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밀레니얼세대와 X세대, 86세대의 금융상품 보유 행동

        주소현(So-Hyun Joo),유명수(Myung Soo Yoo),고은희(Eun-Hee Koh) 한국FP학회 2020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3 No.2

        세대는 각 세대가 성장하면서 경험한 고유의 특성에 의해 서로 다른 특징을 지닌다. 세대별 차이를 파악하는 것은 각 세대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개인재무설계 의사결정에서 맞춤형 재무설계안의 도출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현재 세대가 라이프사이클 상의 다음단계로 진입할 때 이전세대와 어떤 차이를 나타낼 것인가를 가늠할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밀레니얼세대(1988~1998년생), X세대(1971~1974년생), 86세대(1964~1970년생)의 금융상품 보유행동을 비교하였다. 특히, 금융상품 보유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는 자기과신, 재무적 자기효능감, 재무위험수용성향을 비교하여 이러한 특성이 세대별 금융상품 보유행동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9년 4월 전문 조사업체를 통해 밀레니얼세대 316명, X세대 171명, 86세대 148명을 대상으로 개인의 금융상품 보유행태, 자기과신, 재무적 자기효능감, 재무위험수용성향을 온라인으로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각 세대별로 심리적인 특성과 금융상품 보유행동에서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다. 먼저 각 세대는 개인재무와 관련이 있는 심리적인 태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의 경우에는 X세대 및 86세대와는 다른 태도를 보였는데 투자에서의 자기과신 성향이 높고, 재무적 자기효능감을 높게 평가하며, 재무위험수용성향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밀레니얼과 X세대, 86세대의 금융상품 보유현황은 세대별로 차이가 있어 대부분 금융상품은 밀레니얼 세대보다 X세대와 86세대에서 보유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밀레니얼 세대는 다른 세대와 비교할 때 암호화폐 보유 비중이 높았다. 다른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밀레니얼 세대는 X세대 및 86세대와 비교할 때 중간 이상 위험을 가진 금융투자상품 보유와 비교하여 위험 수준이 낮은 안정형 상품을 보유할 경향이 높았으며 또한 암호화폐와 같은 위험수준이 매우 높은 상품을 보유할 경향이 높았다. 자기과신, 재무적 자기효능감, 재무위험수용성향이 높을수록 위험 수준이 높은 금융상품을 보유할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금융상품 보유 의사결정에서 세대 차이와 심리적 변수의 영향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Each generation features unique characteristics due to the experiences and exposures to different socio-economic environments in which they grew up. Understanding generational differences are important in financial planning, especially in developing customized financial plans. In addition, identifying the younger generation’s characteristics can provide useful insights into financial markets and financial consumer decision making. This study explored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financial product ownership among Millennials, generation Xers, and the 86 generation in Korea. To explore financial product ownership decisions, three psychological traits of overconfidence, financial self-efficacy, and financial risk tolerance were examined among the three generations. An online survey involving 316 Millennials, 171 Xers, and 148 members of the 86 generation was conducted in April 2019. Survey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traits and financial product ownership among the three generations. Millennials showed higher levels of overconfidence, financial self-efficacy, and financial risk tolerance than the other two generations. For most financial products, Millennials’ ownership was lower than Xers and 86 generations. However, crypto-currency ownership was higher. When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Millennials tend to own less risky financial products as well as very risky financial products compared to above risk level financial products, compared to other generations. When controlling for other factors,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s of overconfidence, financial self-efficacy, and financial risk tolerance were more likely to own riskier financial products. This research provides insights into the influence of generational differences and psychological traits in financial decision making.

      • KCI등재

        세대 간의 문화 갈등, 융합 그리고 학습 : 문화예술기관조직의 사례연구

        이병준,허은정,이지인 한국문화교육학회 202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문화예술기관조직의 세대 간 경험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화 갈등과 융합의 과정을 살펴보고, 향후 조직문화, 조직학습 및 조직 내 세대 간 소통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문화예술기관의 직원 6명을 대상으로 하여 직급별 세대 간 경험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수평적 조직문화와 자유로운 분위기를 지향하는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조직문화를 기반으로 타 세대의 특성에 대해 수용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둘째 각 기관별로 직무 내용, 조직 규모에 차이가 있는 만큼 세대 간 소통방식에서 상이한 조직문화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꼰대’ 및 조직 내 소통방식, 갑질문화, 성과 등에 대해서는 세대 간 서로 좁혀지지 않는 견해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 내 세대 갈등을 극복하고 세대 융합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기성세대와 후속세대를 연결하는 중간세대의 역할이 중요함을 발견하였다. 이에 조직문화의 혁신을 위하여 기성세대의 전통을 후속 세대가 창의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조직학습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관리자 임기가 충분히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중간관리자에게는 기성세대와 후속세대를 균형 있게 연결하는 역량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MZ세대의 기성세대에 대한 팔로우십을 어떻게 끌어올릴 것인지에 대한 논의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를 위한 연극교육 연구 - 지역사회·대학교 협력모델 제안 -

        이태승(Lee, Tae Seung),이지홍(Lee, Ji Hong),윤선희(Yoon, Sun Hee)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0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2-1

        본 연구는 노년과 청년 간 세대교류를 위한 연극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 이를 안정적·지속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를 위한 연극교육의 지역사회·대학교의 협력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세 가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첫째,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의 가치는 무엇이며, 세대교류를 통한 기대효과는 무엇인가? 둘째,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 연극교육의 전략은 무엇인가? 셋째, 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지역사회·대학교 협력 전략은 무엇인가?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사례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한 사례연구로, 예술교육 관련 문화예술단체 2인, 대학협력 관련 문화예술단체 3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했으며, 2020년 현재 지역사회와 대학교의 협력을 중심으로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 연극교육을 기획하고 있는 지역 문화예술단체와 지역 활동가, 주민, 인근 대학 예술학과 학생 등 지역 문화예술 네트워크 20명을 대상으로 초점 집단면접을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대교류의 가치’, ‘연극교육 전략’, ‘지역사회·대학교 협력 방향’이라는 3개의 주제와 이에 따른 8개의 하위주제와 28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사례연구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의 가치는 서로의 세대가 공존하고 있고 세대 간 차이의 존중을 통하여 교감하고 소통할 수 있다. 둘째, 연극교육의 경험을 통한 세대 간 만남은 서로 다른 문화에 대한 배움과 경험적 삶의 지혜를 통해 서로에게 필요한 사회적 관계망 형성이 가능하다. 셋째, 대학 문화예술 자원을 지역사회와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청년 예술가로서 자긍심을 고취하는 한편 현장 체험을 통한 직업 탐색을 통해 청년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 넷째, 지역사회에서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안정적 협력은 시민 예술의 자생력을 강화하는데 중요한 동력을 제공한다. 사례연구에서 도출된 28개의 개념을 Communities of Practice의 원칙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를 위한 연극교육의 지역사회·대학교 협력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의 기관과 대학, 예술가의 협업을 통하여 청년과 노년의 세대교류를 위한 역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협력모델은 지역사회·대학교 간의 협력을 통한 노년·청년 간의 세대교류에 보다 효율적인 진행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ways to promote drama-theatre education for generation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ng, Moreover, it established a cooperative model of the university-community of theater education for generation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th as a strategy to realize it stably and continuously. Three study questions were set up to realize these research objectives. Firstly, what is the value of 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old and young people, and what are the expected effects of generational exchange? Secondly, what is the strategy of 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old and young people and drama-theatre education? Thirdly, what is the community/university cooperation strategy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qualitative case studies(Stake, 2000),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candidates as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related to art education and three candidates as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related to university cooperatio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candidates as local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including local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local activists, residents, and students of art departments at nearby universities. As a result, three themes, Value of Generation Exchange , Active Education Strategy and Direction of Community and University Cooperation , and eight sub-topics and 28 concepts were derived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value of 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th is that each other s generations coexist and can communicate and correspond through respect for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Secondly, intergenerational encounters through the experience of drama-theater education can form the social networks necessary for each other through learning about different cultures and the wisdom of empirical life. Thirdly, it is possible to create jobs for young people through job search through field experience while promoting self-esteem as a young artist, expecting to be able to share university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with the local community. Fourthly, the revitaliza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community with stable cooperation can supply of power for strengthening the self-sustaining power of civil art. The 28 concepts derived from case studies were analyzed by practice in the principles of community. Based on the results, the community-university cooperative model of drama-theater education for 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young people was proposed. Accordingly, the cooperation of local institutions, universities, and artists resulted in the role of 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young and old age. This cooperative model will enable more efficient progress in the generation exchange between young and old age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ommunities and universities.

      • KCI등재

        Y-Z세대 모바일게임 사용자 특성이 게임의지와 게임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민균 ( Mingyun Kim ),손승희 ( Seyung-hee Sohn ) 한독경상학회 2019 經商論叢 Vol.37 No.4

        산업화의 주역이었던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 세대에 해당되는 Y-Z세대는 이전 세대와는 달리 비교적 물질적 풍요와, 디지털 환경에서 청소년기를 보낸 10대 후반에서 30대 중반의 세대이다. 이들은 이전의 기성세대와는 다른 가치관과 행동양식을 가지고 있으며, 아직은 왕성한 소비주체는 아니지만, 미래의 소비주축세력으로 성장할 것이기에 이들 세대의 특성과 행태를 분석하는 것은 기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특히 게임 산업의 경우, 과거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청소년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게임이 전세대로 확산되면서 주 사용자층에 해당되는 Y-Z세대의 특성과 게임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은 게임 개발은 물론, 마케팅전략 수립에도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Y-Z세대 모바일게임 사용자의 특성이 모바일게임 의지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배경이론과 선행연구를 통해서 Y-Z세대 모바일게임사용자의 특징요인(재미와 충동성, 관계성 그리고 현실도피 성향) 및 게임 내적 요인(보상과 디자인인)과 외적 요인(디바이스 성능과 서비스)을 추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Y-Z세대 모바일게임 사용자의 특성 중에서 재미와 충동성, 현실도피 성향이 게임의지와 게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 특성 중에서는 보상과 디자인, 디바이스 성능과 서비스 요인이 게임의지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게임몰입에는 보상과 디바이스 성능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Y-Z세대 모바일게임 사용자 특성 중에서 친구와 동료 사이의 관계성은 게임의지와 게임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바일게임 사용자 특성이라기보다는 모바일게임 자체의 인스턴트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디자인과 서비스 요인 또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짧은 시간 동안 수행되는 모바일게임의 특성과, 게임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한 게임몰입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날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는 게임 산업에서 세대의 특성이 게임을 개발하고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고려해야할 중요한 요인이라는 시사점을 남긴다. The Y-Z generation is a generation in their late teens to mid-30s who spent adolescence familiar with material abundance and digital environment. They have different values and behaviors than previous generations. They are not yet very active consumers, but they will grow into future core consumer forces, so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these generation is very important for businesses. Especially in the game industry, as the negative image of games changed positively, and the game that was considered exclusively for teenagers spread to all generations,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Y-Z generation is very useful to develop games and establish marketing strategy. Based on these background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game users of Y-Z generation on mobile game will and game immersion. Through background theory and previous studies, were derived 4 characteristics factors(fun, impulse, relationship, and escapism) as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game users in Y-Z generation. As for the game’s internal characteristics, reward and design were identified, ans as for the game’s external characteristics, device performance and service factors were identified. The analysis regarding the survey result indicated that fun, impulsiveness, and escapism of the Y-Z gener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game’s internal/external characteristics of reward, design, device performance, and service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gaming will. As for game immersion, it was confirmed that fun, impulsiveness, and escapism had a significant impact of the Y-Z generation characteristics, and as for the game’s internal/external characteristics, reward and device performance positive effects on game immersion. Ou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Y-Z generation, it indicated that relationship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ame will or game immersion. This seems to be due to the instant characteristics of mobile games and the Y-Z generation’s tendency of prioritizing individualism. Of the game’s internal/external characteristics, design and service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game immersion. Such results are also relevant because the importance of design factors is not high in terms of the mobile game characteristics, and if the service provided by the game developer does not cause problems in games, or the factors provided within the game can easily be accessed by user (it is user friendly), then it would not affect the game immersion, even if the accessibility to the service provided externally is rather poor. The effect of the Y-Z generations’ characteristics and the games’ internal/external characteristics on game will and game immersion was confirmed through empirical study, and the effect of the generations’ characteristics on game will and game immersion, which could not be seen in the previous studies, was verified. This implies that the generation’s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factors that need to be newly considered when developing a game in the game market that is becoming more competitive day by day.

      • KCI등재

        한국사회에서의 세대와 복지태도

        이상록(Lee, Sang Rok),김형관(Kim, Hyeong Kwa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9 No.3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세대 갈등의 정치적 영향력이 고조되는 상황으로 세대들의 복지태도는 현재 뿐 아니라 향후의 복지정치 및 복지체제 전개양상을 규정하는 주요 측면이라는 점에서 각별한 주목이 요청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요 세대들이 지닌 복지태도의 특성 및 세대간 차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세대 영향을 분석함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한국사회 복지태도의 세대간 균열 양상 및 복지태도 결정에의 세대 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5차년도 한국복지패널 조사자료,곧 가구 및 가구원, 복지인식부가조사 자료를 결합한 데이터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여 세대와 복지태도의 관련성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서는 주요 세대간 곧 산업화세대, 민주화세대, 신세대의 복지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한국사회 복지태도의 세대간 균열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회귀분석모델 분석에서 세대는 복지태도 변수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복지태도 결정에의 세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세대효과 발생 맥락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에서는 복지태도에의 세대 효과는 세대간 교육수준 및 이념 성향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사회 복지태도의 균열 양상과 결정 특성을 파악함에 있어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자기이해 뿐 아니라 세대 특성이 주목되어야 할 것임을 보여주며, 세대간 복지태도 차이는 향후 복지이슈를 둘러싼 세대간 갈등과 대립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각별한 정치적, 정책적 주목의 필요성을 또한 제기하여 준다. Recently the political influences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s are increasing in Korea.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generation on the public attitudes toward the social welfare at the individual level. Using the data from the Additional Survey of 2010 Korea Welfare Panel Survey(Welfare Attitudes),we analyses the differences of welfare attitudes across the generations, the effect of the generation on the welfare attitudes, and the causes of the "generation effect" on the welfare attitud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analyses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lfare attitudes across the generations. This result indicates the existence of the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in public attitudes toward the social welfare in Korea. Regression analyses results show that the generation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blic attitudes toward social welfare. From the analyses on effects of the mechanism variables, we found that "generation effects" result from the differences of education and political ideology among the generations. This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analysis approaches under the various perspective are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the Korean"s welfare attitudes. Additionally, this findings imply that the political attention to the inter generational differences of the welfare attitude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welfare politics in Korea.

      • KCI등재

        신실버세대의 스마트기기 접근성 모델 연구

        이재익(Lee, Jae Ik),남현우(Nam, Hyun Woo),정형기(Jung, Hyong Gi),장세은(Jang, Se Eun),김혜연(Kim, hye yoe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3 No.-

        스마트기기는 그 역할과 용도가 개인적인 활용에서 업무보조까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면서, 현대 사회인들의 라이프스타일까지 새롭게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기기의 등장으로 현대 사회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이 새롭게 변화되면서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계층 또한 다양해지고 복잡해졌다. 특히 신실버세대는 신체적·정신적 변화와 감각기관의 기능저하에 영향을 많이 받는 세대로 스마트기기에 친숙하지 않은 관계로 이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신실버세대의 지각경로, 학습능력, 응답 및 반응시간에 관한 개념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스마트기기 접근성 요소분석을 위하여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를 기준으로 인지성, 운영성, 이해성으로 구분하였고, 세부적으로는 화면크기, 화면구성, 조작방식, 등으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스마트기기의 사용성 향상화 방안과 접근성 향상화 모델(SAIM)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제안된 향상화 모델은 스마트기기 사용자 계층에서 소외되었던 신실버세대들도 쉽게 스마트기기에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연구에서는 신실버세대의 스마트기기 UX디자인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연구와 표준화 등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Smart appliances perform various functions in their role and purpose from the individual use to job assistant, and are changing new even the lifestyle of modern society. With the advent of these smart appliances lifestyle of modern society has been changed new and the user layers of the smart appliances also became diverse and complicated. Especially the new silver generation is frequently affected by physical and mental changes, and deterioration of the sense organs. Iset the hypothesis that the study is needed to improve their accessibility to smart appliances because they are not familiar with smart appliances. According to the findings, to analyze mental model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the conceptions about the perception routes, learning ability, and response and reaction time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were investigated. And for the analysis of accessibility element to smart appliances, Idivided these elements into perceivability, operability, understandability based on smart phone and smart pad. The study was performed by dividing into screen size, display configuration, applications, operation mode, etc. in details. Based on these analyzed data Isuggested the plan for the improvement of smart appliances usability and the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smart appliances accessibility (SAIM).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excluded from the smart appliance users also to access easily to them. In the next research I plan to carry out the study and the standardization of smart appliances UX design and applications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 KCI등재

        MZ세대와 기성세대 간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영향요인 분석

        이문정,김경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4 교육문화연구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교육청에서 실시한 『서울교원종단연구2020』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MZ세대와 기성세대 간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각 세대별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것이다. 이를 위해 두 독립표본t 검정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총 905명의 초등학교교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MZ세대와 기성세대 간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세대별로 전체 직무만족도와 내재적 직무만족도, 외재적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별 직무만족도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첫째, 모든 직무만족도에 세대와 상관없이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진과 사회적 동기이다. 둘째, 전체 직무만족도의 경우, MZ세대 교사와 기성세대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진, 내재적 동기, 소속감, 사회적 동기, 학부모와의 신뢰관계이고, MZ세대와 기성세대간 구별되는 직무만족도 영향요인은 MZ세대는 이타적 동기요인, 기성세대는 책임감있는학교장의 리더십 요인이다. 셋째, 내재적 직무만족도 영향요인의 경우 전체 직무만족도 영향요인과 유사하나, 기성세대교사에게 사기/열의 요인이 MZ세대 교사와 구별되는 요인이었고, 외재적 직무만족도의 경우 MZ세대 교사에게 학교관리자와의 존중관계, 업무갈등 두 요인이 기성세대 교사와 구별되는 영향요인이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적함의를 도출하였고,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방안과 연구의 한계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tween the MZ and older generations, and explores affecting factors for each generation. Data from the ”Seoul Teacher Longitudinal Study 2020” were used. A total of 905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differences in teachers’ job satisfaction between generations, and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overall, intrinsic, and extrinsic job satisfaction by generation. In the case of overall job satisfaction, burnout, intrinsic motivation, sense of belonging, social motivation, and trust relationship with parents are the factors that commonly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of the two generations, those affecting the MZ generation are more distinct. The leadership factor for responsible school principals was a motivating factor for the older generation. Lastly, in the case of intrinsic job satisfaction influencing factors, the morale/enthusiasm factor is a factor that differentiated the older generation from the MZ generation, and in the case of extrinsic job satisfaction, the two factors of respect relationship with school administrators and work conflict ar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MZ generation, which differentiated them from the older generation

      • KCI등재

        고령화 사회에서 근로세대와 은퇴세대간의 보건의료 혜택과 부담의 정의로운 분배

        박상혁(Park, Sang-Hyu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2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고령화 사회에서 근로세대와 은퇴세대간에 보건의료의 혜택과 부담을 분배하는 정의로운 원리가 무엇인지 모색한다. 이와 관련해서 크게 두 가지 입장이 대립하고 있는데 세대간 독립성과 경쟁을 강조하는 입장과 세대간 상호의존과 협력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필자는 우선 세대간 상호독립성을 강조하는 입장은 부적절하고 세대간 상호의존성과 협력을 강조하는 입장이 적절하다고 논한다. 그런데 세대간 상호의존과 협력을 강조하는 입장은 연명치료 이용을 제한해야 하는지를 두고 이설이 존재한다. 필자는 연명치료 이용을 제한하지 않는 입장은 지나치게 낙관적이라 평가한다. 그런데 제한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입장에는 다시 캘러헌처럼 공동체주의적 기반위에서 그렇게 해야 한다는 입장과 대니얼즈처럼 자유주의도 그런 제한을 가할 수 있다는 입장이 경쟁한다. 필자는 캘러헌의 공동체주의가 아니라 대니얼즈의 자유주의적 세대간 정의론이 연명치료를 제한하는 정당한 정책을 제시할 수 있다고 평가하고 대니얼즈의 이론을 강화하기 위해 그의 이론에 제기된 비판들에 응답한다. In this paper, I try to identify a proper principle of justice which governs the distribution of benefits and burdens of health care between the working generation and the retired generation. With regard to the generational equity problem, there are two competing views.. One view asserts that generations are independent and competing, while the other frame asserts that generations are interdependent and cooperative. I argue that the generational independence view is incorrect while the generational interdependence vew is correct. But within the generation interdependence view, there are further disagreements on whether life-extending treatment should be rationed by age and, if it should, then on what basis. I argue that the view that denies the need to ration life-extending treatment by age is unrealistic without good reason. Daniel Callahan proposes that the policy of rationing by age is only justified by communitarianism. However, I argue that Callahan’s proposal fails, because we can’t expect a communitarian agreement. Finally I argue that Daniels’ liberal theory of generational justice, prudentiallife-spanaccount can propose and support the legitimate policy of rationing by age.

      • KCI등재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 ‘다음세대’를 위한 선교방안 연구

        이병옥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8

        다음세대의 선교가 시급한 현실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면서, 연구자는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 교회의 안과 밖에서의 다음세대를 위한 선교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 연 구는 세대담론이 주는 긍정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다음세대에 대한 다각 적인 이해를 통해서 교회 안팎의 다음세대를 위한 그리고 다음세대와 함께 하는 선교 방안을 모색했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 세대’와 ‘다음세대’란 표현을 구분한다. 전자는 단순한 순서를 표현하는 것이라면, 후자는 특정한 구체적 세대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 서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지금 여기에 살고 있는 구체적인 세대를 강조하고자 ‘다음 세대’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또한 연구자는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 교회 안과 밖을 의 도적으로 구분했다. 일반적으로 선교를 교회 밖에서 행하는 교회의 활동이나 프로그 램으로 규정하지만,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는 선교를 교회의 본질과 정체성으로서 이 해하면서 선교가 교회 안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을 강조한다. 따라서 모든 교회는 하나 님의 선교에 참여하도록 사명을 받았지만, 교회마다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하나님 의 선교에 대한 이해가 다를 수 있고, 참여하는 방식도 다를 수 있다. 이 선교적 교회 의 관점에서 보자면, 교회의 다음세대의 선교는 교회 안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동시에 교회마다 처한 교회 내외의 상황이 다르기에 다음세대의 선교방 안이 다 다를 수밖에 없다. 이 연구는 다음세대가 교회학교 학생에 국한되지 않고, MZ세대, 미래세대, 청년세 대, 디지털 세대 등을 포함하는 만큼 그 연령대의 폭이 넓고 사회문화적으로 다양한 사람들이 이 세대 가운데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연구 자는 교회 안의 다음세대의 선교방안으로 ‘교육과 예배의 공간으로서 가정을 회복하 기,’ ‘다음세대가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정서적/물리적 공간을 만들기,’ ‘교회만의 고유성과 다양성을 만들기,’ ‘디지털 세대의 언어와 문화로 소통하기’를, 교회 밖의 다 음세대의 선교방안으로 ‘다음세대로 다음세대를 선교하게 하기,’ ‘디지털 세상에서 선 교하기,’ ‘협력 네트워크를 활용하기,’ ‘다음세대의 아픔에 공감하고 공명하기’ 등을 제 안했다. 결론적으로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 볼 때, 다음세대의 선교는 각각의 교회가 다음세대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가지고서 다음세대를 위한 선교와 함께 다음세대와 함께 하는 선교로 나아가야 한다. Taking seriously the reality that mission for the next generation is urgent, the researcher sought to find missional approaches to the next generation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from a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 This study actively utilized the positive aspects of generational discourse through a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the next generation to develop missional plans for and with the next generation. In this study, the expressions ‘a next generation’ and ‘the next generation’ are used separately. The former expresses a simple sequence, while the latter refers to a special, specific gener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uses the expression ‘the next generation’ to emphasize the specific generation living here and now. Additionally, the researcher intentionally distinguished between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from a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 Although missions are generally regarded as church activities or programs carried out outside the church, in light of the missional church, mission is understood as the essence and identity of the church since the triune God is the subject of mission and, as such, mission begins within the church. Therefore, every local church is to participate in God’s mission, but each of them may have a different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God’s mission in its own context. It is natural that the mission of the next generation of the church begins from within the church. However,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situations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are different for each church, missional plans for the next generation are bound to be different. This study found that the next generation is not limited to Sunday school students, but also include the MZ generation, future generation, youth generation, digital generation, etc., showing that the age range is wide and that there are socially and culturally diverse people among this generation.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missional plans for the next generation within the church were to ‘recover the home as a space for education and worship,’ ‘create an emotional/physical space where the next generation can actively participate,’ ‘create originality and diversity unique to the church,’ and ‘communicate through the language and culture of the digital generation,’ and missional plans for the next generation outside the church were to ‘enable the next generation to do missions for the next generation outside the church,’ ‘do missional activities in the digital world,’ ‘utilize cooperation networks,’ and ‘empathize with and resonate with the pain of the next generation.’ In conclusion, from a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 the mission of the next generation requires each church to have its own understanding of the next generation and develop not only mission for the next generation but also mission with the next generation.

      • KCI등재

        세대별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베이비붐세대, X세대, 그리고 MZ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김수정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社會科學硏究 Vol.35 No.1

        Being formed in the process of rapid social changes, each generation of Korean society show distinct differences in lifestyle, way of thinking, values ​​of life, social perception, and attitu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in happiness and influence factors between generations in Korean socie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2020 Korea Future Value Survey> conducted by National Assembly Futures Institute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Baby Boom Generation, Generation X, and Generation MZ.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happiness (subjective well-being) was found to be greater with younger generations (P<.001). Secon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gender, subjective economic status, health, social trust, and personal/leisure values had a common effect on all generations, and the explanatory power(Adjusted R2) of the model was the highest in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the lowest in the MZ generation. Third, the explanatory power of Model 1, which included only objective factors such as demographic variables, was highest in Generation X and lowest in Generation MZ, confirming that external conditions of life were relatively more important to the level of happiness of Generation X. Fourth, the happiness of each generation showed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value of life pursued (baby boom generation), education level (generation X), awarenes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perception of social fairness (generation MZ). 본 연구는 급격한 사회변동 과정에서 형성되어 생활양식과 사고방식, 삶의 가치관이나 사회 인식, 태도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한국사회의 세대들 간 행복감 차이를 확인하고, 각 세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회미래연구원이 수행한 <2020 한국 미래 가치관 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베이비붐세대, X세대, MZ세대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행복감은 어린 연령대의 세대일수록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1). 둘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성별, 주관적 경제상태, 건강, 사회적 신뢰, 개인/여가 가치가 모든 세대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베이비붐세대가 가장 높고, MZ세대가 가장 낮았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변수 등 객관적 요인만 투입한 모형1의 설명력은 X세대에서 가장 높고, MZ세대에서 가장 낮아 X세대의 행복감 수준에 삶의 외적 조건들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각 세대의 행복감은 추구하는 삶의 가치(베이비붐세대), 교육수준(X세대), 정치참여 의식과 사회공정성인식(MZ세대) 면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