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淸末 梁啓超의 사상변천

        김택중(Taek joong Kim)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논총 Vol.28 No.-

        양계초 (Linag qi-chao, 1873∼1929) 는 19세기 말 20세기 초 중국의 저명한 사상가, 정치가, 개혁가, 교육가, 문학가, 역사가이다. 본문에서는 주로 1895년부터 1911년까지 양계초의 사상 활동 변천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본문은 머리말 맺음말을 제외하고 크게 3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1장에서는 1895년부터 1898년까지 양계초의 개혁사상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 시기 양계초는 중국의 생존과 흥망에 대해 우려하였다. 그는 계몽활동을 통해 국민의식을 제고하였다. 또한 근대학교 설립, 과거제도 개혁 등을 통해 사회개혁에 힘썼다. 부국강병 실현을 위해서 종족 간의 평등과 단합을 주장하였다. 제2장에서는 1898년부터 1903년 초기까지 양계초의 혁명사상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 시기 양계초는 1898년 정변실패 후 일본으로 망명한 초기로, 주로 혁명을 통해 공화정부 건립을 주장했다. 그는 혁명 실천을 위해 중국인의 노예근성을 타파하고 국가사상을 지닐 것을 강조했다. 그리고 그는 노예근성을 타파하고 국가사상을 갖추기 위해서 기존의 질서와 제도를 모두 파괴할 것을 주장했다. 제3장에서는 1903년 후기부터 1911년까지 양계초의 군주입헌사상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 시기 양계초의 사상은 크게 변화하였다. 그 이유는 공화정에 대한 새로운 시각, 혁명이 지니는 위험성에 대한 자각, 혁명당과의 갈등, 스승 강유위의 간섭 등 때문이다. 이 시기 그는 중국내 각 민족을 연합하는 대민족주의를 주장했다. 또 평화적이고 안정적인 군주입헌을 통해 국가를 통일시켜 열강의 침략에 대항할 것을 주장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양계초의 사상은 짧은 기간에 여러 차례 변화하였다. 그리고 이들 사상은 서로 간 연계성이 박약하다. 어떤 부분은 서로 상충되고 모순되기도 한다. 이는 양계초 사상의 단점이다. 그러나 양계초의 사상은 시대적 상황과 요구에 부합한 점이 많다. 한편 양계초 사상에 시종일관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국민의식 계몽사상이다. 그는 국민의식 제고 연후에 사회개혁과 정치혁명을 달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그의 사상 바탕에는 늘 국민의식 계몽사상이 내재하고 있다. Liang qi-chao is an eminent Chinese theorist, politician, reformist, scholar, literary writer and historian, who lived through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This study focuses on the transition of his idea during the specific period from 1895 to 1911. Apart from the introduction and the conclusion, this article is composed of three sections. In the first, focusing on the period from 1855 to 1898, I deal with Liang qi-chao's concept of reform in great detail. During this time, he worried about a beleaguered Qing dynasty and wrestles with the way of how to reform his mother nation. He tried to enlighten the Chinese people in order to raise the national consciousness. Moreover, he set up modern schools and suggested a change of the dated civil service examination. He also emphasized a unity and equality among ethnic minority groups to achieve "wealth and power" for China. In the second, I focus on Liang qi-chao' s revolutionary thought expressed during the period from 1898 to the early 1903. In 1898, he fled to Japan after he failed in his ambitious social reformation. This is the early period of his exile. During this time, he strongly insisted on building a new republican government through a revolution. He emphasized the notion of nationalism and gave a voice to stamp out the corrosive servile mind prevailed in Chinese society. Moreover, he suggested rooting out all the traditional rules and institutions in China. The last section mainly discusses Liang qi-chao's idea of constitutional monarchy, which was establish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late 1903 to the 1911. During this time, his idea changed drastically. His bitter disappointment over the new republican government, his awareness of increasing risk of the revolution, his constant conflicts with Progressive Party members, and the constant interference of his mentor Kang Y ouwei are main reasons of the abrupt transition of his idea. He hoped to unify the ethnic groups scattered in China. Moreover, he gave a voice to build a strong and stable constitutional monarchy to fight against the W estem power. Overall, Liang qi-chao' s ideas had changed over a short period of time. Little connection is found among hsis ideas during different periods. Indeed, some thoughts are against the others. This is definitely one of his weaknesses. However, his idea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ituations in the late Qing dynasty and in the early republican China. There is one thing that had never changed in his thought, which is his enlightenment philosophy. He believed that a social reform and political revolution could be achieved by the hands of enlightened people. This philosophy underlies his whole idea.

      • KCI등재

        중국근대유학의 이상사회론 - 『대동서(大同書)』와 『신중국미래기(新中國未來記)』를 중심으로 -

        김봉곤(Kim, Bong-gon) 영남퇴계학연구원 2021 퇴계학논집 Vol.- No.28

        이글은 강유위의 󰡔대동서󰡕와 양계초의 󰡔신중국미래기󰡕를 통해 근대중국유학의 변용과 이상사회 추구론을 분석한 글이다. 20세기 초 중국유학의 전반적인 퇴조 하에 강유위는 󰡔대동서󰡕를 통해 대동사상과 이상정치론을 제시하였고, 양계초는 󰡔신중국미래기󰡕를 통해 중국의 미래를 전망하였다. 이 때문에 󰡔대동서󰡕와 󰡔신중국미래기󰡕에 관해서 주로 강유위나 양계초의 정치, 사상, 문학적 측면 등의 고찰이 이루어졌지만, 전통유학과의 상관관계, 특히 유교적 경세론이 집약되어 있는 󰡔대학(大學)󰡕과의 관련성을 충분히 검토하지 못한 한계를 갖는다. 이에 󰡔대학󰡕의 삼강령, 팔조목과의 비교검토를 통해 근대중국에 있어서 개인의 덕목과 경세론이 어떻게 변용되어갔는가를 검토하였다. 강유위와 양계초는 남송 대 주희에 의해서 제시된 󰡔대학(大學)󰡕의 ‘삼강령(三綱領)’과 ‘팔조목(八條目)’에 대해서 각각 서로 다른 견해를 제시하였다. 강유위는 주희의 견해를 수용하여 󰡔대학󰡕의 삼강령을 ‘명명덕(明明德)’, 신민(新民) ‘지어지선(至於至善)’으로 파악하고, 평천하의 기본을 ‘혈구지도(絜矩之道)’라고 하여 󰡔대동서󰡕의 ‘불인지심(不忍之心)’과 연결지었다. 다만, 팔조목 중 ‘성의’를 수신의 기본으로 한 것은 양명학을 수용한 것이다. 이에 비해 양계초는 󰡔신민설󰡕에서 ‘명덕(明德)’에 대해 시민들이 공유해야 할 덕성, 즉 민지民智), 민덕(民德), 민권(民權) 등으로 해석하였다. ‘신민(新民)’에 대해서도 외부로부터 새로운 지식을 배워 국민의 기질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양계초는 󰡔대학󰡕의 명덕에 대해서 민주 공화국 체제에 필요한 시민적 덕성이나 시민적 권리로 이해하였고, 신민에 대해서도 개인이나 국가가 자유와 평등, 대등한 권리를 갖을 수 있도록 기질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해석한 것이다. 강유위가 제시한 이러한 󰡔대동서󰡕의 이상사회는 거란세, 승평세의 소강을 거쳐 이루어지는 태평세로서, 전 인류를 대동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 강유위는 이러한 이상사회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가족과 사회, 국가의 경계를 허물어뜨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고, 거란세, 승평세, 태평세를 거쳐 궁극적으로는 국가 칭호와 국경을 없이 통합된 공정부(公政府) 수립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강유위의 견해와는 달리 20세기 초 상황은 현실적으로 약육강식의 제국주의와 민족주의로 분열되어 있어서 도저히 공정부가 이루어질 수 없는 상황이었다. 양계초의 󰡔신중국미래기󰡕에서는 중국이 제국주의 열강에 의해 분할되고, 중국인의 자치능력이 부족하여 노예상태에 빠져 있다고 진단하였다. 그러나 혁명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고 보았다. 혁명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피를 흘리고, 다양한 의견으로 인해 중국이 사분오열될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에 양계초는 자유, 평등의 민권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자립정신으로 국민들을 교육시켜야 하며, 교육사업이 활발해지면 대외사상이 발달하여 외국인이 침입이 없고, 전제정치가 스스로 파괴된다고 보았다. 즉 민덕, 민지, 민력의 수준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키면 혁명이 없어도 백성들이 자유와 평등의 사회를 달성할 수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오늘날 중국은 강유위의 󰡔대동서󰡕를 중시하고 하나의 거대한 중국제국을 이룩하려고 하고 있다. 이에 비해 양계초의 󰡔신중국미래기󰡕에서는 국가간의 평등한 관계를 중시하고, 국민들의 자유 평등관계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무력과 억압을 통해 강대국 실현을 꾀하고 있는 현대중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일정부분 보완책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transformation and the Ideal Society Theory of the Chinese Modern Confucianism through 󰡔The Book of the Great Unity󰡕by Kang You-wei and 󰡔The record of new Chinese future(新中國未來記)󰡕 by Liang QiChao. Kang You-wei suggested One world(Datong) thought and the ideal politics in󰡔The Book of the Great Unity󰡕under the overall decline of Chinese Confucianism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Liang QiChao predicted the future of China in󰡔The record of new Chinese future󰡕. There have been studies on politics, ideology and literature of Kang You-wei and Liang QiChao about 󰡔The Book of the Great Unity󰡕 and 󰡔The record of new Chinese future󰡕, but those studies did not cover the correlation with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especially the relevance with 󰡔The Great Learning(大學)󰡕 that integrates Confucian idea of governance. Therefore, this study reviews how individual virtues and the idea of governance were transformed in modern China by comparing with Three Doctrines and Eight Categories of 󰡔The Great Learning󰡕. Kang You-wei and Liang QiChao suggested different opinions about Three Doctrines and Eight Categories of 󰡔The Great Learning󰡕 presented by Zhu Xi in Southern Sòng Dynasty. Kang You-wei accepted the opinion of Zhu Xi and comprehended Three Doctrines as ’Myungmyungduk(明明德)’, ‘Shinmin(新民)‘ and ’Jieojiseon(至於至善)‘, and considered ’the Principle of Huyl-Gu’ as the basis of peaceful world, relating ‘Burinjisim(不忍之心)’ of 󰡔The Book of the Great Unity󰡕. However, he accepted Yangmingism as he considered ‘Seongui’ as the basis of Sushin among Eight Categories. On the other hand, Liang QiChao interpreted ‘Myeongdeok(明德)‘ as the virtue citizens should share, or ’wisdom of the people(民智)’, ‘ethics of the people(民德)’ and ‘civil rights(民權)’. Regarding ‘Shinmin(新民)’, he understood it as the one that changes the disposition of citizens by learning new external knowledge for the change of disposition. Liang QiChao argued in 󰡔The Great Learning󰡕 that public morals should be cultivated rather than individual virtues, and argued freedom, equality and equal rights about individuals and nation. The ideal society of 󰡔The Book of the Great Unity󰡕 by Kang You-wei is the one that makes all human beings reach the One world(Datong) as Taepyeongse that covers lull of Georanse and Seungpyeongse. Kang You-wei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demolish the boundary of families, society and nations in order to accomplish the ideal society, and argued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public government with no nation name or border eventually after Georanse, Seungpyeongse and Taepyeongse. However, unlike the opinion of Kang You-wei, the situation of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as separated into imperialism of the law of the jungle and nationalism in reality, so the establishment of public government was impossible. In 󰡔The record of new Chinese future󰡕 by Liang QiChao, China was divided by Powers of imperialism, and the ability of Chinese people’s autonomy was not sufficient, so the country was in the slave situation. However, Liang QiChao thought a revolution shouldn’t occur because many people would shed too much blood and China would be in utter disruption. Therefore, Liang QiChao claimed that it is important to educate citizens with independent mentality to realize the civil rights of freedom and equality, and if education business is vitalized, foreign thought is developed, which leads to prevention of foreign intrusion and to destruction of autocracy by itself. In other words, he thought if the level of ethics of the people, wisdom of the people and civil power is overall improved, citizens could reach the society of freedom and equality without revolution

      • KCI등재

        中國ㆍ日本의 주요 근대소설 이론의 특징 연구

        이등연,김순전 한국중국소설학회 2003 中國小說論叢 Vol.18 No.-

        本文的主要論點在於: 通過分析20世紀前後處於歷史轉換期的中國和日本的主要小說論―梁啓超、 黃人、 坪內逍遙、 二葉亭四迷等四人理論的特徵, 來闡明繼承傳統和接受西歐理論上的矛盾、 選擇問題. 日本坪內逍遙、 二葉亭四迷兩人將“學問、 科學的眞理”擴展到文藝, 通過確立“藝術的眞理”這一槪念, 來提高文學藝術之地位; 此立論的結果將文學(小說)歸爲了獨立的範疇. 梁啓超作爲中國晩淸時期功利主義小說觀的代表, 從他的『變法通議ㆍ論幼學第五ㆍ說部書』、 「蒙學報·演義報合敍」、 「譯印政治小說序」、 「小說與群治之關係」諸文章中可見, 因戊戌變法失敗而東渡日本以後, 其論旨越來越强烈. 「小說與群治之關係」的論調與以前文章相比, 顯得相當地激進, 他主張: “欲新一國之民, 不可不先新一國之小說.”, “小說有不可思議之力支配人道故.”, “小說爲文學之最上乘也.” 黃人則雖亦注重小說與社會關係, 然而却是站在客觀的立場上, 指出“小說者, 文學之傾於美的方面之一種也”, 有一定的批評史性的意義. 在日本, 明治維新後, 經過飜譯文學興盛期, 至1882年政治小說論擡頭, 與此相對應出現了坪內逍遙的『小說神隨』、 二葉亭四迷的『小說總論』. 然而在此十年後, 梁啓超却從未言及此兩篇文章, 倒重視其以前之政治小說, 其原因則在於: 作爲政治思想家的梁啓超, 他論小說之根本需要是爲政治改良、 社會變革服務的, 故其不論及『小說神隨』和『小說總論』, 而重視其以前階段的政治小說論. 綜觀中日四位理論家之論議, 可見在繼承傳統、 接受新理論上之種種錯綜線路, 存在著互相批判、 補充的普遍現象, 這無疑是此歷史轉換期的局限及成果, 也是該時期的主要特徵.

      • KCI등재

        박은식의 양계초 수용에 관한 연구 -박은식의 유교구신(儒敎求新)과 근대성을 중심으로-

        김현우 ( Hyon Woo Kim ) 한림과학원 2013 개념과 소통 Vol.0 No.11

        동아시아 전통 유교의 근대성 또는 근대화 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비교적 많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와 논의는 중국의 전통 유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중국만큼 유교적 전통이 깊은 한국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박은식의 유교관과 그의 근대 수용의 창인 양계초의 유교사상을 비교하여 동아시아 전통 유교의 근대화라는 연구 영역 중 한국 유교의 근대적 선택을 보고자 하였다. 박은식은 일본의 한반도 점령이 구체화되던 구한말 당시 근대적 국가 형성을 위해 한국의 전통 유교와 근대성의 관계를 재설정한 유교 지식인이자 실천적 사상가였다. 그는 1905년 을사늑약 이후 한국에서 발생한 자강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그러던 중 1907년 『서우(西友)』에 양계초의 「愛國論(애국론)」을 번역·기고하였다. 이 글은 1899년 장지연(張志淵)이 『황성신문(皇城新聞)』에 약 3분의 1 정도만 번역·기고한 것과는 달리 원본을 거의 대부분을 번역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 중에도 ``중국이 과거 동아시아 지역에서 유일무이한 국가’라는 몇 문장이 생략되었다. 그가 이 부분을 생략한 이유는 기본적으로 역사적 사실과 다르기 때문이지만, 동시에 이 지문들이 당시 ‘화이론(華夷論)’, ‘도통론(道通論)’에 근거하여 근대적 국가로의 이행을 거부하는 보수적 유교 지식인의 사고, 즉 중화주의와 유사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중화주의는 일종의 사대주의로 당시 일본의 보호국체제에서 벗어나 자주적 국가 수립을 요구하는 박은식, 장지연, 김원극(金源極) 등 자강주의자들에게는 부정적인 사고였다. 그러므로 이 번역문 속 의도적으로 생략된 지문은 그의 대한정신과 반중화주의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자강론이 1908년 이후 한계에 부딪히면서 박은식은 유교의 종교화를 추진하게 된다. 박헌용(朴憲用)에 의하면, 이 종교화는 일종의 대중화라 할 수 있다. 그는 「유교구신론(儒敎求新論)」에서, 사변화를 통해 지적 우월과 이를 확장하여 계급 우월을 강조하는 전통 유교계의 보수적 논리를 반박하면서 일반 국민정신에 부합하는 간결성, 실천성 그리고 구세정신 등을 통한 유교 개신을 요구하였다. 나아가 이 유교 개혁은 자강론과 같이 궁극적으로 일반 국민의 자기 정체성과 민권 의식을 향상시켜 조선이 보호국체제에서 벗어나 근대적 자립 국가로 형성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한편 이 논문은 양계초의 「論支那宗敎改革(논지나종교개혁)」과 같이 유교 개혁을 요구했다는 점에서 그 출발점이 같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전자가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했다는 것과는 달리 후자는 당시 청조의 사회 지도층인 향신층을 위한 개혁이었다는 점에 가장 큰 차이가 있다. 이것은 박은식이 양계초와 같이 유교 전통을 지니고 있었지만, 그 근대성의 방향에서 차이가 나고 있음을 보여 주는 대목이라 할 것이다. 이런 차이는 사회주의 인식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박은식은 1925년이 독립운동을 지속시킬 한 방편으로 사회주의를 평가했다. 그리고 식민지 한국 사회에서 독립운동의 지속을 위해 사회주의의 구세주의와 철저한 실천정신을 본 받아야 한다고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한편 양계초는 『先秦政治思想史(선진정치사상사)』(1922)에서 사회주의를 묵가로 보던 이전 관점을 바꾸어 유가로 재해석하였다. 그리고 그는 중국에서 한대(漢代) 이후 제자백가가 사라지고 오직 유교가 국가 통치의 사상체제로 발전한 것과 같이, 공화주의와 국가주의 즉 당시 사회진화론적 세계 질서가 사라지고 사회주의 즉 유교가 세계 신사조가 될 것이라 추론했다. 이처럼 박은식과 양계초는 모두 유교적 배경하에 성장했으나, 유교와 근대에 대한 그들의 현실 인식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왜냐하면 그들이 전수받은 유교와 당시 중국과 한국의 정치, 사회 상황들이 매우 달랐기 때문이다. 박은식의 유교는 중화 전통을 중시하는 양계초와는 달리, 한국의 정체성을 중시하는 자강주의,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개신유교, 강요된 평화보다는 자주 독립을 향한 철저한 실천적 독립 투쟁 등으로 발전하였다. 현재도 전통 유교와 근대 간의 소통, 공존 및 융합, 발전은 완성된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회자되는 문제이다. 그런 점에서 약 1세기 전 박은식의 선택은 우리에게 전통과 현대가 ‘어떤 형태로 양립, 발전할 수 있는가?’ 하는 물음에 좋은 시사점을 준다고 할 것이다. Most of the published discussions on the interaction between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modern values in East Asia are concerned with Chinese Confucianism. But Korea has just as much Confucian history as China, and this analysis will try to shed some light on the interaction between Korean Confucianism and modernity by comparing Pak Eun Sik (朴殷植), a Korean Confucian scholar and independence activist in the early 20th century, with Liang Qi Chao (梁啓超), a famous Chinese thinker of that era whose ideas derived from Confucianism and who represented Pak`s window on the Western world. At the end of the Joseon era, just before it was colonized by Japan, Pak tried to renovate Korean Confucianism to help develop a modern nation. He was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Jagang Movement (自强運動), the name of which implies two ideas:, one, from the “ceaseless endeavors” (自强不息) of Zouyi(周易), means “strenuous efforts”; and the other implies getting strong by oneself, meaning a spirit of independence. In 1907 Pak also translated Liang`s Paper on Patriotism (愛國論), which had been published in the magazine West Friend (西友). About one third of this work had been translated before, in 1899 by Jang Ji Yeon (張志淵), but Pak translated most of Liang`s original, omitting only a few sentences which described China as “the only nation in East Asia.” Actually Liang was referring to China`s growing weakness, with the Chinese people being uninterested in competing or going to war against other nations, since as “the only nation” they need not be patriotic. Pak thought that these ideas were fundamentally wrong, and that furthermore they encouraged unwarranted cultural subservience toward China (中華主義) among conservative Confucian scholars. Many in the Jagang Movement, including Jang Ji Yeon, Kim Won Geug (金源極) and Pak himself, were critical of the way in which such conservative scholars viewed the nation, seeing it as a form of sycophancy toward China which did nothing to help Joseon escape from its humiliating position as a Japanese protectorate. Pak`s deliberate omission of these ideas from his translation therefore shows his support for an autonomous Joseon identity, independent of this kind of servile Confucianism When the Jagang Movement reached its zenith, in 1908, he published a paper seeking to popularize a reformation of Confucianism. In his Opinion on the Reformation of Confucianism (儒敎求新論), he puts forward a modern style of thought (and religion) in a concise and practical form offering social and moral guidance to the general public; contrasting it with the conservative Confucianism which he criticized for its emphasis on intellectual superiority which allowed an educated elite to dominate the other classes of society. The ultimate aim of his reformation is to establish Joseon as a modern nation-state, independent of Japanese control, and to promote a national sense of identity and the rights of the Korean people. In fact his paper has the same purpose as Liang`s Opinion on the Reformation of Religion in China (論支那宗敎改革), 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 most important is that Pak was writing mainly for the public, whereas Liang targeted the Xiangshen (鄕紳), the leading classes of China, who had historically upheld traditional Confucianism. Thus both authors were seeking to modernize the same body of Confucian thought, but they held different views on how this could be done. There is also a distinction in their attitudes toward socialism. Pak took a positive view, comparing socialism with the Mo School (墨家) of ancient China in an article in the Dong-A Daily News in 1925:Pursue the Truth of Learning to Follow Justice (학의 진상은 의를 쫓아 구하라). He exhorted Koreans to keep striving for independence in defiance of Japanese coercion, arguing that the Mo School and socialism both represented a struggle for the spirit of salvation. Liang, on the other hand, took a very different view of socialism. In 1922, in his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before Chin (先秦政治思想史), he asserts that after the regimes based on republicanism and nationalism, Confucianism should become a new world current, like socialism, replacing all other national systems, just as Confucianism had previously replaced “all philosophers and scholars” (諸子百家), including the Mo School and the School of Law (法家) in Han dynasty China. Pak and Liang were contemporaries working in a context of Confucianism, but they had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modernity. In fac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in the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of their countries, and also in the character of the Confucianism which prevailed there. Pak`s slogans were “getting strong by oneself” (自强) which promoted a unique Korean identity, the “reformation of Confucianism” (儒敎求新) which was aimed at the general public, and the “struggle for independence” (獨立鬪爭) through which the ordinary people could find peace for themselves via his concept of Confucianism. This was all quite distinct from Liang`s ideas, with their emphasis upon Chinese traditional thought. Even today, there are ongoing debat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ways of interpreting the world, chiefly regarding communication, coexistence, and progress. Especially in regions outside the Western sphere, such questions continue to challenge society, and have yet to be fully resolved. Thus, the choices which Pak made about 100 years ago still provide a good foundation for discussions about how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worldviews can coexist to allow progress.

      • KCI등재

        梁啓超의 국민국가론과 民權ㆍ民族관념(1896-1902)

        曺秉漢(Cho Byong-Ha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서강인문논총 Vol.22 No.-

        중국에 서구 근대문명 도입의 새벽을 연 淸末 초기 啓蒙사상가로 청일전쟁후 變法운동 시기의 嚴復과 변법 실패후 일본 망명지에서 20세기 초두에 계몽활동을 시작한 梁啓超를 들 수 있다. 대개 중국의 계몽운동을 대표하는 것으로 알려진 1910년대 후반 중화민국 초기의 5ㆍ4新文化운동은 필자의 입장에서는 좀 더 철저한 후기 계몽운동이라 할 수 있다. 본고의 범위는 변법운동 시기(1895~1898)에 『時務報』의 「變法通議」(l896) 발표로 시작해 淸朝 ‘政體개혁’을 모색한 양계초의 사상 전개, 1898년 말 일본 망명후 계몽활동 시기에 『淸議報』의 「自由書」(l899) 등에서 시작해 『新民叢報』의 「新民說」(1902)에 이르러 대체로 완결된 체계를 갖추게 된 근대 ‘국민국가론’의 형성과정과 성격, 이론적 구조를 추적하는 것이다. 변법 시기의 양계초는 康有爲 중심의 전투적 변법파 핵심집단의 이론가로서, 서구에서 시작된 세계 대세의 발전에 따라 정체 개혁의 이념적, 현실적 불가피성을 설득함으로써 일본과의 전쟁에서 파산한 洋務개혁의 수준을 넘어 변법파 핵심집단의 이데올로기와 정책을 공론화하는 역할에서 탁월한 영향력을 발휘했다. 이 시기 양계초의 개혁사상은 스승 강유위의 今文經學[『春秋』公羊學]에 기초한 孔敎[改新유교]와 유토피아 大同세계 및 3世進化說로 구성된 준종교적 이상주의 개혁이념을 기초로 발전된 것이었다. 그는 근대적 학교 개혁을 통한 국민교육과 法治적 官制 개혁, 지방의회 중심의 지방자치를 구국의 개혁방안으로 제시했다. 君權을 넘어선 개혁의 사회 적 주체로서 紳士層의 단체결합[合群]과 그들의 紳權으로 대표되는 民權 관념, 民智의 증진을 통한 新民의 조성이라는 관념을 제기한 적이 있다. 변법 시기에 배태된 이 같은 관념이 일본 망명후 수년 간 더욱 철저한 서구 근대문명의 도입을 추구하는 계봉사상으로 전환하는 데는 1900년 義和團 동란을 계기로 淸朝 정부의 괴뢰화 및 세계열강의 공동관리하에 중국 半식민지화의 완성, 메이지[明治] 일본의 학계를 통한 신문명의 충격이라는 역사적 배경이 있었다. 일본을 통해 섭취한 서구의 신학문ㆍ신사상을 소개할 뿐 아니라 民智로부터 확장해 자유ㆍ민권과 아울러 民德 영역에서 ‘公德’ 내지 국민도덕의 형성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이 같은 사상적 전변은 양계초가 엄복의 계몽사상과 접근하면서 더욱 포괄적, 정치적인 계몽이론을 체계화하는 과정으로서, 강유위의 공교주의, 공양학적 대동 세계주의와 도식적 역사 단계설을 포기하고 이상주의ㆍ세계주의로부터 현실적 민족주의로 전환하는 것이기도 했다. 사상ㆍ언론의 자유를 중심으로 한 양계초의 자유관은 결국 국내의 정치적 권리[민권]와 대외적 국가주권[국권]이라는 집단적, 정치적 권리로 수렴되었으며, 따라서 개인적 자유와 인권은 더 이상 추구되지 않았다. 인민의 집적이 국가이므로 민권은 국권의 구성요소로서 양자 사이의 대립적 모순관계는 상정되지 않았다. 그것은 민권 신장의 방편이 될 수도 있으나 한편으로 민권이 국권의 종속 변수로 국민국가 형성을 위해 동원되는 전략적 가치로만 인식되기 쉬웠다. 더욱이 君權ㆍ官權의 억제를 통해 확보할 부분적 민권의 전면적 완성으로서 민주 이념은 이상으로서 먼 미래로 보류되었을 뿐이다. 국민국가의 형성에 필수적인 요소는 민권 이외에 공덕, 즉 국민도덕이었다. 민권은 국민과 군주ㆍ관료사이에 각자 권한의 법률적 한정을 통해 성립되므로 법치를 보장하는 立憲制 정체의 확립이 필요하며, 단지 군주의 유무로 구별되는 입헌군주정과 입헌공화정의 차이는 양계초의 생각에 그다지 의미가 없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민권과 공덕ㆍ법치ㆍ지방자치 등에 기초한 양계초의 국민국가론과 민족주의론은 민권과 국권 사이의 균형을 모색하는 계몽주의적 합리성의 측면이 있었다. 민권과 법치를 통한 근대국가 건설이 국민의 지방자치 역량에 의존한다는 주장은 그가 반대한 공화정의 사회적 토대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개인의 자유ㆍ인권 관념이 결여된 국민의 집단적 민권 관념은 국가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의 인민의 집단적 평등권만 중시될 위험성이 있다. 그가 天皇制 관료독재국가인 일본형 입헌군주제를 영국형의 입헌군주제와 마찬가지로 찬양한 것도 그 결함의 표현이다. 국민국가의 주권 평등을 옹호하는 방어적 민족주의를 제시한 양계초가 민족주의에 기초한 서구 제국주의를 민족주의 발전의 필연적 단계로서 ‘민족제국주의’라 규정한 것은 이 시대 사회진화론이나 경쟁적 문명론을 수용한 결과로서 그의 근대 국민국가론 자체의 한계였다. 또한 양계초의 합리적 국민국가론이 전근대적 種族주의와 결합한 사실도 주목된다. 그는 역사란 인종의 발달과 그 경쟁을 서술한 것이고 세계가 진보할수록 종족 이론도 더욱 발달한다고 했다. 동아시아에서 근대 민족주의의 형성은 국민국가론이 전근대적 종족주의와 결합함으로써 가능했던 것이다. We can assign two men, Yen Fu(嚴復) and Liang Qichao(梁啓超) as the famous thinkers of enlightenment beginning to introduce the modern civilization from the West, Yen in the period of reform movement after the Sino-Japanese war and Liang at the outset of 20th century, early days of his exile to Japan. In fact, the New Culture movement of May Fourth era was renowned as the representative of Chinese enlightenment movement. I would like to appoint it as the later enlighten movement, while I named the activities of Yen and Liang as the early enlightenment movement. 'This thesis includes Liang's transformation of intellectual activities from the period of political reform movement(1895-1898), started by publishing the famous essay, the general argument of institutional reform(「變法通議」 1896), to the period of the early enlighten movement (1899-1902), almost accomplished by writing the more famous article, the new citizen(or nation)(「新民說」, 1902). In this, I will trace the formative process, nature and theoretical structure of Liang's theories of the modem nation state in China. Liang Qichao showed his outstanding capacity in the roles of publicizing the ideology and policies of the core reformist group to overcome the current ideas of Yangwu(洋務) reforms, persuading the inevitability of reforming thoroughly the traditional polity according to the general tendency of the world. His reform ideas of the days were developed from K'ang Youwei's(康有爲) ideologies, which were consisted of the reformist Confucian religion(孔敎), utopian great world unity(大同), and three-phase progress of world history, based on the Confucian New Text Commentary(今文經學). Liang proposed the plans to save China, which reform the school system and bureaucratic institutions into modem national education and constitutional government, and suggested to establish the regional self-government and promote the people's intellect(民智) and people's rights(民權), leaded by the provincial Confucian literati class through the new social organizations. These reform plans would lead the Chinese to the new citizen(or nation). Liang's progressive ideas during reformist days was reoriented to develop the enlightenment ideas in order to establish the nation state in early several years of his exile life, under the great impacts of deteriorated situation of semi-colonialized China, reached the climax of crisis before and after the Boxer rebellion(義和團, 1900), and of the introduction of modem civilization through the learned world of Meiji(明治) Japan. He introduced and publicized the Western new learnings and cultures as well as invented the modem concepts of public morals(公德) to form the nation's morals, and searched more deeply the ideas of people's rights, which were linked with the idea of liberty. This conversion of his thoughts made him to approach Yen Fu's standpoint understanding the West more deeply, abandoning his teacher Kang Youwei's renewed Confucian visions united with many Western ideas. In Liang's theories of nation stste, two pivotal concepts, people's rights and public moral were harmonious with state's rights against the imperialistic outer world. His ideas of so-called 'civilized liberty' and personal rights(人權) didn't have an independent role in Chinese historical arena without the setting of citizenship, and were assimilated to the collective people's rights which should be balanced by people's duties. And the people's rights were to be inspired as nationalistic power, not as the original value independent from the nation state, and the democracy was even reserved for far future as an ideal, and need not to be realized at present. people's rights, as well as monarch and officials, were also protected and restricted by the laws, and so Liang laid stress on constitutional polity regardless of whether monarch was in state or not. Accordingly, Republican polity had no prestige more than constitutional monarchy. It disclosed the important defect in Liang's view of democ

      • KCI등재후보

        서양 자본주의의 침투에 대한 중국 근대불교의 대응 -양계초(梁啓超) 사상을 중심으로-

        김제란 ( Je Ran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4 No.-

        이 글은 서양 자본주의의 침투에 대한 중국 근대불교의 대응을 양계초(梁啓超, 1873-1929) 사상을 중심으로 살펴보려는 목적을 가진다. 자본주의는 사유재산제에 바탕을 둔 경제 제도이므로, 무소유, 만물의 무상함과 상호 의존을 주장하는 불교와 정면으로 대치되어 보인다. 따라서 근대 시기 서양 자본주의가 불교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근대 사상을 이해하는 하나의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양계초는 불교사상가이기도 하면서 경제 사상 및 자본주의에 대해 평생 끊임없는 모색하였던 사상가이기도 하다. 그러한 과정은 크게 네 단계의 변화를 거쳤다. 첫째, 양계초는 처음에 고전학파의 자유무역론을 통해 변법사상의 정당성과 보편성의 근거를 찾으려 하였다. 아담 스미스의 자유주의적 고전학파 경제에 기반을 둔 영국을 성공 모델로 파악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벤치마킹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자유주의 경제에 반대하는 중상주의 보호무역론을 ‘나라를 병들게 하는 방법’이라고 비판하고 고전학파의 자유무역론을 높이 평가하였다. 둘째, 무술변법의 실패와 일본 망명 후 양계초는 고전학파의 자유주의 경제론을 비판하고 역사학파의 관점을 따르는 것으로 방향 전환하였다. 그는 아직 공업화가 안 된 중국은 중상주의 보호무역 정책으로 자기 국가의 산업을 보호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자유 경쟁이 과도하면 국가가 병들게 되며, 자유주의의 불간섭주의는 선진국과 후진국, 자본가와 노동자 계급의 모순으로 이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셋째, 고전학파에서 역사학파로 시각이 바뀐 양계초는 유럽의 경우 민족주의 시대를 거쳐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에 들어 ‘민족 제국주의’ 시대에 진입하였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민족 제국주의 시대에 역사학파의 국민경제학설과 정치학의 국가유기체설이 모두 국민국가의 중요한 근간이 된다고 보고 이를 제창하였다. 넷째, 1차 세계 대전 후 양계초는 유럽의 국가주의를 병적인 상태라고 비판하였다. 그는 국가주의에 대해 이렇게 180도 전환하고 진보를 저해한다고 보았던 중국의 ‘국체’를 재인식하게 되었다. 국민 국가를 지탱하는 의회제도, 경쟁주의, 자본주의의 대체물로서 중국 고유의 기초인 민본주의, 호조(互助)정신, 소농 제도를 제기하였다. 결론적으로 양계초는 오랜 모색 과정을 거쳐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과 부정에 이르렀다. 이러한 전환은 ‘세계주의’를 전망하는 전통적 가치관으로의 복귀이고, 구체적으로는 유학의 ‘평천하’의 왕도 사상 및 불교의 ‘무소유’, ‘평등’, 만물의 상호의존 사상과 연관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responses of Modern Chinese Buddhism to the infiltration of Capitalism into China through the thought of Liang Qichao(梁啓超, 1873-1929). Capitalism is the economic system based on the private property system(私有財産制), so it seems to stand opposite each other with Buddhism saying `nonpossession(無所有)`, `uncertainty(無常)` and `interdependence(相互依存)’ of all things. Therefore it is a good method to research the influence of western Capitalism into Buddhism in Modern period. Liang Qichao was a Buddhist and thinker searching for a solution to the idea of Economy and Capitalism all his life. His thought went through the four processes. Firstly, Liang seeked the ground of the thought of Reform(變法思想) through classical economics of Adam Smith. He grasped England as the model of success, and tried to have bench-marking. And he criticised protectinalism(保護主義) of mercantilism(重商主義), and put a high valuation on free trade policies(自由貿易論) of classical economics(古典經濟學). Secondly, Liang swiched over his idea from free trade policies of classical economics to protectinalism of the historical school. He insisted that China had to protect it`s industry with the protectinalism of mercantilism. Thirdly, Liang thought that Europe went to the period of `native Imperialism`(民族帝國主義) from the period of nationalism at 20th century. And he insisted that China needed National economy(國民經濟學) of the historical school(歷史學派) and the theory of an organic nation at this period of native Imperialism. Forthly, Liang gave criticism on the natinalism of Europe as `losing their health`. He did an about-face in his thought on nationalism, and had a new understanding of `political system`(國體) of China. He propounded `democracy`, `the mind of mutual help`, and the peasant-proprietor system(小農制度), which were innate in China, as the substitutes of ` the parliamentary system`, `the mind of competition`, and `Capitalism`. Let me say in conclusion that Liang Qichao reached the criticism and deny against Capitalism after his long research for the truth. His changing mind to `cosmopolitanism` is the returning to traditional oriental values. I think that it is connected with Confucianism saying `the rule of right`(王道) and Buddhism saying `nonpossession`, `equality`, `interdependence` of all things.

      • KCI등재

        한말 유학자의 위기의식과 근대문명 담론 비판 - 艮齋 田愚의 梁啓超 비판을 중심으로 -

        김건우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61 No.-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writings of Jeonwu, who was a Confucian scholar and criticized the scholarship of Liang Qichao of China at the time of great changes on the threshold of modernity, when the shock of Western civilization was shaking all the systems and institutions of the Joseon society to its foundations. As a distinguished thinker, politician, writer and journalist representing modern China, Liang Qichao had a great impact on Chinese people with his vast output of editorials and writings, as well as on the Confucian intellectuals of Korea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1897~1910), who were engaged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One of the harsh critics of Liang Qichao would be found in Jeonwu, a Confucian scholar at the time, who left to posterity the largest number of critical reviews of the discourse of the Chinese man of letters. To be sure, most of the Confucian scholars in Korea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were in agreement on their disapproving stance on the ideas and theories of Liang Qichao. Most of them, however, remained just sporadic occurrences and perhaps no one ever challenged Liang Qichao’s thoughts and pointed out their potentially harmful consequences as much as Jeonwu did. An analysis is made of Jeonwu’s criticism of the ideas of pragmatism and utilitarianism, freedom and equality, the people’s rights and nationalism that he found in Liang Qichao’s discourses. Particularly, Jeonwu singled out the ideas of equality and the people’s rights as two major threats that would undermine the moral principles he conceived. He understood that the concept of equality was an attempt to see the relationship of the ruler and the ruled, father and son, and husband and wife on equal terms, and as such, a misleading and malicious idea that would overthrow the Confucian order. Jeonwu criticized that behind these ideas were the motive to put the people under the tyranny of the government. His intention was to keep the Confucian order by underlining the duty and role, rather than the rights, of the individual as the agent of moral practice. The ideas of Liang Qichao were a result of his struggle to see a modern civilized country established in China, by means of creating sinmin(新民) in urgent circumstances of the invasion of the Great Powers of the world. As a Confucian scholar, on the other hand, Jeonwu was concerned with preserving the values and purity of Confucianism and understood Liang Qichao as a figure who forsook the moral principles of humanity by giving the first priority to the wealth and power of the nation. 본 논문은 새로운 서구문명이 조선의 유교사회를 뿌리 채 뒤흔들었던 변혁기에 유학자 艮齋 田愚가 중국 梁啓超의 학술을 비판한 글을 분석했다. 양계초는 방대한 저술로 중국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구한말 우리나라에 소개되어 애국계몽 유교지식인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한편 양계초의 담론을 비판하는 글을 가장 많이 남긴 구한말 유학자로 간재 전우를 들 수 있다. 물론 한말 유학자들 중에는 양계초 학설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 경우도 있지만 대개는 단편적인 수준에 머물렀고, 전우만큼 양계초의 학설과 그 폐해를 지적한 경우는 드물다. 본 논문은 우선 신문매체와 불편한 관계를 맺고 있던 전우의 위기의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우는 당시 신문을 유교의 인륜을 무너뜨리는 불온매체로 인식하여 위기의식을 가졌으며, 자신을 비롯하여 전통 유학자들에 대한 허위보도와 조롱, 비판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특히 양계초의 담론 중 종교, 實利主義와 實行主義, 자유·평등과 민권, 국가주의에 대한 전우의 비판을 분석하였다. 양계초의 사상은 열강의 침략이라는 상황에서 新民을 만들어 근대 문명국가를 수립하려고 했던 고심어린 결과물이었다. 君臣·父子·夫婦 관계가 평등하다는 양계초의 자유·평등에 대해 전우는 유교적 질서를 顚倒시키는 邪說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전우는 양계초 논설의 본질이 결국 국민들에게 정부의 압제를 받게 하려는 속셈이라고 비판하였다. 개인의 권리보다는 도덕실천의 주체로서 각자의 본분을 강조함으로써 유교적 질서를 확립하려고 한 것이다. 전통 유학자 입장에서 철저하게 유교의 가치와 그 순수성을 보전하려는 전우는, 富強을 최고 가치로 삼아 인륜을 저버리는 인물로 양계초를 인식했다.

      • KCI등재

        양계초 취미론 : 칸트 미학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김현주 한독사회과학회 2023 한독사회과학논총 Vol.33 No.2

        근대 중국을 대표하는 사상가 중 하나인 양계초는 자유라는 개념에 대해 생소했던 근대 중국인들에게 자유가 무엇인지 알리기 위해 루소의 사회계약론을 소개했고, 그것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칸트철학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는 자유의 중요성을 인식시 키고자 칸트의 미학에 주목했다. 나아가 그는 칸트 미학의 영향을 받아 자신만의 ‘취미론’을 발전시켰다. 그는 스스로를 ‘취미주의자’라고 공언하며, 도덕과 취미를 적극적으로 결부시 켰다. 공자의 신념이라고도 할 수 있는 “할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해야 한다(知不可而爲)” 는 것이 칸트가 의미하는 취미라고 이해했던 양계초는 자신의 ‘신민설’ 주장에서 키우고 싶었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국민이 취미를 가짐으로써 활력 있는 국민에서, 활력 있는 민족으로, 활력 있는 국가로 나아갈 수 있다고 믿었다. 그리고 그 활력의 표현이 바로 예술에 나타난 ‘정감’이라고 보았다. 양계초 미학과 취미론이 칸트철학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양계초의 미학과 취미론에 대해서는 물론이고, 양계초 미학과 칸트 미학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 그러므로 이 글은 칸트 미학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양계초의 미학과 취미론에 대해 다루어보고자 한다. Liang Qichao, one of the influential thinkers of modern China, introduced Rousseau’s social contract theory to inform modern Chinese people who were unfamiliar with the concept of freedom, and he thought Kant’s philosophy wa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dea of freedom properly. Furthermore he noticed Kant’s aesthetic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eople’s freedom. And he himself was influenced by Kant’s aesthetics to develop his own theory of ‘taste’ to cultivate Chinese people into a new nation. He professed himself as ‘a taste theorist’ and linked morality and taste. Liang Qichao thought it was a taste to “do it even though one cannot do it(知不可而爲), which could be Confucius’ thought. So he hoped the active and vital individual who enjoys their taste could change whole nation into the active and vital nation, and again into the active and vital state. And the expression of vitality was the ‘feeling’ in art for him. It is well known that Liang Qichao’s aesthetics and ‘taste’ theory were influenced by Kant's philosophy, bu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ang Qichao’s and Kant’s aesthetics, as well as Liang Qichao’s aesthetics and his ‘taste’ theory.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deal with Liang Qichao’s aesthetics and ‘taste’ theory, focusing on its connection with Kant’s aesthetics.

      • KCI등재

        양계초의 尙武精神과 한국 근대문인의 관련 양상

        文大一(Dae-Il Moon) 중국어문논역학회 2016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39

        유신운동의 실패 후, 1898년 일본으로 망명한 양계초는 일본의 근대화를 목도하고 상무정신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는 文弱한 사회적 기풍을 청산시키고 상무정신을 고양시킬 수 있는 글을 써 보급하였고, 1905년 을사늑약과 1910년 한일병탄으로 인해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한 한국의 애국계몽지사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박은식과 신채호는 그 당시 신문⋅잡지사의 주필을 맡으며 양계초의 글을 섭렵하였고 그의 글을 번역문, 편역문, 역술문 등의 형식으로 게재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들은 자연스럽게 양계초의 ‘상무정신론’을 수용하게 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국의 상무정신에 관한 논설, 비평문, 문학작품 등을 집필하여 민중에게 전파하였다. 박은식은 양계초의 ‘상무정신론’을 발전시켜 ‘文弱論’를 제기하였으며, 양계초의 《論尙武》에서 주장한 崇文輕武의 내용을 받아들여, 《弱之弊는 必喪其國》를 집필하였다. 신채호 역시 한국이 문약해진 이유를 고려시대부터 이어진 崇文抑武 정책에서 찾고, 국가를 復興시키기 위해서는 본디 우리민족이 가지고 있던 상무정신인 ‘화랑정신’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꿈하늘》을 통해 한국의 화랑정신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양계초는 효용론적 문학관에 입각하여 ‘상무정신론’을 민중에게 효과적으로 전파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설, 시가 등의 문학 작품을 활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그의 생각은 박은식과 신채호를 비롯한 한국 문인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박은식은 《明臨答夫傳》, 《夢拜金太祖》, 《安重根傳》 등 역사적 영웅의 상무정신을 담은 작품을 창작함으로서 강성한 국가를 이룩하기 위해 武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하며 文弱함을 경계해야 할 것을 주장하였다. 또한 작품을 통해 新民의 모습과 신민이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조건 등을 자세히 설명함으로서 민중들을 교화시키고자 하였다. 신채호 역시 《乙支文德》, 《水軍第壹偉人李舜臣傳》, 《東國巨傑崔都統傳》과 같은 영웅⋅전기소설을 창작하였다. 또한 《天喜堂詩話》를 통해 기존의 漢詩가 지닌 文弱함을 강력히 비판하며 상무정신이 담긴 詩歌를 창작하여 전파할 것을 강조하였다. 양계초, 박은식, 신채호는 효용론적 문학관에 입각하여 문학을 사상 선전의 도구로 사용하였다. 비록, 이는 현대적 관점에서 보면 문학의 심미적 기능을 약화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으나, 존망의 위기에 처한 국가를 부흥시키고 우매한 민중을 계몽시켜야 하는 당시 상황에서 그들의 문학관은 그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After the failure of Yushin reformation, Liang Qi Chao who took asylum to Japan in 1898 witnessed the modernization of Japan and realized the importance of matialism. He disseminated the literature which he wrote to settle the effeminacy social ethos and boost the matialism, and it had effect on many patriotic enlightenment governors of Korea that became a colony of Japanese empire after the Korea-Japan annexation in 1905. Liang Qi Chao used form of literature like novel and poetry as a mean of more effective dissemination of the idea of matialism to the public, based on The literary view of utility theory. His way of thinking had effect on many different Korean literary men including Park Eun-sik and Shin Chaeho. Liang Qi Chao, Park Eun-sik and Shin Chaeho used literature as a tool for the ideology propaganda based on The literary view of utility theory.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weakening of aesthetic functions of literature in modern point of view, however in the situation where the country is in its crisis of life or death and enlightenment of ignorant was desperate, the value of The standpoint of literature can be quite large.

      • KCI등재

        량계초(梁啓超)의 「추풍단등곡(秋風斷藤曲)」탐구 -안중근 의거를 찬미한 중국 근대 대표 지식인의 노래와 그 속내-

        최형욱 ( Hyeong Wook Choi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49 No.-

        梁啓超는 중국의 근대 이행기를 주도해나간 계몽주의 維新派진보 지식인의 대표이론가이자 실천가였다. 그는 정치적으로 수구세력에 대항하고, 언론·교육·학회 활동 등을 기반으로 變法維新을 도모하고, 정치·사회·경제·법률·역사·문학 및 기타 과학사상 등 근대화된 서구의 학술과 문화를 수용함으로써 폐쇄되었던 근대 중국에 새로운 개혁의 기풍을 일으키며 當代에 이미 커다란 호응을 얻은 것은 물론이고 현대에까지 계속 깊은 영향을 미쳤다. 양계초는 詩歌분야에서도 큰 성취를 이루었다. 근대적 시론을 피력한 『飮?室詩話』는 詩歌史的으로 매우 중요한 자료이며, 많은 詩詞작품들은 질적으로도 상당한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양계초의 詩歌중에는 특히 조선과 관련된 작품이 두 편 있는데 모두 걸작으로 꼽힌다. 하나는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로 완전히 전락한 1910년 가을 지은 「朝鮮哀詞」5律24首로 여러 수에서 조선 멸망에 대한 애통함을 노래했다. 다른 한 편은 그 보다 앞서 1909년 10월 안중근 의사 의거 직후 지은 「秋風斷藤曲」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秋風斷藤曲」에서 양계초는 조선과 일본 사이의 제 3자 또는 조선의 보호자, 일본의 경쟁자 등의 복잡한 입장에서 안중근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 처단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다루었다. 안중근 의사의 비장함과 의연함에 대한 존경과 조선에 대한 동정의 마음 한편으로 이토 히로부미의 維新에 대한 憧憬과 追崇이 "가을 바람에 덩굴(藤) 끊어졌네"라는 상징적이고 중립적인 제목 아래 복잡한 감정과 격정적 시정을 자아내게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작품은 풍격 면에서 중국 古詩의 舊風格을 나름대로 유지하고 있고, 형식면에서는 자신이 詩界革命에서 강조한 바대로 7언 96구의 장편시를 채택하였으며, 무엇보다 내용면에서 애국·계몽을 목적으로 하는 시국 및 세계정세에 관한 논의 등 이른바 新意境을 담아내었다. 양계초는 이 시를 통해 동정과 애통함을 표현하기도 했지만 그보다 그에게 있어서 조선은 결국 서구와의 대비 속에서 중국을 비춰볼 수 있는 특별한 타자 또는 옛 번속국이었다. 사실 1904년부터 1911년에 집중된 관련 저작들에 보이는 양계초의 조선에 대한 인식은 크게 조선의 멸망에 대한 동정, 중화사상 및 제국주의적 입장에서의 속국 이탈로 인한 상실감과 서운함, 경쟁자인 일본의 강권에 대한 견책과 유신에 대한 학습 의욕, 망국의 근원으로 본 조선의 지배층 성향 및 국민성에 대한 비판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중국의 계몽을 위한 교훈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본고에서 살펴본 「秋風斷藤曲」은 단순히 안중근 의사를 찬양하고 조선의 멸망을 동정한 작품이라기보다 안중근 의사 의거를 제재로 하여 위와 같은 인식들을 종합적으로 강렬하게 나타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A Chinese scholar, journalist, philosopher and reformist during the Qing Dynasty, Liang Qichao (梁啓超) inspired Chinese scholars with his writings and reform movements. He also made a great name as a poet, and there are two Korean-related poems that are often numbered among his masterpieces. "Chaoxianaici" (朝鮮哀詞), written in the fall of 1910 when Korea was already annexed by imperial Japan, is an elegy lamenting the downfall of Chosun. The other Korean-related poem, "Qiufengduantengqu" (秋風斷藤曲), was written right after the assassination of Ito Hirobumi by the radical Korean nationalist, An Jung-geun, in October, 1909. "Qiufengduantengqu" was written from the complex multi-perspectives of the poet as the third party between Chosun and Japan, as the protector of Chosun, and as the competitor of Japan. Although "Qiufengduantengqu" clearly exhibits the poet`s sympathy with the Korean cause and his heartfelt lamentation, Chosun for Liang Qichao was ultimately "the other" through which China could and should imagine itself at the brink of its full insertion into modernity. Therefore, despite the sincerity of its emotional tone, "Qiufengduantengqu" is better understood as a poetic attempt to project onto the historical reality of Chosun`s downfall the Chinese sense of the loss of a tributary and its desire both to learn from Japan and to contain the Japanese influence. Ultimately, the poem is more a enlightened lesson for China than a sincere lament for Chosu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