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의 효과

        이선희(Lee Sunhee),조경아(Cho Kyong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지식, 근거기반실무 태도, 근거기반실무 역량, 근거기반 실무 적용의도 및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실험연구이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연구대상자는 근거기반실무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자로, 시뮬레이션 실습 교과목을 수강할 D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학생 48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19년 3월 2일부터 6월 10일까지였다.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은 근거기반실무 5단계를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고, 1회기 당 4시간씩 총 6회기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지식, 근거기반실무 태도, 근거기반실무 역량,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 비판적 사고를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지식, 근거기반실무 태도, 근거기반실무역량과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 및 비판적 사고를 증진시키기 위해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다각도로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using Simulation Practicum program on the knowledge-based practical knowledge, attitude, competence, and intention of future use and critical thinking of nursing students.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pretest-posttest design of inequality control.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he students who had no experience in the Evidence-based Practical Education, and 48 students in the fourth grade-nursing students from D University who will take simulation course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 2019 to June 10, 2019. The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using Simulation Practicum program was conducted with the goal of applying five levels of evidence-based practice to itself, and it consisted of 6 sessions, 4 hours per session.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by t-test.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using Simulation Practicum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student’s Evidence-Based Practice knowledge(t=4.854, p<.001), Evidence-Based Practice attitudes(t=8.227, p<.001),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t=17.572, p<.001), Evidence-Based Practice intention to future use(t=6.343, p<.001) and critical thinking(t=9.699, p<.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the Evidence-based Practice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Evidence-Based Practice knowledge, Evidence-Based Practice attitudes,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Evidence-Based Practice intention to future use and critical thinking through the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using Simulation Practicum program in various ways.

      • KCI등재

        시뮬레이션 실습을 연계한 근거기반실무 교육 수업모형 개발 및 효과

        양현주,박미라,제남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vidence-based practical training of nursing university students and to improve their ability of evidence-based practice. The developed instructional model is about applying the 5 steps of the evidence-based practice linked with simulation practice. The model is a program consisting of 8 sessions(total 32 hours) in which theoretical & practical classes about evidence-based practice and situation-specific simulation practices are cross-designed and appli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 teaching time of the instructional model, group 1 was instructed to conduct a evidence-based practical training after the simulation practice, and group 2 was instructed to conduct a simulation practice after the evidence-based practical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group 1 had higher level of knowledge and capacity in evidence-based practice than group 2,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eliefs.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evidence-based practical training, it is more effective to carry out the evidence-based practical training after the clinical & simulation training experience or repeat the education. This study has limitations due to not being able to observe the persistence of educational effect and the lack of a pure control group. Thus, a follow-up study is needed.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근거기반실무에 관한 역량 증진을 위해 시행되었다. 개발된 수업모형은 시뮬레이션 실습을 연계한 근거기반실무 5단계를 적용하는 내용으로, 근거기반실무에 관한 이론 및 실기수업과 상황별 시뮬레이션 실습을 교차 설계하여 적용하는 8회기(총 32시간)로 구성된 프로그램이다. 수업모형의 효과적인 교육시기 확인을 위해 그룹 1은 시뮬레이션 실습 후 근거기반실무 교육, 그룹 2는 근거기반실무 교육 후 시뮬레이션 실습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결과 그룹 1은 그룹 2보다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지식수준과 역량이 높았으나, 신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근거기반실무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임상 및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후에 근거기반실무 교육을 시행하거나 반복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순수 대조군을 두지 못한 것과 교육효과에 대한 지속성을 확인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어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능력과 간호과정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안준희,김지영,황은숙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skills and nursing process confidence of college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2 students who completed the third semester of adult nursing practice in K university.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WIN 22.0 program.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skills, and nursing process confidence were analyzed using t-tes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applying simulation-based education in the future. As a result, the critical thinking score of nursing students was 88.97 ± 13.42 before education, 99.51 ± 12.35 after education, and the problem solving skills score was 80.15 ± 12.37 before education and 96.25 ± 15.30 after educa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of nursing process confidence at 34.35 ± 5.52 before education and 42.78 ± 5.51 after education (t =-9.547, p <.001). Simulation-based education is a very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college nursing student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periodic research is needed to further activate and apply simulation education in the future. And develop software related to scenarios that can reproduce various clinical situations.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nd expand programs that can train professionals capable of manipulating them.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기반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능력과 간호과정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함이다. K시에 있는 일개 대학 간호학과의 성인간호학 실습 3학기를 이수한 8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통계분석은 SPSS/WIN 22.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능력, 간호과정 자신감에 관한 교육 전 후의 변화는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향후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 점수가 교육 전 88.97±13.42, 교육 후 99.51±12.35으로, 문제해결능력 점수가 교육 전 80.15±12.37, 교육 후 96.25±15.30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간호과정 자신감 점수는 교육 전 34.35±5.52, 교육 후 42.78±5.5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9.547, p<.001). 시뮬레이션 교육은 간호대학생에게 매우 효과적인 교육방법이다. 따라서, 향후 시뮬레이션 교육을 더욱 활성화 하고 적용하기 위한 주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다양한 임상상황 시나리오와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조작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확대가 필요하다.

      • KCI등재

        수학 문제 해결 관점에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활용에 관한 소고

        허남구(Nam Gu H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5

        목적 본 연구에서는 문제 해결 관점에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소고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소고의 의미 그대로 단면적인 고찰, 연구자의 생각을 낮춰서 쓴 글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확률 교육과 시뮬레이션,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에 관해 서술하였으며,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수학 문제 해결 단계에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활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결과 본고의 첫 번째 장에서는 학교수학에서 문제 해결과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중요성을 서술하였다. 두 번째 장에서는 확률교육과 시뮬레이션, 그리고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에 대해 고찰하였다. 세 번째 장에서는 Polya(1957)의 문제 해결 단계 중 문제의 이해, 계획과 반성 단계에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장에서는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정책에 맞추어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문제 해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수학 기반 융합적 문제 해결을 위해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a method of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in the viewpoint of proglem solving. Methods This study take the form of fragmentary study and writing by lowering the researcher s thoughts. To do this,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probability education, simulation, and Monte Carlo simulation were described. And the method of using a Monte Carlo simulation in the mathematical problem-solving stage was presented in detail based on actual cases. Results In the first chapter of this paper, the importance of problem solving and Monte Carlo simulation in school mathematics is described. In the second chapter, simulation in probability education and Monte Carlo simulation were considered. Chapter 3 describes that Monte Carlo simulation can be usefully used in the ‘Understanding’, ‘Devise a plan’ and ‘Review/Extend’ stages of Polya (1957). Finally, the fourth chapter suggested that research on problem solving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is necessary in line with the educational policy for fostering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a plan to use Monte Carlo simulation to solve mathematics-based converged problems.

      • KCI등재

        교육정책 분석과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법의 활용 가능성과 한계: 공동학구제 정책을 중심으로

        권순형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1

        본 연구는 교육정책 분석 및 예측에 있어 시뮬레이션 기법의 활용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일부 시·도교육청에서 시행되고 있는 공동학구제가 가상적 공간에서 실시되는 경우 어떠한 결과가 예견되는지 시뮬레이션 기법 가운데 하나인 행위자기반모형(Agent Based Model)을 활용하여 예측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교육정책 분석 및 예측에 있어 시뮬레이션은 교육정책관련 주요 이해관계자의 정책학습 기여할 수 있다는 점, 처음 시도되는 정책에 있어 대안 탐색과 미래 예측을 위한 모종의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점, 교육정책 분석과 예측에 관한 연구방법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시뮬레이션은 정책 분석과 예측 활용에 있어 방법론적 제약도 존재한다. 교육정책의 복잡성을 포괄하는 일종의 빅모형(Big Model)을 구현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점, 시뮬레이션 모형에 대한 타당화 방법에 있어 다양한 이견이 존재한다는 점 등은 한계로 볼 수 있다. 이상의 주요 연구결과와 함께 교육정책 분야에 적합한 모형 내 행위규칙의 개발과 타당화가 필요하며, 토마스 셸링(Thomas schelling)의 주거 ‘분리(segregation)’모형처럼 교육정책 분야에 고유한 일반화 모형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하여 후속 연구 과제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simulation techniques in analyzing and predicting Education Policy.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case study was conducted using an Agent-Based Model, a type of simulation technique, to implement the school selection system. The conclusions through case study are as follows. Simulations analysis can contribute to policy learning of major stakeholders related to Education Policy, can be a way to explore policy alternatives in the absence of historical data, and simulations can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 Policy analysis. However, since simulation also has methodological limitations, it is not easy to implement a kind of big model that encompasses the complexity of Education Policy, and various disagreements exist in the validation method of the simulation model. Along with the above major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validate the rules of act within the model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field in Education Policy, and follow-up studies were proposed on the development of a generalized ABM unique to the educational policy field, such as Thomas Schelling's 'segregation' model.

      • 원격교육을 위한 클라이언트/서버구조의 웹 기반 시뮬레이션 환경 : SimDraw

        서현곤,사공봉,김기형 한국정보과학회 2003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0 No.11

        최근 인터넷 및 초고속네트워크의 발전과 더불어 원격교육도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온라인 강의(교수-학습)툴에 대한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와는 비교되게 가상실험 툴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고 할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격교육용 가상실험실로 사용될 수 있는 웹 기반 시뮬레이션 툴, SimDraw를 설계 및 구현한다. 웹 기반 시뮬레이션기술을 원격교육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요구사항이 만족되어야 한다. 첫째, 시뮬레이션 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간단해서 학생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원격 학생들의 다양한 컴퓨터 환경에서도 일관되게 실행될 수 있을 정도로 이식성이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셋째,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충분히 가벼워서 학생들이 설치 없이 사용이 가능하거나 혹은 설치가 매우 간결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SimDraw는 클라이언트/서버구조에 기반하고 있다. 클라이언트프로그램은 모델작성 및 애니메이션 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자바 애플릿으로 구현이 가능하고 웹 브라우져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즉 설치가 전혀 필요 없다. 서버프로그램은 원격컴파일, 모델저장, 라이브러리관리, 사용자관리 등의 기능을 클라이언트 측에 제공한다. SimDraw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라우팅 프로토콜의 가상 실험을 예로 들어서 시뮬레이션 과정을 보였다. Recently, the distance education has been rapidly proliferated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Internet and high speed networks. There has been relatively much research with regard to online lecture (teaching and studying) tools for the distance education, compared to the virtual laboratory tools (for self-study and experiment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web-based simulation tool, named as SimDraw, for the virtual laboratory in the distance education. To apply the web-based simulation technology into the distance education, some requirements should be met; firstly, the user interface of the simulation should be very easy for students. Secondly, the simulation should be very portable to be run on various computer systems of remote students. Finally, the simulation program on remote computers should be very thin so that students can easily install the program onto their computers. To meet these requirements, SimDraw adopts the client/server architecture; the client program contains only model development and animation functions so that no installation of a client program onto student's system is required, and it can be implemented by a Java applet in Web browsers. The server program supports client programs by offering the functions such as remote compiling, model storing, library management, and user management. For the evaluation of SimDraw, we show the simulation process using the example experimentation of the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Internet routing protocol.

      • KCI등재

        간호학생이 경험한 일과성빈호흡신생아간호시뮬레이션 기반 간호교육의 디브리핑에 대한 내용분석

        황지원,김재희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이 경험한 TTNB간호시뮬레이션 기반 간호교육 디브리핑 내용분석을 통해 학습 목표 달성 및 시뮬레이션 모듈 및 운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활용에 있다. 2023년 3월 2일~4월 28일일까지 간호학생 46명을 대상으로 K간호대학에서 개발한 모듈과 구조화된 디브리핑 설문 지와 녹화영상을 활용하여 기술, 분석 및 적용단계로 분석한 질적연구이다. 설문 결과에 따라, 기술단계는 경험한 내용 재수집 및 묘사 통해 느낌 2개, 잘한 점 4개, 어려운 점 3개, 전반적 평가 3개, 분석단계는 동료역할 관찰학습 3개, 우선적으로 수행할 간호활동 2개, 그 외 간호문제 5개로 분류하였다. 적용단계는 학습 후 임상적용 혹은 자신에게 도움 될 항목 각 3개, 다시 상황연기 기회가 제공되면 자신에게 기대되는 변화는 4개로 분류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학생이 경험한 일과성빈호흡간호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의 디브리핑 내용분석을 통해 시나리오 모듈 개발과 적용이 교과목 학습목표를 달성 하는데 충분하였고 21C 인재형이자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요청하는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 원활한 의사소통능력, 원만한 인간관계를 통한 협업이 가능한 간호사를 양성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시뮬레이터를 비롯한 녹화된 동영상시설 등 교육시설의 최신화와 내용분석을 통한 모듈과 시뮬레이션 운영의 지속적인 피드백과정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study was to use the Transient Tachypnea of New Born (TTNB)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debriefing content analysis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as basic data for achieving learning goals and improving simulation modules and operations. This was a qualitative study that used structured debriefing questions, recorded videos, and modules created by K Nursing University to analyze 46 nursing students in the technology, analysis, and application stages between March 2, 2023, and April 28, 2023. Through reflection and an explanation of the experienced contents, the technical stage was divided into two emotions, four good points, three difficult points, and three stages of overall evaluation. Three peer role observation learning, two nursing activities, and five additional nursing problems were divided into categories for the analysis stage. The application stage was classified into three clinical applications after learning or four expected changes. As a result,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enario modules were sufficient to achieve the subject's learning objectives through the debriefing content analysis of education based on daily poverty nursing simulation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effective in fostering nurses who are 21C talented and can collaborate through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smooth communication skills, and smooth human relationships reques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Nursing Education and Evaluation. It is significant that to discuss the need for a continuous feedback process for module and simulation operation through update and content analysis of educational facilities such as simulators and recorded video facilities.

      • KCI등재

        지역사회 간호영역에서의 방문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

        김윤정,박정하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 2016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지 Vol.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 of visiting nursing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community nursing. Method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56 nursing college students in Busan. Data were collected and measured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tudents’ responses regarding simulation experience, students’ self-assessment, self-confidenc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Result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scenario experience in community - based nursing simulation training was the most lacking communication area with the subject, so it was necessary to supplement it. The experience of the visiting nursing simulation scenario showed satisfactory results in all areas. The confidence of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after learning the simulation training was 7.6 points out of te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egree of problem solving ability before and after the simulation training, the degree of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after the training was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the simulation training. Conclusion: Simulation training before clinical practice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nursing assessment, performance, confidenc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simulation training, students will be able to provide qualitative nursing care and coping with problems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사회과 법교육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허종렬 ( Jong Ryul Hur ),박형근 ( Hyung Keun Park ),고영은 ( Young Eun Ko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0 한국초등교육 Vol.20 No.2

        학교 법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적절한 내용과 함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필요하다는 기본 인식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법교육에 관한 구체적 교수학습 방법들을 체계화하여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 개발, 활용되고 있는 법교육 학습 방법들을 소개하고 유형화하였다. 아울러 사례 연구법, 시뮬레이션, 역할놀이, 모의재판, 지역사회 기반 학습 등의 학습 방법들의 의미, 장점, 절차 및 예시, 유의점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법교육 방법론의 보급을 위해 교원양성대학과 법무부, 교육과학기술부 등 유관기관들이 법교육 방법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교육 및 연수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사회과를 비롯한 여러 교과교육의 교수학습 방법들을 법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개발하며, 현장 교사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법교육 방법 매뉴얼을 제작하여 보급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stemmed from a basic recognition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ppropriate contents and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effective law-related education in school, and, thus, aims to systemize and introduce detail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ncerning law- related education. This study looked into the reality of teaching-learning methods that have been utilized dur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law-related education through research into teachers` perception, and introduced and classified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law-related education, which have been studied, developed, and utilized in the USA and Canada. This study suggested the meaning, strengths, procedures and example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including case study methods, simulation, role playing, mock trials, and community- based learning, in detail. This study may propose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offer the opportunity to gain diverse experiences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law-related education at the universities of teacher education, and to help teachers learn and acquir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law- related education through various training for teachers. Second, We need to utilize teaching -learning methods involving a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them of law-related education. Third, it is required to prepare for school teachers and distribute to them, manuals for teaching- learning methods regarding law-related education.

      • KCI등재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몰입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

        노기옥(Noh, Gie 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에서 직접간호 체험의 부족으로 임상수행능력을 갖추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대안적 방법으로 간호교육 현장에서는 임상현장과 유사한 설계적 특성을 갖는 시뮬레이션 교육을 운영하여 임상수행능력 증진을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몰입과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확인해 보고자하였다. 일개 간호대학 4학년에 재학 중인 114명에게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이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1.0으로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직전학기 성적이 우수한 경우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임상수행능력 수준이 높았다. 또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가 높을수록 몰입, 임상수행능력 수행이 높게 나타났으며, 몰입과 임상수행능력 또한 긍정적인 상관성을 보였다. 최종 회귀분석 모델에서 임상수행능력의 예측요인은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몰입이었으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였고, 두 변수에 의한 설명력은 38.9%였다. 결과적으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를 증진시키는 것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임상수행능력을 높일 수 있는 학습 및 지도 방법 개발에 이러한 부분을 접목하여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완성할 것을 제언한다. Nursing students have only limited opportunities to practice clinical skills in hospitals. One option to overcome that problem is simulation-based education. This study observes the degree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flow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and identifies the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flow on clinical competency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Fourth-year students (n=114)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fter the simulation-based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clinical competency differed according to the students’ previous-semester grade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flow and clinical competency we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The final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flow accounted for 38.9% of the variance in predicting the level of clinical competency. In the regression model,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clinical performanc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flow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clinical competency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In particular, increasing the motivation for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could improve the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