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성수용자의 교정직원에 대한 태도 및 수용생활 적응에 관한 경험적 연구

        김은영,윤옥경 아시아교정포럼 2017 교정담론 Vol.11 No.2

        최근의 연구들은 수용자들과 교도관들의 관계는 교도소 내의 성공적인 적응은 수용자들의 일탈행위를 억제하고 성공적인 교화를 이끌어 내는 데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특히 수용자들의 교도관들에 대한 태도와 인식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에 따라, 이 연구는 남성수용자들의 교정직원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을 이해하고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전국의 12개 교도소 등에 수용된 남성수용자 219명을 표집할당하여 수행한 설문조사결과를 회귀분석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변수들은 수용자들의 교도소 적응과 관련된 이론적 배경과 교도관들의 합법성과 관련된 최근의 선행연구들을 통해 선별되었다. 분석결과 남성수용자들의 교도관들에 대한 평균적인 태도는 부정적이기 보다 긍정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또한 교도관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서로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의 결과와 국외연구와의 비교 및 정책적 함의, 그리고 연구의 제한점 등에 대해서는 결론 및 논의에서 논의되었다. The majority of research on inmates’ adjustment in prison condition continuously reports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between inmates and correctional officers. A growing body of current studies focused on this relationship not only based on traditional theoretical backgrounds but also refer to new theorematical approaches of correctional officers legitimacy. Yet, the majority of current Korean corrections studies still ignores in studying this relationship topics. Further, there are still lack of studies involves in conducting qualitative studies investigating inmates adjustment and attitudes towards correctional officers in Korea. To fulfill the knowledge gap, this current study sought to provide a quantitative analysis of inmates perceptions towards correctional officers in order to understand inmates adjustment in prison and partly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correctional officers and inmates. Further it investigates the factors influence inmates attitudes and perceptions to codirectional officers. The study used a set of survey data of male inmates collected from prisons and jails nationwide (n=219 male inmates). Using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this study found that factors influencing inmates perceptions include social network, stress, and household income, which are congruent outcomes to the prior studies from other countries. Conclus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in result and discussion.

      • KCI등재

        스포츠대회 공식캐릭터에 대한 부정적 미디어평가가 수용자인식에 미치는 영향

        현은령(Hyun, Eun Ryung),정재현(Jung, Jae Hyun),김하영(Kim Ha Young),이민지(Lee, MIn Ji),홍선미(Hong, Seon M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스포츠대회 공식캐릭터에 대한 부정적 미디어평가가 수용자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스포츠대회 공식캐릭터 분석 사례대상은 ‘국제축구연맹(FIFA) 20세 이하(U-20)월드컵 코리아 2017’의 마스코트 ‘차오르미’이다. 부정적 미디어평가로 활용된 자료는 ‘차오르미’관련 2016년 9월 2일자 S신문사 기사와 이 기사에 대한 부정적 경향의 수용자평가 댓글 10건이다. 이러한 자료는 사전-사후 설문지에 삽입되어 수용자의 ‘차오르미’에 대한 인식변화를 조사하는 요인으로 활용되었다. 수용자 조사대상은 10대부터 50대까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남⋅여 총 217명으로서 조사 시기는 2016년 10월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도구는 ‘스포츠대회 공식캐릭터에 대한 인식조사’이다. 사전조사에는 스포츠 캐릭터의 가치인식(3문항)과 디자인측면의 선호도(4문항)의 총 9문항의 리커드 척도 설문과 선호캐릭터와 그 이유 서술에 대한 오픈설문(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사전조사 후 설문대상자들은 ‘국제축구연맹(FIFA) 20세 이하(U-20) 월드컵 코리아 2017’의 마스코트 ‘차오르미’ 캐릭터에 관련된 부정적 미디어평가에 노출된 뒤 사전조사지에 사용된 리커드 척도 7문항에 대해 다시 답변하도록 구성되었다. 설문조사의 분석은 타당도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2회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요인 적재치의 단순화를 위하여 직교회전방식(Aarimax)를 채택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 댓글을 접한 뒤 수용자는 스포츠캐릭터산업에 대한 가치인식과 ‘차오르미’에 대한 선호도 모두 사후평가점수가 내려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욱더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가장 선호하는 캐릭터로는 모든 연령대에서 1988년 서울올림픽 마스코트인 ‘호돌이’가 1위를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스포츠대회 공식캐릭터는 물리적인 성능, 즉 기능성과 편리성 보다는 대중성, 의미성, 내면성과 같은 감성적 측면의 요소가 중요하게 작용된다는 선행이론들과 그 맥을 같이 한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스포츠대회 공식캐릭터가 외적인 디자인과 더불어 대중성을 위한 수용자 요구도 및 평가 반영, 의미와 내면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스토리텔링 마케팅 전략, 마지막으로 미디어평가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influence the negative media evaluation of the official character at a sports event has upon the audience perception. The analytical subject of the official character at a sports event is "Chaormi,’ which is a mascot for ‘FIFA U-20(aged under 20) World Cup Korea 2017." The materials, which were utilized as the negative media evaluation, include news of SEOUL Newspaper Company dated on September 2, 2016 relevant to "Chaormi,’ and 10 cases of the audience evaluation reply to this story. This data was inserted into the pre-post questionnaire and then was utilized as a factor of surveying viewers" change in recognition on "Chaormi.’ The survey subjects as the audience are totally 217 men and women from their 10s to 50s who dwell in Seoul and Capital area. The survey time is October 2016. An analytical tool, which was used in this study, is "a survey of recognition on the official character at a sports event." The pre-survey was composed of the Likert Scale questionnaire with totally 9 items in a recognition on value of a sports character(5 questions) and a preference for design aspect(4 questions), and of 2 open questionnaire items on a preferred character and a description on its reason. Following the pre-survey, the questionnaire subjects were formed in order to give an answer again to 9 items of the Likert Scale, which were used in the pre-questionnaire, after being exposed to the negative media evaluation relevant to the character "Chaormi’ as a mascot for ‘FIFA U-20(aged under 20) World Cup Korea 2017." An analysis of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analysis twice for inspecting validit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To simplify factor loading, orthogonal rotation(varimax) was adopted. As a result, the audience after encountering a negative comment could be confirmed to be lowered a post-evaluation score in both the perception of value on the sports character industry and the preference for ‘Chaormi.’ Especially, this tendency was indicated to be stronger in the lower age group. Also, the most preferred character was ranked the 1st by ‘Hodori," which is the mascot for Seoul Olympics 1988, in all age groups. This outcome is in line with the previous theories as saying that a character at a sports event is importantly functioned the elements in the emotional aspect like popularity, meaningfulness and internality rather than the physical performance, namely,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Thes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official character at a sports event is important in coping with a storytelling marketing strategy in order to reflect the audience demand level and evaluation for popularity and to strengthen a meaning and internality along with external design, and finally with a strategy for media evaluation.

      • KCI등재

        소비자의 광고매체 수용에 대한 탐색연구 : 호의적 반응유발 요인을 중심으로

        이희준,조창환 한국광고PR실학회 2017 광고PR실학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다매체 환경에서 수용자들이 어떠한 속성을 지닌 광고에 대해 호의적으로 반응 하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이를 위해 수용자의 호의적 감정 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도출하고 전국 표본 1024명을 대상으로 TV, 라디오 , 신문 , 잡지 , 인터넷 , 모바일 , 옥외매체 ,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에 대한 가치 인식을 측정한 후 군집분석을 실시하 였다 . 연구의 결과 , 첫째 , 수용자들의 호의적 반응 유발을 위해 광고가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요인은 수용자로부터의 관심 유발 가능성 , 수용자 관련성 , 그리고 수용자의 감성 유발 가능성의 순으로 확인됐다 . 둘째 , 수용자의 호의적 광고 인식은 광고 교감 추구형 , 구매 평판 추구형 , 정서적 만족감 추구형의 세 가지로 유형화되었다 . 셋째 , 각각의 군집 유형 내에서 매체별 영향력의 인식은 서로 상이하였다 . 본 연구는 매체의 차별적 가치 속성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고 , 이를 토대로 광고 메시지의 수용률을 높일 수 있는 매체 전략 수립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sumers’ positive responses to media advertising by clustering analysis.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national survey from a based sample of 1024 people to examine how they perceive and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V, radio, newspaper, OOH, Internet, mobile, and digital signage in terms of positive response to the advertising.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consumers’ favorable responses to media advertising depend on the degree to which the media advertising is interesting enough, relevant to the target audience and induces their emotional sensibility. Based on the each characteristic of measurement scales,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re are three types of cluster were drawn out, and these clusters were named as ‘pursuing communicational relationship with media advertising’, ‘pursuing reputational purchasing relationship with media advertising’, and ‘pursuing emotional satisfaction toward media advertising’. Also, this study found that the impact of each medium was different in the clusters. As such,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evidences to understand consumers’ responses to the media advertising and perceptions of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advertising media.

      • KCI등재

        교도관의 교정・교화 개념 인식 분석

        윤담 한국교정학회 2023 矯正硏究 Vol.33 No.1

        본 연구는 국내 교도관들의 교정(矯正)・교화(敎化) 개념 인식변화를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본 연구자는 30년간 교도관으로 근무 경험을 통해 교도관의 교정에서 교화로의 인식변화가 수용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인지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재범예방과 억제로 이어갈 수 있다는 인식의 전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필요성을 본 연구에 제기했다. 연구는 O와 C 교도소에서 경험 있는 교도관 50명을 대상으로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통해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교도관 50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쳐 심층 설문 및 면접조사를 진행한 후, 델파이기법을 사용하여 통계적 정량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도관(矯導官)들은 대체로 교화(敎化)와 교화교육의 필요성에 관련한 긍정적인 인식과 신념의 변화를 가져왔다. 콜버그의 이론에 기반한 3단계의 6수준으로분류하면, 교정은 1~2단계로, 교화는 3~4단계 이상이면 교도관의 개념 인식변화단계의 합의로 분류한다. 교도관들은 교정에서 교화로의 변화방법을 인식하고 있었다. 교도소와 수용자의 부정적 이미지와 신념의 변화를 위해서 인문학, 심리학, 의학, IT, 가상현실치료 등의 다학제간 개입을 기반한 교화와 교화교육의 창의적 발현이 필요하다. 교화교육 전반에 걸쳐 교도관들의 교화인식은 교화교육에 관한 영역인 델파이 상위범주에서의 교화인지 시기는 입사 전후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수용자의 교화교육의 효과성은 교도관들의 직업적 소명의식과 경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1세기 교도관들은 교화로의 중추적 역할로 수용자들을 교화하기 위해 우선적으로교도관의 자기성취감, 보람의식의 강화,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등의 만족도를 강화해야 한다. 아울러 수용자의 처우 및 교화교육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향후 수형자개별 맞춤형 처우 및 교화교육(敎化敎育)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개입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교도관의 교정이라는 부정적인 시각과 신념에서 교화라는 긍정적 시각과 신념(信 念)의 전환을 초래하며, 수용자의 재범예방(再犯豫防)과 억제에 기여할 것이다. 이는효과적인 교화교육 프로그램 개입을 위해 지역사회 치료공동체의 연계가 절실하다. 따라서 수용자에 대한 교도관의 법률적・심리적 평가를 강화하여 수용자의 적극적인치료 참여와 치료효과를 향상하여 출소 후 재범예방과 억제를 높일 수 있다.

      • KCI등재

        『토지』의 대중 인식 변화 연구 - 1969년~1999년 일간지 기사를 중심으로

        신정은 한국문학연구학회 2023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9

        As research on the audiences of Land by Park Kyong-ni,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changes to the public’s perceptions of the novel in daily newspaper articles in 1969 ~ 1999. Since there were few means to directly check the acceptance patterns of the novel among general audiences rather than professional readers, the study traced changes to the descriptions of the novel in daily newspaper articles and inferred inversely changes to the public's perceptions of the novel as audiences based on them. In 1969~1976, Land was treated as the “woman writer” Park Kyong-ni’s “controversial work” that was worth attention rather than the work itself. The ambiguous descriptions of articles posed limitations with tracing the public’s specific perceptions as audiences, but it was apparent that the public audiences showed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novel in that many people actively enjoyed even its transformations such as movies and radio dramas as well as the original work. In 1977~1984, Land enjoyed its heyday in terms of popularity among the public. People started to add the modifier “the author of Land” to Park, and Land was established as her representative work. As her novel was turned into a TV drama during the spread of TV sets, it had an impact on the commemoration among the public audiences. Publishing companies and magazines competed each other over the publication or serialization of Land, and a TV drama drove the reading of the novel. During this period, Land was perceived as a work that the public audiences wished to read and should read. In 1986~1999, Land was considered a “masterpiece” by anyone in every aspect including the duration of serialization, background period, and literary value. When given an example of Land without separate explanations, the public audiences were able to think of a similar impression. In 1994,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series of Land was followed by the creation of commemorative spaces, the construction of commemorative buildings, and the establishment of commemorative foundations, which further consolidated the status of Land as an unprecedented masterpiece in Korean literature. The high status and long volumes of Land, however, put huge pressure on the public audiences trying to accept the novel actively. The novel was considered a work that was difficult to enjoy in reality. 이 논문은 박경리의 소설 『토지』 수용자 연구의 일환으로, 1969년부터 1999년까지 박경리의 소설 『토지』의 대중 인식 변화를 일간지 기사를 통해 분석한 것이다. 이 시기는 전문 독자가 아닌 일반 수용자의 『토지』 수용 양상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거의 없으므로 일간지 기사의 『토지』 서술 변화를 추적하고, 그를 바탕으로 대중 수용자의『토지』 인식 변화를 역으로 유추하였다. 1969년~1976년 『토지』는 작품 자체보다는 ‘여류작가’ 박경리의 주목할 만한 ‘문제작’으로 다루어졌다. 기사의 모호한 서술로 구체적인 대중 수용자의 인식을 추적하는 데엔 한계가 있지만, 원작 소설뿐 아니라 영화, 라디오드라마 등 변용 작품까지 적극적으로 『토지』를 누리는 대중도 적지 않았다는 점에서 대중 수용자의 『토지』를 향한 관심이 상당했음을 알 수 있다. 1977년~1983년 『토지』는 대중적인 인기의 절정을 누렸다. ‘『토지』의 작가’라는 수식어가 등장하기 시작하며 『토지』는 박경리의 대표작품으로 자리매김하였고, 텔레비전의 보급이 확대되는 시기 드라마화되면서 대중 수용자가 역사에 대한 공유 기억을 형성하는 데에도 영향을 끼쳤다. 출판사와 잡지 등이 『토지』를 출간하거나 연재하고자 경쟁하였고, 텔레비전 드라마가 소설 『토지』의 독서 행위를 추동하는 등 이 시기 대중 수용자에게 『토지』는 읽고 싶은, 읽어야 하는 작품으로 인식되었다. 1984년~1999년 『토지』는 연재 기간, 배경 시기, 문학성 등 어느 면에서나, 누구에게나 ‘대작’으로 인식되었다. 별다른 설명 없이 『토지』를 예시로 제시하면 대중 수용자들은 유사한 인상을 떠올릴 수 있었다. 1994년 완간 이후 기념 공간, 건축물, 재단이 설립되면서 전무후무한 한국문학의 대작 『토지』의 위상은 더욱 공고해졌다. 하지만 높은 『토지』의 위상과 긴 분량은 대중 수용자들이 『토지』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데에 큰 부담을 주어 실제 『토지』는 누리기 어려운 작품으로 여겨졌다.

      • KCI등재

        인터넷 신문 광고의 수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김병철(Kim Byoung-Cheol)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5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 No.16

        본 연구는 인터넷 신문 광고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존의 계량적이고 피상적인 수용자 연구에서 벗어나 보다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Q방법론을 적용해 인터넷 신문 수용자의 광고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그룹화해 각각의 유형을 정의했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인터넷신문 수용자들의 인터넷 신문 광고에 대한 인식 유형은 오락 추구형, 무관심형, 정보 추구형 등 세 가지로 유형화되고 있어 인터넷 신문 광고는 이러한 각 유형 별 특성에 따라 세분화된 차별적인 광고 전략을 구사함으로써 인터넷 신문 광고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구체적으로 제1유형인 오락추구형은 흥미로운 내용과 오락적 요소를 가미해 수용자의 주의를 끈 뒤 실질적인 구매로 연결시킬 수 있는 광고 전략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제2유형인 무관심형의 수용자들에게는 수용자들의 신뢰 회복과 더불어 광고에 대한 관심을 유발시려 적극적 이용자로 변모시키기 위한 전략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제3유형인 정보 추구형 수용자들은 정보 제공 위주의 보다 현실적인 광고를 통해 구매로 연결시키는 광고 전락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다른 한편으로 이들 세 가지 Q유형에 속한 인터넷 신문 수용자들은 특정 견해에 대해 공통의 인식을 강고 있는데 이를 반영해 모든 유형에 적용되는 전략으로써 인터넷 신문이 광고 위주의 상업 매체로 전락하고 있다는 거부감을 불식시켜줌으로써 언론으로서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 광고의 내용 못지않게 외적 형태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보적 요소와 오락적 요소는 물론 크리에이티브적인 요소를 배려한 세심한 광고 전략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classifies Internet newspaper users into three typ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ir subjective perception on ads using Q-Methodology. The 1st type users are inclined to accept advertisements from the dimension of entertainment. The 2nd type of the users are apt to have little interests in Internet newspaper advertisements. The 3rd type of the users are likely to surf the Internet newspaper ads seeking actual benefits from a variety of information on goods and services. The Q-study on the subjective perception types of Internet newspaper users helps to find out difference in consumer's perception on advertisements and to develop segmented and diversified advertisement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their perception types that are picked out from the Q-methodology.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 사람들의 인식 형성 과정 연구 미디어 보도와 수용자 인식에 대한 의미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김대욱 한국PR학회 2021 PR연구 Vol.25 No.1

        Objectives Based on media effects theorie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nd compare between media reports and audiences’ perceptions in order to explore how South Korean people consider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Methods For analyzing media perspectives, this study collected 757 newspaper articles from 14 newspaper organizations from January 1st 2017 to December 31st 2019. For analyzing audience perspectives,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for the general South Korean people. Finally, a serie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for analysing those data. Results In the newspapers, words such as Saetemin and residents escaping North Korea were used to closely associate with internal issues like unification betwwen South and North Koreas; while a word like North Korean defectors was closely linked to international issues like human rights. The perceptions of audiences included key words like concerns, support, and help. Conclusions Newspapers in South Korea have utilized the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with internal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The audiences has perceived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with pitiful images and emotions. In the PR campaign, PR professionals should attempt to decrease multi-purpose uses of the newspapers and potential negative images of the audiences. 배경 및 목적이 연구는 한국 사람들은 북한이탈주민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미디어 효과 이론에 근거해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미디어 보도와 수용자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미디어 보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2017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14개 신문사에서 북한이탈주민 관련 기사 757건을 수집하였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여 의미 연결망 분석을 시행하여 미디어 보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북한이탈주민 관련 신문 보도에서 새터민과 북한이탈주민은 통일 문제와 같은 국내적 이슈들과 연결되어 있는 반면에 탈북자는 난민, 인권 문제와 같은 국제적 이슈들과 연결되어 있었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자들의 인식 네트워크에는 관심, 지원, 도움, 적응, 동포 등과 같은 핵심어들이 자리 잡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신문 보도에서 북한이탈주민은 국내적 시각과 국제적 시각으로 구분해서 바라보고 있었다. 수용자는 북한이탈주민과 연관된 이야기를 이성적인 단어에 의존해서 기억하기보다는 이미지나 감정적인 단어에 의존해서기억하고 있었다. PR의 공공 캠페인 차원에서 신문의 목적에 따른 용어 혼용을 제한하고 일관된 용어 사용을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에서 존재하는 부정적인 단어들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인터넷 미디어 크리에이티브의 진화와 수용자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수용자 댓글 분석을 중심으로

        지원배,유인하 한국광고PR실학회 2009 광고PR실학연구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크리에이티브 차원에서 인터넷에서 나타나고 있는 동영상 광고를 유형화하고, 이러한 광고에 대해서 수용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배너 동영상 광고의 경우 광고물에 몰입되는 경향이 컸으며 기존 TV 광고와는 달리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것을 중요한 특징으로 삼고 있었다. 두 번째로 UCC 동영상 광고의 경우 브랜드를 직접적으로 노출시키지 않고 내용상에 간접적으로 노출시켜 자연스럽게 수용자의 관심을 얻어내고 있었다. 세 번째로 기업이 운영하는 웹사이트 동영상 광고의 경우 기존 TV광고에서 보여 주지 못했던 긴 시간의 드라마 형식을 제공하고 있어 수용자의 호기심을 자극하였다. 이상과 같이 광고주는 새로운 광고형태로 인터넷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이끌어내고 있으며, 인터넷 사용자들도 단순히 광고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참여하는 경향이 있다.

      • KCI등재후보

        북한 관련 TV뉴스의 프레이밍 방식에 따른 수용자의 인식 변화에 대한 실험연구

        김성준(Seongjoon Kim),이창현(Changhyun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0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9 No.-

        본 연구에서는 정권의 대북한 정책에 따라 변화된 뉴스 프레임이 구체적으로 수용자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실증적 연구 방법을 통해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뉴스 프레임의 노출에 따른 수용자의 반응을 실험 연구를 통해 직접 확인함으로써 뉴스 프레임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연구문제 1〉은 북한의 이미지에 대한 뉴스 프레임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인데, 이 검증 결과 뉴스 실험 처치를 하지 않았던 통제 집단과 실험 처치가 되었던 두 집단 간에는 북한의 이미지에 대한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를 발견 할 수 있었다. 〈연구문제 2〉는 북한 및 통일관련 뉴스의 프레임이 통일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 결과 적대적 뉴스 처치집단의 경우는 인식을 부정적으로 강화시켰으며, 우호적 뉴스 처치집단의 경우도, 당초 예상과는 달리 역시 부정적인 인식을 강화시켰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TV 뉴스 수용자의 인식에 미치는 뉴스 프레임의 영향력을 다시 한번 확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우리나라 방송의 바람직한 북한 및 통일 관련 뉴스보도 방향을 모색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 South Korean policy towards the North which in turn changed the news frame of television broadcasters in South Korea. We did an empirical analysis of how this changed news frame influence the audiences' perception of North Korea and Unification. An experimental design was carried out in order to test the response of the audiences to different news frame. The results show that the respondents' perception towards North Korea were changed when exposed to a specific type of new frame. This confirms the existing knowledge on how news frame influence the perception of TV viewers. This research can serve as background information when making decisions to how the South Korean news media should report North Korea and Unification related news stories.

      • KCI등재

        스마트폰 메신저의 이모티콘 개발을 위한 수용자 연구

        정혜경,김혜경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9 애니메이션연구 Vol.15 No.2

        스마트폰의 메신저 앱이 오늘날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자리 잡게 되면서 이모티콘은 자신의 정서와감정 등을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는 비언어적 수단으로서 그 중요성이 증가했다. 이에 따라 이모티콘의사용량은 급증하게 되었고 그 형태 또한 다양하게 변화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현재 이모티콘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은 기호나 이모티콘의 조형적 형태와 기능적 측면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인다. 본연구는 수용자들이 디지털 콘텐츠를 수용하는 데 매우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중요한 분석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수용자가 이모티콘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를 갖기 때문에 이모티콘이라는 도구를 사용한다면 어떤 것을 왜 사용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이모티콘의 개방과 발전에 유의미한 진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수용자가 이모티콘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사용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여 이모티콘에 대한 수용자의 다양한 선호유형과 그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이모티콘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유형은 세 가지, 즉 자신의 개성과 감성의 표현을 중시하는 자아중심형, 정확하고 신속하게 내용과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대화중심형, 그리고 사람과의 관계에서 이모티콘이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는 관계중심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렇게 수용자가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태도나 동기, 목적이 확연하게 구분된다면 이모티콘을 개발하는 데도 이러한수용자의 태도와 특성에 맞는 개발전략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젊고 트렌드에 민감한 자아중심형을위해서는 이들의 다양한 감성과 패션감각을 드러낼 수 있도록 하는 이모티콘이 필요할 것이다. 정확한 의사전달을중시하는 대화중심형을 위해서는 사회관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언어감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이모티콘이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유머코드가 대화에서 친밀감을 형성한다고 생각하는 관계 중심형을 위해서는 다양한 디자인의 캐릭터와 익살스러운 움직임이 있는 이모티콘 개발전략이 요구된다고 본다. 이모티콘 시장이 지속적으로 활성화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것처럼 수용자 유형별로 세분화된 맞춤형 이모티콘 개발에 보다 많은 노력이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Today, a messenger app of smartphones is an important communication tool. Emoticons (emotion icons) are a non-verbal tool to deliver one’s emotions immediately so that their use has been on the sharp rise and their shapes have varied. In this circumstance, studies on emoticons tended to focus on the formative shapes and functional aspects of symbols and emoticons. This study focused on the point that users take very active attitude in accepting digital contents. To find how users accept emoticons and make use of them, this study applied Q methodology so as to analyze a variety of preferenc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users for emoticons. As a result, users’ perception of emotico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elf-oriented type of emphasizing the expression of one’s personality and emotions, conversation-oriented type of delivering contents and information immediately and accurately, and relation-oriented type of emphasizing the positive role of emoticon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f users’ attitude, motivation, and purpose of emoticon use are clearly different, it is necessary to make a development strategy in consideration of users’ attitude and characteristics for emoticons. For the self-oriented users who are young and sensitive to tren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moticons that help to show their various emotions and fashion styles. For the conversation-oriented users who emphasize accurate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the emoticons to express various linguistic senses accurately in social relationship. For the relation-oriented users who think of humors as a factor of making friendship, it is necessary to develop emoticons that have various designs, characters, and humorous motions. In order to foster and grow the emoticon market continuously, it is necessary to put more efforts to develop specified and customized emoticons in consideration of users’ types suggested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