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이념 인식의 단기 변동성: 18대 대선 패널 데이터 분석

        강신구 ( Shin Goo Kang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3 韓國 政治 硏究 Vol.22 No.3

        유권자의 투표행위를 합리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이론들은 일반적인 유권자들이 다양한 정책쟁점들에 대한 후보들의 입장을 꼼꼼히 살피고 비교하는 것이 어려울 뿐 아니라 비효율적이기에 ‘이념’(ideology)을 정보비용을 절감하는 도구로 활용하여, 이념적으로 가깝거나, 방향적으로 일치하는 후보를 선택하는 이념투표가 자연스러운 동시에 규범적으로 바람직한 현상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이처럼 이념투표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기 위해서는 유권자들이 본인과, 경쟁하는 정당 혹은 후보의 이념 성향, 즉 이념적 차원에서의 위치를 비교적 정확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선결조건으로 한다. 이 글에서 우리는 2012년 18대 대선을 전후하여 약 5개월의 기간을 두고 실시?수집된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유권자가 평가하는 본인과 두 후보의 이념인식의 변화양상과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본인과 두 후보, 이렇게 모두 세 이념 인식이 짧은 기간 동안 상당한 정도의 단기변동성을 보였을 뿐 아니라, 그 변화의 방향 또한 유권자가정서적으로 더 큰 호감을 느끼는 후보에 대해서는 그 후보와의 이념적 거리를 상대적으로 더 가깝게, 반대의 후보에 대해서는 이념적으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체계적인 경향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이념투표를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이론들이 기대하는 ‘합리적인 유권자’보다는, 다른 이유에 의한 투표선택을 유권자의 주관적 이념 근접성으로 ‘합리화하는 유권자’(rationalizing voter)에 한국인 유권자의 모습이 더 가깝다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로 보인다. Theories of rational voting behavior have argued that ideological voting is empirically natural as well as normatively desirable, since it is difficult and even inefficient for ordinary voters to compare potential benefits and costs of individual policy alternatives offered by competing candidates and parties in elections. In that case, it would be wise to use ideology as an informational cue. In order for this positive view to be held, however, it is necessary for ordinary voters to be able to perceive the ideological positions of the candidates and their own, correctly and stably. This paper analyzes short-term .uctuations of the ideological perceptions based on the panel survey data collected through the 5-month period surrounding the 18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in 2012. The results show that the ideological self-identi.cation as well as the voter`s perception of candidate ideological position show not only signi.cant level of .uctuation in a relatively short time period but also some systematic patterns of change. That is, voters tend to perceive the ideological distance as short for their favored candidate and as distant for the candidate that they dislike. We believe this result suggests that both of the projection and the persuasion mechanisms are working in the voter`s ideological perceptions.

      • KCI등재

        복지정책이념과 정책수단 선택에 관한 실증연구

        김권식(Kim, Kwon-sik) 서울행정학회 201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4 No.1

        본 연구의 연구주제는 정책수단 선책 영향요인으로서의 이념(idea)에 관한 것이다. 한 정치체계의 이념적 요소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인 대통령 정책이념, 집권세력의 이념적 정향, 그리고 정치체계의 이념적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외생적 사건 등의 요인들이 특정 정부 시기별로 어떠한 이념적 차이를 야기하며, 이러한 이념적 성향의 특성이 정책수단 선택 패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 주제의 핵심 주제이다. 이에 따라 역대정부 기간을 산업화 시기(박정희, 전두환 정부), 민주화시기(노태우, 김영삼 정부), 진보정권기(김대중, 노무현 정부)로 구분하여 각 기간별로 정책이념의 특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권기간별 이념의 차이가 실제 정책수단의 선택에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Hood의 분류론(NATO 모형)을 기초로 한 다섯가지 정책수단 유형분류에 따라 분석하였다. 첫 번째 연구가설은 크게 민주화시기를 그 이외의 시기와 비교함으로써 정치체계에 가해진 민주화라고 하는 외생적 충격과 집권세력 및 대통령의 교체라고 하는 정치체계 내부적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어떠한 이념적 성향을 형성하며 그 결과 정책수단 선택 패턴에 어떠한 특징이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두 번째 연구가설은 진보주의 이념을 표방하고 있는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 시기를 다른 정부시기와 비교하는 것으로 대통령 및 집권세력과 같은 정책결정 담당자들의 이념적 성향이 정책수단 선택 패턴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분석 결과, 민주화시기의 정부기간에는 규제의 선택이 산업화시기에 비해 감소하였고, 규제완화가 증가하며 정보적 수단과 조직형 수단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보정권기에 들어서면서 규제의 감소폭이 이전보다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규제완화 증가 경향도 이전보다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정보형 수단의 선택가능성이 다른 시기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어 민주주의의 심화, 제도화 및 정책과정에서의 시민참여의 활성화로 인한 새로운 정책수단 선택 패턴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influencing welfare policy ideas, using policy instrument taxonomies derived from political science theories. The first research hypothesis is related to the effects of the era of democratization, beginning in 1987. The democratization era includes the periods of both the Roh Taewoo and Kim Youngsam governments, i.e., the Sixth Government and the Civilian Government. The Second hypothesis deals with the matter of welfare policy ideas according to different governmental periods. For this purpose governments which publicly expressed progressive ideas in the field of healthcare policy, i.e., the Kim Daejung and Roh Moohyun governments, are considered to be part of the period of progressive ideas. Empirical analysis are carried out using a binary logit model, and the categories of Hood’s taxonomy (NATO model) are used as endogenous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pattern of policy tool choices before and after democratization; in the era of democratization, regulations decreased, while the types of deregulation, information and instruments increased. This patter of policy tool choice continued to develop as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played out and levels of citizen participation settled down. Secondly, in the era of progressive governments, the process of deregulation continued, while the use of information tools was expanded. This means that the degree of democratization, and settling down of citizen participation impact upon the process of policy tool choic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ory development on welfare policy ideas, and choice of policy tools through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healthcare policy legislative process.

      • KCI등재

        한국 유권자의 이념성향의 변화와 이념투표

        이내영(Nae-Young Lee)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09 평화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유전자의 이념성향의 변화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2004년 이후의 주요 선거에서 이념의 효과가 시기에 따라서 어떻게 변화하고 이러한 변화를 초래한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 가지의 이념투표 모델을 제시하고 각각의 모델에서 이념투표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로는 우선 2004년 이후의 한국의 주요 선거에서 이념은 사람들의 정당이나 후보에 대한 선호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변수로 지속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2004년 선거에 비교하여 최근 선거에서는 이념투표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도 나타났다. 이렇게 이념투표의 효과가 감소하는 주요 이유로는 노무현 정부에 대한 실망감으로 인한 진보성향 유권자의 지지선회, 중도성향 유권자의 비율 증가, 정당의 분극성(party polarization)의 감소라는 세 가지 이유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다른 핵심 결과는 세 가지 이념투표 모델 중에서 근접성 모델에 따른 이념근접성 변수는 모든 선거에 걸쳐서 투표선택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주관적 이념성향 변수와 이념방향성 변수의 영향력은 최근 선거로 올수록 투표선택에 미치는 효과가 감소하는 것이었다.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hanging ideological orientations of Korean voters, and to analyze how and why ideological factor has affected voting choice of Korean voters in major elections since 2004. To do so, three theoretical models for ideological voting are suggested and compared in measuring the effect of ideology in voting choice. As a result of analyzing various survey data, this paper shows major findings as follows. Firstly, ideology has consistently affected voting choice of Korean voters in major elections. Secondly, the effect of ideology has declined in recent elections than in the 2004 election. Final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ree theoretical models, the effect of ideological proximity on voting choice has been shown consistently throughout the elections, whereas the effect of subjective ideological orientation and ideological directionality has diminished in recent elections.

      • KCI등재

        이념 스펙트럼의 한국적 진화

        김재한 한국통일전략학회 2017 통일전략 Vol.17 No.1

        Division and confrontation is a universal phenomenon of the human society. The left-right political spectrum is a classic system of assorting political ideologies, associated with such confrontation. Leftist values include equality, progress, reform, trade unionism, right, minority human rights, redistribution, social justice, government intervention, communism, socialism, anarchism, social democracy, multiculturalism, and internationalism. On the other hand, rightist values contain hierarchy, conservatism, reaction, family, obligation, tradition, private property, free-market, deregulation, capitalism, monarchism, fascism, Christian democracy, imperialism, and nationalism. South Korea is one of the few countries that divide political ideologies in technical terms as “progressive or conservative” instead of “left or right.” In South Korea, not only is the spectrum of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which emphasize procedural democracy and substantial democracy, respectively, but also the spectrum of pro-government and pro-opposition which are linked with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respectively. Due to its national division of 1945 and civil war of 1950, Korea’s spectrum of political ideology is distinctive in its own way. The general standard of political ideology in South Korea is its attitude towards the North Korean regime. Perception on North Korea,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China is a major element determining political ideology alongside with region and age group. The ideology spectrum in South Korea is quite exceptional; whereas the progressives lay value on nationalism, the conservatives emphasize North Korean human rights. As shown through the case of Kaesong Industrial Complex, South Korea’s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are more concerned about the influence of North Korean workers on the regime stability in North and South Korea rather than their impact on South Korea’s capitalists and workers. Policies towards of North Korea have worked as a valence issue, a position issue, or a wedge issue in South Korean politics. Stances over North Korea need to be compatible with each other in order to avoid fierce conflicts between ideologies. 분열과 대립은 인간 사회의 보편적 현상이다. 그런 대립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스펙트럼은 좌-우 이념이다. 좌익적 가치는 평등, 진보, 개혁, 조합, 권리, 소수인권, 재분배, 사회정의, 정부규제강화, 공산주의, 사회주의, 아나키즘, 사회민주주의, 다문화주의, 국제주의 등인 반면, 우익적 가치는 위계질서, 보수, 반동, 가족, 의무, 전통, 사유재산, 자유시장, 정부규제완화, 자본주의, 군주주의, 파시즘, 기독민주주의, 제국주의, 민족주의 등이다. 대한민국은 전문가들이 이념 스펙트럼의 명칭으로 좌-우 대신에 진보-보수를 사용하는 거의 유일한 국가이다. 한국에서는 절차적 민주주의와 실질적 민주주의를 각각 중시하는 보수-진보 스펙트럼뿐 아니라, 집단주의와 개인주의를 각각 중시하는 여성향-야성향 스펙트럼도 중요하다. 1945년 분단과 1950년 전쟁을 통해 한국의 이념 스펙트럼은 특수성을 띠게 되었다. 북한 정권을 어느 정도로 받아들여야 하느냐는 것이 그 중심 의제이다. 북한 및 통일에 관한 인식은 지역과 연령에 더해 남한 이념 스펙트럼의 주요 요소로 자리 잡아 있다. 북한부터 시작해서 미국 그리고 중국에 대한 태도까지 남한의 보수-진보 이념 구분에 포함되어 있다. 진보 진영이 단일 민족을 중시하고 보수 진영은 북한 인권을 중시하는 이례적인 이념 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있다. 개성공단 사례에서 보듯이 북한 거주 노동자의 활용에 대한 보수-진보 진영의 태도도 자본가나 노동자에 미치는 영향보다 남북한 정권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결정하는 경향이 있다. 이념은 정책의 향방을 알려주는 효율적인 정보인 동시에 추진 정책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다. 이념이 인물 중심의 패거리로 작동하면 이념의 양립 가능성을 낮추어 불안정한 체제가 된다. 체제 파괴적 이념을 제외하고 이념 간에 양립 가능성이 높은 스펙트럼을 구축해야 한다. 대북 정책은 남한 내 이념 성향을 구별 또는 분열하는 기준으로 작용하여 왔고 앞으로도 그럴 수 있다. 통일 문제가 이념 진영 간에 좀 더 공감되어야 정치적 악용이나 과도한 이념 대립을 해소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기자들의 이념 성향과 이념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남재일(JaeIl Nam),이강형(GangHeong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8 No.-

        이 연구는 한국 기자들의 정치 이념 성향의 분포와 정권별 변화추이 및 이념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노무현 정권, 이명박 정권, 박근혜 정권, 이 세 시기의 차이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연구방법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이 2005년, 2009년, 2013년에 실시한 전국 기자 인식조사의 이념성향 관련 항목에 이차적 통계분석을 했다. 분석 결과, 한국기자들은 자신의 이념성향을 중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하지만 소속사의 이념성향은 자신의 이념성향보다 보수적으로 인식했으며, 실제 사회현안에 대한 입장에 반영된 이념성향은 자신이 인식한 이념성향보다 진보적이었다. 정권별 변화 추이에 나타나는 일관된 특징은 정권이 보수화되면서 자신의 이념성향 인식도 보수화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박근혜 정권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념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신의 이념성향 인식과 소속사의 이념성향 인식이 약간 달랐다. 자신의 이념성향 인식은 소속사의 이념성향, 전문직 만족도 등이 영향을 미쳤지만, 복지만족도가 영향을 미치진 않았다. 하지만 소속사의 이념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신의 이념성향과 복지만족도로 전문직 만족도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Korean Journalists’ distribution and change of political ideology according to the types of government for 15 years and the influential elements on the ideology and its change. We used and analyzed the survey data which have been collected toward korean journalists by the Korean Press Foundation in 2005, 2009 and 2013.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journalists generally regard themselves as politically moderated in the ideological spectrum while having a little bit more liberal position on the major current issues than their political ideology. On the hand, korean journalists’ ideology have changed into more conservative direction as the government became more conservative. Finally, it has been found that the ideological inclinations of the journalists’ company and the satisfaction of their professionalism has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political ideology. However, these two influential elements did not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journalists’ evaluation of their company’s ideological inclinations.

      • KCI등재

        한국 국민의 이념성향

        이현출(Hyunchool Lee) 한국정치학회 2005 한국정치학회보 Vol.39 No.2

        이 논문은 2002년과 2004년에 실시된 여론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인의 이념성향의 특성과 변화를 분석하고, 정책이슈를 횡단하는 기저에 존재하는 이념체계의 복합적인 구조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10가지의 핵심적인 정책이슈에 대한 이념성향 분석을 통해 한국인의 이념성향에 대한 몇 가지 중요한 특징을 발견하였다. 아울러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정치, 경제, 사회차원이 아닌 정책이슈를 횡단하는 기저에 복합적인 구조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기존의 대북ㆍ안보 문제를 둘러싼 냉전ㆍ권위주의적 차원 외에도 신자유주의, 평등주의, 탈물질주의적 가치 차원의 이념적 대립축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발견점은 기존의 연구에서 정치적 차원만이 오늘날 이념적 갈등으로 표출되고 있다고 주장되어 왔으나, 이제는 여기에 더해 신자유주의 차원과 평등주의 그리고 탈물질주의 차원에서도 새로운 이념갈등이 전개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the features of Koreans' ideological disposition and its changes based on surveys conducted in 2002 and 2004. This study find out the recent's polarization and its backgrounds that can explain the current ideological standoff in Korean society more completely than was previously possible. Through an analysis of ideological disposition on ten policy issues, this study has found several patterns to Koreans' ideological disposition. In addition,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re are several fundamental ideological factors that affect policy issues. They can be categorized as cold war/authoritarianism, neo-liberalism, egalitarianism, and post-materialistic values. In contrast to previous approaches, which focused only on the political dimension, the approach this study has used here is meaningful because it adds neo-liberalism, egalitarianism, and post-materialistic values as new factors that can explain the current ideological standoff in Korean society more completely than was previously possible.

      • KCI등재

        한국의 대중국 인식에 대한 이념의 영향

        차정미(Cha, Jungl-Mi)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7 亞細亞硏究 Vol.60 No.2

        본 논문의 핵심 목적은 한국인들의 이념적 성향이 대중국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1992년 한중수교 이후부터 현재까지 언론 및 연구자료 등을 통해 발표된 여론조사내용 중 이념성향과 대중국 인식 관련한 결과를 종합하고, 비교분석하여 한국의 대중국인식에 이념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논문은 비교분석결과를 토대로 진보에서 보수까지 이념적 성향이 대중국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변수임을 밝힌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대중국 인식에 대한 이념의 역할이 점차 강화되어 왔다는 점과 둘째, 진보층의 대중국 선호도가 보수층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 셋째, 진보이념의 대중국 인식에 대한 영향이 보수이념보다 약하다는 것을 발견한다. 즉 진보이념과 대중국인식의 상관성이 보수이념보다 약하거나 불안정한 양상을 보인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대중국 인식의 이념화가 대중국 인식이 전통적 외교이념 균열인 ‘반공 vs. 친북1 ’ ‘한미동맹 vs. 자주’ 와 중첩되면서 형성되었다는 점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대중국 인식을 둘러싼 이념균열은 전통적 외교이념균열에 중첩되어 나타나면서 외교정책 결정에 대한 국내적 여론균열을 반영하거나 혹은 강화하는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 and impact of ideology factors on the Korean perceptions toward China. This study inquires the role of ideology based on the various of survey data from media and research institutes after 1992 Sino-Korean diplomatic normalizat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ideology is a relevant variable to affect the Korean perceptions toward China. This study contends three findings about the role of ideology on Korean perceptions toward China. (1) The role of ideology on the Korean perceptions toward China has been strengthen (2) The liberals’ perceptions toward China is more favorable than the conservatives (3) The conservative ideology plays a more meaningful role on the perceptions toward China than the liberals. This study the ideological conflicts of Korean perceptions toward China has been strengthen by overlap with the two traditional ideological conflicts on Korean foreign policy. The one is an ideological conflicts on the North Korean Policy and the other is an ideological conflicts on the US policy.

      • KCI등재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원인

        이내영(Nae Young Lee) 한국정당학회 2011 한국정당학회보 Vol.10 No.2

        본 논문의 핵심 목적은 최근 한국 사회에서 심화되고 있는 이념갈등의 원인이 일반국민들 사이의 이념적 양극화 때문인지, 아니면 정치권에서의 이념 양극화 때문인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2002년부터 2009년까지의 다양한 여론조사자료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여 일반국민과 국회의원의 이념성향의 변화와 주요 정책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이 논문의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선 일반국민들의 이념성향의 분포는 역동적으로 변화하였다. 노무현 정부의 출범시기인 2002년 겨울부터 국민들의 이념성향의 분포에서 진보의 비중이 증가하였지만, 이후 노무현 정부에 대한 실망감이 커지면서 중도의 비율이 증가하여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 왔다. 이 조사결과는 일반국민들 수준에서는 이념적 양극화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을 나타낸다. 2) 국회의원의 이념성향의 분포의 변화 추세를 보면 어느 당이 다수당이 되는가에 따라 진보, 중도, 보수의 비율이 크게 변화해 왔다. 가장 주목할 만한 추세는 16대 국회에 비해, 17대, 18대 국회 의원들에서 중도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다는 점이다. 중도성향 국회의원의 비율이 감소하는 추세는 주요 정당 소속 의원들 사이에 이념적 거리와 간극이 크게 증가하였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제시한 본 연구의 핵심 주장은 최근 한국 사회에서 이념갈등이 심화되는 주요 이유는 일반국민들 사이에 이념대립과 양극화가 커졌기 때문이 아니라, 정당의 지도부를 구성하는 정당 소속 의원들 사이에 이념적 거리가 커져왔기 때문이라는 점이다.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is the main cause of increasing ideological conflict in Korean society. This paper tries to test the two contending hypotheses: the general public polarization hypothesis and the political elite polarization hypothesis. In order to test these hypotheses, this paper analyzes changing ideological orientation and policy preference of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by analyzing various opinion surveys conducted from 2002 to 2009. The main finding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ideological configuration of the general public has been changed substantially. Reflecting the victory of Roh Mu-hyun in the 2002 presidential election, the ideological configuration of the public shifted to the progressive direction. However, when the public became disenchanted with Roh Mu-hyun presidency, the proportion of the public having the neutral ideological position increased substantially and remained the largest, compared to the proportion of the public having th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position. This finding clearly indicates that the ideological configuration of the general public was not polarized. 2) the ideological configur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also changed rapidly. The most significant trend was that the propor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having the neutral ideological position among the 17th and the 18th National Assembly members substantial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16th National Assembly members. This trend indicates increasing ideological distance and disparity among major party members. From these findings, this paper draws the main conclusion that the ideological polarization of the political elite, not the polarization of the general public, was the main source of intense ideological conflict observed recently in the Korean society.

      • KCI등재후보

        한국의 선거와 이념

        임성학(Sung-hack Lim)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09 OUGHTOPIA Vol.24 No.2

        이념의 공급자로서의 정치사회의 이념생산능력과 수요자로서의 유권자의 수용성과 일관성을 기준으로 선거와 이념을 정치적 모델을 제시한다. 유권자와 정치사회의 이념적 강약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유권자, 정치사회 모두 약한 이념적 성향을 보이는 탈이념적 선거 정당해체(dealignment) 모델이 있고, 유권자는 강한, 정당은 약한 이념성인 상향식 이념선거 카르텔(Cartelized) 모델이 있다. 또한 유권자는 약한, 정당은 강한 이념적 성향의 하향식이념선거 경쟁엘리트적(competitive elite) 모델이 있으며 유권자, 정당 모두 강한 이념적 성향인 정당재편성 (realignment)모델이 있다. 설문조사분석결과 한국의 유권자는 약한 이념성을 보이고 있는 반면 정치사회는 강한 이념성을 보여 한국정치와 선거는 경쟁엘리트적 모델에 가깝다. 따라서 한국정치가 우리가 지향하는 이념선 거 혹은 정당재편 모델로 가려면 유권자의 이념적 수용성과 일관성을 제고하는 것이 우선 필요하다. 이념은 유권자와 정치사회의 상호작용 속에서 심화 확대되는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이념적 이슈를 만들어 내고, 선거의 주요 쟁점으로 만드는 정치지도자의 노력이 있다면 이념선거와 정당재편성모델로 변화할 것이다. Political society such as political parties or politicians and constituency’s consistency and receptivity in political ideology are used to divide political system into four models. De-ideological de-alignment system is characterized by weak ideological orientation between political society and constituency. Strong ideological orientation between them is realignment system. Weak ideology of constituency but strong of political society is cartelized system. Strong ideology of constituency but weak of political society becomes competitive elite system. Through analysis of surveys the constituency of Korea shows weak and inconsistent ideological orientation, but political parties and national assemblymen seem to be very ideological. Many scholars and political practitioners want to drive the Korean political system to realignment system. In order to do that political society creates new issues and debates which lead to awaken ideological orientation of the constituency.

      • KCI등재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구성적 특성

        박경미(Kyungmee Park),한정택(Jung Taek Han),이지호(Jiho Lee) 한국정당학회 2012 한국정당학회보 Vol.11 No.3

        이 연구는 최근 두드러지고 있는 한국사회 이념갈등에 주목하고 2012년 현재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구성적 특성을‘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사회에서 이념이 어떻게 인식되는지를 기준으로 이념 이미지 집단(정치 ? 경제 ? 가치)으로 나누고, 이념성향과 정책이슈, 정당의 이념적 위치 설정, 정당일체감에서 이념 이미지 집단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념성향은 북한지원, 한미동맹, 인터넷자유, 소수자여론반영과 같은 정치적 정책이슈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경제적 정책이슈나 사회적 정책이슈에 대해서는 비교적 일부 이슈에만 차이를 나타냈다. 이와 더불어 이념의 인식적 차원과 동일한 속성을 갖는 정책이슈 영역에서도 이념성향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세 이념 이미지 가치적 이념 이미지 집단 내에서 정책이슈에 따른 가장 많은 이념성향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한국사회 이념갈등이 단순한 진보-보수 차원의 이념적 연속선상에 놓여있기 보다는 다차원적인 정책이슈 경쟁에서 다양한 집단에 의해 증폭될 수 있음을 함의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nstructive characteristics of ideological conflicts of Korean society focusing on the recent phenomenon of ideological debates. Three images of ideological perception(politics, economy, value) are set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ideological orientation, evaluation of party ideological orientation, party identification among ideological image groups. As results, there a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ttitudes toward political policy issues. The discrepancies in ideological perceptions and policy issue positions are aligned in the same direction. Especially, policy issue positions of value ideological image group are distinct from other two groups. It implies that ideological conflicts in Korean society can be amplified in multi-dimensional policy issue competition, not spectrum between conservatism-progressiv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