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화전」에 나타난 임진전쟁의 기억과 상상적 존재들의 의미 : 19세기 말의 시대상을 통해 본 시론적 고찰

        이종필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4 동방학 Vol.31 No.-

        이 논문은 기존의 「이화전」 연구가 작품의 설화적 요소 자체만을 주 목해 왔음을 문제로 제기하면서, 작품에 구현된 설화적 상상력을 역사 적 사건과의 관련성 속에서 분석해 보고자 기술되었다. 「이화전」 서사 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요괴의 출현과 퇴치의 화소들을 텍스트의 서두 를 장식하고 있는 임진전쟁의 기억과 관련해 재해석한 것이다. 논의 과 정을 통해 「이화전」에 등장하는 요괴는 전쟁으로 인한 사회적 불안과 공포의 상징적 기표이며, 주인공에 의한 요괴 퇴치는 그와 같은 사회적 불안감에 대한 상상적 해결의 모색으로 규정하였다. 나아가 본고에서는 작품 창작의 시대적 배경으로 19세기 말의 청일 (淸日)전쟁에 주목했다. 갑오농민전쟁의 여파로 조선에서 벌어진 청일전 쟁과 그로 인한 사회적 동요가 「이화전」에서 강조하고 있는 ‘재조지은’ 의 기억과 그에 대한 상상적 보상의 추구 그리고 ‘요괴’로 표상된 전쟁 의 공포 등을 산출해 낸 역사적 동인이었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끝으로 「이화전」의 중세 지향성과 그것이 지니는 시대적 의미를 짚어 보았다. 「이화전」은 전쟁의 기억과 공포를 설화적 환상성의 지평 속에 서 재배치하는 방식으로 일정한 문학적 대응을 모색하고자 했던 텍스트 이다. 하지만 모색의 과정 속에서 표출된 강한 중세 지향성은 근대의 도 래라는 시대적 격변 속에서 커다란 의미를 지닐 수 없었고, 이에 「이화 전」 자체가 당대의 독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지 못했던 것으로 판단했다. 그러나 이상의 논의가 기본적으로 창작 시기의 추론에 의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고는 시론적 성격을 띨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지닌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literary imagination reflected on LeehwaJeon(李華傳) in relation to the memory for the Imjin war, supplementing the limit of previous research which has been only restricted on the analysis of the elements of tales. LeehwaJeon is seen as a work that embodies the social unrest caused by the memory for wars, through the narration about the appearance and eradication of a monster and also tries to address this unrest with an imaginary way. This paper focus on the Sino-Japanese war in the late 19th century as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the work. Joseon was enormously damaged by the war which took place in the territory of Joseon in the process of suppression of the Donghank Movement. These circumstances would provide a chance to remind people of the Imjin war. In addition, the tyranny of the Cheng dynasty also would evoke a sense of nostalgia for Myeong dynasty.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monster appearing in LeehwaJeon can be considered as a symbol for the social unrest and anxiety. In this context, the eradication of the monster by a hero would be an imaginary solution to deal with the issues. However, propensities strongly aspiring for the Middle ages, which can be seen in LeehwaJeon, would not seem to have a significance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e rapid social changes toward the modern era. Accordingly, it would result in little attention from the public of the day.

      • KCI등재

        義安大君李和의 功臣歷에 대한 고찰

        천성래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4 동방학 Vol.31 No.-

        본 논문은 ‘여말 선초 의안대군 이화의 공신력’에 대한 고찰로서, 고 려 말에서 조선 초기는 왕조의 폐망과 개국으로의 변화가 극심했던 시 기로서 공신 의안대군 이화의 활동을 중심으로 공신력을 살펴 본 것이 다. 여말선초 위화도 회군과 조선의 개국, 제1차, 제2차 왕자의 난으로 국내외적으로 위기 상황에서 이화는 결정적인 공을 세웠고 그것은 그가 여말선초 4대공신이라는 기록적인 의미로 남게 되었다.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건국이라는 미명아래 많은 공신들이 탄생할 수밖에 없었고 공신 도감을 설치하여 공신에 대한 업무를 관장하게 하였을 정도이다. 여말 선초의 최대 공신인 이화는 태조 이성계의 이복동생으로서 회군 공신, 개국공신, 정사공신, 좌명공신 등 4대 공신에 책봉되며, 당대 최대 의 특혜를 누린 인물이다. 그는 이성계의 최측근에서 여러 환난을 슬기 롭게 극복하고 행동하는 왕족으로서 고려 말 조선 초기의 실제적 힘이 되었다. 그는 영삼사사를 지내고 마침내 영의정이 되었으나 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안대군 이화의 행적을 통해 여말선초의 공신에 대해 살펴보고, 공신에 대한 특혜와 공신의 위차 등에 대한 차이를 살펴 보는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이를 통해 우리 역사 속에 숨어 드러나지 않았던 태조 이성계의 이복동생 의안대군 이화에 대한 생애를 더듬어 보고, 왕족으로서 위기의 순간에 역동적인 행동을 통해 성리학으로 무 장한 신흥사대부와 더불어 조선의 정통성 확립을 이룩한 이면의 무인정 신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As a part of examination into vassals of merit from the late era of Goryeo Dynasty to the early era of Joseon Dynasty,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history about vassals of merit primarily in terms of Euian Daegun Yi Hwa's meritorious activities during such period of transition where extreme changes occurred with collapse of former dynasty as well as foundation of new dynasty. Yi Hwa rendered his distinguished services even under critical situations - whether national or international - accompanied with troop withdrawal at Wihwado,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and two prince revolts (1st and 2nd). And his services gave a historical implication that he was one of 4 great vassals of merit during such a period of transition in Korean history. Under the guise of Goryeo Dynasty's collapse and Joseon Dynasty's foundation, it was inevitable that there were many vassals of merit produced during this critical period, and royal family granted proper favors to those vassals with stipend for vassals of merit. In particular, Joseon Dynasty installed even a governmental office for vassals of merit to supervise general affairs about vassals of merit. It may be definitely to say that Euian Daegun Yi Hwa was the greatest vassal of merit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Goryeo to Joseon. He was a half-brother of Taejo Yi Seong-gye, the founder of Joseon Dynasty. Yi Hwa was invested as the vassal of 4 great merits in contribution to troop withdrawal, new dynasty foundation, affairs of state and assistance in making Yi Seong-gye the first king of Joseon dynasty, so he could enjoy the greatest favor granted by the governmental authority of his contemporary dynasty. Yi Hwa was a royal family member who stood nearest by Yi Seong-gye and got over a series of hardships wisely with bold actions, so he could play a role as real contributor to founding Joseon Dynasty after collapse of Goryeo Dynasty. According to historical documents, he took up Yeongsamsasa and was finally appointed as Yeong-euijeong, the prime minister of Joseon Dynasty, but there was very few studies focusing on his presence in the history.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implications in that it addresses the historical activities of Euian Daegun Yi Hwa to examine vassals of merit from the late era of Goryeo Dynasty to the early era of Joseon Dynasty, and determine any differences in special favors and order of ranks for the vassal of merit. Thus, it is expected that we will be able to explore the lifetime of Yi Hwa, a covered half-brother of Taejo Yi Seong-gye in Korean history, and will be able to examine Yi Hwa's dynamic actions as royal family at critical moments of historical transition, so that we may find out the military spirit of a vassal behind his meritorious contribution to establishing the legitimacy of Joseon Dynasty in collaboration with emerging gentry armed with the philosophy of Neo-confucianism.

      • KCI등재

        중국 고전시 중의 이화(梨花) 이미지

        배다니엘 한국중국학회 2013 중국학보 Vol.67 No.-

        梨花是中國古代文學中重要的植物意象和題材. 梨花, 卽梨樹盛開的花타, 屬薔薇科植物. 葉楕圓狀披鍼形, 핵果近毬形, 落葉喬木, 暮春開花, 花素淡, 潔白如雪. 梨樹原産於中國, 現已在世界溫帶國家及地區廣汎種植, 其果實可食而具有흔高的藥效價値, 且具有非常漂亮的花朶, 含有豊富內麵緖情, 也是文學創作的常用素材. 本篇論文對於中國古典詩中的梨花意象特徵, 在主要三個方嚮的主題下分析了梨花的意象. 第一, 中國古典詩中的梨花象徵著純然華美的美感, 其純白外貌恰似白雪, 種種表現於美人, 喜慶, 美女, 豊饒等的華麗蘊含. 有的詩人在詩歌中寫梨花紛飛時節閨中女子秉燭夜遊的情狀, 歡愉之情溢於言. 但註重的是흔多詩人把梨花和雪聯係起來之後, 果然梨花與雪花似乎有了必然的聯係. 第二, 中國古典詩中的梨花象徵著古雅氣品, 香氣節藻. 不陷於桃李一時紅粉的氣節, 而堅持純然高風亮節, 更得到了世人的讚嘆, 文人以爲梨花是情神領域上的純然境界和道德節操的寫炤, 含有獨特味感的植物. 第三, 詩人常用梨花抒髮春逝花謝, 人事無常之慨. 而梨花的這種開時繁盛염麗, 花謝時零落頹敗, 在詩文흔容易比喩追求世俗榮利或世態炎凉, 紅顔薄命等的悲哀. 於是梨花意想作爲抒情手段, 或爲思鄕, 傷春起興, 或爲惜別, 懷人烘託凄淸분圍. 在中國古典詩歌中詠梨花詩能成爲歷朝詠物詩中的一顆崔璨的明珠, 源遠流長而諷誦不衰, 因其花的顔色, 香氣姿態都是最有引人之力, 花所觸髮的聯想也흔豊富. 梨花詩建構的諸多純粹而優美的藝術境界, 能給我們以別緻的美的享受和情操陶冶, 梨花詩確有타獨特的藝術魅力在.

      • KCI등재

        이화여전의 젠더 분리주의 교육과여학생 작품의 ‘S’ 감정

        윤유나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여성문학연구 Vol.45 No.-

        1920년대 가부장주의 담론에서 여학생의 동성애는 이성애로 옮겨가기 직전에 순결을 지키기 위한 관계로써 여학생에게 권장되고 있었다. 여학생의 발화가 배제된 채 논의되었던 여학생의 동성애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화여전의 학생기독교청년회의 문학부가 주체적으로 발행한 교지 『이화』를 살펴보았다. 이화여전의 교육방침은 식민지의 젠더 분리주의 정책에 따라 작동되고 있었기에 여학교에서 유행하는 ‘여학생 동성애’ 문제를 제도적인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었다. 여학생의 목소리에서 발견되는 ‘S’ 감정은 여성 문학장 형성의 핵심요소 중 하나로 비춰진다. 따라서 여학생의 동성애적 감정을 여성주의 시각에서 재해석하였다. 미션계 여학교에서 동성애는 ‘공공연하게 인정되는’ 자연스러운 행위였다. 사회적 제도 안에서 ‘동성애’는 개별 여성의 성장에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었다. 남녀를 구분하는 식민지의 젠더 분리 정책은 ‘동성애’라는 코드가 여학생에게 감성교육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담론을 형성했다. 그리고 여학교 내부의 젠더 분리주의 교육은 여학생이 동성연애를 하는 하나의 계기를 마련해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결혼 적령기에 접어든 이화여전 문학청년들의 센티멘털리즘 글쓰기, 학교의 교육방침에 따른 엘리트 여성으로서 소명을 다하고자 하는 우월의식은 식민지의 젠더 분리 정책이 통용된 여성 고등교육기관의 독특한 특징이다. 1장인 서론에서는 1920년대 가부장주의 담론에서 드러난 순결교육과 여학생 동성애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학교라는 공적 공간에서 맺어진 여학생들의 새로운 관계인 ‘S’는 식민지의 교육방침과 관계하고 있었다. 2장에서는 이화여전의 종교교육이 이화여전 여학생들의 엘리트 의식에 어떠한 방식으로 기여했는지 살펴보았다. 이화여전의 종교교육은 여학생들에게 젠더 분리주의를 수용하게 했고, 양성평등을 토대로 여성을 타자화하면서 지식인 여성의 우월성을 강조했다. 그리고 기독교 교리를 바탕으로 교육된 서구의 이성중심주의 사상은 여학생들의 창작행위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3장에서는 이화여전의 감성교육이 내재화된 교지 『이화』의 문학란을 통해서 젠더 분리주의 교육이 문학청년들의 시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회에 필요한 여성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는 이화여전의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이화여전의 교수들은 여학생들에게 지적 연대를 강조하였다. 1930년대에 이르러 여학생들은 교지 등의 매체를 통하여 감정을 스스로 발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학교 안팎의 교육방침에 따라 이화여전 문학청년들의 ‘동성애’는 자연발생적인 감정으로 드러났다. 이화여전의 문학청년들은 섹슈얼리티를 소거하는 방식으로 정신적 연애의 표현태로써 동성애적 감정을 드러냈다. 미션계 여학교에서 종교를 위해 활용되었던 문학에 동성애 코드가 섞여 들어간 것은 젠더 분리 정책과 사회의 가부장주의 담론에 대항하는 여학생 문학의 자율성에 상당한 원인이 있다고 판단된다. 기독교 교육을 통해 형이상학적 의미를 부여받은 여학생의 자연발생적인 감정이 센티멘털리즘 글쓰기라는 저항적 형식으로 드러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지 『이화』에 실린 재학생 노천명과 졸업생 모윤숙의 시를 'S' 감정으로 읽을 수 있었다. 결론인 4장에서 교지 『이화』에서 드러난 이화여전 문학청년들의 내면과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rough female students the issue of same-sex love on female students being discussed in paternalism discourse of the colonial Chosun. In 1920s, just before proceed from paternalism discourse to heterosexuality, the same-sex love of female students had been encouraging as a relations for keeping their virginity. This work examined the independent school paper issue 'Ehwa' of Ewha women's college young student christian association literature department for analyze female student's same-sex love dicussed without their utterance. Ewha women's college which is 1930's wome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s the women education system to basically access an issue of female student's same-sex love in women's college, since Ewha women's college followed gender separatism pollicy of colony. Also, since 1930's women literature field was formed focusing on Ewha women's college, it can interpret the same-sex love that was seen as a the key element of women literature by made from women college-centred. The same-sex love was natural behavior publicly qualified at the mission women school. The forms of expression named 'same-sex love' came on in process train emotional education to female student considered as a symbol of emotional modern people among female student seems one of the reasons to form women literature based women college. Same-sex love had to affect the growth of individual woman in social system, and colonial separate policy classifying man and woman helped the growth of woman emotionally and instructively as a code called 'same-sex love'. Superiority awareness trying to fill a strong sense as a woman of sentimentalism writing and school education discipline of Ewha women's college iterary youth in optimal age to marry is an unique aspect of wome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be used separatism view in colonial education, and is related to homosexual emotion that appears in the poem. In introduction, the first chapter, researched about interrelationship beteween female student's education in sexual morality and same-sex love emerged paternalism discourse. New relationships 'S' of female student cemented at public space school was related with school education discipline. In second chapter, checked the religious education of Ewha women's college had contributed to Ewha women's college student's elitism how to process. The religious education of Ewha women's college was accepted gender separatism to female student, and increased female chauvinism based christian doctrine. In third chapter, analyzed how gender separatism had affected literary youth's works through the literary columns of school issue Ehwa internalized emotional education of Ewha women's college. On the basis of Ewha women's college that cultivate female of ability needed for society, professors of Ewha women's college emphasized intellectual solidarity to their students. In those education policy of Ewha women's college, Same-sex love was natural acts. Main agent, female student of Ewha women's college, related with society regulation gave metaphysical meaning in their writing connecting with themselves. At this moment, spontaneously emotion given metaphysical meaning of the Christian religion expressed sentimentalism writing. Noh Cheon-myeong and Moh Yoon-sook expressed homosexual emotion as using longing and sympathy. Mingling exercised literature for religion and same-sex love code together is showing that had operated the autonomy of literature at female student's works. In conclusion, the fourth chapter, identified that inner side of Ewha women's college literary youth found on school issue 'Ehwa' identified that had been crashing into paternalism discourse of outside th school. In the paternalism discourse, female same-sex love of women college was seen as an antichrist acts.

      • KCI등재

        淸代 廣東行商 怡和行 伍秉鑒 (1769-1843)의 활동과 그 위상 -英國東印度會社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기수 중국사학회 2015 中國史硏究 Vol.97 No.-

        本稿通過怡和行的發展過程、伍秉鑒在行商中的地位、以及與東印度公司的關係對怡和行的伍秉鑒進行了考察.1783年同文行的帳伍國瑩령立門戶創立了怡和行.1792年伍國瑩將怡和行傳給了次男伍秉鈞,1801年伍秉鈞病逝之後其弟伍秉鑒繼承了怡和行.雖然怡和行的主人幾經更替但是怡和行却依然持續成長,在行商中的地位也不斷提高.1809年伍秉鑒成爲行商代表商總(總商的前身),隨後在1813年成爲名符其實的行商領導者總商,一躍成爲地位最高的行商.伍秉鑒雖然在1826年及1833年將怡和行托付給四男伍受昌(卽伍元華)與五男伍紹榮(卽伍元薇),但是却依然做爲原商來掌控着怡和行.1840年兩廣總督曾說過在所有行商中只有怡和行可以說得上是殷實,到行商制度廢止時,能구一直維持繁榮的也就僅僅怡和行一家而已.爲了考察怡和行在行商集團內部的位置,首先要推算下怡和行在與東印度公司的貿易合約中所占據的貿易比重.在馬士(H.B.Morse)的編年體式的著作(TheChroniclesoftheEastIndiaCompanyTradingtoChina,1635-1834:東印度公司對華貿易編年史)中,可以조出自1801年伍秉鑒接手怡和行起到1833年東印度公司喪失對中國貿易的壟斷權的三十多年中各行商所承擔的其中二十個年분易比重.在整個二十年中可以確定怡和行在各行商中貿易額占據第一的年분14次.二十年間,怡和行每年平均所占據的貿易額比重有17%.因爲這期間行商平均數是9.9個,所以可以知道怡和行至少多承擔了7%的貿易額.比其他行商多承擔貿易額的意義在於怡和行與其他行商相比有了更多的資本積累的機會.從怡和行給其타小行商近50萬兩巨額的貸款的事實中就可以一窺怡和行在行商中的地位.通過這樣的貸款怡和行可以强化其對其타小行商的影響力與統制力.同時可以確定的是怡和行充分發揮了其做爲總商應該爲行商的利益代言與保護行商的作用.령一方面,通過與貿易合作화伴東印度公司的關係還可以考察出怡和行령一個面貌.1813年,東印度公司喪失了對印度貿易的壟斷權,公司經營業績不利,爲此,每當資金窘迫的時候主要是向怡和行貸款.平均每年向行商欠的77萬兩中的60%以上,也就是46萬兩以上的貸款、債務都是從怡和行得到的.不僅如此,每當東印度公司退守澳門的時候,都讓怡和行代爲保管公司的大量資金與財物.結果怡和行的存在對于東印度公司來說就像是銀行.以前雖然都抽象的將怡和行的伍秉鑒췌想爲最高行商、或是最有力的行商,本稿却對怡和行伍秉鑒的貿易比重進行了具體的推算、幷揭示了其與同僚行商及東印度公司間的借貸狀況.因此,這與以往的怡和行伍秉鑒的富者形象相比更加具體化,幷且更容易使我們思考出其在行商集團內部的領導者的地位.

      • KCI등재

        대한제국기 및 일제강점기 李花紋의 변화와 宮家紋의 등장

        정지희(Jeong, Ji Hui)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0 美術史學 Vol.- No.39

        대한제국기 및 일제강점기 왕실문장은 李花紋, 雲峴宮紋, 寺洞宮紋이 있다. 이화문은 대한제국기 國文에서 비롯되었고, 운현궁문과 사동궁문은 일제강점기 이화문이 국가의 상징에서 왕실의 상징으로 위상이 축소될 때 일본 천황가로부터 公家로 인정을 받은 운현궁과 사동궁의 문장으로 사용되었다. 이화문은 그동안 단판 3꽃술형이 정형으로 언급되어 왔다. 그러나 대한제국기 이화문을 고찰한 결과 종류가 약 10여 종에 이르며, 같은 물품이라도 여러 종류의 이화문이 사용되고 있었다. 대한제국기 이화문은 아직 형태가 정형화되지 않았으며 여러 종류의 이화문이 동시다발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대한제국기 이화문의 특징은 다양성과 복합성에 있다. 일제강점기에 이화문은 점차 단판 3꽃술형으로 정착되었다. 천황가와 황족의 문장을 구별하여 사용하던 일본의 영향으로 일본 황족의 일부가 된 조선 왕실에서도 단판 3꽃술형 이화문을 왕실 문장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단판 3꽃술형 이화문은 창덕궁 건축과 실내의장뿐만 아니라 왕실용품과 공예품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일제강점기에 이화문의 대표성을 지니게 되었다. 그런데 이화문은 국화문과는 달리 개인적 목적과 상업적 사용을 금지하는 규정이 마련되지 않았다. 한일강제병합시 왕공족의 개념과 세부규정을 두지 않았던 일본의 조선 왕실에 대한 차별적 정치의도가 이화문에도 작용되었다. 운현궁문과 사동궁문은 공족으로 인정된 李熹와 李堈, 즉 운현궁과 사동궁에서 사용한 궁가문이다. 궁가문은 공위 부여에 따라 형성된 것으로 운현궁문과 사동궁문은 일제강점기에 와서 등장하였다. 운현궁문은 단판 3꽃술형 이화문에 원권이 둘러진 형태이고, 사동궁문은 복판 3꽃술형 이화문과 형태가 같다. 복판 3꽃술형 이화문은 일제강점기에 왕실문장에서 사동궁문으로 전환되었다. 운현궁문과 사동궁문은 이화문과 유사한 형태 때문에 그동안 이화문과 구별되지 않은 채 이화문으로 오인되어 왔다. 그러나 이번 연구를 통해 운현궁 양관의 지붕장식, 여러 석조물과 생활용품의 운현궁문과 사동궁문의 존재와 출현배경이 확인된 만큼 이화문, 운현궁문, 사동궁문 각 문장에 대한 구분과 이해가 필요하다. Royal emblem in Korean Empire and Japanese colonial era are emblem of plum blossom(李花紋), emblem of Unhyeongung Palace(雲峴宮紋), emblem of Sadonggung Palace(寺洞宮紋). Emblem of plum blossom originated from national symbol. Emblem of Unhyeongung Palace and Sadonggung Palace are royal family emblems that used in Japanese colonial era, when emblem of plum blossom was downgraded from national symbol to royal symbol. Emblem of plum blossom which a single petal-triple stamen type has been recognized as a regular type so far. However, there are more than 10 types in emblem of plum blossom of Korean Empire. Even though same object, it usually used different types at the same time. The regular type didn’t form yet and various types are used simultaneously.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emblem of plum blossom are in diversity and complexity during the Korean Empire. Emblem of plum blossom was settled into a single petal-triple stamen type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royal court of Joseon, which became part of the Japanese imperial family, started the emblem of plum blossom as royal symbol by influence of Japanese which distinguished that of the Japanese emperor from Imperial family. The single petal- triple stamen type was used the royal goods and craft as well as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of Changdeokgung Palace(昌德宮) generally. This finally acquired the representativeness. By the way, emblem of plum blossom didn’t involved a law prohibiting utilization of individual and commercial purposes unlikely chrysanthemum emblem of Japan. Thus discriminatory political intentions of Japan for Joseon royal court also apply to emblem of plum blossom, like they didn’t make conception and detailed provision of Joseon royal family. Emblems of Unhyeongung Palace and Sadonggung Palace are royal family emblems which used Yi Hui(李熹) and Yi Gang(李堈)’ families who officially recognized as imperial family of Japan. These made an appearance in Japanese Colonial period, involved conferment of title of nobility by Japan. The form of Unhyeongung Palace emblem is a type that a single petal-triple stamen type with a circle around it. The form of Sadonggung Palace emblem is the same as the emblem of plum blossom with double petal-triple stamen. The emblem of plum blossom of double petal-triple stamen type was converted into it of Sadonggung Palace. Until now emblems of Unhyeongung Palace and Sadonggung Palace have been misunderstood as emblem of plum blossom, because of their similarity. However, the existence of both emblems and background of appearance confirmed through the roof decorations of Western Hall in Unhyeongung Palace, diverse stoneworks and household goods.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and understand every each emblem.

      •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 학부 도자예술전공의 교과편성 연구 : 1990년부터 2010년을 중심으로

        조은미 ( Eunmi Cho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20 陶藝硏究 Vol.- No.29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0년까지의 한국 현대 도예 흐름 안에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도자예술전공의 역할과 앞으로의 발전 모색에 있다. 한국 현대 도예 태동에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도자예술전공은 선구자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1959년 이화여대는 황종구 교수를 중심으로 한국 최초로 대학 내에 도자예술전공과 도예연구소를 개설하여 후계양성과 도자 연구에 매진하였다. 청자와 분청자를 중심으로 시작된 교육은 개념미술을 아우를 수 있는 교육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후 60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본 연구자는 한국 현대 도예의 흐름 속에 1990년대부터 2010년까지의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학부 도자예술전공의 교과편성 조사와 분석을 하였다. 미국 현대 도예와 달리 한국 현대 도예는 오랜 전통을 기반으로 발전되어 본질적인 문제에 과감히 접근하려는 실험적인 경향이 확대되어 발전되어 갔다. 이화여대 도자예술전공 또한 전통을 재현하는 방식의 수업을 시작으로 산업도자와 도자조형연구도 진행되었다. 연구소에서는 청자, 분청기법 연구와 소지개발에 매진하였다. 석고 캐스팅 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품 연구와 도예 관련 포괄적인 연구와 상품개발도 이루어졌다. 이화여대 도자예술전공은 졸업생들을 중심으로 도림회를 설립하여 1979년 이후 해마다 동문전시를 통해 졸업자들의 작품 활동을 격려하고 후배 작가양성을 지원하고 있다. 1990년대 한국의 도예 관련 흐름은 전통을 기반으로 현대적 해석, 오브제 중심의 경향, 환경도예가 공존하였다. 전통으로 회귀의 경향도 보여졌으며 이는 전통과 현대가 서로 상호보안적 관계로 지속발전하도록 하였다. 1990년은 현대 미술의 정착기이며 현대도예를 세대별로 나누자면 3세대 또는 후기에 접어드는 시기이다. 규정지을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표현양상을 보였으며 기능에서 벗어나 조형 작업들이 증가하고 공예와 순수예술 간 공존과 동시에 대립이 나타나는 때이다. 전통도자에서부터 순수예술로서의 오브 제작품들은 다양한 도자예술의 형식과 내용을 보여주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도예과도 같은 맥락으로 교육이 이루어졌다. 2010년대부터는 미술대학에서 조형예술대학 공예학부로 변경되고 추후 예술대학 안에 음대와 미대의 통합됨에 따라 도예전공은 축소되고 시대성에서 오는 정체성 혼란을 엿볼 수 있다. 몇몇의 수업에서는 교수자들로부터 순수예술작품을 구현할 수 있는 인문학적 탐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수업과정을 통해 많은 전공자들에게 도자에 대한 담론의 장이 만들어졌으며, 조형성 이 전에 인문철학적 탐구가 이루어졌다. 이는 공예적 측면보다 순수예술가가 고려해야 할 자세이기도 했다. 공예에서 시작된 도자예술은 현재까지도 그 정체성에 대한 담론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공예의 실용성과 예술 철학적 사색을 통한 조형적 양식으로서의 도자는 그 기준에 따라 다르게 평가된다. 1990년부터 2010년대의 조형적 언어로서의 도자는 서툴렀고 현재까지 그 정체성을 찾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대학 전공에서도 수년 전부터 인문학 적 사고를 돕는 수업이 개설되어 머리와 마음과 손이 하나가 되어 발전되고 성숙된 조형 언어를 구현하는데 이바지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이화여자대학교 도자예술전공이 소속과 명칭 변경이 있었지만 1990년 이후 2010년까지 각 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과 현대, 기법과 조형적 측면, 인문학적 사고확장까지 다양하고 총체적 예술교육을 제공하였음을 알 수 있다. 누락된 많은 본교 출신 작가와 그 작업 결과물을 본 연구에 포함 시키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또한 한국 최초의 도예전공이 대학에 개설된 학교로서 도자예술전공의 다양한 커리큘럼으로 여성 도예가를 배출함으로서 한국현대도예 현장에서 큰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졸업자들이 도자예술의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통해 여성 도예 작가, 예술가로서 활발한 활동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referred to as Ewha Womans University, Department of Ceramic Art in the stream of 1990 to 20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Ewha University Department of Ceramics. Ewha Womans University Department of Ceramics played a pioneering role in the birth of Korean contemporary ceramics. In 1959, centered with professor Hwang Jonggu, Ewha Womans University opened the first ceramic arts department and ceramic art research institute in the university, and devoted to succession training and ceramic research. The education that begun with the center of celadon and the audience, is expanding to education that can encompass conceptual art. At this point, 60 years later, this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and analysis of the curriculum organization of the Department of Art and Design at Ewha Womans University from 1990 to 2010 in the stream of contemporary Korean ceramics. Unlike contemporary American ceramics, Korean contemporary ceramic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a long tradition, and the experimental tendency to boldly approach essential problems, expanded and developed. Ewha University Department of Ceramics also started with a class of reproducing traditions and conducted research on industrial ceramics and ceramics. The research center devote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eladon and Bunchung techniques. Various product research, comprehensive research and product development that is related to ceramics were also conducted using the plaster casting technique. Ewha University Department of Ceramics has established a Dorim Association centered on graduates, and has been encouraging graduates' work activities through alumni exhibitions every year since 1979 and is continually supporting the cultivation of junior artists. In the 1990s, Korean ceramic art-related trends co-existed with modern interpretation, objet-oriented trend, and environmental ceramics based on tradition. The trend of return to traditional was also seen, which allowed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to continue to develop in a mutually secure relationship. 1990 is the settling period of contemporary art, and when contemporary ceramic art is divided by generation, it is the period of entering the third or later period. It is a time when various forms of expression are shown beyond the definition, and formative works increase beyond function, and coexistence and confrontation between craft and fine art appear. Objects from traditional ceramics to pure art can be said to be a period to show various forms and contents of ceramic art. Ewha University Department of Ceramics was also taught in the same context. In the 2010s, as the College of Fine Arts was changed to the Faculty of Crafts of the College of Art and Design, and as the College of Music and the College of Art were merged into the College of Arts, the major of ceramics was reduced and the identity confusion from the times can be seen. In some of the classes, a humanistic inquiry was conducted by instructors to realize works of fine art Through this course, many majors have created a forum for discourse on ceramics, and a humanistic philosophical inquiry was conducted before formative formation. This was an attitude that fine artists should consider rather than the craft aspect. Ceramic art, which started as a craft, continues to discuss about its identity to this day. Ceramics as a formative style through the practicality of crafts and artistic philosophical reflection are evalu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riteria. Ceramics as a formative language from 1990 to 2010 were poor, and efforts to find their identity have been made to this day. In this university major, closes to help humanities have been established since several years ago, contributing to the realization of a developed and mature formative language by uniting thoughts, minds) and hand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from 1990 to 2010, the affiliation and name of Ewha University Department of Ceramics also chang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ceramic art required by each era. This was followed by a changing curriculum. However, it can be seen that comprehensively; it has provided a variety of comprehensive art education including tradition and modern, techniques and formative aspects, and expansion of humanities thinking. There is a limitation in not including many missing authors and work results in this study. In addition, as Korea’s first pottery major was opened at the university, it was an opportunity to analyze the works of graduates of the university and the role of the pottery institute’s activities in contemporary Korean pottery. I hope that artists from this university will be the leading role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ceramic art in the future.

      • KCI등재

        백병동의 실내오페라 《이화부부》(異化夫婦) 연구

        최애경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0 이화음악논집 Vol.24 No.2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chamber opera Ihwa Couple (1986) by composer Paik Byung-Dong (1936- ). The ‘Ihwa couple’ meaning ‘being alienated couple’ is a work from the early period of the Korean Small Theater Opera Movement, which began in 1982, and has been the cornerstone of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mall Theater Opera. Based on poet Kim Young-Tae’s one-act play The Week of the Ihwa Couple (1975), this opera is an omnibus-style one unfolding the reality of our society in the 1970s and 1980s and the stories of everyday lives of ordinary citizens in seven independent scenes organized by day. The Ihwa Couple which does not follow the framework of traditional Western opera, is equally integrated into one piece of poetry, music, theater, dance, and mime. Paying attention to the ‘alienation-effect’ technique, implied by the title of the work meaning ‘being alienated couple’ this paper has focused on the symmetrical format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scripts and music, the relationship between lyrics and music that follows the rhythm and intonation of text, and the traditional acceptance method using folk songs and ‘a-play-within-a-play’ masque. By doing so, this paper has identified the meaning of Ihwa Couple in the history of Korean opera, which satirizes real society based on everyday life. 본 연구는 작곡가 백병동(1936- )의 실내오페라 《이화부부》(異化夫婦, 1986)에 대한 분석 연구이다. 《이화부부》는 1982년부터 전개되기 시작한 한국 소극장오페라 운동의 초기 시기 작품으로, 소극장오페라의 창작과 발전에 초석이 된 작품이다. 김영태 시인의 단막극 《이화부부의 1주일》(1975)을 원작으로 하고 있는 이 작품은 1970 · 80년대 우리 사회의 현실과 소시민들의 억눌린 일상적 삶의 이야기를 요일별로 구성된 7개의 독립적인 장면으로 전개하는 옴니버스 형식의 오페라다. 전통적인 서구 오페라의 틀을 따르지 않는 《이화부부》는 시·음악·연극·무용·마임의 표현 매체들이 대등하게 하나의 작품 안에 통합되어 있다. 이 논문은 ‘이화부부’라는 작품 제목을 통해 암시되고 있는 ‘이화효과’(異化效果)기법에 주목하여 대본과음악의 대칭적 형식구성과 서사극적 특성, 텍스트의 리듬과 억양을 따르는 가사와음악의 관계, 민요와 ‘극중극’ 형식의 가면극을 활용한 전통 수용 방식을 고찰하였으며, 일상의 삶을 소재로 현실사회를 풍자하는 사회비판적 성격의 실내오페라 《이화부부》가 한국 오페라 역사에서 가지는 음악사적 의미가 무엇인지 규명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이화전」에 나타난 임진전쟁의 기억과 상상적 존재들의 의미 : 19세기 말의 시대상을 통해 본 시론적 고찰

        이종필 ( Jong Pil Lee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4 東方學 Vol.30 No.-

        이 논문은 기존의「이화전」연구가 작품의 설화적 요소 자체만을 주목해 왔음을 문제로 제기하면서, 작품에 구현된 설화적 상상력을 역사적 사건과의 관련성 속에서 분석해 보고자 기술되었다. 「이화전」서사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요괴의 출현과 퇴치의 화소들을 텍스트의 서두를 장식하고 있는 임진전쟁의 기억과 관련해 재해석한 것이다. 논의 과정을 통해「이화전」에 등장하는 요괴는 전쟁으로 인한 사회적 불안과 공포의 상징적 기표이며, 주인공에 의한 요괴 퇴치는 그와 같은 사회적 불안감에 대한 상상적 해결의 모색으로 규정하였다. 나아가 본고에서는 작품 창작의 시대적 배경으로 19세기 말의 청일(淸日)전쟁에 주목했다. 갑오농민전쟁의 여파로 조선에서 벌어진 청일전쟁과 그로 인한 사회적 동요가「이화전」에서 강조하고 있는 "재조지은" 의 기억과 그에 대한 상상적 보상의 추구 그리고 "요괴"로 표상된 전쟁의 공포 등을 산출해 낸 역사적 동인이었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끝으로「이화전」의 중세 지향성과 그것이 지니는 시대적 의미를 짚어보았다. 「이화전」은 전쟁의 기억과 공포를 설화적 환상성의 지평 속에서 재배치하는 방식으로 일정한 문학적 대응을 모색하고자 했던 텍스트이다. 하지만 모색의 과정 속에서 표출된 강한 중세 지향성은 근대의 도래라는 시대적 격변 속에서 커다란 의미를 지닐 수 없었고, 이에「이화전」자체가 당대의 독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지 못했던 것으로 판단했다. 그러나 이상의 논의가 기본적으로 창작 시기의 추론에 의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고는 시론적 성격을 띨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지닌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literary imagination reflected on LeehwaJeon(李華傳) in relation to the memory for the Imjin war, supplementing the limit of previous research which has been only restricted on the analysis of the elements of tales. LeehwaJeon is seen as a work that embodies the social unrest caused by the memory for wars, through the narration about the appearance and eradication of a monster and also tries to address this unrest with an imaginary way. This paper focus on the Sino-Japanese war in the late 19th century as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the work. Joseon was enormously damaged by the war which took place in the territory of Joseon in the process of suppression of the Donghank Movement. These circumstances would provide a chance to remind people of the Imjin war. In addition, the tyranny of the Cheng dynasty also would evoke a sense of nostalgia for Myeong dynasty.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monster appearing in LeehwaJeon can be considered as a symbol for the social unrest and anxiety. In this context, the eradication of the monster by a hero would be an imaginary solution to deal with the issues. However, propensities strongly aspiring for the Middle ages, which can be seen in LeehwaJeon, would not seem to have a significance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e rapid social changes toward the modern era. Accordingly, it would result in little attention from the public of the day.

      • KCI등재

        식민지 시대 교지 『이화』연구

        박지영 한국여성문학학회 2006 여성문학연구 Vol.16 No.-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intellectual women in colonial era(1929-1938) pursued their self identity and how they accepted and reproduced ideas and knowledge through a school journal Ewha. Ewha was virtually the only medium that intellectual women could express their own opinions in colonial era. Other media were all male dominated that it was almost impossible for women to give voice to their opinions through the media. As Ewha was the female dominated journal, Ewha is a good source to look into two aspects: production of intellectual women by the colonial education and those women's reaction. Although the number of journalists at Ewha was small, they later took journalist positions at major media such as Women, Samchunri, and Chokwang in the 30s. Considering these, it is right to say that Ewha served as a medium that enabled Korean women in modern times to accept and reproduce knowledge. Thus Ewha is worthwhile to examine in order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Korean intellectual women's acceptance of knowledge. It was seen through Ewha that the students at Ewha Women's College had a very high opinion of themselves that this made them feel an obligation to help their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a longing for success. They, for example, felt responsibility to enlighten uneducated women. They adapted an attitude of asceticism and self-sacrifice, deeply influenced by their education at Ewha Women's College, a mission school. They also displayed self-confidence that they could accept and produce advanced knowledge. This is seen in the high quality writings in Ewha. They accepted and reproduced various knowledge such as domestic science, physics, literature and ideologies through Ewha. However, by the mid 30s, their acceptance of the ideologies of 'angel in the house' and female sexuality were shown in domestic science as well as biological discourse. Moreover, they were obsessed with the idea of being a 'superwoman' as they could not totally abandon the desire of personal fulfillment. Furthermore, the way the intellectual women accepted knowledge seemed to be neither productive nor active. The articles in Ewha showed their advanced knowledge but unfortunately they did not go further other than conveying objective knowledge to the readers. The academic inclination toward 'domestic science' in Ewha was a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distinguished it from Yeonhee or Shinghung whose main discourses were political ideologies and cultural nationalism. This shows that the division of sexual realms existed in academic studies as early as the 30s. Despite all those negative aspects of Korean intellectual women in colonial era, it cannot be denied that their knowledge and ambition were as wide and strong as those of male intellectuals. Their literary works are a good example. The passive discourse viewed in articles was not seen in literary works. Rather, they depict the vigorous pursuit of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which reveals the progression of colonial literature. Overall, Korean intellectual women in the 30s ceaselessly pursued knowledge in wide range of subjects. 본고는 교지 『이화』를 통해서 식민지 시대(1929-1938) 최고의 인텔리 여성들이 지향했던 자기 정체성과 그들이 수용하고 재생산했던 지식과 이념의 형상에 대하여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고찰이 가능했던 것은 식민지시대 교지 『이화』가 당대 최고의 지식인 여성들이 자기 목소리를 드러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매체였기 때문이다. 남성 중심적인 다른 매체에서는 여성들의 주체적인 목소리를 내기가 어려웠고, 반면 교지 『이화』는 여학생이 주체가 되어 꾸려가는 매체였다. 그래서 교지 『이화』는 식민지 시대 제도 교육이 당대 인텔리 여성들을 어떻게 구성해갔으며, 또 주체들의 대응은 어떠하였는지를 살펴볼 수 있게 한다. 또한 교지 『이화』의 필자들은 소수이지만, 이후 『여성』, 『삼천리』, 『조광』 등 30년대 주요 매체의 필자로 활동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교지 『이화』는 한국 근대 여성들이 지식을 수용하고 재생산해 나가는 데 중요한 매개체로서 한국 근대 여성 지식 수용사를 연구하는 데 필요한 연구 대상이 된다. 『이화』를 살펴보면, 그들은 기독교 여성 교육이라는 환경 아래 금욕주의적 인격과 자기 희생적 태도를 지향하였다. 또한 이화여전 여학생들은 최고 여성교육을 받는다는 자부심이 대단했고 그만큼 민족(사회)에 대한 의무감과 성공에 대한 열망이 강했다. 그래서 민족을 위해서 배우지 못한 여성들을 계몽해야한다는 의무감을 가졌다. 더 나아가 그들은 전위적 지식의 생산과 수용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이화』에 실린 수준 높은 글들이 증명하는 것이다. 이들은 교지 『이화』를 통해서 가정학, 과학, 문예, 사상 등 다양한 지식체계를 수용하고 재생산해 나갔다. 그러나 지식 생산의 주체가 되고자 하는 자유로운 열망들은 30년대 중반부터는 여성성을 규정하는 생물학적 담론과 가정학을 수용하면서 당대의 보수적 성적 담론과 현모양처 사상으로 굴절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게다가 사회적 자아실현에 대한 욕망도 버리지 못해 ‘슈퍼우먼’이 되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이들이 지식을 수용하는 태도는 그다지 주체적이거나 생산적이라고 볼 수는 없다. 『이화』에 실린 글들의 내용은 첨단의 근대적 지식이기는 했지만, 그 글쓰기 방식은 단지 지식을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차원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화』에 실린 ‘가정학’이라는 여학교 특유의 학문적 경향은 『연희』, 『신흥』 등에서 나타나는 이념이나 민족주의 문화담론과 구별되는 특성이다. 이는 이미 1930년대 학문적 연구에도 성별 역할 분담이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지식 수준이나 욕망이 적어도 남성 지식인들 못지않은 다양성과 깊이를 담보하려고 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었다. 특히 문학란의 작품들을 보면 이러한 점이 더욱 구체적인 형상으로 다가온다. 문학에는 논설문에서는 드러났던 순응적 담론을 찾아볼 수 없었다. 오히려 존재에 대한 치열한 모색이 돋보였다. 이는 식민지 시대 문학이 갖는 진보성을 증명해주는 점이기도 하다. 이처럼 30년대 지식인 여성들은 다양한 주체적 욕망을 가지고 이를 실현하려고 애썼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