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율곡의 이기지묘(理氣之妙)와 치중화(致中和) -기질변화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신순정 ( Soon-jeong Shi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50

        본 논문은 한국유학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한 사람인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7~1584)의 사상을 통해 현대 도덕교육에의 적실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율곡이 송대의 성리학을 계승하면서도 자신만의 독창성을 발휘하여 이기(理氣)관계를 ‘이기지묘(理氣之妙)’로 정립하고,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과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을 통해 심(心)·성 (性)·정(情)·의(意)의 관계를 연속선상에서 요해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율곡은 한편으로는 인간의 심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상적 인간이 되는 길을 제시하였고, 다른 한 편으로는 변통의 묘리를 발휘하여 현실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율곡사상의 특징은 형식적으로는 그가 중국 정주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본질 적으로는 『중용』과 『주역』의 시중(時中)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즉 율곡은 때(時)의 적의성이라는 점에서 시중의 중용의 의미를 중시함과 더불어 ‘치중화(致中和)’를 실천론적 이상으로 설정하였던 것이다. 이 논문은 송대 성리학의 연장선상 위에 선 율곡이 어떠한 인식[앎]의 지평에서 현실성[때]을 담보해냈는지를 살펴보고 그의 심성정의일로설(心性情意一路說)과 기질변화의 교육적 태도를 통해 도덕교육방법론의 현대적 함의를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suggest probability of modern confrontation of Yulgok YiYi’s thought. For this, find out the meaning of Li-Qi-Zhi-Miao(理氣之妙) and through the Qi-Fa-Li-Cheng-Yi-Tu(氣發理乘一途), and Li-Tong-Qi-Ju-Shou(理通氣局說), Yin-Xim-Do-Xim-Shou(人心道心說), he creatively reveal the relation of Xin(心)·Xing(性)·Qing(情)·Yi(意) continually. On one side he suggested the way of ideal man, on the other side he was showed adaptablity to the real world. So I think Yulgok had placed emphasis on the Zhongyong(中庸) and Yijing(周易), so he point out the meaning of ShiZhong (時中). Then he had high ideals practical Zhi-Zhonghe((致中和). So This paper is to find out his foundation of epistemology, and then to know It‘s modern meaning of methodology of moral Education’s Implication on the relation of Xin(心)·Xing(性)·Qing(情)·Yi(意). So We ca find out Ji(機) is very important the transition of Qi-Zhe(氣質).

      • 조선조 주자학(朱子學), 이기심성론(理氣心性論)의 한국 유학적 전개 양상 -한,중 문화의 공유성과 평화공존의 의미를 중심으로-

        전홍석 한국문명교류연구소 2011 문명교류연구 Vol.2 No.-

        本論文在硏究朝鮮朝朱子學, 理氣心性論在韓國儒學中的發展趨勢方面, 主要闡述了以朱子的理同, 栗谷的理通, 洛學的性同, 北學派的人物均論連接的韓國儒學的思想體系。這一過程當中, 筆者深入硏究了栗谷的理通氣局論與湖洛論爭之間的失系及其影響以人物性同異論證爲中心建立的洛論界思想基礎, 洛學和北學的思想背景以及韓國近代韓國思想史的哲學基礎和其趨勢。尤其, 歸結爲北學派的普遍同一視中華夷一論的朝鮮理氣心性論, 一方面意味著朱子的性理學在韓國獲得發展, 령一方面意味著克服了朱子學裏所蘊含的華夷差別主義傾向。這樣, 本文的中心內容是漢族中心主義的中國 朱子學到了韓國之後, 融合韓國社會, 擺脫了東亞地區中世紀濃厚的華夷論色彩, 重新組織了人類史上有普遍性的思想, 從此可見, 韓國思想界有自主性。這樣, 與中國不同的朱子學在韓國思想史上的發展趨勢不僅不斷追求與外部世界的平等調節和應對, 而且到現代向韓中文化交流中的互動性和和平共處提供了文明共處傳統的典范。例如, 韓國的理氣心性論中理通的疏通性和華夷一論在現代有對文明强權注意的알制和抵抗。這在過去意味著追求在特權文化中被忽略的邊緣文化的權利, 便到重視生命尊嚴的當今時代意味著相互平等的和平共處。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