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전적 관점에서 본 두 선교신학의 합치성 모색

        신경규(Kyung Kyu Shi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2 선교와 신학 Vol.29 No.-

        본고에서는 그동안 한국교회 선교신학 내에서 불일치를 이루어온 복음 주의와 에큐메니칼 선교신학 내 중요 이슈들의 공통분모를 모색함으로써 두 신학의 공유부분인 합치성과 그를 통한 한국적 선교신학의 탐색해 보는 시도를 하고자 한다. 한국교회에 있어서 신학의 불일치는 교파분열을 초래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어왔다. 한신측의 분열과 합동-통합의 분열은 WCC 신학과 그 용공성과 연결된 신학적인 문제가 교단분열의 주원인이었다는 점에서 신학적 입장 차이는 한국교회 분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동안 두 선교신학을 서로 배타적인 관점으로만 보아왔기에 분열과 차이점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으나 두 신학의 견해가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지닌다는 관점으로 보면 두 견해를 종합하여 성경적으로 균형 잡힌 선교신학을 구성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우선, 선교신학의 두 조류를 형성하고 있는 복음주의 선교신학과 에큐메니칼 선교신학은 선교의 주체와 본질은 하나님의 선교라는 동일 개념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합치성을 모색할 가능성을 지닌다. 둘째, 로잔대회 이후 두 신학의 선교의 내용이 공히 복음전도와 사회참여를 포함하는 것이어서 의견의 조정이 가능한 공유부분을 지니고 있다. 셋째, 두 선교신학은 세상 속에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방식을 각각 구속사적 선교신학과 약속사적 선교신학을 기조로 하고 있으나 양 신학의 견해를 포괄하는 통전적인 역사관을 지니는 것이 성경적으로 더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선교의 목표에 있어서 두 선교신학에서 복음주의는 영혼구원을, 에큐메니칼 진영은 샬롬을 더 강조하고는 있으나 이것은 강조점의 차이일 뿐 성경적으로는 영혼구원과 샬롬을 포함하는 것이며 실제로 두 선교신학은 두 내용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수렴되어 가고 있어서 그 합치점을 모색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따라서 두 선교신학의 논제가 상호배타적인 내용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지니고 있다. 신학함의 자세에 있어서 정직성과 성실성이 요청된다고 할 때 복음주의 진영에서는 본문에는 정직하나 상황에는 성실하지 못하였고, 에큐메니칼 진영은 본문에는 성실하지 못하였고 상황에는 정직했다는 각각의 장점과 결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볼 때 두 선교신학이 서로의 견해에서 합치점을 기준으로 양자를 보완적으로 종합한다면 보다 통전적이고 성경적인 견해로 수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두 선교신학은 서로의 장점이 자신들의 결점을 보완할 계기로 삼아 연합의 본을 보일 경우 반목된 두 신학의 협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교회와 선교를 하나되게 하고 활성화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이광순의 선교신학

        이신형 ( Shin Hyung Lee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3 神學과 宣敎 Vol.42 No.-

        본 논문이 논의하는 것은 1세대 선교신학자인 이광순의 선교신학이다. 이광순의 선교신학에는 한국의 선교신학을 구성하는 중요한 전거점이 들어 있다. 이광순이 기초한 ‘우리의 선교신학’에는 한국 신학의 방향과 과제가 담겨있다. 따라서 이 글이 집중하는 것은 ‘우리의 선교신학’의 선언 뒤에 있는 이광순의 선교신학을 추적하는 것이다. 이광순의 선교신학에 의하면 우리의 선교신학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신학이다. ‘하나님의 선교’는 선교신학사에서 쟁점이 되는 용어이다. 에큐메니칼과 복음주의의 이해가 대립하고 있다. 이광순에 의하면 ‘우리의 선교신학’은 복음주의적 에큐메니칼이다. 교회가 하나님의 구원의 활동에서 중심적인 위치에 있다. ‘하나님의 선교’는 교회를 갱신해서 선교하는 교회로 만들며 선교하는 교회는 구원의 수직적 차원의 바탕위에 수평적 차원을 지향한다. 이광순에 의하면 ‘우리의 선교신학’은 통전적이다. 예수의 선교에 기초한 선교신학이기에 통전적이다. 예수의 선교는 구원의 수직적인 범주가 수평적인 범주보다 우선한다. 따라서 인간화, 해방화, 자유 및 인권에 대한 관심은 교회선교에서 목적이 아니라 구원의 결과가 된다. 하나님 선교의 통전성에 대한 인식은 교회선교의 실천적 과제를 안내한다. 세상에서 그리스도의 주권 세움을 교회의 갱신과 설립보다 우선시하는 에큐메니칼과는 다르게 복음주의적 에큐메니칼인 ‘우리의 선교신학’은 교회에 대한 그리스도의 주권 세움을 통해서 세상에서 그리스도의 주권확립을 지향한다. 따라서 이광순은 교회가 당면한 여성지도자 문제, 도시빈민교회 문제, 여성군종장교제도의 문제, 통일과 북한선교의 문제 등 실천적 과제에 대해서 관심을 둔다. 이 논문은 네 파트로 나누어져 있다. 첫째 파트는 이광순의 선교신학을 논의해야할 이유와 당위성에 대해서 다루며, 두 번째와 세 번째 파트에서 ‘우리의 선교신학’의 이론적 토대와 통전성의 문제 및 실천적 과제에 대해서 다룬다. 마지막 네 번째 파트에서 2, 3세대 선교신학자의 과제에 대해서 간략하게 제안한다. Kwang Soon Lee is a retired professor of mission in Presbyter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 And she was also Kyung Gik Han`s professor of theology of mission. She wrote an interesting essay named ``our theology of mission`` which is considered as a manifesto of the Presbyterian denomination. In that essay, she manifested three elements as the basic principle for establishing our theology of mission. The first element is that Missio Dei is a basic concept of our theology of mission. As a Missio Dei, the subject of mission is the Triune God, not church. The second element is that the Bible is the foundation of the mission in terms of the method and the content. The last element is that the church is the means of the mission, so that the regeneration of church is the key to Missio Dei. That is to say God`s primary goal is to regenerate the church`s passion for world miss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what ``our theology of mission`` is about. The first that we need to clarify is the meaning of Missio Dei. Missio Dei is the general term of mission. The evangelicalism names its theology of mission as Missio Dei. The ecumenicalism names its theology of mission as Missio Dei. However, the question is what we mean when we call our theology of mission as Missio Dei. Do we mean it in terms of the evangelicalism or the ecumenicalism? And what if we mean it a bit different from both; then how do we name it? So this article clarifies the meaning of Missio Dei. Next, the biblical foundation of our theology of mission needs to be clarified. And third which we are about to make clear is that the regeneration of church is the key to understanding Missio Dei in terms of our theology of mission. Kwang Soon Lee puts Jesus as the biblical foundation of our theology of mission. She found that the work of Jesus reported in Matthew 4:23 is the key to unlock the holistic character of our theology of mission. Based upon Matthew 4:23, Kwang Soon Lee describes Jesus prefers the individual over the social justice. So does our theology of mission. In that sense our theology of mission is the evangelicalism. According to Kwang Soon Lee, the mission is to establish the sovereignty of Jesus over the world as the ecumenicalism emphasizes. So does our theology of mission. In that sense our theology of mission is the ecumenicalism. Therefore in this article, I declare that our theology of mission is Missio Dei in terms of the evangelical ecumenism.

      • KCI등재

        통전적 선교신학의 한계점 소고

        안승오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9 복음과 선교 Vol.45 No.-

        A Study on Limitations of the Holistic Mission Today, both evangelical camps and ecumenical camps are in a position to accommodate holistic missions theology, with little difference. Therefore, there are many articles about the necessity of the traditional mission theology, but there is little discussion about the limitation of the traditional mission theology. However, Christianity, which is pursuing the holistic mission theology, is getting weaker. Of course, the weakening of Christianity does not depend only on mission theology. However, mission theology is a crucial theological area that contributes to the healthy growth of the church. If churches want to grow healthy and influence the world, and this does not work well, we need to reflect on whether missions are going in the right dir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ainly the limitations of the holistic mission theology, though there are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 holistic mission theology. This study analyzed the limitations of holistic missiological theology in the historical, biblical, and practical dimensions. In particular, this paper investigated that the holistic theology of mission put the task of evangelization, which is the core essence of mission, and the task of humanization, which is a secondary task of mission, on the same line. As a result of this, it can weaken evangelization and ultimately lead to worsen evangelism and the church. The holistic mission theology seems to be very plausible theoretically; but it should be judged carefully if there is a danger of eventually weakening the church. No matter how good theology is, any theology can become meaningless if the church is weakened and collapsed. Of course, such an assertion can be seen as a church-centered approach. This assessment may sound like a return to traditional missionary theology soon. Of course, you should not go back to traditional mission. The right mission must thoroughly restore its ethics and pursue God's will. Still, we must not miss the core essence of mission. Mission is a very important thing, bu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all important things are mission. Even though it is a holistic mission, it is necessary to ponder whether making the nature of mission itself blurry does not diminish the future of Christianity. 통전적 선교신학의 한계점 소고 안승오(영남신학대학교, 선교학) 오늘날은 복음주의 진영이나 에큐메니칼 진영이나 큰 차이 없이 모두 통전적 선교신학을 수용하는 상황이다. 상황이 이러다보니 통전적 선교신학의 당위성에 대한 논의들은 많지만 통전적 선교신학의 한계성에 대한 논의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그런데 통전적 선교신학을 추구하고 있는 오늘날 기독교는 갈수록 약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독교의 약화가 선교신학에만 달린 것은 아니지만 선교신학은 교회를 건강하게 성장시켜나가는데 기여하는 신학 분야이기에 교회들이 건강하게 성장하고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는데 이런 열매가 잘 맺히지 않는다면 선교가 과연 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를 잘 반성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통전적 선교신학이 일정 부분 강점도 있지만 상당한 한계점도 지니고 있음을 보면서 주로 한계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역사적 차원, 성서적 차원, 그리고 실천적 차원에서 통전적 선교신학의 한계점을 분석해보았다. 특별히 통전적 선교신학은 선교의 핵심본질인 복음화의 과제를 인간화의 과제와 동일선상에 놓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복음화를 약화시키고 이것이 종국적으로 전도와 교회의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통전적 선교신학이 이론적으로는 매우 그럴듯해 보여도 결국 교회를 약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면 신중하게 판단해 보아야 할 것이다. 아무리 좋은 신학이라 할지라도 교회가 약화되고 무너지고 나면 그 어떤 신학적인 논의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평가는 곧 다시 전통적인 선교신학으로 돌아가자는 것처럼 들릴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전통적 선교로 돌아가면 안 된다. 바른 선교는 철저히 윤리성을 회복해야 하고 인간의 욕심을 제거하면서 하나님의 뜻을 물어야 한다. 하지만 여전히 선교의 핵심 본질을 놓쳐서는 안 된다. 선교는 참으로 중요한 일이지만, 그렇다고 중요한 일이라고 모두 다 선교라고 말하는 것은 곤란하다. 통전적 선교라 하더라도 선교 자체의 본질까지 흐릿하게 만드는 것은 기독교의 미래를 어둡게 만들지 않는지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회성장학의 관점에서 본 에큐메니칼 신학 이해

        안승오(Seung Oh A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1 선교와 신학 Vol.27 No.-

        전통적으로 선교는 “복음을 알지 못하는 지역에 가서 복음을 전하고 스스로 서 갈 수 있는 교회를 세워 하나님 나라를 확장하는 활동”이라는 정의에 거의 이의가 없었다. 여기에서 교회야말로 하나님 나라 확장을 보여 주는 가장 명확한 표징 중의 하나였으므로 선교의 성적표를 측정하는 중요한 잣대 중의 하나가 바로 교회의 성장이었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교회 성장을 중시하는 선교 개념은 커다란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 도전은 주로 소위 말하는 에큐메니칼 신학에서 강하게 제기되었다고 할 수 있다. 특별히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개념이 태동된 1952년을 기점으로 하여서 교회 성장을 중시하는 선교 개념은 강력한 비판 앞에 놓이게 되었다. 그렇다면 에큐메니칼 신학의 주된 관심은 무엇인가? 1948년에 세계교회협의회(WCC)가 생긴 이후로 WCC의 주된 관심은 크게 세 가지 패러다임으로 변천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첫째는 하나님의 선교 개념이 탄생된 1952년을 중심으로 하나님의 선교 패러다임’ (1952-1963),둘째는 인간화 개념을 선교의 목적으로 삼았던 읍살라 대회를 중심으로 ‘인간화 패러다임’(1968-1975) 그리고 셋째는 캐나다 밴쿠버 대회 이후로 점증하는 생명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나타나는 ‘생명 패러다임’(1983 - 현재) 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 패러다임의 핵심은 "하나님의 선교’, ‘인간화 그리고 ‘생명 살림’ 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교회 중심의 선교 개념에 대한 비판 의식에서 태동된 에큐메니칼 신학의 핵심 개념인 ‘하나님의 선교’, ‘인간화’ 그리고 ‘생명 살림’ 개념이 어떤 배경 하에서 태동되었고 개념의 주요 내용이 무엇이며 교회 성장의 관점에서 볼 때 이 개념이 지니는 기여점과 한계점 등은 무엇인지 등을 살펴보았다. 이런 주제는 19세기의 세계 상황과 달라진 20세기의 상황 속에서 그 상황에 맞는 바른 선교를 하고자 하는 고뇌 속에서 탄생된 것이다. 이런 주제는 과거의 선교를 갱신하고 오늘의 변화된 상황 속에서 바른 선교를 수행하고자 하는 의도 속에서 탄생된 주제이며, 그런 점에서 오늘의 세계 속 에서 선교를 수행하는 우리가 반드시 잘 이해해야 할 주제이다. 하지만 이 한 주제는 19세기의 선교를 갱신하고 발전시킨다는 점에서 좋은 기여점을 지니는 반면에 동시에 한계점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즉 19세기 선교의 문제점을 갱신하고 보완하는 기여를 하는 반면에 19세기 선교의 강점을 약화시키는 부작용 또한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별히 교회 성장의 관점에서 보면 이런 주제는 아주 심각한 부작용 즉 구령 열정의 약화와 교회의 약화 등을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다. 즉 에큐메니칼 신학은 그 모든 장점 에도 불구하고 교회의 성장 잠재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 소지가 있다. 따라서 이슬람에 비하여 갈수록 성장 동력이 떨어지고 유럽 등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심각한 퇴조의 현상까지 보이는 기독교는 에큐메니칼 신학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장점은 살리되 약점은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세계 선교를 위한 로잔 운동의 기여방향

        안승오 ( An Seung Oh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ACTS 신학저널 Vol.35 No.-

        기독교 선교의 양대 진영이라 할 수 있는 WCC(세계교회협의회)와 복음주의 진영인 로잔은 본래 세계 선교에 대하여 대조적인 관점을 지녀 왔는데, 2천 년대에 들어서는 상당히 공통된 경향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선교의 양대 진영 중 특별히 로잔운동의 선교 경향을 분석하면서 로잔운동이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선교를 수행할 때 위기에 처한 기독교의 세계 선교를 위해 기여할 수 있을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로잔 운동 40여 년의 역사를 3 시기 즉 1) 태동기, 2) 고민기, 3) 총체적 접근기로 나누어서 살피면서 역사적 흐름에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여 보았다. 그 특징을 간단히 말하자면 로잔은 태동기에 지녔던 복음전도의 우선성과 긴급성을 상실하고 선교의 목표에 모든 것을 동일한 중요도로 포함하는 통전적 선교신학을 추구하면서 에큐메니칼 진영의 신학과 별반 차이가 없는 성향을 보인다는 점이었다. 로잔이 이처럼 WCC를 계속 추종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모습은 이미 에큐메니칼 신학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복음전도의 약화를 가져오고 이것은 결국 교회의 약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로잔은 복음전도에 역점을 두고, 명확한 선교 개념을 정립하고, 선교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정립하고, 세계 선교 운동을 위한 전략 정보 센터의 기능을 수행할 때 세계 선교를 위해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Lausanne movement was born out of a sense of crisis that the missionary movement that was centering on evangelism was seriously undermined. Born in this concern of world evangelization, the names of Lausanne are The International Congress on World Evangelization or Lausanne Committee for World Evangelization. Both names appear for the purpose of world evangelization. In other words, the identity and core task that Lausanne movement can never yield is world evangelization. That is why the two major agents of mission, WCC and Lausanne, originally showed different concerns in their mission. However, since 2000, the two have revealed almost similar tendencies. From that time, the Lausanne movement has followed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by conceding the priority of evangelism and prioritizing a humanitarian or Shalom aspect of missions. The WCC will be able to contribute some of the world's shalom. As a result, this movement is almost ignoring the most important beginning of world transformation ― evangelism itself. The churches that accept the WCC theology are getting weaker and weaker. This will make it impossible for the church to work for the world, and the WCC, which operates with the support of the churches, will also weaken. This paper will investigate the traits of the Lausanne movement and provide some suggestions on how i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world mission. For this purpose, I divided the 40-year history of the Lausanne movement into 3 periods: 1) its birth, 2) its time of wonder, 3) its integration period. This paper analyzes the traits that are appearing in the flow. The evolution as follow: Lausanne gradually has lost the primacy and urgency of evangelism and become similar to WCC pursuing the holistic mission theology. If the Lausanne movement keeps pursuing the direction of WCC, it will lose all of its original enthusiasm for evangelism, resulting in the loss of Christianity's core mission effectiveness. This paper suggests the Lausanne movement refocus on evangelism, rebuild a clear concept of mission, recapture the primacy of evangelism, and become a center of information for world evangelization. This might be the best contribution of Lausanne for world mission. Of course, the Lausanne movement is already embracing a holistic view of mission and is moving forward with the view that it is the best alternative. However, mission should contribute to building a strong church. After the death of the church, mission itself cannot be discussed. Established churches, even if they consider all things holistically, still need to prioritize evangelism. The movement originally started by claiming this and should rethink their commitments.

      • KCI등재
      • KCI등재

        환대의 신학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교회의 선교적 정체성 연구: 교회와 이웃 사이의 다리 이어주기

        조해룡 한국선교신학회 2024 선교신학 Vol.74 No.-

        인간다움, 사람과 사람 사이의 평화와 상생, 건전한 사회, 공평과 평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문화구조, 국가와 국가 간의 상호교류 등이 절실히 요청되는 21세기에 우리는 역설적이게도 폭력과 배제, 혐오가 지구촌 곳곳을 휩쓸고 있는 것을 경험하며 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근 환대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인문, 사회과 학 전반에서 화두가 되었고 환대의 실천을 제도화하려는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노력도 적지 않았다.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세상으로 파송 받은 교회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할 것인가? 본 논문은 환대의 신학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선교적 교회의 정체성을 연구한다. 환대 신학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교회의 온전한 선교적 삶이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하나님의 선교의 출발은 하나님의 환대에서 시작되며 교회의 사명은 하나님의 환대를 말과 삶을 통해 세상에 선포하는 것이다. 환대는 하나님의 선교를 지속 가능하게 하는 교회의 선교적 표지이다. 인간다움, 사람과 사람 사이의 평화와 상생, 건전한 사회, 공평과 평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문화구조, 국가와 국가 간의 상호교류 등이 절실히 요청되는 21세기에 우리는 역설적이게도 폭력과 배제, 혐오가 지구촌 곳곳을 휩쓸고 있는 것을 경험하며 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근 환대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인문, 사회과 학 전반에서 화두가 되었고 환대의 실천을 제도화하려는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노력도 적지 않았다.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세상으로 파송 받은 교회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할 것인가? 본 논문은 환대의 신학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선교적 교회의 정체성을 연구한다. 환대 신학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교회의 온전한 선교적 삶이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하나님의 선교의 출발은 하나님의 환대에서 시작되며 교회의 사명은 하나님의 환대를 말과 삶을 통해 세상에 선포하는 것이다. 환대는 하나님의 선교를 지속 가능하게 하는 교회의 선교적 표지이다. 인간다움, 사람과 사람 사이의 평화와 상생, 건전한 사회, 공평과 평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문화구조, 국가와 국가 간의 상호교류 등이 절실히 요청되는 21세기에 우리는 역설적이게도 폭력과 배제, 혐오가 지구촌 곳곳을 휩쓸고 있는 것을 경험하며 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근 환대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인문, 사회과 학 전반에서 화두가 되었고 환대의 실천을 제도화하려는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노력도 적지 않았다.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세상으로 파송 받은 교회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할 것인가? 본 논문은 환대의 신학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선교적 교회의 정체성을 연구한다. 환대 신학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교회의 온전한 선교적 삶이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하나님의 선교의 출발은 하나님의 환대에서 시작되며 교회의 사명은 하나님의 환대를 말과 삶을 통해 세상에 선포하는 것이다. 환대는 하나님의 선교를 지속 가능하게 하는 교회의 선교적 표지이다. 분열되고 배타적이며 혐오로 가득 찬 세상을 치유하기 위한 하나님의 선교의 정수는 하나님의 선교적 환대에서 비롯된다. In the 21st century, amidst calls for humanity, peace, and coexistence, we paradoxically witness violence and exclusion sweeping the globe. Discussions on the importance of hospitality have surged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Efforts to institutionalize hospitality have emerged in politics and civil society. The church, on a divine mission, questions its role in this context. This paper delves into the theology of hospitality and the identity of a missional church within it. It explores what constitutes a wholesome missional life. God’s mission begins with His hospitality, and the church’s mission is to spread the gospel to the world. Hospitality serves as the church’s hallmark in sustaining God’s mission. At its core, God’s missional hospitality heals a fractured world.

      • KCI등재

        로잔운동이 한국교회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최형근 ( Choi¸ Hyung Keun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0 ACTS 신학저널 Vol.46 No.-

        본 논문은 글로벌 복음주의 선교운동인 로잔운동이 부상하게 된 역사적·신학적 배경을 기술하고 한국로잔위원회의 역사와 활동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제1차 로잔대회부터 제3차 로잔대회 이후 현재까지 로잔운동이 한국교회에 미친 영향을 탐구하며, 로잔운동 50주년을 맞이하는 2024년 제4차 로잔대회의 한국개최를 앞두고 한국교회의 준비와 한국교회와 사회문화에 미칠 영향 그리고 로잔운동의 미래를 전망한다. 로잔운동이 태동된 배경은 1910 에딘버러 세계선교대회 이후 형성된 에큐메니칼 진영의 복음과 구원과 선교에 대한 이해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특히 1960년대 세계교회협의회의 “선교의 세속화”와 “선교의 인간화” 그리고 “선교의 모라토리움”은 미국과 영국의 복음주의 진영의 결집을 초래했으며 1966년 베를린 세계복음화대회에 이어 1974년 제1차 로잔대회의 원인이 되었다. 로잔운동은 1989년 제2차 로잔대회(마닐라)와 2010년 제3차 로잔대회(케이프타운)를 통해 글로벌 복음주의 선교운동의 중심이 되었고 복음전도와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책임을 통합하는 총체적 선교신학을 구축했다. 한국교회와 로잔운동의 관계는 제1차 로잔운동부터 시작되었으나, 한국 선교운동의 태동기인 1970-1980년대의 한국교회는 로잔운동의 확산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다만 로잔언약의 소개를 통해서 문서로 로잔운동을 알렸다. 1989년 제2차 로잔대회 이후 한국로잔위원회가 설립되면서 한국교회에 로잔신학과 로잔정신을 확산하기 시작하여 2010년 제3차 로잔대회 이후 다양한 국내외 활동들과 목회자 컨퍼런스 그리고 청년지도자를 위한 선교적 플랫폼을 제공하며 그 영향력을 확산하고 있다. 한국로잔위원회는 로잔정신인 겸손과 정직과 단순성 그리고 “온 교회가 온전한 복음을 온 세상에 전하라”는 로잔운동의 슬로건에 의거하여 2024년 제4차 로잔대회를 아시아 교회들과 협력하여 준비하고 있다. 제4차 로잔대회는 한국교회의 갱신과 개혁을 위한 중요한 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This paper describes the historical and theological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the Lausanne movement. And it also examines the influences of the Lausanne movement on the Korean church from the first Lausanne congress in 1974 to the present through carefully studying the history and activities of the Korea Lausanne Committee that was formed in 1989. In conclusion, the Lausanne Movement prospects its influences of the Korean church and society, and the future of the Korean church as the Korea Lausanne Committee looks forward to the Lausanne IV as the host country.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n the Lausanne Move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gospel, salvation, and mission of the Ecumenical movement that was being processed since the 1910 Edinburgh World Missionary conference. The tendency of "secularization of mission," “humanization of mission,” and “moratorium of missionary” of WCC brought about a strong reaction and the rally of the American and British evangelical circle and provided a major cause of the World Congress of Evangelism held in Berlin 1966 and the First Lausanne Congress in 1974. Since then, the Lausanne Movement has become the center of the global mission and constructed holistic mission theology integrating evangelism into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producing the Manila Manifesto and the Capetown Commit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usanne Movement and the Korean church began from the first Lausanne Congress in 1974. However, during the the Korean mission movement in the 1970s-1980s the Lausanne Movement had not been diffused to the local church. After the second Lausanne Congress in 1989, as the Korea Lausanne Committee was established, it spread the Lausanne theology and spirit to the Korean church. And it has been providing the missional platforms and contents to the emerging younger generation and ministers. It is preparing the Lausanne IV which will be held in Korea 2024 based on the Lausanne slogan, “the whole church taking the whole gospel to the whole world.” The Lausanne IV will be a major turning point for the renewal and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church.

      • KCI등재

        에큐메니칼 신학의 ‘선교 주체’ 이해

        안승오 한국기독교학회 선교신학회 2013 선교신학 Vol.33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n the workers of mission in ecumenical theology. Since mission is an action for the Kingdom of Go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o is in charge of this work for an effective ministry. In the past, the church thought that the major agents of mission are ‘the church’ or ‘the chosen people.’ However,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ecumenical theology started to see the worker of mission more in a wider view including various organizations in the world. In this paper, first I tried to find out from what motivation the new view came out. They were the following perceptions: 1) the church realized that the church, the major agent of mission, committed serious sins especially during the two world wars, 2) due to the impact of Missio Dei, the church came to see that the workers of mission are not just the church but also many other institutions in the world, 3) the church came to change its view on the world from a target of mission to a coworker of mission. With this kind of background, the ecumenical theology tends to see the workers of mission as the triune God himself, the various institutions in the world used by God, lay people, and the poors. This kind of understanding contains various strengths and weaknesses. It might be helpful for the church to break its arrogance and self-centered attitude. Also it can help the church to cooperate with the world in carrying out the mission, and to keep going forward toward the ideal direction of mission. However, this view contains some weaknesses as well. As it emphasizes God as the major worker of mission too much, it can reduce the church's responsibility and enthusiasm for mission. As it pursues cooperation with the world, it can bring a result of weakening the identity of the church also. As it includes the world, which is not concerned and interested about God, as a major worker of mission, the church can fall into a trap of idealism and as a result of this it can cause enfeeblement of mission. If these kinds of weaknesses are compensated properly, the ecumenical view on the workers of mission would be helpful for building up the church for world mission.

      • KCI등재

        세계관의 관점에서 본 기독교 선교: 에큐메니컬주의, 복음주의, 오순절주의 비교 연구

        김만태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3 영산신학저널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on a virtuous direction of the 21st century Christian mission by pursuing the true meaning, scope, and practice of missions through a comparative exploration of Ecumenical, Evangelical, and Pentecostal missions, the three major mission mov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view. The author uses a literatur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The Ecumenical mission is based on the worldview that regards this world as a significant object and stage for salvation and missions, seeking to improve human societies by using natural means and changing social structure, whereas the 19th century mission was, by and large, the other world-focused. The Evangelical mission retains the other world oriented worldview of the 19th century; yet, eventually affirming Christian social responsibility to be a crucial assignment in missions. On the other hand, it gives priority to evangelism over social responsibility and encourages social service rather than social actions. The Pentecostal mission is in line with the Evangelical mission in view of its emphasis on evangelism and salvation into the other world. However,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Evangelical, for it seeks to meet physical, material, and practical needs through the supernatural work of God, underlining human welfare in this world. The result of this study highlights that this world is in the deep concern of God and, subsequently, salvation of souls, human life in this world, and the transformation of this world are all the significant realms of missions. The direction and practice of the 21st Christian mission needs to underscore both of the other world and this world; the eternal future and the present time; supernatural causes and natural/social causes; spiritual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본 논문의 목적은 개신교 세계 선교의 주요 흐름인 에큐메니컬주의, 복음주의, 오순절주의 선교를 세계관이라는 관점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선교의 진정한 의미와 범위 및 실천을 조명함으로써 세계 기독교 선교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연구 조사 방법은 문헌 연구이다. 에큐메니컬주의 선교는 19세기의 저 세상을 지향하는 세계관과는 달리 이 세상을 중시하는 세계관에 기초하여 이 세상을 구원과 선교의 주요 대상이자 무대로 보면서 선교 실천에 있어서는 사회적 구조를 변혁하는 자연적 수단을 강조하였다. 복음주의 선교는 19세기의 저 세상 지향적인 세계관을 계승하였고 사회적 차원에 있어서는 사회봉사를 위주로 한 사회적 책임을 선교의 중요한 요소로 인정하면서 대다수의 복음주의자들은 복음 전도가 사회적 책임보다 우선한다는 입장을 취했다. 오순절주의 선교는 복음 전도를 강조하며 저 세상 지향적인 점에서 19세기의 선교 및 20세기의 복음주의 선교와 연속성을 가지지만, 초자연적인 역사를 통한 신체의 치유, 물질적・현실적 필요의 충족을 추구함으로써 이 세상에서의 안녕을 기독교 신앙의 중요한 측면으로 간주했다. 본 논문은 에큐메니컬주의, 복음주의, 오순절주의 선교에 대한 비교 통찰을 통해 저 세상과 이 세상 모두 하나님의 관심 속에 있으며 개인의 영혼 구원과 이 세상에서의 삶, 세상의 변화가 모두 선교의 중요한 차원임을 밝힌다. 21세기에 저 세상과 이 세상, 미래의 영원한 시간과 현재의 시간, 초자연적 원인과 자연적・사회적 원인, 영적 활동과 사회적 활동을 모두 중요하게 보는 총체적인 시각과 선교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