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유아교사 자질 인식 간 관계 비교연구

        이상미(Lee, Sangmi),이유미(Lee, Youm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13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유아교사 자질 인식 간 차이 및 두 변인 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 내 서울에 소재한 4년제 대학 2곳과 중국 내 북경에 소재한 4년제 대학 2곳에 재학 중인 2, 3, 4학년 예비유아교사 386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유아교사 자질 인식 수준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행복감 수준은 중국 예비유아교사가 한국 예비유아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유아교사 자질 인식 수준은 한국 예비유아교사가 중국 예비유아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유아교사 자질 인식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행복감 수준에 따른 유아교사 자질 인식 수준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한국 예비유아교사들은 행복감 수준에 따라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 중 ‘전문적 지식’ 인식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중국 예비유아교사들은 행복감 수준에 따라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 인식과 개인적 자질 인식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배경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행복감이 한국과 중국 예비유아교사 모두에게 전문성을 갖춘 유아교사로 성장하도록 돕는 중요한 심리적 기제가 된다는 점을 시사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feeling of happiness and perception of infant teacher quality among pre-service infant teachers in Korea and China as well as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variables. For this, the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386 pre-service infant teachers of 2nd, 3rd, 4th grade undergraduates at two four-year-course colleges located in Seoul Korea and Beijing China respectively.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vels of feeling of happiness and perception of infant teacher quality of pre-service infant teachers in Korea and China. In the aspect of the level of feeling of happiness, Chinese pre-service infant teachers had the higher level than that of the counterpart. While, in the aspect of the level of perception of infant teacher quality, Korean pre-service infant teachers had the higher level than that of the counterpart. Second, among pre-service infant teachers in both countries,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between feeling of happiness and perception of infant teacher qualit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the level of perception of infant teacher quality depending on the level of feeling of happiness, Korean pre-service infant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at the perception of "expertise" out of professional qualities of infant teachers depending on the level of feeling of happiness. While, Chinese pre-service infant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reas of professional quality and personal quality depending on the level of feeling of happiness. This study might have its implications for that feeling of happiness could be an important psychological capability helping pre-service infant teachers in both countries grow as an infant teacher equipped with professionality as well as that this feeling of happiness could distinctly affect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infant teachers according to the sociocultural backgrounds.

      • KCI등재

        미국과 한국 예비유아교사들의 실습경험 비교 탐색

        김태인,김혜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that American and Korean kindergarten pre-service teachers have had during their student teaching.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67 kindergarten pre-service teachers (27 Americans; 40 Koreans). After having in-depth interviews, qualita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data. For the results, the experiences that they had were largely divided into 4 categories: the lesson preparation; the lesson implementation; the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and the relationship with a mentor teacher. In relation to the lesson preparation,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addressed uncertainty, difficulties of decision, and support; Korean pre-service teachers described concerns about making instructional materials, no tools to support their lesson, limited time and heavy loads, demand for new ideas, and no feedbacks from mentor teachers. Regarding the relationship with a mentor teacher,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illustrated mentor teachers as a facilitator and as a non-cooperator; Korean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ships. Regarding the lesson implementation,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illustrated experiences about unsuccessful lesson implementation and difficulties in deciding instructional level; Korean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lacks of experiences of lesson implementation, and difficulties in interaction with children for lesson and in classroom management. In relation to the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addressed difficulties of classroom management and positive interaction; Korean pre-service teachers described interaction on conflicts and concerns about appropriate interaction with individuals.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예비유아교사들이 실습을 통해 경험하는 내용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의 예비유아교사 27명과 한국의 예비유아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과 한국의 예비유아교사들이 경험한 내용은 크게 수업 준비에서의 경험, 수업 운영에서의 경험, 유아들과의 상호작용에서의 경험, 교사와의 관계에서의 경험 등으로 카테고리가 나뉘었다. 수업 준비에서의 경험에서 미국 예비유아교사들은 수업 계획에 대한 불확신, 교사가 원하는 수업-유아에게 적합한 수업인지에 대한 판단 어려움, 수업 준비에 대한 지원 등의 경험을 하였고 한국 예비유아교사들은 교구 제작에 대한 고민, 참고할 틀이 없음, 촉박한 시간과 과다한 업무, 새로운 아이디어요구,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피드백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운영에서의 경험의 경우 미국 예비유아교사들은 계획한 대로 수업이 진행되지 않는 경험, 주의 집중의 어려움, 수업 수준 정하기 등의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 예비유아교사들은 수업 운영 경험 부족, 수업시간 내에서의 상호작용 어려움, 주의집중의 어려움 등을 경험하였다. 유아들과의 상호작용에서의 경험의 경우 미국 예비유아교사들은 주의집중의 어려움, 유아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경험하였고, 한국 예비유아교사들은 갈등 상황에서의 상호작용과 개별 유아에게 적합한 상호작용에 대한 고민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와의 관계에서의 경험은 미국 예비유아교사들의 경우 조력자로서의 지도교사, 비협조적인 지도교사를 경험하였고, 한국 예비유아교사들의 경우 지도교사와의 긍정적 관계, 지도교사와의 부정적 관계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갈등 고찰 - 장애유아통합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교사를 중심으로 -

        곽현주,한남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3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upportive program for pre-child educators by analyzing conflicts and the needs of pre-childhood educators to solve conflicts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programs. For this study, I interviewed twice, analyzed drawings of pre-childhood educators representing the special need children and reflective journals of 70 pre-childhood educators in the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classes. The results showed pre-childhood educators had positive attitudes but were afraid of educat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hen they become childhood educators. Successful actual training in the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re-childhood educators, but unsuccessful actual training in the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pre-child educators. They felt anxiety from conflicts originating from which they didn’t have enough knowledge and skills to teach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felt burdened with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s well as ordinary children. They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 they worried about not giving enough love for ordinary children. The pre-childhood educators needed more subjects to obtain knowledge about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wanted to have more practice to acquire skills to educate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classes using video which show teach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y thought it was important to have self-confidences to develop good attitudes though they didn’t have special needs related with attitudes. 본 연구는 장애유아통합교육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가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해 갖고 있는 갈등과 갈등해결을 위해 예비유아교사가 원하는 요구를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 양성기관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마련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장애유아통합교육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70여명의 유아교육과 예비유아교사가 작성한 반성적 저널과 장애유아 표상그림을 분석하고, 2회의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대체적으로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으나 실제로 자신이 교사가 되어 장애유아를 지도하게 될 것에는 두려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비유아교사가 장애유아통합교육 지식과 관련하여 갖고 있는 갈등은 장애유아를 지도하기에 충분한 지식을 갖지 못한 것에 대한 불안으로 분석되었고, 기술과 관련된 갈등은 장애유아를 실제로 지도해보지 못한 것에서 오는 불안감, 일반유아와 장애유아를 한 반에서 지도해야 하는데서 오는 부담으로 분석되었다. 태도와 관련된 갈등으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를 동일하게 사랑해주지 못할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존재하였으나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갖고 있었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지식․기술과 관련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애유아통합교육과 관련된 더 많은 교과목 구성, 장애유아를 지도해 볼 수 있는 실습 기회제공, 장애유아를 지도하는 장면이 포함된 동영상 활용수업을 요구하였다. 태도와 관련된 예비유아교사의 특별한 요구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예비교사 스스로 노력하여 자신감을 획득하는 것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 KCI등재

        시편 중심 교재교구개발을 통한 기독 예비 유아교사의 변화

        김민정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5 No.-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exploring the changes of christian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e development of Psalm-centered teaching materials. I collected data through 29 interviews, questionnaires, production plan and portfolio of reflection from 29th March, 2018 to 29th Christian educatio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Psalm-centered teaching materials, which is a detailed subject of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derive core categories and categorized them. In order to objectify the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wo theologian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the experiences of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development of Psalm - centered teaching materials were categorized into knowledge, personality, and behavioral changes. First, the change of the knowledge of Christian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confusion and stability. Christian pre-service teachers have been confused by the idea of ​​creating and making ideas about the development of psalm-centered teaching materials. Stability has come as they learned theories of teaching materials through lectures and workshops.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stability are interested in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teaching materials and it was recognized that the development of psalm-centered teaching material should be 'infant-centered', 'concrete production', and 'safe production'.In other words, the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learned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teaching materials that integrate the philosophy of Christianity and the methodolog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the personality change of the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appeared as Christian spirituality 'close to God', cooperative community 'close to peer', and personality 'close to me'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Psalm - centered teaching material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psalm-centered teaching materials for the group, we pondered on the Psalms and frequently thought about God. In the process of trial, error, failure, and success of the community collaboration process, we have a positive attitude and persistence, confidence and achievement, joy and reward. Third, behavioral changes of Christian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found in 'searching for detail', 'searching again' and 'searching for new' in the process about development of Psalm - centered teaching materials. Unlike in the early weeks of class, the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inued to concentrate and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developing the teaching materials precisely, carefully and actively. The exploratory behaviors of diverse objects and recycled materials were overlooked by the Christian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In addition, the Christian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wanted to apply the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activities in this class to other subjects or to Bible story. Christian pre - service teachers could expect to improve the efficacy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by experiencing the integration of Christian philosoph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rough the development of Psalm - centered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instruction methods in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시편 중심 교재교구개발을 통한 기독예비유아교사의 변화를 탐구하여 기독유아교육의 교재교구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아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의 세부 주제인 시편 중심 교재교구개발에 참여하는 기독교교육과 학생 29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2일 ~ 6월 29일 동안 면담, 설문조사, 제작계획안, 성찰이 담긴 포트폴리오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핵심 범주를 도출하고 이를 범주화하였다. 자료분석 및 해석의 객관화를 위해 신학 및 유아교육 전문가 2인의 동료확인을 거쳤다. 연구결과, 시편 중심 교재교구개발에 대한 기독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은 지식적 변화, 인성적 변화, 행동적 변화로 범주화되었다. 첫째, 기독예비유아교사의 지식적 변화는 혼란기와 안정기로 나타났다. 기독예비유아교사들은 시편 중심 교재교구개발에 대한 아이디어 창출과 제작 방법에 대해 고민하는 혼란기를 지나, 강의 및 워크숍을 통해 교재교구 이론을 습득하면서 안정기가 되었다. 안정기 안에 있는 기독예비유아교사들은 기독교 교재교구 개발에 관심을 갖고, 시편 중심 교재교구 개발은 ‘유아중심으로 제작’,‘구체적으로 제작’,‘안전하게 제작’해야 함을 인식했다. 즉, 기독예비유아교사는 기독교의 철학과 유아교육의 방법론을 통합하는 교재교구의 실제에 대한 지식을 형성했다. 둘째, 기독예비유아교사의 인성적 변화는 시편 중심 교재교구개발 과정에서 ‘하나님과 가까이’하는 기독교 영성, ‘동료와 가까이’하는 협동 공동체 인성,‘나와 가까이’하는 개인 인성으로 나타났다. 조별 과제인 시편 중심 교재교구개발과정에서 시편을 묵상하고 하나님에 대해 자주 생각하게 되었으며, 공동체 협업 과정의 시행착오와 실패, 그리고 성공 속에서 개인적인 긍정의 자세와 끈기, 자신감과 성취감, 기쁨과 보람을 경험하였다. 셋째, 기독예비유아교사의 행동적 변화는 시편 중심 교재교구개발과정에서 '자세히 찾기', '다시 찾기', '새로이 찾기'로 나타났다. 수업 초기와 달리, 기독예비유아교사들은 지속적인 집중력을 발휘하였고, 교재교구제작 및 개발과정에 꼼꼼하고 세밀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기독예비유아교사가 간과했던 다양한 사물과 재활용품 활용의 탐색하는 행동이 나타났다. 또한, 기독예비유아교사는 본 수업에서 이루어진 교재교구개발 활동을 다른 과목 또는 성경 이야기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기독예비유아교사는 시편 중심 교재교구개발을 통해 기독교 철학과 유아교육 교수학습방법의 통합을 경험하면서 기독유아교사의 효능감 향상을 기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기독유아교육의 교재교구개발 및 지도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예비유아교사와 대학교수의 모의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서윤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와 대학교수의 모의수업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모의수업 모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3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예비유아교사 10명, 유아교육과 교수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와 대학교수 모두 모의수업 경험이 교사 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모의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수업 향상 가능성 정도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학교수의 경우 모의수업의 필요성에 대해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둘째, 모의수업에 대한 요구와 관련하여 교육목표 측면에서 예비유아교사는 수업기술 증진, 대학교수는 모의수업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반성적 사고능력을 함양을 중요한 목표로 보았다. 교육내용 측면에서는 예비유아교사는 동기유발전략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예비유아교사와 대학교수 모두 수업목표 설정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방법 측면에서는 예비유아교사와 대학교수 모두 토론과 협의를 통한 운영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고 예비유아교사의 경우에는 현장 수업이나 시범 수업 등의 구체적인 수업 참관을 통한 교수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하는 학교현장실습의 의미 : 지도교사, 유아, 동료 예비유아교사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신현정 총신대학교 2022 總神大論叢 Vol.4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하는 학교현장실습의 의미를 지도교사, 유아, 동료 예비 유아교사와의 관계를 통해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 학생 중 2022년 1학기 학교현장실습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 57명을 대상으로 실습평가서, 반성적 저널, 실습평가회, 면담자료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학교현장실습에서 관계를 맺는 주요 대상인 지도교사, 유아, 동료 예비유아교사와의 경험을 중심으로 범주화하여 학교현장실습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도교사로부터 일과에 대해 세밀한 배려를 받은 예비유아교사는 원활한 현장 적응이 이루어졌고, 교육적으로 지원을 받은 예비유아교사는 대학에서 배운 것을 실제에서 경험하며 유아교사로 준비될 수 있었다. 또한 지도교사가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며 격려할 때 예비유아교사는 자신감을 가지고 유아교사에 대한 꿈을 키울 수 있 었다. 반면, 지도교사와 적절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고 존중받지 못할 때 예비유아교사는 유아교사로 진출하는 것에 대해 걱정하고 좌절감을 느끼게 되었다. 둘째, 유아는 예비유아교사를 힘들고 어렵게 만들기도 했으나 실습이 지속되면서 예비유아교사에게 위로와 힘이 되는 존재로 다가왔다. 이러한 관계는 예비유아교사가 유아교사로서 적성이 맞는지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학교현장실습 현장에서 동료로 함께한 예비유아교사는 서로에게 힘이 되어 동반 성장을 할 수 있는 동력이 되기도 했지만 육체적, 정신적으로 부담감을 가지게 하였다. 결론적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이 학교현장실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양성기관인 대학에서 현장중심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 내용을 선정하고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육공동체에 대한 인식 및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의 이미지

        정계숙,견주연,윤갑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2

        본 연구는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의 개념과 유아교육공동체 구축 방안에 관한 일련의 기초연구 중 하나로, 미래의 유아교육공동체의 주체가 될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교육공동체에 대한 인식 및 본 연구에서 유아교육공동체의 지향 방향으로 상정한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에 대한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P시와 K도의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예비유아교사 총 243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기관을 교육공동체로 인식하는 정도는 보통보다 조금 높았다. 둘째, 교육실습 경험이 없는 예비유아교사들이 경험이 있는 예비교사들에 비해, 4년제 예비유아교사들이 2․3년제에 비해 유아교육공동체에대한 인식이 더 높았다. 셋째, 모든 구성원이 교육공동체의 주체라고 생각한 예비유아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예비교사들에 비해 유아교육공동체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다. 넷째, 현재 유아교육기관을 교육공동체로서 낮게 진단한 예비유아교사들이 높거나 중간정도로 진단한 예비교사들에 비해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이 유의하게 낮았다. 다섯째, 예비유아교사들은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를 ‘소통되는, 가치 있는, 배려하는, 정감 있는, 화합하는, 생명 존중의, 긍정적인, 조화로운, 공평한’ 등으로 이미지화 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교육내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perception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and images of a ‘warm’ educational communit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ubjects consisted of 243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2-3 year course colleges and 4 year course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howed above average percept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Second, university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no teaching experience tend to have higher perception than teaching experienced college ones. Third, pre-service teachers who think that all members should be agents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showed higher perception than those who think of each member as an agent. Fourth, pre-service teachers who rate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which the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s revealed lower perception than those who rated middle and high. Last, pre-service teachers have images of ‘warm’ educational community as ‘communicative’, ‘valuable’, ‘considerate’, ‘amiable’, ‘come together’, ‘life respectful’, ‘positive’, ‘harmonious’, and ‘equitabl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contents of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building a ‘warm’ educational community are discussed.

      • KCI등재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사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변화

        김향자(Kim Hyang-Ja),김태인(Kim Tae I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핵심역량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실습 운영 및 프로그램의 개선방 안을 모색하고자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변화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반적 배경에 대해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고,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전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역량중요도 수준과 현재 역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t-test를 실시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실습 전, 실습 후, 실습 전․후에 대한 역량변화의 대한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집단 간의 차이 검증을 위해서 Scheffé사후검 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실습환경의 구체적 경험요소들이 예비유아교사의 핵심 역량을 얼마나 예측 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단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실습 전과 후 모두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역량중요도와 현재역량수준은 모든 영역에 서 유의미한 차이가 났고, 교육실습 전․후의 핵심역량 인식을 살펴본 결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 역량’과 ‘학급 운영역량’은 교육실습을 통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와 지도교사의 일반 적 배경에 따라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역량 중요도와 역량수준의 차이를 교육실습 전․후로 살펴본 결과, 교육실습 시 담당학급 연령이 만 4세인 경우와 실습지도교사 학력이 전문대졸인 경우, 교육실습 전 보다 후에 예비유아교사들은 자신의 핵심역량 수준을 높게 인식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역량중요도와 교 육실습 환경 요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에서는 역량중요도와 실습지도교사의 태도는 정적 상관, 역 량 수준과 실습지도교사의 태도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erceived levels of significance of and the perceived current levels of core competencie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fore and after teaching practicum respectively. Also,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practicum-related variables and changes in the perceptions of core competencies pre- and after teaching practicum.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assigned in a 4-year-old class and whose supervising teachers graduated from community college showed an increase in their levels of core competencies after student teaching.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significance of core competencies perceived by student teachers and supervising teachers’ attitudes, whil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current competencies and supervising teachers’ attitudes. These results provided implications to refine curriculum to foster core competencies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d suggestions to improve teaching practicum programs.

      • KCI등재

        자연관찰을 활용한 과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자현,하경용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관찰을 활용한 과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전문대학에서 유아과학교육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60명을 대상으로 10주 동안 자연관찰 활동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을 사전?사후에 검사도구로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팀별?개인과학일지와 반성적 저널쓰기, 면담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관찰을 활용한 과학교육 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연관찰을 활용한 과학교육 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과학교수 개인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에서는 자연관찰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 자연관찰 대상에 대한 긍정적 인식, 생명에 대한 소중함과 존엄성, 과학 지식에 대한 개방성, 과학을 통한 자발적인 실천, 탐구적 태도가 나타났다. 넷째,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의 변화에서는 자연관찰의 즐거움과 만족감, 예비유아과학 교사로서의 자신감이 증가하였고 유아과학교육에서 교사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반성적 사고가 나타났다.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연구 : 「자폐성장애유아교육」교과목의 포트폴리오 체제 운영을 통한 예비유아특수교사의 자폐성장애 아동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응용행동분석적 교수전략 관련 지식의 변화

        박계신 ( Gye Shin Park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자폐성장애유아교육」교과목을 운영할 때 응용행동분석적 교수 전략의 교수를 포함하는 포트폴리오 체제를 적용함으로써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이 자폐성 장애학생에 대한 교사효능감에 있어서 변화를 나타내는지와 응용행동분석적 교수 전략에 대한 지식이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이 포트폴리오 체제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무엇을 경험하였는가를 질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폐성장애학생 대상 교사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의 사전사후 교사효능감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예비유아특수교육교사들의 사전사후 개념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응용 행동분석적 교수 전략에 대한 지식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이 교과목 관련 과제 수행 시 작성한 개인별 반성적 저널을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예비유아특수교육교사들의 포트폴리오 체제 활동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응용행동분석적 교수 전략을 포함한 포트폴리오 체제 활동 이후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의 자폐성 장애아동 대상 교사효능감은 일반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또한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은 응용행동분석적 교수 전략에 대한 지식에 있어서도 상위개념, 종속개념, 밀도 및 위계의 모든 측면에서 뚜렷한 향상을 나타냈다.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은 포트폴리오 체제 활동을 수행하면서 이론 수업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자폐성 장애학생의 특성 및 자신의 과거의 반응들을 성찰하였고, 수업을 통해 획득한 이론적 지식을 아동의 교육을 위해 적용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교육적 실천을 위해 습득한 지식 이외의 다양한 자원들을 활용하고 탐구하고자 하였다.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은 또한 교육적 실천을 통해 기쁨과 어려움을 경험하였고, 아울러 교육적 실천을 위해 확장된 탐구 자세를 갖게 되었으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자폐성 장애학생을 잘 가르치는 교사가 되고 싶은 바램과 각오를 나타냈다. 또한 자신들이 유아특수교사의 길을 선택한 것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rtfolio System including Applied Behavior Analysis educational strategie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on teaching efficacy and knowledge chang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ddition to, this study is to inquire how pre-service teachers tell about the experiences of the Portfolio System. Twenty-two pre-service teachers in 「Teaching young children with Autism」university lecture course participated in the Portfolio System. Teaching efficacy test and concept mapping analysis were conducted on before and after running the Portfolio System, and pre-service teachers` daily reflective journals were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were proved to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at application of the Portfolio System. Second, There were considerable change on their knowledge(in general concepts, sub-concepts, concept map levels and cross-links) about Applied Behavior Analysis educational strategies. And the third, pre-service teachers had a practical experience and established image of good teacher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