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격 유형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유형 연구

        정예린 ( Yelin Jeong ),원미진 ( Mijin Won ) 한국심리유형학회 2021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22 No.1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성격 유형 및 학습 유형의 분포와 양상을 살피고 성격 유형과 학습 유형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학교 언어 교육 기관 학생들과 국내의 대학이나 대학원에 재학 중인 한국어 학습자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유형 선호도를 알기 위한 설문조사는 Willing(1988)의 ‘How do you learn best?’라는 학습 유형진단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통계 분석 결과는 의사소통적 학습 유형> 구체적 학습 유형 > 권위적 학습 유형> 분석적 학습 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성격 유형은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를 이용하여 분류한 뒤 4쌍의 지표별로 특정한 학습 유형을 선호하는 것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또한, 성격 이외에 개별 변인(성별, 연령, 한국어 학습 기간, 한국 거주 기간, 학습자 숙달도, 문화권)이 학습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성격 유형에 따른 학습 유형에 대한 차이는 두 가지 하위 차원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어, 직관형 학습자가 감각형 학습자보다 구체적 학습 유형을 더 선호하는 것을, 판단형 학습자가 인식형 학습자보다 분석적 학습 유형을 더 선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분석적 학습 유형은 성격, 거주 기간, 문화권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학습자 변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학습 유형임을 알게 한다. 또한, 동·서양 문화권에 따라 학습자를 분류하여 통계 분석하였을 때, 판단형의 학습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동양권에서 분석적 학습 유형을 더 선호한다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어, 앞서 판단형(J)-인식형(P) 지표와 분석적 학습 유형 간 유의미한 결과를 지지하였고 학습 유형과 성격 유형 간의 연관성을 좀 더 뚜렷하게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는 MBTI 성격 유형 분류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학습유형과 효과적인 교수 방법까지 예측 가능하다는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지며 이를 통해 다양한 배경의 학습자를 가진 한국어 교실에서 학습자의 성격 유형과 학습 유형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계획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and aspects of personality types and learning types of Korean learner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learning types. To this end, students from university language institutions in Korea and 275 Korean language learners attending universities or graduate schools in Korea were surveyed, and the SPSS/win Version 25.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survey to know learning type preferences used Willing (1988)'s Learning Type survey called 'How do you learn best?' and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in order of Communicative > Specific > Authoritative > Analytical Learning Type. We study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of a specific type of learning for each of the four indicators after classifying personality types using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In addition to personality, individual variables (gender, age, learning period in Korean,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learner proficiency, and culture) were analyzed to affect the type of learning. Differences in learning types by personality type showed significant results on two sub-dimensions, indicating that intuitive learners prefer specific learning types to sensory learners, and judgmental learners prefer analytical learning types to perceived learners. In particular, analytical learning types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personality, duration of residence, and culture, making us aware that they are highly influenced by learner variables. In addition, when classifying learners according to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that judgmental learners preferred analytical learning types in an overwhelming number of Eastern regions, which earlier supported meaningful results between judgmental (J) and analytical learning types. This study means that MBTI personality type classification can lead to predictable learning types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preferred by Korean learners, and expects to use them in Korean classrooms with diverse backgrounds to plan effective education methods.

      • 대학입학전형별 학업성취도 분석 연구: K대학 2009∼2014학년도 입학생을 중심으로

        남궁경현 ( Kyung Hyun Nam Gung ),이승아 ( Seung A Lee ),정다운 ( Da Woon Jung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5 입학전형연구 Vol.4 No.-

        본 연구는 2009년부터 확대 실시된 입학사정관전형에 대한 분석의 일환으로, 입학년도별 입학생들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들이 점차 졸업생으로 사회에 배출되는 현시점에서 GPA분석을 통해 전형운영의 전체적인 점검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입학전형 유형, 입학사정관전형 유형별로 2009∼2014학년도 입학생의 GPA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입학전형의 특성에 따라 입학전형을 6가지로 유형화하였고, 입학사정관전형은 다시 5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틀을 만들었다. 입학전형 유형에 따라서는 학생부교과유형 입학생의 GPA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이는 모든 계열에서 동일한 현상을 보여주었다. 특히 계열별로 볼 때, 인문, 자연, 예·체능계열에 비해 한의과대학에서 전형유형 간 GPA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입학사정관전형 내에서는 일반유형과 학생부교과 유형, 학교장추천유형이 GPA가 높았으며, 고른기회유형과 특기자유형이 낮은 GPA를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입학전형유형에 따른 GPA의 다각적 분석을 통해 재학생들의 특성에 따른 대학 적응도를 점검하고, 차후 입학전형 설계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focus on the different attributes of the newly enrolled students based on their year of entrance as part of an analysis of the Admission Office System(AOS), which has been executed extensively since 2009. An overall examination of the system is now possible as the students who had enrolled through the AOS are now graduating, and their GPA can be analyzed. This study analyzed the GPA of students who have enrolled from 2009 to 2014, categorizing them according to the admission types. To form the analysis framework, students were further divided into more specific subcategories, six from the Admission type and five from AOS. In the AS category, the Grade Type students had the highest GPAs consistently across all majors. Compared to Humanities, Natural Sciences, Arts, and Athletics, th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howed the biggest GP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dmission system. In the AOS category, the highest GPAs was in the Regular Type, the Grade Type, and the Principal`s Recommendation Type while Equal Opportunities System and Talented Students System showed the lowest GPAs Through multilateral analysis of the GPA according to the admission types, this study inspects student adaptability in relation to their attributes, and seeks to establish the baseline data for further admission systems planning.

      • KCI등재

        인문치료의 진단 및 평가: 감각유형에 따른 말속도와 기본주파수의 실험음성학적 분석

        이찬종,허윤주,Lee, Chan-Jong,Heo, Yun-Ju 한국음향학회 2011 韓國音響學會誌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실험음성학적 분석을 통해 선호감각유형과 발화속도 및 기본주파수 (이하, $F_0$)와의 상관성을 연구하였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 36명 (남학생 17명, 여학생 19명)을 대상으로 선호감각유형검사를 실시하였고, 읽기와 그림보고 말하기 과제, 그리고 대화과제를 실시하여 말속도를 측정하였고, 일상대화시의 $F_0$와 말속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D (내부언어) 유형을 제외했을 때 V (시각) 유형의 경우 읽기과제에서 말속도와 상관성이 있었고, D (내부언어) 유형을 포함했을 때 A (청각) 유형과 F0에서 상관성이 있었다. 또한 VAK (시각, 청각, 촉각) 유형의 평균을 분석한 결과 말속도의 경우 인터뷰 과제를 제외한 나머지에서, VAKD (시각, 청각, 촉각, 내부언어) 유형의 평균에서는 전체 과제에서 V (시각) 유형이 A (청각) 유형보다 발화속도가 빠르고 $F_0$가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에서 선호감각유형과 $F_0$와 말속도가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문치료 진단 및 평가에서 주관적 감각유형검사와 함께 말소리의 객관적 분석을 통하여 감각유형검사의 보완적 역할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맞춤형 교육 및 상담에서 유용하게 활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선호감각유형과 발화속도 및 $F_0$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의 기초토대를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ferred sensation type and speech sounds, especially on $F_0$ and the speech rates. Data for the sensation types and speech sounds were collected from 36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17 male, 19 female). Subjects were asked to read a given text (400 syllables), describe a drawing, and give answers to some questions. We measured speakers' $F_0$ and speech rates. The results show that type V (Visual) has the correlation with the speech rates when type D (Digital) was ruled out, and type A (Auditory) has the correlation with the speech rates when type D was included. Furthermore, the analysis of the mean values of V, A, K (Visual, Auditory, Kinethetic) indicates that type V is characterized with faster speech rates and higher $F_0$ in all parts except for interview and the same is true for that of V, A, K, D (Visual, Auditory, Kinethetic, Digital) in all part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at the preferred sensation type has the correlation with $F_0$ and speech rat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_0$ and speech rates can be used to analyze the sensation types for individualized education as well as consultation. In addition,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lays a foundation for the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a preferred sensation type and speech sounds.

      • KCI등재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과 의사결정과정의 특성

        장연주(Youn Ju Jang) 한국FP학회 2017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0 No.3

        본 연구는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을 도출하고, 보험상품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과 의사결정과정의 특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된 질적 자료를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양적 자료를 분석에 함께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은 합리형, 직관형, 의존형, 충동형, 회피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유형별로 의사결정과정의 특성에 차이를 보였다. 둘째, 소비자가 인지하는 보험상품 유형별 속성의 차이에 따라 의사결정행동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상품유형에 따른 속성의 차이와 소비자의 성향이 복합적으로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험상품 유형별로 보험상품의 특수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보험 구매의사결정의 어려움, 의사결정 결과의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정책적 및 실무적 측면에서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 및 보험상품 유형에 따른 차별적 접근방안을 마련하는 데 실효성 있는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1. to elucidate the decision making style of insurance consumers; 2.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decision making sty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cision making processes according to insurance product types. To fulfill the above objectives, we applied qualitativ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o the analysis of grounded theory, and used quantitative data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or analysis.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outcome. First, the decision making style of insurance consumers was categorized into five different styles: Rational, intuitive, dependent, impulsive, and avoiding, and depending on to which style they belong, the consumer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decisionmaking proces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cision-mak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property by the insurance product type that the consumer perceived. Third, the difference of attributes and consumer tendency according to product type have a great effect on the decision making style of insurance consumers.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sumers" perception about the specificity of the insurance product, the difficulty of the insurance purchase decision-making, and the decision-maling result by insurance product typ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effective implications for the differentiation approach of insurance consumers" decision-making style and insurance product type in policy and practical aspects.

      • 한국형에니어그램간편성격유형검사 개발

        윤운성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15 에니어그램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한국형에니어그램성격유형간편검사지를 표준화 개발하는 연구이다. 1) 한국형에 니어그램 성격유형검사지(KEPTI)의 문항의 양호도를 분석하여 36개 문항을 선정하였다. 2) 선 정된 36개 문항과 한국형에니어그램 성격유형검사지(KEPTI)와의 유형별 상관성을 비교분석하기 위한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3) 유의한 차이가 있는 문항들을 안면타당도를 검토하여 최종 36개 의 문항을 선정하고, 2주 간격의 재검사신뢰도 (.837(p<.001)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형에니어그램간편성격유형검사를 표준화 개발함으로써 현장에서 짧은 시간동 안 유형판별에 도움을 주었다. 간편성격유형검사지를 활용함으로써 한국형에니어그램의 지혜가 더욱 토착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standardized test of Korean Enneagram Simple Personality Type Indicator(KESPTI) based on Korean Enneagram Personality Type Indicator(KEPTI). 9 personality types including the 36 items of the scale was analyzed throughout the items of KEPTI which were originated toward the Korean culture. Comparing the 9 tpye correlationship of KEPTI, finally 36 items on KESPTI were selected and modified for high reliability. So test-retest reliability was significantly high (.837(p<.001). Thus, it could be concluded that each of the scales was accepted as representing a good fit to one factor model. Also, it may be utilized as reliable psychological instrument for understanding one’s personality types for a short period of time

      • KCI등재

        독거노인의 주거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신근화(Shin Geun Hwa ),신원식(Shin Won Shik)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1

        본 연구는 독거노인들의 주거유형에 관한 주관적 인식을 Q 방법을 통해 유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거유형별 특성을 파악하여 이론적 토대를 형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총 세 차례의 수정 및 재검토 과정을 거쳐 선정된 23개의 진술문을 23명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Q 분류를 하게 하였다. 분석 결과, 네 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유형 1은 ‘지지적 교류관계 부재형’, 유형 2는 ‘완전 고립형’, 유형 3은 ‘대인적 교류관계 단절형’, 유형 4는 ‘만족형’으로 명명하였다. 독거노인의 주거유형화를 통해 주거유형별 특성을 유추해 보면, 첫째, 유형 1은 향후 자살, 우울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로 연결될 수 있다. 둘째, 유형 2는 총체적이면서 인과적인 주거선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셋째, 유형 1과 3은 주거의 의미를 사회적․심리적 관계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grasp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bout housing type through Q methodology and to contribute to form the theoretical basis to understand the type of housing properties based on it. A total of three times selected through a process of modification and review of 23 statements on the door to the Q classification was targeting 23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alysis, four types were derived. Type 1 is support exchanges between member type, Type 2 is fully isolated type, Type 3 is interpersonal exchange relationships break type, Type 4 was named as satisfaction type. When to infer the type of housing typology of housing properties through the elderly living alone, first, type 1 can be linked to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future suicide, depression. Second, type 2 can be connected as a whole, yet casual residential choice. Third, type 1 and 3 , it is necessary to access the sense of social housing to psychological side relationship.

      • 대학생의 진로선택유형에 따른 진로정체감, 진로미결정 및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남아란 ( Ah Ran Nam ),하정 ( Jung Ha ) 전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구 사회과학종합연구소) 2013 社會科學論叢 Vol.28 No.1

        본 연구는 Super(1988)의 진로발달이론의 주요 개념인 직업적 자기정체감을 토대로 Gianakos(1999)가 구분한 진로선택유형에 따른 진로정체감과 진로미결정요인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나아가 진로선택유형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직업적 자기정체감의 일관성의 유형과 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호남지역 소재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481명(남학생: 226명, 여학생: 255명)이었다. Super(1988)의 진로발달이론에 기초하여 진로선택유형을 안정적(25.8%), 중다선택(9.4%), 관습적(32.4%), 그리고 불안정적 유형(32.4%)으로 구분하여, 진로선택 유형에 따른 진로정체감, 진로미결정요인,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안정적 진로선택유형과 관습적 진로선택유형이 중다선택 진로선택유형과 불안정적 진로선택유형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Gianakos(1999)의 진로선택유형의 구분을 일관되게 한국 대학생에게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한국대학생들의 경우 관습적 진로선택 유형은 안정적 진로선택유형과 비슷한 성향으로 분류되고 중다선택 유형은 불안정적 진로선택유형과 비슷한 성향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 진로상담의 실제에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으며 대학 진학을 전후한 전공 선택과 관련된 진로선택의 중요성과 이에 대한 상담 개입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four types of career choice in career identity, career indecision and adaptation to the college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481 college students. 481 undergraduates were classified into the four types of career choice(the stable(25.8%), the multiple choice(9.4%), the conventional(32.4%), and the unstable(32.4%)).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able type and the conventional type represented higher score in career identity and student adaptation than the multiple type and the unstable type. In career indecision, the unstable type showed higher score than the stable type and the conventional type. In perspective of life career development, all processes related to career are not the matter to be able to decide at one moment, but it exists as a process. Particularly, college is important time for students to select and to decide the career. Although a career is already fixed, intervention counseling need to be provided effectively for college students by considering the types of career choice and sub-factors of career indecision.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implement the systematic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in order to allow them to perform much stable career activities.

      •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에너지 수준에 따른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상황, 학교생활장애 및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김명수,윤운성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11 에니어그램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검사를 통해 나타난 기본성격유형의 에너지 수준에 따라 대학생들이 학교생활 속에서의 스트레스, 학교생활장애, 스트레스 대처방식과는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분석결과는 첫째,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의 에너지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장애에서는 예술가, 사색가, 충성가, 지도자, 중재자와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 유형들은 기본성격유형의 에너지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생활 속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으며 그로 인해 학교생활 장애를 더 많이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개혁가, 조력가, 성취자, 낙천가 유형에서는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있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의 에너지 수준에 따른 대처방식에서는 개혁가, 조력가, 성취자, 예술가, 사색가, 충성가, 지도자와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 유형들은 기본 성격유형의 에너지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생활 속에서 어떤 상황에서든 자신의 방식대로 대처하려고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중재자 유형에서는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있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각 유형의 에너지 수준에 따른 대처방식에 대한 연구가 심도 있게 이루어져서 대학생들에게 각 유형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교생활을 효율적이고 의미 있게 즐길 수 있도록 국가차원에서 제도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소기업유형에 따른 인적자원시스템과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 The Case of Medium and Small Sized Firms

        김정덕,조영호 한국중소기업학회 2002 中小企業硏究 Vol.24 No.4

        본 연구는 한국 중소기업에 있어서, 인적자원시스템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적자원시스템과 중소기업을 네 개의 유형으로 각각 구분 하였다. 그리고 인적자원시스템의 특성과 유형의 두 차원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세 접근방법-보편적접근, 상황적 접근, 형태적 접근-에 따라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 하였다. 205개 표본 중소기업에 대한 연구결과, 인적자원시스템 특성(투자개념, 시장논리)은 성과와 정적으로 관련되었고, 중소기업 특성(기술력, 의존도)가운데 의존도는 이 둘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조절하였다. 또한 네 가지 인적자원유형들간에 유의한 성과 차이가 나타난 반면, 인적자원유형과 중소기업유형간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보편적 정근이 강하게 지지된 반면, 상황적 접근과 형태적 접근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한편, 중소기업 가운데, 세 유형의 기업이 각각 다른 인적자원유형과 연결 되었는데, 기술력이 낮은 두 유형의 기업은, 최선의 인적자원유형을 적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 기업에 적합한 인적자원유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human resource(HR) systems on corporate performance among medium and small sized firms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classified HR systems and firms into four different types, And develope several hypotheses based on three approaches to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universal, contingency and configuration approaches. The universal approach predict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d HR systems. The contingency approach predicts that characteristics of firms will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d HR systems, Finally, the configuration approach predicts that there will be an ideal HR type, and relationship between HR types and performance will be contingent on a firm type. The authors tested the hypotheses with the sample of 205 medium and small sized companies. The results support the universal approach. The contingency and configuration approaches receive partial support. Addtional analysis showed that three of four firm types actually linked with different HR system type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in more detail.

      • 주택유형별 거주환경 평가를 통한 주택유형의 다양화 방안 연구

        장윤배,봉인식,양우혁,신수임,권민아 경기연구원 2008 정책연구 Vol.2008 No.10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005년 주택유형별 경기도 주택재고를 살펴보면 아파트가 62.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아파트는 주택부족해소, 주거수준향상 등과 같은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주택에 대한 선택기회를 박탈했다는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 본 연구는 주택유형이 다양화되지 못하는 현상에 대해 공급측면에서 그 원인과 해결책을 살펴보고자 하며 이는 양적으로 안정된 경기도 주거공간이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라고 판단된다. 공급측면에서의 접근은 다양한 방향에서 가능하지만 여기서는 아파트가 급속히 확산되는 데 중요한 원인을 제공한 공급정책의 기조 및 그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문제제기를 시작으로 접근하였다. 이와 더불어 ‘아파트 개발’의 논리와 함께 점점 더 고층, 고밀화 되어가는 획일적인 공동주택계획의 관행을 중요 요인으로 파악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내외 주택유형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주택유형을 도출하였으며 주택유형별 거주환경의 평가를 통해 다양한 주택유형의 도입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개의 세부연구로 나뉘게 된다. 제1부는 ‘주택유형 다양화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로서 주택유형의 획일화 현상 에 대한 논의, 아파트의 급증과 확산의 원인분석, 주택공급의 공간적 변화 가능성 검토 등을 다루고 있으며 국ㆍ내외 사례분석을 통하여 도입가능한 주택유형을 도출하였다. 제2부는 ‘주택유형별 거주환경 평가’에 대한 연구로서 거주환경 평가를 위한 분석의 틀로서 지표설정 및 시뮬레이션 방법을 도출하고, 제1부에서 도출한 주택유형에 대한 평가와 용적률 수준에 따른 평가, 재건축사례의 평가 등을 수행하였다. 두 개의 세부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택유형별 평가결과와 정책제안 등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내용 및 정책건의 지난 30년간 아파트의 대량공급으로 인해 경기도의 주택유형은 아파트로 획일화되었으며 현재도 아파트의 증가 및 공간적 확산은 계속되고 있다. 세대구성, 높이, 배치를 기준으로 8개 주택유형에 대해 비교 분석한 결과, 주택유형은 밀도와 높이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이들이 특정한 유형을 결정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극단을 제외한 일정한 밀도수준에서 다양한 주택유형의 계획이 가능한 동시에 동일한 주택유형에서 다양한 밀도수준과 높이의 구현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실내일조의 경우, 실내일조환경은 대지규모에 상관없이 불연속형 중에서 판상형 공동주택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규모 대지에서 불연속 B형(타워형) 주택도 비교적 우수하게 나타났다. 중규모 대지에서 모든 층에서 4시간이상 일조를 달성할 수 있는 연속형(중정형)이 비교적 우수하게 나타났다. 소규모 대지에서 연속형(중정형) 주택의 내부일조시간은 평균 3.45시간에 불과하여 열악하다고 평가된다. 외부일조환경의 경우, 단지내부의 외부환경은 불연속 B형(타워형)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다른 유형에 비해 건폐율이 작게 설계되어서 측면 태양광을 받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단지외부의 일조환경은 모든 대지규모에서 불연속 A형(판상형)이 가장 열악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연속형(중정형)은 대지규모가 커질수록 주변지역 피해범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연속형 공동주택은 중규모 대지에서 불연속 공동주택형보다 나쁘지 않은 또는 보다 좋은 거주환경을 구현할 수 있으며 고밀개발에 대한 유연성도 높으며 기성시가지뿐 아니라 대규모 택지개발 시에도 적용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이를 위하여 기성시가지 정비 시 중저층 연속형 공동주택 개발, 택지개발사업 시 단독주택 및 연속 공동주택 개발, 다양한 연속 공동주택형 개발지원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