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언어 예절에 대한 언어 정책적 개입에 관한 비판적 고찰

        조태린 국어학회 2018 국어학 Vol.0 No.87

        이 연구는 언어 예절에 대한 언어 정책적 개입의 의미와 한계를 비판적으로평가하고 향후 개선 또는 발전의 방향을 모색하는 몇 가지 정책 제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언어 예절의 개념과 형식, 그리고 특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언어 예절과 언어 정책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언어 예절은 특정 사회나 집단 내에서 존경이나 공손함을 표현하기위한 언어적 행위의 절차나 질서라고 정의할 수 있었고, 어휘, 형태, 문체, 억양, 발음, 담화 등의 다양한 층위에서 여러 형식 또는 방식을 통해 실현되며, 근대국민국가의 언어 정책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본고는 일본과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언어 예절에 대한 언어 정책적 개입의역사를 검토하고, 한국에서의 언어 정책적 개입의 네 가지 문제, 즉 개입의 필요성, 기본 방향, 대상, 방식 등을 쟁점화하여 그 의미와 한계를 평가하였다. 이를통해 개입의 필요성으로 제시된 국민의 혼란과 어려움이 실제로는 분명한 근거가 되지 못하였으며, 개입의 기본 방향이 충분히 논의되거나 제시되지 않았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개입의 대상 선정도 그 기준과 근거가 불명확하며, 국가주도의 개입 방식에 대해서도 부적절한 측면이 있음을 비판하였다. 마지막으로본고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정책 제언을 제시하였는데, (1) 언어 정책적 개입의필요성에 대한 재검토, (2) 충분한 논의와 공감대 형성을 통한 기본 방향의 명시, (3) 기존 개입 대상의 축소 정리와 새로운 대상 모색, (4) 개입의 방식에서의제도성과 규범적 위상 약화 등이 그것이다.

      • KCI등재

        해외 한국학 교육기관에서의 한국문학교육 - 터키 에르지예스대학을 중심으로

        유홍주 한국국어교육학회 2011 새국어교육 Vol.0 No.88

        한국어교육이 시작된 이래 한국어교육의 범위가 단순히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교육의 차원을 넘어선지 오래이다. 2000년을 전후로 하여 한국어교육에서 문학교육이 필요하다는 연구자들의 견해가 제기되기 시작했는데, 문학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한국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언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한국어교육에서 문학교육을 활용하는 방식을 언어교육을 위한 문학교육, 문화교육을 위한 문학교육, 본격적인 문학교육을 위한 문학교육의 세 가지 방식을 살펴보았다. 본고는 문화교육을 위해 문학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입장이다. 그리고 터키의 에르지예스대학교에서 필자가 담당했던 문학교육의 실제 사례를 이야기해보았다. 문화 이해를 위한 문학교육이 심화되어 문학교육 자체를 위한 본격적인 문학교육으로의 방향 전환을 기대해본다. Si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rted, scop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a long time to pass over simple communication. The front and back of 2000 years, literature education is proposed by many researchers. The need of literature education is for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thoughtfully. Understanding culture makes language learning ability intensified. The way of using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for language education, culture education and full-scale literature education. On this essay, literature education has a position for culture education. And explain of the literature education case of Erciyes university in Turkey.

      • KCI등재

        목적격 조사 ‘을/를’에 대한 한국어교육적 연구: 비전형적인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박나리 ( Park Na-ree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8 언어와 정보 사회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ous meanings of the Korean object particle eul/reul in perspective of general grammar description which has been regarded as highly effective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due to its compact explanation about each grammatical items and to suggest grammatical syllabus of for eul/reul. This research tries to suggest procedural grammatical syllabus for Korean particle eul/reul that covers not only its typical meaning but its atypical meanings considering frequency, range, conceptual difficulty and usefulness. Suggested syllabus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grammar description for foreign learners and its education. Also, it is expected that several particles having atypical meanings like eul/reul shall be able to get some references from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as well.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교재 보완을 위한 남북한 언어 비교 연구

        우인혜 ( Woo In-hye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eceding research regarding language differe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n suggest the need of supplementary textbooks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to help their early settlement and for the coming era of unified Korea. First, the study tries to investigate language teaching textbooks produced by ‘Hanawon’ under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nd then address some points to be added to the textbooks for North Korean defectors. Based on the conversations from ‘TV Nam-Nam Buk-Nyuh’, the study investigates the actually different usage of the two languages from the South and the North and reexamines serious situations caused by the real difference of the two languages. Last but not least, surveying problems concerning North Korean defectors from the previous research, the study seeks to find answers to the problems by referring language policy in Germany after its reunification. (Sun Moon University)

      • KCI등재

        초등학교(初等學校)에서 한자교육(漢字敎育)의 필요성(必要性)과 의의(意義)

        안재철 ( Jae Chul Ah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9 漢字 漢文敎育 Vol.23 No.-

        Even though Our country has practised the Korean alphabet only policy for about 30years, There seems to be a fever for chinese character in recent private education market. University school students have a difficulty in understanding chinese character in books related with their major not to speak of Middle and high student, and they need to study it again for getting a job when they graduate from school. But chinese character is not easily acquired in short time, so this must be a significant problem in our country. Now, we could find the solution about this problem when chinese character is adopted as a regular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and settled down successfully in the educational system. This thesis will deal with the changes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or chinese character in our country, The necessity and the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An Analysis of Two CLT-based English Language Teaching Contexts – On the Basis of Markee's Framework

        변길자 미래영어영문학회 2012 영어영문학 Vol.17 No.2

        본 논문은 Li (2001) 프로젝트와 저자의 수업상황을 Markee 프레임워크 요소인 who (커리큘럼 개혁에 관계된 사람), what (커리큘럼개혁의 특징 및 그 영향), where (커리큘럼 개혁 성공에 관련된 요인), how (커리큘럼 개혁 시행 방법)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Li 프로젝트는 한국의 중⦁고등학교에서 채택했던 전통적인 문법 번역식 교수방법에서 의사소통교수방식으로 전환하는 교수 상황이며 저자는 한국의 한 지방대학에서 의사소통교수방식에 초점을 두어서 교양영어를 가르치는 교수 상황이다. 두 상황을 비교한 결과 의사소통교수 지향적인 커리큘럼 개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음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효과적인 의사소통 활동을 위해서는 학급당 학생 수를 조절해야 하고 학생 수준에 따른 수업이 바람직하다. 둘째, 의사소통교수방법 및 언어능력을 비롯한 교사 재교육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재정적, 행정적 지원은 물론 동료교사의 협조가 필요하다. 넷째, 한국 실정에 맞는 교수이론이 개발되어야 한다. 다섯째, 커리큘럼은 학생들의 필요나 관심을 반영해야 한다.

      • KCI등재

        The Perceived Needs Related to Language Skills for Korean Postgraduate Engineering Students

        신인영 현대영어교육학회 2009 현대영어교육 Vol.10 No.3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s of English language skills of Korean postgraduate engineering students in an academic community. In raising these issues,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ceptions of Korean engineering students themselves and subject lecturers by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current global world order has strongly influenced participants' perceptions in the Korean context. Students were required to be equipped with a flexible combination and balanced competence of all language skills, which are contextualised in the discipline. Finally, this thesis discusses the implications for upgraded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EAP) programmes adapted to the needs of Korean engineering students in the global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