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뢰의 개념 구조 및 교육행정 연구에의 적용

        박상완(Park Sang-wa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2

        공교육 불신, 교육부 불신, 교육정책 불신, 학교·교사 불신 등 교육에 대해 다수의 사람들 이 갖는 인식은 신뢰/불신의 개념으로 함축할 수 있다. 교육에서 신뢰는 다양한 맥락에서 논 의될 수 있으나 교육행정 분야에서 신뢰 연구는 대체로 구성원간 관계(학생-교사, 교사-교사, 교장-교사)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짐에 따라 교육정책, 교육제도에 대한 신뢰 논의가 발전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이 논문은 교육정책(제도)에 대한 신뢰에 초점을 두고 신뢰의 개념 구조를 종합적·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교육행정 분야 연구에서 신뢰 개념,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고자 한다. 이를 위해 크게 네 가지 연구 내용을 설정·분석한다. 첫째, 신 뢰의 개념 및 관련 유사 개념, 신뢰 유형, 신뢰의 성과와 신뢰 (영향) 요인, 신뢰의 형성과 변 화 기제 등 신뢰의 개념 구조를 탐색한다. 둘째, 이를 토대로 교육정책(제도)에 대한 신뢰 분 석을 위한 분석 틀을 개발한다. 셋째, 교육행정 분야에서 신뢰 연구의 주요 동향, 특징을 분 석한다. 넷째, 신뢰의 개념, 이론이 우리나라 교육(행정) 현상을 설명하고, 교육행정 연구와 실 제에 주는 함의를 논의한다. 이 논문은 교육행정학 분야에서 신뢰 논의, 연구를 보다 체계화하 고 확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rust/distrust in the public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educational policy, education system, etc. is the common understandings about the education in Korea. Trust in education can be discussed and dealt with in various contexts, but most of the studies published in the field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have focused on relational trust, such as student-teacher trust, teacher-teacher trust and principal-teacher trust. This research trend restricts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rust related studie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Based on these inquiries,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constructs, types (models), determinants and dynamic changes of trust in various academic backgrounds and tries to develop the conceptual structure of educational policy trust. For this, three research areas are examined: First, trust and its related concept, constructs of trust, and types (models) of trust are studied. Second, determinants, consequences, and dynamic changes of trust are explored. Third, major preceding researches regarding trust in the field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heir implications were reviewed. Based on this analysis, discussions and future research themes were suggested as conclusions.

      • KCI등재

        정보의 신뢰와 전달 요인에 대한 연구

        신창선(Chang-Sun, Shin),배영(Young, Bae) 한국정보사회학회 2016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과 전통매체에 대한 경험요인과 사회적 신뢰에 대한 인식요인이 온라인 정보에 대한 신뢰와 전달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분석에 이용한 경험요인으로는 온라인 정보매체 이용 빈도, 전통적 정보매체 이용 빈도, SNS 친구 수, 일평균 SNS 연락 빈도 등을 포함하였고, 사회적 신뢰 관련 인식요인으로는 대인신뢰와 일반적인 사회신뢰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경험요인과 인식요인은 정보신뢰 및 전달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한 후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함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 대한 구별없이 해당 정보를 자주 이용할수록 정보에 대한 신뢰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 이용이 증가할 수록 정보 전달 행위도 적극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인식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대인신뢰나 일반적인 사회신뢰는 정보신뢰 및 전달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다. 이를 통해 파악가능한 것은 정보에 대한 신뢰나 전달행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정보를 얼마나 많이, 그리고 다양한 통로를 통해 이용하느냐의 문제이지 그러한 정보를 전달해주는 사람이나 정보가 유통되는 사회의 신뢰와 관계된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as to how the experience factor about on-line and off-line information source and the perception factor about social trust produce effect on trust on and delivery of on-line information. In this analysis, the experience factor includes frequency of on-line information source use, frequency of traditional information source, number of SNS friends, and frequency of SNS contacts (daily average), while the perception factor includes interpersonal trust and general social trus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ence factor and the perception factor will produce a positive effect on trust on and delivery of information. The results show that information us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rust on information, controlling for on-line information and off-line information.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an increase in information use leads to more active delivery of information. However, perception factor such as interpersonal trust or general social trust does not produc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rust on and delivery of information. These findings give an implication that it is not people who Deliver information or trust of community in which information is exchanged, but the volume of information exchanged and the variety of passages through which information flow that produce a direct effect on trust on and delivery of information.

      • 지방정부조직에서 직속상관에 대한 부하의 신뢰 : 메이어 등의 모델 검증

        김우식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6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7 No.2

        Trust is important for organizations and organizational productivity. This article aims to empirically testify Mayer et al.’s trust model(1995) which is largely acknowledged as integrating interpersonal trust relationships in organizations. Some researchers have tested partly their model for trust. My job is to test empirically their whole construct of subordinate’s trust in his or her supervisor. Data were collected from 271 public officials in Choung-ju City.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two parts(trust and outcome of trust) of their model were accomplished,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nalyses show the validity of their model, except for functions of two moderators(trust propensity and risk perception). So they are redefined as functioning dependently, in this study. 조직 구성원 간의 신뢰는 조직의 성공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공공조직에서도 신뢰의 중요성은 민간조직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공공 관료제조직(청주시)에서 상관에 대한 부하(청주시 공무원 271명)의 신뢰에 초점을 두고, 지금까지 연구자들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검증된 신뢰에 관한 메이어 등의 모델(Mayer et al., 1995)의 전 개념구조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그들의 모델은 연결된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한 부분은 상관의 능력, 호의, 성실성으로 인한 상관의 신뢰성이 부하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며, 그 관계를 신뢰주체(부하)의 신뢰성향이 조절 기능을 한다. 다른 하나는 신뢰가 모험행동(신뢰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며 그 관계를 신뢰주체의 위험지각이 조절한다. 분석결과 그들의 모델이 전체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다만 두 조절변수(신뢰성향, 위험지각)의 조절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향과 위험지각이 조절요인이기 보다는 각자 독립변수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었다.

      • KCI우수등재

        우리나라 정부신뢰 특성 및 영향 요인 분석

        박희봉 ( Park Hui Bong ),이희창 ( Lee Hui Chang ),조연상 ( Jo Yeon Sang ) 한국행정학회 2003 韓國行政學報 Vol.37 No.3

        본 연구는 정부신뢰의 특징과 그 영향요인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전국적인 조사결과를 토대로 사적신뢰, 단체참여, 정치참여 및 관심 지역, 사회경제적 배경 등의 요인들이 우리나라 정부신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적신뢰 및 일반신뢰를 포함하는 대인신뢰가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 등 모든 정부기관과 이를 통합한 정부신뢰 변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수평적 단체뿐만 아니라 수직적 단체 가입 및 활동도 정부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정치적 요인으로 투표참여, 정치관심과 같은 소극적인 정치참여는 정부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정당가입과 정치활동과 같은 적극적인 정치참여는 정부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소도시 및 농촌지역 주민이 대도시 지역주민보다 정부신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영·호남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경우는 다른 지역에 비해 정부신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 영남과 호남지역 주민의 신뢰하는 기관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경제적 배경 변수는 정부신뢰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높을수록, 그리고 남성보다는 여성이 대체로 정부기관을 신뢰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다른 변수들은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이렇게 나타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정부신뢰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향 및 정책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rust in the Korean government and clarifies the factors that affect this trust of government.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 number of factors were analyzed. including interpersonal trust, civic association participatio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interest, region of residence, and individuals; socioeconomic status - all of which were deemed to affect trust in the Korean government. Data were obtained from more than 7,000 survey responses collected from all 14 provinces and metropolitan areas in Korea. This research finds that ① interpersonal trust positively affects trust in all three branches of the government - legislative, judicial, and executive, ② hierarchical civic association participation as well as horizontal participation positively affect trust in government. ③ while voting and political interest have a positive impact on trust in government, political party membership and political activities like demonstrations and petitions have a negative impact on trust in government, ④ residents who live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s well as rural areas show lower government trust than those in big cities, and the residents in the Yongnam and Honam provinces show higher government trust than those in other areas. and ⑤ older people show higher government trust than younger, and females exhibit higher government trust than males. Overall, this paper discusses how to improve trust in government and offer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신뢰문화의 신학적 기초

        김형민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5 기독교사회윤리 Vol.33 No.-

        오늘날 신뢰는 모든 사람들의 관심사이다. 그리스도교적 신뢰의 기초는 그리스도 안에서 신뢰할 수 없는 자에게 신뢰를 선사하신 하나님의 은혜이다. 그런즉 신뢰는 ‘선물’이요,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회복해야 할 신앙의 중심 가치이다. 그리스도교의 신앙윤리는 세 가지 신뢰회복을 지향한다. 첫째는 ‘자기신뢰’이다. 그동안 그리스도교의 경건성은 자기신뢰 대신 자기불신을 말하며, 이를 겸손한 경건성의 이상으로 칭송해왔다. 그와 같은 믿음은 적극적 신뢰형성의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다. 둘째는 타자와 더불어 신뢰를 형성해 가는 ‘우리 신뢰’이다. 하지만 모든 종류의 ‘우리 신뢰’가 바람직한 윤리적 자세는 아니다. 특정 공동체나 집단만을 위한 이기적 형태의 ‘우리 신뢰’의 형태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예수는 “너희를 반대하지 않는 자는 너희를 위하는 자”(눅 9:50)라고 말씀하셨다. 이 말씀은 ‘배제(결속) 지향적 우리 신뢰’에서 ‘포용(연계) 지향적 우리 신뢰’로 신뢰의 영역을 확장한다. 셋째는 ‘미래에 대한 신뢰’이다. ‘미래를 향한 신뢰’는 낙관주의적삶의 철학과는 다르다. 낙관주의가 과거 지향적이며 무비판적이라면 예수공동체가 품고 있는 미래에 향한 신뢰는 종말론적이며 비판적이다. 결국 신뢰는 하나님의 미래를 신뢰함으로 현재의 삶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변혁할 수 있는 능력이다. The matter of trust becomes an important issue in this society. The foundation of trust in Christianity is the belief of God’s grace that it is given by God for people as a gift. Trust is not only the gift from God, but it also is a critical value which Christians need to regain. There are three points for this in Christian ethics; self-trust, we-trust, and the trust for the future. Christianity has been valued self-negation, as a humble piety, rather than self-trust. Ironically, this becomes a hinder to have a sound sense of trust. We-trust is a process to formulate this based on the sense of community. This is not the communal selfishness nor mass selfishness. Instead, this is the trust which comes from ‘embracement’ rather than exclusiveness.’ And the trust for the future does not mean a simple optimistic world view, but it is the critical thinking about the world with the hope of the Eschaton, as the Jesus’ community had. Thus, trust is the capability to reform the world that Christians do not only retrospect the present, but they also believe in the future of God.

      • KCI등재

        신뢰형성에 있어 사회참여와 제도의 역할

        박병진(Park Byoung-Jin)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3

        모든 사회자본이 사회에 긍정적 효과를 산출하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어떤 사회자본은 개인 및 사회수준에 있어서 사회불신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개인적 이해를 위한 도구적 참여가 아닌 기부와 자선과 같은 참여 형태는 공공선을 위해 필요한 일반신뢰와 같은 사회자본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2005년 수집한 「한국의 시민참여와 민주주의에 관한 조사」자료를 분석하여 일련의 가설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첫째, 이타적인 참여활동을 하는 사람일수록 더 높은 대인신뢰(일반신뢰)와 사회신뢰를 가지고 있다. 반대로 도구적 목적으로 연줄망 형성에 참여도가 높은 사람일수록 타인과 사회에 대한 불신이 크다. 둘째, 사회신뢰와 일반신뢰는 불신의 제도화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통사람들의 가벼운 일탈에 대한 처벌보다는 엘리트 범죄에 대한 엄격한 처벌이 강화될 때 일반 타인에 대한 신뢰와 사회에 대한 신뢰가 제고될 것이라는 가설이 수용되었다. 아울러 고용, 직장에서의 승진, 과세에 있어서 공정성이 제고될 때 일반신뢰와 사회신뢰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Social capitals do not always produce positive effects as some researchers have argued. Sometimes certain types of social capitals work as the primal causes of distrust both at the individual and the societal levels. Beyond the self-interest oriented participation in associations and networks, only the participations in activities for charity and altruistic purposes would create social capital such as interpersonal trust and general social trust. With this assumption in mind, this research analyzed the Survey on Civic Participation and Democracy in Korea dataset (2005), and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re individuals devoted to altruistic behaviors, the higher levels of social trust and interpersonal trust they had. On the other hand, the more people participated in voluntary associations with the aim of accumulation of social networks for self interest, the more distrustful they were of people and society. Second, social trust and trust of people in general were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distrust in a society. More specifically, the hypothesis that the imposition of the more severe sanction on the elites’ criminal behaviors than on the ordinary people’s misdemeanors would enhance social and interpersonal trust was proved to be valid. The fair treatment in areas of hiring, promotion at the workplace and taxation also was identified as a good source of both interpersonal and social trust.

      • KCI등재

        소비자신뢰지수의 소비지출 예측력 분석

        김승년,구영완 한국은행 2005 經濟分析 Vol.11 No.1

        본 논문은 국내의 경우 소비지출을 예측하는데 소비자신뢰지수가 유용한가를 통계적 기법을 통해 분석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와 한국은행의 소비자신뢰지수를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 국내 소비자신뢰지수의 예측력이 대체로 매우 낮지만 한국은행의 미래소비지수는 미래의 소비지출 예측에 있어 어느 정도 유용한 변수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논문이 시사하는 점은 국내의 미래소비지출 예측시 대표소비자신뢰지수 혹은 미래지수 등을 이용하기보다 한국은행 미래소비지수를 이용하는 것이 현시점에서 가장 유용한 선택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국은행의 미래소비지수는 차선책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행 미래소비지수가 다른 신뢰지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월하지만 발표시점이 삼성경제연구소지수에 비해 한달 반 가량 늦기 때문에 이 지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당해 분기말까지 기다려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ability of consumer sentiment index in forecasting consumption expenditures in South Korea. The two most widely known measures of consumer sentiment in South Korea - from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and the Bank of Korea - were used for empirical tests. Only the future consumption index released by Bank of Korea was found to have some predictive power in forecasting consumption growth. It needs to be recognized, however, that the predictive power of the future consumption index from the Bank of Korea is restrictive in that the formal announcement time of the index is one and half a month late compared to the index of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 KCI등재

        글로벌 신뢰 구축을 위한 외교정책 모색

        주미영(Ju, Meeyoung) 한국정치정보학회 2014 정치정보연구 Vol.17 No.1

        국제사회는 세계화·정보화로 요약되는 21세기 거대한 변화 속에서 행위자와 이슈가 다양화되고 복합해지고 있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위험성은 점차 높아지는 국제환경 속에서 국가 간 대립과 갈등은 관련 국가 간의 상호성에 의해 해결될 수밖에 없는데, 이를 위해서는 협력이 필요하고 협력을 이루어 내기 위해서는 반드시 신뢰가 전제되어야 한다. 많은 국가들이 최근 신뢰를 중요성을 재인식하는 외교 목표와 전략을 모색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글은 경험 및 도덕을 기초로 한 신뢰 판단의 기준과 내집단 및 외집단으로 구분되는 신뢰 대상을 사용해서 유형화 된 네 가지 신뢰 유형인 전략적 신뢰, 특정적 신뢰, 일반적 신뢰, 그리고 도덕적 신뢰 등을 국가 목표에 따른 외교 영역에 적용하고 있다. 군사, 경제, 식량 및 환경, 공공 및 민간 영역의 외교는 각기 다른 신뢰대상과 신뢰판단 기준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In the 21st century, as the trends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ization converge, actors and issues in the international realm have diversified and become complex. It makes the international society uncertain and risky resulting in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among nations. Distrust among nations is getting intense because of their divergent views. For cooperation, trust is called for. Recently many nations reconsider trust as the most important requisite for diplomatic goals and strategies. This paper applies four different types of trust such as strategic, particular, general, and moralistic trust to the diplomatic model for building global trust. They are classified based on the criteria for evaluation of trust such as experiences and morality as well as the target group trust based on ingroup and outgroup. It is necessary to apply different target group trust and criteria for evaluation of trust to military, economic, food or environmental, and public or cultural diplomacy.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들의 동료에 대한 신뢰 형성의 근거와 결과

        김대현,최류미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6 교육혁신연구 Vol.26 No.3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이 동료교사에 대해 신뢰를 하게 되는 계기, 신뢰 형성 혹은 저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결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현재 초등학교에 근무하 고 있는 1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내용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첫째, 동료교사를 신뢰하기 위해서는 일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와 일정 기간 이상 의 시간 등의 계기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료교사에 대한 신뢰를 ‘형성’하는 근거로는 교육활동 에 대한 신뢰와 인간성에 대한 신뢰가 공존하고 있었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동료교사와의 신뢰가 형 성되면 교사 간에 개인적인 삶을 나눌 수 있는 관계로 발전하고,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게 되면서 학교 생활의 질이 향상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동료교사에 대한 신뢰를 ‘저해’하는 근거로는 이기적인 성향, 언 행 불일치, 말을 쉽게 옮김, 동료의 교육활동 개선 의지를 꺾음 등이 있었다. 동료교사와의 신뢰가 저해되 면, 기계적으로 업무를 처리하게 되고 학교에서의 삶이 팍팍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동료교사에 대한 신뢰를 판단할 때는 교사의 직·간접적인 경험이 서로 영향을 미치고, 이 신뢰에는 인지적· 정의적·행동적 차원이 복합적으로 공존하고 있다는 특성을 밝힘으로써 동료교사 간 신뢰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정부신뢰의 정부 외적 영향요인: 한국의 경우 실증분석

        류태건 한국동북아학회 2016 한국동북아논총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검토를 거쳐, 세계가치조사(World Values Survey)의 최근 3개 주기 조사자료의 분석을 통해 2000년대 이후 한국에서의 정부(행정부 및 의회)신뢰의 수준과 그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행정부 및 의회에 대한 신뢰도는 조사시기 2001년도에 급격한 하락추세를 보였으나 그 이후에는 상승하여 2010년 현재 100점 만점에 각각 48점 및 36.3점을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리라 가정되는 11가지 정부 외적 요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해본 결과, 이들 영향요인은 이론적 전망과 같이 대체로 행정부 및 의회에 대한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별은 남성일수록, 연령·국민자긍심·민주주의체제 선호도·일반신뢰도는 낮을수록, 그리고 비정치성향·권위부정성향이 클수록 행정부 및 의회에 대한 신뢰도가 공히 낮아지고; 소득수준과 애국심은 낮을수록 그리고 정부에 대한 기대수준은 높을수록 행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며; 교육수준은 높을수록 의회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진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은 대체로 3개 조사년도에 걸쳐 일관되게 나타나, 시기에 걸쳐 일반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정부신뢰에는 정부 외적 요인들의 영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결론지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rust in government(administration and legislature) in Korea, on the basis of data analyses of the three recent surveys of World Values Survey. Results of analysis show as follows. Woman in sex, age, national pride, preference for democracy and generalized trust, all the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while nonpolitical attitude and anti-authority attitude having such negative influence on trust both in the administration and legislature in common; income level and patriotism have positive influence and expectancy for government have negative influence only on trust in the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level has negative influence only on trust in legislature. These trends appear in all the three surveys to conclude that there are time enduring tendency of influence on trust in government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exam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