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무 양태 표지에 대한 연구 - ‘행위 통제권’과 ‘행위 결정권’을 중심으로

        박재승,신주현 중국학연구회 2017 중국학연구 Vol.- No.80

        본고는 의무 양태 동사(category of obligation modality, 义务情态范畴)에 속한 ‘必须,要,得,应该,可以,值得’를 화자의 행위자NP에 대한 ‘행위 통제권’과 행위자NP의 ‘행위 결정권’의 강도에 따른 ‘기능상 스펙트럼’제시하고자 한 논문이다. 기존 학교 문법이나 선행 연구가 양태 동사의 기능 나열에 국한되어 있어서 인접한 기능을 갖는 양태 동사 간의 기능 차이를 명쾌하게 밝히지 못한 것이 본 연구의 동기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양태범주 간의 변별적 기능을 통해 의무 양태의 범주 상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주관성 표지와 객관성 표지의 양극단에 ‘必须’와 ‘应该’를 위치시키고, 양자의 차이점에 대해 규명하였다. ‘要’는 ‘必须’에 인접한 양태동사인데, 차이점은 ‘要’의 ‘바람 양태’가 의무 양태 기능에 투영이 되어 화자가 행위자NP에게 해당 행위를 해줄 것을 바라는 의미가 묻어 나온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要’의 ‘행위 통제권’은 ‘必须’에 비해 약화된다. ‘得’는 의무 부여의 기준이 ‘화자의 심리적 기준’이라는 점에선 ‘必须,要’(명령 표지)와 유사하지만, 화자가 행위자에게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 결정권을 양도한다는 점에서 ‘应该’(권고 표지)와 겹치는 부분이 있는 양태동사이다. ‘得’는 ‘선택 불가능한 유일한 행위’라는 사실을 청자에게 ‘전달’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화자가 청자에게 공감을 요구하는 ‘공감 요청 표지’로서 기능하며, 아울러 더욱 ‘공손한 발화’라는 기능도 획득하게 된다. ‘可以,值得’는 의무 양태 범주에서 가장 주변부에 위치한 양태동사로 화자의 ‘행위 통제권’은 소실되며, 행위자의 ‘행위 결정권’은 극대화된 ‘제안’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문장의미 역시 ‘동태성’이 아닌 ‘정태성’을 띄게 된다.

      • KCI등재

        한국어의 양태 어미와 다단어 표현의 관계: 체계기능언어학의 양태 은유의 관점에서

        차명희(Myunghee Cha),한정한(Jeong Han 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5 No.3

        목적 이 글의 목적은 체계기능언어학의 문법적 은유(양태 은유)를 활용하여 한국어의 양태를 실현하는 어미(또는 부사)와 다단어 표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다. 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FL의 양태 정의에 따라 네 가지 양태 유형, 확률 양태, 빈도 양태, 의향 양태, 의무 양태의 담화의미를 실현하는 46개의 다단어 표현들을 선정하여, 이들을 양태 은유의 검토 기준에 따라서 양태의 은유적 표현인지 양태의 일치적 표현인지를 검토해 보았다. 결과 양태 다단어 표현은 양태의 은유적 표현(유형 Ⅰ)과 양태의 일치적 표현(유형 Ⅱ)으로 분류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은유적 표현에는 Ravelli(1988, 1999)가 말한 반사효과 의미가 나타나서 양태의 의미가 더 상세화되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첫째, 양태의 은유적 표현(유형 Ⅰ)에는 확률 양태의 다단어 표현(23개)과 빈도 양태의 다단어 표현(3개), 그리고 의향 양태의 다단어 표현(12개)이 속했다. 이들은 일치적 표현과의 공유 담화의미에 특정한 의미가 추가되거나 일치적 표현과의 공유 담화의미가 조정되며 특정한 의미가 추가되는 반사효과 의미가 나타났다. 둘째, 양태의 일치적 표현(유형 Ⅱ)에는 의무 양태의 다단어 표현(8개)이 속했다. 이는 담화의미를 공유하는 일치적 표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한국어의 단어는 형태론의 조어법에 의해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문법적 은유를 통해서도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법적 은유를 이용하면 양태 이외의 다른 문법적 기능을 실현하는 다단어 표현들도 관념적, 대인적, 텍스트적 은유의 범위 안에서 정합적으로 설명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dings(or adverbs) and multiword expressions that realize modality in Korean by using grammatical metaphors(modality metaphors) from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Methods To achieve this goal, we selected 46 multiword expressions that realize the discourse meaning of the four modality types(probability, usuality, inclination, obligation) according to SFL's definition of modality, and examined whether they are metaphorical expressions of modality or congruent expressions of modality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examining modality metaphors. Resul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modal multiword expressions are classified into metaphorical expressions of modality (Type I) and congruent expressions of modality (Type II). And it was also found that the metaphorical expression showed the feedback effect mentioned by Ravelli (1988, 1999) that the meaning of the modality was more detailed. First, the metaphorical expression of modality (Type I) included multiword expression of probability modality (23), multiword expression of usuality modality (3), and multiword expression of inclination modality (12). They showed a reflective effect in which a specific meaning was added to the shared meaning discourse with congruent expression, or the shared meaning discourse with congruent expression was adjusted, and a specific meaning was added. Second, the congruent expression of modality (Type II) included multiword expressions of obligatory modality (8). This is because there is no congruent expression that shares the meaning of the discours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show that words in the Korean language can be formed not only by morphological word formation, but also by grammatical metaphors. By using grammatical metaphors, it is expected that multiword expressions that realize other grammatical functions other than modality can be explained within the scope of ideational, interpersonal, and textual metaphors.

      • KCI등재

        한국어 추측 표현 ‘-겠-’의 중국어 대응표현 연구 - 한ㆍ중 신문기사 병렬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

        장경희 한중인문학회 2016 한중인문학연구 Vol.53 No.-

        본고는 한․중 신문기사 병렬말뭉치를 이용하여, [추측] ‘-겠-’의 중국어 대응 표현을 살펴봄으로써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실제 언어 자료를 분석하여 ‘-겠-’의 용례를 분석한 결과로, 추측의 ‘-겠-’은 중국어 양태조동사 {会}, {能}, {应该}와 대응하는 것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먼저 ‘-겠-’에 대응하는 중국어 양태 조동사는 인식 양태 범주, 의무 양태 범주, 동적 양태범주의 조동사로 분류할 수 있다. 확실성 정도를 보면 ‘-겠-’은 [필연]의 {一定}과 {要}, [개연]의 {会}와 {应该}에 대응되기도 하고, 사용 맥락에 따라서 [가능]의 {能}에 대응될 경우도있다. 또한, ‘-겠-’이 ‘-어야 하다’와 결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다의성 양태 조동사 {要}에 대응할 수 있다. ‘-겠-’이 ‘-(으)면 좋다’와 결합하는 경우에는 뿌리 양태의 종류인 의무 양태의{应该}와 동적 양태 의미를 나타낸 ‘希望…能够/可以’와 대응 관계를 맺는다. 이는 인식 양태에서부터 뿌리 양태 의미로 확장한 현상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중국어의 양태 조동사끼리 결합이 가능하므로 결합형으로 나타나는 대응 양상도 발견하였다. {可能会}, {应该会}, {可能要}와 대응하는 경우에 {会}와 {要}가 지니는 미래라는 특정 시간에 대한 부가적 의미 때문에 현재의 시점에서나 과거의 시점에서 ‘앞으로’ 발생할 사건이나 정해지지 않은 ‘앞으로’의 상황을 추측하는 사용 양상을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rresponding expressions of Korean epistemic speculative ‘-gess-’ to Chinese. Based on this parallel corpus approach, ‘-gess-’ has shown that different Chinese modal auxiliary verbs are related depending on different situation and context. We have come to a conclusion that ‘-gess-’ and epistemic ‘Huì’, ‘Néng’, ‘Yīnggāi’ share many similarities semantically and grammatically. ‘kě’, ‘kěyǐ’, ‘Yīnggāi’, ‘Nénggòu’, as a deontic and dynamic modal auxiliary verbs which present in ‘-gess-’ combined forms are interpreted as a semantic expansion from Epistemic Modality to Root Modality. Moreover, double modal(DM) such as epistemic ‘Kěnéng Huì’, ‘Yīnggāi Huì’, ‘Kěnéng Yào’ are also discovered in some ‘-gess-’ speculative sentences.

      • KCI등재

        현대중국어 양태동사 ‘可以’에 관한 연구

        박재승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6 No.-

        본고는 양태 동사‘可以’의 핵심기능을 원형범주론에 입각하여 추출하고, 각 양태 범주에서핵심 기능을 기반으로 한 ‘可以’만의 변별적인 기능을 분석하였다. 능력양태범주에서 ‘可以’는‘극복 가능한 최대치’이기에 정도부사와 공기할 수 없으며, 청자 관점에 대한 반박과 더불어예측 불가능한 개별적인 정보 표현에 사용되었다. 구속양태범주에서 ‘可以’의 무표적 기능은‘허가 양태’이고, 특정한 맥락에서만 ‘의무 양태’로 기능하게 된다. 아울러 ‘可以’는 의무 양태의 구성원이기에 화자가 ‘장애 형성의 주체’로서 역할하게 하지만, ‘화제-평언 구조’와 관련된‘值得’는 이러한 장애 개념과 무관하다. 인식 양태 범주에서 ‘可以’는 ‘특정사건과 관련된 경우’ 는 ‘인식 양태’이다. 특정 사건 실현과 관련이 없는 경우는 주어의 인칭과 동작의 수혜대상 유무에 따라 양태가 달라지는 데, 2․3인칭 주어문에선 동작의 수혜대상이 있을 경우엔 ‘인식양태’이지만, 동작의 수혜 대상이 없을 경우엔 ‘능력 양태(동적 양태의 하위 범주)’이다. 1인칭주어문의 경우엔 만약 동작의 수혜대상이 있는 경우는 ‘의무양태 범주(공약 양태 범주)’으로, 동작의 수혜대상이 없는 경우는 ‘동적 양태 범주(능력 양태 범주)’로 분류해야 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functional analysis of ‘Keyi(可以)’. In this paper, we extract the core functions of ‘Keyi(可以)’, Based on these core functions, we developed the method of analyzing the distinctive functions of ‘Keyi(可以)’ in each functional category. The core function of ‘Keyi(可以)’ is ‘recognition and elimination of disability’, and this core function gives distinctive function to ‘Keyi(可以)’ in each functional category. First, ‘Keyi(可以)’ in the dynamic modality category has the following distinctive functions. 1) Because it is the maximum value of the ability to overcome, it is impossible to collocate with degree adverb. 2) It contains the meaning of refutation to the audience viewpoint. 3) Unpredictable information that is not universal and is used to convey individual experience-based information. Second, ‘Keyi(可以)’ in the deontic modality category has the following distinctive functions. 1) The unmarked function of ‘可以’ is the ‘permission modal category’, and the ‘deontic modal catagory’ is the marked function expressed in the specific context. The role of the speaker changes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keyi’. In the ‘permission function’, ‘speaker’ is a ‘disability eliminator’, but when it is ‘deontic function’, it plays a role as ‘disability creator’. 2) In the previous research, ‘deontic function of keyi’ and ‘zhide’ were treated as the same functional language. In this paper, I analyzed their functional differences. 3) The ironic syntactic meaning is ‘forbidden’, and ‘forbidden’ is a ‘deontic modal catagory’ because the speaker is a ‘disability creator’. On the other hand, in ‘concessive clause’, ‘keyi’ is ‘hypothesis about the extreme situation’ and ‘the maximum value that can be overcome’, so the role of speaker should also be regarded as ‘permission modal catagory’. third, ‘Keyi(可以)’ in the epistemic modality, ‘keyi’ has the following distinguishing features. 1) In the case of ‘epistemic modality category’, it is ‘the speaker's guess about the realization of a certain event’. On the other hand, case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specific events can be divided into ‘dynamic modality category’ and ‘deontic modality category’. If there is no beneficiary of the action, it is a ‘dynamic modality category’, and if there are beneficiaries of the action, it is a ‘deontic modality category’. In fact,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modal verbs has already been completed in the previous research stage. However, research based on recognition semantics is still in its infancy, It can be said that the field of research has been made in order to have an interpretive power. I will try to reveal the part of this article which has not been clarified in the following study.

      • KCI등재

        양태 표현의 다의성과 구조적 중의성

        신서인(Shin, Seo-in) 우리말글학회 2017 우리말 글 Vol.72 No.-

        이 논문은 다의성을 가지는 양태 표현이 사용된 문장이 구조적 중의성을 가짐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태 표현이 명제 양태와 사건 양태의 두 가지 의미를 가져 다의성을 가지는 경우 그 양태 표현이 사용된 문장은 구조적 중의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양태 표현이 사용된 문장의 중의성이 구조적이라는 것은 조사, 부사, 동사와 형용사, 시제 요소, 부정소의 결합이 서로 다르다는 사실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즉 명제 양태의 의미를 가지는 경우에는 양태 표현이 서술어가 이끄는 구성 전체에 결합하고 사건 양태의 의미를 가지는 경우에는 양태 표현이 서술어에만결합한다. 지금까지의 양태 연구는 양태 표현의 의미에만 천착한 경향이 있다. 본고의 시도를 통해 양태 표현이 사용된 문장에 대한 구조적 연구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show polysemous modal expressions that cause structural ambiguity of sentences. When a modal expression has two different modal meanings, i.e. propositional modality and event modality, it creates ambiguity in a sentence in which the modal expression is used.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ambiguity is a structural one by showing differences in syntagmatic re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postpositions, adverbs or adverbials, predicates, tense, and negation. While the modal expression with the propositional modal meaning is combined with phrases which express the proposition, the modal expression with the event modal meaning is combined with predic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further serve as a basis for close examinations of the structural features of sentences with modal expressions.

      • KCI등재후보

        『시편촬요(詩篇撮要)』(1898) 내의 양태어미와 3종 19세기 중국어역 성경 「시편」의 양태동사 비교연구 - 『신구약전서(新舊約全書)·시편』(1862) 중 ‘宜’와의 대응을 중심으로 -

        한경호 진단학회 2017 진단학보 Vol.- No.129

        『시편촬요』는 러시아 출신의 유대인인 알렉산더 피터스(Alexander Albert Peters. 1871~1958)가 구약성경의 한 권인 「시편」의 총 150편 중 축복편인 62편만을 선역(選譯)하였으되, 구약성경의 한국어 번역한 서적으로서는 첫 자료가 되는 문헌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시편촬요』가 특히나 중국어역 성경 영향을 어떻게 받았는지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신구약전서』에 나타난 중국어의 양태동사(modal verb) ‘宜’와 대응되는 『시편촬요』의 양태어미 및 나머지 2종의 중국어역 성경에 보이는 양태동사, 및 KJV와 히브리어 원서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고에서는 이하와 같은 면을 발견하게 되었다. 중국어 기준으로 ‘개연성’과 ‘당위양태’ 중의 ‘지시 & 결의’란 특성을 중심으로 지녔던 『신구약전서』의 ‘宜’와 대응된 『시편촬요』의 양태어미는 ‘명령’과 ‘청유’를 나타낸 양태어미와 대응되었다. 또한 그 중에서 『신구약전서』의 ‘宜’와 가장 많은 대응을 보인 양태어미는 ‘-ㄹ 지어다’로서, 이종(異種) 중국어역 성경에서 대응된 어휘와 비교하였을 때에도, ‘-ㄹ 지어다’와 가장 많이 대응되는 중국어의 양태동사는 『신구약전서』의 ‘宜’였다. 마지막으로는 『시편촬요』의 양태어미와 중국어역 성경의 ‘양태’를 체계적으로 대조하려면, ‘-ㄹ 지어다’나 ‘-쇼셔’ 등과 대응되는 중국어역 성경의 어휘를 고찰해야 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의무 양태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이동혁 우리말학회 2017 우리말연구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stablish the concept of deontic modality by analyzing critically the existing concept of deontic modality and to show that the concept of existing deontic modality is function of speech act, and then to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modified deontic modality and speech act. Modality is a linguistic category referring to the factual status of a state of affairs, and modality is understood as subjectively qualifying the proposition to the possibility or necessity. ‘Affecting the act’ is known as the core concept of the deontic modality, but there are some problems. First of all, it is not consistent with the traditional concept of modality. Next, ‘-eoya hada’ and ‘-eodo doida’ combined with an adjective or a copular are not regarded as deontic modalit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Lyons (1977) was used as a clue to define the deontic modality as follows. The deontic modality is a language category that indicates the speaker's judgment of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condition. ‘Affecting the act’ is not deontic modality but an aspect of speech act. Deontic modality means ‘the hearer does not know the result of what (s)he did after (s)he did, but the speaker knows the result’ in the scenario (i). The deontic modality is related to the assertive act as well as to the directive act. 명제나 사태의 사실성 위상을 지시하기 위한 언어 범주가 양태다. 미결정 상태의 명제는 현실의 시·공간을 배경으로 하여 사태를 서술할 수 없어서 화자가 자신의 태도나 판단으로 그 사태를 가능세계나 정신공간 속에서 한정하게 되는데, 이 일을 양태가 담당한다. 그리고 양태가 표현할 수 있는 명제의 양상은 가능성과 필연성으로 한정된다. ‘행위 부과’와 ‘행위에 영향을 미침’은 가장 잘 알려진 의무 양태의 핵심 개념이었으나 몇 가지 문제를 갖는다. 우선 명제에 대한 화자의 태도라는 전통적인 양태 개념과 정합되지 않는다. 또 의무 양태가 한정하는 명제 내용을 ‘행위’로 특정하여서 형용사나 계사와 결합한 ‘-어야 하다’, ‘-어도 되다’의 문장을 의무 양태의 문장으로 볼 수 없게 된다. 이에 의무 양태와 미래성 사이에 내적인 연관성이 존재한다는 Lyons(1977)의 주장을 실마리 삼아 ‘De가 Fe를 실현시키기 위한 조건이 될 수 있는지, 만약 된다면 조건의 강도는 얼마나 되는지, 즉 가능성과 필연성에 대한 화자의 판단’을 의무 양태의 개념이라고 보았다. ‘행위 부과’와 ‘행위에 영향을 미침’은 의무 양태가 아니라 화행의 한 양상이다. Nuyts(2008)에 따르면, 의무 양태와 화행은 개념 체계와 행위 체계의 관계에 있다. 특히 의무 양태의 의미는 시나리오의 (i) 이전 부문의 내용에 포함되는데, ‘청자가 어떤 행동 A를 한 뒤의 결과를 청자는 모르지만 화자는 안다’가 의무 양태의 의미와 통한다. 그리고 ‘행위 부과’와 ‘행위에 영향을 미침’은 지시 화행으로 환원해 볼 수 있겠으나 이는 ‘-어야 하다’와 ‘-어도 되다’의 일부 화행일 뿐이다. 형용사와 계사가 결합한 ‘-어야 하다’와 ‘-어도 되다’는 지시 화행을 수행할 수 없고 대신 단언 화행을 수행한다.

      • KCI등재후보

        청유 양태 표현의 문법 제약

        한정한,이연주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19 No.-

        Among speech acts through the languages, there are statement, affirmation, report, promise, question, threat, imperative, suggestive imperative, request, suggestion, appreciation, forgive, welcome, congratulation, discharge, expulsion, naming, pronouncement etc. In Korean, these speech acts are mainly performing by concrete lexical items, but often time by some grammatical categories like modal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suggestive imperative actualize itself by modality in Korean. Modalities are used by the speaker in order to express, parenthetically, his opinion or attitude towards the proposition that the sentence expresses or the situation that the proposition describes (Lyons 1977:452). In this paper, we insist on 3-fold modality types, that is, modalization, modulation, sentence-types. In modalization, the commodity being exchanged is information, the modality relates to how valid the information is being presented as in terms of probability or usuality. And in modulation, the commodity is goods-and-services, the modality relates to how confident the speaker can appear to be in the eventual success of the exchange; this concerns the degree of obligation and the degree of willingness or inclination of the speaker to fulfill the offer. On this other hand, considering language like Korean, modality can be sub-divided into sentence-types which concerns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toward the listener or the speaker himself related into the proposition. In addition, unlike Indo-European languages, the sentence-types in Korean are not systemically expressed through verbal conjugations, which lead us into the conclusion that the sentence-types in Korean are not one of mood, but of modality. In this regard, we, in this paper, examine 5 suggestive imperative sentence-final endings through 10 different grammatical experiments, and show how they are different in actual sentence realization. 언어를 통해서 의사를 전달하는 담화 행위(speech act)에는 진술, 단언, 보고, 약속, 질문, 협박, 명령, 청유, 요청, 제안, 감사, 용서, 환영, 축하, 해고, 제명, 명명, 선고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이 있다. 국어에서 이러한 담화 행위들은 대부분 구체적인 어휘로 실현되지만 양태와 같은 문법 범주에 의해서 실현되기도 한다. 본고의 목적은 앞의 여러 담화 행위 중 ‘청유(請誘, suggestive imperative)’ 담화가 국어 양태 어미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여기서 양태란 “명제에 대한 화자의 심리적 태도(Lyons 1977:452)”를 말하는 것으로, 본고에서는 양태를 인식양태, 행위양태 그리고 문장유형으로 나누는 3붙 체계를 주장한다. 여기서 인식 양태는 ‘정보 대상’으로서의 명제를 대상으로 하는 양태이며, 행위 양태는 ‘행위 대상’으로서의 명제를 대상으로 하는 양태를 말한다. 그런데 행위 양태는 의무의 정도(degree of obligation)와 의지의 정도(degree of willingness)에 따라서 의무 양태와 의지 양태로 나눌 수도 있고(Thompson 2004:67), 화/청자에 대해 가지는 심리적 태도에 따라서도 대타 조건 양태와 재귀 조건 양태로 분류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전자의 양태만을 행위 양태라고 하고, 후자는 문장 유형으로 분리하여 명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5가지 ‘-아3/-어2/-여2’, ‘-을까’, ‘-읍시다’, ‘-자3’, ‘-지2’ 청유형 종결어미에 대하여 10가지의 통사적 실험을 시도하여, 각각의 청유형들이 실제 문장에서 어떠한 차이를 가지는지를 상세히 밝혔다.

      • KCI등재

        The modality of epistemic and non-epistemic possibility in Korean: -(u)l swu iss and -(u)l ci molu

        ( M. Nam Kil Kim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6 언어사실과 관점 Vol.37 No.-

        본 논문의 목적은 인식 양태와 비인식 양태인 동적 양태를 나타내는 -(을)지 모르다와 -(을)수 있다를 비교 연구하는것이다. 이 두 한국어 양태를 분석함에 있어 영어의 may와 can의 쓰임을 참조하였다. 논문의 첫 부분에서는 -(을)수 있다가 세개의 중심되는 의미즉, 상황적(또는 중성적) 가능성, 능력, 그리고 허락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이세 의미의 차이에 따라 시간적 참조, 상,및 사실성의 의미론적 특징이 각각 다르게 나타남을 밝혔다. 논문의 둘째 부분에서는 -(을)수 있다 와 -(을)지 모르다가 둘 다 인식 양태를 나타내지만 어떤 면에서 공통점이 있으면 또 어떤 면에서 차이점이 있는지를 밝혔다. 공통점은 7가지의 인데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양태형이 상태동사와 공기함으로써 인식 양태가 분명히 나타난다. 둘째, 과거형은 두 양태형과 같이 일어날 수 없다. 셋째, 두 양태형은 부정될 수 없다. 넷째: 양태형에 일어나는 시제는 현재임으로 현재만을 나타낸다. 다섯째, 두 양태형은 종속절에서 헤쥐(hedge)로 기능한다. 여섯째, 두 양태형은 ``혹시``, ``어쩌면`` 같은 양태 부사와 공기함으로써 인식 가능성의 의미를 강화한다. 일곱째, 두 양태형은 의문문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 두 인식양태형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첫째, 화자에 의해 나타내는 자신감의 강도가 각각 다르다. 둘째, 어떤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할 때 그 가능성이 50/50라고 한다면 -(을)수있다가-(을)지 모르다 보다 문장으로서의 수용성이 더 높다. 셋째, -(을)수 있다는 화자의 직접 경험을 나타내는 반면 -(을)지 모르다는 화자의 간접 경험을 나타낸다. 넷째, -(을)지 모르다를 포함한 문장의 주어 자리에 일어나는 명사적 표현(nominal expression)은 특정적(specific)인 것으로 해석되지만 -(을)수 있다를 포함한 문장의 주어 자리의 명사형 표현은 비특정적 또는 총징적(generic)으로 해석된다. 끝으로 두 양태형이 헤쥐로 사용될때 -(을)지 모르다는 주로양보절에서 그리고 주절 앞에서 일어나는 반면, -(을)수 있다는 주절 뒷절에서 일어난다.

      • KCI등재

        체계적인, 너무나 체계적인

        임동훈(Lim, Dong-Hoon)(林東勳) 형태론 2011 형태론 Vol.13 No.1

        박재연(2006)은 양태 어미가 양태의 어떤 하위 영역을 가리키고 다른 양태 어미와 어떤 대립 관계에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통해 국어 양태 어미를 체계적으로 기술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 논의는 지나친 체계성을 추구한 나머지 이론 구성과 적용 면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한국어 양태 어미 기술에서 서법이란 용어가 불필요하다고 하였으나 이는 인구어적 편견이 작용한 결과이며, 서법 범주는 동사의 굴절이라는 형식상의 기준보다 평서적인 것이나 단언적인 것과 대립하는 의미상의기준, 그리고 필수성과 상호 배타성이라는 분포상의 기준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 합리적이다. 둘째, 양태를 정의할 때 소위 ‘화자의 주관적 한정’이 중요한 요소이긴 하나 이를 수행성으로 등치시키는 것은 양태 어미들이 종속절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을 설명하기 어렵다. 또 동적 양태 대신 주어 지향적 양태의 개념을 채택하는 것도개체 내적인 속성․조건과 화자가 부여하지 않는 개체 외적인 속성․조건을 모두 포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셋째, 행위 양태는 서술어로 동사가 아닌 계사나 형용사도 쓰일 수 있어 행위의 성격이 불분명하고, 또 문장 유형과 행위 양태를 가리는 기준이 자의적이다. 넷째, 인식 양태의 하위 영역으로 정보의 확실성에 대한 판단, 정보의 획득 방법, 정보의 내면화 정도, 청자 지식에 대한 화자의 가정이란 4가지를 제시하 였는데, 뒤의 두 가지는 앞의 두 가지와 그 지위가 동일하지 않다. 다섯째, ‘-더-’의인칭 제약을 ‘새로 앎’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았으나 ‘새로 앎’의 의미가 있다고 기술된 ‘-구나’가 인칭 제약이 없는 점을 고려할 때 인칭 제약은 ‘과거 지각’이라는 의미에서 설명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여섯째, ‘-네, -구나’는 지각, 추론과 같은 증거성의 영역과 관련되고 ‘-지’는 기지 가정의 의미를 가진다고 하였으나 ‘- 구나’의 경우에는 증거성의 의미를 찾기 어렵고 ‘-지’는 기지 가정으로 보기 어려운 예가 많고 제안이나 명령에 쓰이므로 타당한 기술이라고 하기 어렵다. J. Park (2006) aimed to systematically describe which subdomain the modal meanings of endings belong to and what kind of opposition they make. However, this book seemed to have some problems with respect to theory and its applications because of excessive systematicity. First, this book claimed that the term ‘mood’ is unnecessary in Korean; however, I think that this opinion results from Indo-European prejudices. In defining the mood category, the criteria of meaning and distribution are more important than the criterion of form such as verbal morphology. Mood as a grammatical category can express the meanings that contrast with declarative and assertive, and it should show the obligatoriness and mutual exclusiveness. Second, although a speaker’s subjective qualification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defining modality, the equation of this component with performativity has some problems. This claim does not explain the phenomenon that modal endings can appear in subordinate clauses. In addition, as the adoption of subject-oriented modality instead of dynamic modality cannot cover both the domains such as participant-internal modality and non-deontic participant-external modality. Third, action modality has two problems. The sentences where action modality is expressed may have adjective and copular predicates; in addi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action modality and sentence type is arbitrary. Four, this book claimed that epistemic modality has four kinds of subdomain such as ⅰ) certainty ⅱ) information source ⅲ) assimilation ⅳ) hearer knowledge. However, the statuses of ⅲ) and ⅳ) are not the same as ⅰ) and ⅱ). Five, this book claimed that the person constraint of the ending ‘-te-’ derives from the new knowledge meaning of ‘-te-’. Nevertheles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ending ‘-kwuna-’ has no person constraint which is claimed to have the new knowledge meaning, it is more reasonable that the person constraint of ‘-te-’ derives from past perception meaning of ‘-te-’. Six, this book claimed that ‘-ney, -kwuna’ is related with the evidentiality domain such as perception, inference, and ‘-ci’ has hearer’s already knowing meaning. However, ‘-kwuna-’ does not have any evidential meaning, and ‘-ci-’ is frequently used in the context where the hearer’s already knowing meaning cannot be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