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입법에서의 성별영향평가와 규제영향분석의 통합

        김유환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論集 Vol.22 No.2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introduced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in 2005. Since 2012,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is being applied to legislative bills at the local and national levels.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for legislative bills is designed as a special legislative impact assessment tool apart from the pre-existing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However, it may not be appropriate for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to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for the following three reasons. First, lawmaking must be a deliberative process. Separating methods from decision-making maybe be inefficient and may result in insufficient reflection of perspectives that are essential to lawmaking. An example is the separ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rom the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that led to insufficient reflection of environmental concerns in legislative bills. Second,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is not originally designed as a policy assessment method for legislation, and hence may not be an appropriate method for assessing legislative impact. In order to enhance the role of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in lawmaking, we need a better method. Third, many countries these days put their priority on promoting Inclusive Growth. In this era, more inclusive methods for assessing legislative impact are required as lawmakers evaluate and adjust a wider variety of values and perspectives of legislations. For the aforementioned reasons, OECD countries are increasingly integrating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and the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I would like to argue that the Republic of Korea also needs to integrate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and the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in the field of legislation. In doing so, I recommend the following strategies for a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integration. First, we need to sustain the educative, evaluative and feedback function of the MOGEF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even after the integration. Second, we need legislative adjustments so that the Gender Impact Assessment continues to be applied to legislative bills that are excluded from the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Third, we need to strengthen the evaluative and feedback functions concerning the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Fourth, we need to develop the required tools for cost-benefit analysis, cost-effective analysis, and public consultation for an effective integrated analysis. 우리나라에서 성별영향평가제도는 2005년부터 도입되었다. 그런데 2011년 「성별영향분석평가법」이 제정되어 성별영향평가의 범위가 확장되어 2012년부터는 법령이나 조례, 규칙 등에 대해서도 성별영향평가를 실시하게 되었다. 일반적인 입법에 대한 영향분석은 「행정규제기본법」에 의한 규제영향분석제도로 이미 존재하고 있었으므로 입법에서의 성별영향평가는 입법에 대한 특수한 영향분석제도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렇게 입법에서의 성별영향평가제도와 일반적인 입법영향분석제도로서의 규제영향분석제도가 별개의 제도로 운영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반드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다. 첫째로, 입법은 하나의 종합적인 국가적 숙고의 과정이므로 그 수단과 결정과정이 분리될 경우, 효율적이지 못하고 궁극적인 입법분석과정에서 유리된 분석은 입법과정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크다. 여러 연구는 규제영향분석과 분리된 환경영향평가제도가 결국 입법에서의 환경영향의 반영을 소외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둘째로, 성별영향평가제도는 원래 입법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정책분석수단이 아니었으므로 입법영향을 분석하는 방법론의 차원에서 반드시 적절하다고 할 수 없다. 입법에서의 성별영향평가의 발전을 위하여서는 규제영향분석 등에서 사용하는 별도의 방법론과 연계될 수밖에 없다. 셋째로, 오늘날의 세계적인 동향은 포용적 성장(Inclusive Growth)을 지향한다. 이와 같이 포용적 성장이 강조되는 시대에서는 입법분석에서 다양한 가치를 포괄하는 통합적 수단의 발전과 그에 의한 입법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유럽과 EU를 중심으로 하는 OECD 국가에서 주류적 흐름은 성별영향평가를 규제영향분석에 통합하는 것이며, 이러한 통합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결국 성별영향평가의 대상이 법령과 조례, 규칙 등 입법영역에 까지 확대된 이상 입법에서의 성별영향평가와 규제영향분석의 통합은 방법론의 측면에서나 입법에서의 전문성의 관점에서도 수용될 필요가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도의 통합은 보다 구체적이고 세밀한 검토를 필요로 한다. 입법에서의 성별영향평가와 규제영향분석의 통합이 타당하다는 전제 하에 양 제도의 통합이 양성평등의 실현과 수준 높은 입법이라는 좋은 결과를 산출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점들이 통합에 있어서 깊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첫째, 양 제도가 통합되더라도 여성가족부의 교육, 평가, 환류기능은 유지되어야 한다. 둘째, 통합분석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사항, 즉 규제에 해당되지 않는 입법, 행정규제기본법의 적용대상에서 제외되는 입법, 완화되는 규제 등에 대해서는 여전히 기존의 성별영향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근거를 남겨둘 필요가 있다. 셋째, 규제영향분석에서 분석이 정당하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환류, 평가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넷째, 성별영향평가에 있어서도 분석에 있어서의 공중참여, 비용-효과분석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공공협의(Public Consultation)와 경제분석 등의 분석방법론이 통합분석에서 강화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성별과 운동참여 형태에 따른 노인의 우울증과 인지기능

        신정택,권상현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gender and exercise participation types on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The data of 10,059 elderly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survey on the welfare and living conditions of elderly individuals in 2017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SGDS and the MMES-DS were used to measure their level of depression and level of cognitive fun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the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two-way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effects of gender and exercise participation on depress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exercise participation is not significant. Second, the main effect of gender on depress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main effect of exercise frequency on depression and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exercise frequency are not significant. Third, the main effects of gender and exercise hours on depress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exercise hours is not significant. Fourth, the main effects of gender and exercise participation on cognitive func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dditionall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exercise participation is significant. Fifth, the main effects of gender and exercise frequency on cognitive func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exercise frequency is not significant. Lastly, the main effects of gender and exercise hours on cognitive func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exercise hours is significant. In conclusion, participating in exercise has shown to be beneficial for decreasing the level of depression and increasing level of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of both genders. An additional discovery made through this research is that women’s level of cognitive function improves larger than men’s when they participate in exercise.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과 운동참여 형태에 따라 노인의 우울증과 인지기능 수준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본연구의 대상은 2017년에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진행한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만65세 이상의 노인 10,059명이다. 연구대상의 우울증은 SGDS를 활용하여 측정하였고 인지기능은 MMSE-DS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이원분산분석을 활용하여 분석의 목적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운동참여 여부에따른 우울증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및 운동참여 여부에 따른 주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성별과 운동참여 빈도에 따른 우울증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주효과는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운동참여 빈도에 따른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과 운동참여 시간에 따른 우울증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및 운동참여 시간에 따른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것으로 나타났으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과 운동참여 여부에 따른 인지기능 수준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및 운동참여 여부에 따른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 효과도 통계적으로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별과 운동참여 빈도에 따른 인지기능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및 운동참여 빈도에 따른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성별과 운동참여시간에 따른 인지기능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및 운동참여 시간에 따른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남성과 여성 모두 운동에 참여하는 것이 우울증 감소 및 인지기능 향상을 돕는다는것을 알 수 있었고 운동 참여시 여성의 인지기능의 향상 폭이 남성에 비해 더 큰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젠더적 관점에서의 입법평가에 관한 고찰 : 성별영향평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민선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1 이화젠더법학 Vol.3 No.1

        최근 여성정책의 화두로 떠오른 성 주류화 전략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영역의 모든 정책과 프로그램을 수립, 시행, 평가함에 있어서 여성과 남성을 모두 고려함으로써 남녀가 동등하게 혜택 받고 불평등이 조장되지 않도록 하는 전략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성별영향평가, 성별통계, 성인지 예산제도 등이 도입,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입법의 영역에도 적용되어야 하므로, 법률을 입안, 심사, 시행하는 전 단계에서 양성평등의 원칙이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행 성별영향평가제도가 그러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고, 입법에서의 성 주류화를 실현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입법평가에 젠더적 관점을 도입할 것을 주장하고자 한다. 현행 법령상 성별영향평가는 공공정책 중 성별격차가 크거나 우려가 있는 것 중에서 행정기관이 자율적 선정하는 과제에 대해 이루어지고, 사전 평가가 규정되어 있긴 하나 사실상 사후에 실시되고, 평가수행 전문기관의 부재 및 네트워크 부족 등으로 입법에 있어서의 성 주류화를 실현하기에는 미흡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따라서, 성별영향평가제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법률의 제·개정과 관련하여 법안 작성 이전 단계부터 정책이 가져올 수 있는 영향을 예측하고, 평가해야 하며, 법안 작성 단계에서도 법안이 성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검토하여 성차별적 효과가 가장 적은 대안을 선택하도록 하며, 법률 시행 이후에도 성별 영향을 평가하여 법률의 개정에 반영하도록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Gender mainstreaming, recently emphasized in the women policy, is the public policy concept of assessing the different implications for women and men of any planned policy action, including legislation and programmes, in all areas and levels. According to this strategy, we have introduced and made practices of Gender Impact Assessment(hereinafter ‘GIA’), Gender Statistics, and Gender Budgeting. Gender mainstreaming should be applied to the legislative sphere, and so the principle of gender equality will be realized in the whole process of legislation. For this reason, this study reasons the effect of GIA through reviewing its outline and current state of affairs, and proposes the introduction of gender perspective in the Legislative Evaluation as an alternative. The present GIA system is applied to the tasks chosen by the administrative agencies in the genderdiscriminative public policies after the policy making in spite of the prospective evaluation principle. Also, lack of the specialized agencies and networking between the administrators and the specialists leads to doubt whether GIA is the adequate means to fulfill gender-equality in the legislation. Consequently, the legislative evaluation from a gender perspective should be institutionalized before and after the legislation, for supplementing GIA. On the pre-legislation step, the impacts which the policy will be able to cause should be predicted, and then the least genderdiscriminative alternatives should be selected through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impacts on the step of making bills. After the implementation, the evaluation of legislative impacts should be reflected in revising legislation.

      • KCI등재

        성별영향분석평가 제도의 법률 및 법령 개선효과 분석 : 2012년 성별영향분석평가법 시행 이후를 중심으로

        김희경,조규진 한국행정연구원 2013 韓國行政硏究 Vol.22 No.4

        본 논문은 2012년 처음으로 시행된 법률 및 법령의 성별영향분석평가를 대상으로 개선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성 주류화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고,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성별영향분석평가의 효과를 성별 특성 반영, 성별 구분 개선, 성별 고정관념 개선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성별영향분석평가법 제정으로 성 주류화가 제도적으로 활성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법률 및 법령에 대한 성별영향분석평가의 경우 평가에 대한 높은 개선의견 수용률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선효과의 경우 성별 특성 반영, 성별 구분 개선, 성별 고정관념 개선 순으로 성별영향분석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지 관점에서 법령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분석결과 비효율적인 성별영향분석평가 운영으로 인한 평가과정의 형식화, 부처 자체 개선보다는 개선권고에 의존하여 개선이 이루어지는 사실, 개정법령의 경우 개정조문만 분석평가의 대상이 되어 실질적인 성인지 분석평가가 제한된다는 점 등을 문제로 제기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성별영향분석평가의 절차적 제도화에 대한 초점보다 제도의 효율적인 활용 및 제도의 정책효과 등 실질적인 내용에 초점을 두어 성별영향분석평가 설계 및 집행이 모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성별불쾌감(gender dysphoria, GD)에 따른 성별변경에 대한 일고찰 : 외국의 입법례 및 판례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입법방향 제고

        박용숙(Park, Yongsook) 한국헌법학회 2021 憲法學硏究 Vol.27 No.2

        최근 우리 사회가 직면한 화두는 편견과 차별이다. 그 가운데 성별변경은 매우 민감한 법적 쟁점의 하나이다.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성전환수술을 받고 성별변경을 한 공식적 기록은 Einar Wegener의 사례이다. 그는 1882년 덴마크에서 남성으로 태어나 1904년 Gerda Gottlieb라는 여성과 결혼생활 중 성별정체성을 깨닫고 여성으로서의 삶을 살아가기로 결정한 후, 네 번의 성전환수술을 거쳐, 개명 및 성별정정을 통해 Lili Elbe라는 여성으로 젠더전환에 성공했다. 이 사례처럼, 출생 시 타고난 성별과 인식하는 성별 사이의 차이를 느끼는 경우 성별불쾌감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호르몬 요법이나 성전환수술, 안면 성형 수술 등 기타 외과수술 등을 실시하곤 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자신의 법적 성별을 스스로가 인식하고 있는 성별로 승인받기를 원한다. 우리나라 현행법에는 성별불쾌감 등으로 인한 성별변경을 규정하는 법률 없이 대법원규칙 「성전환자의 성별정정허가신청사건 등 사무처리지침」으로 처리하고 있다. 사무처리지침은 제정당시 제6조에서 성별정정의 허가기준을 규정하고 있었다. 그런데 사무처리지침이 개정되는 과정에서 이 요건이 ‘조사사항’에서 다시 최근 ‘참고사항’으로 개정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개념정의 및 성별구분 기준(Ⅱ)과 입법 관련 국내 논의 동향 및 입법의 필요성에 대해 검토(Ⅲ)한 다음, 제 외국의 법적 성별변경 요건(Ⅳ)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대법원이 제시한 성별변경 요건의 타당성에 대해 검토(Ⅴ)해 보았다.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our society is facing the hot topic of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recently. Among them, gender change is one of the most sensitive legal issues. The world s first official record of gender reassignment surgery and gender change is the case of Einar Wegener. Born as a male in Denmark in 1882, he realized his gender identity during marriage with a woman named Gerda Gottlieb in 1904 and decided to live as a woman. changed gender to As in this case, if you feel a difference between your innate gender and your perceived gender, hormone therapy, gender reassignment surgery, or other surgical procedures such as facial plastic surgery are performed to alleviate gender discomfort. And finally, they want their legal gender to be recognized as the gender they recognize. In the current Korean law, there is no law that regulates gender change due to gender discomfort, etc., but the Supreme Court Rule “Guidelines for handling cases of transgender people applying for permission for gender reassignment, etc.” At the time of enactment, Article 6 of the Office Management Guidelines stipulated the criteria for permission for gender reassignment. However, in the process of revising the Office Handling Guidelines, this requirement was recently revised from ‘Investigation Matters’ to ‘Reference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Supreme Court of Korea examines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and gender classification criteria (Ⅱ), the trend of domestic debate and the necessity of legislation (Ⅲ), and then examines the requirements for legal gender change in other countries (IV).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gender change requirement was reviewed (V).

      • KCI등재

        성별과 Holland 유형의 관계: 공감하기-체계화하기 유형과 성역할정체성의 역할

        정미선,양병한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types of Holland(Realistic(R), Investigative(I), Artistic(A), Social(S), Enterprising(E), and Conventional(C)) via the role of empathizing-systemizing types and sex-role identity. To achieve these,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have been set up: ①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Holland types according to gender ? ② Is the relationship described by Holland types according to gender E-S types? ③ Is the relationship described by Holland types according to gender sex role identity? ④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Holland types and gender, E-S Type, sex role identity. To perform research issues above,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object of totally 650 students(Male 288, Female 362) in B city and C city in Gyeongnam.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At first,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frequencies of Holland types, and in particular, there was a sex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R type, A type, S type, and C type. There was a higher incidence of female students in A type, S type, and C type in male students.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each type of scales, and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types of scales except E scale. Boys were higher in the R and I scales, and female students were higher in the A, Sl, and C scales. Second, even though there was a part described by the E(Emphathizing)-S(Systemizing) ty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Holland type (existence of path via ES type), even if controlling the effect of ES type, Type explanatory variable. For each Scale score of the Holland type, the E-S type was completely mediated between the gender and the inquiry scale score, and was partially mediated between sex, real, social, and conventional scale score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ype, it was the suppression variable in the relation of E-S type and gender. Third, even though there was a par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Holland type that was explained by gender identity (gender identity exists), gender was still the explanatory variable of Holland type. For each Scale score of the Holland type, gender role identity was completely mediated between gender and inquiry scale scores and partially mediated between gender and realistic, artistic, and social scale scores. Fourth, even though controlling E-S type effect and sex role identity effect, Holland type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Gender in the Scale Scal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realistic, artistic, social, and conventional scoring scores even when controlling for E-S type and gender role identity effects. There was no gender explanatory factor in the inquiry scale score, even if the effects of E-S type and gender role identity were controlled, but gender difference existed.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Holland 유형의 차이와 성별에 따른 Holland 유형의 관계에서 E-S 유형, 성역할정체성의 역할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성별에 따른 Holland 유형의 차이는 있는가? 성별에 따른 Holland 유형의 관계는 E-S 유형으로 설명되는가? 성별에 따른 Holland 유형의 관계는 성역할정체성에 의해 설명되는가? 성별, E-S 유형, 성역할정체성, Holland 유형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고등학생과 대학생 650명(남학생 288명, 여학생 362명)이었다. 연구도구는 Holland 적성탐색검사, 공감하기-체계화하기 척도, 성역할정체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Holland 유형은 성차가 존재했으며, 특히 실재형, 예술형, 사회형, 관습형의 빈도는 성차가 있었다. 실재형은 남학생이 예술형, 사회형, 관습형은 여학생의 빈도가 더 높았다. 각 유형별 척도점수에서도 성차가 있었으며 기업형 척도점수를 제외한 모든 유형의 척도점수에서 성차가 나타났다. 실재형과 탐구형의 척도점수에서 남학생이 높았고, 예술형, 사회형과 관습형의 척도점수에서는 여학생이 더 높았다. 두 번째, 성별과 Holland 유형의 관계에서 E(Emphathizing)-S(Systemizing)유형에 의해 설명되어지는 부분이 있었지만(E-S유형을 경유하는 경로 존재), E-S 유형의 효과를 통제하여도 성별은 여전히 Holland 유형의 설명변인이었다. Holland 유형의 각 척도점수의 경우, E-S 유형은 성별과 탐구형 척도점수사이를 완전매개 하였으며, 성별과 실재형, 사회형, 관습형 척도점수사이를 부분매개하였다. 관습형의 경우는 E-S 유형과 성별과의 관계에서 억압변인이었다. 세 번째, 성별과 Holland 유형의 관계에서 성역할정체성에 의해 설명되어지는 부분이 있었지만(성역할정체성을 경유하는 경로 존재), 성역할정체성의 효과를 통제하여도 성별은 여전히 Holland 유형의 설명변인이었다. Holland 유형의 각 척도점수의 경우, 성역할정체성은 성별과 탐구형 척도점수사이를 완전매개 하였으며 성별과 실재형, 예술형, 사회형 척도점수사이를 부분매개 하였다. 네 번째, E-S 유형의 효과와 성역할정체성의 효과를 모두 통제하여도 Holland 유형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척도점수에 있어서 성별은 E-S 유형 및 성역할정체성 효과를 통제하여도 실재형, 예술형, 사회형, 관습형 척도점수를 유의미하게 예측해줄 수 있는 변인이었다. 탐구형 척도점수는 E-S 유형 및 성역할정체성 효과를 통제하여도 성별에 의해 설명되는 부분은 없으나 성차는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노동시장 계층별 성별직업분리에 관한 연구

        허은(Eun Heo) 한국사회학회 2013 韓國社會學 Vol.47 No.2

        이 연구는 고학력·저연령 여성의 노동시장 상층 진입이 증가함과 동시에 저학력·고연령·기혼여성의 노동시장 하층 진입 또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한국 여성노동시장 구조 변화 경향에 따라 노동시장 성별 불평등의 주요 요인인 성별직업분리가 노동시장 계층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밝힌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성별직업분리가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점에서는 이견이 없지만, 이것이 여성의 상대적 저임금 상황과 맺고 있는 관련성에 관해서는 서로 엇갈린 결론을 제시한다. 한편으로는 성별직업분리가 성별임금격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여성 집중 직업에 종사하는 것이 여성 노동자에게 더 유리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성별직업분리가 여성의 열악한 노동시장 지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라는 주장 또한 제기된다. 이 연구는 성별직업분리와 상대적으로 낮은 여성의 노동시장 지위 간 관련성을 보다 분명하게 해명하기 위해 분리 형태를 차별과 밀접하게 결부되는 분리를 의미하는 수직적 분리와 차별과는 무관한 분리를 의미하는 수평적 분리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직업분리의 전반적 수준은 매우 높지만, 수직적 분리가 조금씩 약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직적 분리 정도는 여전히 높은 편이며, 성별로 분리된 직업 구조가 남성 노동자에게 보다 유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은 여전히 높다. 둘째, 노동시장 중간층에서 성별 분리 정도가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나지만, 이는 성별화된 직업 간 임금 차이를 수반하지 않는 수평적 분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시장 중간층에 속한 남성 집중직업들이 주로 기능직과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직인 반면 여성 집중직업들 대부분은 전문직이다. 셋째, 남성 집중 정도가 높은 전문직은 주로 노동시장 상층에, 여성 집중 정도가 높은 전문직은 중간층 및 하층에 주로 분포해 있다. 따라서 노동시장 중간층에서의 분리가 수평적 분리라고 하더라도, 여성 집중 정도가 높은 전문직에 대한 상대적 저평가가 반영된 결과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성차별과 무관하다고 하기는 어렵다. 넷째, 노동시장 하층에서의 수직적 분리 정도는 매우 높으며, 2007년에서 2009년 사이 일관되게 강화되는 추세를 보인다. 노동시장 상층 및 중간층에서 수직적 분리 정도가 낮다 하더라도, 여성 취업자의 73% 이상이 수직적 분리가 매우 높은 노동시장 하층에 배치되어 있는 한, 성별직업분리는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을 야기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성별화된 직업 구조는 여성 노동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is article is aimed to answering a question, “how does occupational gender segregation--the tendency for women and men to work in different occupations-- influences the relative disadvantage in terms of pay?” To solve the question, I distinguish between vertical segregation entailing discrimination and horizontal segregation representing difference without discrimination with overall segregation being the resultant of these components. And then I examine how does occupational gender segregation vary across the rank of occupation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verall segregation remains very high. Although the level of vertical segregation has been lowered between 2007 and 2009, it remains very high, and so men are likely to be advantaged over women in the gendered occupational structure. Second, the middle-ranked group of occupations presents the highest level of overall segregation, which constitutes horizontal segregation. Third, considering horizontal segregation in the middle-ranked group of occupations is the result of the underestimation of women-dominated professional occupations, it is never said to be irrelevant of gender discrimination. Fourth, the level of vertical segregation in the low-ranked group of occupations is very high differing from that in other levels of occupations and has the tendency to rise between 2007 and 2009. Considering the 73% of women workers belongs to the low-ranked group of occupations, occupational gender segregation is the very significant factor of discrimination and raises the probability for women to be disadvantaged over men.

      • 국제난민법상 성별 관련 박해

        장복희(Bok-Hee Chang) 大韓赤十字社 人道法硏究所 2005 人道法論叢 Vol.- No.25

        성별 관련 박해는 인권 침해의 한 유형으로, 세계 난민의 80%이상이 여성과 아동이며, 특히 여성과 여아는 성(性)과 관련한 박해의 대상이 되기 쉽고, 무력충돌 시 뿐 아니라 평시에도 국가, 사회와 가정 내에서, 법, 제도, 문화 및 관습의 이름으로도 많은 폭력에 노출되어 있다. 최근 국제법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규정상 조치 중 하나는 성별과 관련한 특별한 박해(gender related persecution)를 인정하는 것이다. 여성과 여아가 겪을 수 있는 박해의 유형 중, ⅰ) 가장 기본은 사회규범의 위반에 대한 가혹하거나 비인간적인 처우이며, 이 외에도 Ⅱ) 성폭력, Ⅲ) 문화와 관습으로서 행해지는 여성할례, Ⅳ) 가족계획과 출산조절에서 있을 수 있는 강제낙태와 비자발적인 불임수술을 포함한 강압적이고 개입적인 방법에 의한 박해, ⅴ) 동성애(homosexuality)를 이유로 처벌과 부당한 처우 및 ⅵ) 국내 폭력(national violence)에서 학대의 정도가 심각한 경우를 들 수 있다. 1951년 UN 난민협약 제1조 A항 (2) 난민정의는 성별 관련 박해는, 5가지 박해사유(인종, 종교, 국적, 특정사회집단의 구성원 및 정치적 의견) 외에 다른 성별 사유를 추가할 필요 없이, 난민협약의 목적, 목표는 성별(gender)을 포함하고 세심하게 확대 해석되고 있다. 국제인권법, 국제법, 국가관행 및 사례법 등에서, 1951년 난민협약 규정에 대한 성별에 근거한 해석에 많은 발전과 진전을 이루고 있고, 남성 위주의 편협된 시각을 한정되지 않고 해석될 수 있도록 강화되고 있다. 난민여성을 보호하는 것은, 난민정의의 성별에 세심하게 근거한 해석 뿐 아니라, 성별에 따라 세심히 배려하는 난민인정절차를 필요로 한다. 성별 관련 박해는, 여성과 여아는 물론 남성, 동성애자, 성전환자 혹은 아직도 일반적으로 생각하지 못했던 다양한 성별을 포함할 수 있고, 앞으로도 출현할 수 있는 성별과 다양한 유형의 박해를 상상하고 포함시키도록 열려있는 개념이며, 난민법에 추가적 사유의 도입이 아닌, 기존의 난민정의를 새로운 해석방법으로 해결해 나가려는 것이다, 그 기본정신은 어디까지나 인간의 존엄, 기본적 인권, 자유와 평등의 보장에서 출발하려는 것이다. As gender-related persecution is a type of violation of human rights and 80% of world refugees are women and children, in particular women and girls are likely to be subject to sex-related persecution. During the peacetime as well as armed conflicts, they are posed to different violences in the name of law, systems, culture and practices wi thin their nations, communities and families. Recently one of the increasing measures taken to raise awareness of the plight of women in international law is to recognize gender-related persecution in asylum claims. Six principal forms of gender-based persecution are followings: ⅰ) harsh or inhuman treatment for the transgression of social norms, Ⅱ) sexual violence, Ⅲ) female genital mutilation, Ⅳ) when national family planning policies are implemented in a non-discriminatory manner, including forced abortions and involuntary sterilizations, ⅴ) punishment and mistreatment of people on the basis of their homosexuality, and ⅵ) domestic violence with a certain level of severity. Developments in intern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refugee law have seen progress toward a gender-sensitive interpretation of the 1951 UN Refugee Convention in many jurisdictions. Wi thou t adding a sixth ground to those 5 reasons (race, religion, nationality, membership of a social group or political opinion) already enumerated in the 1951 Refugee Convention, article 1 A (2), the purpose and object of the Convention encompass gender-inclusive and gender-related persecution and newly interpreted not-to-limited male-oriented views. To protect refugee women requires gender-sensitive asylum procedures as well as gender-sensitive interpretation. Gender-related persecution can cover unexpected various gender, including women, girls, men, homosexuals, trans-gender and different types of persecution. Not introducing a new reason to International Refugee Law, new interpretation approaches of the established refugee definition are used. This spirits stem from human dignity, fundamental human rights, freedom and equality.

      • KCI등재

        성별소수자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 회복력과 대인관계 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성우,유성은 한국임상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8 No.4

        본 연구는 성별소수자 특수적인 스트레스 요인과 자살의 대인관계 심리학적 모델에 기반하여 성별소수자의 자살생각에 기여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성별소수자가 겪는 외부 및 내부 스트레스와 회복력 요인을 측정하는 성별소수자 스트레스와 회복력 척도(Gender Minority Stress and Resilience, GMSR)를 번안하여 국내 성별소수자 집단을 대상으로 타당화 하였다. 다음으로 성별소수자의 외부 스트레스가 내부 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자살생각으로 이어지는 매개모델에서 성별소수자 스트레스 모델의 회복력 요인인 성별소수자 정체성에 대한 자긍심과 성별소수자 공동체 연결성이 보호요인으로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 자살에 대한 대인관계 심리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좌절된 소속감과 짐이 되는 느낌이 위험요인으로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성별소수자 성인 2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GMSR 척도의 요인 구조, 신뢰도 및 타당도는 적합하였다. 하지만 원척도에서 제안한 9요인 모델은 본 자료에 적합하지 않았고, 성별소수자 외부 스트레스, 내부 스트레스, 회복력 요인 각각에 대한 단일 요인 모델이 한국 성별소수자 인구에서 적합한 요인 모델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소수자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조절된 매개모형 검증 결과, 성별 소수자 외부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를 내부 스트레스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이르는 경로에서 회복력 요인과 대인관계 요인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에서는 짐이 되는 느낌만이 유의하게 이들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별소수자가 경험하는 내부 스트레스와 짐이 되는 느낌이 이들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위험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성별영향평가 실천의 알아가기(knowing)와 행위유발성(affordance) : D시 성별영향평가를 중심으로

        이은경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여성연구 Vol.82 No.-

        이 연구는 쿡과 브라운(Cook and Brown, 1999)에 기초하여 성 주류화 제도의 도구인 성별영향평가가 지방자치단체에 유의미하게 정착되는 과정을한 지역(D시)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쿡과 브라운은 소유된 지식(knowledge)과 조직 실천에서의 알아가기(knowing)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볼 때 조직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수행하기 곤란한 정책에의 접근을 위해 고려할만한 것으로서 ‘행위유발성(affordance)’ 개념을 말하였다. 연구자는 주류 영역에 도전적인 성별영향평가가 그것을 주도하는 개인 지식에 의해 조직의 기존 지식과 상호작용하게 됨으로써 조직의 새로운 알아가기와 조직 장르를 만들어갈 수 있고, 역동적인 행위유발성을 창출하게 됨을 말하려고 한다. 이것은 쿡과 브라운의 논의를 확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설명하기 위하여, 우수한 D시를 사례로 하여 조직이 성별 영향평가 제도를 어떻게 운영하고 학습하는지를 검토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성별영향평가 실무자와의 심층 인터뷰에 기초한 사례연구로서 분석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D시의 성별영향평가 출발기엔 조직의 지식에 성별영향평가가 단지 첨부될 뿐이었지만, 갈등기엔 조직의 지식과 성별영향평가가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알아가기를 만들어갔다. 마지막으로 정착기엔 성별영향평가 수행을 도출해낼 수 있는 행위유발성으로서 교육이 주목되었다. 성별영향 평가 교육에 과제담당자들의 참여를 유인하는 메커니즘으로서 시상제도들이 있었다. D시의 사례를 살펴본 결과, 조직의 지식과 성별영향평가가 상호 작용한 결과인 ‘새로운 알아가기’(성별영향평가담당관, 각종 보고회, 평가실명제, 각종 교육, 시상제도 등)가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성별영향평가수행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D시는, 자기 고유 특성에 따른 새로운 알아가기를 만들어 간 것이 유효하였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fixing processes of D’s city as a practice of gender impact assessment of a self-governing body in korea, based on Cook and Brown(1999). Cook and Brown call what is possessed ‘knowledge’ and what is part of action ‘knowing’.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epistemology of possession, there needs to be a parallel epistemology of practice, which takes ways of knowing as its focus. They see knowledge and knowing as complementary and mutually enabling, and the interplay of knowledge and knowing as a potentially generative phenomenon. That is, for human groups, the source of new knowledge and knowing lies in the use of knowledge as a tool of knowing within situated interaction with the social and physical world. This is the generative dance. And they define what they mean by dynamic affordance. I says that a practice of gender impact assessment can make new knowing through interplay with organizational knowledge by expert leader. So it need to create dynamic affordances and one of them is the leader. It was examined how the organization had derived and learned gender Impact assessment system in D’s city. The method is to study the case based on in-depth interview with a public servant in D’s city. Especially analytical technique takes advantage of the storytelling.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n the Departure Periods, an organization of D’s city only added gender impact assessment system within organizational knowledge. On the other hand, the organization was interacted with organizational knowledge and gender impact assessment for the Conflict Periods, and created new knowings. Finally, in the Fixed Periods the organization used educations as dynamic affodance in order to derive gender impact assessment practice from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s. Also there was a system of awarding prizes to make public servants enter in the educations. In D’s city, I could see new knowing(s) as the result of interaction between organizational knowledge and gender impact assessment: Gender Impact Assessment Officers, various briefings, real name system of writing a gender impact assessment, and various educations, awards system, etc. Once these can be said new knowing indigenous to the distri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