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량이력서 교육을 통한 태도변화에 대한 연구

        김종호,남미라,정동섭,변대호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5 산업혁신연구 Vol.31 No.1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기업의 생존과 발전에 필수적인 우수 인적자원에 대한 확보와 선발을 위한 한 방법으로 구조화된 역량기반의 채용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과도한 스펙쌓기 경쟁이 가져오는 부작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면서 기업의 채용 방식에 변화의 바람이불고 있다. 이른바 스펙초월이다. 취업조사기관의 연구에서 학점 어학점수 등의 스펙보다는 도전정신이나 열정 등 역량을 중시하는 ‘스펙초월’ 채용제도로 입사한 신입사원이 기존 방식으로 채용된 신입사원보다 직무 만족도가 더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는 사실은 인사채용 시스템의 새로운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스펙초월이란 스펙에 따른 자격 제한, 서류전형 등 천편일률적으로 인재를 거르지 않고 다수의 인재를 선발과정에 참여시키는 개방적인 채용시스템을 일컫는다. 스펙을 초월한 채용이란 겉으로 들어나지 않는 개인의 역량을 발굴하려는 새로운 인재채용 방식이다. 스펙보다 역량중심의 채용이 필요한 이유는 직무만족도와 업무 성과가 높고 이직률 또한 낮기 때문이다. 역량중심 채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구직자는 먼저 역량이력서를 작성해야 한다. 그러나 역량이력서는 자신의 성취스토리, 강점, 직무역량 등을 표현해야하기 때문에 기존 이력서보다 작성이 어렵고 별도의 교육과 학습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역량이력서란 무엇이며 어떻게 작성되며, 역량이력서 교육의 효과를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첫째, 역량이력서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구직자를 대상으로 실제 작성된 사례를 살펴본다. 둘째, 역량이력서 작성을 위한 교육을 이수하였을 때 구직자에게 어떤 변화가 생기는 지를 살펴본다. 그 결과 자기신뢰, 자기존중감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ecruitment free from specification means a new attractive recruiting method which focuses on finding hidden individual competency. The reason we are trying to concentrate this method will provide higher job performance and lower turnover rate than the employee selected by traditional recruiting. Job seekers should prepare a competency resume against the new recruitment. The competency resume is more difficult to complete compare to traditional resumes and letters of self introduction because it should contain their achievement stories, strength and weakness, and show job competency. Therefore the job seekers require some education and receiving consulting from expert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what is a competency resume and how to wite it as well as how much educating in wring a competency resume is necessary for job seekers. First, we provide a framework of competency resume and case examples from real job seekers. Second, we find what are changed in mind from job seekers who have completed a course in writing a competency resume. As a result, we gained high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 self respect to the job seekers is increased compared to education before.

      • KCI등재

        공무원의 필요역량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수준 인식비교를 통한 역량기반 공무원 교육훈련 방향에 대한 고찰

        이현영 한국인사행정학회 2010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승진사무관을 대상으로 중앙부처 5급 필요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수준에 대한 인식차이를 비교함으로서 이들의 교육요구를 파악하고, 현재 중앙공무원교육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평가센터(assesment center)방식의 역량기반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실효성을 분석하여, 향후 부족역량을 실질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훈련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앙공무원교육원 ‘5급승진자과정’ 교육생인 승진사무관 188명을 대상으로 5급 필요역량인 6개 역량, 17개 하위역량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수준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평균, 표준편차 분석 및 인식차이 분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앙부처 승진사무관들은 5급 필요역량 중 ‘보고서 작성’,‘업무계획 수립’, ‘전문성 확보’, ‘효과적 의사전달’의 순으로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성’, ‘업무계획 수립’, ‘보고서 작성’, ‘이견조율’의 순으로 수행수준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수행수준에 대한 인식차이 분석을 위한 대응표본 t검증 결과, ‘전문성 확보’ 역량을 제외한 모든 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전문성 확보’를 제외한 모든 역량에 대해 중요도에 대한 인식에 비해 실제 수행수준은 낮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특히, ‘문제예측’과 ‘효과적문제대응‘을 포함한 문제해결 역량이 중요도와 수행수준에 대한 인식차가 큰 것으로 분석되어 공무원 문제해결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중앙공무원교육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가상의 업무상황과 해결과제를 바탕으로 하는 모의과제(simulation) 실습 중심의 현행 역량기반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실효성과 향후 교육훈련을 위한 구체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앙부처 계층 상호간의 직무역량 기대격차에 관한 연구

        이창길 한국인사행정학회 2008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7 No.2

        본 연구는 중앙부처 중간관리층의 핵심역량에 대한 계층 상호간의 기대격차를 분석하였다. 2007년 재정경제부 소속 과장급 이하 공무원 총 216명을 대상으로 직무역량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과장-계장-직원의 계층구조에 상응하는 정책관리계층, 정책실무계층, 그리고 실무집행계층의 3개 계층군으로 구분하여 계층별 필요직무역량과 현재역량격차를 조사하고 계층 상호간의 역량기대격차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책관리계층의 필요직무역량은 목표방향제시, 전략적 사고, 합리적인 의사결정, 정책실무계층의 경우 전문가의식, 문제해결능력, 전략적 사고, 그리고 실무집행계층의 경우, 정보수집 관리나 전문가 의식, 세밀한 일 처리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계층 상호간의 역량기대격차는 정책관리계층은 전략적 사고와 전문가 의식, 정책실무계층은 문제해결능력이나 합리적인 의사결정, 실무집행계층은 조직헌신도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역량기대격차의 결정요인 분석결과, 정책관리계층은 필요역량순위가 높을수록 역량기대격차는 낮게 나타난 반면, 정책실무계층은 필요역량순위가 높을수록 계층 상호간의 기대격차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정부 내 계층상호간 역량기대격차의 개념을 활용함으로써 중앙부처 중간관리층의 핵심적인 필요역량을 정확히 진단하고 역량중심의 인적자원관리의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음악교과역량 함양을 위한 국악 수업 설계

        한윤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7 敎員敎育 Vol.33 No.4

        It has been increasing the interest in subject competencies in music but studies on the subject competencies in Korean Music education are not enough for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ising practical measures about Korean Music classes based on subject competencies. For this aim, researcher examined the subject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 of music curriculum and then presented the direc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to cultivate subject competencies in music. A specific design was started after it was invented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based on subject competencies in music. The process consisted of four phases. There are ‘Identification of Achievement Standard, Selection of Contents based on Competency, Selection of Methods Based on Competency, Selection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is process, researcher have made instructional design for Korean Music education based on subject competencies enough to use in school practically. Instructional designs for Korean Music education based on subject competencies were focused on activities of expression, integrated activities of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nd music in daily life. The first topic is ‘Singing Nilliriya along to Gutgeori Jangdan’. the second topic is ‘Appreciating Talchum and Creative expression’. the third topic is ‘Investigating and introducing Pungmulnori in our region’. This research shows that competencies is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subject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eachers can combine and instruct various competencies at once and that most of all, Korean Music is very suitable to cultivate Cultural Community Competency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Competency in music. 본 연구는 음악교과역량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국악교육에서 역량 기반 국악 수업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먼저,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반영된 역량을 영역별로 살펴보았고, 음악교과역량 함양을 위해 국악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할 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인 수업설계에 앞서 역량 기반 수업 설계 과정도 개발하여 제안하였는데, 역량중심 수업 설계 과정으로 ‘성취기준 파악, 역량에 근거한 내용 선정, 역량에 근거한 방법 선정, 단계별 교수・학습 활동 선정’ 등 4단계를 설정하였다. 이 4단계 과정에 따라 실제로 학교에서 적용 가능한 역량 기반 국악수업을 설계해 보았다. 역량 함양을 위한 국악 수업 설계는 표현 활동, 표현과 감상 통합 활동, 생활화를 중심으로 한 3가지 형태로 구안하였으며, 각각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노래 부르기’, ‘탈춤 감상하고 창의적 표현하기’, ‘우리 지역 풍물놀이 소개하기’를 주제로 수업을 설계하여 보았다. 그 결과, 역량은 서로 긴밀한 관련성이 있기 때문에 역량이 통합적으로 다양하게 반영되어 나타나고, 특정 성취기준이나 내용에 여러 가지의 역량을 통합하여 교육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국악은 문화유산이면서 본질적으로 통합적이고 융합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문화적 공동체 역량’과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 함양 교육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 6대 핵심역량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박경하(Gyeong-ha Park), 김재철(Jae-cheol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 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역량, 공동체 역량, 의사소통 역량에 따라 잠재계층을 분류하여 잠재계층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자료는 부산광역시교육청 교육정책연구원 주관으로 설문을 통해 수집한 부산교육 종단연구(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의 설문 중 제4차 년도와 5차 년도에 해당하는 2019 ~ 2020년의 고등학교 1학년과 2학년에 해당하는 표집 자료를 사용하였고 1차 년도 설문에는 남학생 1,603명, 여학생 1415명으로 총 3,046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잠재계층 분류를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계층별 영향 요인 분석을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잠재 계층 사례 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5개의 계층 분류 모형이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판단하였다. 둘째, 성별은 계층 분류에 대부분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전반적 고역량집단’, ‘공동체 역량 불균형집단’보다 ‘중하위 역량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학습활동 시간이 높을수록 ‘전반적 저역량집단’보다 ‘중상위 역량집단’, ‘전반적 고역량집단’, ‘공동체 역량 불균형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으며, 부모⋅자녀관계가 좋을수록 ‘공동체 역량 불균형집단’보다 ‘중하위 역량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고, 교사 관계가 좋을수록 ‘전반적 저역량집단’보다 ‘전반적 고역량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으며, 교우 관계가 좋을수록 ‘중상위 역량집단’ 보다는 ‘전반적 고역량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핵심역량 발달을 수준에 따라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주는 변수(학습활동 시간, 부모, 교사, 교우관계)의 적절한 한 개입이 필요하다. 자녀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상실한 결손 가정을 돕기 위해 사회와 기관이 적극적 지원환경을 구축하고 학생이 학습활동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학교에서 다양한 활동(학생자치, 방과후 활동 등) 지원해야 한다. 지나칠 정도로 교우관계에 집착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학생들에게 역량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건강한 교우관계에 대한 올바른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otential class by classifying the potential class according to high school students' self-management ability,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aesthetic ability, community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Methods Research data were high school samples from 2020 to 2021, corresponding to the 4th and 5th years, among the surveys of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supervised by the Education Policy Research Institute of the Bu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 total of 3,046 people (1,603 male students and 1,415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Latent profile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ssify the latent clas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for each class. Results First, when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number of latent class cases, the 5 class classification model was judg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model. Second, gende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lass classification in most cases, but it was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the ‘middle and lower competency group’ than the ‘overall high competency group’ and ‘community competency imbalanced group’. Third, the higher the learning activity time,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being included in the ‘higher middle competency group’, ‘overall high competency group’, and ‘unbalanced community competency group’ than the ‘overall low competency group’. The possibility of being included in the ‘lower-middle competency group’ was higher than the ‘community imbalanced competency group’. The better the teacher relationship,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being included in the ‘overall high competency group’ than the ‘overall low competency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the ‘overall high competency group’ rather than the upper middle competency group. Conclusions intervention of variables (learning activity time, parents, teachers, peer relationship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core competency development is required. In order to help broken families who have lost the ability to support and protect their children, society and institutions must establish an active support environment and support various activities (student autonomy, after-school activities, etc.) at school to help students secure time for learning activities. do. Considering that students who tend to be excessively obsessed with peer relationships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ir competency development, it suggests that proper education on healthy peer relationships is necessary.

      • KCI등재

        역량기반 비교과프로그램의 질 관리 연구 -한국의 D대학교를 중심으로

        최헌철,김수동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validity of competency mapping and to enhance fidelity and evaluation and feedback system of the extra curriculum program in the gradual expansion of competency-based extra curriculum programs. To do this, we tried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competencies mapped to competency-based extra curriculum programs and the educational outcomes of the extra curriculum programs. First,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through satisfaction surveys about competency-based extra curriculum programs, most of the programs showed low satisfaction with operation and environment. Second, the validity of the competencies mapped to the extra curriculum program was analyzed. As a result, 38 out of a total of 59 programs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while 21 programs were found to be inadequate. Third, adequate competency mapping showed that competency-based extra curriculum program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mpetency of participating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competency-based extra curriculum programs and adequately program-mapped competencies can lead to educational performance. In addition, the evaluation and feedback system that enables continuous quality management of competency-based extra curriculum programs will be meaningful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역량 기반 비교과프로그램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에서 역량 맵핑에 대한 타당성을 높이고 비교과프로그램의 내실화와 평가·환류체계를 고도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역량 기반 프로그램에 맵핑된 역량에 대한 타당성 및 비교과프로그램의 교육성과를 분석하고자 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 기반 프로그램별로 만족도 실태조사를 통한 정량평가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 프로그램에서 운영 및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에 맵핑된 역량의 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총 59개 프로그램 중 38개 프로그램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21개 프로그램은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량 맵핑이 적합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역량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참가학생의 역량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역량 기반 비교과프로그램 별로 맵핑한 역량을 교육성과와 이어질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연구결과이다. 또한 향후 역량기반 비교과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질 관리를 할 수 있는 평가·환류체계를 고도화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기초학업역량 중요도-실행도(IPA) 차이수준을 바탕으로 한 학습법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홍경호(Hong, Kyung Ho),박수민(Park, Soo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는 충청소재 B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기초학업역량에 대한 중요도- 실행도(IPA) 차이수준 및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B대학교 학생들의 기초학업역량 향상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법 프로그램 개선방안을 탐 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기간은 2018년 10월 15일(월)부터 2018년 10월 31일(수)까지 약 2주간 실시되었고 B대학 12개 학부에 각 100개의 설문 조사지를 배부하였으며 총 배부된 1200개의 설문 조사지 중 회수된 1048개의 설문 조사지로 재학생들 의 기초학업역량 진단과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B대학의 기초학업역량은 B대학 핵심역량의 기본영역인 RAIE-UP(대인관계역량, 실천적 봉사역량, 창의융합역량, 현장 실무역량, 글로컬 소통역량, 인문소양역량)의 하위요인에 맞추어 개인 역량, 학업 역량, 사회적 역량으로 구분지어 25개의 하위영역 별 세부역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결과 B대학교 재학생들은 외국어 활용능력(1), 외국어능력(2), 자기성찰(3) 순으로 기초학업역량의 중요도-실행도(IPA)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토대로 하여 학습법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과 개선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importance-performance (IPA) differences and requirements of students attending B University in Chung-cheong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basic academic competency of B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learning methods program based on them. For this purpose, 100 survey papers were distributed to each of the 12 departments of B University and 1048 survey papers retrieved out of the total 1200 survey papers distributed were analyzed for the basic study competency diagnosis and requirements of students. B University s basic academic competency consists of 25 sub-area specificities, divided into individual competences, academic competences and social competences, in accordance with the sub-components of RAIE-UP, which is a basic area of B university s core competency. The study found that the importance-performance (IPA) of the basic academic competency of B university students was high in the order of first,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second,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third, self-refle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educational mplications of the learning methods program and the ways to improve them were proposed.

      • KCI등재

        캐나다 BC주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양태: 중등학교 역사교사의 수업 및 평가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정종복 한국역사교육학회 2022 역사교육연구 Vol.- No.43

        This paper examines how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being implemented in the history class of secondary school in BC, Canada and is intende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success of Korea's competency-based education reform.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BC were examined and the class and evaluation data of history teacher T of B Secondary School in Burnaby were analyzed. BC has identified three Core Competencies – Communication, Thinking and Personal and Social Competency as essential for all learners. The curriculum of all subjects is composed of the same pattern using the ‘Know-Do-Understand’ model of the concept-based competency-driven curriculum. Students develop Core Competencies when they are engaged in the “doing” – the Curricular Competencies – within a learning area. Learning can take place anywhere, not just in classrooms, so the curriculum sets what to teach, but presupposes a flexible learning environment that does not define how, when, where to tea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BC’ competency-based curriculum has played a role as a criterion for the teacher’s lecture and evaluation plan. The teacher has decided learning contents, teaching,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on his own and rather than injecting many history knowledge to students. And he provides students the opportunity of deeper learning with lectures, discussion, and inquiry classes. He conducted quizzes almost every class and took unit tests after almost the end of the units. The paper-written evaluation was conducted in various forms such as complete type, T/F, and essay type, and before taking the test, the learning contents as well as essay questions that would be important to the test were disclosed in advance so that students could focus on the essential content. In the analysis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BC and the teacher’s clas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succes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reform in Korea. First, it is necessary to more clearly identify the substance of competencies to be cultivated in curriculum documents. Second, the autonomy of teachers should be guaranteed in relation to class reorganization and evaluation. Third, the enrichment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and the written and essay-type evaluation is required. Forth,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among educational policy makers,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regard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should be carried out to form an understanding of the new policy and a social consensus. 본고는 캐나다 BC주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역사 수업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우리나라 역량기반 교육개혁의 성공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C주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펴보고 버나비 지역 B 중등학교 사회과(역사) T교사의 역사 수업 및 평가 자료를 분석하였다. BC주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핵심역량(의사소통 역량, 사고력 역량, 개인적・사회적 역량) 함양을 목표로 모든 교과목의 교육과정은 개념기반 역량주도 교육과정(Concept-based competency-driven curriculum)의 ‘알기-행하기-이해하기(Know-Do-Understand)’ 모델을 사용하여 동일한 패턴으로 구성된다. 핵심역량은 학생들이 학습 영역 내에서 ‘하기(doing)’(교과 역량)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때 개발되며, 학습은 교실에서만이 아니라 모든 곳에서 일어날 수 있기에 교육과정은 ‘무엇(what)’을 가르칠지 설정하지만 ‘어떻게(how)’ 가르칠지, 시간, 공간, 방법에 대해서는 규정하지 않는 유연한 학습 환경을 전제한다. 이러한 BC주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교사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교과역량이 교사의 강의계획이나 평가계획의 준거 역할을 하고 있었다. 교사는 학습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평가방법을 스스로 결정하여 실행하고 있었는데 많은 내용을 나열식으로 제공하기보다 선택한 학습 내용을 강의를 포함한 토의토론, 탐구 수업 등 학생참여 수업으로 깊이 있게 탐구하였다. 교사는 수시로 퀴즈를 실시하고 단원이 끝날 때마다 검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교과내용 이해 정도를 확인하였다. 지필평가는 완성형, T/F, 서・논술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고 시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내용과 서・논술형 평가문항은 미리 공개하여 학생들이 필수내용에 집중하여 학습할 수 있게 하였다. BC주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현장 교사의 수업이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문서에서 함양해야 할 ‘역량’의 실체를 좀 더 명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업 재구성과 평가와 관련하여 교사의 자율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셋째. 과정중심 평가와 서술형 평가의 내실화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하여 교육정책 결정자, 교사, 학부모, 학생 간에 소통과 정보 공유가 이루어져 새로운 정책에 대한 이해와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OECD Education 2030에 나타난 역량교육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상은(Lee, Sang Eu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9 比較敎育硏究 Vol.29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최근 OECD가 ‘DeSeCo 2.0’이라고 불리는 Education 2030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역량교육의 틀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OECD Education 2030에 나타난 역량교육의 주요 특징과 시사점을 2015 개정 교육 과정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문서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역량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문제의식, 역량의 의미와 구성 요소, 핵심역량의 하위범주와 성격, 역량을 반영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 및 원리 등의 네 가지 측면을 분석 준거로 삼았다. [연구결과] OECD Education 2030에 제시된 역량교육은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해 보았을 때,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원리의 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앞서 세 가지 분석 준거와 관련하여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는 다른 특징이 두드러졌다. [결론] OECD Education 2030이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더 나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 설계하는 데 주는 시사점을 역량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관점 변화, 역량 개념의 체계화ㆍ구체화 작업, 학교교육을 둘러싼 사회변화의 면밀한 분석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a new framework of competency education in OECD Education 2030 project and its implication to Korea’s 2015 revised curriculum.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document analysis with focus on various documents related to OECD Education 2030 and 2015 revised curriculum in Korea.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cy education frameworks were examined based on four analysis criteria: 1) perspectives on necessity of competency education, 2) meanings of competency and its elements, 3) categories of key competencies and their nature, and 4) development direction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Conclusion] Finally, Sever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in order to redesign the Korea’s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better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미디어역량 모델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찬 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생애 전 영역에서 활용가능한 문화역량모델 개발을 논의하고 학교교육, 평생교육, 기업교육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 및 미디어 분야의 고성과자를 대상으로 한 패널 워크숍, 전문가 검증 등을 실시하여 문화역량을 구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미디어 분야에서 달성해야할 핵심성과를 도출하였는데, 이는 업무의 효율성 증대, 창의적 기획 가능, 미디어 환경 변화,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 및 참여 증대, 관계능력 향상, 자기성찰의 기회 증대, 자기만족과 같다. 이러한 핵심성과를 달성하는데 요구되는 문화역량은 62개가 구명되었으며, 각 역량에 대한 역량정의와 행동지표를 도출하여 최종적인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which can be applied for all the fields in one's life and to develop the cultural competency of media part for school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and corporate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of media part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panel workshop with high-performers of media part, and experts verification. In the result of this study, core performance of media part was identified. They were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possibility of creative design, change of media context, increase of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to social cultur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skill, increase of chance of self-examination, and self-satisfaction. It was 62 that The cultural competencies which were needed to achieve these core performance, then, finally the definition and standard of behaviors of each competencies were drawn and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was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