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기영의 광산소설에 나타난 작가의식 연구 - 이기영의 『동천홍』과 「광산촌」을 중심으로 -

        황지영 ( Hwang Ji-young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7

        본고는 1940년대에 창작된 이기영의 광산소설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전시총동원 체제가 발동된 이후에 이기영의 작가의식이 놓인 자리를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시기의 이기영은 제국 일본이 참여하는 전쟁에 동조하는 서술들을 작품속에 직접적으로 표출함으로써, 작가의식이 논리적 파탄을 맞이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이기영의 친일문제를 논하기 전에 우선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은 이 시기의 작품들 안에서 발견되는 내재적 요소들을 계열화하여, 전향 전과 달라지는 이기영의 작가의식의 지형도를 그려보는 것이다. 이기영의 광산소설에서는 야생에 가까웠던 자연 공간이 문명화되고, 농업과 대비되는 광업의 특징과 기계를 노예처럼 부리고자 하는 숙련공들의 욕망이 드러난다. 그리고 조선인 광부들이 무절제한 생활을 이어나가는 광산촌에 지식인 노동자가 출현하여, 다른 광부들의 시간과 소비를 통제하고 이들이 산업전사가 될 수 있게 이끈다. 광산소설의 이러한 구도는 소설 속에 직접적으로 등장하는 국책에 대한 협력의 수사들과 함께 이기영의 작가의식이 `대동아공영`이라는 제국의 담론에 융화되고 있음을 짐작케 한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제국 친화적인 작가의식의 저변에 놓여 있는 것이 목적론적 역사관, `유물론`과 `변증법`적 사유, 그리고 `노동`과 `발전`에 대한 감각이라는 사실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전쟁으로 인해 갑자기 등장한 것이 아니라, 그가 카프에서 활동할 당시에도 존재했었다. 이기영은 1940년대가 되면서 제국 일본이 원하는 자발성과 순응성을 동시에 지닌 식민지 조선인의 형상을 광산소설 속에서 창조했다. 하지만 카프 해산 전에 그가 보여주었던 계급의식의 자리를 제국의 요구가 온전히 채울 수 없었기 때문에 이 시기의 작품들에서는 미세한 균열들이 포착된다. This paper aims at discussing a place where consciousness of the author Lee Ki Young is placed after wartime mobilization system focused on his mine novels created in 1940s. In such a period, Lee Ki Young was criticised for logic rupture of the author`s consciousness in that he exposed narratives supporting the war where imperialistic Japanese participated into the work directly. However, before discussing the pro-Japanese issue of Lee Ki Young, the priority is placed on drawing a topographical map on the consciousness of the author Lee Ki Young by systematizing elements inherent in these periods` works. Mine novels by Lee Ki Young show the civilized natural space which had been almost wild in the pre-post war, characteristics of mining contrasted with agriculture and desire of skilled workers attempting to manage machines like a slave. Besides, in a mining town where Joseon miners led an intemperate life, an intellectual worker appears, controls time and consumption of other miners, leading them to industrial warriors. Such a composition of mine novels, along with rhetoric of following a national policy appeared in the novel straightforwardly, makes us infer that consciousness of the author Lee Ki Young was mixed with discourse from the empire. `Materialist` and `dialectic` ideas, a sense of `development` and `practice` maintained in the consciousness of the author Lee Ki Young for a long time create an image of Colonial Koreans having both spontaneity and conformity wanted by the imperialistic Japanese since 1940s.

      • KCI등재

        근현대 중국 번역장 속 이기영 문학 - 서지적 관점 및 주류 담론을 중심으로 고찰한 수용 양상 연구

        엄진주,손제 한국현대문학회 202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7

        본 논문은 수용의 관점에서 중국에서 번역 출간된 이기영 저작물을 서지적으로 정리하고 시기별 이기영 문학 수용의 양상을 고찰한 연구이다. 근현대 중국의 번역장은 정치적 이데올로기와 정책 기조에 따라 외국문학 수용 조건에 변화가 발생했고 이와 같은 환경 속에서 이기영의 문학은 각 시대가 요구하는 문학의 목적성에 따라 다각적인 양상으로 수용되었다. 중국공산당 정부가 수립된 1949년 이전에 번역 소개된 아동동화는 중국에서 이기영의 이름으로 정식 발표된 최초의 출판 기록으로 약소국의 혁명적 투쟁 의지를 담고 있는 텍스트이다. 역사·외교적으로 상당부분 동질성을 나누고 있던 식민지 조선의 상황이 반영된 텍스트를 통해 자국 아동의 교육 및 계몽의 교재로 활용하고자 했던 수용 목적이 확인된다. 냉전기에는 반미 애국주의 정신을 강조하는 ‘항미원조’ 및 대중동원형 사회주의 이념 제재 문학의 두 가지 갈래로 수용되었으며 이 시기 이기영은 북한의 대표작가로 확고한 입지를 굳힐 수 있었다. 문학에 대한 사상적 개방이 실시된 탈냉전기 이기영 문학 수용은 기존의 정치성을 탈피하여 문학 본연의 예술적 가치에 집중하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 이기영 작품은 탈냉전기에도 단편선집과 세계문학서에 반복적으로 수록되면서 명실상부 북한 대표 문인으로서의 입지를 유지할 수 있었음이 확인된다. 중국의 이기영 문학에 대한 가변적인 수용 양상은 동일시기 냉전과 이데올로기 체제 속에서 중국문학을 대신해 대만문학을 수용한 한국번역장의 상황과 유사하다. 번역의 정치성은 한국과 중국의 외국문학 수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인자였고 입체적인 문학 생애를 보낸 이기영 역시 그 영향권 속에서 해석되고 또한 활용되었다.

      • KCI등재

        이기영의 만주 상상과 『대지의 아들』

        최일 ( Cui Yi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5 No.-

        이기영은 1939년 8월에 20여 일간의 만주 답사를 진행하고 나서 장편소설 『대지의 아들』을 창작했다. 그 만주 답사는 『조선일보』의 ‘대륙문학’ 기획에 의하여 진행된 것으로 이기영은 짧은 시간 동안 만주의 한국 이주 농민들의 집거지에 대하여 밀도 높은 조사를 진행했고 그렇게 얻어진 견문들을 그대로 소설에 이용했다. 『대지의 아들』에 대한 그간의 논의를 보면 대체로 일제의 ‘국책’에 협력한 작품이라는 평가와 나름의 글쓰기 책략을 통해 완성된 비협력 내지는 항거의 작품이라는 평가로 갈리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평가를 내리기에 앞서 이기영이 만주에서 무엇을 얻으려 했고, 무엇을 얻었고 또 그렇게 얻어진 것을 어떻게 소설화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를 해명하려고 했다. 바꿔 말하면 만주가 아니면 불가능 했을 이기영의 문학적 상상력을 밝히는 것이 본고의 취지이다. 이기영의 만주 체험이 어떻게 그의 만주 상상과 만주 서사로 작동되고 있는가를 고찰하는 것은 만주(나아가 중국)이라는 탈경계 체험이 한국 근대문학에 준 영향을 분석하는 하나의 표본으로 될 수 있다. 이는 또한 기존의 연구이 전면에 내세워 깊게 다루지 않은 문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고는 같은 경로로 창작된 이기영의 만주 기행문에 대한 해독을 곁들여 인문지리학의 시각으로 만주라는 ‘장소’가 소설에 준 상상력과 그 효과, 즉 이기영이 만주에서 무엇을 보았고 그것을 어떻게 텍스트에 담아냈느냐 하는 문제를 해명하고자 했다. 이에 본고는 이기영이 기행문에서 그려 낸 부조리한 만주의 풍경이 소설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조화의 판타지로 탈바꿈하는 과정, 그리고 그 과정에서 그려진 ‘무장소’의 장소로서의 만주의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Lee Ki-young conducted more than twenty-day investigation during August 1938 in Manchu, china. After that, he wrote the novel Sons of the Earth. Lee Ki-young’s travel in Manchu was supported by the plan of “Mainland Literature” of The Chosun Ilbo. During this short period of time, he did an intensive research to the South Korean immigrant villages in Manchu area, and wrote what he had seen and heard into his novel faithfully. The evaluation to Sons of the earth can be divided into two aspects. First, some thought this novel conformed to the national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ts. Second, some thought this novel fought against the national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ts by a series of writing strategies.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purpose and gains of Lee Ki-young’s travel in Manchu and find the process of the fictionalization of what Lee Ki-young had seen and heard. That is the literary imagination which can only be gained in Manchu. The transformation from Lee Ki-young’s Manchu experience to his Manchu imagination and narrative process can serve as a template, which can also be used to analyze Manchu (even China) beyond boundaries narrative’s influence on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this question isn’t discussed deeply in previous studies. By the supporting text of Lee Ki-Young’s Manchu travels and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 of human geography, this paper illustrates the imagination and its artistic effects which Manchu (this place) brought to Sons of the earth. And for this it discusses the process in which unharmonious Manchu “scenery” evolved into harmonious fantasy and also the placelessness of Manchu image during this process.

      • KCI등재

        이기영 소설과 농촌 체험

        김한식(Kim Han-sik)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1

        이기영은 시대에 가장 적극적으로 반응한 작가이다. 그런 이유로 이기영 소설에 대한 기존 논의는 주로 작품 외적 사실과의 관련성 속에서 작품의 의미 혹은 한계를 밝혀내는 데 주력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 우리는 이기영 소설에서 그의 고향 체험이 갖는 의미를 살펴본다. 흔히 그의 대표작들은 각기 다른 역사적 배경 속에서 다른 이념적 지향을 가지고 창작되었지만 실제 작품의 서사 골격은 그의 농촌 체험에 기초하고 있다. 초기 작품에 이미 등장한 서사들이 이후 작품에서는 새로운 현실 상황의 변화를 통해 인상적으로 변주되고 있다. 이기영의 장편소설은 고향에서의 경험에 창작 당시의 시대 상황이 더해져 입체성을 확보한다. 그의 소설에서 인물의 성격은 선명한 대립 구도를 보인다. 건강한 농민과 지식인 조력자 혹은 지식인 주인공과 건강한 농민이 작품의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지주나 관리가 부정적인 인물로 등장한다. 한편 실제 서사를 이끌어가는 데는 연애 사건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기영은 소설 속에서 긍정적 전통과 부정적 관습에 대한 생각을 자주 드러낸다. 이기영은 특별히 자신의 경험을 창작에 많이 활용한 작가이며, 그러한 사실을 자랑스럽게 밝힌 작가이다. 그러면서도 과거만이 아닌 현재의 문제를 작품 안에 담아내려고 했던 작가이다. Lee Kiyoung was the writer who reacted his epoch. Many studies which dealt with Lee"s novels estimated their relation with historical influence. We searched the meaning of his early days experiences in his novels, especially home country experiences. His early days experiences made up the structure of his famous novels" narrative. In his famous novels, he played a variation on a analogous narrative which had been used in the primary short stories. Lee Kiyoung achieved his novel s goal to add contemporary issues to early days experiences. His characters were contrasted good with bad and love story led his narrative, frequently. Tradition were classified by keepable value. In his point, favorable tradition were free love, a communal society mind etc. But early marriage, farm tenancy were harmful. After all, the theme of his novels was focused on cultivating social mind and disputing between landowners and tenant farmers.

      • KCI등재후보

        이기영의 『대지의 아들』: 제국의 만주 국책에 대한 길항의 정치적 상상력

        고명철 ( Ko Myeong-cheol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6 No.-

        카프 해산 이후 프로문학이 직면한 식민지 현실은 암담하기만 하다. 카프의 농민문학의 최고봉으로 손꼽히는 이기영(李?永, 1895∼1984) 역시 예외가 아니다. 반제국주의·반식민주의·반자본주의를 추동해온 문학운동 조직 카프의 소멸, 유럽과 아시아에 전횡하는 파시즘적 군국주의의 전일적 지배 등은 일제 말 이기영의 프로문학을 에워싼 난경(難境)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이기영의 장편 소설 『대지의 아들』은 그래서 문제적이며, 이 작품이 일제의 만주개척 식민통치에 대한 길항의 정치적 상상력을 보인다. 첫째, 이기영은 『대지의 아들』을 에워싼 이른바 `틈새 텍스트`를 통해 제국의 만주개척의 국책에 일관성을 가지는 협력의 글쓰기에서 벗어나고 있다. 비록 일제 말의 시대적 한계가 불가피한 장애로 작용하고 있으나, 카프의 맹원 이기영이 벼농사를 중심으로 한 재만조선인의 만주개척`들` 틈새와 그리고 만주국의 국책으로서 만주개척과 재만조선인의 그것과의 틈새에서 기획하고 있는 것은 `장래의 농민문학`에 초점이 맞춰져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둘째, 『대지의 아들』에서 부각되는 공간 `개양툰`이 지닌 로컬리티가 지닌 문제의식을 간과해서 곤란하다. 이기영이 주목한 작품 속 개양툰은 만주국의 대도시 근처나 주변부, 혹은 만주국의 궁벽한 외딴 오지에서 개척된 곳이 아니라 식민지 조선과 만주국의 동만(東滿) `접경 지대`임을 상상해볼 수 있다. 이 허구의 공간은 『대지의 아들』에서 그려지고 있는 재만조선인의 파란만장한 개척사가 지닌 정치적 상상력을 새롭게 불러일으킨다. 셋째, 이러한 이기영의 문학 대응은 비록 카프의 전성기처럼 프로문학이 거둔 리얼리즘의 미적 성취에 이르지는 못하지만, 이 허구의 공간 개양툰에서 치열히 재만조선인의 개척자로서의 삶을 살면서 만주국 개척서사에 힘겹게 균열을 내고, 특히 개양툰이란 허구의 공간에서 미래적 전망을 포기하지 않고 이상공동체를 추구하는 재만조선인`들`의 삶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After breaking up KAPF the colonial reality which Proletarian Literature faces on is dark. Lee Ki-Young, one of the greatest peasant literature of KAPF is also not exception. The literature movement organization KAPF`s extinction for driving anti-imperialism, anti-colonialism, anti-capitalism, the fascistic militarism`s total in Europe and Asia shows predicaments wrapping up Lee Ki-Young`s Pro-Literature as it is. Thus, his novel SON OF THE EARTH(대지의 아들) is problematic and this novel emerges a resistant political imagination against Japanese imperialism`s colonial domination of Manchuria`s pioneer. First, Lee Ki-Young is not faithful to the consistent collaborative writing for empire`s Manchuria pioneer`s national project through so called `gapping text` wrapping up SON OF THE EARTH(대지의 아들). Although the limitations of age of the late of Japanese imperialism is working unavoidable obstacle, we should take note what the KAPF`s ardent member, Lee Ki-Young has a project between Koreans in Manchuria`s Manchuria pioneer`s gap and as Manchuria`s national project between Manchuria`s something gap focuses on peasant literature in future. Second, we should not neglect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which SON OF THE EARTH(대지의 아들) has an important space GAEYANGTUN`s locality. We can imagine what Lee Ki-Young takes note of his novel`s GAEYANGTUN is not the neighborhood of Manchuria`s big city or the pioneer region of the isolated area of Manchukuo but the boundary region between colonialized Chosun and Manchukuo`s eastern Manchuria. This fictional space arises newly a political imagination of which is related to Koreans in Manchuria live a historical life of extreme ups and downs. Third, although Lee Ki-Young`s literary response does not approach the realism`s aesthetic accomplishments which Pro-Literature obtains as the glory days of KAPF, his novel cracks hard Manchukuo pioneer`s narrative as what Koreans in Manchuria live for pioneer`s life in fictional space GAEYANGTUN, and it never forgives up perspective, focusing on Koreans in Manchuria`s life. They seek after the ideal community in SON OF THE EARTH(대지의 아들).

      • KCI등재

        이기영 소설의 모성과 사회주의라는 가능성

        안용희(Ahn, Yong-hui)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서강인문논총 Vol.0 No.40

        이기영 소설의 초기부터 반복해서 등장하는 인물 형상으로는 어머니를 꼽을 수 있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대표작으로 거론되는 고리키의 『어머니』에서 혁명적 동지로 의식화되는 어머니의 형상을 고려할 때, 이기영 소설의 어머니는 사회주의나 리얼리즘의 기준으로 평가할 때 함량 미달일 수밖에 없다. 오히려 이기영 소설의 어머니 형상은 본능으로서의 모성을 강조하고 육체의 감각을 통해 자연의 발현을 모색한다. 이러한 이기영 소설의 어머니 형상은 초기 사회주의 잡지인『대중시보』를 통해 드러난 미국 사회주의의 사유와 일맥상통하는 측면이 있다. 1920년대 초 새로운 운동 세력은 워싱턴 회의의 좌절감 이후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가운데 사회주의를 지향하게 되었고 그 가운데에는 다양한 가능성들이 잠재해 있었다. 미국 사회주의 역시 그러한 가능성들 중 하나로서 이러한 사유는 이기영이 어머니 형상을 통해 보여준 것과 공유하는 지점을 가진다. 이는 이기영이나 초기 사회주의자들이 미국으로부터 사회주의를 곧바로 수입했다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코민테른이라는 특정한 사회주의 지향성만이 현실화 되었던 식민지 시기의 사회주의적 상상력이 보다 폭넓은 스펙트럼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In Lee Ki-Young’s novels, mother character appears repeatedly from early times. Compared with ‘mother’ in Maxim Gorki’s Mat, who was conscientized into revolution comrade, it cannot help falling in the estimation by socialism, realism and socialistic realism. Unlike mother character according with social realism, Lee Ki-Young characterized mother through instinctive motherhood and sought the nature by physical sense. Mother character in Lee’s novels has common with American socialism’s thought in Daejungsibo, an early socialistic magazine. Searching for new orientation from frustration after Washington Conference, New movement powers in 1920s’ Joseon followed socialisms, which include American socialism. It means that the socialistic imagin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had wide spectrum besides the Comintern’s socialism.

      • KCI등재후보

        이기영의 『처녀지』 연구-남표와 선주의 죽음을 중심으로-

        이경재 만주학회 2012 만주연구 Vol.- No.13

        『VirginSoil』 showsthecompletionandlimitationofproductivism intheend ofjapaneseimperialism.OnthesurfaceLeeKiYoungshowsascooperatingwith imperialpolicy,indepthheshowsthatimperialpolicyintheendofjapanese imperialism isimpossible.Asaresult, VirginSoil becomesfragmentedtext. Nam-pyoandSeon-ju’sdeathshowthisspiltandcrack. Thestructureandmechanismofsocialisticloveismaintainedin VirginSoil . Buttheideologyvaryfromsocialismtoexploitingmanchuriaphilosophy.Seon-ju diesintheprocessofideologicallove.Nam-pyoisconversionsocialist.TheactivitythatNam-pyoattemptedinJeongandunistheprojectthatsocialistplanned inthemanchuria.Laborisdirectlyconnectedtothelifedevotingtocommunity in VirginSoil .Thischaracteristichavethepossibilitytobediscussedinrelationsocialism andLeeKiYoung.Thiscompetitionandgroupismareinvolvedin thelaborastheprivilegedpointofcommunityandengagement.LeeKiYoung emphasize communitythanindividualin VirginSoil .Nam-pyobecomestool toexploitmanchuria.Thestrengrhoflaboranddevotiontopublicvaluebecome worseinLeeKiYoung’snovelswrittenattheendofjapaneseimperialism.In result,Nam-pyoarriveatthedeathin VirginSoil .Nam-pyo’sdeathshows thatLeeKiYoung’splanisimpossible. 『처녀지』 는 일제 시기에 창작된 이기영의 마지막 장편소설로서,일제 말기에 작가가 열정적으로 펼쳐 보였던 생산력주의의 완성과 그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는 작품이다.이기영은 서사의 표면에서는 국책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생산소설의 기본 성격에 충실한 면모를 보여주지만,심층적인 차원에서는 일제 말기의 국책이 전혀 불가능한 기획임을 강하게 환기시킨다.그리하여 처녀지 는 분열된 텍스트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이러한 분열과균열은 이 작품의 주인공인 남표와 선주의 죽음을 통하여 드러난다. 남표,신경아,이선주의 연애는 남녀의 이념과 사랑이 일치하는 이념적연애의 모습을 보여준다. 처녀지 에서 사회주의적 연애의 구조와 메커니즘은 그대로이지만,그 이념은 사회주의가 아닌 만주개척이념으로 변한다. 선주의 죽음은 이념적 연애의 메커니즘 속에서 발생한다.선주가 호화로운도시 생활에 빠져 있는 이기주의자일 때,그녀와 남표의 사이는 한없이 멀수밖에 없다.이후 선주가 정안둔에서 활동하는 남표의 여러 가지 사업에적극적으로 찬동할 때,선주는 남표와 결합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게 된다. 그러나 선주가 남표와 결합을 시도하는 순간,선주는 남표와 경아의 동지적관계에 개입하게 되고,이것은 남표와 경아 사이를 방해하던 옛날의 모습으로 돌아간다는 것을 의미한다.따라서 선주가 새롭게 획득한 만주개척이념에 부합하면서도 남표와의 사랑을 유지하는 길은 자살밖에 없었던 것이다. 전향사회주의자라고 볼 수 있는 남표는,조선에서 전망을 찾지 못한 사회주의자들이 오족협화론과 왕도낙토론을 공식 이데올로기로 삼은 만주국에 커다란 기대를 가졌던 역사적 상황에 대응하는 인물이다. 처녀지 에서남표가 정안둔 마을에서 실천하는 운동들도 당시 사회주의자들이 만주에서꿈꾸었던 여러 가지 기획과 많은 부분 일치한다. 처녀지 에서는 노동이 공동체의 이익을 추구하는 삶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남표를 통해 나타나는 노동과 공동체에 대한 강조는 사회주의와 이기영 문학의 내적인 연속성 측면에서 논의될 여지가 있다.이러한 집단주의는 사회주의에서 강조하는 공동체와 연대성의 특권적 지점으로서의 노동이라는 이상과 관련된다. 처녀지 는 철저하게 개인과 공동체라는 이분법에 바탕해 있으며,이 중 강조되는 가치는 공동체이다.이 작품의 주인공 남표도 만주개척이라는 숭고한사명을 위해 철저히 도구화된다.이기영의 일제 말기 생산소설에서 주인공들이 보여주는 노동의 강도와 공적인 가치를 향한 헌신은 점점 그 강도가높아지고,결국 처녀지 의 남표는 죽음에까지 이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남표의 죽음은 이기영이 만주를 배경으로 꿈꾸었던 기획이 더 이상 지속가능하지 않음을 강하게 드러낸다

      • KCI등재

        이기영 소설의 개제(改題) 양상과 그 의미

        김영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8 N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on the matter of retitling Lee Gi-young's novel, especially The Newly reclaimed land(Singaeji) and The Ethics of life, during the late colonial period and the liberation period. Lee Gi-young was a key member of the KAPF. Publishers republished his work by changing the title, the author's name and deleting parts of the contents in order to get commercial interests. Because publishers owned the copyrights to his work, these retitling and modifying the original works were not bascally illegal. But they can't avoid moral blame. The Newly reclaimed land(Singaeji) was changed to The Pure heart in Sechang booksellers and The Ethics of life to The Record of passion. These phenomenon reflect chaos of publishing market at that time. It also exemplifies the behavior of commercial publishers. This phenomenon will be an important case to study on the concept of Korean modern copyright. 이 논문은 식민지 말기와 해방기 출판 관행 및 이기영의 월북과, 그의 작품이 개제된 사실 사이에 주목할 만한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를 규명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궁극적으로 이기영 소설의 개제는 작가의 의지가 아니라, 출판업자의 전략적 판단에 따른 행위로 귀납된다. 곧 출판업자가 프로문학의 대표 작가였던 이기영의 소설을 통해 상업적인 이익을 취하려는 수단으로 이데올로기성과 계몽성이 강한 원제목을 좀 더 대중적이고 통속적인 제목으로 수정한 것이다. 본고는 해방 전후로 두 편의 개제작이 확인되는 이기영을 중심으로 이러한 현상의 의미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식민지시기에 발표한 이기영의 장편소설이 단행본으로 재출간되는 과정에서 신개지는 순정으로, 생활의 윤리는 정열기로 바뀌고, 작품의 일부가 누락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개제작들이 확인되는 다른 작가들과 비교할 때 이기영 소설의 재출간 과정에서 확인되는 이러한 측면은 좀 더 신중한 논의와 고찰을 요한다. 해방을 전후로 등장한 개제작들은 분명 출판업자들의 상업주의 전략에 의해 탄생한 국적 불명의 작품이다. 그러나 이는 작가와 출판계, 문단의 공생을 위해 기획된 불가피한 선택이기도 하다. 물론 이들의 출현이 문단과 독자들에게 큰 혼란을 불러일으킨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이러한 혼란을 예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작가와 출판계, 문단이 ‘개제’라는 무리수를 통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밖에 없었던 당대 상황에 대한 고려와 이해 역시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작가와 개제 행위 간 명확한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개제라는 행위를 둘러싼 작가와 출판 상황, 그리고 사회적 맥락의 총체를 읽어낼 수 있다면, 이는 개제를 통한 작가의식의 변모 혹은 출판계의 상업주의적 행태가 초래한 혼란상 등을 명료하게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신개지』와 『생활의 윤리』의 개제 양상은 당시 출판 시장의 혼탁함과 상업주의적 행태를 단적으로 증명하는 동시에, 저작권이나 판권에 대한 인숙 수준을 명료하게 보여준다. 아울러 이 작품들은 창작물에 대한 저작자의 권리를 중시하기 시작한 시기에 나타난 현상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근대 저작권 개념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사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이기영의 철학소설 연구-「인간수업」과 「고물철학」에 나타난 ‘철학’ 모티프를 중심으로-

        황지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2 No.3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a philosophical motif in 『Ingan-Sueop(Human Class)』 and 「Gomul-chulhak(Junk Philosophy)」 novels by Lee Gi- Young and clarifying a frame in which his idea is converted. Even after the conversion, ‘dialectic' and ‘materialism' existed unchanged in his thinking. In addition, in his novels after conversion, especially in works having a motif of the philosophy(philosopher), subjects who carry out ‘development' and ‘movement' appear. In『Ingan-Sueop(Human Class)』 , he understands the world using ‘labor' as a central concept. Also in 「Gomul-chulhak(Junk Philosophy)」, he makes a roundabout assertion that even ‘Joseons' can be ‘Loyal Citizens of the Japanese Empire' through a ‘forge of the life'. On the other hand, a changing mode of main characters who access to an issue of the philosophy in the novels may be overlapped with a frame where an idea of the writer Lee Gi-Young changes owing to the depth and weight of the semantic capability inherent in a word of the ‘philosophy' required to show a world view of a human as a whole. In other words, in『Ingan-Sueop(Human Class)』 and 「Gomul-chulhak(Junk Philosophy)」, a philosophically changing mode of main characters is in the same orbit as the mode through which thought of Lee Gi-Young changes, providing a clue for explaining his conversion and pro-Japanese activities. 본고의 목적은 이기영의 소설 중 「인간수업」과 「고물철학」에 등장하는 철학 모티프를 분석하여, 이기영의 사상이 전환되는 구도를 해명하는 것이다. 이기영이 전향을 단행한 후에도 그의 사유 속에서 ‘변증법’과 ‘유물론’은 변하지 않고 존재하였다. 그리고 전향 후 소설 중 철학(자) 모티프가 등장하는 작품들에는 이를 기반으로 ‘발전’과 ‘운동’을 실행하는 주체들이 나타난다. 이기영은 「인간수업」에서 ‘노동’을 중심 개념으로 사용하여 세계를 이해하고, 「고물철학」에서는 ‘생활의 풀뭇간’을 거쳐 ‘조선인’도 ‘황국신민’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을 우회적으로 펴고 있다. 소설 속에서 철학의 문제와 접속하는 주인공들이 변화하는 방식은, ‘철학’이라는 단어가 지닌 의미 역량의 깊이와 무게로 인해 작가 이기영의 사상이 변화하는 구도와 중첩될 수 있다. 「인간수업」과 「고물철학」에서 주인공들의 철학이 변화하는 방식은 이기영의 사상이 변화하는 방식과 동궤를 이루면서 그의 전향과 친일을 설명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 KCI등재

        이기영의 고향 재독(再讀): 실천적 지식인의 소설적 형상화를 둘러싼 작가의식과 비평 담론의 차이

        이형진 동남어문학회 2020 동남어문논집 Vol.1 No.49

        This article rereads Lee Ki-Young's “hometown”, which was evaluated as a model of socialist realism, in terms of practical intellectuals. When "Hometown" was serialized, the KAPF fiercely argued over the issue of socialist realism. Im Hwa, in favor of accepting socialist realism, tried to establish "hometown" as a work that realized socialist realism. Therefore, many studies started from the premise that “hometown” is typical of socialist realism based on the literary interpretation of Im Hwa. However, Lee Ki-Young, the creator of "Hometown", understood socialism realism as a problem of creative technology and partisanity, and conceptualized art as an independent domain parallel to socialist realism. Starting from Lee Ki-Young's awareness of this problem, this paper clarified the continuity between his previous work, “Soehwa” and “Hometown”, in terms of the creation of practical intellectuals. Lee Ki-Young's works were shabby and repeated the cliché of intellectuals returning home. For him,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to present the figure of a pragmatic intellectual beyond that of a abject intellectual. Seohwa prepares for new changes in colonized rural society through the intervention of intellectuals who are more active and transformative than ever before. "Hometown" actively suggests what these intellectuals have done to transform rural societies. Unlike many evaluations, despite the fact that "hometown" is a very long feature, it proceeds in two themes: love and tenancy. In particular, love is used as a device for the growth of intellectuals, resulting in the marginalization of subjects other than intellectuals. Looking closely at this point, this work finds that the political unconsciousness of the artist who tries to call the negative passions that crush his existence with the passion for revolution is strong. This paper not only examines the gap between Lee Ki-Young's political unconsciousness and KAPF's ideology through the analysis of "hometown", but also suggests that the singularity of the artist, which is not reduced to this political ideology, should be presented as a standard of new interpretation. 이 글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전범으로 평가된 이기영의 고향을 실천적 지식인이라는 관점에서 재독하였다. 고향이 연재될 당시, 카프 문단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수용 문제에 대하여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 임화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수용에 찬성하면서 고향을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실현된 작품으로 정립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많은 연구가 임화의 문학사적 해석에 기초하여 고향을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전형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정작 고향의 창작자인 이기영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창작 기술과 당파성의 문제로 이해하였으며, 예술을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병립하는 독자적인 영역으로 개념화하였다. 이 글은 이기영의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실천적 지식인의 창출이라는 관점에서 전작인 「서화」와 고향 간의 연속성을 규명하였다. 이기영의 작품들은 초라한 모습으로 고향에 귀환한 지식인이라는 클리셰를 반복하였다. 하여 그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비루한 지식인의 모습을 넘어서는 실천적 지식인의 모습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고향의 전작인 「서화」는 이전보다 더 적극적이고 변혁적인 태도를 지닌 지식인의 개입을 통해 식민화된 농촌사회에 새로운 변화가 일어날 것임을 예비한다면, 고향은 이러한 지식인이 농촌사회를 개조하기 위해 어떤 행동을 취했는가를 적극적으로 제시한다. 숱한 평가들과는 달리, 실제로 고향은 매우 긴 장편임에도 불구하고, 연애와 소작쟁의라는 두 개의 틀 속에서 진행된다. 특히 연애는 지식인의 성장을 위한 장치로 활용되며, 지식인 이외의 주체들이 주변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점을 세밀히 살피다보면, 이 작품은 자신의 실존을 짓누르는 부정적 정념을 혁명에의 열정으로 전화하고자 하는 작가의 정치적 무의식이 강하게 작동함을 발견할 수 있다. 본고는 고향의 분석을 통하여 이기영의 정치적 무의식과 카프의 이념성 간의 낙차를 살폈을 뿐만 아니라, 정치적 이념에 환원되지 않는 작가의 특이점을 새로운 해석의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