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영어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방안 - 보충학습 대상자를 중심으로 -

        이혜경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5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5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영 어학습 부진아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대상은 대전 • 충남 • 경 기지역 소재 초등학교 교사 112명이었다. 설문 분석 결과 초등영어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상 수업시수의 부족, 수준별 학습자료의 부족, 수준별 학습자 구분기준의 어려움 둥이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다. 초등영어 보충과정 대상자인 영어학습 부진아 지도 방안으로는 우선 영어에 대한 흥 미와 자신감을 회복시켜주는 일과 동료간의 학습도움을 주고받는 튜터제도의 활성화, 보충학습활동의 다양화, 그리고 영어환경에의 노출 기회 확대 등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되었다. The 7th curriculum intends to realize individualized learning in which individual learner’s ability to learn, and his or her different learning style are taken into account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is paper is an attempt to suggest some effective ways for teaching elementary English based on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which is focused on supplementary course learner. For this, a survey on primary ELT was made by 112 primary teachers who have been involved in teaching primary English. Some points that need redressing in the current primary ELT are discussed, and accordingly some strategies for the learner who needs supplementary course are made.

      • KCI등재

        대학 교양영어 수준별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서정아 ( Seo Jung-a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본 논문은 수준별 교양영어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 수도권 소재 대학을 대상으로, 수준별 영어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보다 효율적인 교양영어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 대학의 수준별 교양영어 수업은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표로 고안되었으며, 두 트랙으로 나누어져 있다. 토익성적 500점 이하의 학생들은 <영어1><영어2> 수업을, 500점 이상의 학생들은 <영어3><영어4> 과목을 선택하도록 되어있으며, 토익성적 300점 이하의 학생들은 <영어1> 수강 전에 <기초영어>과목을 선 수강 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모든 학생들은 영어독해 4학점과 영어회화 2학점을 교양필수 과목으로 이수하도록 되어 있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는 교양영어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총 404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들은 모의토익을 근거로 편성되는 반 편성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였으며, 수준별 수업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 수준별 수업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다음으로 영어회화 원어민교수와 영어독해 한국인교수 모두에게 비교적 높은 만족감을 보였다. 특히 ‘교수들의 전문지식과 교수법’ ‘교재와 교육자료’를 포함한 전반적인 부분에서, 영어독해 한국교수에 대한 평가가 더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원하는 개선사항으로는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과목 개발을 꼽았으며, 다양한 선택 과목들과 함께 토익 같은 공인 시험들을 준비할 수 있는 과목들이 개설되기를 희망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교양영어 프로그램의 개선에 대한 몇 가지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level-differentiated general English program at college on the basis of students’ perception. The general English course were designed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ve skills in English and were offered for two semest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otal of 404 college students who are taking general English course participated in the survey. Fist of all, the survey showed that students have positive attitude to their belonging group based on their entrance TOEIC exam. Most students strongly approved of the need for the level-differentiated curriculum. The survey results also showed that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level-differentiated general English courses. Students also showed relatively satisfaction for both native English-speaking professors and Korean non-native English-speaking professors. Korean non-native English professors received better evaluations than foreign native-English professors in overall satisfaction including Professors' expertise and teaching methods and textbooks and educational materials. Students expressed high level of needs in increasing the number of course and reducing the class size.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 on the improvement of college English program.

      • KCI등재

        수준별 대학 교양영어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및 인식 연구

        서혜진 ( Suh¸ Heaji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교사교육연구 Vol.59 No.4

        본 연구는 부산 소재 4년제 사립대학의 수준별 교양영어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및 인식을 조사하여 지방대학의 효율적인 수준별 교양영어 운영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는 693명이 참여하였으며, 수준별로는 초급 19분반, 중급 3분반, 고급 1분반이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초급, 중급, 고급기준은 입학 시에 치르는 모의 토익 성적에 따라 0~555점은 초급, 560~730점은 중급, 735~895점은 고급으로 나누었다. 설문문항은 1) 교양영어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2) 수준별 강좌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및 인식, 3) 수준별 강좌 운영방안에 대한 의견으로 구성하였다. 설문결과에 대해 빈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준별 분반 운영에 대해 60% 이상이 긍정적으로 답변하여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다. 현행 교양영어는 학습자의 요구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말하기(83.1%)와 듣기(61.9%) 능력 향상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수준별 분반 배치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의 토익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보통이 42%, 긍정적인 응답이 35%였으나, 부정적인 의견은 20% 가까이 되었다. 수준별 분반 배치를 위한 적절한 방안으로 자기 평가(45.9%)와 원어민 교수와의 구두면접(44.6%)이 가장 많이 선택되었다. 자기 평가 선택지는 본인의 영어실력이 어느 정도인지 확신이 없는 초급 학생의 선호도가 높았고, 원어민과의 구두면접은 모든 수준의 집단에서 많이 선택되었다. 현재 본 연구 대상교의 교양영어는 말하기 능력 향상에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므로, 말하기 능력이 포함된 분반 배치 방안 모색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수준별 교양영어 운영을 위한 방안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수업 방법의 차별화(37.5%)가 가장 많이 선택되었으며, 이는 수준별 교육과정이 제대로 뿌리내리기 위해 교수자와 대학의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and opinions on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of English in general eduction.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was conducted with 693 students responding. The response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using R stat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ver 60% of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of English course. Second, the course was recognized as mainly focusing on speaking and listening (40~60%) rather than reading and writing (30~40%). Third, with regard to the appropriateness of the placement test (a TOEIC practice test), 35% of the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while 20% had negative opinion. Fourth, students thought a self-assessment (45.9%) and an interview with a native English speaker (44.6%) would be proper methods as a placement test. Lastly, more than 35% of the students selected developing various in-class tasks and techniques as a way of effective level-differentiated English education. Finally, suggestions for operating a level-based English program was also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 KCI등재후보

        교양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향

        이예식,임홍미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3

        최근 정보화 · 세계회의 추세로 국내 영어교육 환경은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으며 대부분의 대학들도 기존의 형식적인 대학영어교육에 탈피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교양영어교육의 실태파악과 설문조사를 통한 학생들의 요구와 기대치를 수렴하여 현행 교양영어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모색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ent state of general English education and to discuss how to improve the general English programs in order that the students can get better equipped with English proficiency. For this purpose, students of A university were questionnaired. The results of this questionnaire shows that most of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learning English i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in college education. Furthermore, they weren't satisfied with the current general English programs, pointing out several problems that should be further improved. Some recommendable suggestions based on the questionnair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asic goal of the general English education should be to teach students "four skills" to improve their English communicative abilities. Second, we should change the general English courses into compulsory ones, increasing credit hours in order that students can have more opportunities to be exposured in the English environments. Third, we should place students of the same or similar proficiency level in one class, reducing the class size with a view to promoting mor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the instructor. Forth, we should offer a variety of general English courses. So students can choose the courses such as ESP/EAP-based education so as to satisfy the needs of each student. Fifth, we should provide many kinds of technological aids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willingly and positively participate in class. Finally, we should establish an authorized department to manage and supervise effectively the general English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교양영어 수준별 수업 설계를 위한 비수도권 대학 학습자 인식 조사 사례 연구

        배경진(Kyungjin Bae) 한국영미어문학회 2024 영미어문학 Vol.- No.152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준별 영어 수업에 대한 비수도권 대학 학습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대학 영어 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과 교육적 효과를 평가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434명의 학습자가 응답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이전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했을 때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필요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이 높았으나 수준별 수업의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 인식 차이에 따라 수준별 수업 효과에 따른 견해 차이를 보인다. 이에 수준별 수업의 필요성을 느끼는 학습자들이 수준별 수업의 효과에 대해 더 높은 수준으로 응답하였다. 수준별 수업의 효과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이나 필요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이 높은 분석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 수업에 관한 부정적인 인식 개선, 정의적 영역을 고려한 교양영어 교육과정 설계, 평가 방식 개선, 분반 배치 개선을 수준별 수업 설계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students in a non-metropolitan university regarding level-differentiated general English classes with a primary objective of identifying strategies to improve a college English program. To achieve the goal, a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necessity and educational effects of level-differentiated classes, and 434 students respond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early half of the students disapproved the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Second, the students exhibited more positive responses on the effectiveness of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Third, perception on the effectiveness of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students’ views of its necessity. Those who feel the need for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are in favor of the effects of level-differentiated instruction. Based on the findings and analysis of the survey,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 to improve the college English program in the university without 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 KCI등재

        교육운영 특색사업에 따른 고교생의 학업성취도 분석

        신윤범(Shin, Yun-Beom),원효헌(Won, Hyo-Heo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육운영 특색사업 여부에 따라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지를 탐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을 개선 및 유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20년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EDSS(EduData Service System)에서 제공하는 학교정보공시 자료를 활용하여 교육운영 특색사업 여부에 따라 고교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독립표본 t-검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과교실제는 운영 여부에 따라 영어 기초학력 미달 학생 수와 수학 보통학력 이상 학생 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종속변수에서는 교과교실제 운영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준별 이동수업은 운영여부에 따라 국어, 영어, 수학 보통학력 이상 학생 수, 영어 기초학력 미달 학생 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국어와 수학교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 수는 수준별 이동수업 운영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율학교의 경우 운영 여부에 따라 모든 종속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영어교육 프로그램은 운영여부에 따라 영어 보통학력 이상 학생 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기초학력 미달 학생 수는 운영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교육운영 특색사업과 고교생의 학업성취도를 횡단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진단하고,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are specialized in a school program and to improve and maintain the project based on the results. Method: In 2020, the school information disclosure data provided by the EDS (EduData Service System) of the Korea Educational Information Institute were us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high school academic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Specialized School Programs. Results: The number of students who did not have basic English education and those who did not have regular mathematics or higher education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system was operated or not, and the remaining subordinate variabl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the system was operated or not. Depending on the level of operation, mobile clas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tudents above the basic level of Korean, English, math, and general education, and the number of students below the basic level of English, and mathematic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operation of the mobile classes. For autonomous schoo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dependent variables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operated or not. The English education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tudents above the average English education level, and the number of students below the basic education leve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operation status. Conclusion: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diagnos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suggested directions to move forward by analyzing educational management features and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cross the country.

      • KCI등재

        수준별 교육과정(이동수업) 운영의 효과성 탐색

        김소영(金小英)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2

        이 연구에서는 다층자료 분석모형을 이용하여 수준별 이동수업이 중학교 3학년 수학, 영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연구에 이용된 데이타는 한국교육종단연구의 2007년도 자료이다. 총 142개 학교, 5,898명 학생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학, 영어과 성취도를 종속변인으로 하고, 학교수준의 수준별 이동수업 여부 변인 이외에도 학생수준에서 학생의 성취도와 관련 있는 성별, 사교육 정도와 공부시간 변인, 부모의 학업 지원 정도와 학업적 자기 개념 등을 독립변인으로 고려하였다. 사전 연구를 바탕으로 성별에 따른 수준별 이동수업의 효과, 정의적 특성과 성취도의 관계에 미치는 수준별 이동수업의 영향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수준별 이동수업이 수학, 영어교과, 남/녀 학생 모두에게 절대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증거는 찾지 못하였다. 그러나, 수준별 이동수업으로 수학교과를 공부한 남학생의 성적이 그렇지 않은 남학생의 성적보다 높았던 결과를 통하여 수준별 이동수업이 교과에 따라 성별에 따라 성취도에 상이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후속 연구로 현재 학교 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수준별 이동수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수준별 운영방식의 다양성을 고려한 이동수업의 효과성을 면밀히 검토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the 9rd grade Mathematics and English achievement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The results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in 2007 were used. In total 142 schools and 5,898 students were analyzed. The students" Mathematics and English test scores were dependent variable, and whether to implement ability grouping was indpendent variable in school level. And gender, academic self concept, students" studying hours, parents support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bility grouping had no absolute effect on Mathematics and English achievement. However, the ability grouping affected the Maths achievement of male students. The male students who were implemented ability grouping showed higher test scores than not implemented ability grouping. This result proposed that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depends on the type of subject and gender. This study also proposed that how the ability grouping operates might diversify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achievement.

      • KCI등재

        초등영어교수에서 장편 아동문학 작품의 활용

        박기화(Park Ki 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우리 나라 초등영어 교실에서의 획일적인 수업 운영으로 인해 영어 능 력이 우수한 학습자들이 비효율적인 수업을 받게 되는 문제점을 주목하고 이들을 위 한 수업 개선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현재 주로 부진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수 준별 교육이 영어 능력 우수아들에게도 확장되어야 한다고 보고 현재의 학교 체제에 서 가능한 영어 능력 우수아들을 위한 수준별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수 준별 교육의 네 요소인 내용, 과정, 결과, 학습 환경에 대해 영어권의 장편 아동 문학 작품 중 하나를 선정하여 학습자가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활동을 교사가 미리 학습지로 준비하여 SAC에 비치해 두고 해당 학습자는 영어 수업 시간에 SAC에 가 서 준비된 학습지를 스스로 학습하고 결과를 자가평가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제시 된 방법과 활동들을 참고하여 다양한 작품을 기반으로 학습자 수준에 따른 창의적인 활동과 과업들이 구안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ways to improve English teaching for high-performing students in whole-class instruc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Differentiated learning is one of the ways to improve high-performer s English teaching. This study suggests to use authentic English children s literature for their English teaching and shows how to use it. Charlotte s Web, the popular authentic English literature for children, were chosen, and tasks and activities based on it are suggested to use in their teaching. High-performing students are recommended to move to SAC in English lesson hours, to perform the tasks prepared by the English teacher, and to self-assess their own performances. The presented ideas are expected to be an example for gifted students English teaching in Korea.

      • KCI등재

        교양기초교육과정 운영 사례 : 성균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남식용(Nam, Sik Yong),이병철(Lee, Byoung Chul) 한국교양교육학회 2009 교양교육연구 Vol.3 No.1

        21세기는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패러다임에 몇 가지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왔다. 대학입시에서의 대단위 모집단위의 확산과 학부제, 전공진입제 등 형태상의 변화로 표현되는 그러한 모습들과 더불어 교육적이며 실질적인 측면에서도 몇 가지 결과를 우리 대학사회에 가져왔다. 특히, 그 중에서도 눈에 띄는 변화는 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의 강화라 할 것이다. 물론 과거에도 의미 있고 중요한 교육으로서의 교양교육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전공영역에 종속된, 혹은 단순히 학부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그저 편안하게 가르치고 배울 수 있는 가벼운 교과과정 정도로 인식되어 온 것도 사실이라 할 것이다. 다행인 것은 이러한 과거의 인식은 최근, 질적으로 우수한 교양교육이야말로 대학교육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주요한 밑바탕이라는 공감대와 더불어 일정 정도 불식되고 있다는 것이다. 성균관대학교 역시 그러한 인식에 바탕을 두고 교양교육의 강화를 우리 학교의 장기발전계획인 VISION2010+ 5대 전략과제의 하나로 천명하고 있으며, 그 시행과 결실의 첫단계로 2005학년도에 교양기초교육과정을 전면 개편한 바 있다. 또한 교양기초교육을 총괄하는 교육기관으로 학부대학을 별도로 출범시켜 현재에 이르고 있는데, 본 글을 통해 그간 이루어져 왔던 교양기초교육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학부대학의 노력을 몇 가지 주요 특징적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성균관대학교 교양기초교육의 현재 상황을 간략히 언급하고, 이어 2005학년도 교육과정 개편에 따른 교양기초교육의 변화상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사례로서 글쓰기(커뮤니케이션)교육의 강화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대학교육의 국제화를 위한 노력의 하나인 기본영어 교육의 강화사례를 살펴보고 기초영역에서의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현황 또한 살피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교양기초교육의 질적 수월성을 담보해 낼 수 있는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평가와 개편의 독특한 사례를 되짚어 보고 교양기초교육 강화의 가장 주요한 요소라 할 수 있는 우수한 교수자원의 확보 및 지원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The 21st century has brought several meaningful changes to the paradigm of Korean university education. It has brought several results along with such formal changes as spread of large admission units in entrance examination, faculty system, and major entry system to university society in educational and practical aspects. Especially, the most outstanding change is reinforcement of liberal arts courses in universities. The liberal arts courses existed as an important educational method in the past, too. However, they were recognized to be subordinate to major field or to be light courses only for freshmen and sophomores. Fortunately, this old recognition is getting weak with consensus that excellent liberal art courses can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university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SKKU) declared that reinforcement of liberal arts courses is one of VISION2010+ 5 strategic agenda and reorganized the liberal arts and basic education courses completely in 2005 as the first step. Furthermore, SKKU organized University College which takes charge of liberal arts courses. We can see the efforts of University College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liberal arts courses through examining principal operation cases. Current status of SKKU liberal arts and basic education courses will be mentioned in the first place, and reinforcement of writing(communication) education will be examined as a case. Moreover, a case of basic English education reinforcement which is one of the efforts to globalize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operation status of differential education in basic courses will be examined as well. Finally, operational assessment for education curriculum which ensures qualitative excellence of liberal arts courses, and professor resources procurement pla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liberal arts courses reinforcement will be examined sequentially.

      • KCI등재

        이공계대학 교양영어의 수준별 수업 운영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남지영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20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niversity learners’ preferences and other related factors for two general English courses, one course focusing on reading and another on conversation, with students divided by their language proficiency level. The participants were 554 students at an engineering university. A 4-point Likert-type scale was used to record general tendency. Students were evaluated and divided into three and four proficiency levels for the reading and conversation course, respectively. 88.1% of participants had a favorable opinion of the level-divided conversation course, and 87.7% had a positive view of the level-divided reading course. Cross 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any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ferences and other factors such as sex, favorable feelings toward English, students’ majors, and English proficiency. The chi-square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level-divided course preference and factors like sex or fondness for English. However, there appears to b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majors and level-divided course preference for both the conversation and reading courses as well as a preference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proficiency and the reading course. The participants liked the effectiveness of the level-divided course content and the tailoring of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students’ pro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