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이웨이웨이(艾未未)의 참여미술 속 풍자와 은유

        정창미(Chung, Changmi)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6 美術史學 Vol.- No.31

        중국의 현대미술가 아이웨이웨이(艾未未)는 개인의 자유와 인권침해 문제를 다룬 사회운동에 동참하고 이를 작품으로 가시화했다. 그의 작품은 단순히 사건을 재현해내는 것만이 아닌 작가 특유의 풍자와 은유를 담아내고 있어 대중이 사회, 정치적인 문제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했다. 본 연구는 2005년 이후부터 아이웨이웨이가 블로그를 활용하여 본격적으로 대중과의 협업을 시도한 작품 <동화>에서부터 작가 자신이 점차 적극적으로 현 사회문제에 참여하며 표현한 작품세계의 형성과 특징, 그리고 대중과 공유하는 형식을 살펴봄으로써 중국현대미술의 새로운 기초자료를 형성하고자 한다. 유년시절부터 정치적 이해관계로 인해 하방된 아버지 아이칭(艾靑)을 따라 신장(新疆)에서 생활하며 자유와 인권이 박탈된 삶을 살았던 아이웨이웨이에게 있어 인권 문제는 그의 작품 속에 끊임없이 대두되는 주제였다. 2007년 독일의 카셀도쿠멘타에서 선보인 <동화>는 블로그를 통해 모집한 1001명의 중국인들과 함께 한 작업으로 참여미술의 핵심요소인 대중들의 자발적 참여에 의해 이루어진 대규모 프로젝트였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줄곧 스스로 주창해 온 “생활의 예술화, 예술의 생활화”를 구현했을 뿐만 아니라 이것은 이후 그가 중국의 현실문제에 대해 언급한 작품들을 제작함에 있어 새로운 전개 방법을 구사할 수 있게 해 주었다. 2008년 5.12 쓰추안 대지진사건 이후 아이웨이웨이의 사회문제를 다룬 작품은 보다 직접적이고 활발히 전개되었으며 작품의 제목, 소재, 제작방법 등에 사건을 암시하는 다양한 은유적 표현과 풍자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행위미술, 설치미술, 사진, 영상 등 다매체를 통해 선보이고 있는 그의 참여미술은 사회문제를 다룬 현실참여 미술의 성격이 강화되었고 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중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전달되며 강한 파급력을 형성했다. 그가 활발하게 인터넷 매체를 활용하고 있는 것은 작품의 제목과 퍼포먼스 등에 사용된 ‘차오니마(草泥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2009년 중국 정부의 과도한 인터넷 검열에 대한 네티즌들의 저항에서 시작된 용어인 ‘차오니마’는 동음이의어적 표현으로 사회문제를 풍자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2011년 4월 아이웨이웨이는 중국 정부에 의해 81일간 구속 수감되었으며 이후 2015년 7월 자신의 여권을 돌려받기 전까지 중국내 가택연금과 출국금지 상태에 놓였었다. 이 시기 전 세계의 미술 관계자들뿐만 아니라 인권존중을 지지하는 수많은 사람들은 아이웨이웨이를 지지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했고, 그 또한 자신이 경험한 상황을 풍자화한 작품을 지속적으로 전 세계에서 전시했다. 아이웨이웨이의 과감한 현실참여 미술은 종종 그를 사회운동가로 볼 것인가 예술가로 볼 것인가 하는 문제에 봉착하게 한다. 예술과 정치, 예술과 사회에 대한 문제는 동서고금을 통해 오랫동안 논의된 주제로 근대사회 이후 보다 대중적으로 가시화되었다. 아이웨이웨이의 작품은 대중과 함께 체험하고 공감하는 영역을 중시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그의 참여미술에 대한 평가 또한 대중 즉 관람자들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다. 2011년 그의 구금사건 때 보여준 전 세계의 반응을 고려해 본다면 그의 작품은 예술과 사회가 분리될 수 없는 공생의 위치에 있으며 작가는 매개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중국 현대미술 작품에서 문화 유물의 재탄생 - 아이웨이웨이와 송동의 작품을 중심으로 -

        김도연 ( Kim Doyeon ),김홍중 ( Kim Hongjoo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6 예술과 미디어 Vol.15 No.4

        중국 현대미술은 지난 30년간 급속한 변화와 발전을 겪어 왔다. 새롭게 서양의 현대미술과 사상을 받아들인 작가들은 빠르게 이를 습득하고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소화하였다. 1980년대가 중국 현대미술이 서양의 현대미술을 배우고 익히는 시기였다면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이르러 중국 현대미술 작가들은 새로운 관점에서 현대미술을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과 해석 중에서도 본고가 주목한 것은 레디메이드 방식의 오브제 작품들이다. 특히 중국 작가들 중 일부는 문화적 유물 그 자체를 이용한 레디메이드 작품을 제작하였는데 본고는 그 대표적인 작가로 아이웨이웨이와 송동의 작품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이 두 작가의 작품들은 중국의 긴 역사와 방대한 문화 자체를 그대로 드러냄으로 강력한 중국 성을 지닌다. 이 작가들은 왜 이렇게 문화유산을 이용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무엇을 드러내고자 하는 것일까? 이러한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본고는 세 가지 방식, 파괴, 변형, 수집으로 문화유산을 이용한 작품들을 나누어 연구하였다. 아이웨이웨이는 한 대의 도자기와 같은 역사적 가치를 가진 유물을 떨어뜨려서 깨어버리거나 그 위에 새로운 색을 입히는 등 폭력적이고 파괴적인 방식으로 문화유물을 작품에서 이용한다. 이러한 그의 행위는 문화혁명과 언론의 탄압 등의 중국 현대사와 작가 자신의 개인사와 겹쳐져 더 많은 해석의 여지를 제공한다. 변형은 오브제를 활용한 작품들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식이다. 높은 가치를 지닌 명대의 가구를 해체하고 재조립하여 가구의 용도를 바꾸는 아이웨이웨이의 변형은 가구에서 작품으로 오브제의 가치를 변화시킨다. 송동은 아이웨이웨이와 달리 흔하게 버려져 있는 창문틀과 문틀로 조각적인 오브제를 만든다. 송동은 오랜 기간 동안 각종 생활 용품을 수집한 어머니와 함께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 수집품들은 지극히 사적인 물건들을 통해 현대 중국의 가까운 과거를 다시 돌이킨다. 이렇게 특별한 가치를 지닌 사물들로 제작된 레디메이드 작품들은 기존의 뒤샹의 레디메이드와 완전히 다른 맥락에서 오브제를 이용하고 있다. 이들은 서사성을 강조하고, 개인적인 취향을 강하게 드러내며 시각적인 효과를 이용하는 것에도 주저하지 않는다. 특히 전통과 문화적 정체성을 주저하지 않고 강조하는 것은 후동방주의와 같은 선상에서 중국 현대미술의 대표적인 전략 중 하나이다. 중국의 전통과 정체성을 드러내는 현대미술의 전략과 작품에 대한 이해는 전통과 그의 활용이라는 동일한 과제를 지닌 우리 현대미술에도 의미 있는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Contemporary art in China has experienced huge changes and rapid advances for the past 30 years. While 1980s was time for Chinese contemporary art to grasp and learn that of western, in 1990s and 2000s Chinese contemporary artists started to produce their works interpreting contemporary art in a new perspective. Among these new trends, this article focused on ready-made object works. Some Chinese artists particularly have produced ready-made works adopting a few artifacts that reflect China`s culture and history, which can be well exemplified by works of Ai Weiwei and Song Dong. Ai and Song both possess strong "Chinese" identity by revealing China`s long history and copious cultural identity itself in their works. Why do they use cultural heritage in their works and what do they want to represent through it?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examines the works that made use of cultural heritages in three subcategories: destruction, transformation, and collection. Ai uses cultural heritages in violent and destructive ways, such as breaking or re-coloring old Han dynasty porcelain to make his art works. His act overlaps with the artist`s personal history and the Chinese modern history including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repression of the press, leaving more room for interpretation. Transforma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ways when artists use objects in their works. Ai transforms Ming dynasty furniture that has high value in antique market into his own works, which alters the value of the objects from antique artifacts to art works. Unlike Ai, Song has made sculptural objects using many common items, such as old and abandoned window frames and door frames. Song also made some installations with his mother, who has a huge collection of old daily supplies. This personal collection brings back the near past of China. Ready-made art works which are made from items that have special values use objects in a context completely different from Duchamp`s. These works emphasize narrativity, strongly show personal preference, and have no hesitation in using visual effects of objects. Decidedly emphasizing tradition and cultural identity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trategies of Chinese modern, and it can be understood in association with the notion of Post-Asianism. Comprehending the strategy and works of contemporary art revealing Chinese tradition and cultural identity is expected to be a significant example for Korean modern art that shares the same task such a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radition.

      • KCI등재

        도자 매체를 활용한 중국 현대조형미술 연구 : 아이웨이웨이, 리우지엔화, 리샤오펑 중심으로

        이영미(Lee Young mi),서아란(Seo A ra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4

        동시대 중국현대미술은 세계인의 많은 기대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중국현대미술은 서양의 어떤 회화양식보다 그들만이 가진 독특한 정체성과 이데올로기가 결합되면서 차별성을 현저히 보여준다. 1980년대에는 예술가들이 이데올로기에 대한 문제와 갈등을 표현하는데 목적이 있었다면 90년대 중국사회는 경제발전으로 인한 물질주의가 화두가 되며 그로인해 잃어버린 그들의 역사적 기억을 문화정체성 재건이라는 명제로 예술가들의 창작행위가 시작되었다. 장성(만리장성), 도자기 같은 실체에 집중하며 이를 다양한 표현방식으로 나타낸다. 그러한 과정에서 중국의 전통성과 정신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도자 매체에 예술가들이 집중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도 도자 매체가 중국현대미술에서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는지, 그리고 도자 매체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재조명하는데 있다. 이 글에서는 아이웨이웨이(Ai Weiwei), 리우지엔화(Liu Jianhua), 리샤오펑(Li Xiaofeng) 3명의 작가 작품을 통해 중국현대미술에서 도자매체를 다루는 방식과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전에 중국현대미술에서 1980년대 이후 사회와 예술의 관계, 이를 편의상 미술계의 큰 화두가 된 사건들과 기록으로 나눠 살펴보았고 그로 인해 발생된 여러 미술양식과 종류에 대해 논하였다. 이는 도자 매체의 현대성이 미술계의 다양한 사건과 양식에 얽혀 나타난 현상으로 보며 작가 분석을 하기 위한 단서로 제공되었다. Contemporary Chinese art has become the subject of expectation and interest to the people of the world. As it fuses its own unique identity and ideology, more than any painting method of the West, contemporary Chinese art strikingly displays its distinction. If the artists of the 1980s aimed at expressing problems and conflict over ideology, then to the Chinese society of the 1990s, the hot issue was the resulting materialism of economic development, which promoted the creative acts of artists into the proposition of restoring a cultural identity from the their lost historical memory. Focusing on an actuality like the Great Wall and Ceramic, they express this in various ways. During this process, artists came to concentrate on the ceramic medium, which may be regarded as the spiritual symbol and traditionality of Chin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was to find out how the ceramic medium was used in contemporary Chinese cart, and again organize the importance of this medium. This paper analyzed how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handling the ceramic medium was conducted in contemporary Chinese art through the works of three artist, who are Ai Weiwei, Liu Jianhua, and Li Xiaofeng. In adv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art during the 1980s was examined, and for convenience, in the form of records and events that were hot issues in the art world during the day so as to discuss the various types of art forms which resulted. This is viewed as a phenomenon in which various events and forms of the art world become entwined with the contemporaneity of the ceramic medium, which provides a clue for analyzing the artists.

      • KCI등재

        포스트 진실 시대의 예술: 동시대 예술의 이율배반적 조건들

        최종철 ( Jong-chul Choi ) 한국미학예술학회 2021 美學·藝術學硏究 Vol.63 No.-

        본 논문은 진실의 가치가 위협받고 거짓이 득세하는 ‘포스트 진실 시대’에 예술의 달라진 위상과 가치에 대해 논한다. 가짜뉴스, 왜곡된 통계와 정보, 기만적이고 편향된 정치적 담론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 포스트 진실의 문제들은 법적, 정치적 수단으로 쉽사리 해결될 수 없는 매우 심중한 부정성을 드러내고 있는 반면, 동시에 표현의 자유, 참여 정치, 뉴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남기며 진실/진리의 가치에 대한 보다 확장된 사유의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동시대 문화의 이율배반적 조건들을 크게 세 가지 ― 포스트 진실 / 포스트 미디어 / 포스트 예술 ― 로 나누어 고찰해 보고, 이러한 조건들을 전면화하는 현대미술의 예로서, 아이 웨이웨이, 포렌식 아키텍쳐, 그리고 왈리드 라드의 작업들을 분석해 볼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비진실과 탈매체, 반예술적 태도를 공공연히 드러내는 동시대 예술의 이율배반적 실천들이 어떻게 당대의 정치 사회적 문제들을 포괄해 가는지, 그리고 이러한 실천들 속에서 예술은 진리와 연관된 자신의 임무를 어떻게 지속하고 또 쇄신해 가는지 살펴본다. This paper investigates art’s new task and role in the ‘post-truth’ era where facts lose their grip on reality in the rise of fakeness that is more truthful than truth. The post-truth syndromes symptomized by fake news, manipulated information, deceitful and biased political opinions pose a concern that can hardly be resolved by any legal actions, while it also leaves a positive expectation about widening freedom of expressio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he role of new media, reassuring the possibility of reimagining the notion of truth. This paper delves into this antinomy of the post-truth syndrome, specifically focusing on three conditions: post-truth, post-media, and post-art, each of which illustrated by three recognized artists ― Ai Weiwei, Forensic Architecture, and Walid Raad, whose practices are set on a new relationship to the truth in question. Throughout the paper, we explore how these post-truth artists make convincing accounts of contemporary society, and how such accounts renew their tasks long related to the classical notion of truth.

      • KCI등재
      • KCI등재

        아이웨이웨이(艾未未)의 작품 속 오브제를 통한 기억 재현

        배현진 ( Bae Hyun Ji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1 동양예술 Vol.50 No.-

        Ai weiwei(1957-) is an installation work through objets, containing a common mem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society, the subversion and dissolution of traditions, and the inner trauma of the community. From the 1980s, he began to produce works using everyday objects such as clothes, hangers, shoes, and furniture, and since the 1990s, he has carried out handicraft and labor-intensive large-scale installations through repetition, arrangement, overlapping, and accumulation. Ai weiwei uses the formative principle that leads to repetition and overlap of everyday objects, dissolution and distortion, and through this, reveals private and public memories, and reveal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two opposing perspectives in which a single entity is infinitely created and dismantled. As such, metaphors through objets bring back memories from forgetting about existence and absence, and these works make people confront uncomfortable memories of the past and look back on personal values hidden in the group.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memories and representations of history and disasters through works using Ai Weiwei's objects, and to identify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rimary historical and secondary collective memories. Furthermore, these work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go beyond the auxiliary function of memory on the premise of oblivion, and serve as a complementary function to ‘Remembering’ the reality that China is trying to conceal and suppress polit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 KCI등재

        아이웨이웨이(艾未未) 작품에 반영된 체제 비판적 요소

        박상미 ( Sang Mi Park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동양예술 Vol.26 No.-

        In this paper, study on critical element reflected work of art by Ai Weiwei was understanding of the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China. He``s artwork can also be connected with contemporary art, and Western culture has a deep relationship with the cultural heritage of China. Also it attempts to show that culture, politics and economy was crashing in the artwork. This study focus on finding the feature that appear to dissidents and social interaction in the reflected art by Ai Weiwei. Ai Weiwei previously thought political tendencies were shaped byexperience. So, prior to the study I look at the Chinese art in the 1980s and American art from the 1960s to 1980s. This background was continuous with initial artwork formation. Specially, When Ai Weiwei was in New York, he has received a lot of inspiration that an essential part of life and art from artists such as Andy Warhol(1928-1987) Marcel Duchamp(1887-1968). At that time, he was study to visualize on the individual``s life from photographic working. Since 1990, after returning to China Ai Weiwei tend to discusses as strong issues, political and criticaltasks, using the obscene images. His intial work deal with the truth and justice about society. Since 2008, artwork express to kind of political issues that government of corruption, human rights. Ai Weiwei’s purpose was to supports the freedom of human rights in the aesthetic expression. This working to be Ai Weiwei who is one of the main voices of chines dissent heard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Recently, Asian artist has been internationally working that mostly used eastern philosophy and asian identity. Ai Weiwei also would be show a asian culture about traditional china. but, he was not only express to the chinese identity but also deal with the social problem generality and individuality. Ai Weiwei’s art have a special thing that hegemonic problems express to the work that it surfaced directly. In the process, he must maintain boundary with aesthetic and communicative.

      • KCI등재

        아이웨이웨이(艾未未)의 초기 회화 연구

        鄭昌美(Chung Changmi) 미술사연구회 2020 미술사연구 Vol.- No.38

        Ai Weiwei is a Chinese contemporary artist who has been actively addressing China’s social issues through his works since the 2000s. At documenta 12, held between June 16 and September 23, 2007 in Kassel, Germany, he presented “Fairytale,” in which he invited 1,001 Chinese people to participate, bringing his work to international renown. He has been more known, however, as an artist–activist who goes head to head with the Chinese government by speaking out about China’s social problems unveiled in the aftermath of the Great Sichuan Earthquake on May 12, 2008. In a wide range of his works encompassing art installations, performance art, and video art, which have been brought to the attention of the international art scene, no paintings have been included. However, when Ai Weiwei participated in the first and second editions of the Stars Art Exhibition (Xing Xing Mei Zhan, 星星美展), which marked the beginning of Chinese avant-garde art in the late 1970s, all his exhibited works were, in fact, paintings. Furthermore, when he moved to New York to study art in the early 1980s, he worked mainly on paintings influenced by Pop Art and neo-Expressionism.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shed light on his artistic traits and styles shown through his early paintings and how these contributed to shaping and developing his artistic practice. Ai Weiwei is an acclaimed living artist who continues to take on new challenges even to this day, even exploring different artistic styles or views. Nevertheless, this article on this cultural figure who has become a pillar of the international art scene will play a key role not only in building a collection of material resources for contemporary art, which may hold up another future pillar or an alternative art scene, but also in opening a new platform for art discourses, by focusing on Ai Weiwei’s early, seemingly forgotten, paintings.

      • KCI등재

        중국 현대미술과‘ 노마딕 레디메이드’

        고동연(Dongyeon Koh) 현대미술사학회 2015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37

        Since the 2000s Ai Weiwei(艾未未) and Ni Haifung(倪海峰) has used readymade in their collaborative works to convey the dire circumstances in which Chinese workers can be compared with western consumers, especially under the western-centered market capitalism on a global scale. Hereby, I coined the term “nomadic readymade” to examine the recent development of readymade works transnationally manufactured and exhibited in contemporary Chinese art. Ai Weiwei’s Sunflower (葵花?, 2010) sheds a light upon the dire circumstances of the chinese workers under communist government while it also indicates the 17th and 18th century colonial history related to fair trade of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and Chinese porcelain workshops. In a similar vein, Ni Haifung collected 15 tons of left-over and garbage fabric from one of the factories in Habei(河北) area and exhibited at Manifesta in 2008 to make western audience/potentially consumer to stitch fabric and to question the division between Chinese workers and western consumers in Para-production (2007-2008).

      • KCI등재

        도나 해러웨이와 동시대 예술의 사이보그들 - 아이러니 개념을 중심으로

        구주현 현대미술학회 2021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5 No.2

        This study examines A Cyborg Manifesto written by Donna Haraway with contemporary artworks. In particular, the key points of A Cyborg Manifesto are viewed as the irony of cyborg identity and the irony of cyborg politics, and the specific aspects of cyborg identity and cyborg politics are examined, focusing on the two ironies. Through this, it would be revealed that the expanded concept of the cyborg from fictional one to social and metaphoric one can build our ontology and politics. Furthermore Olivia Hyunsin Kim’s <Say My Name, Say My Name> and Zach Blas’ <Facial Weaponization Suite> are examined as artistic examples of cyborg identity and cyborg politics. Finally, the need for artworks that contemplate scientific technology critically is suggested. 본 연구는 도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선언」을 동시대 예술 작품들과 함께 분석한다. 특히 「사이보그 선언」의 핵심을 사이보그 정체성의 아이러니 및 사이보그 정치의 아이러니로 보고, 두 아이러니를 중심으로 사이보그 정체성 및 사이보그 정치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핀다. 이를 통해 허구적인 것에서 사회적이고 유비적인 것으로 확장되는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개념이 우리의 존재론과 정치를 정초할 수 있음을 보인다. 나아가 올리비아 현신 킴의 <Say My Name, Say My Name>과 자크 블라스의 <얼굴 무기화 세트>를 사례로 들어 사이보그 정체성 및 사이보그 정치의 예술적 양상을 검토하고, 과학 기술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예술 작품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