 함께 짚어나간다. 그리고 이 논문은 인천시가 추진하고 인천시의회를 통과한 남북교류협력 관련 조례도 살펴본다. 인천에서 관련 조례가 만들어지고 바뀌며 또 사라지고 새로 만들어지는 과정은 국회의 관련 입법과정에 적지 않은 영향을 입는다. 물론 인천의 관련 조례는 인천시장과 시조직의 책임과 사업의 범위를 규정하는 한편, 인천시장과 관련조직은 정치적 환경과 인천시민 또는 시민사회단체의 요구를 반영하여 관련 조례를 고치거나 새롭게 만들며 조직의 위상을 재조정하기도 해왔다. 따라서 이 논문은 인천시의 남북교류협력 관련 조례와 조직에 대한 특징과 의의에 더불어 시대적 맥락도 고려할 것이다. 인천은 앞으로도 남북교류협력 관련 법제도를 더욱 합리적으로 준비하기 위하여 정비할 것은 정비하고 필요한 것은 더욱 적극적으로 새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인천시는 남북교류협력이 국내외적인 정치상황으로 인하여 어려워질 때에는 더욱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동시에 남북협력기금을 확충하여 미래를 대비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인천 문화 관련 연구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김태훈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2 인천학연구 Vol.37 No.-

        본 연구의 목적은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분석 방법에 기반하여 키워드 간의 관련성에 초점을 두고 인천 문화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 변화 양상을 살펴보면서 향후 인천 문화 관련 연구의 발전 방안을 논의하려는 것이다. 인천 문화 관련 연구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 대해 소개한 후, 연구의 동향을 보다 체계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기초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병행하였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과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서 제목에 ‘인천’, ‘문화’가 포함된 학술논문, 학위논문, (학술)단행본 491편을 대상으로 NetMin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세가지 중심성 지표와 키워드의 하위 그룹 양상을 Spring Map과 LDA 기법으로 구현하여 유형별 및 기간별 핵심 키워드의 양상과 주제 집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968년에 처음 등장하는 인천 문화 관련 연구는 꾸준히 증가해 오다가 2008년을 기점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 기간에 모든 유형의 분석대상에서 키워드 출현빈도는 ‘도시’, ‘예술’, ‘역사’, ‘문화재’, ‘공간’, ‘근대’ 등의 키워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개발', '공간', '도시', '문화유산', '문화재', '유적', '지구' 등 7개 키워드가 세가지 중심성 상위 20위 안에 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인천 문화 연구의 동향을 특징짓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 볼 수 있다. 인천 문화 관련 연구동향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볼 때, 연구의 주제가 점차 다양해지면서 집단별로 집중화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주제별로 집중화, 전문화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인천 문화 관련 연구의 양적, 질적 성장을 견인하는 최근 연구동향이라는 점에서 유의미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인천 문화 관련 연구가 지금까지 어떠한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는지를 계량적으로 파악하여 향후 연구되어야 할 주제와 방향을 탐색할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인천 문화의 발전과 관련하여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인천 및 문화 계열의 종사자나 이용자들에게도 유의미한 방향을 제시하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한국의 과학문화 확산에 관한 연구 : 인천의 8구·2군을 중심으로

        한기순,이영란 한국국회학회 2023 한국과 세계 Vol.5 No.5

        본 연구는 과학문화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 정책 추진을 목적으로 인천지역 과학문화의 특성을 파악하고 확산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네이버 지도 내 등록된 인천지역의 구조물을 탐색하고 인천광역시 홈페이지 및 인천지역 8개의 구, 2개의 군을 대상으로 구·군청 공식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인천 8구·2군의 지역별 과학문화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인프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천지역 8구·2군의 인프라 유형은 역사적 가치를 담은 박물관이 가장 많았으며 체험장, 연구소, 공단에서 조성한 공간, 교육센터, 과학관, 공원, 기업에서 운영하는 공간 순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기업에서 운영하는 과학문화 공간이 가장 적은 실정이며 이러한 인프라는 서구, 중구, 연수구에만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천지역의 구・군별 과학문화 인프라의 격차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인천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발전해 왔기에 지역의 고고학적 자료, 역사적 유물, 예술품 등의 역사 문화에 관한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으며 지리적으로도 서해와 인접하고 한강의 하류에 위치하여 168개의 크고 작은 섬과 한강과 서해로 유입되는 작은 하천, 산 등 인천만의 특화된 풍부한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천의 다양한 문화적 또는 지리적 특성의 자원을 체계적으로 구분하고 연계함으로써 인천광역시만의 특화된 과학문화 인프라 자원을 활용하고 과학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cheon culture and the degree of spread of science culture for the purpose of effective policy promot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science culture. For this purpose, structures registered on Naver Map were searched and using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official website, the infrastructure that can contribute to the spread of science culture by region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type of infrastructure in Incheon area's 8 districts and 2 county was the most in the form of museums, followed by experience centers, research institutes, spaces created by industrial complexes, education centers, science center park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spaces operated by companies was the smallest and concentrated only in Seo-gu, Jung-gu, and Yeonsu-gu. However, Incheon has been developing since the Paleolithic. As a result, infrastructure related to historical and culture such as archaeological materials, historical relics, and works of art has been established. Geographically, it is adjacent to the westem sea and located downstream of the Han River, so it has 168 large and small islands, small rivers and mountains flowing into the Han River and the westem sea.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systematically classify and link Incheon's resources of various cultural or geographic characteristics to utilize Incheon Metropolitan City's unique scientific and cultural infrastructure resources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cientific culture enjoyment.

      • KCI등재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나타난 인천시 유권자의 투표 참여

        이재철(Lee, Jaechul)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6 인천학연구 Vol.25 No.-

        본 논문은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마치고 실시한 여론조사를 사용하여 인천시 유권자의 투표 참여를 분석하였다. 민주화 이후 인천시의 투표율이 전국의 평균 투표율보다 높았던 선거는 한 번도 없었다. 수도권의 다른 지역과 비교하는 경우도 항상 낮았다. 논문은 인천시의 투표율이 타 지역보다 끊임없이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주제와 관련된 연구가 많지 않았다는 사실로부터 출발하였다. 본 논문은 인천시 유권자의 행태를 서울시, 경기도의 유권자와 비교하였다. 이들은 비슷한 정치문화를 지니고 있을 것이라 예상했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시 유권자는 서울시, 경기도의 유권자보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표현하였다. 그러나 정치적 효능감은 반대의 모습을 나타냈다. 세 지역 가운데 인천시 유권자의 정치적 효능감은 가장 낮았다. 둘째, 지지하는 정당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뿐만 아니라 투표를 의무라고 응답한 비율 및 지난 두 차례의 선거에서 투표에 모두 참여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세 지역 가운데 인천시가 가장 낮았다. 셋째, 수도권 세 지역 가운데 인천시 유권자는 중앙정부의 국정운영에 대하여 가장 비판적이었고, 평가의 강도도 가장 높았다. 넷째, 수도권에서 투표 참여의 결정 요인은 지역별로 다른 모습을 나타냈다. 인천시의 경우 서울시, 경기도와 다르게 시민적 의무감과 연령은 투표 참여를 결정하는 요인이 아니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voter’s behavior in Incheon by utilizing the survey data conducted after the 19th General Election in South Korea. Since democratic transition in Korea, Incheon’s turnout has been lower than national turnout over time. In addition, it has been always lower than other regions in metropolitan area. However, little systematic effort has been made to analyze the voter’s behavior empirically in Incheon. The finding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paper reveals that voters in Incheon are more interested in election than other regions of metropolitan area. However, the city shows the lowest level in political efficacy. In addition, people in the city show the lowest level in party identification, civic duty, and voting experience in metropolitan area. Second, voters in Incheon are the most critical about the government and the evaluation magnitude is the highest. By utilizing the survey data, third, this paper reveals that determinants of voting participation are various across the regions in metropolitan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