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허버트 스펜서의 사회학

        양영진(Yang Young-Jin) 한국사회학회 2001 韓國社會學 Vol.35 No.5

        이 글은 스펜서의 전체 사회학 체계를 원전을 통해 이해하고 논리적으로 재구성하려고 노력하였다. 이 글은 방대한 스펜서 사회학 체계의 한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는 분업이론을 규명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그의 이론을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스펜서 이전의 중요 사상가였던 스미스와 마르크스의 이론과 비교ㆍ검토해 보는 것을 부차적 목적으로 삼았다 분업의 끊임없는 진전과 증가는 사회적 진화과정을 형성하는 많은 요소들 중 가장 중요한 요소라 불 수 있다. 분업의 수평적 측면을 강조한 스미스나 수직적 측면을 강조한 마르크스와 달리 스펜서는 기능적 분화로 표출되는 수직적 분업형태와 구조적 분화로 표출되는 수평적 분업형태 모두를 강조하였다 나아가 분업의 긍정적 결과를 강조한 스미스나 부정적 결과만을 강조한 마르크스와 달리 스펜서는 분업이 초래하는 등정 적ㆍ부정적 결과 모두를 파악해 내었다 이와 같이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스펜서의 사상 은 현대에도 이어져 다양한 분야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며, 필자는 “스펜서가 죽어 묻혀 버렸다는 것은 정말 확실한가?"하고 파슨즈에게 되묻는다.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and logically restructure the whole sociological system of Herbert Spencer by scrutinizing the original texts.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losely Spencer's theory of the division of labor. Second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Spencer's theory of the division of labor with that of Adam Smith's and Karl Marx's. Spencer argues that the task of sociology is to chart the 'normal courses of social evolution' and explain them logically. Increasing 'division of labor' is one of the crucial factors forming the process of social evolution. Contrary to Smith and Marx who emphasized 'horizontal' or 'vertical' aspect of division of labor respectively, Spencer emphasized both vertical aspect (functional differentiation) and horizontal aspect (structural differentiation). Again, contrary to Smith and Marx who emphasized 'positive' or 'negative' consequences of division of labor only, Spencer found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division of labor. Spencerian ideas appear every where in modern sociology, indicating his legacy has endured in somewhat transmuted form. The author finishes his paper with a rhetorical question to Talcott Parsons: "Is it certain that Spencer is entirely buried?"

      • KCI등재

        스펜서 자유주의의 이중성에 대한 고찰

        김명환(Kim, Myoung-Hwan) 부산경남사학회 2012 역사와 경계 Vol.83 No.-

        스펜서의 자유주의는 국가간섭을 정면으로 거부하고, 사회진화론을 끌어 들여 시장의 논리를 정당화했다는 점에서 자유방임주의를 옹호하고 있다. 그의 사상은 20세기 후반 대처와 레이건의 정책에 원용되었으며 특히 대처는 티나(TINA)라는 구호를 스펜서의 저작에서 빌려와 사용하기도 했다. 그의 사상이 보수적으로 간주되는 것은 그가 모든 국가간섭을 거부함으로써 민주적 권력의 교정적 간섭마저 거부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그의 사상은 보수의 이익을 방어하는 논리로 이용될 수 있었다. 사실상 그는 민주주의의 힘에 대항하는 보수파에게 이데올로기적 근거를 제공한 셈이다. 현실적으로 스펜서의 사상은 보수에 봉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스펜서의 사상에는 여러 면에서 단순하게 치부될 수 없는 요소들이 내재해 있었다. 토지 공유화에 대한 그의 견해는 초기와 후기의 생각 중 달라진 부분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의 사상에 혼재하는 개인주의와 사회유기체적 요소도 혼란을 불러 일으킨다. 하지만 그의 사상을 모순되게 보이는 이 두 가지 요소는 실재로는 그의 사상 속에서 조화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그의 사상에는 개혁적인 요소들도 존재하고 있다. 그는 다수의 이름으로 이루어지는 간섭에 대해 소수의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다원주의 사회의 존립을 가능하게 만드는 원리인 셈이다. 스펜서는 전쟁을 반대하고 국제평화를 추구함으로써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에 대해 비판했다. 그리고 그는 기업이 계서제적 형태에서 벗어날 것을 기대했으며 기업의 모습이 협동적이고 공동체적인 기업 형태로 변화될 것을 추구했다. 그가 이타주의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도 그가 개혁을 추구한 사람이라는 점을 암시한다. 스펜서는 비록 보수세력에 이용되었지만 그의 사상에는 보수적 요소와 개혁적 요소가 혼재하고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Spencer’s liberalism is vindicating the idea of laissez-faire in rejecting the state intervention and adopting the principle of social evolution. His thought was invoked in the policies of Reagan and Thatcher administration while Thatcher especially borrowed the slogan of “TINA”(There is no alternative) from the phrase of Spencer. As he even disapproved of the democratic corrective intervention in defying all kinds of state intervention, his thought was interpreted as conservative. Consequently his idea could be utilized as a weapon of the conservative interests. Spencer has practically offered the ideological foundation for the conservatives that were resisting against the tendency of democracy. Spencer’s thought seems to serve the conservative interests. But there were many elements which shouldn’t be simply set aside. His view on land collectivization changed from positive position to negative stance as he continued to observe the social conditions of Britain. The individualism and social organicism that were inherent in his thought and seemed to be clashing each other is also confusing. But these two factors which seem to make his thought contradictory are actually existing in harmony in his entire perspective. In Spencer’s thought, there were also some factors that could serve for the purpose of various reforms. He insisted that the rights of minority should be protected against the claims of majority. This idea is an essential principle that leads to the pluralistic society. Spencer objected to the war and pursued the global peace that led to anti-imperialism and anti-colonialism. He hated the hierarchial character of the corporation in the industrial type society. He anticipated the transformation of the hierarchial enterprise into the cooperative communal enterprise. We can also find Spencer’s strong belief in altruism that verifies the reformist aspiration. We should not forget the fact that conservative and reformist factors were coexisting in Spencer’s thought although his idea was appropriated by conservstives.

      • KCI등재

        스펜서의 과학 예찬에 대한 피터즈의 논평 고찰

        현상익 한국교육철학학회 2024 교육철학연구 Vol.46 No.2

        이 논문은 스펜서의 교육론에 대한 피터즈의 논평을 자세히 검토하는 데에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논문은 크게 두 가지 논의를 다룬다. 하나는, 스펜서의 교육론이 18, 19세기 영국 교육의 역사 안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가를 검토하는 논의이다. 이 논의는 한편으로 스펜서의 교육론이 당대 교육 현실에 어떤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는가를 파악하는 데에 도움을 주며, 또 한편으로 피터즈가 스펜서의 교육론에 대해 가장 문제로 삼았던 부분이 정확히 어느 곳인가를 분명히 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다른 하나는, 스펜서 교육론에 대한 피터즈의 윤리학적 논평의 내용을 자세히 검토하는 논의이다. 이 논평에서 피터즈는 스펜서가 제안하고 있는 교육에 관한 모든 구체적 사항의 밑바탕에 과학만능주의, 진화론적 신념, 원자적 개인주의의 세 가지 사고가 논리적으로 가정되어 있음을 지적한다. 피터즈는 특히 스펜서의 교육론이 철두철미 원자적 개인주의의 사고에 근거하여 삶의 의미와 교육의 가치를 파악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피터즈의 관점에서 보면, 스펜서의 교육론에 나타나 있는 이런 식의 사고는 교육과 관련하여 늘 도덕적 위험성을 수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경계의 대상이 된다. 피터즈가 전달하고 있는 이 문제의식은 한편으로 교육의 개념을 파악하는 현대의 지배적 관점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하며, 또 한편으로 피터즈의 교육론을 대표하는 여러 주장들의 의미를 자세히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key points of Peters’s critique of Spencer’s proposals for education. Spencer is well-known for his strong conviction ofthe omnipresence of science, which permeates his specific recommendations for education. Peters argued that conceptions such as scientism, evolutionary faith, and atomic individualism were presupposed in all the details of Spencer’s proposals on education. According to Peters, Spencer had attempted to establish a new approach that redefined the concept of life and the true meaning of education based on an evolutionary faith and atomic individualism. Peters pointed out that this approach, as manifested in Spencer’s proposals on education, would be morally dangerous. All detail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providing us with important clues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such concepts as the normative aspect of education, concept of education as initiation, and transcendence of the forms of life that represent Peters’s educational theory.

      • KCI등재

        허버트 스펜서와 옌푸(嚴復)

        우남숙(Woo namsook) 한국정치학회 2012 한국정치학회보 Vol.46 No.5

        본 논문은 한국·중국·일본의 근대 정치사상가들이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각기 구국책으로 제시한‘민의 지·덕·력(체)의 향상에 의한 국가부강의 달성’론은 스펜서의‘사회유기체의 적자생존은 내적 속성인 지·덕·체가 결정한다’는 사회유기체이론이 사상적 원형임을 해명하기 위해 이를 중국 최초로 수용한 옌푸를 중심으로 이론적 특징과 사상사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스펜서는 개인주의적 사회유기체론을 전제로 진화란 사회조직과 질서의 진화를 의미하였는데, 이는 구성원인 개인의「지·덕·체」의 진화에 의존하며 이를 위한「지·덕·체 교육」의 자유방임을 최대한 존중할 때 사회진화의 성과를 가장 크게 가져올 수 있다는 자유방임적 사회진화론이다. 이는 당대의 국가 간섭이 점증하는 경향인 사회적 자유주의(1차 신자유주의)를 진화론이라는 가장 강력한 생물학을 동원하여 사회의 발생을 계약이 아닌 진화에 의한 성장으로 사회의 본질을 정태·기계적이 아닌 동태적 유기체임을 해명하고, 사회진화 양식의 보편적 인과관계를 연역적 서술이 아닌 귀납적 방법으로 해명하여 방어한 역할도 담당하였다. 이러한 스펜서의 지적 계보를 이은 옌푸는「서학」가운데 특히 과학의 보편성을 확신하고, 중국의 부국강병의 성공을 위해「인간의 능력은 지·덕·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개인의 지적 도덕적 육체적 수준과 사회진화의 정도는 상관관계」라는 스펜서의 사회유기체설을 원용하여「민의 지적 도덕적 육체적 증진」을 통한 중국의 변혁을 주장한 것이다. 이는 성인의 지혜에 의한 우민정책과 전통적인 숭문이념에서 벗어 나 중국 전통 이학의 유심주의적 인식론에 충격을 주었던 것이다. 그리고 당시의 서학중원설·중체서용론의 양무파와 서양제국의 제도적 배경에 착안하여 의회제도의 도입과 한(漢)혁명을 주장한 부회론적 유신변법파와도 달리, 옌푸는 과학적 법칙인 사회유기체론을 일체의 영역에 관철시켜 사회·국가·개인의 관계를 검토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옌푸의 사상 자체에 대한 연구 경향이 지배적이며 스펜서로부터 어떠한 사상적 영향 하에서 있었나에 관한 연구가 아직 미답지인 연구 환경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at the theory of “Achieving Prosperity by Improving People’s Intellectual Moral Physicality”that was advanced by Korean, Chinese, and Japanese modern political theorists as a policy of national self-strengthening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had originated from Spencer’s Social Organism Theory, and by focusing on YenFu who first adopted it in China. Spencer, based on the theory of individualistic social organism, claims that evolution is evolution of the social structure and order, and this is laissez-faire social evolutionism that relies on the evolution of the individuals’“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evolution and has a belief that social evolution can be maximized by respecting laissez-faire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This explained the outbreak of society as not by contract but growth by evolution and it also explained the essence of society as a dynamic organism and not static and mechanic, and had the role of defending the causal relationship of social evolution pattern by explaining inductively not by deductive description. YenFu, who followed Spencer’s intellectual pedigree, was especially convinced by the universality of science among “Western Learning”and argued “China’s revolution by people’s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improvement,”by claiming Spencer’s Theory of Social Organism which says “People’s ability is composed by the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an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an individual’s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level and the degree of social revolution.”This was different from the Revitalizing Reform group (유신변법파) who claimed the introduction of a parliamentary system and Han revolution. YenFu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society, state and individual with the Theory of Social Organism which was a scientific law. This became the origins of the policy of developing national power by “Increasing People’s Intellectual Moral Physicality”by “independence”thinkers in Korea in the late 1890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field by first explicating on the philosophical influence of Spencer on YenFu.

      • KCI등재

        니클라스 루만의 자기준거적-자기생산적 체계에 대한 바른 이해

        이철(Chul Lee)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4 현상과 인식 Vol.38 No.4

        본 논문은 니클라스 루만이 창안한 자기준거적-자기생산적 체계 이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정립함으로써, 그 올바른 수용과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 체계는 발생하자마자 사라지는 사건으로서, 체계가 관찰하는 시점에는 현행 사건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체계는 두 사건의 동시적인 존재에 기초하여 이해되어서도 안 되고,“ 사건-과정-사건”의 도식으로 이해되어서도 안 된다. 체계 사건은 발생하는 그 순간, 자신을 체계에 소속시킨다. 그리고 사건이 과정을 촉진시키는 동시에, 과정이 사건을 발생시킨다. 이 특이한 논리는 스펜서브라운의 시간 논리학에 근거를 둔다. 스펜서브라운은 어떤 것이 존재할 최소 조건을 수학적으로 계산하였다. 그 조건은 어떤 것이 그 밖의 것으로부터 구별되고, 그것이 다음 시점의 자신에 의해 지시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것은 구별함과 지시함이 시간의 차원을 넘어서서 재진입하는 순간, 형식‘(어떤 것/경계/그 밖의 것’)을 남김으로써 완성된다. 스펜서브라운과 루만은 구별함과 지시함의 동시 실행을 통해, 관찰의 요소, 과정, 작동이 동시에 생성되고, 서로 연관된 가운데 실현된다는 해법을 제출한다. 그래서 구별, 지시, 재진입은 관찰배경, 관찰대상, 관찰자를 서로의 관계 속에 현재화시킨다. 이 관계들은 자기준거적 재귀적 관계망의 형성을 통해 실현된다. 이렇게 생산된 단위 사건은 형식을 남기고 사라지며, 그 형식이 다시금 자신의 발생을 스스로 결정하는 후속 사건을 유도한다. 이 논리는 사회적 체계의 소통에 적용되어, 루만의 사회이론의 관찰자의 이론적 토대가 된다. 이렇게 분석된 자기준거적 자기생산 체계는 근본적인 인식론적 혁신들을 지니고 있다. This article tries to establish the correct understanding about the Luhmann’s selfreferential-autopoietic systems in Korea and to contribute to its accurate reception and discussion. Luhmann’s systems are event which disappear on time of their occurrence, and only the occurring event can exist on time of observation by the systems. Accordingly, systems may not be understood on terms of the simultaneous existence of two events, nor on basis of the schema, "event-process-event". Event of systems attribute themselves to the systems, on the very moment of their occurring. Event brings about process, and process generates event. This unique logic has its ground on the time logics by Spencer-Brown. Spencer-Brown calculated the minimal conditions for existence of something. That is: Something has to be distinguished from something else and be indicated from something another else. Theses conditions are completed, on moment distinction and indication cross the time border and reentry, consequently producing form(something/border/something else). Spencer-Brown and Luhmann explains that by a simultaneous completion of distinction and indication, elements, process, and observing of observance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and realized in relation to each other. So ‘distinction/indication/reenty’ generates ‘observance background/observed object/observer’, and actualize themselves in the relation to each other. These chains of events are completed by formation of the self-referential reflexive network. So produced unit of event disappears, leaving form behind. And then succeeding event, though motivated from the form, decides its occurring itself, too. This logics are adapted to communication and social systems, generating the observer of the Luhmann’s theory of society. As summary of these analyses will be summarized fundamental innovations immanent in selfreferential autopoietical systems, and comments for some translation problems.

      • KCI등재

        스펜서의 사회진화론과 공리주의 사상이 가노지고로의 강도관 유도에 미친 영향

        조재기 ( Jae Ki Jo ),유성연 ( Sung Yeon Yoo ) 대한무도학회 2013 대한무도학회지 Vol.15 No.1

        이 연구는 허버트 스펜서의 사상과 공리주의 사상이 강도관 유도의 핵심사상에 미친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상의 목적으로 연구한 이 연구물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노지고로는 제레미벤덤, 존 스튜어트 밀 등으로 대표 되어지는 공리주의 사상계열과 허버트 스펜서의 사회진화론적 교육 사상을 페노로사에게 주로 사사하면서 자신의 사상적 틀을 완성하여 1882년 강도관 유도를 창설 하였다. 둘째, 가노지고로는 1882년 강도관 유도를 창설하면서 그 목적을 체육, 승부, 수신으로 설정 하였다. 이는 스펜서의 삼육주의 교육사상을 채용한 것으로 이 당시 스펜서의 신체관은 신체의 본능적인 욕구에 순종하고 자연적인 발육을 중시하며 그것에 합치하는 체육 교육을 실천하는 것이었다. 결국 스펜서의 이러한 신체관은 의, 식, 주 등 사회생활 전반에 걸친 원리로 이어지게 되고 이러한 사상에 감화 받은 가노지고로 역시 강도관 유도의 목적을 단순히 지, 덕, 체의 단련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인생전반에 걸친 원리로서 강도관 유도를 활용하게 된다. 셋째, 가노지고로는 심신의 힘을 최고로 유효하게 사용하는 길이 정력선용의 사상이라 하였고 이를 통해 세상을 보익(補益)하자는 것이 자타공영의 사상이라 하였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자신의 최대 행복이 아니라 전체 행복의 최대량이 최고의 행복이라는 공리주의 사상과도 그 궤를 같이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at Herbert Spencer`s social Darwinism and utilitarianism thought influence on core thought of Kodokan`s Jud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Jigoro Kano studied under Bentham, Jon Stewart and Fenellossa then completed his own ideological framework then established Kodokan`s Judo in 1882. Second, the purpose was established as physical education, victory and mental practice when Kano was establishing Kodokan`s Judo. He namely adopted Spenser`s education of three thought. In this time Spenser`s a view of body emphasized on the body`s instinctive desire to obey and natural growth and physical education practice. This view of body eventually leads to Spencer`s social life and Kano was swayed with this thought then Kano wanted to utilize Kodokan. The best use of energy Judo principles not only stay physical training but also whole life. Third, Kano said that it is which the way that mind and body use to effective power and it is Mutual prosperity this can assistance world. The thought of him do along with utilitarianism in the way that it is not greatest happy, the happiest is most full of happiness.

      • KCI등재

        `Organism`의 번역 : 옌푸의 유기체론 수용과 `신체관의 충돌`

        김태진(Kim, Taeji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6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5 No.2

        일반적으로 유기체론은 공동체 내부의 다양한 대립을 부정하고, 공동체의 일체성을 표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지금까지 유기체론에 대한 이러한 이해가 너무 당연하게 받아들여져 왔기 때문에 오히려 그 관념구조와 정치적 효과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왔다. 그러나 정작 필요한 물음은 유기체론에서 ‘유기(有機)’라는 말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그리고 그것이 표상하고 있는 신체상은 어떤가, 이를 통해 어떤 정치적 담론을 만들어내는가라는 것이다. 이는 그동안 기존연구에서 유기체론이 기반하고 있는 신체관과 무관하게 이를 분석해 왔기 때문에 간과되어 왔던 질문들이다. 유기체가 어떤 특정한 상태의 집합적 신체를 상정한다면 정치담론으로서의 유기체론은 신체담론과 떨어져 파악될 수 없음은 분명하다. 또한 정치담론과 신체관을 함께 보아야 하는 이유는 정치담론의 수용과정에서 더욱 중요해진다. 왜냐하면 바디폴리틱에 대한 사유들 중 많은 논의가 서양에서 근대 동아시아로 건너와 수용되었다고 할 때 출발지와 도착지의 신체관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를 옌푸의 스펜서 유기체론의 수용과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스펜서의 자유주의적 유기체론은 당시 유럽에서의 세포학의 발전과 떨어져 생각할 수 없다. 스펜서에게 유기체란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으로서, 이러한 사회유기체에 대한 인식은 신체에서 개별적 세포들이 생명의 근원으로서 파악되었던 점과 무관하지 않다. 그러나 옌푸는 스펜서의 유기체론을 받아들이면서 이를 전통적인 중국의 신체유비와 동일시하고 있다. 이는 신체를 보는 관점에서 개별 세포 혹은 기관에 대한 강조보다 전체의 조화를 중시하는 전통적 신체관의 영향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스펜서에게 전체로서 유기체는 선험적으로(a priori)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개체들의 기능적인 ‘관계’들 속에서만 나타난다면, 옌푸가 바라본 유기체는 전체로서의 조화가 중시되며 전체는 각 부분들보다 미리 존재하며, 존재론적 우위성을 지닌 것이었다. 이처럼 근대 동아시아에서 사회유기체론(social organism) 사상을 받아들이는 데는 일종의 변형과 굴절의 양상이 보인다. 그것은 컨텍스트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것이기도 하지만, 기저에 깔려있는 신체관의 차이 좀 더 넓게는 생명관의 차이에서 비롯된 측면 또한 간과할 수 없다. Organicism has long been considered as a authoritarian or totalitarian discourse that negates the inner conflict and emphasize the harmony. However, admitting that organicism has such characteristic, we should ask questions what organism means and how it is connected with the viewpoint of body. Existing studies have failed to grasp the significance of analogy of Organicism properly. This is because they did not pay proper attention to the notion of ‘body’ in Organicism. Therefore, it is the aim of this study to reexamine Organicism with the idea that the viewpoint of body has been changed through time and space, not taking it as fixed one or simply rhetoric. This view is even more important in terms of body politics of modern East Asia where the discourse of body politic is mainly transferred from the West. However, the discourse of body politic in the West and East does not have the same meaning and origin. Yan Fu translates ‘organism’ as ‘guanpin(官品)’. In this translation, he identifies the traditional state analogy in China with Spencer’s Organicism. However, Spencer’s logic is far from China’s traditional analogy. Spencer’s organicism lays stress on the harmony without ignoring the worth of individual. This is related to his understanding of cell that independent cells constitute the body in cooperation with other cells without the centralization of control. However, China’s organicism i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whole is prior to parts ontologically. This discrepancy may be based on the difference of the perspectives on the body. When we cast on the notion of body in Organicism, we can find the key to interpret why social organism is modified as national ideology in the East Asia.

      • KCI등재

        연구논문 : 스펜서의 자유주의 -민주주의를 거부하게 된 자유주의-

        김명환 ( Myoung Hwan Kim ) 영국사학회 2011 영국연구 Vol.26 No.-

        이 글은 스펜서의 자유주의가 19세기 후반 영국에서 갖는 의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스펜서는 국가간섭에 대해 반대했고 개인의 자유를 옹호했다. 이러한 생각 자체는 개혁성을 띠고 있었다. 하지만 당대의 국가간섭은 사회문제와 얽혀 있었고 선거권 확대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 결과 국가간섭은 보수파의 이익을 침해하는 결과를 낳고 있었다. 이런 맥락에서 스펜서의 자유주의는 보수파의 논리로 작동했다. 더욱이 스펜서가 사회진화론을 사회동학의 원리로 받아들이면서 그의 자유주의는 황량한 성격을 띠게 되었다. 스펜서는 민주주의가 집단주의를 낳는다는 사실을 발견하면서 보통선거에도 반대하는 입장에 서게 되었다. 단지 그가 보수주의자들과 달랐던 점은 그가 국가권력 자체를 약화시키려 했다는 것이다. Spencer insisted that any kind of state intervention should be prohibited. His idea could be interpreted as a kind of reformist idea in a sense. But in the context of political atmosphere of the 1870s it functioned just as a shield of the conservatives as the contemporary state intervention infringed the interests of the conservatives. In spite of this phenomenon the liberalism of Herbert Spencer was differentiated from the conservatives as he pursued the social transformation against the preservation of society to which the Tories adhered. He suggested that the state intervention should be lessoned more. But Spencer adopted the Social Darwinism as a way of reaching the goal of his Social Dynamics. This meant the survival of the fittest based on the logic of power. His idea of reform had eventually taken the character of desolate and brutal change. Spencer had also recognized the mechanism of the workings of the state intervention. He noticed the fact that democracy was facilitating collectivism while liberalism was generating individualism. He was against socialism while he regarded all kinds of collectivism as socialism. He shrewdly discovered the fact that democracy should be restricted to resist the advance of socialism. As a result of this recognition he became increasingly negative to the implementation of universal suffrage and land nationalization that he vindicated in his early days. The liberalism of Herbert Spencer became to serve the interests of the conservatives and had an anti-democratic tendency. But we should keep in mind the fact that his idea was different from the conservatives as he did not intend to capture the power of state but to weaken the functions of the state itself.

      • KCI등재후보

        사회진화론의 동아시아 수용에 관한 연구

        우남숙(Woo Namsoo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1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0 No.2

        본 논문은 근대 한국·중국·일본 삼국의 사회진화론 수용 양식의 비교 연구를 위한 선결과제인 역사적 수용과 이론적 원형을 각기 비교해보는 것이다. 사회진화론은 사회의 장기적 변화를 진화 혹은 진보라는 관점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의 총칭으로, 초기 사회진화론으로써 스펜서의 개인주의적 사회진화론과 다윈의 생물학적 진화론을 사회에 적용한 사회다위니즘이 대표적 이론이다. 다윈 역시 진화적 생물학에만 집착하지 않고『인간의 계보』를 통해 생물학의 범위를 넘어 자연선택이론을 사회에 적용하려는 시도를 본격화하여 사회진화론을 전개하였다고 볼 수 있다. 사회진화론의 수용 시기는 서구열강과 동양 삼국의 만남의 시기이기도 한 19세기 후반으로, 비서양 후발사회인 삼국은 서구로부터의 무력정복·불평등조약·영토분할·정치적 압박·경제적 침략이 강제된 냉혹한 역사에 대응하기 위한 근대화 과정의 하나로, 서양사상과 제도를 주체적으로 수용하는 시기이기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회진화론은 당시 각국이 지향하고 있던 정치사회적 목표인 부국강병에 의한 근대화와 자주독립을 동시에 달성가능하게 하는 최신 사회과학 이론으로 인식되어 크게 공명된 사상이었다. 수용이 1870년대 일본을 선두로 자발적인 동시에 용이하게 이루어졌던 이유는 서구와 같은 오랜 기독교적 신학의 전통이 결여되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당시 최신 생물학을 기반으로 한 최신의 사회과학이론을 제공한 스펜서와 다윈의 이론에 삼국의 사상가들은 큰 지적 매력을 느꼈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독일학의 개척자인 加藤弘之가 선두주자로, 이외의 메이지 지식인들도 자신들의 정치적 사회적 종교적 입장과 관계없이 사회진화론의 큰 영향하에 있었다. 중국의 경우 역시 1880년대 이미 스펜서의 저서가 번역되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전파는 청일전쟁의 패배 이후인 1890년대로, 영국 유학생 출신이며 교육자와 져널리스트로 평생을 견지한 嚴復과 실천적 변법운동가이자 14년의 일본 망명을 통해 폭 넓은 서양사상을 흡수한 후발주자 梁啓超가 중심이다. 한국의 경우는 일본 및 미국 유학생 출신의 1880년대 유길준이 최초 수용자이며, 본격적인 전파는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해 가는 과정에서의 사상적 대응 운동이라 할 수 있는 1890년대 후반의「자강」·「독립」사상의 선두주자였던 박은식 장지연 신채호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삼국의 사상가들 다윈의 생존경쟁과 적자생존에 의한 진화의 법칙, 스펜서의 인간의 지덕체의 성쇠에 의한 사회진화에 관한 해석, ‘약육강식’과 ‘우승열패’의 생존경쟁 법칙을 새로운 국제질서 인식의 틀로 받아들여, 중화문명에 대한 압도적인 자신감인 화이우열론을 토대로 하여 서양사회의 부강의 원인을 기술문명에 한정하는, 일본의「和魂洋財」론 중국의「中體西用」론 한국의「동도서기」론을 파산시키고 각국의 독자적인 사회진화론 수용 양식을 전개하게 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ompare historical acceptance and original type of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of Korea·China·Japan in modern century. Social Darwinism, a term that explains longterm changes of society in the view of evolution or advance, is a representative theory of social evolutionism, as a initial social Darwinism, in which Individual social evolutionism of Spencer and Biological Evolution of Darwin are applied to the society. Three countries accepted from Japan in 1870’s with easy and spontaneously, despite their lack of traditionally old christian theology, Original type of social Darwinism of three countries was greatly influenced by Darwin and Spencer and the concern of thinkers was not Biological Evolution, but social Darwinism from the beginning. In case of Japan, a front-runner, Katohiroyuki(加藤弘之), a pioneer of German study, and other Meizi intellectuals was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Darwinism irrespective of their political, social and religious stand. In case of China, a book of Spencer was already translated in 1880s. Full scale of propagation was on 1890s following defeat at China-Japan war and was centered by Yenfu(嚴復), a British studied educator and journalist and a next-runner Liangizao(梁啓超), an activist who assimilated a broad western ideology through 14 years-exile in Japan. In case of Korea, Kil-Jun Yu, a Japan and America studied, is the first in 1880s and full scale of propagation was centered by Eun-Sik Park, Ji-Yeon Jang, and Che-Ho Shin, front-runners of ‘Self Strength’ · ‘Independence’ ideology in later of 1890s, which was a defensive ideological movement during a fall into Japanese colony They accepted interpretation of natural selection by ‘struggle for existence’ and ‘survival of the fittest evolution of Darwin and social evolution by human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 of Spencer.

      • KCI등재

        사회진화론에 대한 일반적인 비판을 윌리엄 섬너의 입장에도 적용할 수 있는가? -그의 주저 『습속』을 중심으로-

        김성한 ( Kim Sung-han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5

        19세기 말에 유행했던 사회진화론은 철학적인 미숙함뿐만 아니라 이론이 가질 수 있는 부정적인 정치적 함의 때문에 사람들의 외면을 당하고 있는 사상가들의 이론을 일컫는 단어다. 사회진화론의 대표자는 스펜서인데, 그는 자연계뿐만 아니라 인간 사회에까지 진화론을 대담하게 적용해 보고 있다. 하지만 그의 입장은 진화를 최적자의 생존을 도모하는 발전 과정으로 파악하고, 이러한 과정 자체가 선(善)이라고 생각하는 등의 잘못을 범하고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그는 사회 내의 각종 차별뿐만 아니라 제국주의적 침략마저도 뒷받침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로 인해 사람들은 사회진화론에 대한 극도의 반감을 갖게 되었다. 섬너는 이와 같은 스펜서의 입장을 계승한 것으로 알려진 미국의 사회학자다. 그는 미국의 스펜서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에 따라 그 또한 많은 경우 스펜서가 받고 있는 비판을 고스란히 이어받고 있다. 이 글은 섬너에 대한 이와 같은 부정적인 태도가 적절한지를 그의 주저인 『습속』을 통해 검토해 보고 있다. 필자는 사회진화론에 대한 일반적인 비판을 통해 섬너 또한 스펜서와 다를 바 없는 잘못을 범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생각하는데, 이 글에서 필자는 이를 섬너의 주저인 『습속』의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보이고자 하고 있다. Social evolutionism, which was popular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has a bad reputation not only because of philosophical inexperience, but also because of negative political implications. Spencer is representative of Social evolutionism, and he boldly applies the theory of evolution not only to nature but also to human society. His position, however, is that he perceives evolution as a developmental process that promotes the survival of the fittest, and he makes the mistake of thinking that this process itself is good. It is further known that he supports not only discrimination in society but also imperialist aggression, which has led to extreme antipathy towards social evolutionism. Sumner is an American sociologist who is known to have succeeded Spencer`s position. He is referred to as the American Spencer, so he is also taking on many of the criticisms Spencer receives. This article examines whether this negative attitude toward Sumner is appropriate through his book Folkways. I think it is wrong to argue that Sumner is wrong along with Spencer through a general critique of social evolutionism. In this article, I try to show this through the concrete content of Folkw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