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서교육 방법론 연구를 통한 통전적인 성서교육에 대한 제언

        양성진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9

        본 글은 성서교육 방법론 연구를 통한 통전적인 성서교육에 대한 제언이다. 연구 자는 성서교육의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서, 이전에 선행 연구된 성서교육을 지적인 접 근으로서의 성서교육, 정서적 접근으로서의 성서교육, 행위적 접근으로서의 성서교육 방법으로 분류한다. 세 영역의 성서교육 방법을 연구하면서 통합적·간학문적·분리를 극복하는 성서교육의 접근방법, 다양한 삶의 현장의 인식, 해석의 주체 등의 통전적인 성서교육을 제안한다. 연구자는 지적, 정서적, 행위적 성서교육으로 분류하고 연구한다. 첫째, 지적 성서 교육 방법은 해석학적 성서교육이다. 해석학적 성서교육은 현재의 삶의 자리에서 텍 스트에 담긴 하나님의 뜻을 성찰하고, 비평하며, 해석한다. 현장과 성서의 변증법적 해석은 하나님의 온전한 뜻을 실천하는 삶으로 인도한다. 둘째, 정서적 성서교육 방법 은 성서의 시각적 읽기이다. 성서 본문과 본문을 시각화한 성서-이미지가 교차적으로 작용하여 하나님의 뜻을 감각적이고, 직관적으로 인식하는 정서적 차원의 성서교육이 다. 마지막으로 행위적 성서교육 방법은 몸을 활용한 비블리오드라마(Bibliodrama)이 다. 비블리오드라마는 성서 이야기로 들어가서 성서 본문을 온몸으로 경험하고, 느끼고, 응답하는 성서교육이다. 성서 교육 방법론 연구를 통한 통전적인 성서교육을 세 가지 측면으로 제언한다. 첫 번째는 통전적인 성서교육을 위한 통합적인 성서연구 접근, 간학문적인 접근, 분리 를 극복하는 접근 등을 제언한다. 두 번째는 성서의 현장, 성서 교육의 현장, 참가자 의 삶의 현장의 다양성을 인식하는 통전적인 성서교육에 대하여 제언한다. 마지막으 로 성서교육에 참여하는 참가자는 ‘해석의 주체’가 되고, 삶의 현장에서 하나님의 계 시를 해석하고, 실천하는 실천 신학자로 하나님의 현존을 경험하는 해석의 주체로 제언한다. his article suggests holistic approaches to biblical education through a study of the methods that have been used for biblical education. Based on a study of the previous literature on biblical education, I determine that biblical education has had three main approache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fter reflecting on the various methods that go with these approaches, I propose holistic approaches to biblical education in the three perspectives. In the second part of this article, I explain the three approaches to biblical education and their methods. First, the cognitive approach to biblical education uses a hermeneutical method. This method entails reflecting on, criticizing, and interpreting God's desire and will as these are indicated in the biblical text and then applying one’s conclusions within the present context of one’s life. The dialectical interpretation between the present context and the Bible leads one to practice God's will in the whole of one’s life. The second approach to biblical education is an affective one that engages in a visualized reading of the Bible. This approach enables people to perceive God's desire and will through a sensitive and intuitive method of interaction between the biblical text and visualized images of it. Third, the behavioral approach utilizes people’s whole bodies in Bibliodrama. In this way, it guides individuals to enter into biblical stories. In addition, it allows people to experience and to feel the biblical text and to respond to their lives with their whole bodies. In the third part of this article, I propose three perspectives for holistic approaches to biblical education based on my reflections on the three types of biblical education. The first holistic approach includes an integrated Bible study,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a perspective to overcome separation. The second approach guides people to recognize various forms of diversity through the various contexts within the biblical text, biblical teaching, and the participants themselves. The final approach suggests that participants in biblical education become the subjects of interpretation as practical theologians who interpret and practice God's revelation in the context of their own lives.

      • KCI등재

        성서의 시각적 읽기 - 대학의 교양교육으로서 성서교육 방법론 -

        김학철 ( Hak Chol Kim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6 대학과 선교 Vol.31 No.-

        이 연구는 대학의 교양교육으로서 성서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성서의 시각적 읽기”를 제안한다. 성서의 시각적 읽기는 독자이자 감상자인교육 참여자가 성서 본문을 해석하고, 그것과 관련된 성서-이미지와 비교하여 성서 본문의 의미를 재해석하고, 재해석의 결과를 다양한 인문·예술적 방식으로 표현하는 것을 뜻한다. 성서의 시각적 읽기는 세 가지 영역에서 대학의 교양교육으로서 성서 교육에 공헌한다. 첫째, 시각적 읽기는 교육 참여자에게 인류의 고전으로서 성서 본문을 독해하는 능력과 이미지가 담고 있는 정보를 해석하는 `이미지독해 능력`을 향상시킨다. 곧 영상 문화 시대에 필수적인 융·복합적 독해능력을 증진한다. 둘째, 시각적 읽기는 교육 참여자가 종교적·예술적 전망에서 인간 본성에 대해 성찰하도록 돕는다. 인간을 이해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태도를 갖추게 한다는 점에서 우리 사회가 요청하는 인성 교육에 기여한다. 셋째, 시각적 읽기는 교육 참여자가 자신이 이해한 바를 인문·예술적 방식으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이 과정에서 교육 참여자의 기독교 교육에 대한 무관심과 거부감을 자연스럽게 해소하여 선교적 목적 달성에 기여한다. 따라서 성서의 시각적 읽기는 기독교 대학의 선교적 목적을 구현하고, 교양교육의 교육적 필요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이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Visual Reading of the Bible” (VRB) for achieving the goals of Bible education as part of a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the VRB, the participater as both reader and appreciator interprets the biblical text, compares it with its related biblical images, reinterprets it, and emboidies one`s understanding of the biblical messages in various artistic ways. VRB contributes to Bible education as a liberal arts education in three areas. Firstly, it improves the participator`s ability to interpret the biblical text as an ancient text and informations presented in the form of an image. Secondly, it helps the participator introspect on human nature from a religious and artistic perspective. Thirdly, it encourages the participator to express what one understands in artistic ways. In conclusion, VRB i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ology to realize missional goals of Christian universities and colleges and to meet the educational needs of a liberal education.

      • KCI등재

        경험과 관련된 신앙교육 수업 준비과정과 적용을 위한 과제 연구

        한경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2 기독교교육논총 Vol.- No.70

        신앙교육은 그리스도의 삶을 추구하는 ‘삶의 방향전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것은 성서 지식을 축적하는 것이 아니라 성서의 메시지가 삶으로 구현되어야 가능하다. 그러나 오늘날 신앙교육은 성서 메시지가 삶으로 구현되게 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신앙교육이 성서의 경험과 인간 삶의 경험과 만나도록 안내하는 대신 성서 내용 자체를 알게 하는 데 주력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교회교육은 삶의 변화와 실천보다 개인의 내면 신앙을 강조하며 사후 천국을 준비하고, 개교회 교인을 위한 훈련과 양적 성장을 위해 대부분 할애되었다. 그 결과 코로나19 시대에 개신교인들은 개교회의 안위만을 신경 쓰는 성숙하지 못한 모습을 보이고 말았고, 개신교에 대한 사회적 신뢰는 상실되고 말았다. 따라서 신앙교육은 성서의 메시지가 삶으로 구현되기 위해, 성서의 경험과 학습자의 경험이 만나 하나님 앞에 삶으로 응답하도록 도와야 한다. 이러한 신앙교육을 교회교육 현장에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모색하고자 필자는 독일 개신교 루터파 바이에른 노회가 편찬한 “경험과 관련된 종교 수업 준비(Religionsunterricht Vorbereiten)” 과정을 살펴보고, 한국교회에 적용하기 위한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경험과 관련된 종교 수업 준비는 다섯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개인적인 만남, 신학적 방향 설정, 교수학적 방향 설정, 교수학적 결정들, 진행계획 정리이다. 이 과정의 주요 목적은 성서의 신앙인들이 자기 삶의 경험을 신앙의 관점에서 어떻게 해석하고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였는지 ‘바라보는 관점’을 학습하는 것이다. 경험과 관련된 신앙교육은 성서 교수법 중 하나가 아니라 신앙교육의 본질을 다루고 있다. 교육의 장이 현실 세계에서 가상세계까지 확장해가는 사회 변화 속에 있지만, 신앙교육의 본질적인 성격은 바뀔 수 없다. 그러므로 한국교회에 경험과 관련된 신앙교육에 관한 연구와 적용은 성서의 메시지가 그리스도인의 삶에 구현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호모 콩코르스를 지향하는 융복합적 성서교육모형 연구

        최은택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0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odel of convergence biblical education as a new biblical education model required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current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expected to provide human life with crises as well as opportunities. In this situation, in order to prepare for a more positive and hopeful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model of biblical education. This paper proposes a new biblical education model through the following method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a brief history of biblical education and challenge tasks of biblical education. Also, this paper delves into reviewed the new human imag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ra on the basis of theological perspective, especially of the theology of trinity and post-humanism and argues convergence education as an appropriate educational theory. This thesis, finally, proposes convergence biblical education model. The model of convergence biblical education consists of educational purpose, goals, method, contents, environment, and evaluation. First of all the purpose of the convergence biblical education aims at a convergence human, “Homo Concors”, a human required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lso, the goal is to cultivate a convergence human, Homo Concors through Relationality, Sharing equally(Equality), Openness, Networking, Creativity and Operation with(Cooperation). Besides, this study takes project-based learning as the contents of convergence biblical education. At this time, the target age is confined adolescence. Also, it present how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valuation can be organized 본 연구는 인공지능시대 새로운 성서교육 모델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성서는 기독교 신앙교육의 가장 중요한 토대이자 기독교 공동체의 유지와 존속에 중요한 기반이기에, 성서교육의 방식에 있어서는 시대적 변화가 있을 때마다 적절한 변화가 요구된다. 융합혁명의 시대로 이해될 수 있는 인공지능시대는 융합능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융합적 인간을 양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융합적 인간에 대한 새로운 개념화와 신학적 이해가 필요한데, 사회적 삼위일체론적 관점과 비판적 포스트 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시대를 이해하고, 사회적 삼위일체론적 원리에 기반을 둔 새로운 인간상, 곧 호모 콩코르스를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융복합적 성서교육의 구체적인 모형을 수립해 보았는데, 그것은 각각 교육목적과 목표, 교육방법과 내용, 환경과 평가를 제시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특별히 교육목적은 인공지능시대에 요구되는 인간상인 호모 콩코르스를 지향하는 것으로 세웠고, 목표는 콩코르스(CONCORS) 용어를 가지고 7가지, 곧 융합성(Convergence), 협력성(Operation with/Cooperation), 연결성(Networking), 창의성(Creativity), 개방성(Openness), 관계성(Relationality), 평등성(Sharing equally/Equality)의 역량들을 강화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교육방법에 있어서는 Larmer, Mergendoller, Boss가 제시한 프로젝트기반학습(Project Based Learning)을 활용하였고, 내용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시대에 요구되는 새로운 성서교육의 모형으로서, 융복합적 성서교육의 구체적인 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 KCI등재

        세속화된 대학에서 성서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교양교육으로서의 성서교육

        민경식 한국기독교학회 2020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8 No.-

        This article is a rudimentary research on how to teach the Bible at the level of general (or liberal) educatio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biblical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would cultivate religious literacy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goal and concrete objectives of the general education(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desirable perspectives on human beings and the world, reasonable communication ability, aesthetic empathy, citizenship and so on). 본 논문은 오늘날 한국의 고등교육기관에서 기독교의 경전인 성서를 교양교육 차원에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관한 기초적 연구이다. 교양교육으로서의 성서교육은 종교문해력을 함양하기 위한 종교교육으로서, 교양교육의목적과 그 구체적인 목표들에 기여할 수 있다. 우선 ‘인류의 고전’으로서의 성서에 대한 가치관이 확립되어야 한다. 이를 토대로 성서 본문에 대한 문학적접근이 가능해지며, 이로써 성서교육은 교양교육의 목표 가운데 ‘심미적 공감능력 함양’에 기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성서의 본문을 비판적으로 읽고, 전복적 해석을 시도함으로써 상상력과 창의성을 자극할 수 있으며, 교양교육의 목표 가운데 ‘비판적 사고능력 함양’과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에 기여할 수있다. 또한 공동체의 이야기인 성서 메시지의 현대적 의미를 비판적으로 숙고함으로써 성서교육은 ‘인간과 세계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관 정립’과 ‘공동체의식 및 시민정신 함양’과 같은 교양교육의 목표에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성서의 복음서에 나타난 교육의 원리와 언어에 의한 교육방법

        서홍교(Suh Hong-Ky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9

        동양의 고전이나 경전이 우리에게 다양한 교육학적 메시지를 제공하듯이, 서양의 대표적인 고전이며 경전이라고 할 수 있는 성서는 우리에게 많은 교육학적 메시지를 제공해준다. 그러나 동양의 고전과 경전에 대한 교육적 관점에서의 연구에 비하여, 성서에 대한 교육적 관점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은 성서의 복음서에 나타난 교육의 원리와 언어에 의한 교육방법을 찾아보고, 이것이 우리의 도덕교육에 주는 교훈을 얻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복음서에 나타난 교육의 원리는 사랑에 의한 교육, 마음의 변화 추구, 권위에 의한 교육, 가족 공동체의 상정, 실천지향, 인격존중, 개인차에 대한 고려, 통각의 원리, 동기화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복음서에 나타난 언어에 의한 교육방법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질문법, 강화법, 비유법, 대화법, 응답법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구체적인 내용들을 분석해보고, 이것이 오늘날 우리의 도덕교육에 주는 교훈을 찾아보고자 한다. 복음서에 나타나는 교육방법 중에서 삶과 상징을 통한 교육방법과 교사의 자질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논의하게 될 것이다. The bibl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lassics and scripture in Western World gives many educational messages to us, as the classics and scriptures in Oriental World do. But the researches on the Bible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are insufficient as compared with the researches on the classics and scriptures in the Orient. This treatise aims at finding the educational principles and educational methods by language in the Gospels of the Bible and learning a lesson from them. The educational principles discovered in the Gospels are as follows : teaching in Love, seeking the change of mind, teaching with authority, supposing the divine family, heading for practice, respecting the personality, considering the individual variation, the principle of apperception, and motivation. The representative educational methods by language in the Gospels are as follows : question, discourse, parable, dialogue, and response. I will analyse the concrete contents of these methods and find the teachings which these methods give our moral education. I will argue the educational methods through life and symbols, the qualities of teacher in the Gospels in the next place.

      • KCI등재

        한 권으로 읽는 12소예언서를 위한 실천적 교육방안

        안근조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2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5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odel of Bible study about twelve prophets in the Old Testament by applying the methodology of “Flipped Learning.” Biblical scholars have struggled with the problem of the twelve prophets because traditional canonical perspective regarded the twelve books as a literary corpus even though they contain various themes and complicated historical circumstances. Furthermore, the canonical arrangement of the twelve, from Hosea to Malachi is not consistent in each tradition of the Hebrew Texts. The theological principle of the order of the twelve books has been a tricky question in the scholarship of the Prophetic Literature. These problems have prevented church pastors and leaders from studying the twelve prophets in a consistent theological manner. However, the emerging flipped learning methodology provides a breakthrough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Since this reversed way of learning gives students a chance to grasp the basic concepts and problems of the class beforehand, the teachers do not need to make perfect answers or brilliant solutions in the classroom regrading the Bible study materials. To the contrary, the students would get ready to respond those problems and issues with their individual original perspectives. When this flipped learning way is utilized in the Bible study, one-sided teachings or doctrinal claims would be repulsed. This paper devises that hermeneutic problems of the twelve prophets as well as canonical order of the books are under consideration of the students before they come to the classroom. As the learners are exposed to those issues in advance, they secure more time and space with regard to the bibical points, being able to begin to relate biblical issues with their life and experience. That is why this methodology encourages voluntary participations and discussions among the students in the classroom. The only thing the teacher should perform is to guide the study session in a reasonal scope of the main issue of the thematic readings of the twelve. In this paper, I have suggested the concept of God’s Kingdom as a big frame in which various themes of the prophets and principle of canonical arrangement can be integrated. As a result, this paper has discovered that the flipped learning pioneers a new dimension in both field of Biblical Hermeneutics and Christian Education. Each field has not contributed effectively to church education thus far. One of the reasons is a radical gap between the two disciplines. Yet, the flipper learning experience opens the possibility of church education working as a new merging point of the Biblical Interpret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구약성경 12소예언서를 한 권으로 읽는 것은 히브리어 성경(TANAK)의 전통적 읽기 방식이다. 그러나 호세아부터 말라기에 이르는 정경(Canon)의 배열이 시대적 순서나 일정한 신학적 개념에 의한 배열이 아니기에 성서학 분야에서 오랜 기간 해석학적 난제로 남아 있는 현실이다. 12소예언서 내용의 다양성과 복잡한 역사적 정황 등이 그 문제를 더욱 어렵게 한다. 이런 상황에서 12소예언서 이해를 위한 성경교육이 가능할까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것이 본 논문의 과제이다. 21세기 이후 대두되는 교육학 분야의 플립드 러닝 방법론은 교사 위주의 문제제기와 답안 제시의 주입식 교육이 아닌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성경공부를 추구한다. 플립드 러닝 방식으로 12소예언서를 교육한다면 전통적 해석학적 문제 자체를 학습자들에게 그대로 노출 시키는 실천적 성서교육 방안을 개척할 수 있음을 본 논문은 주장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12소예언서의 다양한 내용을 역사적 상황들과 관련하여 살피고 기존 성서학자들의 정경순서의 배열 원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성서학 연구의 결과들인 역사적 문제들과 신학적 주제들이 플립드 러닝 방식으로 성경교육 과정에서 어떻게 현장에 적용될 수 있을지를 실험적으로 제안하였다. 기대되는 결과는 전통적 성서학에서 풀 수 없었던 12소예언서의 정경적 읽기를 플립드 러닝이라는 교육방법론의 변화를 통해 그 해결의 가능성을 확보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학습자들에게 성경의 해석학적 문제를 교실에서의 학습 이전부터 그대로 노출시킬 수 있고 어떠한 선이해 없이 성경의 문제들을 자신의 입장과 상황에서 직접 대면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후 교실에서의 대면학습에서 학습자 주도의 해석과 학습자간 토론을 통한 문제해결을 이끌 수 있다. 본 논문의 공헌은 미완의 과제였던 12소예언서 “한 눈에 보기”라는 성서학적 과제를 기독교교육현장에서 실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별개의 분야로 여겨졌던 성서해석학과 기독교교육학이 만나는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으면 한다.

      • KCI등재

        성서기호학과 거룩한 독서를 접목한 통전적 성서교육

        이금만(Lee,Geum Man)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7 기독교교육논총 Vol.15 No.-

        이 글은 기독교교육 관점에서‘성서기호학’과‘거룩한 독서’를 접목하는 성서교육연구이다. 그 결과 성서전달과 적용, 성서주제와 상황을 변증법적으로 통전하는 성서독서법으로 영성형성과 공동체 변형에 기여하고자 한다. 소쉬르의‘구조주의 기호학’을 바탕으로 본문 기호학에 이르는 과정을 전개하는, 성서기호학은 첫째, 텍스트를 총체적으로 읽는다. 둘째, 담론 차원의 분석을 한다. 셋째, 설화 차원의 분석을 한다. 넷째, 기호사각형을 형성함으로써 논리–의미론적 분석을 한다. ‘거룩한 독서’는 하나님 말씀에 대해 믿음을 전제로 하고, 기도를 수반하는 독서법이다. 이 독서는 독서·묵상·기도·관상의 단계를 밟는다. 이 단계를 따라 말씀을 체화하며, 동시에 공동체적으로 경청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편향적으로 읽지 않고, 중요한 요지를 간파한다. 기도와 묵상을 바탕으로 하는 거룩한 독서와 체계적이고 면밀한 독서를 특성으로하는 성서기호학을 통전하는 성서교육은 첫째, 시작기도, 둘째, 성서본문에 대한 세밀한 독서, 셋째, 본문 묵상, 넷째, 묵상결과 공유, 다섯째, 마침 기도 등의 순서를 밟는다. 이 단계마다 성령의 영감을 받아 독서함으로써 전인적으로 말씀을 듣고, 삶 전체를 말씀으로 비추어 읽음으로 개인과 공동체가 쇄신되고, 하나님 나라의 개화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This thesis explains biblical semiotic with Lectio Divina. The eternal Word became incarnate at a precise period of history, within a clearly defined cultural and social environment. Anyone who desires to understand the word of God should humbly seek it out there where it has made itself visible and accept to this end the necessary help of human knowledge. Semiotics criticizes our use of the notion of ‘literal meaning’, at the level of both words and sentences, preferring to see meaning constructed by the narrative images that the language evokes. Biblical semiotic phenomena, utilizing other senses and involving such notions as space and time, also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Saussure begins as a deliberate decentering of a dominant tradition in order to discover what may be missing as a result of the traditional double reduction of vision as the main variable and metaphor. Greimas’s Structural Semiotics and Biblical Exegesis Greimas headed semiotic–linguistic research. Greimas is at the origin of the semiotic square. Barthes searched the fields of and , chairing various faculty positions around France, and continuing to produce more full– length studies. He continued to develop his literary criticism, pursuing new ideals of textuality and novelistic neutrality through his works. Ricoeur attempts to develop a hermeneutical phenomenology of biblical interpretation that takes seriously the metaphorically symbolic language of the Bible while asking if it is true, how we can tell, and how we can receive it. He enters a dialectic with Bultmann’s hermeneutic. Ricoeur evolves a hermeneutics of Revelation by entering into a dialectic between the concept of biblical revelation as seen in various types of biblical discourse, and the concept of philosophical reason that engages classical and contemporary philosophy in their own categories. The concept of religious freedom has philosophical respectability only through a hermeneutics of hope based on the eschatology of the kerygma and the resurrection. Lectio Divina is a method of mediative reading and conversation with God which can be traced back to the early patristic, and continues to be a source of deep spiritual growth for many people throughout the world. It is meant to be a relational encounter with God rather than theological study or exegesis. Traditionally, Lectio Divina as a conversation with God is a private and individual dialogue, which can take place in solitude or silently within a group setting. Lectio Divina is a way of listening to the texts of scriptures as if we were in conversation with Christ and he were suggesting the topics of conversation. The daily encounter with Christ and reflection on his word leads beyond mere acquaintanceship to an attitude of friendship, trust and love. Conversation simplifies and gives way to communing, summarizing the Christian contemplative tradition, put it, “resting in God.”This was the classical meaning of contemplative prayer for the first sixteen centuries. There are four stages of Lectio Divina:reading, meditation, prayer, contemplation. We do not read the Scriptures for information but for transformation. Information can puff us up giving us a feeling of mastery over things. Transformation brings our lives and the Scriptures into relationship. There are five stages of integral Biblical education:Opening Prayer, Semiotic Meditation, Sharing Meditation, Closing Prayer. Integral Bible readers had better ask as follows:Who, where, when, why, how? Is there anything about this passage that puzzles or disturbs you? What in your life needs to concretely change or be bolstered in light of this passage? What can our community do to respond positively and concretely to the Gospel? What about this passage is good news for you?

      • KCI등재

        성서의 여성들에 대한 기억의 페다고지

        백은미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2

        기독교 공동체는 기억을 통해 신앙의 유산을 전수하는 공동체이며, 교육은 역사를 기억하게 함으로써 현실에서 그 종교적 의미를 재해석하고 미래를 향해 나가도록 돕 는다. 기독교인들은 성서를 통해 역사 속에서 하나님의 행하심에 대해 기억하고 전수 받게 되는데, 가부장제 문화에서 구전으로 전승되고 문서화되고 정경화되는 과정에서 여성들에 대한 기억은 소홀하게 취급되고 망각되었다. 그러므로 성서의 여성들에 대 한 기억의 파편들을 모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현재 여성들의 중요한 과제이다. 성 서의 여성들을 기억하는 것은 여성들을 하나님의 구원 역사의 주체로 주장하는 것이 며 기독교 역사를 올바르게 재건하고 풍부하게 하는 것이다. 기독교교육은 기억의 페 다고지를 통해 성서 여성들에 대한 기억을 복원하여 성서 전통에서 여성들을 역사의 주체로 재주장함으로써 현재 여성들이 선배 여성들로부터 지혜와 생존의 힘을 얻고 자신들의 삶을 성찰하고 변화시킬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억의 페다고지를 위한 방법으로 내러티브를 활용한 교육과정, 미 디어 기억을 통한 창조적 재현, 예전을 통한 집단기억과 기억의 정교화를 제안한다. 먼저, 내러티브를 활용한 교육과정은 파편화되어 존재하던 여성들에 대한 단편적인 내러티브를 모으고 그 내러티브에 대해 질문하고 함께 연구함으로써 새로운 내러티브 로 창조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성서 여성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창조적 상상력에 의해 재건되는 기억들을 수용하여 다양한 미디어로 제작함으로써 과 거의 기억들을 변형시키고 새로운 서사들로 재탄생시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성서 여성들에 대한 예전적 기억하기를 통해 여성들의 집단 경험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여성들이 자기 정체성을 형성하고 기억을 정교화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Christian community is one that transmits the legacy of faith through memory. Christian education helps people to reinterpret religious meanings of historical events through a modern lens and move towards the future. Through the Bible, Christians are able to recall and learn about God's work throughout history. However, in the process of oral traditions, documentation, and canonization of biblical stories in patriarchal culture, memories of women were neglected and forgotten. Therefore, it is now an important task for women to collect and reconstruct fragmented memories of women in the Bible. To remember biblical women is to claim women as the subjects of God's salvation history and to rebuild and enrich Christian history. By using the pedagogy of remembering, Christian education can help women today gain wisdom and knowledge for survival from biblical women to reflect on and transform their own lives. As an effective pedagogy of remembering, narrative curriculum, media-memory, and liturgy can be practiced. First, the narrative curriculum is to collect fragmented narratives of women in the Bible, ask questions about the narratives, and study them together to creatively reconstruct them into new narratives. The second, media-memory is to transform past memories and recreate them into new narratives by producing the stories of biblical women in various media. Finally, by creating women’s rituals to remember biblical women, women can have the opportunity to share collective experiences, shape their own identity, and refine their collective memories.

      • KCI등재

        전쟁과 평화와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고찰

        김성은(Sung­Eun Kim)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5 기독교교육논총 Vol.11 No.-

        기독교교육적으로 폭력을 이해하고 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종교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상황적으로 구체적인 종교적 폭력이 어떻게 발생하는가를 분석하는 일이다. 특히 기독교적 평화 교육론을 전개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독교와 비폭력의 사상적 흐름을 성서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성서에 나오는 많은 폭력의 문제를 보면서, 그 폭력을 신학적으로 어떻게 해석할 수 있으며, 그리고 과연 기독교는 현실의 폭력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해 생각해야 할 것이다. 이 질문은 답을 찾는 길이 바로 평화교육이다. 첫째, 폭력극복을 위한 교육적 접근을 시도하기 위해서 우리는 먼저 폭력을 일으킬 만한 상황을 분석하는 일을 해야 한다. 둘째, 폭력극복을 위한 교육을 방법론적으로 생각해 볼 때, 우리는 크게 두 가지 입장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하나는 공격적 폭력의 경우이며, 다른 하나는 방어적 폭력의 경우이다. The whole Asia have dangerous momentum in the name of ?ar on Terror? U.S.A., Japan and China are capable to operate military forces to occupy territory or set the conditions for a regime change if they want in Asia, as like once they did the same thing in the history. It is necessary for Christian peace education to make the people understand the nature and the concepts of the danger of their everyday living, be cause of threats from the empire countries, and the historic tragedy of the oppressive conditions. Christian peace education should be able to educate the people not only in Korea but also the people in the US how to resolve the conflict with other weak cultures and people, and resist their government decision to go one war to another war in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