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성수용자의 교정직원에 대한 태도 및 수용생활 적응에 관한 경험적 연구

        김은영,윤옥경 아시아교정포럼 2017 교정담론 Vol.11 No.2

        최근의 연구들은 수용자들과 교도관들의 관계는 교도소 내의 성공적인 적응은 수용자들의 일탈행위를 억제하고 성공적인 교화를 이끌어 내는 데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특히 수용자들의 교도관들에 대한 태도와 인식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에 따라, 이 연구는 남성수용자들의 교정직원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을 이해하고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전국의 12개 교도소 등에 수용된 남성수용자 219명을 표집할당하여 수행한 설문조사결과를 회귀분석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변수들은 수용자들의 교도소 적응과 관련된 이론적 배경과 교도관들의 합법성과 관련된 최근의 선행연구들을 통해 선별되었다. 분석결과 남성수용자들의 교도관들에 대한 평균적인 태도는 부정적이기 보다 긍정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또한 교도관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서로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의 결과와 국외연구와의 비교 및 정책적 함의, 그리고 연구의 제한점 등에 대해서는 결론 및 논의에서 논의되었다. The majority of research on inmates’ adjustment in prison condition continuously reports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between inmates and correctional officers. A growing body of current studies focused on this relationship not only based on traditional theoretical backgrounds but also refer to new theorematical approaches of correctional officers legitimacy. Yet, the majority of current Korean corrections studies still ignores in studying this relationship topics. Further, there are still lack of studies involves in conducting qualitative studies investigating inmates adjustment and attitudes towards correctional officers in Korea. To fulfill the knowledge gap, this current study sought to provide a quantitative analysis of inmates perceptions towards correctional officers in order to understand inmates adjustment in prison and partly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correctional officers and inmates. Further it investigates the factors influence inmates attitudes and perceptions to codirectional officers. The study used a set of survey data of male inmates collected from prisons and jails nationwide (n=219 male inmates). Using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this study found that factors influencing inmates perceptions include social network, stress, and household income, which are congruent outcomes to the prior studies from other countries. Conclus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in result and discussion.

      • KCI등재

        스포츠대회 공식캐릭터에 대한 부정적 미디어평가가 수용자인식에 미치는 영향

        현은령(Hyun, Eun Ryung),정재현(Jung, Jae Hyun),김하영(Kim Ha Young),이민지(Lee, MIn Ji),홍선미(Hong, Seon M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스포츠대회 공식캐릭터에 대한 부정적 미디어평가가 수용자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스포츠대회 공식캐릭터 분석 사례대상은 ‘국제축구연맹(FIFA) 20세 이하(U-20)월드컵 코리아 2017’의 마스코트 ‘차오르미’이다. 부정적 미디어평가로 활용된 자료는 ‘차오르미’관련 2016년 9월 2일자 S신문사 기사와 이 기사에 대한 부정적 경향의 수용자평가 댓글 10건이다. 이러한 자료는 사전-사후 설문지에 삽입되어 수용자의 ‘차오르미’에 대한 인식변화를 조사하는 요인으로 활용되었다. 수용자 조사대상은 10대부터 50대까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남⋅여 총 217명으로서 조사 시기는 2016년 10월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도구는 ‘스포츠대회 공식캐릭터에 대한 인식조사’이다. 사전조사에는 스포츠 캐릭터의 가치인식(3문항)과 디자인측면의 선호도(4문항)의 총 9문항의 리커드 척도 설문과 선호캐릭터와 그 이유 서술에 대한 오픈설문(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사전조사 후 설문대상자들은 ‘국제축구연맹(FIFA) 20세 이하(U-20) 월드컵 코리아 2017’의 마스코트 ‘차오르미’ 캐릭터에 관련된 부정적 미디어평가에 노출된 뒤 사전조사지에 사용된 리커드 척도 7문항에 대해 다시 답변하도록 구성되었다. 설문조사의 분석은 타당도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2회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요인 적재치의 단순화를 위하여 직교회전방식(Aarimax)를 채택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 댓글을 접한 뒤 수용자는 스포츠캐릭터산업에 대한 가치인식과 ‘차오르미’에 대한 선호도 모두 사후평가점수가 내려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더욱더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가장 선호하는 캐릭터로는 모든 연령대에서 1988년 서울올림픽 마스코트인 ‘호돌이’가 1위를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스포츠대회 공식캐릭터는 물리적인 성능, 즉 기능성과 편리성 보다는 대중성, 의미성, 내면성과 같은 감성적 측면의 요소가 중요하게 작용된다는 선행이론들과 그 맥을 같이 한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스포츠대회 공식캐릭터가 외적인 디자인과 더불어 대중성을 위한 수용자 요구도 및 평가 반영, 의미와 내면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스토리텔링 마케팅 전략, 마지막으로 미디어평가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influence the negative media evaluation of the official character at a sports event has upon the audience perception. The analytical subject of the official character at a sports event is "Chaormi,’ which is a mascot for ‘FIFA U-20(aged under 20) World Cup Korea 2017." The materials, which were utilized as the negative media evaluation, include news of SEOUL Newspaper Company dated on September 2, 2016 relevant to "Chaormi,’ and 10 cases of the audience evaluation reply to this story. This data was inserted into the pre-post questionnaire and then was utilized as a factor of surveying viewers" change in recognition on "Chaormi.’ The survey subjects as the audience are totally 217 men and women from their 10s to 50s who dwell in Seoul and Capital area. The survey time is October 2016. An analytical tool, which was used in this study, is "a survey of recognition on the official character at a sports event." The pre-survey was composed of the Likert Scale questionnaire with totally 9 items in a recognition on value of a sports character(5 questions) and a preference for design aspect(4 questions), and of 2 open questionnaire items on a preferred character and a description on its reason. Following the pre-survey, the questionnaire subjects were formed in order to give an answer again to 9 items of the Likert Scale, which were used in the pre-questionnaire, after being exposed to the negative media evaluation relevant to the character "Chaormi’ as a mascot for ‘FIFA U-20(aged under 20) World Cup Korea 2017." An analysis of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analysis twice for inspecting validit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To simplify factor loading, orthogonal rotation(varimax) was adopted. As a result, the audience after encountering a negative comment could be confirmed to be lowered a post-evaluation score in both the perception of value on the sports character industry and the preference for ‘Chaormi.’ Especially, this tendency was indicated to be stronger in the lower age group. Also, the most preferred character was ranked the 1st by ‘Hodori," which is the mascot for Seoul Olympics 1988, in all age groups. This outcome is in line with the previous theories as saying that a character at a sports event is importantly functioned the elements in the emotional aspect like popularity, meaningfulness and internality rather than the physical performance, namely,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Thes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official character at a sports event is important in coping with a storytelling marketing strategy in order to reflect the audience demand level and evaluation for popularity and to strengthen a meaning and internality along with external design, and finally with a strategy for media evaluation.

      • KCI등재

        동서양 공포영화에서 수용자가 인식하는 공포 요소 차이 분석

        동하오 ( Dong Hao ),김종무 ( Kim Jong Mo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6 No.-

        본 연구는 동서양 공포영화에서 수용자가 인식하는 공포 요소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동양인 144명과 서양인 139명, 총 28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동양 공포영화에서 수용자가 가장 높게 인식하는 공포 요소는 '귀신의 직접적인 등장이 무섭다', '분장이 무섭다'와 같은 시각적 공포 요소였으며, '소재가 무섭다'와 '배경음악이 무섭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공포 인식을 보였다. 둘째, 서양 공포영화에서 수용자가 가장 높게 인식하는 공포 요소는 '소재가 무섭다', '비명 소리가 무섭다'였으며, '귀신의 직접적인 등장'과 같은 시각적 요소는 상대적으로 낮은 공포 인식을 보였다. 셋째, 동양과 서양 공포영화에서 수용자가 인식하는 공포 요소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조명, 특수효과, 분장, 직접적인 귀신 등장, 실제 일어날 수 있는 사건들은 동양 공포영화에서, 소재, 스토리, 배경음악, 비명소리는 서양 공포영화에서 공포감이 더 높게 인식되었다. 이는 동양 공포영화가 시각적 공포요소에, 서양 공포영화가 청각적 공포요소에 더 의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동양과 서양 공포영화에서 수용자가 인식하는 공포 요소 차이를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공포영화 제작에 있어 동서양인 수용자의 공포 요소 인식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fear elements perceived by viewers in Eastern and Western horror films. For this purpose, data from 144 Eastern and 139 Western individuals, totaling 283 participant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ly, in Eastern horror films, the fear elements most highly perceived by viewers were visual fears, such as 'the direct appearance of ghosts is scary' and 'makeup is scary', while 'the subject matter is scary' and 'background music is scary' showed relatively lower fear perception. Secondly, in Western horror films, the fear elements most highly perceived by viewers were 'the subject matter is scary' and 'the sound of screaming is scary', whereas visual elements like 'the direct appearance of ghosts' were perceived as less scary. Thirdly,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fear elements perceived in Eastern and Western horror films indicated that lighting, special effects, makeup, direct ghost appearances, and events that could actually happen were perceived as more frightening in Eastern horror films, while the subject matter, story, background music, and sounds of screaming were perceived as more frightening in Western horror films. This suggests that Eastern horror films rely more on visual fear elements, while Western horror films depend more on auditory fear elem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mpiricall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fear elements perceived by viewers in Eastern and Western horror films, and it is expected to serve as a useful resource for understanding the perception of fear elements among Eastern and Western viewers in future horror film production.

      • KCI등재

        교도관의 교정・교화 개념 인식 분석

        윤담 한국교정학회 2023 矯正硏究 Vol.33 No.1

        본 연구는 국내 교도관들의 교정(矯正)・교화(敎化) 개념 인식변화를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본 연구자는 30년간 교도관으로 근무 경험을 통해 교도관의 교정에서 교화로의 인식변화가 수용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인지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재범예방과 억제로 이어갈 수 있다는 인식의 전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필요성을 본 연구에 제기했다. 연구는 O와 C 교도소에서 경험 있는 교도관 50명을 대상으로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통해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교도관 50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쳐 심층 설문 및 면접조사를 진행한 후, 델파이기법을 사용하여 통계적 정량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도관(矯導官)들은 대체로 교화(敎化)와 교화교육의 필요성에 관련한 긍정적인 인식과 신념의 변화를 가져왔다. 콜버그의 이론에 기반한 3단계의 6수준으로분류하면, 교정은 1~2단계로, 교화는 3~4단계 이상이면 교도관의 개념 인식변화단계의 합의로 분류한다. 교도관들은 교정에서 교화로의 변화방법을 인식하고 있었다. 교도소와 수용자의 부정적 이미지와 신념의 변화를 위해서 인문학, 심리학, 의학, IT, 가상현실치료 등의 다학제간 개입을 기반한 교화와 교화교육의 창의적 발현이 필요하다. 교화교육 전반에 걸쳐 교도관들의 교화인식은 교화교육에 관한 영역인 델파이 상위범주에서의 교화인지 시기는 입사 전후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수용자의 교화교육의 효과성은 교도관들의 직업적 소명의식과 경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1세기 교도관들은 교화로의 중추적 역할로 수용자들을 교화하기 위해 우선적으로교도관의 자기성취감, 보람의식의 강화,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등의 만족도를 강화해야 한다. 아울러 수용자의 처우 및 교화교육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향후 수형자개별 맞춤형 처우 및 교화교육(敎化敎育)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개입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교도관의 교정이라는 부정적인 시각과 신념에서 교화라는 긍정적 시각과 신념(信 念)의 전환을 초래하며, 수용자의 재범예방(再犯豫防)과 억제에 기여할 것이다. 이는효과적인 교화교육 프로그램 개입을 위해 지역사회 치료공동체의 연계가 절실하다. 따라서 수용자에 대한 교도관의 법률적・심리적 평가를 강화하여 수용자의 적극적인치료 참여와 치료효과를 향상하여 출소 후 재범예방과 억제를 높일 수 있다.

      • KCI등재

        소비자의 광고매체 수용에 대한 탐색연구 : 호의적 반응유발 요인을 중심으로

        이희준,조창환 한국광고PR실학회 2017 광고PR실학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다매체 환경에서 수용자들이 어떠한 속성을 지닌 광고에 대해 호의적으로 반응 하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이를 위해 수용자의 호의적 감정 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도출하고 전국 표본 1024명을 대상으로 TV, 라디오 , 신문 , 잡지 , 인터넷 , 모바일 , 옥외매체 ,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에 대한 가치 인식을 측정한 후 군집분석을 실시하 였다 . 연구의 결과 , 첫째 , 수용자들의 호의적 반응 유발을 위해 광고가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요인은 수용자로부터의 관심 유발 가능성 , 수용자 관련성 , 그리고 수용자의 감성 유발 가능성의 순으로 확인됐다 . 둘째 , 수용자의 호의적 광고 인식은 광고 교감 추구형 , 구매 평판 추구형 , 정서적 만족감 추구형의 세 가지로 유형화되었다 . 셋째 , 각각의 군집 유형 내에서 매체별 영향력의 인식은 서로 상이하였다 . 본 연구는 매체의 차별적 가치 속성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고 , 이를 토대로 광고 메시지의 수용률을 높일 수 있는 매체 전략 수립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sumers’ positive responses to media advertising by clustering analysis.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national survey from a based sample of 1024 people to examine how they perceive and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V, radio, newspaper, OOH, Internet, mobile, and digital signage in terms of positive response to the advertising.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consumers’ favorable responses to media advertising depend on the degree to which the media advertising is interesting enough, relevant to the target audience and induces their emotional sensibility. Based on the each characteristic of measurement scales,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re are three types of cluster were drawn out, and these clusters were named as ‘pursuing communicational relationship with media advertising’, ‘pursuing reputational purchasing relationship with media advertising’, and ‘pursuing emotional satisfaction toward media advertising’. Also, this study found that the impact of each medium was different in the clusters. As such,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evidences to understand consumers’ responses to the media advertising and perceptions of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advertising media.

      • KCI등재

        『토지』의 대중 인식 변화 연구 - 1969년~1999년 일간지 기사를 중심으로

        신정은 한국문학연구학회 2023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9

        As research on the audiences of Land by Park Kyong-ni,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changes to the public’s perceptions of the novel in daily newspaper articles in 1969 ~ 1999. Since there were few means to directly check the acceptance patterns of the novel among general audiences rather than professional readers, the study traced changes to the descriptions of the novel in daily newspaper articles and inferred inversely changes to the public's perceptions of the novel as audiences based on them. In 1969~1976, Land was treated as the “woman writer” Park Kyong-ni’s “controversial work” that was worth attention rather than the work itself. The ambiguous descriptions of articles posed limitations with tracing the public’s specific perceptions as audiences, but it was apparent that the public audiences showed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novel in that many people actively enjoyed even its transformations such as movies and radio dramas as well as the original work. In 1977~1984, Land enjoyed its heyday in terms of popularity among the public. People started to add the modifier “the author of Land” to Park, and Land was established as her representative work. As her novel was turned into a TV drama during the spread of TV sets, it had an impact on the commemoration among the public audiences. Publishing companies and magazines competed each other over the publication or serialization of Land, and a TV drama drove the reading of the novel. During this period, Land was perceived as a work that the public audiences wished to read and should read. In 1986~1999, Land was considered a “masterpiece” by anyone in every aspect including the duration of serialization, background period, and literary value. When given an example of Land without separate explanations, the public audiences were able to think of a similar impression. In 1994,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series of Land was followed by the creation of commemorative spaces, the construction of commemorative buildings, and the establishment of commemorative foundations, which further consolidated the status of Land as an unprecedented masterpiece in Korean literature. The high status and long volumes of Land, however, put huge pressure on the public audiences trying to accept the novel actively. The novel was considered a work that was difficult to enjoy in reality. 이 논문은 박경리의 소설 『토지』 수용자 연구의 일환으로, 1969년부터 1999년까지 박경리의 소설 『토지』의 대중 인식 변화를 일간지 기사를 통해 분석한 것이다. 이 시기는 전문 독자가 아닌 일반 수용자의 『토지』 수용 양상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거의 없으므로 일간지 기사의 『토지』 서술 변화를 추적하고, 그를 바탕으로 대중 수용자의『토지』 인식 변화를 역으로 유추하였다. 1969년~1976년 『토지』는 작품 자체보다는 ‘여류작가’ 박경리의 주목할 만한 ‘문제작’으로 다루어졌다. 기사의 모호한 서술로 구체적인 대중 수용자의 인식을 추적하는 데엔 한계가 있지만, 원작 소설뿐 아니라 영화, 라디오드라마 등 변용 작품까지 적극적으로 『토지』를 누리는 대중도 적지 않았다는 점에서 대중 수용자의 『토지』를 향한 관심이 상당했음을 알 수 있다. 1977년~1983년 『토지』는 대중적인 인기의 절정을 누렸다. ‘『토지』의 작가’라는 수식어가 등장하기 시작하며 『토지』는 박경리의 대표작품으로 자리매김하였고, 텔레비전의 보급이 확대되는 시기 드라마화되면서 대중 수용자가 역사에 대한 공유 기억을 형성하는 데에도 영향을 끼쳤다. 출판사와 잡지 등이 『토지』를 출간하거나 연재하고자 경쟁하였고, 텔레비전 드라마가 소설 『토지』의 독서 행위를 추동하는 등 이 시기 대중 수용자에게 『토지』는 읽고 싶은, 읽어야 하는 작품으로 인식되었다. 1984년~1999년 『토지』는 연재 기간, 배경 시기, 문학성 등 어느 면에서나, 누구에게나 ‘대작’으로 인식되었다. 별다른 설명 없이 『토지』를 예시로 제시하면 대중 수용자들은 유사한 인상을 떠올릴 수 있었다. 1994년 완간 이후 기념 공간, 건축물, 재단이 설립되면서 전무후무한 한국문학의 대작 『토지』의 위상은 더욱 공고해졌다. 하지만 높은 『토지』의 위상과 긴 분량은 대중 수용자들이 『토지』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데에 큰 부담을 주어 실제 『토지』는 누리기 어려운 작품으로 여겨졌다.

      • KCI등재

        서울특별시 브랜드 상징물에 대한 부정적 미디어평가가 수용자 인식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하영 ( Ha-young Kim ),현은령 ( Eun-ryung Hyu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2

        연구배경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브랜드상징물에 대한 부정적 미디어평가가 수용자의 도시브랜드에 대한 인식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의‘심벌마크(휘장), 브랜드, 상징, 캐릭터, 슬로건’과 그에 대한 부정적 미디어 기사와 댓글을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용자인식태도 조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남녀 총 200명으로서 연령대는 10대부터 50대까지이다. 2017년 11월 3일부터 14일까지‘서울특별시 브랜드상징물에 대한 인식 조사’분석도구에 의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전 설문지는 도시브랜드 이미지만 노출 한 후 문항에 답변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고, 사후 설문지는 도시브랜드 이미지와 그에 관련된 부정적 미디어평가를 함께 노출한 후 문항에 답변하도록 구성되었다. 설문지는 선행연구의 캐릭터 인식태도 영역을 기반으로 구성된 서울특별시 브랜드 상징물의‘가치, 인식, 평가’ 영역(총 18개 문항, 5점 리커드 척도)과 오픈 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서울특별시 브랜드상징물은 가치측면에서 부정적 미디어평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10대의 수용자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0대의 수용자가 대중들의 부정적 미디어평가의 영향으로 인해 기존의 도시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긍정적 가치태도가 부정적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시브랜드 상징물에 대한 상품구매경험은 도시브랜드에 대한 개인적인 의미와 가치를 부여해주는 역할을 하여 도시브랜드에 대한 ‘가치, 인식, 평가’등 모든 영역에서 긍정적 인식태도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는 도시 브랜드디자인에서 형태, 색상 등의 시각적 요소보다는 대중성, 의미성, 내면성과 같은 감성적 측면의 요소가 더 중요하게 작용된다는 선행이론들과 그 맥을 같이 한다. 따라서 도시브랜드디자인 수행 시, 산출된 결과에 대한 시각적 측면과 함께 도시브랜드 상품 홍보전략 및 미디어평가 모니터링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influence the negative media evaluation such as internet media reports on the Seoul Metropolis brand symbol and as internet users' comments on this has upon consumers' perception. Methods For this, the analytical materials in this study were utilized Seoul Metropolis symbolic mark, brand, symbol, character, slogan, brand and negative media Evaluation of Seoul Metropolis Brand Symbol. As for a survey on consumers' perception, there are totally 200 men and women who dwell in Seoul and capital area. The age group ranges from their 10s to their 50s.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by an analytical tool for‘a perceptional survey on the Seoul Metropolis brand symbol' from the 3rd to the 14th of November in 2017. The pre-questionnaire was designed with a method of answering an item after only the city brand image is exposed. The post questionnaire was formed in order to answer an item after being disclosed the city brand image and the negative media evaluation relevant to it together.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 open items along with the spheres of 'value, awareness and evaluation(totally 18 questions, Likert 5-point scale) for the Seoul Metropolis brand symbols, which were formed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 recognition attitude realm in a previous research. Result The Seoul Metropolis brand symbol was most greatly influenced by the negative media evaluation in the aspect of value. Especially, this tendency was indicated that teenage consumers respond sensitively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his implies that the teenage users have big possibility in which the positive value attitude toward the existing city brand image will be changed negatively due to the impact of people's negative media evaluation. Also,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a product on the city brand symbol played a role of giving a personal meaning and value to city brand, thereby having influenced the formation of positive recognition attitude in all the spheres such as 'value, awareness and evaluation' on city brand. Conclusion This outcome is in line with previous theories as saying that the elements in emotional aspects like popularity, meaningfulness and internality are functioned more importantly than the visual factors such as form and color in the city brand design. Accordingly, the performance of city brand design will need to be significantly addressed the publicity strategy and the mediation evaluation monitoring concerning city brand products along with the visual aspects on the calculated results.

      • KCI등재

        인터넷 신문 광고의 수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김병철(Kim Byoung-Cheol)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5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 No.16

        본 연구는 인터넷 신문 광고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존의 계량적이고 피상적인 수용자 연구에서 벗어나 보다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Q방법론을 적용해 인터넷 신문 수용자의 광고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그룹화해 각각의 유형을 정의했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인터넷신문 수용자들의 인터넷 신문 광고에 대한 인식 유형은 오락 추구형, 무관심형, 정보 추구형 등 세 가지로 유형화되고 있어 인터넷 신문 광고는 이러한 각 유형 별 특성에 따라 세분화된 차별적인 광고 전략을 구사함으로써 인터넷 신문 광고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구체적으로 제1유형인 오락추구형은 흥미로운 내용과 오락적 요소를 가미해 수용자의 주의를 끈 뒤 실질적인 구매로 연결시킬 수 있는 광고 전략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제2유형인 무관심형의 수용자들에게는 수용자들의 신뢰 회복과 더불어 광고에 대한 관심을 유발시려 적극적 이용자로 변모시키기 위한 전략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제3유형인 정보 추구형 수용자들은 정보 제공 위주의 보다 현실적인 광고를 통해 구매로 연결시키는 광고 전락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다른 한편으로 이들 세 가지 Q유형에 속한 인터넷 신문 수용자들은 특정 견해에 대해 공통의 인식을 강고 있는데 이를 반영해 모든 유형에 적용되는 전략으로써 인터넷 신문이 광고 위주의 상업 매체로 전락하고 있다는 거부감을 불식시켜줌으로써 언론으로서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 광고의 내용 못지않게 외적 형태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보적 요소와 오락적 요소는 물론 크리에이티브적인 요소를 배려한 세심한 광고 전략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classifies Internet newspaper users into three typ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ir subjective perception on ads using Q-Methodology. The 1st type users are inclined to accept advertisements from the dimension of entertainment. The 2nd type of the users are apt to have little interests in Internet newspaper advertisements. The 3rd type of the users are likely to surf the Internet newspaper ads seeking actual benefits from a variety of information on goods and services. The Q-study on the subjective perception types of Internet newspaper users helps to find out difference in consumer's perception on advertisements and to develop segmented and diversified advertisement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their perception types that are picked out from the Q-methodology.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 사람들의 인식 형성 과정 연구 미디어 보도와 수용자 인식에 대한 의미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김대욱 한국PR학회 2021 PR연구 Vol.25 No.1

        Objectives Based on media effects theorie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nd compare between media reports and audiences’ perceptions in order to explore how South Korean people consider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Methods For analyzing media perspectives, this study collected 757 newspaper articles from 14 newspaper organizations from January 1st 2017 to December 31st 2019. For analyzing audience perspectives,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for the general South Korean people. Finally, a serie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for analysing those data. Results In the newspapers, words such as Saetemin and residents escaping North Korea were used to closely associate with internal issues like unification betwwen South and North Koreas; while a word like North Korean defectors was closely linked to international issues like human rights. The perceptions of audiences included key words like concerns, support, and help. Conclusions Newspapers in South Korea have utilized the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with internal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The audiences has perceived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with pitiful images and emotions. In the PR campaign, PR professionals should attempt to decrease multi-purpose uses of the newspapers and potential negative images of the audiences. 배경 및 목적이 연구는 한국 사람들은 북한이탈주민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미디어 효과 이론에 근거해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미디어 보도와 수용자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미디어 보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2017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14개 신문사에서 북한이탈주민 관련 기사 757건을 수집하였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여 의미 연결망 분석을 시행하여 미디어 보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북한이탈주민 관련 신문 보도에서 새터민과 북한이탈주민은 통일 문제와 같은 국내적 이슈들과 연결되어 있는 반면에 탈북자는 난민, 인권 문제와 같은 국제적 이슈들과 연결되어 있었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자들의 인식 네트워크에는 관심, 지원, 도움, 적응, 동포 등과 같은 핵심어들이 자리 잡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신문 보도에서 북한이탈주민은 국내적 시각과 국제적 시각으로 구분해서 바라보고 있었다. 수용자는 북한이탈주민과 연관된 이야기를 이성적인 단어에 의존해서 기억하기보다는 이미지나 감정적인 단어에 의존해서기억하고 있었다. PR의 공공 캠페인 차원에서 신문의 목적에 따른 용어 혼용을 제한하고 일관된 용어 사용을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에서 존재하는 부정적인 단어들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과 일본 수용자의 방송콘텐츠 수용 특성과 인식에 대한 비교연구

        유승관 ( Seung Kwan Ryu ),정성호 ( Seong Ho Chong ),안수근 ( Soo Geun Ahn ),이화행 ( Hwa Haeng Lee ),김채환 ( Chae Hwan Kim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9 언론과학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한일 양국 수용자의 상대국 드라마나 영화 등 방송콘텐츠를 수용하는 일반적인 행태와 시청 동기를 수용과정을 통해 분석했다. 연구결과 양국 수용자의 방송물 수용동기와 선호이유는 차이가 있었고, 세대별로도 다른 점이 발견되었다. 일본 드라마의 한국 내 수용에 있어 일본의 수용자가 동양적 가치, 윤리, 정서에 대한 선호취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면, 한국의 수용자는 정형화된 전통적 가치보다는 다양한 문화적 현상을 수용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드라마의 영상이나 캐릭터의 화려함 보다는 진솔한 스토리와 사실적 배경을 선호하고 있었다. 이는 국내 드라마 소재에서 비현실적인 스토리와 이질적인 경제생활 등에 대해 괴리를 느끼는 반면 일본의 드라마를 통해서는 현장감 있고 사실적인 배경에 흥미와 진지함을 느끼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일본 수용자는 한국의 방송콘텐츠가 일본과 비교해 볼 때 근접성과 이질성을 모두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특히 일본이 근대화 과정에서 잃어버린 가족애, 순수함과 같은 가치나 생활양식을 재현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인식은 일본의 장년층에서 더 뚜렷했지만, 젊은층 수용자의 일부도 가족적인 사랑을 자식에게 교육시키기 위해서 일부러 한국 드라마를 보고 있으며, 앞으로도 한국 드라마를 그러한 측면에서 자주 볼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다시 오지 않을 세계에 대한 동경이나 호기심에서 한국드라마를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본 드라마에서 다루고 있지 않는 소재와 메시지를 한국 드라마에서 충족하고 있고 복원하고 싶어 하는 욕구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as well as commonness of viewers` general patterns, characteristics, and recognition of broadcasting contents, based on qualitative study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between Korean and Japan.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in using broadcasting contents. Koreans like to view Japanese broadcasting contents mainly because of curiosity stemming from the heterogeneity of Japanese TV dramas and movies. They tend to recognize and feel more reality and simplicity than those of Korean. However, elder Japanese prefer family relations and innocence of Koreans` views of traditional values to Japanese`s views of present values than younger generation. This might be explained by cultural proximity. Generally speaking, both Korean and Japanese viewers, are recognized to the possibility of more active cultural interchange due to local nearness. However, quality broadcasting contents is needed and at the same time both governments need not to hinder free exchange of broadcasting contents under the name of protection of nation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