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대학의 인문예술 융합교육 실태연구

        이희용(Lee Hee-yong),윤아영(Yoon Ah-young),김재득(Kim Jae-deunk)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44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대학 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인문융합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우선 인문예술 융합교육과 관련된 기존의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인문예술 융합교육의 현황과 실태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가 아직은 체계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지 않은 점을 확인하였다. 이런 확인과 함께 본 연구에서는 국내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인문예술융합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전반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시된 자료를 전체 대학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을 뿐만 아니라, 인문학 및 예술 분야 융합교육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그룹심층인터뷰 조사를 선행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문헌연구를 통해 접근할 수 없었던 융합교육의 현장에 대한 다양한 차원의 실제적인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다른 하나는, 그 결과를 기반으로 설문조사를 작성하여 국내 대학에서 실행되고 있는 인문예술 융합교육의 교육여건과 교육환경의 세부실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것으로부터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의 인문예술 분야에서의 융합교육은 많은 우려와 반대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학 내에서 인문예술 융합교육의 적절한 자리매김과 활성화 방안을 위한 지속적인 논의들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an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esent state of humanities and arts convergenc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that only dealt with narrow topics, theoretical reviews, presentation of models, or curriculum designs, this research widely scrutinizes overall educational practices in Korean universities. At the outset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humanities and arts convergent education and forward education of creative thinking is reviewed. It is confirmed that theoretically refined outcomes of the meaning and need of convergent education in the fields of humanities and arts are still insufficient, and that existing empirical research is limited to the mere introduction of institutional and curricula models of convergent educ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began with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specialists in interdisciplinary and convergent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arts, and applied its results to the consultation of the survey on the view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convergent education program in the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 that humanities and arts convergent education has been practiced in various types and curriculums. However, they also indicate that there are several things that should be improved upon for the educational quality in this area, including teachers' professionalism, content development,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eachers and students engaged in convergent education. This research has been designed to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ituation of convergent education, an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further discussion about its direction and future policies.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의 맥락에서 인문정신문화와 무용교육의 융합적 접근 모색

        김은혜(Kim, Eun-Hye),윤정옥(Yoon, Jeong-Ok),이지영(Lee, Ji-You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5 No.-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의 맥락에서 인문정신문화와 무용교육의 융합적 접근을 모색하고 앞으로 무용인문학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인문학과 예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예술교육 현장에서 활용되는 무용인문학의 개념을 고찰하고 그동안 수행되었던 인문학과 문화예술 융합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무용인문학은 사람들이 문화예술로서 무용을 향유할 수 있도록 돕고 더 나아가 다른 문화와 사회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무용의 인문학적 지식 습득을 고려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무용과 인문학을 융합한 프로그램은 무용교육과 인문정신문화의 상호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사회문화예술교육 맥락에서의 전 생애를 위한 무용인문학적으로 접근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future dance humanities education of the humanities and culture and dance education in the the contex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concept of dance humanities was considered to develop dance-orien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where the importance of humanities and arts is emphasized, and the education program of humanities and culture and arts convergence that has been carried out in the meantime was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suggested that many dance humanities can acquire humanistic knowledge of dance so that many people can enjoy dance as a culture and arts, and that a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it is necessary. Secondly, the necessity of dance humanities education program was suggested for adults. Thirdly, it propose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academic concepts and models, not simply providing dance activities and the contents of humanities.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인문융합예술교육 모형 제안

        장혜진(Jang, He jin),조유진(Cho, Yu j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3

        본 연구는 미래사회의 대안으로 새롭고 발전적인 문화예술교육이 시도되어야할 필요성에 의해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인문융합예술교육의 다각적이고 융합적인 교육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또한 인문학과 예술장르별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시감각적 표현, 소리와 박자·리듬의 음악적 표현, 움직임을 통한 신체적 표현활동, 문해력(文解力) 중심의 언어적 표현활동이 가능한 구조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설계한 교육모형을 기반으로 16시간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서울소재의 6개교의 중학교 1학년 150명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융합예술교육 LAVM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만족도 항목에서는 대부분이 매우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인문학과 예술 통합과정의 프로그램이 자아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본 프로그램의 모형 연구를 통하여 인문학과 각 장르별 예술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규명하고 인간의 전인적인 발달을 위한 교육 방법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인문융합예술교육 모형연구는 인문학과 예술학문간의 통합적이고 고차원적인 사고역량문화예술교육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인문융합예술교육 모형을 기반으로 양질의 문화예술프로그램이 연구되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was initiated by the need for a new and advanced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o a futur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ultidisciplinary and convergent teaching model of liberal arts and arts education. We also designed a structural model that enables visual expression of the senses, musical expression of sound and rhythm,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movement, and language activities centering on literary and artistic fiel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to October 2018, and based on the educational model designed, a 16-hour education program was organized for 150 middle school students in six middle schools in Seoul.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programs developed based on the LAVM model for humanities and arts education showed very high satisfaction. Second, we could see that programs in the humanities and art integration courses could positively affect self-consciousness. Third, through the model study of this program, w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humanities and art in each genre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methods for the whole development of human beings. It is expected that such a model study of humanities and arts education will provide integrated and high-level thinking,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between humanities and arts. Based on the humanities and arts education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we hope that high-quality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will be studied and developed.

      • KCI등재

        디지털 시대 예술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위한 탐색적 연구

        임미혜,진은영 한국문화교육학회 201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3 No.4

        Rapid progression into a digital society in the 21st century has meant that the center of discourses regarding future education has shifted towards digital literacy and capabilities. Indeed, the strong preference shown by Generation Z toward new media indicates the emergence of completely different ways of social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 than ever before. This study proposes ‘Arts with Humanities in Education' as one of the arts education discourses with the capacity to efficien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iteracy and relevant capabilities for a digital era. The notion of ‘Arts with Humanities in Education' inherits and furthers the discourse of Martha C. Nussbaum, who emphasizes the liberal arts education as a crucial part of future education. Following on from this, this study argues ‘Arts with Humanities in Education' aims toward the realization of “imagination of praxis” through the signification of arts activities that are characterized by dialogic aesthetic experiences.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analysis toward new directions for arts education in a digital era, this study reviews an exemplary of “Arts Together,” a program that has been organized and successfully implemented in 2018 by SFAC(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as part of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across 103 middle schools in Seoul,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rts with Humanities in Education' as a new practice of arts education in school. 21세기 디지털 사회 진입이 가속화하면서 미래교육의 중심 담론이 디지털 리터러시 및 핵심역량 교육으로 향하고 있다. 특히 현재 디지털 Z세대로 불리는 어린이ㆍ청소년 세대의 뉴미디어 선호는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다른 사회적 상호작용과 소통방식을 예고하고 있어 디지털 환경에서 필요한 리터러시 이해에 기초하여 교육적 접근이 달라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예술교육 담론의 하나로서 ‘인문예술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인문예술교육’은 미래교육의 핵심으로 인문학과 예술교육을 강조한 Martha C. Nussbaum의 인문교양교육 논의를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대화적 미적체험’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 활동의 언어화 및 의미화를 통해 ‘실천적 상상력’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 시대 인문예술교육의 방향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학교교육과정 내 인문예술교육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2018년 서울 103개 중학교 정규교육과정에서 실행되고 있는 서울문화재단 청소년 인문예술교육 지원사업 <예술로 함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참고자료로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시대 예술교육의 새로운 방향으로서 인문예술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과 인문학적 바탕

        전선자(Cheon, Seon-Ja)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1 한국문학과 예술 Vol.8 No.-

        지금은 과학기술의 시대이다. 이 시대에 ‘우리를 자유롭게’ 혹은 ‘인간답게’ 하는 ‘인문학의 전형은 무엇인가’라는 명제를 갖고, 문화예술교육에서 인문학적 바탕을 문화예술의 현장에서 명확히 반영되는 새로운 지식의 활용을 통해 고찰한 연구논문이다. 이 연구방법을 택한 것은 현장은 살아남기 위해 항상 앞서가는 고도의 전문지식을 활용하기 때문이다. 또 현장의 문화예술인들은 끊임없는 노력으로 지식을 습득하고 창의적인 지식을 생산하며 또 그 지식을 확산해 사회적으로 활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들이 창출한 지식은 자신을 성찰하고 정신적 성장만을 도와주는 전통적 의미의 지식이 아니라, 상상력으로 기존의 틀을 깨고 창의적이고 새로운 실용성을 입증하는 새로운 시대의 지식을 창출한 것이다. 사회 현상 속에서 이 같이 꼭 필요한 지식은 교육의 장에서 반드시 가르쳐야 할 학습대상이다. 그 이유는 교육의 장에서 무엇이 결핍되어 있는지를 알려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문화예술의 현장 속에서 과학시대의 인문학적 소양이 어떻게 변화하고 무엇을 필요로 하는가를 알아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과학기술의 시대의 ‘인문학’과 ‘과학’은 인류문명의 두 축이다. 이 관계는 대립이나 경쟁관계가 아니고 서로를 필요로 하는 관계이다. 바로 인간과 인간적 삶의 가치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가 전제된 가운데 자연과 인간에 관한 과학적 탐구와 그 의미도 소용이 된다. 문화예술분야도 이제 과학기술의 활용 없이는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인문학과 과학의 융합’은 문화예술교육에서도 불가분의 관계가 되었지만, 그럼에도 현장 속의 문화예술인들의 전문지식활용을 통해 보면, 과학과 인문학과 문화예술의 창조적 발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은 인간을 ‘인간답게’하는 인문학적 바탕을 여전히 필수전제조건으로 갖는다. 따라서 우리 문화예술교육의 혁신과 발전은 인문학의 중요성을 새로운 지식창출과 활용능력과 함께 교육목표로 삼았을 때 가능할 것이다. 자동차디자인, 광고디자인, 미디어아트라는 문화예술의 실상이 이제는 우리 공교육현장이 변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In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I asked the question "what is the typical model for humanities that "set us free" or make us "humanly"?" and looked up the study of arts educations with humanities in the very field that arts education is being applied. What is the necessary in the field of society is the targets that must be learn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his is the study that indicates knowledge of humanities are strongly essential in the field where arts education is applied, through several cases. In the era of technology, "Humanities" and "Science" are the two axes of human civilization, and these two axes are not antagonistic nor competitive but rather compatible, and need each other. It is useless of scientific study of nature and human without the understanding of humanities which includes comprehension of human and the value of human lives. Also, nowadays arts education needs the scientific technology. Therefore, "the merge of Humanities and science" is undetachable in the field of arts education. However, I found the appropriateness of humanities being prerequisites in arts education, for the creative evolution of science, humanities, and arts education. This work looks up "humanities" in 3 cases of arts educational field: Car Design, Advertisement Design, and Media Art. I hope this work be a help to the internal change and development of our arts education.

      • KCI등재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인문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장혜진,조유진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1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program having been conducted at schools up to now has focused on the simple artistic experience on the field of arts and it has been divided into 8 fields such as movie, arts and crafts, photo, animation, design, play, dance and Korean music according to the school education area specified by th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This resulted in biased and fragmentary studies that focused on the genre of each field. Now as the educational system and conditions are rapidly changing, including the introduction of a free-learning semester system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in 2015. So, this study began with the idea of finding a solution through converged art education, a field other than the existing curriculum, in order to foster creative and converged talent that fostered six core competences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teach humanities values by using artistic sense in the middle school free school system.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d to research and develop the program within the scope of the art education of the humanistic approach.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isting art education programs were review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ore competences of the curricula as amended in 2015, and the educational values and concepts of humanities art were established. Second, the need for art education was established by exploring neurological aspects by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adolescent brain. Third, this program is designed based on the ASSURE model to enable immediate generation and communication of creative works through group collaboration. This research on humanities convergence arts education is expected to help us learn our role as a member of human life and society by experiencing education that combines humanities with art and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of art education will be carried out actively. 지금까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 프로 그램은 주로 예술 분야에 따른 단편적인 예술체험교 육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학교 교육 영역에 서 영화, 공예, 사진, 애니메이션, 디자인, 연극, 무용, 국악의 8개 분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각 분야의 장르 중심적으로 맞추어 편향되고 단편적으로 연구되었다. 현재 2015년 교육과정 개편에 의한 자유 학기제 도입과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구성의 변화 등 교육제도 및 여건이 급변하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6가지 핵심역량을 함양한 창 의 융합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교과 과정 외 타 분야인 융합예술교육을 통해 해법을 찾고 자 하는 생각에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자유학기제 과정에서 예 술적 감각을 활용하여 인문학적 가치를 교육할 수 있 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 문학적인 접근방법의 예술교육에 범위를 두고 프로그 램을 연구 개발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기존 융합형태 의 예술교육 프로그램 고찰을 분석하고 인문학과 예 술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가치와 통합적 개념을 정립 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뇌 발달과정의 이해를 통하여 신경생리학적 부분을 탐구하여 예술교육의 필요성을 확립하였다. 셋째, ASSURE교수모형을 기반으로 프로 그램을 설계하여 단체 협동과정을 통해 즉각적인 창 작품을 만들고 소통하는 과정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인문융합예술교육 연구는 인문학 과 예술을 융합한 교육을 체험함으로서 인간다운 삶 과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배워나갈 수 있을 것 으로 예상되며, 본 연구에 제시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양질의 예술교육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와 박물관교육사

        정춘옥 한국박물관학회 2013 博物館學報 Vol.- No.25

        이 글은 올해부터 자격증 제도를 위한 교육 이수과정이 시작된 문화예술교육사와 기존의 박물관 교육사의 자격, 직무, 역량에 대해 제시하고 비교하였다. 그리고 관계 법령에 따르면 앞으로 국?공 립 박물관에서는 1명 이상의 문화예술교육사를 배치하여야 하는데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에 따른 역량을 견주어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문화예술교육사의 도입배경을 보면 그동안 학교나 지역 문화시설과 같은 기관에서 프로그램 진행 을 위해 예술강사를 활용하고자 할 경우 예술강사의 역량과 경력을 검증할 만한 자료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은데 현재는 교육연수 이수경력과 교육경력, 그리고 민간자격증을 제시하고 있는 실정으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제도는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국가공인 자격증을 부 여하여 사회적 신뢰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사가 박물관에서 하게 될 업무는 기존의 박물관교육사와 거의 같다. 그런데 자격증을 위한 이수과목을 보면 총 48학점 720시간 중, 학교에서 예술 관련 분야(미술, 음악, 무용, 연극, 영화, 국악, 사진, 만화?애니메이션, 디자인, 공예)를 전공한 자는 30학점 450시간을 제외 받게 된다. 이 제도는 예술관련 분야를 전공한 자에게 유리한 제도이다. 따라서 많은 지원자는 예술관련 분야를 전공한 자가 될 것이며,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소지자들 이 박물관에 와서 일하게 될 경우 박물관에서 필요한 인문학 소양의 부족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기획 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 적어도 위의 여러 기관 중 박물관에서 근무하기를 희망하는 문화예술 교육사 지망생들에게는 기존의 과목 외에 인문학 과목이 추가되길 바란다. 2급의 경우 이미 진행되고 있어 과목 추가가 어렵다면 아직 시작 전인 1급부터라도 추가함이 어떨까 제안해 본다.

      • KCI등재

        감성역량 함양을 위한 인문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김근혜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 Study on the Effects of Humanities Convergence ArtsEducation Program for Cultivating Emotional CompetenceGeunhye Kim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emotional competency cultivating programs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humanities convergence arts education program. A humanities convergence arts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50 adults in each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and score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measured.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s,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lpha),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humanities convergence arts education program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happiness. The humanities convergence arts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humanities convergence arts education program that converges the humanities and the arts, thereby cultivating emotional competence. Key Words: Humanity Convergence Art Education, Emotional Competence, Emotional Intelligence, Happiness, Program Effectiveness 감성역량 함양을 위한 인문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김 근 혜* 연구 목적: 인문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감성역량 함양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인문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각 5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사전·사후 점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SPSS 23.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내적일치도(Cronbach’s alpha),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인문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이 감성지능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결론 및 제언: 인문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은 감성지능과 행복감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감성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인문학과 예술이 융합된 인문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연구 대상의 심층적 측면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핵심어: 인문융합예술교육, 감성역량, 감성지능, 행복감, 프로그램 효과 □ 접수일: 2022년 9월 2일, 수정일: 2022년 9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위덕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Professor, Uiduk Univ., Email: geunhye@uu.ac.kr)

      • KCI등재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에 근거한 문화예술교육의 개념화

        이재영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1 No.-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ontingent point between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art education. This aim is to activate art educators'awareness of a way in which art education can initiate a new approach to embrace emergence and vitalization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s a new growing point of art education. In particular, the humanistic value of art education is conceptualized and elaborated to formulate our initiate discussion within in this tangent. For this purpose, launching this new value, firstly, tries to go over the dichotomy between the functional value and essential value of art education. Secondly, investigation into various contemporarydiscourses in art education such as VCAE(Visual culture art education), critical discourses, holistic approaches to art education, and AESD(Ar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ighlights this new value in art education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Finally, the idea of issues-based art education set a path for our practical ideas to adapt this new value that opens a public platform for new possibilities and leadership of art education within this integral perspective. Through this theoretical foundation discussed in this article, further investigation into more solid academic and practical discussion will be set off. 본 논문은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라는 궤적에 맞닿아 탐색되고 있는 미술교육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시도한다. 특히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를 중심으로 이러한 접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제기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미술교육이 수행한 도구적이고 본질적인 기능을 넘어 문화예술교육과 미술교육에 대한 일반적 논의를 바탕으로 미술교육이 함축하고 있는 인문학적인 가치가 논의된다. 다음으로 다양한 최근 미술교육담론에 결부될 수 있는 인문학적 가치를 문화예술교육과 결부지어 검토된다. 구체적으로 시각문화미술교육, 미술교육에서의 비평적 담론, 총체적 미술교육, 그리고 사회의 지속성장을 추구하는 미술교육(AESD: Ar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과 연관 지어 문화예술교육에 요구되는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를 구체화한다. 마지막으로 이런 인문학적인 접근을 위한 미술교육 방안을 쟁점중심 미술교육을 중심으로제안한다. 문화예술교육과 미술교육의 접점을 인문학적 가치를 중심으로 탐구한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기존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확산을 위한 보다 학문적, 실천적 논의를 전개할 플랫폼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장기요양시설의 노인문화예술교육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강윤경,박정현,이강일 한국문화교육학회 201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2 No.3

        The present study aims to evaluate the status of elderly culture arts education and discover the arising problems in order to present measures for activation. Als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most effective means that suit the capacity and circumstances of the elderly and means to implement personalized culture arts education. By doing so, it will draw baseline data that will ai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protect dignity of the elderly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users of elderly specialized care facilities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common house facilities, day-and-night care centers, short-term care facilities, and visiting care fac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Among them, geriatric patients above the age of 65 using long-term care institutions were randomly sampled, and 380 responses were obtained.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for research were gender, age, period of long-term care facility usage, health status, type of services used. The factors related to the status of elderly culture arts education were the number of experiences in participating in a culture arts education program, the field of participation, and the requirement for participation. The survey results suggested five measures for activating elderly culture arts education of long-term care facilities. First is change in recognition of elderly culture arts education, second is establishment of network system, third is development of elderly culture arts edu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development in elderly stages, fourth is usage of institutional support for elderly culture arts education, and fifth is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for experts in the elderly.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의 노인문화예술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대두되는 문제점들을 규명함으로써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노인의 생애주기와 상황에 부합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노인으로서의 존엄성을 지키고 삶의 질 향상과 프로그램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도출하는데 본고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의 수도권에 있는 노인장기요양기관의 노인전문요양시설, 공동생활가정시설, 주야간보호시설, 단기보호시설, 방문요양시설 이용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들 중 65세 이상의 노인성질환을 가지고 있고 노인장기요양기관을 이용하는 노인 490명을 무작위로 표집하여 380명의 응답을 확보하였다. 연구를 위한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 성별, 나이, 노인장기요양기관 이용기간, 건강상태, 이용서비스 종류를 조사하였고, 노인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관련된 항목으로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참여경험 횟수, 참여분야, 참여요구에 대한 질문을 하였다. 설문결과에 따른 장기요양시설의 노인문화예술교육 실태는 크게 4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장기요양시설 노인들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질적·양적 개발과 체계적 관리시스템이 요구된다 둘째,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지속하고 안정화하기 위해서 대상 노인들의 정신적·신체적 특성별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정착화가 필요하다. 셋째,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 분야의 다양화 및 교육영역의 확장이 필요하다. 넷째, 문화예술교육에의 참여가 노인들에게 새로운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새로운 영역에 대한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