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영어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방안 - 보충학습 대상자를 중심으로 -

        이혜경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5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5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영 어학습 부진아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대상은 대전 • 충남 • 경 기지역 소재 초등학교 교사 112명이었다. 설문 분석 결과 초등영어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상 수업시수의 부족, 수준별 학습자료의 부족, 수준별 학습자 구분기준의 어려움 둥이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다. 초등영어 보충과정 대상자인 영어학습 부진아 지도 방안으로는 우선 영어에 대한 흥 미와 자신감을 회복시켜주는 일과 동료간의 학습도움을 주고받는 튜터제도의 활성화, 보충학습활동의 다양화, 그리고 영어환경에의 노출 기회 확대 등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되었다. The 7th curriculum intends to realize individualized learning in which individual learner’s ability to learn, and his or her different learning style are taken into account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is paper is an attempt to suggest some effective ways for teaching elementary English based on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which is focused on supplementary course learner. For this, a survey on primary ELT was made by 112 primary teachers who have been involved in teaching primary English. Some points that need redressing in the current primary ELT are discussed, and accordingly some strategies for the learner who needs supplementary course are made.

      • KCI등재

        수준별 교육과정(이동수업) 운영의 효과성 탐색

        김소영(金小英)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2

        이 연구에서는 다층자료 분석모형을 이용하여 수준별 이동수업이 중학교 3학년 수학, 영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연구에 이용된 데이타는 한국교육종단연구의 2007년도 자료이다. 총 142개 학교, 5,898명 학생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학, 영어과 성취도를 종속변인으로 하고, 학교수준의 수준별 이동수업 여부 변인 이외에도 학생수준에서 학생의 성취도와 관련 있는 성별, 사교육 정도와 공부시간 변인, 부모의 학업 지원 정도와 학업적 자기 개념 등을 독립변인으로 고려하였다. 사전 연구를 바탕으로 성별에 따른 수준별 이동수업의 효과, 정의적 특성과 성취도의 관계에 미치는 수준별 이동수업의 영향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수준별 이동수업이 수학, 영어교과, 남/녀 학생 모두에게 절대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증거는 찾지 못하였다. 그러나, 수준별 이동수업으로 수학교과를 공부한 남학생의 성적이 그렇지 않은 남학생의 성적보다 높았던 결과를 통하여 수준별 이동수업이 교과에 따라 성별에 따라 성취도에 상이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후속 연구로 현재 학교 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수준별 이동수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수준별 운영방식의 다양성을 고려한 이동수업의 효과성을 면밀히 검토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the 9rd grade Mathematics and English achievement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The results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in 2007 were used. In total 142 schools and 5,898 students were analyzed. The students" Mathematics and English test scores were dependent variable, and whether to implement ability grouping was indpendent variable in school level. And gender, academic self concept, students" studying hours, parents support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bility grouping had no absolute effect on Mathematics and English achievement. However, the ability grouping affected the Maths achievement of male students. The male students who were implemented ability grouping showed higher test scores than not implemented ability grouping. This result proposed that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depends on the type of subject and gender. This study also proposed that how the ability grouping operates might diversify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achievement.

      • KCI등재

        교양기초교육과정 운영 사례 : 성균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남식용(Nam, Sik Yong),이병철(Lee, Byoung Chul) 한국교양교육학회 2009 교양교육연구 Vol.3 No.1

        21세기는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패러다임에 몇 가지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왔다. 대학입시에서의 대단위 모집단위의 확산과 학부제, 전공진입제 등 형태상의 변화로 표현되는 그러한 모습들과 더불어 교육적이며 실질적인 측면에서도 몇 가지 결과를 우리 대학사회에 가져왔다. 특히, 그 중에서도 눈에 띄는 변화는 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의 강화라 할 것이다. 물론 과거에도 의미 있고 중요한 교육으로서의 교양교육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전공영역에 종속된, 혹은 단순히 학부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그저 편안하게 가르치고 배울 수 있는 가벼운 교과과정 정도로 인식되어 온 것도 사실이라 할 것이다. 다행인 것은 이러한 과거의 인식은 최근, 질적으로 우수한 교양교육이야말로 대학교육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주요한 밑바탕이라는 공감대와 더불어 일정 정도 불식되고 있다는 것이다. 성균관대학교 역시 그러한 인식에 바탕을 두고 교양교육의 강화를 우리 학교의 장기발전계획인 VISION2010+ 5대 전략과제의 하나로 천명하고 있으며, 그 시행과 결실의 첫단계로 2005학년도에 교양기초교육과정을 전면 개편한 바 있다. 또한 교양기초교육을 총괄하는 교육기관으로 학부대학을 별도로 출범시켜 현재에 이르고 있는데, 본 글을 통해 그간 이루어져 왔던 교양기초교육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학부대학의 노력을 몇 가지 주요 특징적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성균관대학교 교양기초교육의 현재 상황을 간략히 언급하고, 이어 2005학년도 교육과정 개편에 따른 교양기초교육의 변화상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사례로서 글쓰기(커뮤니케이션)교육의 강화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대학교육의 국제화를 위한 노력의 하나인 기본영어 교육의 강화사례를 살펴보고 기초영역에서의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현황 또한 살피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교양기초교육의 질적 수월성을 담보해 낼 수 있는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평가와 개편의 독특한 사례를 되짚어 보고 교양기초교육 강화의 가장 주요한 요소라 할 수 있는 우수한 교수자원의 확보 및 지원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The 21st century has brought several meaningful changes to the paradigm of Korean university education. It has brought several results along with such formal changes as spread of large admission units in entrance examination, faculty system, and major entry system to university society in educational and practical aspects. Especially, the most outstanding change is reinforcement of liberal arts courses in universities. The liberal arts courses existed as an important educational method in the past, too. However, they were recognized to be subordinate to major field or to be light courses only for freshmen and sophomores. Fortunately, this old recognition is getting weak with consensus that excellent liberal art courses can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university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SKKU) declared that reinforcement of liberal arts courses is one of VISION2010+ 5 strategic agenda and reorganized the liberal arts and basic education courses completely in 2005 as the first step. Furthermore, SKKU organized University College which takes charge of liberal arts courses. We can see the efforts of University College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liberal arts courses through examining principal operation cases. Current status of SKKU liberal arts and basic education courses will be mentioned in the first place, and reinforcement of writing(communication) education will be examined as a case. Moreover, a case of basic English education reinforcement which is one of the efforts to globalize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operation status of differential education in basic courses will be examined as well. Finally, operational assessment for education curriculum which ensures qualitative excellence of liberal arts courses, and professor resources procurement pla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liberal arts courses reinforcement will be examined sequentially.

      • KCI등재

        교육운영 특색사업에 따른 고교생의 학업성취도 분석

        신윤범(Shin, Yun-Beom),원효헌(Won, Hyo-Heo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육운영 특색사업 여부에 따라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지를 탐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을 개선 및 유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20년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EDSS(EduData Service System)에서 제공하는 학교정보공시 자료를 활용하여 교육운영 특색사업 여부에 따라 고교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독립표본 t-검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과교실제는 운영 여부에 따라 영어 기초학력 미달 학생 수와 수학 보통학력 이상 학생 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종속변수에서는 교과교실제 운영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준별 이동수업은 운영여부에 따라 국어, 영어, 수학 보통학력 이상 학생 수, 영어 기초학력 미달 학생 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국어와 수학교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 수는 수준별 이동수업 운영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율학교의 경우 운영 여부에 따라 모든 종속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영어교육 프로그램은 운영여부에 따라 영어 보통학력 이상 학생 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기초학력 미달 학생 수는 운영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교육운영 특색사업과 고교생의 학업성취도를 횡단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진단하고,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are specialized in a school program and to improve and maintain the project based on the results. Method: In 2020, the school information disclosure data provided by the EDS (EduData Service System) of the Korea Educational Information Institute were us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high school academic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Specialized School Programs. Results: The number of students who did not have basic English education and those who did not have regular mathematics or higher education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system was operated or not, and the remaining subordinate variabl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the system was operated or not. Depending on the level of operation, mobile clas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tudents above the basic level of Korean, English, math, and general education, and the number of students below the basic level of English, and mathematic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operation of the mobile classes. For autonomous schoo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dependent variables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operated or not. The English education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tudents above the average English education level, and the number of students below the basic education leve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operation status. Conclusion: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diagnos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suggested directions to move forward by analyzing educational management features and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cross the country.

      • KCI등재

        교양영어 수준별 수업 설계를 위한 비수도권 대학 학습자 인식 조사 사례 연구

        배경진(Kyungjin Bae) 한국영미어문학회 2024 영미어문학 Vol.- No.152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준별 영어 수업에 대한 비수도권 대학 학습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대학 영어 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과 교육적 효과를 평가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434명의 학습자가 응답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이전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했을 때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필요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이 높았으나 수준별 수업의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 인식 차이에 따라 수준별 수업 효과에 따른 견해 차이를 보인다. 이에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을 느끼는 학습자들이 수준별 수업의 효과에 대해 더 높은 수준으로 응답하였다. 수준별 수업의 효과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이나 필요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이 높은 분석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 수업에 관한 부정적인 인식 개선, 정의적 영역을 고려한 교양영어 교육과정 설계, 평가 방식 개선, 분반 배치 개선을 수준별 수업 설계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students in a non-metropolitan university regarding level-differentiated general English classes with a primary objective of identifying strategies to improve a college English program. To achieve the goal, a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necessity and educational effects of level-differentiated classes, and 434 students respond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early half of the students disapproved the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Second, the students exhibited more positive responses on the effectiveness of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Third, perception on the effectiveness of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students’ views of its necessity. Those who feel the need for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are in favor of the effects of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Based on the findings and analysis of the survey,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 to improve the college English program in the university without 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 KCI등재

        이공계대학 교양영어의 수준별 수업 운영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남지영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20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niversity learners’ preferences and other related factors for two general English courses, one course focusing on reading and another on conversation, with students divided by their language proficiency level. The participants were 554 students at an engineering university. A 4-point Likert-type scale was used to record general tendency. Students were evaluated and divided into three and four proficiency levels for the reading and conversation course, respectively. 88.1% of participants had a favorable opinion of the level-divided conversation course, and 87.7% had a positive view of the level-divided reading course. Cross 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any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ferences and other factors such as sex, favorable feelings toward English, students’ majors, and English proficiency. The chi-square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level-divided course preference and factors like sex or fondness for English. However, there appears to b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majors and level-divided course preference for both the conversation and reading courses as well as a preference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proficiency and the reading course. The participants liked the effectiveness of the level-divided course content and the tailoring of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students’ proficiency.

      • KCI등재후보

        교양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향

        이예식,임홍미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3

        최근 정보화 · 세계회의 추세로 국내 영어교육 환경은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으며 대부분의 대학들도 기존의 형식적인 대학영어교육에 탈피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교양영어교육의 실태파악과 설문조사를 통한 학생들의 요구와 기대치를 수렴하여 현행 교양영어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모색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ent state of general English education and to discuss how to improve the general English programs in order that the students can get better equipped with English proficiency. For this purpose, students of A university were questionnaired. The results of this questionnaire shows that most of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learning English i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in college education. Furthermore, they weren't satisfied with the current general English programs, pointing out several problems that should be further improved. Some recommendable suggestions based on the questionnair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asic goal of the general English education should be to teach students "four skills" to improve their English communicative abilities. Second, we should change the general English courses into compulsory ones, increasing credit hours in order that students can have more opportunities to be exposured in the English environments. Third, we should place students of the same or similar proficiency level in one class, reducing the class size with a view to promoting mor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the instructor. Forth, we should offer a variety of general English courses. So students can choose the courses such as ESP/EAP-based education so as to satisfy the needs of each student. Fifth, we should provide many kinds of technological aids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willingly and positively participate in class. Finally, we should establish an authorized department to manage and supervise effectively the general English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수준별 읽기 과제 학습이 초등 영어 문자 언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

        고경석(Ko Kyoung-seok),강수진(Kang Soo-jin)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06 영어교과교육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differentiated reading task learning which reinforces the teaching of reading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udents" English abilities and their affective areas based on the theory of task-based learning and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The period of the experiment was 12 weeks and the students learned 6 units during this perio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verified in two fields: First, differentiated reading task lear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extbook -focused differentiated learning in the acquisition of the written language. The averages of the experimental class in reading and writing was higher than the controlled class, which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classes. Second. differentiated reading task lear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extbook-focused differentiated learning in the students" interests and confidence. The averages of the experimental class in students" interests and confidence were enhanced highl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lasses was significant especially in their confidence. It is concluded that differentiated reading task learning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English abilities and the change of their affective areas.

      • KCI등재후보

        교수법,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 원어민 교사 및 수준별 수업을 중심으로 살펴본 초등 영어교육 실태

        고정민(Ko, Jungmin)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10 영어교과교육 Vol.9 No.3

        This study investigates realities of teaching methods, teaching English in English, native English speakers, and differentiated classes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One hundred and twenty-fiv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participated. Survey question items were distributed via the web. They chose communicative approaches as their main teaching methods, followed by audiolingual teaching methods, which has been a great change since 2005 (Boo, 2005). In terms of four skills in the textbook, a great portion of listening and speaking are covered while only a few of grammar and writing are covered. With regards to speaking, teacher-whole class interaction takes place the most, followed by pair work and then group work. As teaching English in English is perceived as effective, a lot of teachers uses English for around half of the class. Native English teachers are thought to be necessary but only a few schools have them at their schools. Native English teachers teach speaking classes, advanced classes, and listening classes. Around 75% of the participants were in favor of running differentiated classes with three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