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포적 관점으로 본 미래 예배 연구 - 소통과 참여의 예전을 중심으로 -

        김세광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7

        이 연구는 작금의 팬데믹 현상에 따른 급격한 예배 변화 상황에서 세대 간의 소통 결여와 전통과 미래 사이의 문화적 갈등을 함께 담아낼 수 있는 소통과 참여의 예전 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미래 예배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예전의 현대적 해 석, 즉 메타포적 관점으로 예전을 재진술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세대별 단절에 따른 예배 차이, 전통적 신학과 교단을 넘어선 글로벌 신앙공동체와의 교류, 예배자의 은 사, 이미지와 상상력을 포용하는 예전, 온라인 예배 공간에 대한 인식, 테크놀로지에 대한 우려와 기대, 공평, 자유, 정의, 환경 등 시대적 가치를 반영한 예배, 이와 함께 메타포적 담론이 시대를 초월하여 회중을 적극적 소통과 능동적 참여로 이끌 수 있다 는 기대를 전제한다. 대부분의 예술, 즉 시, 소설, 노래, 춤, 연극, 건축, 벽화에서 이미 지와 메타포를 사용하여 하나님과 신앙의 신비를 표현하는 것처럼, 예배 안의 요소들, 즉 기도, 찬송, 설교, 예배순서와 형식, 예배공간과 예술, 몸의 참여와 행위, 조명, 음 향, 인터넷, 방송들에서 메타포의 역할과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다섯 가지의 예전적 메타포, 즉 설교, 기도, 찬양의 예배 텍스트로서의 언어적 메타포, 예배 형식과 구조로서의 의례적 메타포, 예배 공간과 예배 예술로서의 시각적 메타포, 의례적 행위로서의 몸의 메타포, 테크놀로지로서의 웹(web)의 메타포는 전통 과 현대의 양극단의 의례 사이에 평등한 소통과 이해의 가능성을 제공하고, 모든 예 전이 지향하는 능동적 참여의 기반을 구축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하나님, 회중, 세 상을 이어주는 메타포적인 관점으로 예전을 다시 진술할 때, 오늘의 예전은 하늘과 회중, 회중과 삶을 이어주는 예전으로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turgy of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that can capture the cultural conflict between tradition and the future as well as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in the context of rapid changes in worship due to the current pandemic. The research method is to restate the liturgy in a metaphorical perspective, that is,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liturgy that future worshipers can share.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s in worship according to generational division, exchanges with the global faith community beyond traditional theology and denominations, gifts of worshipers, perceptions of liturgy and online worship spaces that embrace image and imagination, concerns and expectations about technology, and fairness. It presupposes the expectation that worship that reflects the values of the times such as, freedom, justice, and environment, along with metaphorical discourse, can lead the congregation to active communic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beyond the times. Just as most arts, poetry, novels, songs, dances, plays, architecture, and murals use images and metaphors to express the mysteries of God and the faith, so do the elements in worship: prayer, hymn, sermon, order of worship, and so on. The role and function of metaphors can be confirmed in form, worship space and art, body participation and action, lighting, sound, internet, and broadcasting. The following five liturgical metaphors are: linguistic metaphors as worship texts of sermons, prayers, and praise; ceremonial metaphors of worship forms and structures; visual metaphors of worship spaces and worship art; body metaphors as ritual acts; The metaphor of the web will provide the possibility of equal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between the rituals of the two extremes of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and will enable us to build the foundation for active participation that all ancestral rites are aiming for. When we re-state the liturgy from a metaphorical perspective that connects God, the congregation, and the world, today's liturgy can be approached as a liturgy that connects heaven and the congregation, and the congregation and life.

      • KCI등재

        기도의 메타포로서의 예배 연구

        김병석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2

        예배의 본질은 기도이다. 어떤 형태로 예배하든지, 예배하는 자는 기도하는 자이며, 예배는 기도 없이 불가능하다. 기도는 하나님과 교류하는 방식으로서 하나님의 계시 와 인간의 응답이 이루어지는 예배의 시작이다. 예배는 하나님과 소통하는 기도의 디 자인이다. 기도의 확장된 메타포의 구체화가 디자인 될 때 곧 기독교 예배의 의례가 된다. 모든 기독교 의례는 기도의 가능성 때문에 수행될 수 있다. 성찬과 찬송과 설교 와 같은 모든 예배 요소들은 각각 기도의 본질적인 속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기도의 가능성은 각 예배요소의 수행능력이자 예배의 시작을 의미한다. 기도는 기독교인에게 실존하는 것으로서, 어떤 상황 속에서도 가능한 삼위 하나님과의 소통양식이다. 이 같 은 영적 특성을 가진 기독교인은 모든 상황 속에서 기도를 통해 예배하며 예배자로서 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다. 예배는 기도의 다양한 표현양식이다. 때문에 예배순서의 간소화는 예배의 기도적인 기능 안에서 가능하며, 또한 예배 순서의 다양화는 예배를 기도로서 수용하는 범주 안에서 가능하다. 즉 기도는 예배의 본질적인 핵심이며, 예배 의 모든 요소는 기도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을 때 유의미하다. 기독교인이 예배의 단순화 혹은 그와는 반대로 예배요소의 다양화를 주장할 때 무 엇보다 우선되어야 하는 것은 그 안에 기도자의 정체성이 유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기독교인은 기독교의 의미 있는 의례적 전통을 고스란히 유지하고 지키고 있는 현상적인 모습에서보다는 그 예배 안에 유지되고 있는 기도의 본질이 있 는지를 신학과 신앙의 차원에서 점검해야 한다. 예배자는 기도의 확장으로서의 기도 속성의 메타포를 통해 예배 양식의 본질적 의미에 접근할 수 있다. 예배자가 복잡한 의례, 예배신학 전문가만 이해하고 일반성도는 알지 못하는 예배 양식을 구성하여 그 예배의 현상적인 구조 내면에 진행되고 있는 기도의 현실이 사라진 상태에 처한다면, 예배자의 그 의례는 예배자체가 가진 상징성만을 소유한 무의미성에 직면하게 될 것 이다. 따라서 예배자는, ‘예배는 기도이며, 기도자체가 곧 예배가 된다’는 사실을 기억 해야 한다. Prayer is the essence of worship. Those who pray are worshipers, and worship are impossible without prayer. Prayer is the beginning of worship where God's revelation and man's answers are made in a way of communicating with God. Worship is the design of prayer that communicates with God. When the embodiment of the extended metaphor of prayer is designed, it becomes a ritual of Christian worship. All Christian rites can be performed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prayer. All the elements of worship, such as the sacrament, hymn, and preaching, each contain the essential attributes of prayer. The possibility of prayer means the performance of each worship element and the beginning of worship. Prayer is a way of communicating with the Trinity God that Christians can do in any situation. Christians with this spiritual privilege can worship through prayer and identify their identity as worshipers under any circumstances. Worship is a manifold expression of prayer. Therefore, the simplification of the order of worship is possible in prayer, 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order of worship is possible within the category of accepting worship as prayer. In other words, prayer is an essential core of worship, and all elements of worship are meaningful when it implies the meaning of prayer. When Christians claim simplicity of worship or diversity of worship elements, the first priority is the identity of the prayer. From this point of view, Christians should always be sure that they are prayers when worshiping. Worshipers have access to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worship style through the extended metaphor of prayer. If the worshiper is faced with the disappearance of the reality of prayer, the ritual of the worshiper will be placed in the meaninglessness of symbolism alone. Therefore, the worshiper must remember that "worship consists of prayer, and prayer itself becomes worship."

      • KCI등재후보

        예배를 통한 기독교교육의 실제

        성호숙(Sung, Ho-Sook) 개혁신학회 2011 개혁논총 Vol.18 No.-

        기독교인들이 세상에서 그리스도인답게 사는 삶은 참된 예배자로서의 삶을 사는 것이다. 예배자로서의 삶이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 그분을 즐거워하는 삶을 말한다. 종교개혁자 마틴 루터는 예배가 사람들로 하여금 그리스도인이 되도록 돕는다고 언급하면서 그것이 곧 예배의 교육적 기능이라는 것이다. 예배는 죄로 단절되었던 하나님과 사람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이어주고, 더욱 긴밀하게 형성해주는 매개적 수단이 된다. 그래서 예배를 통하여 사람은 옛사람을 버리고 새 사람을 입고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재창조의 역사가 이루어진다. 예배 중의 설교, 찬송, 기도 등이 기독교 교육적 형태가 되어 교육의 실제가 된다. 그러므로 예배는 기독교교육의 중요한 교육과정이다. 설교는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를 그 내용으로 하는 하나님 편에서의 인간을 향한 커뮤니케이션의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인간은 찬양과 기도를 통하여 감사와 경배를 나타내면서 하나님과 커뮤니케이션을 이루게 된다. 인간이 하나님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친밀해질수록 영적인 성장을 가져오고, 영적 성장은 인간 상호간의 관계의 확장을 가져온다. 따라서 예배를 통한 기독교 교육적 실제는 결국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대강령을 실천한다는 데에 있다. To live like a real Christian is to live as a real worshiper. To live as a worshiper is the life to glorify God and amuse by Him. A religious reformer, Martin Luther told that worship helped people to be Christians and asserted that it was the educational function of worship. Worship facilitates the communication between God and man broken off by sin and becomes the intermediate means to form it more closely. By worship the history of recreation recovering God’s image is effected in man and at last he puts off his old self and puts on the new self. The preach, praise and pray fulfilled in worship become the practice of Christian education as the educational form of worship. Thus worship is an essential education curriculum in Christian education. A preach is the attempt for communicating with man on the side of God and its contents contain the history of God’s salvation. Man who heard the preach gives thanks to God for salvation and worships Him by praise and pray, and he facilitates the communication with God. The more man communicates with God closely, the more he grows spiritually. And the more man grows spiritually, the more human mutual relations expand. The facilitate communication with God by worship is enhanced human mutual communication. At last the practice of Christian education by worship is to practice the general principles to love God and neighbors.

      • KCI등재후보

        포스트모던의 상황에서 고찰하는 예배 큐레이팅의 가능성 연구

        박용훈 ( Park Yong Hoo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22 神學과 宣敎 Vol.64 No.-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뉴 노멀 사회가 찾아왔다. ‘뉴 노멀 사회에서 교회는 어떻게 존재해야 하고, 그리스도인은 어떤 예배를 드려야 하는가?’라는 질문은 최근 학계에서 중요하게 대두되는 이슈다. 교계뿐만 아니라 철학, 사회학, 종교학, 문화인류학 등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우리 문화와 사회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초대교회부터 중세교회, 근대교회, 현대교회에 이르기까지 교회의 예배는 그 본질적 목적과 내용에서는 불변성과 항구성을 고수해 왔지만 그것을 담는 그릇 곧 형식, 스타일은 끊임없이 변해왔다. 이는 뉴 노멀상황에 있는 오늘의 교회에게 타당한 대안 제시를 요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유럽의 교회가 쇠락했다는 평가가 있지만, 교회의 쇠락을 겪었던 영국 성공회는 평신도 지도자를 중심으로 교회와 예배에 대해 고민했다. 이 고민은 운동으로 발전했고, ‘교회의 새로운 표현들(Fx)’이라는 선교 운동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 운동의 중심에는 ‘예배 큐레이팅’이 있다. 예배 큐레이팅은 융합, 갱신을 넘어 소통과 공감이 가능한 예배방식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현대 사회학에서 통용되고 있는 세대 분류를 기초로 Z세대의 문화적 특징을 살피고 이를 통해 Fx와 예배 큐레이팅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이 운동에 기여하는 조니 베이커가 제안하는 ‘예배 큐레이팅’의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보고, 이 Fx 운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수용하여 예배갱신의 가능성에 관해 논의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covid-19 virus has brought us a new normal society. That is how should the church exist in the new normal society and what kind of worship should be taken by Christian. It brings big issue in academia. In addition to the religious world, discussions about our culture and society are active in various academic fields such as philosophy, sociology, religious studies, and cultural anthropology. From the early church to the modern church, the worship of the church has maintained an immutable and permanent essence in its essential purpose and contents. But the vessel, form, and style have been changing constantly. There is an assessment that the churches in Europe have been declined, but the lay leaders of the Church of England who have experienced the decline of the Church have been concerned about the church itself and worship. This concern has morphed into a movement. The movement called “New Expressions of the Church (FX)” and it is spreading with concerns on the church and the worship. The heart of this movement is worship curation. Worship curating goes beyond fusion and renewal to a form of worship that allows communication and empathy. To this end,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on this study and examined the possibilities of FX and worship curation in modern church. And this paper examin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worship curation’ by Johnny Baker who is proposed it. And I asserted a possibility of worship renewal by evaluating and accepting this FX movement in this church.

      • KCI등재후보

        기념이면서 소통인 예배: 동시대 문화 속 예배 모색

        김순환 한국실천신학회 2009 신학과 실천 Vol.0 No.20

        예배는 신구약 성경에서 증시(證示)되는 대로 하나님의 인간 창조 목적이며 또 하나님과 인간의 언약이다. 이것은 구속사의 완성이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도 명령된 사건이다. 따라서 예배는 기독교 신앙 활동의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그 속에서 하나님의 창조와 구원 사건 등이 기념을 통해 재현되고 실제화 되는 자리이다. 예배자는 이 기념 속에서 경험된 하나님의 활동에 대해 고백, 감사, 찬미로 하나님께 응답한다. 예배를 통해 그리스도 안에서 행하신 하나님의 구속사건을 기념하는 일은 역사적인 기독교적 실행으로서 지금도 여전히 필수불가결의 요소이다. 이와 같은 기념을 통해 인간은 하나님의 현존과 만나 갱신되어 새로운 모습으로 세상의 삶 속으로 나아간다. 그런데 만일 이런 본질적 차원만을 주목하여 그것의 기념(아남네시스)에만 모든 강조점을 두고 동시대 안에서 그것을 소통하려는 또 다른 목표와 노력을 소홀히 한다면 예배의 목적은 절만의 달성일 뿐 완성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예배는 바로 이 두 가지 측면, 즉 본질의 재현과 그것의 동시대적 적용 모두에 힘을 기울여야 하는 일인 것이다. 따라서 예배에서 우선 유념해야 할 방식이 있다면 그것은 교회의 전통적 지혜를 오늘의 시대 상황에서 중시하는 일이다. 이어 현실과의 소통 측면을 위해서는 예배는 동시대의 상황에 처해 있는 인간의 인지와 정서 및 각 이문화층 간의 소통 메카니즘에 대한 깊은 이해와 더불어 그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위해 역시 힘써야 한다.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소통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예배에서 그 방식이나 질의 개선은 본질의 파수에 기울이는 노력 못지않게 매우 중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Worship is a locus where the creation, providence and salvation of God is reaffirmed and actualized, and human being responds to God through confession, thanksgiving, and praise. For such a goal, it is a requirement of the Church to remember the salvational history of God in Christ. Human being is sent forth to the daily life after he or she is renewed and empowered by the experience of encounter with God in recurring what has taken place in Christ. It is an unyielding identity of Christian worship in whatever context, which may be constantly changing. However, if the Church pays attention to the preservation of identity only but fails to ignore the communication process and its significance, the precious Christian tradition could not communicate itself to the contemporary world. Thus, worship should involve in two aspects. One is the well observation of the tradition through the recovery and exercise of laudable liturgical practices. The other is an effective or down-to-earth appropriation to contemporary realistic world. So the Church should not only take the traditional wisdom seriously, but also needs to be alarmed to properly tune the communication quality to the changing cultural or social context. The method and quality in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God and human being is very crucial factor for worshippers to put themselves into more profound participation.

      • KCI등재

        기독교예배의 구성요소로서의 기도에 대한 언어적, 의사소통적 접근: 독일 개신교교회를 중심으로

        조남신(Nam-Shin Cho)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9 신학논단 Vol.97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worship tradition of the German Protestant Church, and considers prayer as a component of worship not only on the community level but also on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theological level as well as on the verbal and communicative aspects. The goal is to develop the discussions more diversely. In terms of content and form, prayer is a very special way of exp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congregation) and God. At this time, the problem of interdependence between ceremonies and doctrines and the problems of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n prayer are strongly highlighted. At that time, by attempting to approach the issues of structure and language as well as contents of prayer in terms of communication and empathy,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seek such prayer that all the worship attendant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high, linguistic and communicative level so that they can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prayer. However, the lack of knowledge on linguistics and communication theories makes it difficult to advance further academic discussions. Therefore, I hope that many academic studies will be done on the subject of this prayer in the future, and I pray that the prayer given in the name of Jesus will lead to the worship of communication and empathy more thoroughly by experiencing the living God, the name of God and God’s presence.

      • KCI등재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 나타난 아악(雅樂)과 속악(俗樂)의 미학연구(美學硏究)

        강유경 ( Yu Kyung Kang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5 동양예술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 seeking inner state of ‘A-ak’ and seeking inner state ``Sokak`` which is the counterpart of it through the concept of Aesthetics. To help this understanding, the 『Oju Yunmun Jangjeon Sango』 - written by KyuKyung Lee in the Joseon Dynasty - which has shown that 「dia-lectic of that ‘A-ak’ is not in the instrument(器具) but in the Sung-Um (聲音)」and 「dialectic of ‘Sokak’」 need to be searched. This approach to the concept of aesthetic is worth that the original meaning of ‘A-ak’ and ‘Sokak’ can be searched and that it can be objective research which can show us the music, contemporary character and thought of music. Seeking inner state of ‘A-ak’ through the 「dialectic of that ‘A-ak’ is not in the instrument(器具) but in the Sung-Um(聲音)」 is associated with the aesthetic categories and is based on the spirit of Old times worshi p.Old times worship principle. The spirit of Old times worship.Old times worship principle was as part of an effort to criticize and correct people of that era who are frivolous and humble through the way of emphasising on the spirit of the old people. But, toward future generations, it became focus on form rather than the spirit of the old people. In this aspect, dialectic of that ‘A-ak’ is not in the instrument(器具) but in the Sung-Um(聲音) was tried to give warning to the aspect of the music which focused more types than spirit and to awaken the concept through empasis on Sung-Um(聲音) and internality of music at the same time. Seeking inner state of the ‘Sokak’ through 「dialectic of ‘Sokak’」 is asso- ciated with the aesthetic categories of prosaic(俗) and present(今) side and is based on the spirit of Old times worship.Old times worship principle as like as Seeking inner state of ‘A-ak’ and its ultimate goal is the pursuit of the spirit of neutralization. Because the world of present music is eternal present world. Even though music have been changed with the system changed due tothe new order of things, the primitive pursue stage did not been changed. Therefore, ‘A-ak’ and ‘Sokak’ an be searched at the same time due tothe association of aesthetic categories of old times(古) and present(今) side and the relation of contemporary characteristic. And it is possible thanks to the study of Seeking inner state of ‘A-ak’ through the dialectic of that ‘A-ak’ is not in the instrument(器具) but in the Sung-Um (聲音) and 「dialectic of ‘Sokak’」As a result, aesthetic elements of ‘A-’(雅) and prosaic(俗) side can accomplish mutual complenent with aesthetic elements old times(古) and present(今) side then harmonized structures become embodied. Likewise, this study give shape to the importance of internal research between Sung-Um(聲音) and spirit through the aesthetic approch of the concept of ‘A-ak’ and ‘Sokak’. It can suggest sourceful direction point in the educational and philosophical area of music.

      • KCI등재후보

        예배 안에서 영화사용의 의미와 한계

        김순환 한국실천신학회 2008 신학과 실천 Vol.0 No.15

        오늘날 이미지는 과도하게 우리의 삶을 지배하며 심지어 이들 비현실적 이미지는 현실을 대치하여 삶의 실제 정황으로부터 우리를 소외시키기까지 한다. 비록 영화든 혹은 다른 정보시대 발명품들이 삶의 편의를 도움으로써 우리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고는 있지만 이들은 간혹 가짜 현실들을 만 들어 내고 심지어 우리를 현실적 삶의 깊이로부터 유리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오늘날의 영화가 그런 비평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지만 역으로 보자면 이런 영화가 단순히 종합예술로서의 오락 장르 역할만이 아니라 오늘날 문화적으로 동종적 환경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 가운데 공동의 사고와 의식을 공유하게 만드는 매개 수단인 것도 또한 사실이다. 따라서 우리는 영화가 기독교 예배 안에서 하나의 효과적인 매개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그 효과와 역동성을 진작시킬 수 있기 위한 사용 전략들을 추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영화의 주제나 사고는 간혹 사회나 세계의 공통된 관심사와 이슈들을 반영하기 때문에 사람들 서로 간에, 그리고 하나님과의 소통에 공통의 코드로 기능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그럴수록 더욱 중요한 것은 예배의 전통적 지혜의 산물인 성서정과 설교, 성찬, 그리고 역사적 예전 형식문들의 회복 등을 통해 이런 변화에 대한 적응 노력을 유효화 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이들은 오랜 동안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보다 온전하고도 충분한 노출을 경험토록 도와준 것들이다. 우리가 동시대의 이미지 관련 고안물을 통해 사람들을 예배 안에 사로잡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는 한편 우리는 또 기독교적 기억인 성경의 정규적이고 체계화된 반복 시스템의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가동의 중요성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We are living in a world where images often predominate and even isolate us from real life context due to the replacement of it by unrealistic images. Even if the images whether in movies or in other info-tech devices today play certain significant roles by upgrading our quality of life through their convenient aids, they often produce pseudo-realities and even cause a severe isolation of the people from their down-to-earth life. Even if movie today also can not be free from such a criticism, it is true in turn that it is not only an entertainment genre a s comprehensive art but also a means of sharing common thoughts or consciousness among people living in the culturally homogenious atmosphere. Thus we need to acknowledge the fact that movie can be an efficient instrumental medium in Christian worship service as well and we need to seek strategies to use them for enhancing its efficacy and dynamics. Since the themes or thoughts of movie often reflects common concerns or issues of society or the world, it functions as common codes in worship through which people communicates both with themselves and with God. However what we have to know above all is that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strengthening the traditional precious heritages in worship such as their intensified practice of lectionary preaching, the eucharist, and the recovery of historical liturgical formulars that have had people experience the full and sufficient exposure to the words of God. While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powerful function of contemporary imagery device, movie for grabbing people in worship, we should also never forget the effective and practical activation of the regular recurring systems of the Christian memoirs, the Scrip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