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안승오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9 복음과 선교 Vol.45 No.-
A Study on Limitations of the Holistic Mission Today, both evangelical camps and ecumenical camps are in a position to accommodate holistic missions theology, with little difference. Therefore, there are many articles about the necessity of the traditional mission theology, but there is little discussion about the limitation of the traditional mission theology. However, Christianity, which is pursuing the holistic mission theology, is getting weaker. Of course, the weakening of Christianity does not depend only on mission theology. However, mission theology is a crucial theological area that contributes to the healthy growth of the church. If churches want to grow healthy and influence the world, and this does not work well, we need to reflect on whether missions are going in the right dir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ainly the limitations of the holistic mission theology, though there are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 holistic mission theology. This study analyzed the limitations of holistic missiological theology in the historical, biblical, and practical dimensions. In particular, this paper investigated that the holistic theology of mission put the task of evangelization, which is the core essence of mission, and the task of humanization, which is a secondary task of mission, on the same line. As a result of this, it can weaken evangelization and ultimately lead to worsen evangelism and the church. The holistic mission theology seems to be very plausible theoretically; but it should be judged carefully if there is a danger of eventually weakening the church. No matter how good theology is, any theology can become meaningless if the church is weakened and collapsed. Of course, such an assertion can be seen as a church-centered approach. This assessment may sound like a return to traditional missionary theology soon. Of course, you should not go back to traditional mission. The right mission must thoroughly restore its ethics and pursue God's will. Still, we must not miss the core essence of mission. Mission is a very important thing, bu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all important things are mission. Even though it is a holistic mission, it is necessary to ponder whether making the nature of mission itself blurry does not diminish the future of Christianity. 통전적 선교신학의 한계점 소고 안승오(영남신학대학교, 선교학) 오늘날은 복음주의 진영이나 에큐메니칼 진영이나 큰 차이 없이 모두 통전적 선교신학을 수용하는 상황이다. 상황이 이러다보니 통전적 선교신학의 당위성에 대한 논의들은 많지만 통전적 선교신학의 한계성에 대한 논의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그런데 통전적 선교신학을 추구하고 있는 오늘날 기독교는 갈수록 약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독교의 약화가 선교신학에만 달린 것은 아니지만 선교신학은 교회를 건강하게 성장시켜나가는데 기여하는 신학 분야이기에 교회들이 건강하게 성장하고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는데 이런 열매가 잘 맺히지 않는다면 선교가 과연 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를 잘 반성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통전적 선교신학이 일정 부분 강점도 있지만 상당한 한계점도 지니고 있음을 보면서 주로 한계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역사적 차원, 성서적 차원, 그리고 실천적 차원에서 통전적 선교신학의 한계점을 분석해보았다. 특별히 통전적 선교신학은 선교의 핵심본질인 복음화의 과제를 인간화의 과제와 동일선상에 놓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복음화를 약화시키고 이것이 종국적으로 전도와 교회의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통전적 선교신학이 이론적으로는 매우 그럴듯해 보여도 결국 교회를 약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면 신중하게 판단해 보아야 할 것이다. 아무리 좋은 신학이라 할지라도 교회가 약화되고 무너지고 나면 그 어떤 신학적인 논의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평가는 곧 다시 전통적인 선교신학으로 돌아가자는 것처럼 들릴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전통적 선교로 돌아가면 안 된다. 바른 선교는 철저히 윤리성을 회복해야 하고 인간의 욕심을 제거하면서 하나님의 뜻을 물어야 한다. 하지만 여전히 선교의 핵심 본질을 놓쳐서는 안 된다. 선교는 참으로 중요한 일이지만, 그렇다고 중요한 일이라고 모두 다 선교라고 말하는 것은 곤란하다. 통전적 선교라 하더라도 선교 자체의 본질까지 흐릿하게 만드는 것은 기독교의 미래를 어둡게 만들지 않는지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신경규(Kyung Kyu Shi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2 선교와 신학 Vol.29 No.-
본고에서는 그동안 한국교회 선교신학 내에서 불일치를 이루어온 복음 주의와 에큐메니칼 선교신학 내 중요 이슈들의 공통분모를 모색함으로써 두 신학의 공유부분인 합치성과 그를 통한 한국적 선교신학의 탐색해 보는 시도를 하고자 한다. 한국교회에 있어서 신학의 불일치는 교파분열을 초래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어왔다. 한신측의 분열과 합동-통합의 분열은 WCC 신학과 그 용공성과 연결된 신학적인 문제가 교단분열의 주원인이었다는 점에서 신학적 입장 차이는 한국교회 분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동안 두 선교신학을 서로 배타적인 관점으로만 보아왔기에 분열과 차이점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으나 두 신학의 견해가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지닌다는 관점으로 보면 두 견해를 종합하여 성경적으로 균형 잡힌 선교신학을 구성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우선, 선교신학의 두 조류를 형성하고 있는 복음주의 선교신학과 에큐메니칼 선교신학은 선교의 주체와 본질은 하나님의 선교라는 동일 개념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합치성을 모색할 가능성을 지닌다. 둘째, 로잔대회 이후 두 신학의 선교의 내용이 공히 복음전도와 사회참여를 포함하는 것이어서 의견의 조정이 가능한 공유부분을 지니고 있다. 셋째, 두 선교신학은 세상 속에 역사하시는 하나님의 방식을 각각 구속사적 선교신학과 약속사적 선교신학을 기조로 하고 있으나 양 신학의 견해를 포괄하는 통전적인 역사관을 지니는 것이 성경적으로 더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선교의 목표에 있어서 두 선교신학에서 복음주의는 영혼구원을, 에큐메니칼 진영은 샬롬을 더 강조하고는 있으나 이것은 강조점의 차이일 뿐 성경적으로는 영혼구원과 샬롬을 포함하는 것이며 실제로 두 선교신학은 두 내용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수렴되어 가고 있어서 그 합치점을 모색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 따라서 두 선교신학의 논제가 상호배타적인 내용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지니고 있다. 신학함의 자세에 있어서 정직성과 성실성이 요청된다고 할 때 복음주의 진영에서는 본문에는 정직하나 상황에는 성실하지 못하였고, 에큐메니칼 진영은 본문에는 성실하지 못하였고 상황에는 정직했다는 각각의 장점과 결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볼 때 두 선교신학이 서로의 견해에서 합치점을 기준으로 양자를 보완적으로 종합한다면 보다 통전적이고 성경적인 견해로 수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두 선교신학은 서로의 장점이 자신들의 결점을 보완할 계기로 삼아 연합의 본을 보일 경우 반목된 두 신학의 협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교회와 선교를 하나되게 하고 활성화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안승오(Seung Oh A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1 선교와 신학 Vol.27 No.-
전통적으로 선교는 “복음을 알지 못하는 지역에 가서 복음을 전하고 스스로 서 갈 수 있는 교회를 세워 하나님 나라를 확장하는 활동”이라는 정의에 거의 이의가 없었다. 여기에서 교회야말로 하나님 나라 확장을 보여 주는 가장 명확한 표징 중의 하나였으므로 선교의 성적표를 측정하는 중요한 잣대 중의 하나가 바로 교회의 성장이었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교회 성장을 중시하는 선교 개념은 커다란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 도전은 주로 소위 말하는 에큐메니칼 신학에서 강하게 제기되었다고 할 수 있다. 특별히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개념이 태동된 1952년을 기점으로 하여서 교회 성장을 중시하는 선교 개념은 강력한 비판 앞에 놓이게 되었다. 그렇다면 에큐메니칼 신학의 주된 관심은 무엇인가? 1948년에 세계교회협의회(WCC)가 생긴 이후로 WCC의 주된 관심은 크게 세 가지 패러다임으로 변천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첫째는 하나님의 선교 개념이 탄생된 1952년을 중심으로 하나님의 선교 패러다임’ (1952-1963),둘째는 인간화 개념을 선교의 목적으로 삼았던 읍살라 대회를 중심으로 ‘인간화 패러다임’(1968-1975) 그리고 셋째는 캐나다 밴쿠버 대회 이후로 점증하는 생명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나타나는 ‘생명 패러다임’(1983 - 현재) 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 패러다임의 핵심은 "하나님의 선교’, ‘인간화 그리고 ‘생명 살림’ 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교회 중심의 선교 개념에 대한 비판 의식에서 태동된 에큐메니칼 신학의 핵심 개념인 ‘하나님의 선교’, ‘인간화’ 그리고 ‘생명 살림’ 개념이 어떤 배경 하에서 태동되었고 개념의 주요 내용이 무엇이며 교회 성장의 관점에서 볼 때 이 개념이 지니는 기여점과 한계점 등은 무엇인지 등을 살펴보았다. 이런 주제는 19세기의 세계 상황과 달라진 20세기의 상황 속에서 그 상황에 맞는 바른 선교를 하고자 하는 고뇌 속에서 탄생된 것이다. 이런 주제는 과거의 선교를 갱신하고 오늘의 변화된 상황 속에서 바른 선교를 수행하고자 하는 의도 속에서 탄생된 주제이며, 그런 점에서 오늘의 세계 속 에서 선교를 수행하는 우리가 반드시 잘 이해해야 할 주제이다. 하지만 이 한 주제는 19세기의 선교를 갱신하고 발전시킨다는 점에서 좋은 기여점을 지니는 반면에 동시에 한계점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즉 19세기 선교의 문제점을 갱신하고 보완하는 기여를 하는 반면에 19세기 선교의 강점을 약화시키는 부작용 또한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별히 교회 성장의 관점에서 보면 이런 주제는 아주 심각한 부작용 즉 구령 열정의 약화와 교회의 약화 등을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다. 즉 에큐메니칼 신학은 그 모든 장점 에도 불구하고 교회의 성장 잠재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 소지가 있다. 따라서 이슬람에 비하여 갈수록 성장 동력이 떨어지고 유럽 등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심각한 퇴조의 현상까지 보이는 기독교는 에큐메니칼 신학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장점은 살리되 약점은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환대의 신학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교회의 선교적 정체성 연구: 교회와 이웃 사이의 다리 이어주기
조해룡 한국선교신학회 2024 선교신학 Vol.74 No.-
인간다움, 사람과 사람 사이의 평화와 상생, 건전한 사회, 공평과 평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문화구조, 국가와 국가 간의 상호교류 등이 절실히 요청되는 21세기에 우리는 역설적이게도 폭력과 배제, 혐오가 지구촌 곳곳을 휩쓸고 있는 것을 경험하며 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근 환대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인문, 사회과 학 전반에서 화두가 되었고 환대의 실천을 제도화하려는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노력도 적지 않았다.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세상으로 파송 받은 교회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할 것인가? 본 논문은 환대의 신학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선교적 교회의 정체성을 연구한다. 환대 신학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교회의 온전한 선교적 삶이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하나님의 선교의 출발은 하나님의 환대에서 시작되며 교회의 사명은 하나님의 환대를 말과 삶을 통해 세상에 선포하는 것이다. 환대는 하나님의 선교를 지속 가능하게 하는 교회의 선교적 표지이다. 인간다움, 사람과 사람 사이의 평화와 상생, 건전한 사회, 공평과 평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문화구조, 국가와 국가 간의 상호교류 등이 절실히 요청되는 21세기에 우리는 역설적이게도 폭력과 배제, 혐오가 지구촌 곳곳을 휩쓸고 있는 것을 경험하며 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근 환대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인문, 사회과 학 전반에서 화두가 되었고 환대의 실천을 제도화하려는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노력도 적지 않았다.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세상으로 파송 받은 교회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할 것인가? 본 논문은 환대의 신학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선교적 교회의 정체성을 연구한다. 환대 신학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교회의 온전한 선교적 삶이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하나님의 선교의 출발은 하나님의 환대에서 시작되며 교회의 사명은 하나님의 환대를 말과 삶을 통해 세상에 선포하는 것이다. 환대는 하나님의 선교를 지속 가능하게 하는 교회의 선교적 표지이다. 인간다움, 사람과 사람 사이의 평화와 상생, 건전한 사회, 공평과 평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문화구조, 국가와 국가 간의 상호교류 등이 절실히 요청되는 21세기에 우리는 역설적이게도 폭력과 배제, 혐오가 지구촌 곳곳을 휩쓸고 있는 것을 경험하며 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최근 환대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인문, 사회과 학 전반에서 화두가 되었고 환대의 실천을 제도화하려는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노력도 적지 않았다.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세상으로 파송 받은 교회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할 것인가? 본 논문은 환대의 신학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선교적 교회의 정체성을 연구한다. 환대 신학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교회의 온전한 선교적 삶이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하나님의 선교의 출발은 하나님의 환대에서 시작되며 교회의 사명은 하나님의 환대를 말과 삶을 통해 세상에 선포하는 것이다. 환대는 하나님의 선교를 지속 가능하게 하는 교회의 선교적 표지이다. 분열되고 배타적이며 혐오로 가득 찬 세상을 치유하기 위한 하나님의 선교의 정수는 하나님의 선교적 환대에서 비롯된다. In the 21st century, amidst calls for humanity, peace, and coexistence, we paradoxically witness violence and exclusion sweeping the globe. Discussions on the importance of hospitality have surged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Efforts to institutionalize hospitality have emerged in politics and civil society. The church, on a divine mission, questions its role in this context. This paper delves into the theology of hospitality and the identity of a missional church within it. It explores what constitutes a wholesome missional life. God’s mission begins with His hospitality, and the church’s mission is to spread the gospel to the world. Hospitality serves as the church’s hallmark in sustaining God’s mission. At its core, God’s missional hospitality heals a fractured world.
안승오 한국기독교학회 선교신학회 2013 선교신학 Vol.33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n the workers of mission in ecumenical theology. Since mission is an action for the Kingdom of Go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o is in charge of this work for an effective ministry. In the past, the church thought that the major agents of mission are ‘the church’ or ‘the chosen people.’ However,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ecumenical theology started to see the worker of mission more in a wider view including various organizations in the world. In this paper, first I tried to find out from what motivation the new view came out. They were the following perceptions: 1) the church realized that the church, the major agent of mission, committed serious sins especially during the two world wars, 2) due to the impact of Missio Dei, the church came to see that the workers of mission are not just the church but also many other institutions in the world, 3) the church came to change its view on the world from a target of mission to a coworker of mission. With this kind of background, the ecumenical theology tends to see the workers of mission as the triune God himself, the various institutions in the world used by God, lay people, and the poors. This kind of understanding contains various strengths and weaknesses. It might be helpful for the church to break its arrogance and self-centered attitude. Also it can help the church to cooperate with the world in carrying out the mission, and to keep going forward toward the ideal direction of mission. However, this view contains some weaknesses as well. As it emphasizes God as the major worker of mission too much, it can reduce the church's responsibility and enthusiasm for mission. As it pursues cooperation with the world, it can bring a result of weakening the identity of the church also. As it includes the world, which is not concerned and interested about God, as a major worker of mission, the church can fall into a trap of idealism and as a result of this it can cause enfeeblement of mission. If these kinds of weaknesses are compensated properly, the ecumenical view on the workers of mission would be helpful for building up the church for world mission.
세계관의 관점에서 본 기독교 선교: 에큐메니컬주의, 복음주의, 오순절주의 비교 연구
김만태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3 영산신학저널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on a virtuous direction of the 21st century Christian mission by pursuing the true meaning, scope, and practice of missions through a comparative exploration of Ecumenical, Evangelical, and Pentecostal missions, the three major mission mov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view. The author uses a literatur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The Ecumenical mission is based on the worldview that regards this world as a significant object and stage for salvation and missions, seeking to improve human societies by using natural means and changing social structure, whereas the 19th century mission was, by and large, the other world-focused. The Evangelical mission retains the other world oriented worldview of the 19th century; yet, eventually affirming Christian social responsibility to be a crucial assignment in missions. On the other hand, it gives priority to evangelism over social responsibility and encourages social service rather than social actions. The Pentecostal mission is in line with the Evangelical mission in view of its emphasis on evangelism and salvation into the other world. However,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Evangelical, for it seeks to meet physical, material, and practical needs through the supernatural work of God, underlining human welfare in this world. The result of this study highlights that this world is in the deep concern of God and, subsequently, salvation of souls, human life in this world, and the transformation of this world are all the significant realms of missions. The direction and practice of the 21st Christian mission needs to underscore both of the other world and this world; the eternal future and the present time; supernatural causes and natural/social causes; spiritual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본 논문의 목적은 개신교 세계 선교의 주요 흐름인 에큐메니컬주의, 복음주의, 오순절주의 선교를 세계관이라는 관점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선교의 진정한 의미와 범위 및 실천을 조명함으로써 세계 기독교 선교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연구 조사 방법은 문헌 연구이다. 에큐메니컬주의 선교는 19세기의 저 세상을 지향하는 세계관과는 달리 이 세상을 중시하는 세계관에 기초하여 이 세상을 구원과 선교의 주요 대상이자 무대로 보면서 선교 실천에 있어서는 사회적 구조를 변혁하는 자연적 수단을 강조하였다. 복음주의 선교는 19세기의 저 세상 지향적인 세계관을 계승하였고 사회적 차원에 있어서는 사회봉사를 위주로 한 사회적 책임을 선교의 중요한 요소로 인정하면서 대다수의 복음주의자들은 복음 전도가 사회적 책임보다 우선한다는 입장을 취했다. 오순절주의 선교는 복음 전도를 강조하며 저 세상 지향적인 점에서 19세기의 선교 및 20세기의 복음주의 선교와 연속성을 가지지만, 초자연적인 역사를 통한 신체의 치유, 물질적・현실적 필요의 충족을 추구함으로써 이 세상에서의 안녕을 기독교 신앙의 중요한 측면으로 간주했다. 본 논문은 에큐메니컬주의, 복음주의, 오순절주의 선교에 대한 비교 통찰을 통해 저 세상과 이 세상 모두 하나님의 관심 속에 있으며 개인의 영혼 구원과 이 세상에서의 삶, 세상의 변화가 모두 선교의 중요한 차원임을 밝힌다. 21세기에 저 세상과 이 세상, 미래의 영원한 시간과 현재의 시간, 초자연적 원인과 자연적・사회적 원인, 영적 활동과 사회적 활동을 모두 중요하게 보는 총체적인 시각과 선교가 필요하다.
동반자 선교 관점에서의 인도 내부자중심 선교 유형 연구
박미진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4 선교와 신학 Vol.62 No.-
오랜 인도 기독교 역사와 변화하는 정치적 문화적 상황에서 형성된 내부자에 의한 공동체의 성장은 인도 선교의 성과이기도 하다. 그러나 다양한 공동체 간의 동반자 관계 형성은 아직 과제로 남아 있다. 인도 선교는다양한 방법으로 접근되었다. 그 방법 중에는 타문화권의 선교사들이 식민제국주의의 선교 방식을 적용한 것도 포함한다. 그러나 그중 몇몇 선교사들은 내부자의 관점으로 접근한 선교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어떤 선교학자들은 내부자에 의한 토착 선교 방식을 연구하였다. 현대 변화하는 선교의 중심 주제 중 하나는 동반자 선교이다. 동반자 선교를 위해 선교사는다양한 내부자들에 의한 선교 방식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다양한내부자중심 공동체의 간의 배타성을 극복하기 위한 동반자 선교 연구는 미비하다. 선교사와 다양한 공동체는 인도 내부자중심 선교 이해하고 그 유형을 연구함으로써 공동체 간의 배타성을 극복하기 위한 동반자 선교의 방향성을 갖는다면 지속 가능한 선교가 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내부자중심 선교 유형의 구분하여 외부자인 선교사의 한계와 내부자중심 선교의 한계를 밝히고 공동체 간의 배타성을 극복하기 위한 동반자 선교의 방향성을 갖는 데 있다. 그러므로 본 고는 첫째는내부자에 접근한 선교사의 선교 유형을 구분한다. 둘째는 선교학자의 내부자 선교 유형을 구분한다. 셋째는 두 유형으로부터 내부자중심 선교 유형을 크게 불가시적 공동체, 가시적 공동체, 영 중심 공동체의 세 가지로 구분한다. 내부자중심 선교 유형에서 나타나는 한계는 공동체 간의 배타성이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선교사가 주체가 되는 것이 아니라 내부자가 주체가 되는 선교를 지향하며 선교사는 동반자 선교의 관점에서의 방향성이 필요하다. 이 방향성을 위한 제안은 실천적인 측면에서 성육신적인동일화의 자세와 신학적 측면에서 ‘성령 중심의 복음주의적 에큐메니컬 선교’의 광의적 적용이다. In particular, the growth of the community by insiders, formed in the long history of Christianity in India and the changing political and cultural situation, is also an achievement of Indian mission. However, forming partnership between various communities still remains a task. Mission in India were approached in variety ways. Among these methods, the colonial and imperialist missionary methods by missionaries from other cultures are also included. However, some missionaries among them applied missionary methods from an insider's perspective. Additionally, some researchers studied indigenous mission methods by insider. One of the central themes of modern Transforming Mission is partnership in mission. For partner mission, missionaries need to understand the mission methods of various insiders. However, the study of partner missions to overcome the exclusivity between various insidercentered communities is insufficient. If missionaries and various communities have a direction for partner missions to overcome the exclusiveness between communities by understanding and studying the types of insider-centered mission in India, missions will be sustain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imitations of missionaries who are outsiders and the limitations of insidercentered mission by distinguishing between types of insidercentered mission, and to develop a direction for partner mission to overcome exclusivity between communities. Therefore, this paper first distinguishes between the mission types of missionaries who approached insiders. Second, we distinguish between mission researchers’ insider mission types. Third, from the two types, the insider-centered mission type is broadly divided into three types: invisible community, visible community, and spirit-centered community. The limitation that appears in the insider-centered mission type is the exclusivity between communities. In order to overcome this, missionaries should aim for mission in which insiders are the main players rather than missionaries, and missionaries need dire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artner missions. The proposal for this direction is an attitude of incarnational identification from a practical aspect and a broad application of ‘Holy Spirit-centered evangelical ecumenical mission’ from a theological aspect.
복음주의 선교가 본 통전적 선교의 한계와 과제, 그리고 대안
박영환 한국선교신학회 2018 선교신학 Vol.50 No.-
20세기에 들어서서 선교는 시대적 배경으로 사회참여와 봉사를 주로 할 수밖에 없는 조건들이 형성되었다. 이것이 선교의 본질적 과제로 본 복음전도보다도 선교현장의 우선적인 사회봉사사역에 집중 하게 되는 에큐메니컬 선교를 탄생하게 되는 근거가 되었다. 에큐메니 컬 선교진영은 1961년을 시작으로 조직화 되었다. 에큐메니컬 선교는 사회봉사로 전문화, 그리고 특화되었다. 복음주의 선교는 복음전도에 집중하게 되었다. 양 진영은 통전적 선교로 갈등이 봉합되고 관계발전을 이루었다. 복음주의의 통전적 선교는 복음전도를 선교의 본질적 과제로 선언해야 한다. 이것이 선교다. 양 진영의 갈등문제는 선교신학으로 방향을 잡고, 실무차원에서는 공동위원회를 구성하여 대안을 찾아야 한다. 위원회에서 문제가 될 때마다 선교현장의 과제를 함께 평가하며, 그 대안을 만들어 가는 것이 필요하다. 더욱 중요한 것은 예수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본질적인 선교적 과제를 확보하는 것이다. 어린아이 목욕을 시키다 물을 버린다는 것이 아이까지 버리는 실수가 없어야 한다. 통전적 선교가 복음주의 선교가 되려면 로잔의 복음전도의 본질적 과제를 사회봉사와 구별하는 평가가 있어야 한다. The holistic mission of the evangelical mission is to perceive evangelism with responsibility and social service as the essential mission challenge. However, Ecumenical mission characterizes social service and evangelism to be identical mission tasks for the holistic mission. In this respect, the holistic mission cannot be regarded as the ordinary evangelism mission. It was the process of the holistic mission of the evangelism mission history. The problems of the mission task should be solved by mission theology and by making it a requirement to organize a commission in the mission communities. Furthermore, it needs to evaluate the tasks of the mission fields and to create alternatives whenever a problem arises. The most important task is to ensure the essential task of the mission work to spread the gospel of Jesus Christ. To keep the values of the missionary work, we should avoid mistakes that will be like throwing the baby out with the bath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