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을 “종교 갈등”으로 환원시키는 견해에 대한 비판적 소고(小考)

        김회권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4 선교와 신학 Vol.62 No.-

        The present essay examines the multi-layered causes of the surprise attack of Hamas on Israel that broke out last October, but critically examines some views that tend to reduce the Israeli-Palestinian (and especially Israeli-Hamas) conflict to a religious one. The central thesis of the article is that the October 7 attack of Hamas on Israel is a struggle for the Palestinians’ survival, not a simple religious conflict. It is argued that for each party, religion is not the intrinsic mechanism that triggers the conflict and has been exploited as an ideology to maximize feelings of hostility towards the other. Three arguments have been made to support this thesis. First, the Israeli-Hamas conflict was trigger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e of Israel in 1948. The essence of this struggle was a territorial struggle over historic Palestinian territory. At its core, it was a war designed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erritorial occupation. Second, the direct and immediate cause of the Israeli-Hamas conflict, which has been worsening since the late 2000s, is the issue of Israeli settlements in the West Bank. Israeli settlements built inside the Palestinian territories have been criticized by the United Nation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violation of the Oslo Accords, which were signed to ensure peace between Israel and Palestine. Third, Hamas's surprise attack on Israel on October 7 last year was part of Hamas's strategy to blame Israel for the deteriorating living conditions of Gazans, and part of its emergency response to thwart the U.S.-sponsored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Israel and moderate Arab states, known as the “Abraham Accords.” The attempt to reach a peace deal with moderate Arab states, brokered by President Trump and spearheaded by Netanyahu, has driven Hamas to despair.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that the essential precursor to the resolution of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is Israel's pursuit of a peace that restores the essence of the Abrahamic religion and brings peace to the Palestinians. 이 논문은 작년 10월에 발생한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공격의 다층적원인들을 연구하되 이스라엘-팔레스타인(특히 이스라엘-하마스) 갈등을종교적 갈등으로 환원시키는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 논문의 중심논지는 작년 10월 7일에 발발한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은 단순한 종교갈등이 아니라 팔레스타인의 생존 투쟁이라는 것이다. 각 당사자에게 종교가갈등을 심화시키거나 촉발시키는 본질적인 기제는 아니며, 각각에게 종교는 타자에 대한 배척감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이데올로기로 악용되었다는주장이다. 이 논지를 뒷받침하는 논거는 세 가지이다. 첫째, 이스라엘-하마스 갈등은 1948년 이스라엘 국가건설로 촉발되었다. 이 투쟁의 본질은팔레스타인 영토에서 벌어진 역사에 대한 영유권 투쟁이었다. 역사적 영유권 투쟁의 핵심은 영토 점유의 정당성을 다투는 전쟁이었다. 둘째, 2,000 년대 후반부터 악화된 이스라엘-하마스 갈등의 직접적이고 당면한 원인은요르단 서안지구에 들어선 이스라엘 정착촌 문제이다. 팔레스타인 자치지구 안에 건설된 이스라엘 정착촌들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의 평화를 보증하기 위해 체결된 오슬로협정 위반이다. 셋째, 작년 10월 7일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공격은 가자 주민들의 악화된 생존 조건을 이스라엘 탓으로 돌리려는 하마스의 전략이자 미국이 후원하는 이스라엘과 온건 아랍국가들과의 외교정상화, 즉 “아브라함 화약”(the Abraham Accords) 체결을 저지하기 위한 비상대응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개하고 네탄야후가 주동적으로 추구한 온건 아랍국가들과의 평화협정 체결시도는 하마스를 절망에 빠뜨렸다는 것이다. 이 논문의 결론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의 필수적인 선결과제는 이스라엘이 아브라함 종교의 본질을 회복하여 팔레스타인사람들에게 평화를 선사하는 평화추구라는 것이다.

      • KCI등재

        벤자민 네탄야후의 유사신학적 정치수사와 세대주의의 위험한 공생의 선교학적 함의 분석

        김회권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8

        이 논문은 이스라엘의 총리 벤자민 네탄야후의 유사신학적 정치수사의 선교학적 함의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째, 이스라엘 우파정당 리 쿠드당의 총리인 벤자민 네탄야후 총리의 정치적 수사에 담긴 신학적 차원을 비판적 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둘째, 네탄야후의 유사정치적 정치수사에 악용될 소지가 있는 세대주의 신학의 약점들을 선교적 효용성의 관점에서 비판하는 데 있다. 최근에 한국 의 일부 보수적 그리스도인들은 반정부 시위에 나갈 때 미국 국기, 태극기, 그리고 이 스라엘 국기를 들고 나간다. 일부 기독교신자들이 이스라엘 국기를 반정부 시위현장 에 가게 된 배경은 일부 대형교회에 스며든 세대주의 신학과 그것의 열등한 변용인 크리스챤 시온이즘의 영향으로 밝혀진다. 이들은 이스라엘이 회개하여 재림 예수님을 예루살렘에서 영접할 것이라는 종말시나리오(롬 11:25-26)에 발맞춰 현재 이스라엘 국 가에 호의적이며 한국도 메시아의 나라인 이스라엘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대체로 이스라엘 총리 네탄야후의 대(대)아랍강경책을 지지하며 아 랍민족을 기독교의 적인 이슬람 세력의 대표자들이라고 경계하거나 적대한다. 이런친이스라엘 여론은 이슬람에 대한 공포심을 유발하여 아랍 국가들 모두를 기독교의 잠재적인 적으로 보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이 논문은 네탄야후 총리의 유사 신학적 정치적 수사의 논리를 분석하고 그것에 호응하도록 분위기를 조성한 세대주의 자들의 친이스라엘적 종말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The present essay seeks to make an analysis of Israeli Prime Minister Benjamin Netanyahu's pseudo-theological and political rhetoric and its missional implications.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wofold: First, it aims to critically examine the theological dimension discernible in the political statements and utterances that Netanyahu has made in the capacity of both the leader of the ruling Likud Party and the prime minister of the Israeli government. Secondly, it aims to bring public attention to the misguided convictions of a group of contemporary dispensationalists domestic and abroad. In recent times, some conservative South Korean Christians have conspicuously flown three national flags in their weekly anti-government demonstrations: the American flag, the South Korean flag, and the Israeli flag. Their use of the Israeli flag in particular can be traced back to the theological influence of pro-Israel contemporary dispensationalists both domestic and abroad. Recently, a circle of theologians named ‘The Israeli Theology Forum’ has emerged, with their main goal being to disseminate their pro-Israel and dispensationalistic eschatology to churchgoers at large. It is said that those who have been regularly flying the national flag of Israel have been brought under such dispensationalism and its inferior variant, Christian Zionism. Fully convinced of the eschatological drama of Rom 11:25-26, according to which the nation of Israel will make a nation-wide repentance to God and welcome Jesus Christ as Lord and Savior, they insist that Korea should enter into a mutually beneficial and peace-enhancing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the nation of Israel, to which Jesus Christ will ostensibly first come in his second Advent. They are generally supportive of Netanyahu's hostile upper-hand policy against neighboring Islamic states, and even position themselves against the Arabic-Islamic nations under the belief that Muslims are the enemy of Christian faith. It is likely that their pro-Israel and anti-Arab stance will cause a shift of public opinion toward Islamophobia in South Korea, which may then come to regard any Arabic nations and peoples as potential enemies of Christianity. In response to the current affairs facing these pro-Israeli and dispensationalistic church folks, the present essay proposes to analyze the pseudo-theological and political rhetoric of Netanyahu with special attention to pro-Israel dispensationlists’ central assertions that seek to make Netanyahu’s pseudo-theological and political utterances sound like a Christian confession about the eschatological mission of the nation of Israel.

      • KCI등재

        ‘이스라엘’의 정체와 기원 : 고대 근동 기록유물과 민족 지칭법을 중심으로

        오민수 ( Oh¸ Min Su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0 ACTS 신학저널 Vol.46 No.-

        대부분의 학자들의 견해는 이스라엘의 정체(正體)와 기원을 적어도 국가적 경향을 가진 정체(政體)에서 찾고 있다. ‘이스라엘’이란 용어는 독립 국가로 출현한 이후이거나, 아니면 포로기 귀환공동체가 이 호칭을 사용하였고 본문의 전승자들은 - 성경 이야기체의 역사 서술 맥락의 진행 방향과는 반대로 - 신학적 의미를 추가하고, 이를 성경 속 해석적 지표로 집어넣었다고 추론한다. 성경 저자들은 청자의 현재와 과거 사건과의 실존적 연속성을 위해 이스라엘이란 용어를 범주적인 구분없이 사용한다. 따라서 이스라엘의 정체와 기원에 대해 모호해질 수 있다. 이 연구의 목표는 역사적 유물과 자료들 너머에 있는 기억의 흔적들을 소급하여 이스라엘의 정체와 기원에 대한 사실적이고 언어적인 근거를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성경 외의 자료(고대 석비들의 판독과 근래의 해석 가능성), 팔레스타인에 대한 고고학적 기록, 그리고 성경 내 자료를 종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우가릿의 전사자 목록(BC 13세기 말)은 신명 ‘엘’(El)이 포함된 ‘이스라엘’이란 인명이 레반트 지경 지역에 낯선 이름이 아니었음을 알려준다. 메렌프타 석비(BC 1209/8)에서 이스라엘은 지역이나 영토를 말하는 것이 아닌 인적 집단을 지칭하였다. 다만 이 석비는 이스라엘이 단일한 기원을 가지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말해 주고 있지 않다. 살만에셀 3세의 석비(BC 853)와 모압 왕 메사의 석비(BC 840)는 각각 9세기 중반 이후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북부에 지역을 차지하고 있는 정치적 실체로 역사의 무대에 세력을 행사하였음을 알려주고 있다. BC 12세기에서 BC 9세기 중엽까지의 고대자료들은 직접적으로 이스라엘을 언급하지 않은 체 침묵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세계관적 기억 속에 남겨진 흔적을 추적하기 위해 오랜 언어적 관습 중에 하나인 민족들의 지칭법을 살펴보면, 언어적 표현 너머에 있는 당시 기억 속에 각인되어 담겨진 해석적 의미들을 되살려 보았다. 민족들을 지칭하는 명명법에는 1) 시조나 지경에 따른 지칭법(에돔, 모압, 암몬), 2) 역사적 배경에 따른 지칭법(블레셋), 3) 도시에 따른 지칭법(두로, 시돈, 앗시리아, 바벨론)이 있었다. 가나안 땅 유역의 주변 민족의 경우 모두 - 블레셋을 제외하고는 - 조상명을 기본으로 하고 있었지만, 메소포타미아 문명이나 그 인근 지역에 있던 나라들의 경우, 모두 도시명을 따르고 있었다. 이스라엘이란 지칭을 살펴본 결과, 이스라엘은 조상명과 동시에 지경명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 지칭은 애초부터 정치적 실체와 국가와 상관이 없었다. 따라서, 이 지칭의 유래는 왕국 시기나 포로기 이후의 명칭이 아니라, 포로기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있었다. 그리고 ‘이스라엘’이란 지칭에는 한 조상으로부터 유래되었다는 일정 정도 동질성을 바탕으로 한, 인적인 집단으로서, 하나님으로부터 특정 지역을 할당받았다는 사상이 내재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성경 내의 민족들의 지칭법 연구는 동질성을 바탕으로 한 이스라엘의 정체와 기원과 하나님으로부터 거주할 땅을 할당받았다는 역사의식을 명백히 표현해 주고 있다. 그러므로 이 지칭의 사용이 국가형성 시기나 포로기 후기로 편력하는 기존의 일반적 견해는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opinion of most scholars, the identity and origin of Israel lies at least in the state of a national tendency. The term ‘Israel’ is either after the emergence of an independent state, or the returning community of captivity has used this designation, and he editors of the text-as opposed to the historical narrative context of the biblical narrative-add a theological meaning and interpret it in the Bible. And they would put this term into the text as an interpretive indicator. Biblical authors use the term Israel without categorical distinction for the existential continuity of the listener’s present and past events. Thus, the identity and origin of Israel can be vagu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trospectively trace traces of memories beyond hisIsrael’s torical relics and data to find a factual and linguistic basis for Israel’s identity and origin. To this end, the researcher used non-biblical data (reading of ancient monuments and the possibility of recent interpretation), archaeological records of Palestine, and a method of synthesizing data in the Bible. Ugarit’s list of the warriors (end of the 13th century BC) reveals that the name “Israel,” which includes the deity “El,” was not an unfamiliar name in the region of the Levant. In the Merenphtha Stele (1209/8 BC), Israel refers to human groups, not regions or territories. However, this stone monument does not tell whether Israel had a single origin. The monument of Salmaneser III (853 BC) and the monument of Mesa of Moab (840 BC), respectively, indicate that since the mid-9th century, Israel has exercised power on the stage of history as a political entity occupying a region in northern Palestine. Ancient data from the 12th century BC to the middle of the 9th century BC remain silent without directly mentioning Israel. In order to trace the traces left in the memory of the worldview, the researcher looked at the naming method of peoples, one of the old linguistic conventions, and revived the interpretive meanings engraved in the memories of the time beyond linguistic expressions. The nomenclature for nations includes: 1) nomenclature according to the origins or regions (Edom, Moab, Ammon), 2) nomenclature according to historical background (Philistines), 3) nomenclature according to cities (Duro, Sidon, Assyria, Babylon). All the neighboring peoples in the Canaanite basin-except for the Philistines-were based on their ancestor names, but all the Mesopotamian civilizations and neighboring countries followed the city nam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signation of Israel, Israel had both the ancestral name and the geographical name. Therefore, from the beginning, this designation had nothing to do with the political entity and the state. Thus, this designation dates back to before the period, not after the period of the kingdom or the period of captivity. The idea of “Israel” as a human group based on a certain degree of homogeneity that it originated from an ancestor, was assigned a specific area by God was inherent. In conclusion, the study of the designation of nations in the Bible clearly expresses the origin of Israel based on homogeneity and the identity of God assigned the land to live in. Therefore, the existing general view of the use of this designation as the period of state formation or post-captivity should be revised.

      • KCI등재

        이스라엘과 하마스 전쟁의 역사적 배경

        임형백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3 다문화와 평화 Vol.17 No.3

        This paper examines the causes of the Israel-Hamas war that broke out in 2023. The parties to the 2023 war are Israel and Hamas, but the Israel-Hamas war is the total result of humanity's crimes and deception that have accumulated over thousands of years. This is by no means a problem only for Israel and Hamas. Throughout long history, any nation or race has sometimes been a victim and sometimes a perpetrator. Today, Israel and Palestine are hostile to each other and constantly fight. However, although Israelis and Palestinians have different names (Jehovah and Allah), they worship the same God and have a common ancestor named Abraham (in Qu’ran, Ibrahim). While the Jews (then Hebrews) were victims of slavery in ancient Egypt, they were invaders to the Canaanites they arrived with after escaping from Egypt. A representative battle was the Battle of Jericho. According to what is described in the Bible, the Hebrews invaded the peaceful city of Jericho and killed everyone, including the elderly and children. Moreover, Jews, Canaanites, and Arabs all belong to the Semitic tribe. On October 7, 2023, war broke out between Israel and Hamas. The direct cause was an attack by the Palestinian armed group Hamas. Hamas massacred Israeli civilians and kidnapped hostages. It is an inexcusable act against humanity and a crime. However, on the same day, the Harvard Palestine Solidarity Group (HPSG) at Harvard University issued a statement condemning Israel. Moreover, 35 organizations signed this. This is difficult to understand when considering Hamas' massacre and kidnapping of civilians. This requires understanding many other aspects in addition to the bad relationship between Israel and Palestine. This paper first compared Islam, Arab countries, and the Middle East. Islam, Arab, and Middle East are concepts that have common denominators and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but they are different concepts and require a clear distinction. The conflict between Sunni and Shia within Islam is no less severe than the conflict between Islam and Christianity. The regime change between opposing sects within Islam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regime change between political parties in Western countries. Originally, Islam is a peaceful and equal religion. Islamic hardliners or militant groups by no means represent all of Islam. Second, we looked at the Jews. Ancient Jews and modern Jews were examined. Modern Jews exist in several sects and are a religious people rather than a blood people. And there are also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between factions. Third, anti-Semitism and Zionism were examined. Fourth, the causes of the Israel-Hamas war were examined. We examined seven causes of discrimination against Jews, secret treaties and political intrigues of powerful countries, interference with the interests of powerful countries, construction of Israeli settlements, US pro-Israel policies, Arab division, and Arab backlash. The direct cause of today’s conflicts in Arab countries was created by Western powers(countries). It is a paradoxical situation that Western countries, which sowed the seeds of current conflict through past colonial rule, talk about democracy and peace. Demanding ethics and humanity from Israel and Palestine, who are fighting a war for survival in the swamp of death created by Western powers, is a hypocritical act that forgets the past. 이 논문은 2023년 발발한 이스라엘과 하마스 전쟁의 원인을 살펴보았다. 2023년 전쟁의 당사자는 이스라엘과 하마스이지만,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은 수 천년간 축적되어온 인류의 범죄와 기만의 총체적 결과물이다. 결코 이스라엘과 하마스 만의 문제가 아니다. 오랜 역사 속에서 어떤 민족이나 종족이던 때로는 피해자가 되고 때로는 가해자가 된다. 오늘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서로 적대시하고 끊임없이 싸운다. 그러나 이스라엘인과 팔레스타인인은 (여호와와 알라로) 명칭은 다르지만 같은 신을 섬기며, 아브라함(코란에서는 이브라힘)이라는 공통의 조상을 가진다. 유대인(당시 히브리인)은 고대에 이집트에서는 노예로 생활한 피해자였던 반면, 이집트를 벗어나 그들이 도착한 가나안 사람들에게는 침략자였다. 대표적인 전투가 예리코 전투였다. 성경에 묘사된 그대로를 따르면 히브리인들은 평화롭게 살고 있는 예리코(Jericho)에 쳐들어가서 노약자와 어린아이까지 모두 죽였다. 더구나 유대인, 가나안인, 아랍인은 모두 셈족에 속한다. 2023년 10월 7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에 전쟁이 발발했다. 직접적인 원인은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의 습격이었다. 하마스는 이스라엘 민간인을 학살하고 인질을 납치했다. 변명의 여지가 없는 반인권적 행위이고 범죄이다. 그런데 같은 날 하버드대학교의 하버드 팔레스타인 연대 그룹은 이스라엘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더구나 여기에는 35개의 단체가 서명을 했다. 하마스의 민간인 학살과 납치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이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악연 이외에 다른 많은 부분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이 논문은 첫째 이슬람, 아랍, 중동을 비교했다. 이슬람, 아랍, 중동은 공통분모가 있고 혼용되기도 하는 개념이지만, 서로 다른 개념이고 명확한 구분이 필요하다. 이슬람교 내에서 수니파와 시아파의 갈등은 이슬람교와 기독교의 갈등 못지 않다. 이슬람교 내에서 대립되는 종파간의 정권교체는 서구국가의 정당간의 정권교체와는 전혀 다른 것이다. 원래 이슬람교는 평화롭고 평등한 종교이다. 이슬람 강경파 또는 무장조직이 결코 전체 이슬람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둘째 유대인을 고찰하였다. 고대 유대인과 현대 유대인을 고찰하였다. 현대 유대인은 몇 개의 분파가 존재하며, 혈연적 민족이라기 보다는 종교적 민족이다. 그리고 분파들 사이에도 대립과 갈등이 존재한다. 셋째 반유대주의와 시오니즘을 고찰했다. 네 번째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의 원인을 고찰했다. 유대인에 대한 차별, 강대국의 비밀조약과 정치적 음모, 강대국의 이권 개입, 이스라엘 정착촌 건설, 미국의 친이스라엘 정책, 아랍의 분열, 아랍의 반발의 7개의 원인을 고찰하였다. 오늘날 아랍에서의 분쟁의 직접적인 원인은 서구국가들이 만들었다. 과거 식민지배를 하면서 현재의 갈등의 씨앗을 뿌린 서구국가들이 민주주의와 평화를 이야기하는 것은 역설적인 상황이다. 서구 열강이 만들어 놓은 늪에서 생존을 위한 전쟁을 하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게 윤리와 인류애를 요구하는 것은 과거를 망각한 위선적 행동이다.

      • KCI등재후보

        이스라엘 군대의 정신전력 연구 : 지속과 변화를 중심으로

        조우찬(Cho, Woo-chan) 국방정신전력원 2019 정신전력연구 Vol.0 No.59

        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적, 문화적 전통과 결속을 강조하는 이스라엘 군대교육의 목적과 방향을 분석하면서 군대교육의 지속과 변화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이스라엘은 다른 문화권에서 찾아보기 힘든 종교의식을 바탕으로 한 국민적 일체감을 가지고 있다. 이스라엘 국민들은 국가에 대한 자긍심이 매우 높은 편이다. 다시 말해서 이스라엘 국민들은 선민의식을 바탕으로 한 유대교 신앙이 어려서부터 가정교육을 통해 이루어지며 개인의 생활 속에 신앙심이 깊게 체화되어 있다. 종교적 특성이 매우 강한 국가인 이스라엘은 아랍 국가들에 둘러싸여 있는 상황에서 생존을 위한 크고 작은 전쟁을 치러왔다. 이처럼 이스라엘은 종교국가와 병영국가의 특징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군대에서 실시되는 교육은 이스라엘 국민이자 군인으로서의 통합을 지향하고 있다. 한편, 군대교육 역시 본질적으로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연장선이자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스라엘 국민들은 종교적인 공통분모 외에 다양한 국가에서 이주한 출신 배경을 갖고있다. 따라서 이스라엘 군대에서는 이스라엘 국민이자 군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통합시키기 위한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정신교육을 중시하고 있다. 탈권위적인 군대문화를 가진 이스라엘 군대교육은 역사 유적인 ‘마사다’ 등지를 방문하고 국토순례를 실시한다. 따라서 군대에서는 별도의 신념화 교육에 주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의 군인이자 시민이라는 측면에서 통합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스라엘 군대교육의 목표는 장병의 용기와 사기를 진작시키는 교육을 통해서 군인들의 일체감을 부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군인들에게 교류와 소통이 중시되는 문화 활동을 소개하고 장려하면서 공감대와 일체감을 제고시키고 있다. 이스라엘 군대는 이스라엘의 건국이념 계승과 영토 수호를 위해서 국가의 가치를 실현하는 군인이자 민주시민으로서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스라엘 군대는 국토방위라는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면서 국가 존립이라는 명제를 군대교육에서 재확인한다고 할 수 있다. 군대에서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새롭게 제시하는 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교육과 사회교육과 맥을 같이 하는 군대교육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inuation and the change of military education, while examining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Israeli military education, emphasizing religious and cultural traditions and solidarity. Israel has a sense of national unity based on religiou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at are rarely found in other cultures. Israelis are very proud of their country. In other words, Israeli people are embodied in a Jewish faith based on a elitism. Israel, a country with very strong religious characteristics, has been waging a big and small war for survival, with Arab countries surrounded. As such, Israel combines the characteristics of a ‘religious nation’ and ‘garrison state’, and its military education aims to integrate itself as an Israeli citizen and a soldier. On the other hand, military education is also an extension and a microcosm of school and social education. In addition to their religious common denominator, Israelis have backgrounds from various countries. Therefore, the Israeli military values mental education in order to strengthen and integrate its identity as an Israeli citizen and a soldier. The education of the Israeli military with a deauthoritarian military culture visits historical remains such as ‘Masada’ and holds a tour of the country. Therefore, the military emphasizes unity in terms of being an Israeli soldier and citizen, not focusing on a separate belief-building education. The goal of the Israeli military education is to give the soldiers a sense of unity through an education that promotes the courage and morale. To this end, military is enhancing consensus and unity while introducing and encouraging cultural activities where exchange and communication are very important to soldiers. Israel"s Military focuses on its role as a soldier and citizen in realizing the nation"s values to uphold Israel"s founding principles and protect its territory. The Israeli military is training to reaffirm the proposition of national survival in military education while carrying out its own mission of homeland defense. In other words, military education does not provide a new education that shows loyalty to the nation, but it is in line with school and social education.

      • KCI등재

        이스라엘 군부의 정치개입 영향과 함의에 관한 고찰

        안승훈 한국중동학회 2014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35 No.2

        Israel's unprecedented successes as a political democracy and its economic development make it an abnormality in the modern world. Compared to other developing states in the Middle East, Asia and other regions, Israel has successfully established a modern state system. Since this achievement the Israeli military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state formation and development by helping to produce a modern state resembling that in the West. Before and after its independence Israel has faced external and internal security threats. These continuous security threats offered the Israeli military authority and a privileged status, not only as a defense establishment taking responsibility over national security, but also as a social integration entity for national unity by being entrusted with civilian tasks such as education, settlement, and the absorption of the hundreds of thousands of Jewish immigrants arriving in Israel. Due to the critical role the Israeli military plays in society,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the Israeli military has retained the public trust in which the military has exerted and expanded its influence and power. This power goes beyond the overall social and political sectors of Israel into the practical policy making related to security affairs by monopolizing the national security agenda. In particular, the several wars and military confrontations with "hostile" neighboring Arab states, as well as the recent low-intensity conflicts with armed non-state groups such as Hamas and Hezbollah, contributed to the justification of Israeli military involvement in politics and the career transfers of the military officers into the political sector. As a result, these trends have caused controversy over matters of separation of boundaries between politics and the military, civilian supremacy over the military, and Israel’s democracy in civil-military relations.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o research the role and structure of the military authority formed in Israel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Israeli society and to further understand the civilian-military relations strongly established in Israel. Therefore, based on these arguments, this research will proceed with the following aims, (1) to address the main perspectives of Israel's civil-military relations, (2) to examine the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military involvement in politics, and (3) to analyze the involvement mechanism of Israel's military authority in politics, and (4) to determine the influence and implications that Israel's military has had in politics and society. 본 연구의 목적은 이스라엘 군부의 정치 개입에 대한 근거와 정치 개입 메카니 즘(Mechanism)을 분석함으로써 이스라엘 군부와 이스라엘 정치 영역과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민군 관계(Civil-Military Relations)에 대한 연구는 제3 세계 민주주의와 정치 발전 연구의 중요한 주제중의 하나이다. 특히 1950년대 후 반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의 다수 신생국가들의 정치 발전 과정 중에 발 생한 군부의 강제적인 정치 개입은 이들 국가들의 정치발전에 긍정적이던 부정적 이던 큰 영향을 끼쳐왔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경우, 제3세계 신생 국가들에서 볼 수 있는 군부의 정치개입 이 전혀 다른 양상을 띠며 발전하였다. 즉 이스라엘 국가 건설 과정 속에서 필연적 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었던 주변 아랍 국가들과의 분쟁은 안보 영역뿐만 아니라 민간 영역에서 군부의 영향력 확대를 초래하였고, 1967년 6월 전쟁과 198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팔레스타인 무장단체들과의 저강도 분쟁(Low-Intensity Conflicts)은 군부의 정치적 영향력을 강화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특히 “이스라엘 안보주의(Israeli Securtism)”은 디아스포라, 홀로코스트와 같은 유태인들의 역사적 경험과 이스라엘 국가 건설의 양대 이데올로기였던 시온주의 와 유대주의와 유기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이스라엘 군부는 민간 영역의 묵시적인 동의와 합의를 바탕으로 다른 어떤 사회조직보다 강력한 권위와 권한을 이끌어 내 는데 성공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이스라엘 군부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는 달리, 군부의 영향력 확대는 이스라엘의 대 팔레스타인 정책과 더불어 ‘이스라엘 민주주 의’ 비판에 단초를 제공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스라엘 군부의 정치 개입에 대한 근거와 개입 메카니즘이 어떻게 형성되고 작동되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단순히 이스라엘 군부의 이론적 성격 분석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실제 국가 정책 결정 과정 속에서 군부의 정치 개입이 어떤 방식에 의해 진행되고, 확대 재생산되는지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이스라엘 군부의 정 치 충원에 대한 통계적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하 였다.

      • KCI등재

        하마스와 이스라엘의 회복

        송영목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3 신약연구 Vol.22 No.4

        God Almighty is the only mediator, judge, and sovereign Lord who can transform weapons factories into agricultural implement factories and ends wars among nations (Isa 2:4; 9:6; Micah 4:3). However, on October 7, 2023, when the war between Ukraine and Russia continued for more than a year, Hamas, a Palestinian Sunni resistance movement, attacked Israel on all fronts, and both sides suffered numerous casualties in the ensuing war. At early stage of this war, Yuval Harari took an anti-government stance by stating that if Israel were to defeat Hamas, the Israeli people would have to oppose Prime Minister Netanyahu's ‘populistic conspiracy’ and ‘messianic fantasy.’ Contrary to these criticisms, the United States immediately supported Israel, and many Christians around the world also supported Israel. What is the biblical basis for Christianity’s support of Israel? Is it because the restoration of the chosen people of Israel, as prophesied in the Old Testament, must be accomplished in the land of Palestine? (Isa. 49:8; 59:21; Jer. 16:15; 31:34; Amos 9:11-15; Acts 1:6; Rom 11:26). The reason why the restoration of Israel is so complicate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srael and the New Testament church (ecclesiology), Israel’s individual and collective salvation (soteriology), and Israel and the second coming of Jesus and the millennium (eschatology) are intertwined. This study examines replacement theology (supersessionism) and restoration theology, which have been struggling with the topic of the restoration of Israel, and then finds its meaning which appears throughout the New Testament. 전능하신 하나님은 무기 공장을 농기구 공장으로 변화시키고, 국가 간의 전쟁을 종식시키는 유일한 중재자이시자 재판관이며 주권자이시다(사 2:4; 9:6; 미 4:3). 그런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의 전쟁이 1년 넘게 지속되던 2023년 10월 7일, 팔레스타인의 수니파 저항운동 세력인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전방위로 공격했고, 이어진 전쟁에서 양측은 수많은 사상자를 내었다. 이 전쟁 초기에 유발 하라리는이스라엘이 하마스를 물리친다면, 이스라엘 국민은 네타냐후 총리의‘포퓰리즘적 음모’와 ‘메시아적 환상’을 반대해야 한다고 밝힘으로써반 정부 입장에 섰다. 이런 비판과 달리, 미국은 이스라엘을 즉각 지원했으며, 전 세계의 적지 않은 기독교인들도 이스라엘을 지지했다. 이처럼 기독교가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성경적 근거는 무엇인가? 구약의 예언대로 선민 이스라엘의 회복이 팔레스타인 땅에서 성취되어야 하기 때문인가?(참고. 사 49:8; 59:21; 렘 16:15; 31:23, 34; 겔 37; 암 9:11-15; 행 1:6; 롬 11:26). 이스라엘의 회복이 복합적인 문제인것은 이스라엘과 신약교회의 관계(교회론), 이스라엘의 개인 및 집단적 구원(구원론), 그리고 이스라엘과 예수님의 재림과 천년왕국(종말론)이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스라엘의 회복을 두고 씨름해 온 대체신학(replacement theology, supersessionism)과 회복신학(restoration theology)을 차례로 살핀 후, 신약성경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이스라엘의 회복을 개괄적으로 분석하여 그 의미를 찾는다.

      • KCI등재

        이스라엘 대표당사자소송법제의 발전과정 및 시사점

        함영주(Ham, Young Joo),이연주(Lee, Yeon Ju) 한국법학원 2012 저스티스 Vol.- No.132

        이스라엘은 영국의 팔레스타인 위임통치의 영향으로 1948년 건국 후 영국 민사소송법(English CPR)을 참조하여 이스라엘 민사소송법(IRCP; the Israel Rule of Civil Procedure)제정하였다. 이스라엘 민사소송법(IRCP)은 영국 CPR과 마찬가지로 집단소송에 소극적이어서 1988년 개별법에서 class action제도를 도입하기전까지 이스라엘 민사소송법(IRCP) 제29조가 집단소송의 유일한 법적 근거가 되었다. 그런데 이스라엘 대법원은 Frankisha Merka v. Robinowitz사건(1969)에서 이스라엘 민사소송법(IRCP) 제29조의 모델이 된 영국 민사절차법 명령 제15조 제12항의 규정이 이스라엘 민사소송법(IRCP) 제29조에 비해 더 엄격한 요건을 요구하고 있어 두 법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민사소송법(IRCP) 제29조를 영국법원의 영국민사절차법에 대한 해석과 동일한 취지로 판시하여 위 조항의 적용범위를 제한하였다. 이러한 법원의 태도는 1988년 이스라엘 증권법을 필두로 환경위험예방법(1992년), 영업제한에 관한 수정법(1992년), 개정소비자보호법(1994년) 등 개별법에 class action관련 조항이 삽입되도록 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개별법에 의한 class ation제도를 도입한 이후에도 이스라엘 법원은 class action의 인증신청을 판단함에 있어 부당한 class action을 인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점, 피고 기업이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점 및 소송의 진정한 승자는 원고 변호사가 될 수 있다는 점 등을 우려하여 인증신청의 대부분을 기각하였다. 그리고 인증신청을 받아들인 몇 안 되는 사건에서도 피고 기업이 원하는 내용대로 화해를 이끄는 등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였다. 특히 이스라엘 대법원은 The State of Israel v. E.S.T. Management and Manpower Ltd.사건(2003)에서 별도의 입법이 없는 한 이스라엘 민사소송법(IRCP) 제29조는 현대적 의미의 대표당사자소송(class action)의 근거가 될 수 없다고 명시적으로 판단함으로써 일반대표당사자소송제도의 입법이 시급하다는 인식을 확산시켰다. 이러한 배경 하에 2006년에 제정된 일반대표당사자소송법(Israel general class actions law)은 기본적으로 미국식의 class action을 모델로 하여 개별법에 의해 영역별로 적용되던 대표당사자소송시스템을 하나의 방식으로 통일하였다. 이 법은 대표당사자소송법의 활성화와 공정한 운영을 목적으로 제정되었고, 이러한 목적에 맞추어 개방적인 청구원인, 인증, 대표, 사건관리, 화해, 기금, 소송비용 등에 대한 자세한 규정을 두고 있다. 이스라엘에서 일반대표당사자소송법이 제정되고 시행된 과정은 앞으로 우리나라의 집단소송제의 입법에 있어서 상당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향후 우리법의 제?개정 과정에서 이스라엘 집단소송법에서 보여준 보통법과 시민법을 조화롭게 구성한 방식, 화해검증인제도, 공익의 대표자(public agency) 제도 등의 방식은 적극적으로 참조할 필요가 있다.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e, Israel enacted the Israel Rule of Civil Procedure(IRCP) based on the English Civil Procedure Rules and influenced by British mandate in Palestine. Because IRCP was very passive about group litigation, rule 29 of RCP provide the only formal rule on which litigants could rely on an attempt to pursue representative group litigation until 1988. And in Frankisha Merka v. Robinowitz(1969) case, Israeli Supreme Court adopted a restrictive view in interpreting the rule 29 of IRCP. This passive and restrictive attitude of the Court caused major revision on sector-specified group litigation mechanisms of the Securities law(1988). Court dismissed most of the application for certification of an action as a class action even after those changes. Judges were afraid of certifying class actions that may cause enormous damages to the defendant and end in when lawers are the only winners. In the State of Israel v. E.E.T Management and Manpower Ltd(2003), the Israeli Supreme Court held that Rule of 29 is not a legal basis for representative group actions. This opinion of the supreme court also made in clear that legislating general class action law is urgent and indispensable. The 2006 General Class Actions Law in Israel replaced the entire system of sector-specific provisions. The 2006 Israel law adopted an American style class actions system that caters to interests of defendants in class actions and tries to balance interests between parties to class actions and the public. The law aimed to create a drastic change to the preexisting caselaw. What we learn from the experience of Isral class action law is that Korean class action system needs such a revision. The idea of mixing common law and civil law and adopting the systems of settlement examiner and of public agency could be a useful guide for such revision.

      • KCI등재

        The Role of the Israeli Security Community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Israel: The Oslo Peace Process as a Case Study

        안승훈(Ahn, Sung-Hun) 한국중동학회 2021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42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이스라엘 안보 공동체를 중심으로 이스라엘 외교·안보 정책에 있어 이스라엘 안보공동체의 역할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오슬로 평화 협상 과정을 연구 사례로 선택하여 이스라엘 안보공동체 하의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협상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스라엘 안보공동체는 이스라엘의 독특한 외교·안보정책 결정체제로 이스라엘 군 장성 출신의 정치 집단과 이스라엘 군 지도부로 구성된 정책 네트워크이다. 이스라엘 안보공동체를 구성하는 이 두 집단은 안보 우선주의를 바탕으로 이스라엘 외교·안보 정책을 결정하며 특히 1993년 이후 약 8년 간 지속된 오슬로 평화협상을 주도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1992년에 출범한 이츠하크 라빈 정부(1992-95)부터 2001년 에후드 바락 정부(1999-2001)까지 오슬로 평화협상 과정 동안 이스라엘 안보공동체의 역할과 정책 개입 과정을 분석할 것이다.

      • KCI등재

        역대기 저자의 기울어진 ‘온 이스라엘’ 사상

        서기태(Ki-Tae Seo)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4 신학사상 Vol.0 No.204

        이 논문의 논지는 역대기 저자의 북이스라엘에 대한 관점은 포용적이면서도 배제적이라는 것이다. 역대기 저자는 ‘저본’(底本)을 수정 가감하고 재해석하며 독자적인 자료들을 활용하여 북이스라엘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잘 드러냈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핵심 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대상 1-9장의 12지파 족보와 요셉의 장자권 인정, 예루살렘에 거주하는 에브라임과 므낫세 사람들에 대한 언급은 역대기 저자의 북이스라엘 포용적인 관점을 보여준다. 둘째, 역대상 1-9장의 유다(분량 면에서)와 레위(중심적 위치 면에서) 지파 중심의 족보 서술은 역대기 저자의 남유다 중심의 온 이스라엘 사상을 보여준다. 셋째, 족보에 언급되어 있는 북지파의 땅에 대한 언급은 북이스라엘을 포용하면서 북이스라엘의옛 영토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기 위함이다. 넷째, 역대기 저자는 북이스라엘 왕과 엘리야-엘리사 내러티브를 의도적으로 배제하였는데, 그 이유는 이 내러티브들이 역대기 저자의 다윗 언약 신학과 예루살렘 중앙 성소 사상과 상치하기 때문이다. 역대기 저자는 북이스라엘 지파들을 에스라-느헤미야 시대처럼 대적하지 않고 포용은 했지만, 이들이 예루살렘 성전 제의를 받아들이지않는다면 진정한 이스라엘에서 배제된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역대기 저자는 온 이스라엘은 다윗 왕조와 예루살렘 성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역설한다. 이런 측면에서 역대기에는 일종의 질서 신학이 자리 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역대기 저자의 중요 관심 순서는 성전과 다윗 왕조가 첫 번째이고, 온 이스라엘은 그다음이다. 다윗만이 온 이스라엘의 왕이고 예루살렘 성전만이 온 이스라엘의 성소이다. 따라서 역대기 저자의 신학 사상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예루살렘과 다윗이 이스라엘을 정의한다.” This thesis posits that the Chronicler’s portrayal of Northern Israel embodies a dual approach of inclusivity and exclusivity. Through revisions, additions, deletions, and reinterpretations of the ‘original text,’ the author of Chronicles articulates a nuanced perspective on Northern Israel, employing his own narrative strategies to elucidate his viewpoints. The evidence supporting this assertion is multifaceted. Firstly, the genealogical listings of the 12 tribes in 1 Chronicles 1-9, acknowledgment of Joseph’s primogeniture, and references to Ephraim and Manasseh inhabitants in Jerusalem illustrate the Chronicler’s inclusive stance towards Northern Israel. Secondly, the emphasis on the tribes of Judah and Levi in these genealogies, in terms of their numerical predominance and pivotal role, respectively, indicates a vision of a unified Israel pivoting around Southern Judah. Thirdly, mentions of the Northern Tribe’s lands within these genealogies are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encompass Northern Israel while asserting a claim over its historical territories. Fourthly, the omission of Northern Israel’s monarchy and the Elijah-Elisha stories, due to their discordance with the Chronicler’s theological framework centered on the Davidic covenant and the primacy of the Jerusalem sanctuary, underscores an exclusionary dimension. Contrary to the outright opposition seen in the Ezra-Nehemiah period, the Chronicler adopts a stance of conditional inclusion towards the Northern tribes, predicated on their acceptance of the Jerusalem Temple’s centrality. Thus, the narrative emphasizes a theological vision where the Davidic dynasty and the Jerusalem Temple are foundational, suggesting an ordered hierarchy of religious significance. In this schema, the sanctity of the Temple and the legitimacy of the Davidic lineage precede all other considerations, with David being the sole monarch of all Israel and the Jerusalem Temple serving as the universal sanctuary. This theological perspective can be succinctly encapsulated by the statement that “Jerusalem and David define Israel,” signifying the Chronicler’s interpretative framework that prioritizes the unification of Israel under these central instit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