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급사슬 환경에서 비대면 협업시스템의 품질이 업무효율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항주,조동혁 한국품질경영학회 2022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

        최근 COVID-19의 세계적 대유행에 따라 개인 간의 물리적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조직의 업무 연속성을 보장하는 방안으로 비대면 업무 프로세스의 도입이 광범위하게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업무시스템의 불편, 직원 간 소통부족, 원격회의의 활용 부족 등은 비대면 업무성과를 저해하는 장애요인으로서, 비대면 업무프로세스의 활용도를 높이고 업무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비대면 업무 시스템을 개선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에서 기업의 지속적 성장과 장기적 생존을 위해 협업 도구를 활용하면서도 업무효율성을 통한 경영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나 비대면 환경에서의 협업시스템의 정보시스템 품질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협업시스템이 구축된 조직을 중심으로 협업시스템의 정보시스템 품질이 의사소통효율성과 의사결정효율성이 업무효율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으로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급사슬환경에서 비대면 협업시스템의 정보시스템품질이 의사소통효율성과 의사결정효율성을 매개로 업무효율성과 경영성과 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문헌 연구를 통하여 비대면 협업시스템의 정보시스템품질과 업무효율성의 개념 및 차원을 검토하고, 이러한 정보시스템품질 및 업무효율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비대면 협업시스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성공적인 협업시스템의 도입 및 활용을 통하여 경영성과를 제고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고객업무 근로자의 자질과 업무 특성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허경옥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7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고객업무 근로자의 자질과 업무 특성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모델을 통해 조사하였고 근로시간과 불만상담업무의 조절효과도 검증하였다. 또한, 고객업무 근로자의 자질 및 업무 특성 그리고 감정노 동이 고객업무 근로자의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업무 근로자가 미혼, 대기업 근로자, 고졸, 20대, 근로소득이 낮은 경우 감정노동량이 많았다. 둘째, 공변량구조 분석결과 인간관계지향적 일수록 고객업무 근로자의 서비스지향성은 낮아지나 예의매너 성은 근로자의 서비스지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예의매너성은 고객업무 근로자의 업무효율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의 모범책임성향은 소비자지향성을 높이나 인간관계지향성은 소비지향성을 낮추는 것으 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업무 근로자의 업무효율성은 근로자의 감정노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서비스 지향성 은 감정노동을 증가시키며 소비자지향성은 감정노동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근로자의 높은 서비스성향은 감정노동량을 증가시키나 고객지향성이 높으면 감정노동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업무 근로시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인간관계성향이 서비스지향성과 소비자지향성에 미치는 정 적 영향은 근로시간이 짧은 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의매너성향이 소비자지향성에 미치는 정적 영향은 근로시간이 짧은 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서비스지향성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정적 영향은 근로시간이 긴 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소비자지향성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부적 영향은 근로시간이 짧 은 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불만상담 업무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모범책임성향이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정적 영향은 불 만상담업무가 적은 근로자 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관계지향성이 업무효율성에 미치는 부적 영향은 불만상담량이 많은 집단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신뢰가 업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은 소비자불만상담 업무 량이 많은 집단에서는 부적 효과가, 소비자불만 상담업무량이 적은 집단에서는 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고객업무 근로자의 서비스지향성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정적 효과는 불만상담업무가 많은 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난 반 면, 업무효율성과 소비자지향성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부적 영향은 소비자 불만상담업무가 적은 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fluence to sentimental work by quality and characteristic of business of office operation worker by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Also, it investigated differences of quality and characteristic of business of office operation worker and sentimental worker by socio-demographic feature.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office operation worker who are non-married, workers in large sized fim, highschool graduated, age 20s, low household income were more likely to conduct sentimetal work. Second, by the result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relation-oriented had low level of service directivity, but pursuit of manner and etiquette had high level of service directivity. By the other side, pursuit of manner and etiquette effected highly to business efficiency. Tendency of responsibility of example effected highly to consumer directivity but relation-oriented lowered the consumer directivity. Also, business efficiency did not effect sentimental work, but service directivity effected highly to sentimental work and consumer directivity lower the sentimental work. In other words, high service directivity increases sentimental work but if the consumer directivity increases, sentimental work decreases. Third, the result of regulation effects on working hours showed relation-oriented’s positive effects to service directivity and consumer directivity was high to the group who worked less than the other. Also, effects of consumer directivity to relation-oriented and pursuit of manner and etiquette showed high to worker who has less working hour. On the other side, the positive effects of service directivity to relation-oriented was high to the groups who worked more, and negative effects to consumer directivity was high to the groups who worked less. Forth, complaint business regulation effects showed high level of service directivity if the responsibility of example are high. The negative effects of relation-oriented to business efficiency were high on the groups who had many complain consultation. Effects of self-confidence to business efficiency showed negatively to groups who had many complain consultation, and showed positively to groups who had lower complain consultation. The positive effects of service directivity to sentimental work showed high on groups who had many complain consultation, but the negative effects of business efficiency and consumer directivity to sentimental work showed high to groups who had lower complain consultation.

      • KCI등재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아웃소싱업무의 효율성 평가

        유금록 한국자치행정학회 2008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자료포락분석을 사용하여 공공서비스의 효율성을 측정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고찰한 후, 현대적 상대적 효율성 측정방법인 투입지향적 규모수익불변 및 규모수익가변 자료포락분석모형에 관한 선형계획모형을 공식화하고 아웃소싱업무의 효율성점수와 준거집단, 비효율성의 정도 및 근원 등을 분석했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웃소싱업무의 효율성 평가를 과학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료포락분석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하여 공공부문의 효율성을 분석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거의 대부분 횡단면자료를 사용했으나, 본 연구는 시계열자료를 사용하여 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아웃소싱업무의 비효율성의 근원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효율성을 기술적 순효율성과 규모효율성으로 구분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다. An Efficiency Evaluation of Outsourced Government Service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Yoo, Keum-Rok This paper reviewed major previous studies measuring the efficiency of the public sector with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and then formulated the linear programming models of input-oriented constant returns to scale (CRS) and variable returns to scale (VRS) data envelopment analysis, one of modern efficiency measurement methods, and analyzed the efficiency scores, reference set, and inefficient amount and sources of an outsourced government service. The implication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to use data envelopment analysis to scientifically perform the efficiency evaluation of outsourcing contract services. Second, this paper shows an efficiency measurement using time-series data, even though most existing research through data envelopment analysis uses cross-sectional data. Third, we need to measure the technical efficiency of outsourced government services and then decompose it into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to analyze sources of their inefficiency.

      • KCI등재

        경호업무 효율성에 관한 연구:공공경호와 민간경호의 효율성 영향요인의 비교분석

        박문선 한국경호경비학회 2009 시큐리티연구 Vol.- No.19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경호․경비업무를 대상으로 경호업무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경호업무 및 조직의 효율성에 관한 문헌들을 조사하고, 경호업무 효율성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생각되는 변수들을 찾아 경호업무 종사자나 경력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통한 영향요인을 경험적으로 확인하며, 공공경호와 민간경호업무를 비교분석하고,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장차 경호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떤 요인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검토하고자 하였다.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변수의 회귀계수를 보면 공공경호에서 조직구성원의 사기, 사전정보의 입수, 종합팀워크훈련, 행사예산 지원, 조직분위기이며, 그 영향력의 크기는 공공경호에서 행사예산 지원, 사전정보의 입수, 종합팀워크훈련, 조직분위기, 조직구성원의 사기 순이며, 경호 실무실습과 상호간 커뮤니케이션은 음(-)의 부호로서 이론적 기대와 다르게 나타났다. 민간경호에서는 유의성이 있는 변수의 회귀계수를 보면 경호기본의식, 종합팀워크훈련, 방탄장비 및 차량, 인원의 선발 및 배치, 행사지원 예산, 조직 내의 갈등, 조직구성원에 대한 보상, 사회적 우호 분위기, 돌발사건 등의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력의 크기는 행사지원 예산, 종합팀워크훈련, 사회적 우호 분위기, 조직구성원에 대한 보상, 방탄장비 및 차량, 조직 내의 갈등, 인원의 선발 및 배치, 돌발사건, 경호 기본의식 순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of this study is develop security services through determinants analysis on the efficiency of security works regarding security and guarding business in Korea because nowadays the modern society like Korea let alone all over the world faces the increase of dangerous factors in every security field of the human societies, and also it is the very present situation that an individual's life even the national security itself can be at the risk without guaranteeing the efficiency of the security servi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related documents, surveyed and interviewed security personnels to identify what the potentially influential factors are in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ecurity organizations regarding the efficiency of present security services and organizations, and what differences are. Also, comparing the public and private security sectors,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policy agendas how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security services in the future. This study surveyed the 177 agents and former agents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PSS) for the public security sector, and also surveyed, interviewed, and internet-based polled 821 randomly selected personnels for the private security sector.This research showed that regarding the efficiency of the security services number of independent variables which had positive responses in the public security sector was more than that in the private security sector. Among the 21 questions regarding this issue, there were all of 21 positive responses in the public security sector while there were 18 negative responses in the private security sector. As a result of synthesizing all the answers of the both side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at mostly the ratio of the positive response was much higher.In the public security servic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ere budget support for events, prior access of information, an integrated teamwork training, organizational atmosphere, morale of organization personnel. However, practical training of the security service and mutual communication showed unexpectedly negative(-) signs. In the private security servic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ere budget support for events, integrated teamwork training, socially friendly atmosphere, compensation for the personnels, bullet-proof equipments and vehicles, mood of organization, personnel recruit and disposition, unexpected incidents and basic attitude for security services.In sum, while organizational personnel variables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variables were significant in the public security service, some organizational management variables and all socio-environment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5% significance level.

      • KCI등재

        ERP 시스템품질이 업무 효율성 및 의사결정 효율성과 활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정은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12

        최근 현대사회에서는 기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기업 내 업무가 증가하고 관련 부서 간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데 있어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으로는 여러 가지 문제점 발생과 적시에 필요한 대응에 어려움을겪고 있다. 기업은 급변하는 경영 환경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적시에 적절한 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따라서 기업은 정보시스템을 도입하여 회사 내 정보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 구축이중요하며 이러한 정보시스템을 통합 합리적이고 전문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어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수 있겠다.본 연구에서는 ERP 시스템의 품질이 ERP 시스템 효율성과 ERP 시스템의 활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ERP 시스템의 품질을 시스템, 정보 및 서비스품질로 구분하여 이러한 시스템품질이업무효율성과 의사결정 효율성 및 시스템 활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하였다.본 연구에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IBM SPSS 25.0과 AMOS 25.0을 이용하여 코딩하여 분석을시행하였다. 집중타당성과 판별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고, 본 연구에서 설계된 모형구조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또한, 변수들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를 검증하기위해 신뢰도 분석을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경로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다.첫째, ERP 시스템의 품질은 ERP 시스템 효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부분 채택되었다.시스템품질과 정보품질은 업무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서비스품질은 업무 효율성에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서비스의 질 자체가 업무 효율성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는것을 의미하는 데 서비스품질로 이용한 항목들이 ERP 시스템품질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대응속도 및 해결능력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은 업무 효율성을 저하하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고생각한다.둘째, ERP 시스템의 효율성은 ERP 시스템 활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As company organizations grow in scale, indirect works such as office work are increasingin volume of late, making it difficult to share information across various departments. Numerousissues are emerging to inhibit the uninterrupted use of the legacy systems for this reason, makingit difficult to cope with them with the present system. It is important for companies to respondappropriately in a timely manner when problems arise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Companies use information systems in all areas of accounting, human resources, purchasing,and sales. The impact of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s on job efficiency, decision making efficiencyand system utilization are becoming more important.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process that enables companies to utilize informationefficiently and safely by introducing information systems. Not until the companies are able to makerational and professional decisions can competitive advantages be gained for them.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how the quality of the ERP system affects the efficiencyand utilization of the system. The quality of the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was divided intothe system quality, the information quality and the service quality in order to verify what impactthe aforementioned variables have on the job efficiency, decision-making efficiency, and systemutilization.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with following conclusions using IBM SPSSstatistics version 25.0 for Windows and AMOS 25.0 after going through coding process.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validit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model structuredesigned in this study. In addition,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internal consistencyreliability of the variables. Finally,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verified through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hypothesis that the quality of the ERP system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on the efficiency of the ERP system was partially adopted. System quality and information qualitywere found to affect the job efficiency, but the service quality did not affect the job efficiency,suggesting that the quality of the service itself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job efficiency. This resultseems to be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items used for the service quality includes the responsespeed and the resolution ability when there is a problem in the quality of the ERP system.Second, the hypothesis that the efficiency of the ERP system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on the ERP system utilization was accepted.

      • KCI등재

        경찰의 민주성과 효율성: 경찰공무원의 민주의식과 업무효율성의 관계

        노병만 ( Byung Man Roh ) 한국경찰학회 2016 한국경찰학회보 Vol.18 No.3

        본 논문은 경찰의 민주성과 효율성의 관계를 파악해 보려는 일환으로 경찰공무원의 민주의식과 업무효율성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경찰의 민주성과 효율성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규명하고, 경남ㆍ북 지방경찰청 경찰공무원 400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경찰공무원 민주의식의 요소로는 주인의식, 참여의식, 공동체의식, 준법의식, 공복의식, 인권의식을, 업무효율성의 요소로는 근무실적, 근무성적, 긍정적 대응성, 부정적 대응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민주의식과 업무효율성의 수준이 5점 척도에서 각각 3.56, 3.39으로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민주의식과 업무효율성의 관계는 요소 전체의 관계에서 상관계수가 .482로서 어느 정도상당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회귀분석에서 민주의식은 업무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민주의식의 요소 중에서는 참여의식을 제외한 주인의식, 공동체의식, 준법의식, 공복의식 등의 요소들이 경찰공무원의 업무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그리고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준법의식과 공복의식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찰공무원의 업무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경찰공무원의 민주의식 제고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democracy consciousness and work efficiency for the police officers. This study analyzed theoretically the relationship of democracy consciousness and work efficiency, an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he factors of democracy consciousness of the police officers are as follows: subjectivity consciousness, participation consciousness, community consciousness, the consciousness of law observance, public service consciousness and human right consciousness. The factors of work efficiency are as follows: service record, service performance record, positive correspondence and negative correspondence. As the analyses results, the average of democracy consciousness and work efficiency is respectively 3.56 and 3.39 using 5 points scale. The relationship of them is revealed high as a corelation coefficient is 4.82.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l the factors of the democracy consciousness, except the participation consciousness, had an influence on the work efficiency of the police officers. But the more influential factors are analyzed as the consciousness of law observance and public service consciousness. Based on the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 KCI등재
      • 선박교통관제사의 효율적 근무시간 할당에 관한 기초연구

        송송이(Song-i Song),류명호(Myung Ho Ryu),정중식(Jung Sik Jeong) 한국항해항만학회 2020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0 No.춘계

        선박교통관제에 관한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관제사의 업무영역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해상교통관제사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관제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적절한 근무시간의 할당은 중요한 문제이다.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VTS업무 분류를 기반으로 한 상대적인 업무부하 산정 및 개선에 관한 연구가 있었다. 또한 각 관제센터별로 관제업무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주어진 인원을 고려한 근무시간 할당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관제업무의 효율성 개선을 위한 근무시간 최적화 관점에서의 접근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근무시간의 효율화를 위한 선행연구로 근무시간대별 업무과중도를 고려한 최적화 모델 수립의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일일, 주간 및 월간 근무시간에 따른 업무부하를 정의하고 각 관제사의 업무부하의 최소화 관점에서 효율적인 근무시간 배정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요인력 계획 수립 및 관제사 업무부하량 평준화를 통해 효율적 근무시간의 할당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increasing public interest in VTS(Vessel Traffic Service), The working area of the VTSO is gradually expanding. Performing effective work from the viewpoint of the VTSO In order to do so, the allocation of appropriate working hours is an important issu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VTS work by several researcher.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calculation and improvement of relative workload. Also,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work for each VTS center. The allocation of working hours has been made taking into account the given number of people. .However, working hours are optimiz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work.. Perspective access is required. This study is a precedent study for the efficiency of working hours. The establishment of an optimization model that takes into account the workload of each working hour. Basic research was conducted. Define work load according to daily, weekly and monthly working hours. Efficient in terms of minimizing the workload of each VTSO. A working time allocation model was propos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e establishment of required personnel plan and the task of VTSO will contribute to the efficient allocation of working hours through load leveling. It is expected.

      • KCI등재

        영재교원의 업무 효율성 강화를 위한 영재교육 경력별 어려워하는 업무 유형 분석과 업무 지원 방안 연구

        이석(Seok Lee),맹희주(Heeju Maeng) 한국영재학회 2020 영재교육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영재교육 업무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영재교육 경력별 영재교원들이 어려워하는 업무 유형과 업무 지원 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원들은 영재교육 업무 유형 중 행정 및 담임 업무에 가장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었으며, 영재교육 운영 계획 수립과 심의, 영재교육 예산 및 정산 자료 관리를 어려워하였다. 둘째, 저경력 영재교사들은 교과활동과 비교과활동, 평가 업무를 고경력 영재교사들보다 유의미하게 더 어려워하였다. 셋째, 영재교육 업무가 어려운 이유는 학교 및 교육청의 지원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저경력 영재교사들의 인식이 유의미하게 더 강하였다. 넷째, 영재교육 업무 기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정 업무의 간소화, 구체적인 업무 매뉴얼 개발 및 보급, 강사료 인상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영재교사들의 업무 효율성을 위하여 학교와 교육 행정 기관의 행・재정적 지원이 적극 필요하며, 더불어 영재교원이 어려워하는 업무에 대한 구체적인 운영 방법을 직무연수 프로그램 구성에 반영하여 업무 전문성 향상에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iculty per career type and perception of support plans in gifted education teachers to reinforce work efficiency. First, among the type of work related to gifted education, it was analyzed that teachers had the most difficulty with balancing administrative and homeroom work, establishing and reviewing operation plans, and managing budgets and settlement data. Second, low-career gifted education teachers, compared with high-career teachers, had difficulty with subject and non-subject activities, and evaluation work. Third, it was recognized that the reason why gifted education was difficult was due to lack of support from schools and offices of education, In particular, the low-career gifted education teachers strongly felt this way. Fourth, gifted education teachers acknowledged that it was necessary to simplify administrative work, develop and distribute specific work manuals, and increase instructor fee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avoiding gifted education work. Therefore,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in gifted education teacher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 schools and education administration agency is required. Additionally, these factors will help enhance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by reflecting specific management methods of work difficulty for the gifted education teachers In-Service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plan.

      • KCI등재

        직무순환의 개인발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업무효율성의 매개효과와 업무과부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영우,강민정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1

        직무순환은 사회복지시설의 종사자들이 여러 직무와 다양한 경험을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정기간마다 타 직무 또는 업무로 변경하여 근무할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서 인사이동, 업무분장, 직무이동 등의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직무순환의 개인발전이 업무효율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전남 목포시에 소재중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9년 5월 21일부터 5월 24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로 직무순환의 개인발전, 종속변수로 직무만족도, 매개변수로는 업무효율성, 조절변수로는 업무과부하로 설정하였다. 모든 변수들의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를 활용하였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증 분석 도구로서 SPSS 24.0 버전을 사용하였으며, 기술 통계, 신뢰도분석을 실행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 4.0을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순환의 개인발전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업무효율성은 직무순환의 개인발전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업무효율성과 업무과부하의 상호작용항은 직무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쳐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