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서울 송동(宋洞)의 역사·문화적 의미와 장소성

        이연숙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9 서울학연구 Vol.- No.77

        The placeness projected on a historical person or event is greatly influenced by power relations, and designation is also determin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natural conditions, historical events, or administrative measures or geographical perceptions (feng shui interpreta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location of Song-dong closely related to Uam Song Si-yeol between the names of Seoul in terms of the political and social status of historical figures projected by place names. Songdong in Seoul during the Joseon Dynasty has a historical and cultural place identity in two aspects. One was that Songdong was in competition with Pudong, where Yunhui lived during the time of Yesong(禮訟), and was recognized as Songdong = Song Siyeol and Pudong = Yunhui. In the end, the perception that Songdong was called “songdong” by attaching his surname, Song Si-yeol, because it was the place where he lived when he was in Seoul. In other words, Songdong was a political and social space symbolizing Song Si-yeol, who was influential politically and academically at the time. Another was a space where yangbanes felt spring and avoided the heat, and a space where they gathered, held banquets, and wrote poems. After Song Si-yeol’s death, memorials and worship services began. As a result, a place called Songdong and a rock with four letters inscribed with the word “jeungjubyeoglib” have been turned into a place of remembrance. The scholars who visited Songdong looked at the four letters and tried to respect and follow Song Si-yeol’s academic views. Songdong was a political and social space during Song Si-yeol’s lifetime, and after his death, it became a place of memorials and honor, such as Huyang-dong in Cheongju. In other words, the placeness of Songdong in Seoul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changed from a place of political culture to a place of memorial and honor.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에 투영된 장소성은 권력관계의 지대한 영향을 받고, 지명 또한 자연적 조건, 역사적 사건, 또는 행정적 조치나 지리적 인식(풍수적 해석)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사적 인물의 정치 사회적 위상이 지명에 투영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서울의 지명 가운데 우암 송시열과 관련이 깊은 송동의 장소성에 주목하였다. 조선시대 서울의 宋洞은 두 가지 측면에서 역사·문화적으로 장소성을 갖는다. 하나는 송시열의 경저가 있던 곳으로, 예송정국시기에 尹鑴가 거주하던 浦洞 과 경쟁관계에 있었으며 송동=송시열, 포동=윤휴로 인식되었고, 그의 姓을 붙여‘송동’이라고 했다는 인식이 일반화되었다. 즉 송동은 당시 산림의 종장이었던 송시열을 상징하는 정치 사회적 공간이었다. 다른 하나는 송동에 앵두꽃이 많아 賞 春과 避暑의 장소로 유명하였으며 양반 사족들의 詩會의 공간이었다. 그리고 18 세기부터 그에 대한 추숭화가 진행되면서 송동과 ‘曾朱壁立’ 네 글자가 새겨진 바위는 景慕의 공간으로 바뀌었다. 송동을 방문하는 학자들은 증주벽립 네 글자를보면서 송시열의 학문관을 견지하고자 하였다. 또한, 당시 문인과 黨與의 인사들은 증주벽립 네 글자를 탁본하여 觀省의 자료로 삼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일례로 1786년 변성우가 증주벽립 네 글자를 탁본하여 제주도로 돌아갔는데, 이를 1856년에 橘林書院 바위에 摹刻하였다. 이로써 송동이 갖는 장소성이 서울 송동에 국한되지 않고 지역적으로 확대되었다고볼 수 있을 것이다. 송동은 송시열 생전에는 정치·사회적 공간이었고, 사후에는 청주의 華陽洞과같이 景慕의 공간이 되어 퇴계 이황의 청량산 일대와 같은 장소성을 갖게 된 것이다. 즉 조선시대 서울 宋洞의 장소성은 ‘정치 문화의 공간에서 경모의 공간으로’ 라고 요약할 수 있다.

      • KCI등재

        18세기 李福休의 水原 新邑 改革案 考察 -『漢南集』을 중심으로 -

        황미숙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2 중앙사론 Vol.- No.56

        Bok-Hyu Lee (1729∼1800) was known to the academia originated from the research on 『Haedongakbu(海東樂府)』. Bok-Hyu Lee proposed Gyunyeokbeop(均役法)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the confusion of the status system caused by the absence of private servants. He insisted that if the central government does not receive Gunpo(軍布) from personal servants, the owner would pay private servant's Gunpo(軍布) instead and maintain the form of serving the master, there would be no loss in the state's financial income and personal servants would not be dissatisfied. Furthermore, he suggested that Yangban(兩班) of Kyunghyang((京鄕, Seoul and local) should be incorporated into Gunjung (軍丁, servicepers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households, and that Yangban(兩班) who do not participate in this should not take the state exam. However, Bok-Hyu Lee's argument can be judged as suggesting an alternative method to maintain the existing status order. Nevertheless, we can see the meaning of the change in the status system regarding the claim of a scholar who is a flawed and stubborn scholar living in the province near the capital. Residents of Ilyong·Songdong-myeon(一用·松洞面), who had suffered the inconvenience of paying taxes to Gwangju, wanted to be transferred to Suwon. Bok-Hyu Lee's opinion suggested Songdong-myeon(松洞面) as an alternative to Wangryun-myeon(王倫面), which is convenient to stay in Gwangju, and requested that the convenience of the people should be reconsidered if it is transferred to Suwon. It was pointed out that the installment of the tax would cause harmful effects on the people. Furthermore, looking at Bok-Hyu Lee's argument for the theory of Hwaseong fortification, it can be seen that discussions took place regardles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regions. Bok-Hyu Lee suggested a method that could be implemented by dividing the construction period of Hwaseong into three years, and in the end, the construction of Hwaseong was completed in two years and seven months, some realistic validity of his argument was predicted. Therefore, at this time, Bok-Hyu Lee raised arguments on the issues of Jeonbu(田賦), the fortification of Hwaseong, and Gunjung(軍政) which was a reform plan for the low-class people of this era who were almost in ruins due to the excessive and unreasonable system of Jeonse(田税)・ Yoyeok(徭役)・Gunyeok(軍役). And it can be seen as an improvement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Suwon community. 李福休(1729-1800)는 시와 산문을 수록한 『漢南集』 20권과 樂府體인『海東樂府』 2권 등 적지 않은 분량의 저술을 남겼다. 이복휴는 당시 身分 制崩壞에 따른 현실적 위기감과 均役의 행정정책에 대한 불만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에 대해 그는 국가에서 사노에게는 군포를 받지 않는 대신 주인이 사노의 군포를 대신 내어주고, 사노는 주인을 섬기는 형태를 유지하면 국가의 재정 수입에도 손실이 없고 사노들도 불만을 갖지 않도록 하자고 주장하였다. 또 그는 京鄕의 양반을 호구 수에 따라 軍丁에 편입시키고 이에 참여하지 않는 양반은 문무과 시험에 응시하지 못하도록 하자고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복휴의 주장은 기존 신분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정도의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균역법의 시행으로 사노의 도망이 빈번해 짐에 따라 경제적 기반이 취약한 근기 지역 중소 양반들이 피폐한 현실에 대한 대안으로의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이복휴의 상소를 통해 廣州에 부세를 납부 하기 위해 불편함을 감수했던 일용·송동면 주민들 의견을 종합하여 수원으로 移屬 되었다는 것을 반증하였다. 이복휴는 광주에 그대로 속해 있으면 편리한 왕륜면을 대신하여 송동면을 이속을 주장하며, 수원으로 이속할 경우 민인이 편리함을 들어 재고를 요청하였다. 게다가 민인들을 위한 부세의 분납이 오히려 폐단을 발생하는 점도 지적하였다. 이것은 농민들이 곤경을 겪으면서 현실적인 불만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불합리한 收税의 폐단을 개선하고자 제안한 것이다. 또한 이복휴의 화성 축성과 軍政 개혁안을 살펴볼 때, 朝野를 막론하고 논의가 이루어졌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복휴는 화성 축성 기간을 3년으로 나누어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는데, 결국 華城 축성이 2년 7개월 만에 완성되는 점에서 그의 주장이 다소 현실적 타당성에서 예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때에 이복휴가 田賦 문제와 화성축성 및 軍政에 대해 주장 등을 제기한 것은, 당시 과중하고 불합리한 田税·徭役·軍役 등의 운영으로 거의 파탄에 직면한 이 시대 기층민을 위한 개혁안이자 수원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한 개선책인 점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중국 현대미술 작품에서 문화 유물의 재탄생 - 아이웨이웨이와 송동의 작품을 중심으로 -

        김도연 ( Kim Doyeon ),김홍중 ( Kim Hongjoo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6 예술과 미디어 Vol.15 No.4

        중국 현대미술은 지난 30년간 급속한 변화와 발전을 겪어 왔다. 새롭게 서양의 현대미술과 사상을 받아들인 작가들은 빠르게 이를 습득하고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소화하였다. 1980년대가 중국 현대미술이 서양의 현대미술을 배우고 익히는 시기였다면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이르러 중국 현대미술 작가들은 새로운 관점에서 현대미술을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과 해석 중에서도 본고가 주목한 것은 레디메이드 방식의 오브제 작품들이다. 특히 중국 작가들 중 일부는 문화적 유물 그 자체를 이용한 레디메이드 작품을 제작하였는데 본고는 그 대표적인 작가로 아이웨이웨이와 송동의 작품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이 두 작가의 작품들은 중국의 긴 역사와 방대한 문화 자체를 그대로 드러냄으로 강력한 중국 성을 지닌다. 이 작가들은 왜 이렇게 문화유산을 이용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무엇을 드러내고자 하는 것일까? 이러한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본고는 세 가지 방식, 파괴, 변형, 수집으로 문화유산을 이용한 작품들을 나누어 연구하였다. 아이웨이웨이는 한 대의 도자기와 같은 역사적 가치를 가진 유물을 떨어뜨려서 깨어버리거나 그 위에 새로운 색을 입히는 등 폭력적이고 파괴적인 방식으로 문화유물을 작품에서 이용한다. 이러한 그의 행위는 문화혁명과 언론의 탄압 등의 중국 현대사와 작가 자신의 개인사와 겹쳐져 더 많은 해석의 여지를 제공한다. 변형은 오브제를 활용한 작품들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식이다. 높은 가치를 지닌 명대의 가구를 해체하고 재조립하여 가구의 용도를 바꾸는 아이웨이웨이의 변형은 가구에서 작품으로 오브제의 가치를 변화시킨다. 송동은 아이웨이웨이와 달리 흔하게 버려져 있는 창문틀과 문틀로 조각적인 오브제를 만든다. 송동은 오랜 기간 동안 각종 생활 용품을 수집한 어머니와 함께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 수집품들은 지극히 사적인 물건들을 통해 현대 중국의 가까운 과거를 다시 돌이킨다. 이렇게 특별한 가치를 지닌 사물들로 제작된 레디메이드 작품들은 기존의 뒤샹의 레디메이드와 완전히 다른 맥락에서 오브제를 이용하고 있다. 이들은 서사성을 강조하고, 개인적인 취향을 강하게 드러내며 시각적인 효과를 이용하는 것에도 주저하지 않는다. 특히 전통과 문화적 정체성을 주저하지 않고 강조하는 것은 후동방주의와 같은 선상에서 중국 현대미술의 대표적인 전략 중 하나이다. 중국의 전통과 정체성을 드러내는 현대미술의 전략과 작품에 대한 이해는 전통과 그의 활용이라는 동일한 과제를 지닌 우리 현대미술에도 의미 있는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Contemporary art in China has experienced huge changes and rapid advances for the past 30 years. While 1980s was time for Chinese contemporary art to grasp and learn that of western, in 1990s and 2000s Chinese contemporary artists started to produce their works interpreting contemporary art in a new perspective. Among these new trends, this article focused on ready-made object works. Some Chinese artists particularly have produced ready-made works adopting a few artifacts that reflect China`s culture and history, which can be well exemplified by works of Ai Weiwei and Song Dong. Ai and Song both possess strong "Chinese" identity by revealing China`s long history and copious cultural identity itself in their works. Why do they use cultural heritage in their works and what do they want to represent through it?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examines the works that made use of cultural heritages in three subcategories: destruction, transformation, and collection. Ai uses cultural heritages in violent and destructive ways, such as breaking or re-coloring old Han dynasty porcelain to make his art works. His act overlaps with the artist`s personal history and the Chinese modern history including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repression of the press, leaving more room for interpretation. Transforma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ways when artists use objects in their works. Ai transforms Ming dynasty furniture that has high value in antique market into his own works, which alters the value of the objects from antique artifacts to art works. Unlike Ai, Song has made sculptural objects using many common items, such as old and abandoned window frames and door frames. Song also made some installations with his mother, who has a huge collection of old daily supplies. This personal collection brings back the near past of China. Ready-made art works which are made from items that have special values use objects in a context completely different from Duchamp`s. These works emphasize narrativity, strongly show personal preference, and have no hesitation in using visual effects of objects. Decidedly emphasizing tradition and cultural identity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trategies of Chinese modern, and it can be understood in association with the notion of Post-Asianism. Comprehending the strategy and works of contemporary art revealing Chinese tradition and cultural identity is expected to be a significant example for Korean modern art that shares the same task such a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radition.

      • KCI등재

        18세기 말 수원 사대부, 李奭祚의 華城 진흥책

        황미숙(Hwang, Mi-Sook)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9

        李奭祚는 『집설』 「집설범례』에서 책의 구성방식을 유형원의 『磻溪隨錄』에서 참고하였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석조는 유형원의 『磻溪隨錄』을 비판하며 『輯說』의 체재를 종류별로 나누어 구성한 체재를 따르면서 근본에 중점을 두고 본말을 분명히 하여 맥락이 관통하며 조리 있게 개선했다고 강조하였다. 이석조는 10여 년간 經世濟國에 관련한 내용을 1책 2편(내․외편)으로 정리하여 두었다. 이 초본이 정조에게 알려졌고 책을 완성해서 올리도록 命을 받았다. 이에 이석조는 4책[元․亨․利․貞]으로 학문과 치국에 관한 견해를 정리하여 묶어서 『집설』이라 이름하고 정조에게 進御하였다. 이석조의 『輯說』 ‘定鄕制’에서 방리제도를 확립하고 자신이 직접 실천한 향약을 통해 향촌 질서를 유지하고자 하는 바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석조는 상소문을 통해 시무를 제안하였고, 『집설』 ‘정향제’를 통해 향촌사회 질서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정조는 유형원의 『반계수록』 「군현제』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광주의 2개 면을 수원부로 이속시켜야 한다는 의견을 적극 수용하여 광주부의 일용면과 송동면을 수원부로 이속시켰다. 또한 정조는 이석조의 상소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양재도찰방을 영화도 찰방으로 이전․설치하여 물산이 모여들도록 하였다. 이러한 이석조의 제안은 정조로 하여금 수원의 육성을 위한 정책을 특별 조치로 단행하도록 촉구하였다. 무엇보다 이석조는 향약실행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자신의 경험을 기초로 하여 산업을 부흥시키기 위한 정책 및 교육과 풍속교화를 위한 이석조의 진흥책은 정조의 화성축성과 화성 육성책의 실천을 촉구하게 한 것이다. 더욱이 이석조는 『집설』 에서 각 항목마다 병폐에 대한 실제의 사례를 들어 면밀하게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개혁해야 할 사안에 대해 대안을 제시하는 방법 또한 구체적이어서 그의 경세론이 실제성을 담보하고 있다. 유형원의 『반계수록』은 17․18세기에 ‘실학적 경세론’에 지대한 영향력을 주고 있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석조의 『집설』은 유형원과는 달리 그 내용의 실제 사례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서술하고 그 대안을 조목조목 제시하는 등에서 보다 현실적 경세론을 주장하였다고 할 만하다. 이것은 이론적 원형을 제시하여 단순한 대안을 제시하는 태도가 아닌 ‘실천적 경세론’의 기준을 마련하려 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Seokjo Lee mentions that the format of 『Jibseol(輯說)』 is referred from 『Ban-gye surok(磻溪隨錄)』 of Hyeongwon Yu in 「jibseol-beomrye」. Seokjo Lee emphasizes that improving the format of 『Jibseol』 which is followed the constituted format that divided into the type, focused on fundamental and classified means and ends also it’s context is through logically. Seokjo Lee organiz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Gyeongse-gjeguk(經世濟國) in the first book, Part 2(2 chapters) for 10 years. The book became known to Jeongjo of Joseon, Seokjo Lee is royal commanded to raise up to complete the book. Likewise, Seokjo Lee devotes grouped into four books which are called 『Jibseol』 that is organized an opinion on the academic and the politics based on the draft to Jeongjo of Joseon. 『Jibseol』 「Jeonghyangje(定鄕制)」 of Seokjo Lee is appeared that maintain an order of the “Hyangchon(the society of regions outside the capital)” via establishing “Bangrijedo” and “Hyangyak(village code)” which is practicing himself. Seokjo Lee proposes to serve as the “Sangsomun(memorial)” and asserts to reform an order of the “Hyangchon(the society of regions outside the capital)” through 『Jibseol』 「Jeonghyangje」. As it claims that two myeons of “「Gunhyeonije(郡縣制)」” reunite with Suwon in 『Ban-gye surok』 「Gunhyeonije」 of Hyeongwon Yu, Jeongjo of Joseon embraces the opinion to reunite “Ilyongmyeon” and “Songdongmyeon” into Suwon. As suggestion of Seokjo Lee on “Sangso(memorial)”, Jeongjo of Joseon removes and reinstalls the Yangjaeyeong to yeonghwayeong and has local products gather it. Jeongjo of Joseon designs the policy on prosperity of the Suwon and executes special measures. Above all things, Seokjo Lee highlights the important of executing “hyangyak(鄕約, village code)”. “Gyeongse-Gaehyeokron(the governing Reform)” of Seokjo Lee-lives in Suwon for a long time-providing a beginning of the execution to Jeongjo of Joseon whom desires for consecrated Hwasung and flourishing of Sineup(新邑). Furthermore, Seokjo Lee elaborately describes maladies with real examples to 『Jibseol』 on each article. The way of presentation about the issue that should be reformed is specific so that his Gyeongseron guarantees the authenticity. Needless to say that the 『Ban-gye surok』 of Hyeongwon Yu profound effect to Silhakjeok-Gyeongseron(實學的 經世論) in 17<SUP>th</SUP> and 18<SUP>th</SUP>Century. However 『Jibseol』 of Seokjo Lee merit that contend much more in practical Gyeongseron(實踐的 經世論) than Hyeongwon Yu because of that analyzes elaborately, describes, and suggests alternatives one by one. In additionally, it is not suggesting simple alternatives as theoretical original form but establishing a standard of “practical Gyeongseron”.

      • KCI등재
      • KCI등재

        <춘향전> 관련 자료 몇 종에 대하여

        전상욱 국문학회 2011 국문학연구 Vol.0 No.23

        Chunhyang-jeon is the most famous Korean classical novel, it has been handed down as the novel, pansori, poem, changgeuk, film and drama from the 18C until the present. In this study, I announced the three versions of the novel Chunhyang-jeon, generally been ignored the meaning and exist. Songdong-singan Seoul edition(20-leaves) is one of the woodblock print as commercial publication. The identity of this version is the reprinting vesion of Anseong edition(20-leaves). This book is housed in the Toyama University in Japan. And in the Loyola library of Sogang University, there is a book in manuscript form of Chinese language Chunhyang-jeon that is written by Yeo Gyu-hyeong. This manuscript is made in order to publicate the writer's work printed by the oil printing. French edition Chunhyang-jeon Printemps Parfumé was translated in 1892 by J.-H. Rosny who is a French famous novelist. This work was adapted for the French style, so heroine Chunhyang's social position was set to not Gisaeng(妓生) but the common people. As a result, hero Lee(李道令) had no choice to dress up as a woman for the meeting. Later Printemps Parfumé was based on the Ballet de Monte Carlo's <L'Epreuve d'Amour> in Monaco 1936, and the Tissot's textbook version <Nang Xuan Houng> in Vietnam 1910.

      • KCI등재

        무의미한 행위 실천의 의미 : 프란시스 알리스(Francis Alys)와 송동(宋冬)의 작품을 중심으로

        배현진 ( Bae Hyun Ji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9 동양예술 Vol.44 No.-

        一位生活在墨西哥城的比利時藝術家弗朗西斯·埃利斯(Francis Alys, 1959- )和生活在北京的宋冬(Song Dong, 1966- ), 通過无限重復‘步行’和‘寫作’的日常活動來完成創造无意義行爲的工作。在這篇文章中, 試圖閱讀他們的非生産性和低效率的詩意和社會政治的意義。 第二章, 弗朗西斯·阿爾斯將步行描述爲一種詩意的行爲, 例如, 推着一個巨大的氷塊穿過墨西哥城的大街, 最初氷塊的重量讓他覺得很吃力, 不過隨着時間的推移巨大的氷塊變成人一塊若隱若現的水漬. 他的藝術通過充滿詩意, 進行發問政治、社會的主題, 幷引起了人的努力和勞動的, 與可以擴大政治思想可能性的行爲有關。在第三章, 探討了在20世紀90年代中國當代藝術中以文字寫作來作爲實現行爲藝術家, 而進行說明在宋冬以水作爲紀錄的日記和時間的作品中寫作行爲的無爲態度。 第四章, 將硏究水和油漆的重要性, 這是兩位藝術家在作品中用來練習无意義行爲的典型材料, 以及容易丢失的人類勞動的意義。此外, 通過他們的行走和寫作, 認識到重復的思索和修身過程, 我再次意識到世界上復雜的政治和社會問題, 爲了更接近其含義, 筆者想談論改變人們凝視的行動過程。

      • KCI등재

        소비문화와 마오시대 노스탤지어 사이에서

        고동연(Dongyeon Koh) 현대미술사학회 2013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34

        This study concentrates on ambivalent attitudes and circumstances found among the Chinese people toward the recent development of consumer culture on the one hand andnostalgia for the Mao era on the other, through three notable examples of artists in Chinese contemporary art. Ren Jian’s New History Group, Song Dong, and Mao Tongqiang have been working in the areas of performance arts, participatory projects, and installation arts, which are considered as more experimental artistic genres in China. More importantly, Song Dong and Mao Tongqiang installed everyday objects used by ordinary Chinese people during the ear of the Cultural Revolution as a way of bringing viewer’s critical and ambiguous reactions toward prosperous consumer culture in China from the late 1990s onwards. By focusing on these three artists mostly working inside China, this study also aims to provide alternative ways of looking at the influence of consumer culture in Chinese art, beyond the cases of more internationally recognizable Political Pop or renowned object-based artists such as Huang Yong Ping, Xu Bing, and Guo-Qiang.

      • KCI등재

        미술작품의 국가적 정체성에 관한 소고<SUP>小考</SUP>

        이지은(Jieun Rhee) 현대미술사학회 2015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38

        With the upsurge of ‘globalization’ and the emergence of the third-world art in the major venues of international art scenes, the artists from the third-world nations have been welcomed as new members of global contemporary art and expected to add diversities into the traditions of western modernism. In this context, the national identity, among other factors, has been championed by the leading curators and critics of the first world as a useful standard that evaluates the specificity of the third-world artworks. This paper deals with three Chinese artists and their works; Song Dong’s <Waste Not>(2006) consists of used or obsolete household objects such as old clothes, shoes, cracked dishes, plastic bottles and other junks; Ai Weiwei’s <Fairytale Project>(2007) brought 1001 Chinese tourists and equal number of Ming·Qing dynasty chairs into the city of Kassel as a part of Kassel Documenta exhibition; Lee Mingwei’s <Sonic Blossom>(2013) employs multi-national references, such as German Lied, Austrian composer, and Korean singers. Analysing these three works, this paper explores a wide spectrum of tactics and problems of national identity in the contemporary third-world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