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무 양태 동사‘득(得)’의 변별적 기능에 관한 연구

        박재승 ( Park Jae-seumg ) 한국중국학회 2017 중국학보 Vol.82 No.-

        본 논문은 ‘의무 양태 범주’의 구성원 중 하나인 ‘得’의 변별적 기능에 대한 연구이다. 논문의 제목을 그냥 ‘기능 연구’가 아닌 ‘변별적 기능’으로 명명한 이유는 ‘得’가 ‘必鬚’나 ‘應該’에 상대적으로 의무 양태 범주에서 기능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고는 크게 세 개의 소주제로 구성이 되어있는 데, 첫 번째는 ‘得’가 ‘화자 지향적 양태(주관성)’ 인지 ‘규칙 지향적 양태(객관성)’인지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得’는 ‘공감 요청 표지’이며, 화자의 의견 제시가 우선 된다는 점에선 ‘주관성’을 기반으로 한 개념이지만, 의무의 생성이 화자 내부에서만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청자의 동의를 구한다는 점에선 ‘객관성’인 측면도 존재하는 ‘하이브리드 형’ 의무 양태 동사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정확한 기능 분석을 위해선 ‘화자 기준’분석뿐만 아니라, ‘청자 기준’ 분석도 함께 진행해야만 했다. 본고는 ‘必鬚, 要, 應該’와의 일대일 내적 대조를 진행하여 ‘得’의 변별적 기능을 도출하였다. 내적 대조에서 중점을 둔 점은 ‘화자 지향적 양태’와 ‘규칙 지향적 양태’가 ‘절대적인 기준’에 의해 대별되어지는 것이 아닌 ‘상대적인 기준’을 근거로 하여 정해지는 개념임을 밝혔다. 두 번째는 ‘공기 성분 분석’에 따른 ‘得’의 변별적 기능을 도출해내었다. 의무 양태 동사가 ‘可能’과 같은 ‘[+추측]어휘’와 공기가 가능하기 위해선 화자가 특정 행위의 필요성에 대해서 ‘강압’ 보단 ‘유보’와 같은 ‘모호한 입장’이어야만 한다. 이러한 [+추측]성분이 나타내는 모호성은 청자의 부담감을 경감시켜서, 의무의 필요성에 대하여 청자가 공감을 나타낼 수 있는 화용적인 공간을 화자가 제공해준 것이다. 또한 ‘공감 요청 표지’인 ‘得’는 ‘공손함’이라는 화용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이러한 ‘得’에 ‘필연의 인식 양태 동사’인 ‘一定, 肯定, 必定’ 등을 사용하게 되면, 청자에 대한 ‘공손함’을 유지한 상태에서 ‘必鬚’와 같은 행위 요구가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동사구가 [+부정적 의미]를 담고 있을 경우에 화자는 행위를 제어할 수 없으며, 때문에 ‘의무 양태’를 나타낼 수가 없게 된다. 이러한 ‘得’를 ‘非양태적 표현’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要’와의 치환 가능 여부를 통해 ‘得’의 ‘양태적 표현’과 ‘非양태적 표현’을 검증하였고, 이 경우에 주어 인칭에 따른 양태 의미의 차이도 아울러 밝혔다. This paper describes the function analysis of the obligation modality verb ‘得(dei)’. Based on “the obligatory reference point”, we developed the method of analyzing the distinctive functions of ‘得(dei)’ in each functional category. First, the obligatory reference point of ‘得(dei)’ begins with obligations within the speaker, but is completed through empathy with the audience. For this reason, 'dei' is equipped with a modal verb function that combines the speaker's subjective obligatory and politeness. Second, because the speaker 's attitude is not ‘convincing’, it collocates with the ‘guessing meaning vocabulary’. We can control the degree of compulsion through adverbs while maintaining a polite attitude. Third, ‘得(dei)’ was replaced with ‘要(yao)’, and the sentence was established as ‘modal expression’, while the sentence was not established as ‘non-modal expression’. ‘Non-modal expression’ means that the actor can not control the action and the speaker can not intervene in the proposition.

      • KCI등재

        양태 표현의 다의성과 구조적 중의성

        신서인(Shin, Seo-in) 우리말글학회 2017 우리말 글 Vol.72 No.-

        이 논문은 다의성을 가지는 양태 표현이 사용된 문장이 구조적 중의성을 가짐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태 표현이 명제 양태와 사건 양태의 두 가지 의미를 가져 다의성을 가지는 경우 그 양태 표현이 사용된 문장은 구조적 중의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양태 표현이 사용된 문장의 중의성이 구조적이라는 것은 조사, 부사, 동사와 형용사, 시제 요소, 부정소의 결합이 서로 다르다는 사실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즉 명제 양태의 의미를 가지는 경우에는 양태 표현이 서술어가 이끄는 구성 전체에 결합하고 사건 양태의 의미를 가지는 경우에는 양태 표현이 서술어에만결합한다. 지금까지의 양태 연구는 양태 표현의 의미에만 천착한 경향이 있다. 본고의 시도를 통해 양태 표현이 사용된 문장에 대한 구조적 연구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show polysemous modal expressions that cause structural ambiguity of sentences. When a modal expression has two different modal meanings, i.e. propositional modality and event modality, it creates ambiguity in a sentence in which the modal expression is used.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ambiguity is a structural one by showing differences in syntagmatic re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postpositions, adverbs or adverbials, predicates, tense, and negation. While the modal expression with the propositional modal meaning is combined with phrases which express the proposition, the modal expression with the event modal meaning is combined with predic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further serve as a basis for close examinations of the structural features of sentences with modal expressions.

      • KCI등재후보

        '-는 법이다'류의 양태표현 연구

        안주호 국어학회 2004 국어학 Vol.0 No.44

        이 글은 자립명사인 '법(法)'에서 '-는 법이다[-어야 한다], -는 법이다[-는 것이 당연하다], -는 법이 있다/없다[대개 -- 한다], -ㄹ 법하다[-ㄹ 것으로 추정된다]'의 양태용언으로 발달하게 된 과정에 대해 탐구한 것이다. 양태는 인식양태와 의무양태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의무양태는 주어에게 부과된 책무와 강제를 나타내는 범주이며, 인식양태는 사실과 다르다고 하더라도 명제내용에 대한 화자의 지식이나 믿음의 정도성을 나타내 주는 범주이다. 자립명사 '법'은 선행의 보문소 '-는, -ㄴ, -ㄹ', 그리고 후행하는 '-이다, -하다'와 결합하여 '-는 법이다[법1], -는 법이다[법2], -는 법이 있다/없다[법3], -ㄹ 법하다[법4]'의 구성이 되어 양태의미를 표현해 준다. 법1은 '-어야 한다'의 의미로 주어에게 부과된 의무를 나타내므로 의무양태이며, 법2, 법3, 법4는 명제내용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나타내는 인식양태로서, 확실성의 정도에 따라 나누어 보면, 법2는 '필연성', 법3은 '개연성', 법4는 '가능성'을 나타내 준다. 이러한 양태의미는 '권위의 원천, 상호주관성, 힘의 영향력' 등의 측면에서 살필 수 있다. 자립명사 '법'에서 양태용언으로의 발달은 은유적 확장에 의한 의미의 주관화의 경향 때문이었다. 이런 발달 양상은 일반적으로 자립명사 혹은 동사 > 의존명사구 혹은 보조동사 > 의무양태 >인식양태 등의 발달과정을 거친다는 사실과 잘 부합된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process in which the noun 'pep('law') in Korean is evolved into modality verbs of [-nun pep-ita] 'must be--', [-nun pep-ita] 'natural to do--', [-nun pep-i issta/epsta] 'largely to do--', [-ul pephata] 'expected to do--'. Modality can be categorized into deontic modality and epistemic modality. While the former represents [obligation] and [compulsion] on the part of the subject, the latter shows the degree of knowledge and confidence of the speaker on the statement content, irrespective of the validity of the statement. The bound noun 'pep' is combined with the preceding complement '-nun, -un, -ul' and succeeded by '-ita, -hata' to represent the meaning of modality in the forms of '-nun pepita[pep1], -nun pepita[pep2], -nun pepi issta/epsta[pep3], -ul pephata[pep4]'. The [pep1] meaning 'must be--' is a deontic modality, indicating the obligation laid on the subject, while [pep2], [pep3] and [pep4] are epistemic modalities showing the attitude of speaker on the statement content. The [pep2] refers to the inevitability, [pep3] to the probability, and [pep4] to the possibility of the statement,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degree of certainty. The modality form can be studied in terms of the 'source of authority, intersubjectivity, and power influence.' Reviewing of usage of modality verbs related with 'pep' using the Corpus of Korean history, it is found the [pep1] and [pep2] are increasingly used after the 16th century and the [pep3] is most widely used during the modern Korean, while the [pep4] eventually emerged in the modern Korean period. This development mode is an example well consistent with the fact that the modal category typically develops from "main verb, noun" to deontic modality and then to epistemic modality.

      • KCI등재

        맥락을 반영한 양태 도출 과정에 대하여 -양태의 다기능성을 중심으로-

        명정희 ( Myeong Jeonghee ) 국어학회 2020 국어학 Vol.0 No.93

        이 연구에서는 가능성 및 필연성 양태가 다양한 맥락정보에 따라 구체적인 의미기능으로 발현되는 것을 논증하였다. 양태의 기능이 도출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분석하여 양태 형식들에서 발현되는 양태 기능들 사이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양태가 도출되는 데 작용하는 맥락정보의 특징과 종류에 대해 논의하였다. 맥락정보는 양태의 개념이 언어화될 때 참고하는 정보로서 양태의 기본의미와 명제 의미 외의 배경의미이다. 양태의 맥락정보는 인식, 평가, 당위, 동적의 네 가지로 나누었다. 다음으로 맥락정보를 바탕으로 양태 기능이 도출되는 과정을 단계화하여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양태의 판단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에 알맞은 맥락정보를 모으는 단계이다. 그 후 맥락정보를 통해 도출될 수 있는 가능한 사건들을 파악하고 그 중에서 제일 적합한 사건을 선택한다. 이때 가능한 사건의 개수에 따라 가능성 및 필연성 판단이 적용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양태 도출 과정의 분석 틀을 적용하여 다의적 양태 표현인 ‘-어야 하-’와 ‘-을라’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어야 하-’는 필연성 의미를 가지며 맥락정보에 따라 ‘의무, 추측, 소망’의 기능이 발현된다. ‘-을라’는 가능성 의미를 지니며 맥락정보에 따라 ‘추측, 의지’의 기능이 발현되고 ‘추측과 부정’의 의미가 함께 발현되기도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a possible derivation mechanism of semantic functions for modal expressions in Korean. The interpretation of a modal is dependent on the context; so, in this paper, I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xt and the semantic functions of modality. The context is one of criterions dividing the subset of modality. This paper argues that the subset of context is divided into epistemic, evaluative, deontic, and a dynamic. The first step of derivation mechanism of modal function is generating information through the context. Next, a conclusion is drawn through a standard in detail. And finally, speakers determine the speaker's subjective perspective between possibility and necessity. This analysis accounts for various meanings of modality while also maintaining a consistent explanation.

      • KCI등재

        한국어 추측 표현 ‘-겠-’의 중국어 대응표현 연구 - 한ㆍ중 신문기사 병렬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

        장경희 한중인문학회 2016 한중인문학연구 Vol.53 No.-

        본고는 한․중 신문기사 병렬말뭉치를 이용하여, [추측] ‘-겠-’의 중국어 대응 표현을 살펴봄으로써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실제 언어 자료를 분석하여 ‘-겠-’의 용례를 분석한 결과로, 추측의 ‘-겠-’은 중국어 양태조동사 {会}, {能}, {应该}와 대응하는 것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먼저 ‘-겠-’에 대응하는 중국어 양태 조동사는 인식 양태 범주, 의무 양태 범주, 동적 양태범주의 조동사로 분류할 수 있다. 확실성 정도를 보면 ‘-겠-’은 [필연]의 {一定}과 {要}, [개연]의 {会}와 {应该}에 대응되기도 하고, 사용 맥락에 따라서 [가능]의 {能}에 대응될 경우도있다. 또한, ‘-겠-’이 ‘-어야 하다’와 결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다의성 양태 조동사 {要}에 대응할 수 있다. ‘-겠-’이 ‘-(으)면 좋다’와 결합하는 경우에는 뿌리 양태의 종류인 의무 양태의{应该}와 동적 양태 의미를 나타낸 ‘希望…能够/可以’와 대응 관계를 맺는다. 이는 인식 양태에서부터 뿌리 양태 의미로 확장한 현상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중국어의 양태 조동사끼리 결합이 가능하므로 결합형으로 나타나는 대응 양상도 발견하였다. {可能会}, {应该会}, {可能要}와 대응하는 경우에 {会}와 {要}가 지니는 미래라는 특정 시간에 대한 부가적 의미 때문에 현재의 시점에서나 과거의 시점에서 ‘앞으로’ 발생할 사건이나 정해지지 않은 ‘앞으로’의 상황을 추측하는 사용 양상을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rresponding expressions of Korean epistemic speculative ‘-gess-’ to Chinese. Based on this parallel corpus approach, ‘-gess-’ has shown that different Chinese modal auxiliary verbs are related depending on different situation and context. We have come to a conclusion that ‘-gess-’ and epistemic ‘Huì’, ‘Néng’, ‘Yīnggāi’ share many similarities semantically and grammatically. ‘kě’, ‘kěyǐ’, ‘Yīnggāi’, ‘Nénggòu’, as a deontic and dynamic modal auxiliary verbs which present in ‘-gess-’ combined forms are interpreted as a semantic expansion from Epistemic Modality to Root Modality. Moreover, double modal(DM) such as epistemic ‘Kěnéng Huì’, ‘Yīnggāi Huì’, ‘Kěnéng Yào’ are also discovered in some ‘-gess-’ speculative sentences.

      • KCI등재

        의무 양태 표지에 대한 연구 - ‘행위 통제권’과 ‘행위 결정권’을 중심으로

        박재승,신주현 중국학연구회 2017 중국학연구 Vol.- No.80

        본고는 의무 양태 동사(category of obligation modality, 义务情态范畴)에 속한 ‘必须,要,得,应该,可以,值得’를 화자의 행위자NP에 대한 ‘행위 통제권’과 행위자NP의 ‘행위 결정권’의 강도에 따른 ‘기능상 스펙트럼’제시하고자 한 논문이다. 기존 학교 문법이나 선행 연구가 양태 동사의 기능 나열에 국한되어 있어서 인접한 기능을 갖는 양태 동사 간의 기능 차이를 명쾌하게 밝히지 못한 것이 본 연구의 동기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양태범주 간의 변별적 기능을 통해 의무 양태의 범주 상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주관성 표지와 객관성 표지의 양극단에 ‘必须’와 ‘应该’를 위치시키고, 양자의 차이점에 대해 규명하였다. ‘要’는 ‘必须’에 인접한 양태동사인데, 차이점은 ‘要’의 ‘바람 양태’가 의무 양태 기능에 투영이 되어 화자가 행위자NP에게 해당 행위를 해줄 것을 바라는 의미가 묻어 나온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要’의 ‘행위 통제권’은 ‘必须’에 비해 약화된다. ‘得’는 의무 부여의 기준이 ‘화자의 심리적 기준’이라는 점에선 ‘必须,要’(명령 표지)와 유사하지만, 화자가 행위자에게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 결정권을 양도한다는 점에서 ‘应该’(권고 표지)와 겹치는 부분이 있는 양태동사이다. ‘得’는 ‘선택 불가능한 유일한 행위’라는 사실을 청자에게 ‘전달’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화자가 청자에게 공감을 요구하는 ‘공감 요청 표지’로서 기능하며, 아울러 더욱 ‘공손한 발화’라는 기능도 획득하게 된다. ‘可以,值得’는 의무 양태 범주에서 가장 주변부에 위치한 양태동사로 화자의 ‘행위 통제권’은 소실되며, 행위자의 ‘행위 결정권’은 극대화된 ‘제안’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문장의미 역시 ‘동태성’이 아닌 ‘정태성’을 띄게 된다.

      • KCI등재후보

        『시편촬요(詩篇撮要)』(1898) 내의 양태어미와 3종 19세기 중국어역 성경 「시편」의 양태동사 비교연구 - 『신구약전서(新舊約全書)·시편』(1862) 중 ‘宜’와의 대응을 중심으로 -

        한경호 진단학회 2017 진단학보 Vol.- No.129

        『시편촬요』는 러시아 출신의 유대인인 알렉산더 피터스(Alexander Albert Peters. 1871~1958)가 구약성경의 한 권인 「시편」의 총 150편 중 축복편인 62편만을 선역(選譯)하였으되, 구약성경의 한국어 번역한 서적으로서는 첫 자료가 되는 문헌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시편촬요』가 특히나 중국어역 성경 영향을 어떻게 받았는지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신구약전서』에 나타난 중국어의 양태동사(modal verb) ‘宜’와 대응되는 『시편촬요』의 양태어미 및 나머지 2종의 중국어역 성경에 보이는 양태동사, 및 KJV와 히브리어 원서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고에서는 이하와 같은 면을 발견하게 되었다. 중국어 기준으로 ‘개연성’과 ‘당위양태’ 중의 ‘지시 & 결의’란 특성을 중심으로 지녔던 『신구약전서』의 ‘宜’와 대응된 『시편촬요』의 양태어미는 ‘명령’과 ‘청유’를 나타낸 양태어미와 대응되었다. 또한 그 중에서 『신구약전서』의 ‘宜’와 가장 많은 대응을 보인 양태어미는 ‘-ㄹ 지어다’로서, 이종(異種) 중국어역 성경에서 대응된 어휘와 비교하였을 때에도, ‘-ㄹ 지어다’와 가장 많이 대응되는 중국어의 양태동사는 『신구약전서』의 ‘宜’였다. 마지막으로는 『시편촬요』의 양태어미와 중국어역 성경의 ‘양태’를 체계적으로 대조하려면, ‘-ㄹ 지어다’나 ‘-쇼셔’ 등과 대응되는 중국어역 성경의 어휘를 고찰해야 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현대중국어 양태동사 ‘可以’에 관한 연구

        박재승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6 No.-

        본고는 양태 동사‘可以’의 핵심기능을 원형범주론에 입각하여 추출하고, 각 양태 범주에서핵심 기능을 기반으로 한 ‘可以’만의 변별적인 기능을 분석하였다. 능력양태범주에서 ‘可以’는‘극복 가능한 최대치’이기에 정도부사와 공기할 수 없으며, 청자 관점에 대한 반박과 더불어예측 불가능한 개별적인 정보 표현에 사용되었다. 구속양태범주에서 ‘可以’의 무표적 기능은‘허가 양태’이고, 특정한 맥락에서만 ‘의무 양태’로 기능하게 된다. 아울러 ‘可以’는 의무 양태의 구성원이기에 화자가 ‘장애 형성의 주체’로서 역할하게 하지만, ‘화제-평언 구조’와 관련된‘值得’는 이러한 장애 개념과 무관하다. 인식 양태 범주에서 ‘可以’는 ‘특정사건과 관련된 경우’ 는 ‘인식 양태’이다. 특정 사건 실현과 관련이 없는 경우는 주어의 인칭과 동작의 수혜대상 유무에 따라 양태가 달라지는 데, 2․3인칭 주어문에선 동작의 수혜대상이 있을 경우엔 ‘인식양태’이지만, 동작의 수혜 대상이 없을 경우엔 ‘능력 양태(동적 양태의 하위 범주)’이다. 1인칭주어문의 경우엔 만약 동작의 수혜대상이 있는 경우는 ‘의무양태 범주(공약 양태 범주)’으로, 동작의 수혜대상이 없는 경우는 ‘동적 양태 범주(능력 양태 범주)’로 분류해야 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functional analysis of ‘Keyi(可以)’. In this paper, we extract the core functions of ‘Keyi(可以)’, Based on these core functions, we developed the method of analyzing the distinctive functions of ‘Keyi(可以)’ in each functional category. The core function of ‘Keyi(可以)’ is ‘recognition and elimination of disability’, and this core function gives distinctive function to ‘Keyi(可以)’ in each functional category. First, ‘Keyi(可以)’ in the dynamic modality category has the following distinctive functions. 1) Because it is the maximum value of the ability to overcome, it is impossible to collocate with degree adverb. 2) It contains the meaning of refutation to the audience viewpoint. 3) Unpredictable information that is not universal and is used to convey individual experience-based information. Second, ‘Keyi(可以)’ in the deontic modality category has the following distinctive functions. 1) The unmarked function of ‘可以’ is the ‘permission modal category’, and the ‘deontic modal catagory’ is the marked function expressed in the specific context. The role of the speaker changes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keyi’. In the ‘permission function’, ‘speaker’ is a ‘disability eliminator’, but when it is ‘deontic function’, it plays a role as ‘disability creator’. 2) In the previous research, ‘deontic function of keyi’ and ‘zhide’ were treated as the same functional language. In this paper, I analyzed their functional differences. 3) The ironic syntactic meaning is ‘forbidden’, and ‘forbidden’ is a ‘deontic modal catagory’ because the speaker is a ‘disability creator’. On the other hand, in ‘concessive clause’, ‘keyi’ is ‘hypothesis about the extreme situation’ and ‘the maximum value that can be overcome’, so the role of speaker should also be regarded as ‘permission modal catagory’. third, ‘Keyi(可以)’ in the epistemic modality, ‘keyi’ has the following distinguishing features. 1) In the case of ‘epistemic modality category’, it is ‘the speaker's guess about the realization of a certain event’. On the other hand, case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specific events can be divided into ‘dynamic modality category’ and ‘deontic modality category’. If there is no beneficiary of the action, it is a ‘dynamic modality category’, and if there are beneficiaries of the action, it is a ‘deontic modality category’. In fact,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modal verbs has already been completed in the previous research stage. However, research based on recognition semantics is still in its infancy, It can be said that the field of research has been made in order to have an interpretive power. I will try to reveal the part of this article which has not been clarified in the following study.

      • KCI등재

        체계적인, 너무나 체계적인

        임동훈(Lim, Dong-Hoon)(林東勳) 형태론 2011 형태론 Vol.13 No.1

        박재연(2006)은 양태 어미가 양태의 어떤 하위 영역을 가리키고 다른 양태 어미와 어떤 대립 관계에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통해 국어 양태 어미를 체계적으로 기술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 논의는 지나친 체계성을 추구한 나머지 이론 구성과 적용 면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한국어 양태 어미 기술에서 서법이란 용어가 불필요하다고 하였으나 이는 인구어적 편견이 작용한 결과이며, 서법 범주는 동사의 굴절이라는 형식상의 기준보다 평서적인 것이나 단언적인 것과 대립하는 의미상의기준, 그리고 필수성과 상호 배타성이라는 분포상의 기준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 합리적이다. 둘째, 양태를 정의할 때 소위 ‘화자의 주관적 한정’이 중요한 요소이긴 하나 이를 수행성으로 등치시키는 것은 양태 어미들이 종속절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을 설명하기 어렵다. 또 동적 양태 대신 주어 지향적 양태의 개념을 채택하는 것도개체 내적인 속성․조건과 화자가 부여하지 않는 개체 외적인 속성․조건을 모두 포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셋째, 행위 양태는 서술어로 동사가 아닌 계사나 형용사도 쓰일 수 있어 행위의 성격이 불분명하고, 또 문장 유형과 행위 양태를 가리는 기준이 자의적이다. 넷째, 인식 양태의 하위 영역으로 정보의 확실성에 대한 판단, 정보의 획득 방법, 정보의 내면화 정도, 청자 지식에 대한 화자의 가정이란 4가지를 제시하 였는데, 뒤의 두 가지는 앞의 두 가지와 그 지위가 동일하지 않다. 다섯째, ‘-더-’의인칭 제약을 ‘새로 앎’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았으나 ‘새로 앎’의 의미가 있다고 기술된 ‘-구나’가 인칭 제약이 없는 점을 고려할 때 인칭 제약은 ‘과거 지각’이라는 의미에서 설명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여섯째, ‘-네, -구나’는 지각, 추론과 같은 증거성의 영역과 관련되고 ‘-지’는 기지 가정의 의미를 가진다고 하였으나 ‘- 구나’의 경우에는 증거성의 의미를 찾기 어렵고 ‘-지’는 기지 가정으로 보기 어려운 예가 많고 제안이나 명령에 쓰이므로 타당한 기술이라고 하기 어렵다. J. Park (2006) aimed to systematically describe which subdomain the modal meanings of endings belong to and what kind of opposition they make. However, this book seemed to have some problems with respect to theory and its applications because of excessive systematicity. First, this book claimed that the term ‘mood’ is unnecessary in Korean; however, I think that this opinion results from Indo-European prejudices. In defining the mood category, the criteria of meaning and distribution are more important than the criterion of form such as verbal morphology. Mood as a grammatical category can express the meanings that contrast with declarative and assertive, and it should show the obligatoriness and mutual exclusiveness. Second, although a speaker’s subjective qualification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defining modality, the equation of this component with performativity has some problems. This claim does not explain the phenomenon that modal endings can appear in subordinate clauses. In addition, as the adoption of subject-oriented modality instead of dynamic modality cannot cover both the domains such as participant-internal modality and non-deontic participant-external modality. Third, action modality has two problems. The sentences where action modality is expressed may have adjective and copular predicates; in addi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action modality and sentence type is arbitrary. Four, this book claimed that epistemic modality has four kinds of subdomain such as ⅰ) certainty ⅱ) information source ⅲ) assimilation ⅳ) hearer knowledge. However, the statuses of ⅲ) and ⅳ) are not the same as ⅰ) and ⅱ). Five, this book claimed that the person constraint of the ending ‘-te-’ derives from the new knowledge meaning of ‘-te-’. Nevertheles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ending ‘-kwuna-’ has no person constraint which is claimed to have the new knowledge meaning, it is more reasonable that the person constraint of ‘-te-’ derives from past perception meaning of ‘-te-’. Six, this book claimed that ‘-ney, -kwuna’ is related with the evidentiality domain such as perception, inference, and ‘-ci’ has hearer’s already knowing meaning. However, ‘-kwuna-’ does not have any evidential meaning, and ‘-ci-’ is frequently used in the context where the hearer’s already knowing meaning cannot be found.

      • KCI등재

        The modality of epistemic and non-epistemic possibility in Korean: -(u)l swu iss and -(u)l ci molu

        ( M. Nam Kil Kim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6 언어사실과 관점 Vol.37 No.-

        본 논문의 목적은 인식 양태와 비인식 양태인 동적 양태를 나타내는 -(을)지 모르다와 -(을)수 있다를 비교 연구하는것이다. 이 두 한국어 양태를 분석함에 있어 영어의 may와 can의 쓰임을 참조하였다. 논문의 첫 부분에서는 -(을)수 있다가 세개의 중심되는 의미즉, 상황적(또는 중성적) 가능성, 능력, 그리고 허락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이세 의미의 차이에 따라 시간적 참조, 상,및 사실성의 의미론적 특징이 각각 다르게 나타남을 밝혔다. 논문의 둘째 부분에서는 -(을)수 있다 와 -(을)지 모르다가 둘 다 인식 양태를 나타내지만 어떤 면에서 공통점이 있으면 또 어떤 면에서 차이점이 있는지를 밝혔다. 공통점은 7가지의 인데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양태형이 상태동사와 공기함으로써 인식 양태가 분명히 나타난다. 둘째, 과거형은 두 양태형과 같이 일어날 수 없다. 셋째, 두 양태형은 부정될 수 없다. 넷째: 양태형에 일어나는 시제는 현재임으로 현재만을 나타낸다. 다섯째, 두 양태형은 종속절에서 헤쥐(hedge)로 기능한다. 여섯째, 두 양태형은 ``혹시``, ``어쩌면`` 같은 양태 부사와 공기함으로써 인식 가능성의 의미를 강화한다. 일곱째, 두 양태형은 의문문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 두 인식양태형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첫째, 화자에 의해 나타내는 자신감의 강도가 각각 다르다. 둘째, 어떤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할 때 그 가능성이 50/50라고 한다면 -(을)수있다가-(을)지 모르다 보다 문장으로서의 수용성이 더 높다. 셋째, -(을)수 있다는 화자의 직접 경험을 나타내는 반면 -(을)지 모르다는 화자의 간접 경험을 나타낸다. 넷째, -(을)지 모르다를 포함한 문장의 주어 자리에 일어나는 명사적 표현(nominal expression)은 특정적(specific)인 것으로 해석되지만 -(을)수 있다를 포함한 문장의 주어 자리의 명사형 표현은 비특정적 또는 총징적(generic)으로 해석된다. 끝으로 두 양태형이 헤쥐로 사용될때 -(을)지 모르다는 주로양보절에서 그리고 주절 앞에서 일어나는 반면, -(을)수 있다는 주절 뒷절에서 일어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