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년대 초반 안수길 신문연재소설의4·19 표상과 피난민의 시민권-『생각하는 갈대』(1961~62)와 『백야』(1963~64)를 중심으로-

        강용훈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2 No.-

        1961년부터 1962년까지 『서울신문』에 연재된 『생각하는 갈대』와 1963년부터 1964년까지 『조선일보』에 연재된 『백야』는 4‧19 및 5·16 이후 본격화 된 전후 한국 사회의 질서 재편과 맞물려 안수길 신문소설이 변화해간 양상들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들 작품에서 형상화되고 있는 해방 이후부터 5·16까지의 16년의 기간은 안수길의 대표작 『북간도』에서 형상화되고 있는 1870년에서 1945년까지의 시간, 그리고 후기 단편소설에서 형상화되고 있는 1960년대 중·후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의 시간을 매개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들 작품에는 기존 연구에서 논의된 후기 안수길 단편소설의 여러 모티프들이 선취되어 있다. 『생각하는 갈대』와 『백야』는 4‧19 직후 한국 사회의 상황(『생각하는 갈대』) 및 한국전쟁 이후부터 4‧19가 발생하기까지의 과정(『백야』)를 월남한 피난민의 시각에서 형상화하고 있다. 이들 소설에 나타난 4‧19 표상은 안수길 소설이 혼란과 폭력의 발현 양상을 주시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안수길은 4‧19가 기존의 법적 질서를 새롭게 정초하기 위한 폭력적 순간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형상화하며 전후 한국 사회의 법적 질서 자체가 행사하고 있었던 폭력 또한 부각시켰다. 안수길 소설에서 그 폭력은 ‘경계에 놓여 있는 공간’과의 연관을 통해 효과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북간도』가 중국과 일본의 법적 질서의 경계에 놓여 있던 만주 공간을 통해 폭력을 형상화했다면, 『백야』에서는 남한과 북한의 치안 질서가 교차했던 전시 서울의 폭력을 그려내고 있다. 4‧19를 형상화하는 과정에서도 안수길은 4‧19를 주도한 청년들의 내면 질서가 아니라 치안질서를 유지하려는 폭력과 대항폭력이 맞부딪히는 무정부 상태의 ‘거리’ 공간에 초점을 맞춘다. 안수길 소설 속 폭력의 공간은 『백야』에서 부각되고 있는 시민증과 연결하여 해석될 필요가 있다. 전시 서울에서 『백야』의 월남민 인물들이 획득한 시민증은 전후 한국 사회의 시민권이 분단 국가의 다른 한 축, 즉 ‘북한’과의 단절을 증명하는 자에게만 부여될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백야』를 비롯한 안수길의 소설은 궁극적으로는 그 시민증을 획득한 사람들의 시선, 즉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려 하지 않는 자의 시선에서 그려지고 있다. 그러나 그 시선의 이면에는 시민증을 획득하지 못한 자, 즉 경계 공간에 놓여 있는 자가 감당해야 했던 폭력에 대한 응시가 깔려 있다. 그 응시 때문에 안수길의 소설의 피난민들은 가까스로 획득한 시민권을 물신화하지 않고 거리감각을 지닐 수 있게 된 것이다. 4‧19를 대면한 안수길이 신문연재소설을 통해 그 시민권의 한계를 본격적으로 문제 삼기 시작한 것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안수길 소설 속 피난민들은 전후의 사회질서에서 일종의 마이너리티였다. 안수길의 1960년대 초반 신문연재소설은 시민증을 부여받은 것에 안도하던 마이너리티가 역동적인 시민권의 재구축 과정과 결합될 수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안수길은 4‧19에 참여한 주체의 내면을 부각시켜 4‧19 및 4‧19 세대를 신화화하려 하지 않고 있다. 대신 4‧19에 내포되어 있던 폭력과 무정부적 혼란을 형상화하며 4‧19가 개개인들에게 맞닥뜨리게 했던 ‘예측 불가능성’의 순간들을 보여주고 있다. 『Thinking Reed』 that was published as a serial novel in the Seoul Newspaper from 1961 to 1962 and 『White Night』 that was carried in Chosun Ilbo from 1963 to 1964 showed the changing modes of Ahn Soo-gil’s newspaper novels. These works span across a period of 16 years from liberation of Korea to the May 16 coup of 1961. This period mediates the period from 1870 to 1945 that was the setting of Ahn Soo-gil’s most famous work, 『North Jiandao』 and the mid-to-late 1960s to the mid-1970s that is the setting of his later short stories. Various motifs of Ahn Soo-gil’s later short stories are predated in these works. 『Thinking Reed』 and 『White Night』 embodies the situation of the Korean society immediately following the April 19 revolution in 1960 (『Thinking Reed』) and the situation following the Korean War to the April 19 revolution (『White Night』) from the perspective of refugees who crossed over from North Korea. The refugees in the novels of Ahn Soo-gil were a sort of a minority in the social order following the war. Therefore, they know that they were not given full citizenship. The newspaper serial novels of Ahn Soo-gil in the early 1960s show that minorities can be united to the dynamic process of reconstructing citizenship. However, Ahn Soo-gil did not make an attempt to mystify the April 19 revolution generation by highlighting the inner being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at revolution. Through this, he shed light on the violent aspect possessed by the legal order of the Korean society following the war.

      • KCI우수등재

        僞滿洲國 조선계 작가 안수길과 ‘민족협화’

        이해영(Li, Hai-ying)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2

        본고는 당시 안수길이 위만주국 조선계의 대표적 작가로 인정받고 있었고 스스로도 본인의 위치를 그렇게 자리 매김 하려고 했던 점에 착안하여 그의 문학을 위만주국 조선계 문학 즉 위만주국의 ‘소수민족’ 문학의 위치에서 살펴보았다. 안수길의 만주시기 문학을 위만주국 ‘소수민족’ 문학의 위치에서 바라본다는 것은 바로 ‘민족협화’를 핵심 키워드로 그의 문학을 바라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민족협화’와 그의 만주시기 문학이 지향했던 북향정신이 어떤 내적 연계를 맺고 있는지, 그가 어떻게 ‘민족협화’를 통해 그토록 끈질기게 탐구했던 민족공동체 생존의 내적 근거를 찾아냈는지를 구명하였다. 위만주국은 비록 ‘민족협화’를 건국이념으로 내세웠지만, 위만주국의 민족관계는 이와는 무관하게 여전히 모순과 갈등으로 충만되었으며 이러한 모순과 충돌, 갈등은 특히 토지의 소유권과 경작권을 둘러싼 위만주국 농촌사회에서 더욱 집중적으로 드러났다. 위만주국 농촌사회에서 일본의 개척이민정책에 의해 조선인 농민은 중국인 농민과 마찬가지로 피해자였지만 때로는 중국인 농민들에게 가해자가 되기도 하는 매우 애매하고 곤혹스러운 처지에 처해있었다. 이러한 민족관계에 대해 안수길은 당시 민감하게 알아차리고 있었으며 때로는 매우 조심스럽게 행동하였다. 그러나 안수길의 만주시기 소설에는 이러한 위만주국 농촌사회의 토지를 둘러싼 복잡하고 미묘한 민족관계가 거의 드러나지 않고 있으며 ‘토지 수용령’에 의한 각 민족 간의 모순과 충돌도 드러나지 않는다. 안수길은 실제로 위만주국 사회에서 가장 미묘하고 복잡한 갈등 양상을 이루고 있는 토지를 둘러싼 농촌사회의 민족관계를 다루면서 그것을 현실과는 다른 자리에서 조선인과 중국인의 이상적인 화합의 장으로, 그리고 조선인과 일본인의 껄끄럽고 불편한 모순의 장으로 그려내었다. 안수길은 ‘민족협화’를 위만주국에서 조선인이 정착하고 생존을 도모할 수 있는 내적 논리 내지 길, 방법으로 보았으며 북향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길 혹은 방법으로 보았다. 안수길은 상호주의적 시각으로 만주의 원래의 주인인 만주인의 입장과 처지를 이해하고 또한 조선인들이 어쩔 수 없이 만주에 이주하여 살아가지 않으면 안되는 처지에 대해 그들의 이해를 구하고 서로 협력하면서 생존을 도모하고 만주에 정착하는 것이 만주에 이주한 조선인들의 생존의 길이라고 보았다. ‘만주국’이 붕괴되었을 때, ‘만주국’이 표방했던 복합민족국가의 파탄과 함께 ‘만주국’ 여러 민족 인민들이 겪었던 충돌과 수난은 안수길 식 ‘민족협화’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일제가 위만주국에서 일본 민족 우위를 포기하지 않는 한, 진정한 민족평등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진정한 ‘민족협화’란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일제의 만주 침략에 의한 ‘만주국’의 건국은 그 시작부터가 여러 민족 간의 반목과 불화의 시작이었기 때문이다. 안수길 식 ‘민족협화’는 ‘만주국’의 붕괴와 함께 파탄을 맞았고, 그의 북향정신 내지 이상은 결국 좌절되고 말았다. Standing on the point that An Soo-gil was considered to be the representative writer and he also put himself on that position, this paper discussed his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iterary that could be seen to be the minority literature in Manchukuo. Putting An Soo-gil’s literature during Manchuria period on the level of the minority literature in Manchukuo means that this paper studied his literary works around the keyword “Ethnic Harmony”. Specifically speaking, this paper tried to find the internal connection between the “Ethnic Harmony” and the north hometown complex reflected in his literary works during Manchuria period and tried to find internal base of national community which was continuously expected to be built by the “Ethnic Harmony”. Although Manchukuo was built with “Ethnic Harmony”, the ethnic relations in Manchukuo was still full of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These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were more intensively revealed from rural community which surrounded the land-ownership and the cultivation right. Under the Japanese pioneer immigration policy, the Korean peasants could be the same victims with Chinese peasants, but sometimes could be the attacker to Chinese peasants, which was very confused. An Soo-gil was sensitively aware of this kind of ethnic relations and sometimes acted very carefully. However, his novels during Manchuria period did not show the complicated and subtle ethnic relations based on the land of rural area or all the national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based on the land expropriation order. In fact, An Soo-gil saw the ethnic relations around the land in rural community as the most complicated and subtlest relations in Manchuria society but put it on a different position from reality, which depicted the ideal harmony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d the awkward contradict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n Soo-gil considered “Ethnic Harmony” as a rational way for Koreans to settle and live in Manchukuo and they way for them to realize the north hometown ideal. With the mutual vision, An Soo-gil tried not only understood the position of the native Manchuria, but also helped these natives to understand the Koreans who had to immigrate to Manchuria to maintain their life. He considered the settlement under this king of mutual understanding and with mutual help to be the way for Korean immigrants to exist. When Manchukuo collapsed, its hardship of complex national state and the conflicts and sufferings of all the ethnics in Manchukuo really showed the limits of An Soo-gil’s “Ethnic Harmony”. Japanese empire didn’t give up their supreme position, the real ethnic equality and the real “Ethnic Harmony” could not be realized, which became the reasons. In addition, Manchukuo was built by the Japanese empire’s invasion in Manchuria where the hostility and disharmony appeared at the very beginning. An Soo-gil’s “Ethnic Harmony” was frustrated with Manchukuo’s collapse, but it didn’t mean that his north hometown complex even his ideal was completely frustrated. Nowadays 2 million Chinese Korean who are living under the minority policy of the Communist Party in China has showed the realization of the north hometown ideal to people.

      • KCI등재

        안수길의 장편소설 『북향보』의 현실인식

        李海英(Li, Hai Ying)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3

        본고는 민족협화와 자치라는 두 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안수길의 재만 시기의 최초의 장편소설이자 마지막 작품인 『북향보』의 현실인식을 살펴보았다. 1939년 말, 1940년 8월에 걸쳐 『만선일보』는 당시 재만 조선인들이 "만주국"의 "민족협화" 운동에 대해 대단히 부정적이고 회의적이며 어떠한 전망도 갖고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에 비해 『북향보』가 보여주는 만인들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와 민족협화에서 조선인들의 적극적 위상 등은 양 민족 간 상호주의적 태도를 잘 보여준다. 안수길은 조선인이 "만주국"에서 살아남기 위해 협화해야 할 대상은 정작 같은 "제국 신민"으로서 만주의 침략자이자 지배자의 입장에 있는 일본인이 아니라 만주의 원주민과 한족을 포함한 만계인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만주국"의 "민족협화"에 대한 안수길의 이러한 인식은 그가 개인이 아닌 조선인 이민 집단 즉 민족 단위의 생존 문제를 탐구해왔다는 것 때문에 민족 단위의 삶의 방식 즉 조선인의 "자치" 문제와 연결된다. 안수길은 만주국에서 조선인 농민들의 국민 되기는 바로 그들의 건국에의 기여와 함께 농민도와 만주국이 장려하는 유축농업을 적극 발전시키는 것에 있다고 한다. 즉 안수길은 조선인 농민들이 만주국에서 국민적 권리와 발언권을 갖기 위해서는 농민도로 자신들을 특수화할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는 농민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재만 조선인 사회의 구성을 염두에 둔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안수길이 주장하는 북향건설의 길은 만주에 조선인의 자치를 실현하는 것 즉 이상적인 조선인 공동체를 건설하는 것이다. 하지만 정작 북향건설의 주체는 안수길과 같은 작가가 아니라 "만주국" 조선인의 대다수를 점하는 농민들이었다. 결국 해방과 함께, "만주국"의 붕괴와 함께 그토록 열렬하게 "만주국" 조선계 문학 건설을 주장하던 안수길을 포함한 전부의 재만 조선인 작가들은 한반도로 귀국하고 말았다. 이념적 차원에서의 작가들의 북향건설의 의지가 얼마나 허약한 것인지를 잘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에 비해 광복 후, 만주에 잔류한 조선인은 140만 가량인데, 이들의 대부분은 농민이었다. 생활에 기반한 농민들이야말로 북향건설의 실천 주체이며 그들이야말로 가장 확고한 실체임을 보여준다. 이것이야말로 북향건설의 이념적 대변인으로서 작가와 실천 주체로서의 농민이 분리되는 지점이며 안수길의 삶과 글쓰기의 괴리가 이루어진 지점이다.

      • KCI등재

        재만(在滿)시기 안수길 소설 연구

        왕가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7 No.-

        이 글은 재만(在滿) 시기 안수길(Ahn Soogil) 소설의 주제적 특성을 살펴보고,나아가 일제강점기 재만 조선인 소설의 성격을 밝혀보는 데 목적을 둔다. 재만(在滿) 시기 안수길 소설은 흔히 재만 조선인의 이주·정착에 관한 생생한기록, 또는 간도 보고서라고 평가받고 있다. 안수길은 20여 년에 걸쳐 가족과 함께 용정·장춘 등지에 거주한 자신의 간도 체험을 바탕으로 재만 조선인, 특히 조선인 농민들이 이 지역에서 “어떻게 살아왔느냐”에 관심을 기울이고, 그들의 간고한삶을 소설화한다. 「벼」, 「새벽」은 그 한 예이다. 그러나 그는 만주국 건국 이후 급변한 만주 공간의 정치·사회적 상황과 이에 따라 더욱 간고해진 조선인 사회의 생존 환경에 주목, 이러한 생존 조건 속에서 “어떻게 사느냐”의 문제를 천착하고 이를 소설로 담아낸다. 만주국 건국이 가져온 상황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여 살아남을 것인가 고민하고 작가 나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축기(牧畜記)」, 『북향보(北鄕譜)』등에서 보는 ‘이상촌’ 건설, ‘아름다운 제2의 고향’이 그것이다. 말하자면, 재만 시기 안수길 소설은 「벼」에서 『북향보』에 이르기까지 주제의식의 변화를 드러내는데, 이는 만주와 만주에 이주한조선인의 삶을 바라보는 작가의 시각 변화에 기인한다. 재만 시기 안수길 소설에 나타나는 주제의식의 변화는 먼저 중국 또는 만주라는 공간과 중국인에 대한 긍정적인 묘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의 소설에 등장하는 중국인은, 지주나 관리 같은 지배계층의 인물이든 또는 소작 농민이나 머슴 같은 하층민이든, 이주 조선인에 대해 우호적이며, 조선인과 조선말로 소통하며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조선의 문화까지 이해하고 있는 인물로 형상화되어 있다. 「벼」, 「목축기」, 『북향보』의 중국인들이 그러하다. 이는 만주국 건국 이전 시기최서해·주요섭 소설에서 중국인의 형상이 불결하고 인색하며 의심이 많고 인간성이 없는 인물로 묘사된 것과는 사뭇 다르다. 그만큼 중국인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게 된 것이다. 이는 오랜 기간 중국인과 조선인이 함께 지내면서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더 이상 적대관계가 아니라 더불어 공존할 수 있는 상대로 인정하게 된 데서 비롯한다. 그러나 한편, 이는 만주국 건국 이후 판이하게 달라진 사회 상황에서 불가피한 선택이기도 하다. 다음으로, 중국 또는 만주 공간에 대한 묘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최서해·주요섭의 소설이 내보이는 중국 또는 만주의 자연 환경은 춥고 불결하여 극도로 열악하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 제시와 상황 묘사는 이주 조선인들이 겪게 될 수난을암시한다. 그러나 안수길 소설에서는 만주 황무지가 희망의 땅이고 인간성이 가득찬, 그래서 내일을 도모하는 데 부족함이 없는 삶의 터전으로 그려지고 있다. 황무지에 다름없는 지형 조건이지만 개간하면 농사짓고 살 만한 터전으로 그려지고,나아가 벌판 가득한 논에 벼의 물결이 넘실거리는 풍요로운 땅, 만주 벌판을 정처없이 떠돌며 이곳저곳을 옮겨 다니던 조선인 이주민들이 ‘이상촌’을 건설하기에 더이상 바랄 것이 없는 천혜의 땅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는 물론 재만 조선인의 정착에의 갈망과 당위를 드러낸다고 하겠는데, 이는 ‘북향정신(北鄕精神)’에 집약되어있다. ‘북향정신’은 만주라는 현실 공간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main ideas expressed in the novels created by Ahn Soogil, while he was staying in China, in the period of Manchuria. And it also elabor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written by the Korean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novels of Ahn Soogil created In the period of Manchuria are honored as the vivid records of the migrancy and settlement of the Koreans in China and they are also regarded as the written reports of the Gando Convention. Ahn Soogil has lived in Longjing, Changchun as well as many other places in China for about twenty years, together with his families. Based on his experience in Gando Convention, many famous novels are created by him,Most of which focus on the problems that met by the Koreans, especially the Korean peasants, in struggling to live on in Manchuria and examines the laborious life led by them, such as the rice plant and the dawn. As the establishment of Manchuria, the politics and social environment began to deteriorate, so Ahn Soogil turned his eyes on the tuff living condition of the Koreans in China, he tries to expose as well as put forward his own view on the question that how the Koreans, as aliens, fac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society, survive the hostile environment. In his novels,such as 「Mokchookgi」, 『Bukhyangbo』, Ahn Soogil describes the construction of the ‘ideal village’ and the ‘the beautiful second hometown’. In other words, these novels show the alteration of the subject consciousness, which means the shift of the writer’s angel of view in observing the survival of the Koreans in Manchuria. The alteration of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shown in Ahn Soogil’s novels can be affirmed through his positive attitude towards China and the Chinese people. All the Chinese figures that show up in his novels, from the ruling class, such as the landowner and the government officials to the people from the bottom of society, such as the tenant peasants and the farm labourers, show their friendship to the immigrants, for example, they communicate with the Koreans in Korean, establish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m and try to learn the Korean cultures. The Chinese figures appear ingin 「Riceplant 」, 「Mokchookgi 」,『Bukhyangbo』are all this kind of people, which are different from that described in the novels created by Choi Suhae and Joo Yosup whose novels contain the Chinese persons who are dirty, mean, suspicious and inhuman. The conversion of their awareness towards the Chinese people is caused by many reasons, on one hand, the Koreans and Chinese began to understand and respect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living together and they also realiz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should not be hostile but harmonious, on the other hand, this is the unavoidable choice for the persons from both countries with the transformation of the society after the Manchuria was founded. What’s more, the conversation can also be confirm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nvironment of Manchuria or China. The natural circumstance depicted in the novels of Choi Suhae and Joo Yosup are freezing, sordid and extremely rugged. In addition, the presentation of the environment and the description of the surroundings suggest the hardship undergone by the Korean immigrants, While, in Ahn Soogil’s novels, the uncultivated land is full of hope and human touch and it is the basis for a well-fed and well-clothed life. Although wild, it is the guarantee of the prosperous life if cultivated. Furthermore, as far as the homeless and miserable Korean immigrants are concerned, the land is the heaven-sent ground on which their ‘ideal village’ can be setup. The descriptions of the land in Manchuria in the novels written by Ahn Soogil embody the desire for settlement, which can be summarized by the concept ‘the spirit of a northern hometown’. ‘The spirit of a northern hometown’ penetrates throughout the whole novel of 『Bukhyangbo』which expo...

      • KCI등재

        안수길의 해방전후 "만주" 서사에 나타난 민족 인식 -타민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해영 ( Hai Ying Li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0 No.-

        이 글은 안수길의 해방전후 “만주” 서사에서 민족주의의 주요한 표상의 하나인 민족 인식에 대해 타민족과의 관계 즉 중국인과 일본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안수길의 만주국 시기 소설에 나타난 민족관계는 대체로 “민족협화”에 기초하고 있는데, 청국인에 대해서는 우호적 시각과 함께 연대의 사상을 강조한 반면 일본인에 대해서는 그다지 조화롭지 못하고 껄끄러우며 분명한 거리 두기를 하고 있다. 이는 안수길이 만주의 진정한 주인을 만인즉 인구의 대다수를 점하는 한족과 만족으로 보았기 때문이며 지배적 위치에 있는 일본인은 그저 남의 땅에 침입한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조선인은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이 “남의 땅”에 이주해 살지만 일본인과 같은 지배자가 아니며 또 그렇게 되어서는 안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방 후, 안수길의 “만주” 서사의 대표적 작품인.북간도.는 이와는 매우 다른 민족관계를 보여주었다..북간도.는 “간도는 우리 땅”이라는 고토 회복론에서 출발하여 청국인과의 원론적인 대결과 항일독립투쟁을 전면에 부각시킨다. 이는 안수길이 만주 이민을 “우리 땅”에 농사 지으러 간 당당한 역사와 항일독립운동사 중심으로 서사화함으로써 만주 출신 전재민의 민족적 주체성을 세우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독립군이었던 정수가 스스로 일본 경찰에 자수하는 것과 독립군이었던 아들 정수를 자수하도록 권고하는 창윤의 변화는 일본의 간도 침략 정책에 서서히 침윤되어가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며 이는 안수길의 만주 체험의 원형이 은밀하게 작동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북간도.에 나타난 청국인과 일본인과의 관계는 만주국 시기 소설에서 보여주었던 청국인과의 연대와 일본인과의 거리 두기와는 매우 다르다. 이는 만주국 시기에는 일본의 검열법 통과와 함께 친일에 대한부담을 안수길이 느끼지 않을 수 없었으나, 해방후의 남한에서는 만주 출신 전재민들의 친일 전적이 크게 문제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의 만주체험의 원형이기도 했던 일본과의 타협이 은밀하게 작동했던 것이다. This thesis discussed about the national recognition in An Soo-gil`s novel, as an important symbol of nationalism, by observing the relations with other nationalities like Chinese and Japanese. The national relations in An Soo-gil`s novel during Manchu empire period were mostly based on the "Ethnic Harmony". The friendly attitude and close connection towards Chinese in Qing dynasty was emphasized while disharmonious and uncomfortable feeling and also distinct sense of dista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as emphasized on the opposite, which was the result of An Soo-gil`s view that Manchurians and the Han people who took the largest part of the population were the real master of Manchukuo, Japanese who took the dominant position were only the aggressors and Koreans as the immigrants who had to move and settle on the "other`s land" for survival were different from Japanese dominants and also could not become the same dominants. However, after the liberation, An Soo-gil`s Bukgando as the representative work of his novels about "Manchukuo" showed a very different national relations to readers. From the view of the recovery of native land, Bukgando announced that Gando was our territory, tried to arouse the confrontation with Chinese for the fundamental reason and totally highlight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struggle. An Soo-gil tried to set up the national identity of refugees in Manchu by narrating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history that the Koreans immigrants had immigrated into Manchu to do farm work on "native land" as a resonable historical fact. However the event that Jungsu, a soldier of national independence army before, gave himself up to the Japanese police and the change of his father, Changyun, who had persuaded Jungsu to give himself up showed the fact that people were gradually effected by Gando invasion policy of Japan. Meanwhile, this also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An Soo-gil`s experience in Manchu. Like this, the relations between Koreans and Chinese and the relations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presented in Bukgando are very different from his novels in Manchu empire period which showed the close connection with Chinese and the repulsion towards Japanese. This is because that with the Japanese censorship law in Manchu empire period, An Soo-gil must have felt the stress of pro-Japanese and tried carefully to get rid of the suspect but in Sou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pro- Japanese experience or behavior of the refugees from Manchu before might not arouse big problems. This may also be seen as the prototype of his experience in Manchu and the result of his convert compromise towards Japan.

      • KCI등재후보

        안수길의 만주체험과 재현의 정치학-국민국가체제 내에서의 디아스포라적 상상력-

        김재용 만주학회 2011 만주연구 Vol.- No.12

        만주국에서 활동하던 작가들은 해방 후 남한,북한 그리고 중국을 선택하여 그곳에서 작가활동을 계속 하였다.안수길은 남한을 선택한 작가 중에서가장 문제적인 인물이다.전쟁이후 그는 만주를 배경으로 한 작품들을 발표하였는데 장편소설 북간도 는 그 대표적인 작품이다.일부의 학자들은 이작품에서 드러난 만주 인식이 해방 전의 그의 작품과는 단절되어 있다고 보고 그 이유로 민족주의의 개입을 들고 있다.해방전 안수길 작품에서의 만주를 바라보는 시선과 해방후 안수길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만주에 대한 시선은 별로 다르지 않은데 그 양자 모두 기본적으로 국민국가 체제 내의 디아스포라적 시각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다.안수길은 국민국가체제 내에서국가의 보호 없이 살아간다는 것의 어려움과 더불어 국민국가체제의 억압적 측면을 동시에 그려내고 있다.반면에 북간도 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전반부와 후반부 사이의 단절과 어긋남은 당대의 반공 이데올로기의 검열에서 비롯된 것으로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와는 무관하다.안수길은 1924년에 만주로 이주하였는데 정작 자신이 잘 알고 있던 이 시기에 대해서는북간도 에서 거의 그리지 못하고 주마간산으로 지나간 반면,자신이 체험하지 못하였던 이전 시기에 대해서는 핍진하게 그려내고 있다.이러한 단절은작가능력의 부실함이나 민족주의적 개입과는 무관한 것으로 당대의 지배이데올로기인 반공 반북 이데올로기의 간섭 때문이라 할 수 있다.해방 이후안수길이 만주를 재현하려고 했을 때 반공반북 이데올로기는 큰 걸림돌로작용하였다.

      • KCI등재

        재만주(국) 작가 안수길과 ‘얼되놈’의 자리-이념적 폭력의 공간에서의 글쓰기와 작가의 윤리-

        정주아 만주학회 2013 만주연구 Vol.- No.16

        이 논문에서는 만주국의 재만조선인 작가였던 안수길의 작가윤리를 ‘얼되놈’과 ‘얼되놈의 자리’라는 키워드를 통해 논의하였다. ‘얼되놈’은 해방 이전과 이후를 관통하여 안수길의 소설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주요 갈등요인으로, 중국인의 위세를 업고 조선인 위에 군림하려 수탈한 조선인을 가리킨다. 재만조선인 집단에서 보자면 이들 ‘얼되놈’은 이주민 내부의 치부(恥部)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로써 안수길의 소설에 나타난 내부 응시자로서의 시선이 갖는 가치를 논하였다. 나아가 안수길이 해방 이후 『북간도』를 집필하면서 단순히 ‘얼되놈’ 자체를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얼되놈’의 발생사를 설명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은, 만주국에서 이민족과 타협하고 때론 그들에게 굴종하며 생존의 길을 모색해야만 했던 재만조선인 일반의 딜레마를 형상화한 것이라 보았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사유의 확장을 ‘얼되놈’이라는 존재보다 ‘얼되놈의 자리’라는 관계 양태로 작가적 관심이 옮겨간 것이라 해석했다. 이권 다툼 및 권력 문제가 개입된 이민족 간의 대면 상황에서 ‘얼되놈의 자리’란 생존 및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구조적으로 미리마련될 수밖에 없는 자리이다. 실상 ‘얼되놈의 자리’는 만주국 치하 『만선일보』에서 일했던 ‘얼왜놈’으로서의 안수길이 놓였던 자리나 마찬가지인 것이다. 이에 문제는 ‘얼되놈의 자리’에 놓인 개인의 자기반성 및 윤리의식이 될 수밖에 없다. 이 글에서는 해방 전후 안수길의 소설이 세속적인 타락과 주류에의 맹목적 추종을 경계하는 방식으로, 자기응시를 통한 반성 작용 속에서 작가로서의 윤리의식을 문제 삼고 있음을 밝히고, 이로써 재만조선인 작가안수길의 글쓰기 행위가 갖는 의의를 해명하였다.

      • KCI등재

        ‘만주국’ 조선계 문단에서의 향토 담론과 안수길의 『북향보』

        이해영 만주학회 2017 만주연구 Vol.- No.23

        This paper is a study on hometown discourse and the Korean literary world’s writing style influence on ‘Manchukuo’ and An Soo-gil's novel Buk Hyang Bo. As part of the hometown discourse of Imperial Japan, the hometown discourse of the Korean literary world started with “The Manchurian Korean Literature Construction” published in Man Sun Daily in the early 1940 and the “Japan․Korea․Manchukuo’s Cultural Forum” held by Man Sun Daily one month later. Basically, the discourse emphasized the uniqueness of Korean literature, but its essence was the preserv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Manchukuo which was realized with the preserving of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Korean. Yeom Sang-seop was the representative writer who actively pursued a theoretical search for the practice of the Korean literature in Manchukuo, and in essence preserved Korean literature. By his unique political sensitivity, he pointed out that “this guideline should penetrate to the pioneer group and should be used to foster the new-born literary activities of the pioneer group” mentioned in “Art and Literature Guidelines” was the basis of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in Manchukuo. He also pointed out that ‘Manchukuo’ national literature based on the pioneer literature could also be guaranteed in this way. An Soo-gil actively practiced Yeom Sang-seop’s literary theory and thought that Buk Hyang Bo was the first novel-cum-anthology of his works in Manchukuo period. An Soo-gil confirmed Korean peasants’ qualification as citizens of Manchukuo according to their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Manchukuo in Buk Hyang Bo, and especially emphasized the contribution of rice cultivation or the “reclamation of the paddy field”. Following Yeom Sang-seop’s thought, An Soo-gil also thought that this was a way for Korean peasants to become citizens of Manchukuo, meanwhile, the pioneer literature of Korean people and the peasant literature were the form of pioneers’ mind and the source of their mental power. For this reason, the literary thought shown in the preface of the Yeom Sang-seop in the first collection of Korean literature in Manchukuo, Burgeoning Earth and the literary thought was presented in the preface of the anthology of An Soo-gil’s works. Bukwon was a kind of spiritual pillar and food for An Soo-gil, with which he wrote Buk Hyang Bo. 이 글은 ‘만주국’ 조선계 문단의 향토담론과 그 맥락 속에서 안수길의 장편소설 <북향보>를 살펴보았다. 제국 일본의 향토담론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만주국’ 조선계 문단의 향토 담론은 1940년 초의 “만주조선문학건설신제의”를 제목으로 한 <만선일보> 지상토론과 이어 약 한달 뒤 <만선일보>사 주최로 이루어진 “내․선․만 문화좌담회”로부터 시작되었으며 기본적으로 ‘만주국’ 조선계 문학의 독자성을 강조하였으나 그 본질은 만주에서 조선문학의 보존, 즉 조선어로 창작되는 조선문학의 보존에 있었다. 조선문학의 보존을 핵심으로 하는 ‘만주국’ 조선계 문학의 실천을 위한 이론적 모색에 적극 나선 대표적 작가는 염상섭이다. 염상섭은 그 특유의 날카로운 정치적 감각으로 일제가 1941년 ‘만주국’에서 반포한 “예문지도요강” 중의 “예문을 개척단까지 침투시키고 싹트기 시작한 개척단의 신생문예활동을 육성해야 한다”는 조항에서 만주에서 조선문학이 보존되고 발전될 수 있는 구체적인 근거를 확보하였으며 그 방안으로 개척문학에 근거한 ‘만주국’ 국민문학으로서의 자격확보를 제시하였다. 안수길은 만주시기 작품의 총 결산이자 그의 최초의 장편소설이기도 한 <북향보>에서 염상섭의 이러한 문학이론과 사상을 적극 실천하였다. 안수길은 <북향보>에서 만주 개척의 공로를 통한 조선농민의 ‘만주국’ 국민으로서의 자격을 확인함과 동시에 벼농사, 즉 수전개간의 공로를 특별히 강조하였다. 이는 조선농민이 ‘만주국’의 국민이 되기 위한 길은 수전개간으로써 만주의 농업건설에 기여하는 것이며 조선인 개척문학 내지 농민문학은 그러한 개척민의 마음의 양식인 동시에 정신적 원동력의 공급원이 되기 때문이라고 한 염상섭의 문학사상과 동궤에 놓이는 것이다. 결국 염상섭이 재만 조선인 첫 작품집 <싹트는 대지>의 서문과 특히 안수길의 개인 창작집 <북원>의 서문에서 보여준 문학사상은 안수길에게 일종의 정신적 기둥이자 식량이 되었을 것이고 안수길은 그것을 『북향보』의 창작지침으로 삼았을 것이다.

      • KCI등재

        안수길의 <토성>과 고정(古丁)의 <막리(莫里)>에 나타난 아편

        장춘매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7 No.-

        아편은 중국근대사에서 서구열강이 청나라의 대문을 열어준 열쇠이고, 일본이 중국 동북을침략한 도구였기에 중국근대문학에서 아편은 부정적인 이미지로 나타났다. 위만주국 시기 일본침략 현실을 다룬 고정의 소설 <막리>에도 아편은 만주 인민의 신체를 마비시키고 청년들의 항일 정신을 약화시키는 독약으로 그려진다. 그러나 고정과 같은 시기에 만주에서 활동한조선인 작가 안수길의 소설 <토성>에서는 아편이 조선인들이 빈곤에서 벗어나고 큰돈을 벌수 있게 해주는 다소 긍정적인 존재로 나타난다. 이렇게 두 작가가 아편의 기능을 다르게 그려낸 이유는 세 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첫째, 민족이 다르기 때문에 안수길은 조선인으로서 아편이 동포들에게 가진 경제적 이득만 바라보고, 고정은 한인으로서 동포들에게 입힌 고통만 보았다. 둘째, 현실대응 방식이 달라서 안수길은 일본통치 정책을 순응하는 태도로 아편정책을 받아들이고, 고정은 일본의 암흑 통치에 간접적으로 저항하는 태도로 아편정책을 인내했다. 셋째, 두 작품의 창작한 시점이 다르다는 점이다. 1941년에 <토성>을 창작한 안수길은 만주국을 인정하고 일본의 통치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지만, 1936년에 <막리>를 쓴 고정은 일본의 통치에 소극적으로 저항하는 자세로일제의 아편정책을 비판한 것이다. Opium was the key to the opening of Qing dynasty in the modern Chinese history, and opium appeared as a negative image in the modern Chinese literature, as it was the instrument with which Japan invaded Northeast China. In Gu Ding's novel <Moli> as well, which depicts the aggression of Japan during the time of Manchukuo, opium is portrayed as a poison that paralyzes the body of Manchuria and weakens the anti-Japanese spirit of youth. However, a Joseonin writer, Ahn, Su-gil's novel <Toseong> in Manju at the same time as Gu Ding shows a somewhat positive image as opium makes Joseon people free from poverty and earn a big money. There are three reasons why the two writers portrayed the functions of opium differently. First, Ahn, Su-gil, as Joseonin, saw only the economic benefits that opium had for his compatriots, and Gu Ding saw only the suffering of compatriots as Chinese. Second, as they have different ways to respond to the reality, Ahn, Su-gil accepted opium policies in a manner that conformed to Japanese governing policy, and Gu Ding endured opium policy in an indirect resistance to Japan's dark rule. Third, the time of creation of the two works is different. Ahn, Su-gil, who created <Toseong> in 1941, acknowledged Manchukuo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Japan's governing policies, but Gu Ding, who wrote <Moli> in 1936, criticized Japan's opium policy in a passive stance against Japan's rule

      • KCI등재

        만주국 ‘鮮계’ 문학 건설과 안수길

        이해영(李海英),임몽(林夢)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0

        이 글은 안수길의 ‘만주국’시기 창작활동을 만주국 ‘鮮계’ 문학 건설과의 관계속에서 살펴보았다. 만주국 ‘선계’ 문학 건설이란 만주국의 한 구성원으로서 일계, 만계와 함께 만주국 문학장에 편입됨을 의미하며 이는 만주국의 ‘오족협화’이념에 기반한 것이다. 조선에서 날로 강화되는 일제의 ‘내선일체’의 강요에서 벗어나기 위해 만주로 이주한 조선인 작가들은 같은 일제의 지배논리이기는 하지만 ‘내선일체’ 보다는 ‘오족협화’를 좀 더 나은 것으로 파악했으며 만주국의 지배이념인 ‘오족협화’를 적극 이용하여 만주국에서 조선인 문학을 적극 발전시키려고 하였다. 또한 만주국의 성립과 함께 간도의 조선인 민회 등 단체들은 간도 조선인의 자치를 더욱 강력하게 요구하였으며 만주국 정부 직속의 간도자치론으로 그 방향이 점차 확정되어갔다. 그러나 만주 조선인의 대표적인 작가였던 안수길에게 만주는 선택이 아닌 삶 그 자체였고 그에게서는 여타의 작가들이 보여준 ‘내선일체’와 ‘오족협화’ 사이의 긴장이 없었다. 안수길은 만주국 건국 이전에 조선계 농민들이 만주의 개척과 수전개간에 대한 기여를 통해 조선인의 ‘만주국 국민’의 자격을 확인하였으며 ‘만주국’이 적극 장려하는 유축농업을 발전시키고 농민도를 확립하는 것이야말로 ‘만주국 국민’이 되기 위한 길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농업 만주’의 건설과 ‘수전 개간’에 대한 조선인만이 가능한 특수한 기여를 통해 ‘만주국 국민’이 되어야 한다고 했던 염상섭의 사상과 동일한 맥락에 놓여있다. 안수길은 이러한 ‘만주국 국민’되기의 끝, 즉 최종목표는 만주국의 ‘오족협화’게 기반한 조선인의 ‘자치’라고 보았다. Mainly starting from the interrelationships in the establishment of the Manchu-Korean literature in the Manchu empire, this paper does study on Soogill An’s creative activities during the Manchu empire period. Based on the concept of “the Harmony of Five Nationalities”, the establishment of the Manchu-Korean literature meant that the Manchu-Korean literature as a part of the Manchu empire’s literature, composed the the Manchu empire’s literary field with Japanese and Manchurian literature. With the constantly reinforced “Japan-Korea Integration” policy by Japan, Korean writers who immigrated to the Puppet Manchu empire in order to get rid of high-pressured bondage preferred “the Harmony of Five Nationalities” than “Japan-Korea Integration” and took use of the colonial concept of “the Harmony of Five Nationalities” to develop the Manchu-Korean literature in the Manchu empire. Besides thi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anchu empire, some groups which are like Korean Civic Union in Gando more strongly required the Korean autonomy in Gando and gradually confirmed the direction of building the autonomy in Gando under the the Manchu empire’s government. However, for Soogill An who was the one of the Korean representative writers in the Manchu empire, Manchu is not an option but the whole of his life, so different from other writers he didn’t hesitate between “Japan-Korea Integration” and “Republic of Five Nationalities”. With the fact that before the Manchu empire’s establishment Korean farmers had joined the development of Manchu and contributed to its agriculture, for example, “Paddy Cultivation”, An Soogill believed that those Korean people had the right to become the Manchurian people and to become the Manchurian people, Korean people must develop the “Animal Agriculture” which was encouraged by the Manchu empire and forster farmer’s spirit. This is in the same context with Yoem Sangsub’s idea that Korean people should do special contribution in building “Agricultural Manchu” and “Paddy Cultivation” to get the qualification to become Manchurian people. The final intention of becoming Manchurian people which An Soogill suggested was to realize Korean people’s autonomy on “the Harmony of Five Nationa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