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위-디오니시우스(Pseudo-Dionysius)와 비교해 본칼빈의 신비주의 사상

        주종훈 ( Jong Hun Joo ) 개혁신학회 2013 개혁논총 Vol.25 No.-

        개혁주의 신학에서 신비주의 내지는 신비주의 신학은 중요한 주제로 연구되지 않았다. 이런 배경속에서, 개혁주의 신학의 토대를 구축한 칼빈을 신비주의적 관점이나 신비주의 신학의 방법론을 통해서 해석하려는 노력도 그리 많지 않았다. 칼빈을 신비주의자로 간주하거나 그런 주장을 지지할 수는 없지만, 그의 사상에 나타난 신비주의적 측면을 부인할수는 없다. 이성이 주도하는 근대 신학의 관점에서 신비주의는 부정적인 측면에서 간관되어 왔으나, 신비주의의 핵심을 하나님의 임재 경험으로 간주할 때, 신비주의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가치있다. 동시에, 칼빈의 저술에 담긴 신비주의적 측면을 새롭게 드러내고, 재조명하는 것은 현대 개혁주의 교회가 교회의 제도뿐 아니라 일상에서 지속적으로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도록 이끌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고 가치있는 연구이다. 이 글은 칼빈을 신비주의자로 주장하기 위한 시도를 하지 않는다. 오히려, 신비주의 신학적 방법론을 활용해서, 칼빈의 사상에 나타난 신비주의적 요소와 특징을 정확히 규명한다. 동시에, 칼빈의 신비주의적 사상이 지금까지 알려진 사색적이고 사변적 전통적인 신비주의와 분명히 다르다는 것을 입증한다. 특별히 신비주의의 체계를 구축한 디오니시우스의 신비주의 사상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칼빈에게 나타난 신비주의적 사상의 특징이 어떤 점에서 개혁주 의적 독특성을 지니는지를 밝힌다. 칼빈은 이전의 신비주의전통을 따라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연합을 중심 주제로 받아들인다. 그는 때로 비평적이고 부정적으로 전통적인 신비주의 사상의 사변적이고, 우주적인 신인 연합방식에 대해서 공격하지만,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의 신비주의 체계와 전통을 완전히 파괴하지 않았다. 오히려, 하나님과 인간의 연합을 신학의 중심 주제로 이어 발전시켰으며, 사변적인 연합이 아닌, 성령을 통한 삼위 하나님의 주권적 일하심에 참여하는 신인연합을 주장함으로써, 개혁주의적 신비주의 사상을 구축시켰다. 이로써, 칼빈의 사상을 계승하는 개혁주의는 하나님과 인간의 거룩한 만남과 연합이라는 신비주의 사상의 핵심 주제를 예배와 일상에서 가장 중요한 원리로 실천해나간다. In Reformed academic circle, mysticism or mystical theology has not been a major research area. So, there are not many who attempted to interpret Calvin, a forerunner of Reformed theology, in light of mystical theology. However, although we could not regard Calvin as mystic, it is certain that there are mystical aspects in Calvin`s thought. So, it is necessary and even significant to probe the mystical thought in Calvin`s writings in order for Reformed tradition to keep practicing the divine presence in the liturgy as well as daily life. This article does not attempt to argue that Calvin was a mystic. Rather, with help of the methodology of mystical theology, it strives to prove that Calvin`s thought could be interpreted as a strand of mystical tradition. At the same time, this article tries to prove that Calvin`s mystical thoughts are distinctive by arguing that his mystical thought is not like the traditional speculative emysticism such as Pseudo-Dionysius. Calvin has the same goal and structure of mystical experience as previous mystical tradition: union with God and a hierarchical structure between human and God. Although he had critical and even negative perspectives on traditional mystical thoughts, Calvin did not deconstruct the previous Eastern and medieval Western paradigm of mystical tradition. Rather, being influenced by mystical tradition, Calvin responds to the mystical theology or mysticism by developing his own mystical theology rooted in the experience of the Triune God. For Calvin, the Holy Spirit is crucial in bonding humans and God as a Reformed distinctive aspect of mystical experience.

      • 유태교의 신비주의 하씨디즘

        최성식(Sung-Sik Choi)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6 종교문화학보 Vol.2 No.-

        유태민족의 오천 년 역사는 억압과 박해, 추방과 방랑으로 얼룩진 역사이다. 이러한 험난한 역사 속에서도 유태민족들이 오늘에 이르기까지 자신들의 동질성과 정체성을 고스란히 간직할 수 있었던 것은 종교의 힘이 결정적이었던 것 같다. 이 종교의 힘은 토라와 탈무드를 경전으로 삼는 유태교로부터 나온 것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유태인들의 역사와 함께 면면히 그리고 은밀하게 입에서 귀로 또 다시 입에서 귀로 단절 없이 이어져 후세에 전해 내려온 유태교의 신비주의로부터 나온 힘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유태교의 신비주의는 유태인들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어 고난으로 얼룩진 오천 년의 세월 동안 유태인들에게 역동적인 힘과 미래에 대한 희망으로 고난을 극복할 수 있게 해주었던 정신적 지주였다. 이 신비주의는 없는 듯하면서도 있고, 보이지 않는 듯하면서 보이는, 끊일 듯하면서 이어지고, 은은하면서도 때로는 강렬하고 열정적인 힘으로 끊임없이 그들의 삶과 역사에 영향을 미쳐왔다. 이 신비주의는 고난과 역경 속에 처한 유태민족에게 더욱 빛을 발하여 어둠을 밝혀 주었고 북극성처럼 희망의 길을 안내해 주었다. 그러나 이 신비주의의 광채는 고난과 역경이 사라지면 함께 사라져 없는 듯이 보인다. 그러다가도 다시 고난과 역경이 다가오면 또 다시 빛을 발한다. 유태교의 신비주의는 오랜 세월의 흐름 속에서 여러 갈래로 나누어지기도 하고 또 다시 하나로 통합되기도 하는 과정을 통해 여러 가지의 신비주의 운동을 낳았다. 그 대표적인 신비주의로는 중세에 등장한 ‘카발라(Kabbalah)’를 들 수 있다. 18세기에 들어서는 이전의 신비주의와는 전혀 다른 성격의 새로운 신비주의 운동이 싹트게 된다. 이는 신비주의의 마지막 운동이자 신비주의 최정상이라 할 수 있는 하씨디즘(Chassidism)의 등장을 말한다. 동유럽 폴란드를 중심으로 시작된 이 신비주의 운동은 19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 동유럽 전역과 오스트리아까지 확산되어 그 최고의 부흥시기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유럽에서 새로이 싹트기 시작한 자유주의의 물결과 함께 세속화의 물결이 유태인 사회까지 밀려오면서 곧 쇠퇴기를 맞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유태교 신비주의의 역사 속에서 등장하는 여러 갈래의 신비주의 운동을 살펴보고 유태교 신비주의의 최고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하씨디즘의 탄생배경과 그 가르침 또한 부흥과 쇠퇴 그리고 재부흥에 이르는 전 과정을 연구하여 정리하였다. The five thousand years of Jewish history is a history of oppression and persecution, exile and wandering. No matter how difficult things were, Jewish people never lost their identity because of their faith, Judaism. This religious power, Judaism, may have been derived from or based upon the Torah and the Talmud. Yet,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may be Jewish mysticism which is succeeded unceasingly throughout Jewish history. Jewish mysticism has been the spiritual prop and stay of the Jewish people to live dynamic and hopeful lives during long and difficult situations, even today. Jewish mysticism is paradoxical because it has influenced the lives and history of Jewish people directly and indirectly, leaving behind a soft or strong impression. This mysticism has led the Jewish people through hard times like the North Star. Jewish mysticism has a long history, but over time it has evolved from one to another. The most well known form of Jewish mysticism is Kabbalah which evolved during medieval times. Jewish mysticism is sometimes equated with Kabbalah. However,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yet another form of mysticism emerged. The eighteenth century was a great age for Jewish mysticism. Throughout history, Hasidism has held the greatest appeal and reached the highest development during times of disappointment. It became the antidote to despair. Hasidism arose in response to a terrible hopelessness. The Jewish people of the eighteenth century tasted a moment of redemption in the midst of their toil and the spirit of salvation in the midst of persecution. This movement spread quickly and was a powerful influence over all of Eastern Europe and Austria until the mid-nineteenth century. Eclipsed by the strong European secular liberalism, Hasidism eventually decayed. Other forms remained, but the spirit had fled. Yet, Hasidism had a profound impact upon Jewish life and religion. Even today, modern Israel reflects some of its ideals. Accordingly, this paper will show the various kinds of mysticism in Jewish History. It will especially focus on Hasidism, the flower of Jewish mysticism: the background of birth, main teachings, prosperity and decline, revival etc.

      • KCI등재

        신비주의란 무엇인가? -개념에 대한 오해와 유용성을 중심으로-

        성해영 ( Hae Young Seo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人文論叢 Vol.71 No.1

        신비주의는 종교사에서 많은 논란을 야기했고, 우리나라에서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이런 논란의 대부분은 개념 형성 과정의 특정한 역사적 경험이 과도하게 부각된 탓에 비롯되었다. 그 논란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신비주의는 비합리주의 혹은 반이 성주의다. 둘째, 신비주의는 초자연주의이다. 셋째, 신비주의는 이단 혹은 나쁜 종교다. 넷째, 신비주의 개념은 편견을 숨기고 있다. 다섯째, 신비주의는 비밀주의이다. 이 논문은 신비주의를 둘러싼 오해와 유용성에 초점을 맞춘다. 신비 주의가 구체적으로 어떤 논란과 오해를 야기했으며, 그러한 오해를 만들어낸 개념 형성의 역사를 검토한다. 이 글은 그 방식으로 구성 요소에 초점을 맞출 것을 제안한다. 구성 요소에 주목하는 방법은 개념에 수반되는 불확실성을 피하게 만들어 주어 신비주의의 유용성을 제고할 수 있다고 본다. 신비주의의 구성요소에 초점을 맞춘 개념 정의는 다음과 같다. 신비주의란 “인간이 궁극적 실재와 합일되는 체험을 할 수 있으며, 의식을 변화시키는 수행을 통해 체험을 의도적으로 추구하고, 체험을 통해 얻어진 통찰에 기초해 궁극적 실재와 우주, 그리고 인간의 통합적 관계를 설명하는 사상으로 구성된 종교 전통”이다. 신비주의는 여전히 유효하다. 그리고 신비주의를 둘러싼 논란은 역설적으로 신비주의의 역동성을 반영한 것이며, 이러한 역동성은 ‘체험,수행, 사상’이라는 차원에서 제기되는 여러 물음들을 통해 거듭 확인된다. 특히 다종교 사회인 우리나라에서 신비주의는 종교간 공존에 돌파구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통합과 합일을 지향하는 신비주의는 모든 것이 극단적으로 분리된 현대에 다시금 주목을 끌지만, 신비주의를 둘러싼 오해는 우리에게 신중함을 요구한다. 어지러울 정도로 많은 오해가 있는 우리나라에서 그러한 신중함은 신비주의의 유용성을 발견하는 첫 출발점이 될 수밖에 없다. Mysticism is a concept which has provoked much controversy in the history of religion. Since the beginning of the full-scale meeting of the East and the West, the term was been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tool for understanding human religiosity. At the same time, mysticism has been criticized as ‘devil worship’ or ‘heresy.’ Mysticism is composed of ‘mystical experience’, ‘mystical practice’ and ‘mystical thought.’ In Korea, this concept raised many misunderstandings, which is in fact not a unique situation. More specifically, the misunderstandings are as follows. First, Mysticism is a form of non-rationalism or anti-rationalism. Second, Mysticism is merely supernaturalism. Third, mysticism means heresy or bad religion. Fourth, the term mysticism hides certain biases contained within. Fifth, mysticism has same meaning as secrecy. These misconceptions have been derived from the Western historical context. Nevertheless, mysticism can function as a mirror that reflects our identity as it contains multi-dimensional aspects of religion. Furthermore, the mystical features of various religions can act as a bridge in a multi-religious society such as Korea. Hence it can be said that the term motivates inter-faith dialogue.

      • Unio Mystica와 Communio mystica : 기독교 신비주의에 대한 비판적 소고

        전광식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7 고신신학 Vol.- No.9

        1. 목하 한국교회에는 다양한 영성주의 내지 신비주의적 흐름이 있다. 한국교회에 만연하고 있는 다양한 영성주의와 신비주의의 흐름들은 다음과 같은 세가지 흐름으로 대별할 수 있다. 첫째, 금욕주의적-수도원적 공동체주의적 흐름이다. 이러한 흐름은 현대에 이르러 수도원제도, 기도원운동, 나아가 각종 공동체 운동, 금식 등 금욕적 수행의 방식, 그리고 최근의 내성과 관상기도의 형태 등으로 전개되었다. 둘째, 경건주의적-부흥주의적 흐름이다. 이런 경건주의적 기독교는 다소 정도와 방식의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오순절 운동, 심령대부흥회, 찬양열광주의, 빈야드운동 등으로 나타나고 특히 오늘날 말씀이 결여된 간증중심의 집회와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한 흥분위주의 찬양중심집회로 생존하고 있는 모습니다. 셋째는 심리주의적-정신분석학적 흐름이다. 이런 프로이트의 사상은 오늘날 기독교의 다양한 운동에 교묘한 위장술로 숨어 있는데, 특히 기독교상담학, 가정상담, 다양한 교육이론, 드레스디아스운동 등에 있다. 2. 신비주의는 경험에 근거한 신인식, 신직관, 그리고 궁극적으로 신과의 합일('cognitio dei experimentalis')에 관한 사상을 의미한다. 광의적 의미에서의 신비주의운동, 영성주의운동은 theoria와 praxis, vita contemplativa와 vita activa를 다 포함하지만 협의적 의미에서는 개인적, 심리적, 내면적 등의 성격을 지닌 심리영성운동을 의미한다. 기독교신비주의자들이 신약성경에서 찾는 신비주의의 이론적 근거는 다음과 같은 세 구절, 갈2:20, 2. 요일3:2, 3. 벧후1:4 이다. 이상의 세 구절은 각기, '내 안에 있는 그리스도', '하나님과 같게 됨', '신의 성품에 참여하는 자됨'을 가르치고 있다. 기독교 신비주의에는 플라톤적, 피타고라스적, 스토아적, 신플라톤주의적 사상이 놓여 있고 멀리는 힌두교 등의 동방종교의 신비적 요소와도 결부되어 있다. 하지만 그 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신플라톤주의이다. Plotinos와 Proklos, 그리고 누구보다도 "기독교적 의상을 걸친 Proklos"라고 불리운 Pseudo-Dionysius의 사상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 3. 이러한 기독교 신비주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닌다. 1) 심리주의와 의식신학, 2) 탈 신학화와 탈교리화, 나아가 성경적 기초의 부재 내지 약화, 3) 이교적 내지 세속철학적 기초, 4) 신앙고백적, 종교적 상대주의와 혼합주의의 위험. 5) 영적 자기도취와 거짓된 영의 함정, 6) 영적 권위부정과 심리주의적 성경해석 등이다. 이에 신비적 신인합일보다 하나님과의 깊은 영적 교제, 즉 unio mystica보다 communio mystica, 즉 communio cum Deo를 추구히야한다. 이것은 사람이 궁극적인 실재 안에 흡수되지 않고 오히려 조물주와 피조물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이루어지는 영적 교제이다. 말하자면 내 자아에 대한 성령의 온전한 지배, 주님이 내안에, 내가 주님안에 있는 신비한 영적 교제이다. 말하자면 영성운동보다 성령운동을 전개해야 한다. 1. In recent years, there are spiritualistic and mystic trends in Korean Church. The spiritualism and mysticism of the Korean Church may be divided into three major trends: firstly, ascetic-monastic trend, from which monastery system, prayer house movement, various community movements, ascetic exercises, and comtemplative prayer came out; secondly, pietistic-revival trend, from which pentecostal movement, awakening movement, enthusiasm of praising, and Vineyard movement flew out; thridly, psychologic-psychoanakytic trend, which is theoretical background of some contemporary christian counselling, family ministry, educational theories, and Tres Dias Movement. 2. Mysticism means an idea on cognitio Dei, visio Dei, and unio mystica based on religious and semi-religious experiences, In their broad senses, movements of mysticism and spirotualism include theoria and praxis, vita contemplative and vita activa. The biblical grounds are, according to mystic theorists, Gal.2:20, 1John 3:2-3, 2 Peter 1:4. These passagee tell respectivaly 'Christ in me', 'Becoming like God', 'Partici-pating in the divine nature'. However, christian mysticism has non-biblical back-grounds as Platonism, Pythagoreanism, Stoic philosophy, and above all Neoplatonism. Its some basic ideas go back so far as to oriental religion as Hinduism. The Neoplatonists, Plotinus, Proclus, and Pseudo-Dionysius Aregagita, influenced definitely the Western tradition of Mysticism as well as the Byzantine. Pseudo-Dionysius has been called a 'Procus in a christian garments'. 3. Christian Mysticism must be criticised at the following points: 1) Theology of Consciousness(Bewußtseinstheologie), 2) De-theologization and De-doctirination, furthermore weakening of the biblical basis, 3) Non-christian and secular pholosophical foundations, 4) Dangers of religious relativism and Pluralism, 5) Spiritual narcissism and the pitfall of false spirits, 6) Denial of spiritual authorities and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Bible etc. Therefore, biblical christians have to seek out not mystical unification with God, but deep communion with him, not unio mystica, but communio mystica, exactly speaking, communio cum Deo. Whilel unio mystica signifies absorbing into God or Ultimate Reality, communio mystica indicates spiritual communion with God, maintaining the Creator-creature relationship'. This is, so to speak, whole ruling of Holy Spirit over my heart and my self, and spiritual mystic communion of 'I-in-Christ' and 'Christ-in-me'. In conclusion, we must set not a spiritual movement, but the movement of Spirit.

      • KCI등재

        이슬람 신비주의 사상(sufism)의 실천적 측면에 관한 연구 ― 지크르(dhikr)를 중심으로 ―

        김관영 대동철학회 2000 大同哲學 Vol.11 No.-

        신비주의는 체험을 통하여 궁극적인 실재에 대한 영적인 지식을 획득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사상적 흐름이다. 그 가운데 이슬람 신비주의, 수피즘(sufism)은 신에게 가까이 가서 그를 직접 체험하고 그에 대한 앎(; marifa)을 획득하거나, 그의 품에 안겨 영원히 머무는 것(바까; baqā)을 수행의 궁극적인 목표로 삼았다. 그것을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 이슬람 신비주의는 신에 대한 헌신적인 사랑(마합바; maabba)과 자아소멸(화나; fanā)의 길을 제시하였다. 수피(sufi)라고 불리우는 이슬람 신비주의자들은 교리의 이론적인 측면과 수행의 실천적인 측면을 똑같이 중요시하였다. 달리 말한다면, 그들은 선불교의 정혜쌍수(), 교선일치(敎)의 관점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수피들은 신에게 가까이 가기 위한 수단으로 여러 가지 수행법을 정립시켰다. 그들의 수행법은 초월적인 실재의 영역으로 나아가게 하는 출입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들은 몇 가지 수행법으로써 영적인 수행에 몰두하였는데, 논자가 목격한 바에 의하면 그들은 매우 진지하고 열성적인 구도(求)의 자세를 지녔다. 이슬람 신비주의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그 이론적인 측면과 수행법을 함께 연구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이슬람 신비주의 의 핵심적인 수행법인 지크르(dhikr)를 연구의 주제로 삼았다. 하나의 특정한 수행법인 지크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슬람 신비주의 사상의 면모를 엿보려는 것이다. 영적인 분야에 대한 논의 과정에서 이슬람 신비주의는 빠짐없이 언급되고 있다. 그러한 현실에 비하여 국내의 연구는 대단히 빈약한 편이다. 국내에는 전문적이지 못한 안내서 몇 편과 석사 학위 논문3~4편이 전부이며, 그나마 그 수행 이론에 관한 것은 전무하였다. 그리하여 논자는 이슬람 신비주의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리고 터키의 수피들을 한국에 초청하는 일에 관여하면서 연구를 가속화하였다. 수피들의 수행법에는 예배와 기도, 금욕과 고행, 수피 댄스, 지크르 등이 있다. 그 가운데 지크르는 거의 모든 수피들에게 핵심적인 수행법으로 자리잡고 있다. 예배와 기도는 정통파 무슬림들과 수피들의 공통적인 수행법이지만, 지크르는 수피들에게서만 발견할 수 있는 독특한 수행법이며 일종의 종교적 의식()이다. 그것은 수행자를 신속하게 트랜스 상태로 이끌고, 그러한 상태에서 수행자들은 신의 영역에 쉽게 접근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논자는 개인적인 경험으로 지크르가 매우 강력한 수행 기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크르는 율동과 호흡법을 곁들여 신의 이름을 연속적으로 외우는 수행법이다. 그것은 만트라 요가의 주문 또는 불교의 염불과 유사하다 수피 종단에 () . 따라 지크르는 대단히 다양하지만, 대부분 그 기법을 일반에게 공개하지 않고 있다. 왜냐하면 지크르는 의식의 변화를 급격하게 초래하여 자칫하면 부작용을 낳을 수 있는 기법이기 때문이다. 지크르는 항상 전문가의 입회하에 그의 적절한 통제와 조치에 따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지크르의 기법을 익히는 데에는 커다란 노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한 연유로 지크르는 수피들에 의해서 다른 어느 수행법보다 널리 받아들여졌으며, 수피들의 기본적인 수행법으로 규정되었다. 지크르의 의식에 집단적으로 참가하여 법열의 경지에 빠져들고 있는 수피들의 모습은 놀라운 것이며, 논자도 그것을 목격하고는 삶의 방향과 목표를 다시 돌아보게 되었다. 특정한 하나의 수행법에 대한 연구로써 이슬람 신비주의의 중요한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논자는 본 논문을 이슬람 신비주의에 대한 간략한 설명으로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수피즘의 수행법 몇 가지를 소개하며 지크르에 대한 탐구를 시도한다. 논자는 연구 주제에 대한 철학적 분석 또는 과학적 연구에 초점을 맞추지 않았다. 그로 인하여 본 논문은 현상적인 기술과 해설의 수준에 머무를 수도 있을 것이다. 그것은 논자의 제한된 연구 능력과 개설적인 연구로 본 논문을 제한시키려는 논자의 의도에서 비롯된 결함일런지도 모른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illustrating to 'dhikr'. It is the main practice of sufism, called Islamic mysticism. Sufism has a goal that walk into God's territory, and have experience of him. In general mysticism was known to the philosophical current aiming at the attainment ultimate spiritual knowledge. As one of the mysticism, sufism seeks for the true knowledge of God, God's love, and union with God. In Arabic word these goals were said 'baqā. To approach these goal, Sufism presents two ways of practice, one is 'ma abba', devotional love for God, and the other is 'fanā, annihilation ��·��of the ego. The men of Islamic mysticism, 'sufis', always think much of the dual phase of doctrine and practise. They made a lot of practice, for instance dhikr, sufi dance(whirling), prayer, fasting. Sufis have ardent attitudes to practising these methods. So we have to study sufi practice of meditation to get the exact understanding. The research of islam, islamic mysticism, and practice of islamic mysticism were very rare in our country. So I began to study islamic practise 2 years ago. And I invited old sufi group from Turkey 4 months before, they made a good performance 'sufi dance' in Seoul. From that, I can watch the practice of dhikr. Whenever practice Dhikr many of the sufis fall into trance, spiritual ecstasy usually. In that state of consciousness they often say that they can see the God's face, and open the door of God's sphere. Therefore dhikr can defined as a core practicing method in the sufi tradition. During the process of dhikr, some special ventulations and rhythmic movements are recommended to wayfarer. They recite God's name and the phrase of sufi poems. It is similar to mantra yoga and buddhist invocation. There are many sufi order in islam, and many techniques of dhikr also. But they are not open to general public, because of it's harmful side effect. The expert's supervise is requested in the practice of dhikr. However it is simple to exercise dhikr, hence dhikr prescribed to the main, basic practice of sufi meditation. I did not make philosophical analysis or scientifical inquiry to dhikr. So this article will be remain in the description and the illustration of dhikr only. It might be the cause of my lack of studying capacity or my intention of restriction to make outline.

      • KCI등재

        21세기 영성형성을 위한 기독교 신비주의 재해석

        조성호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2

        본고는 수덕주의와 신비주의 균형을 통해 영성을 이해하고, 특히 신비주의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양자에 대한 오해 때문에 영성의 이해에 대한 많은 오류가 양산되었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런 오류는 기독교 영성에서 가장 중요한 두 요소의 의도적 배제와 신비체험의 남용이라는 또 다른 오류로 이어져 그리스도인들과 교회를 위한 올바른 영적 성장을 저해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신비주의에 대한 이런 오류는 사회 전반으로 확대되는 양상으로 나타나며 기독교 영성 자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신비주의에 대한 과거의 오류들이 주로 무학계층이나 소외계층에 집중된 반면, 최근 경향은 다수 지성인들의 합리적 이론들과 결합된 모습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뜻한다. 이런 현상은 기독교 신비주의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결여된 상태에서 다른 영역의 연구결과들을 무리하게 연관시킨 결과이며, 이로 인해 신비주의와 관련된 그리스도인들의 오해 역시 점차 깊고 복잡하게 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점들을 보완하고 올바른 영성의 확립을 위해 기독교 역사 내에서 진행되었던 신비주의에 관한 이해를 명확히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런 연구는 기독교 신비주의 형성에 여러 경로로 관계된 요소들을 탐구해야 할 당위성을 부여하고 있다. 이런 상황으로부터 본고는 유대교와 그리스의 관조적 철학에서 나타났던 초월적 신비주의가 초기 기독교에 전달한 영향과 이를 수용한 기독교 공동체의 고유한 특수성을 파악함으로써 기독교 영성의 근간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지향했다. 유대교와 그리스의 관조적 이상은 가장 강력하고 집중적인 영향을 기독교 공동체에 전달했던 까닭이다. 이를 위해 초기 교회의 역사적, 사회적 정황에 특히 주목하며 그 속에서 교회가 보여준 특수한 대응방안을 집중적으로 파악하려고 시도한 동시에 그런 특성들을 실천신학 관점에서 개념들로 제안하여 현대 기독교 영성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방안으로 마무리하려고 노력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spirituality in the balance between asceticism and mysticism with more focus on mysticism for the purpose of contribution to spiritual formation due to the fact that there have been many mistakes about them with various misunderstandings. This mistake intentionally excludes two factors or leads its distorted usage which results in many damages on the churches and Christians. Within the contemporary society, such misconceptions on mysticism spread over all aspects of society and it made negative effects on Christian spirituality itself. In other words, while the past mistakes of mysticism was to concentrate on ignorant or isolated group in the society, the recent symbolizes that such trend includes the rationalistic theories of many intelligent people. This phase means the result of relation between two unrelated areas without enough mutual understanding so the misunderstanding of Christians’ regarding mysticism is getting worse and more complex. So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establish right Christian spirituality, while the necessity for the right understanding of mysticism in the church history has been raised, such exploration provides the urgency of many elements in relation to the formation of Christian mysticism in many aspects. From this context, this study will shortly explore Judaism and Greek contemplative idea and their influences to the mysticism of the early church and will try to discover Christian mysticism’s unique feature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Christian spirituality. That is because the influence from Judaism and Greek philosophical idea were the strongest and the most intensive factors. To do this task, it will concentrate on the socio-historical context of the early church and its reaction to its surroundings. As a conclusion, this study will aim to suggest some conceptual indications for the contemporary churches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study in the aspect of practical theology.

      • KCI등재후보

        필론의 작품에 나타난 신비주의

        송혜경(Song, Hye Kyoung)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1 神學展望 Vol.- No.174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은 다양한 학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필론의 신비주의와 다른 신비주의 전통과의 관계 또한 주요 연구 대상이 되었다. 필론의 작품 곳곳에 다른 신비주의 작품들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모티프, 곧 승천과 하느님 직관 개념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필론에 따르면 하느님께서 인간의 영혼에 불어넣어주신 ‘정신’이 승천함으로써 하느님을 바라볼 수 있으며, 이러한 하느님 직관(visio Dei)은 인간에게 참된 행복과 불멸성 그리고 신적 존재로의 변화를 가져다준다. 이러한 필론의 신비주의는 부정 신학적 입장에서 나온다. 곧 하느님은 본질적으로 알 수 없는 분, 인간의 이해를 넘어서는 분이시기 때문에 인간이 하느님을 조금이나마 알 수 있는 것은 이성적 추론이 아니라 신비주의적 체험을 통해서 가능하다. 그러므로 하느님께 이르는 참된 길은 신비가의 길이라는 것이다. 필론은 예언자들 특히 모세의 체험이 신비가의 체험이었음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어떤 학자들은 이러한 필론의 신비주의를 고대 그리스 신비 종교를 배경으로 해석했으며, 어떤 이는 이집트 종교나 헤르메스주의와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사실 이 모든 고대 지중해 종교에서 승천과 하느님 직관 모티프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필론이 태어나고 자란 배경을 감안할 때 이러한 헬레니즘 종교와 사상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방 신비 종교와의 근본적 차이를 고려할 때 필론 신비주의는 초창기 형태의 유다교 신비주의와 관련짓는 것이 더 옳아 보인다. 사실 제2성전기 말 유다교 안에는 필론 뿐 아니라 테라페우테파나 큼란, 묵시주의 집단과 랍비 등 다양한 집단에서 신비주의 경향이 발전하고 있었다. 이러한 초창기 유다교 신비주의가 그리스도교와 영지주의, 헤칼롯 문학 등에 스며들어 하느님 직관을 얻기 위해 승천하도록 노력해야한다고 가르쳤던 것이다. 필론과 유다교 신비주의의 관계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필론의 작품도 이러한 초창기 유다교 신비주의와 관련이 있음이 분명하다. 필론을 1세기 초창기 유다교 신비주의의 또 다른 대표자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Philo of Alexandria’s corpus has been the focus of a vast amount of scholarship. Some aspects of the Philo’s mysticism and its relationship to a mystical tradition are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since the Philonic corpus contains several passages which notably focus on the motifs that other mystical texts have. That is the ascent into heaven and the subsequent transforming vision. According to Philo, man, because of ms mind, is similar to God; and through the contemplative life i.e. through the heavenly ascent of the mind, he can in principle attain a state where he can “see” God. And this visio Dei brings him true happiness, immortality and deification. Philo has an objective theology: God in his essence is unknowable. God is beyond human comprehension. God is primarily known for what he is not rather than for what he is. The knowledge of God is thus often understood in mystical terms. The true path to know God is thus the path of the mystic, but understood in the limited sense of one who contemplates that which is ultimately beyond human comprehension and can only be experienced. He attempted, moreover, to show that the experiences of the prophets, especially Moses, were mystical. Some scholars attempted to interpret Philo against the background of Greek mysticism and the mystery cults. Others compared Philo’s mysticism to that of the Egyptian cult, or Hermetism etc. In fact, the heavenly ascent and visio Dei motifs seem to be the common property of ancient Mediterranean religions. In fact, considering his background, we cannot ignore the possibility that Philo could have been influenced by the Hellenistic mystery religions and thoughts. But, given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opinions, there is a growing opinion among scholars that Philo’s mysticism may be linked to an early form of Jewish mysticism. In fact, it is a fact that during the Second Temple Period, a mystical tendency was developing and manifesting itself within different varieties of Judaism that include the sectarian communities of the Therapeutae and Qumran, the apocalyptic circles, and the rabbinic teachings as well as the Philonic corpus. This early Jewish mysticism filtered into Christianity, Gnosticism, and the Hekhalot literature, teaching that states: after a proper preparations, one can ascend into heaven and gain the transforming vision of God(visio Dei). More investigation needs to be ma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 and Jewish mysticism. But, based on the research that has been done on this relationship, it is plausible to conclude that Philo’s writings were indebted to this mystical tendency within Judaism. It seems them that Philo is another representative of the presence of the early Jewish mysticism in the first century.

      • KCI등재

        기독교영성 전통에서 살펴 본 시무언(是無言) 이용도목사의 신비주의적 영성 분석

        김수천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2

        시무언 이용도목사(1901-1933)는 다수의 동서방교회의 영성가들의 저술들을 탐독 하였다. 그리고 그 자신이 동서방교회의 신비주의 영성가들과 유사하게 신비주의적 영성을 추구하였다. 하지만 그는 생전에 이단으로 정죄되었는데 그 직접적인 원인은 자신의 주변 사람들에 대한 아쉬운 판단 때문이었다. 한편, 1999년에 감리교단은 이용 도 자신은 신학적으로 문제가 없으나 그를 따르는 주변 사람들이 문제가 있었다는 기 준으로 그를 정식으로 복권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 학자들은 그를 신비주의자로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따라서 필자는 첫째, 기독교 영성사에서 의미하는 신비주의의 정의와 의의를 고찰하였다. 신비주의의 정의는 기도자가 기도를 통해 하나님의 뜻과 일치하는 삶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그런 맥락에서 이용도의 신비주의적 영 성은 전통적 신비주의자들의 방식과 아주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신비주의 적 경험은 교리에 의해 검증되어야 하지만 동시에 그러한 경험은 교리를 확증하고 새 롭게 하기도 한다. 이것이 신비주의의 신학적 의의이기도 하다. 둘째, 이용도 목사가 왜 신비주의적 영성을 추구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이용도 목사는 단순한 사변적 신앙 이 아닌 경험적 신앙을 추구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경험적 신앙이란 마음에 실현된 하나님의 생명과 나라(롬 14:17)을 누리는 신앙을 의미했다. 셋째, 이용도 목사가 보여 준 신앙의 열매들을 정리하였다. 이용도목사는 자기부정의 삶, 이웃사랑의 삶, 그리고 창조물에 대한 사랑의 삶을 자신의 영성의 열매로 나타내었다. 첫째, 이용도목사는 평 양중앙감리교회의 담임목사님 청빙 사양을 통해 자기부정의 삶을 보여주었다. 둘째, 이용도목사는 언제나 가난한자들을 위해 자신의 부흥회 사례비를 사용할 정도로 이웃 사랑의 삶을 위해 최선을 다하였다. 셋째, 자연을 자신의 애인의 집으로 여기며 까마 귀를 비롯한 자연 사랑을 실천하였다. 이용도목사의 이러한 신앙의 열매들은 영적 위 기를 경험하는 한국교회에 하나의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이용도목사에 대해 일제 강점기에 내려진 이단 정죄와 부정적 의미에 서의 일부 신비주의적 평가에 대해 기독교 영성학적 관점에서 새로운 판단을 할 필요 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reviews Simooeon Yongdo Lee’s (1901-1933) spirituality in terms of Christian mysticism. While he pursued a lifestyle modeled after the works of Western and Eastern spiritual experts, he was condemned as a heretic by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with the accusation that he did not correct some of the spiritual mistakes made by his followers. Meanwhile, the Korean Methodist Church, who once forced him to resign, recovered his full clerical membership in 1999. The Korean Methodist Church announced that Yongdo Lee was correct theologically, although some of his followers were not. Still, few scholars in Korea have evaluated his theology critically in terms of Christian mysticism. First, I defined the significance of Christian mysticism in light of the tradi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The significance of the mysticism expressed throughout Christian history shows that while mystical experiences should be interpreted within doctrine, the experiences themselves affirm the validity of doctrine and can sometimes reshape it. Second, I analyzed the reasons why Yongdo Lee sought mystic spirituality. He was not satisfied with theoretical faith but always wanted experiential faith. As a result, he tried to live a life reflecting the promise of Rom. 14:17. Third, I discussed the spiritual fruits of Yongdo Lee’s life. His writings show that he mainly bore three spiritual fruits in his life. He loved creatures, and he lived a life of self-denial and agape. Therefore, we can say that Yongdo Lee proved his spirituality with the fruits of his Christian life, although some of his followers were flawed.

      • KCI등재

        쉬렝(Surin) 신부의 시에서 나타난 신비주의의 경험

        김시몽 ( Simon Kim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5 프랑스어문교육 Vol.49 No.-

        오늘날 쉬렝 신부는 17세기 당시에 마귀 들린 루뎅(Loudun) 수녀들을 구한 퇴마사(exorciste)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그는 명망 높은 신비주의자였다. 그러나 그의 사망과 더불어 원고와 소품들이 사방으로 흩어진 까닭에 그의 원서에 담긴 독창적인 사상을 파악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게다가 18세기에 그의 작품은 신비주의에 대한 교회의 경계심 때문에 잊혀져가고 있었다. 그에 대한 재평가는, 여전히 일반인들이 그를 루뎅 사건의 퇴마사로 인식하고 있긴 했지만, 신비주의에 대해 관심을 가졌던 19-20세기에 와서야 가능해졌으며, 재 간행된 그의 원서들은 그가 신비주의를 어떻게 자신만의 방식으로 이해했는지에 대한 파악을 허용하였다. 그런데 루뎅 사건에 대한 쉬렝 신부의 자서전적인 문서는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그의 시집은 그 반대의 운명을 겪었다. 여기에는 신비주의자의 작시문화(作詩文化) 전통이 프랑스보다 스페인에서 더 빈번했다는 이유가 있다. 그리고 17세기에 십자가의 성 요한이나 예수의 성녀 테레사가 작성한 시작품들이 불어로 번역되어 신비주의에 대한 관심을 일으켰지만, 막상 불어로 신비주의적인 시를 작성한 시인들은 그다지 많지 않았던 것도 또 다른 이유가 된다. 그 중의 한 명이 바로 쉬렝 신부이다. 쉬렝 신부 고유의 신비주의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본 논문은 그의 시집을 시작하는 첫 서시(Prologue mystique)에 관심을 갖는다. 이것은 그의 시가 신비주의 문학의 전통적인 요소를 갖고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며, 거기에서 다른 작가들과의 차이점을 포착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십자가의 성 요한과 예수의 성녀 데레사가 찬양한 ‘신비주의 혼인(mariage mystique)’이 영혼과 하느님의 결합을 상징한다면, 이런 신비주의의 최후 단계로 여겨진 모티브가 쉬렝신부의 시 속에서는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렇지만 스페인의 두 성직자가 찬양하는 순수 사랑과 비교해본다면, 쉬렝 신부는 상당히 전투적인 용어를 사용해서 이 결합을 묘사한다. 영혼이 하느님을 갈망하는 것이라면 그와 동시에 하느님의 사랑은 전투사처럼 그 영혼을 폭력적으로 정복하기 때문이다. 이런 모순은 쉬렝 신부의 신비주의에 대한 이해에서 언제나 발견되는 것으로 그만의 고유한 독창적인 신비주의의 양상을 정의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게다가 이점을 그의 생애와 연관 지어 파악하는 것 역시 그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한 증언에 따르면, 루뎅 수녀들을 찾아온 악마를 쫓을 때 쉬렝 신부가 악마를 자기 몸 안으로 초대했다고 한다. 이 사건 이후로 그는 17년 동안 악마에 시달린 까닭에 하느님에게서 버림을 받은 것으로 생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기를 버린 하느님을 끝까지 사랑하는 것이 최고의 사랑이라는 확신을 그는 견지했다. 이런 경험에서 그의 모순된 신비주의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악마에 들렸고, 하느님 곁에서 내쫓겼지만, 하느님의 잔인함마저도 사랑하는 태도가 신비주의 최고의 순수한 사랑이라는 신념이 그에게는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두 스페인 성직자가 그러했듯이 쉬렝 신부도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비롯된 이야기를 시로 옮기면서 신비주의를 정의하려고 시도했다. 그의 삶이 극단적인만큼 그의 신비주의 역시 극단적이었다. 이런 점을 고려한다면 그는 이 극단의 사상을 제일 잘 표현할 수 있는 형식이 결국 시 이외에 다른 것일 수 없다고 생각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마이스터 에카르트에게 있어서 신비주의, 언표불가능성, 그리고 영성

        김정두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4

        영적 고갈과 침체, 그리고 깊이의 상실로 진단되는 오늘날, 영성에 대한 재조명과 함께 신비주의에 대한 관심은 다시금 르네상스를 맞이하고 있다. 신비주의는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이해되어 왔지만, 경험의 차원과 언표불가능성 개념은 신비주의에서 중심이 되는 요소가 되어왔다. 특히 마이스터 에카르트의 신비주의에서 언표불가능성은 그의 전체적 신학방법론을 근거 짓는 개념이다. 에카르트에게 있어서 신은 신을 넘어서 있는 신이다. 그 신은 모든 존재와 인간의 표현을 초월해 있고 가장 깊이 감추어져 있는 존재이고 따라서 그 신은 무로 묘사될 수밖에 없고 언표불가능한 존재로서만 접근된다. 그러므로 에카르트의 신비주의에 있어서 신과 합일을 추구하는 영성은 부정신학의 길을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무로서의 신과 자아가 만나는 길은 자아도 무가 되는 것이다. 즉 초탈을 통해 모든 형상들과 이름들을 해체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신은 초월과 내재, 일상의 부정과 일상의 긍정 사이의 상호작용 또는 제3의 역동성 속에 있음을 발견한다. 에카르트에게 있어서 신비주의는 신 이해에 있어서 성상타파적인 의도를 포함하고 있고 인식론적 전략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그의 신비주의에서 언표불가능성은 사변적 개념, 이론적 신학, 또는 고정된 도그마의 한계를 노출시킨다. 에카르트의 신비주의의 영성은 우리들로 하여금 신비주의적 인식론의 가능성, 경험의 차원의 신학적 의미, 신학의 새로운 가능성, 실천신학의 의의, 그리고 신학에서의 실천과 이론의 상호순환적인 관계를 발견할 수 있도록 초청하고 있다. The contemporary world has been losing the dimension of depth and is going through a spiritual bankruptcy. With the retrieval of spirituality, in this context, we see the renaissance of the interest in mysticism. Though mysticism has been developed and understood in various ways and broad horizons, the dimension of experience and the notion of ineffability have become central elements in mysticism. In Meister Eckhart’s mysticism, especially, ineffability is the ground for his theological methodology. For Eckhart, God is the God beyond God. God is beyond all creatures and human sayings. God is the hidden God. Thus, God is described and proposed only as nothing and the ineffable one. For that reason, spirituality of seeking the unity of God and the soul is formed by the way of apophatic theology. The way to encounter God as nothing is that the self also becomes nothing. In other words, it is the procedure of deconstruction of all images and names through detachment. In this process, we can find that the divine is in the interactions or the third dynamic between transcendence and immanence or the negation of the ordinary and the affirmation of it. Mysticism in Eckhart includes iconoclastic intentions and epistemological strategies in the understanding of God. For him, ineffability exposes the limitation of abstract concept, theoretical theology, or fixed dogma. Spirituality in Eckhart’s mysticism invites us to find the possibility of the epistemology of mysticism, the theological implication of experiential dimension, the new possibility of theology, the significance of practical theology, and the inter-circulatory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and theory in the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