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천광역시 종합사회복지관 사례관리 운영체계 평가

        권진숙,김상곤,조현순 한국사례관리학회 2011 사례관리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종합사회복지관 사례관리 운영체계에 대한 평가 연구로서 인천광역시 종합사회 복지관 사례관리 모델에서 제시하고 있는 운영체계의 각 요소가 자리 잡아가고 있는 지를 평 가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17개 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관리팀의 운영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으나 사례관리 업무 전담, 팀 간의 협력 시스템, 팀 간 의 협력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기관 내․외의 수퍼비젼 체계가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 사례관리 팀의 운영에 대해서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나 다학문적인 협동과 공공과 민 간부문의 협력은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솔루션 위원회의 운영에 대해서도 긍정 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사례관리팀이나 통합사례관리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 KCI등재

        아동통합사례관리사의 사례관리수행 영향 요인

        신희진,Xu Ma,공계순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case management performance of child integrated case managers working at Dream Start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case management performance. To collect data,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child integrated case managers in 229 local Dream Start sites listed on the Dream Start homepage, and the responses of 248 were finally analyzed. Variables that could affect case management performance included family-centered practice perspective, interpersonal competency, professional identity,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For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WIN 26.0.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degree of case management practice of child integrated case managers averaged 4.00 points (based on 5 points), and by sub-area, the order of inspection/evaluation/closure, initial counseling/needs assessment/planning, and intervention practice was shown. Second, integrated case managers experienced high level of role ambiguity as job stress and rated the supervision system the lowest. Third, as a factor influencing case management performance, family-centered practice was the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professional identity. Based on the above results, measures to enhance the capacity building and case management performance level of Dream Start child integrated case manager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드림스타트에서 근무하는 아동통합사례관리사를 대상으로 사례관리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사례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자료 수집을 위해 드림스타트의 홈페이지에 등재된 지역 드림스타트 229개소의 아동통합사례관리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48명의 응답이 최종 분석되었다. 사례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으로는 가족중심실천 관점, 대인관계 역량, 전문직 정체성, 직무스트레스, 조직환경 을 포함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6.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통합사례관리사의 사례관리수행정도는 평균4.00점(5점 기준)이며, 하위단계별 수행은 점검·평가·종결, 초기상담· 욕구사정·계획수립, 개입실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사례관리사들은 직무스트레스로서 역할모호를 높게 경험하고 있으며, 수퍼비전 체계에 대해서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셋째, 사례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가족중심실천이 가장 영향력이 높으며 다음으로 전문직 정체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드림스타트 아동통합사례관리사의 역량강화 및 사례관리실행 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공공과 민간사례관리 현장에서 사례관리자가 느끼는 실제적인 사례관리와 과정에 대한 인식

        정선영(Sun-Young, Jung),손덕순(Duk-Soon, Son),김정화(Jeong-Hwa, Kim)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1 한국사회복지교육 Vol.56 No.-

        본 연구는 공공과 민간사례관리 현장에서 사례관리자들이 느끼는 실제적인 사례관리에 대한 인식과 사례관리과정별 업무 중요도와 어려움 정도를 탐색하였다. 서울⋅경기지역 사례관리자 242명 대상의 설문조사와 6명 대상의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여 양적 및 질적 분석을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관리자들은 사례관리의 사전적 의미와 실제적 의미를 다르게 인식하였다. 둘째, 실제적인 사례관리는 ‘지역사회 자원 연계’의 의미가 큰 반면, 사례관리자들은 문제해결을 위한 개별상담 등의 직접적 개입 역할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중요도와 난이도가 모두 높은 사례관리업무는 정신적 문제나 폭력 행동을 보이는 대상자에 대한 대처, 강점 관점 유지, 본질적 욕구 파악, 대상자와 목표수립 등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사례관리의 현실적인 간극을 줄이기 위한 제도 및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al perception of case management and the level of importance and difficulties of case management tasks among public and private sector case manager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42 case manager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s and group interviews with 6 case managers took place in order to find out more specific perceptions of case management.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ase managers perceived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real perception of case management differently. Second, while actual case management in reality put greater emphasis on ‘linking community resources’, the case managers perceived that direct intervention to solve the problem such as individual counseling, was more important. Third, case management tasks with high level of importance and difficulties were ‘coping with people who have mental and behavior problems’, ‘maintaining a strength perspective’, ‘identifying essential needs’, and ‘establishing goals with clients’. Institutional and educational recommendations were given to narrow the gap between case management awareness.

      • KCI등재

        사례관리 개념에 대한 쟁점 고찰

        권현수 ( Hyun Soo Gweon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論叢 Vol.40 No.-

        본 연구는 사례관리실천의 혼란을 가져오는 여러 원인 중 가장 근본적인 이유로 사례관리개념 정의의 모호함에 주목하여, 문헌 속에 나타난 사례관리 개념이 각각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러한 개념정의와 관련한 쟁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1980년대부터 최근까지 소개된 국내외 사례관리 개 과 관련한 문헌들을 분석한 결과 사례관리 개념이 가지는 무정형성의 특징을 발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무정형성의 특징 속에 나타나고 있는 사례관리의 주요한 점을, 첫째, “사례관리”라는 용어의 적절성과 타당성의 문제, 둘째, 직접서비스 제 과 간접서비스 제공 중 무엇이 더 강조 되는가 혹은 두 서비스를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에 대한 문제, 마지막으로 사례관리와 사회복지실천과의 개념적 범위와 관련한 것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향후 사례관리 개념과 관련한 쟁점들에 대해 더욱 추가적이고 구체화된 논의가 이어져 국내 사회복지실천의 환경과 지 점이 고려 된 사례관리 개념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fundamental cause of much of the confusion in case management practice is its lack of defin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ation of the case management concept in the literature and its defini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issues related to these definitions. In analyzing the literature relating to the case management concept since the 1980s, I find that it has not been a regular focu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case management concept has not appeared regularly in the analysis of the related literature. Among the major issues of case management that do not appear regularly, the first concerns whether the term “case management” is valid or not. The second concerns whether more emphasis is placed on the supply of direct service or on that of indirect service, or whether it is desirable to integrate both service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case management and social work practice is analyzed.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on these concepts, case management and the related issues, with consideration for the domestic environment and the orientation of social work practice.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위기대상자를 위한 공공 통합사례관리사의 기능강화 전략에 관한 연구

        최말옥 대한지방자치학회 2015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6 No.4

        2008년부터 공공에서 지역사회 위기대상자들에게 맞춤형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하여 통합사례관리를 실시하였으나 아직도 공공의 통합사례관리와 통합사례관리사의 기능이 정립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위기대상자를 위한 적절한 서비스를 위해서라도 통합사례관리와 통합사례관리사의 기능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공공의 통합사례관리사들이 경험하는 사례관리를 통하여, 어떻게 지역사회의 위기 대상자를 위하여 통합사례관리와 통합사례관리사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지를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9명의 통합사례관리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수퍼비젼을 통한 녹취록과 일지를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통합사례관리사들은 사례관리 경험을 통하여 지역사회위기 대상자들을 ‘변화 가능한 사람’으로 인식의 전환이 있었으며, 통합사례관리는 ‘공공의 사례관리의 한계’가 있으므로 지역사회위기대상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서는‘민과 관의 협력을 통한 통합사례관리’를 하는 것을 전략으로 바라보았다. 통합사례관리사의 기능강화를 위한 전략으로는 초기에는‘대상자와 인간관계 맺기’를 잘하여야 하며, 업무가 진행 될수록 ‘전문성의 강화’와 ‘소진에 대한 예방과 대처방안을 마련하기’, ‘지원시스템 강화’를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변화하는 대상자를 통해 ‘사례관리에서 희망찾기’가 그들의 기능을 강화하는원천이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위기 대상자들을 위한 통합사례관리사의 기능을 강화하는 전략의 핵심주제는 ‘인간에 대한 깊은 신뢰를 가지고 포기하지 않고 끈기 있게 변화의 가능성을 향해 함께 나아가는 친 구되기’ 로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통합사례관리사의역할을 기능강화의 측면에서 규명하여 실천전략을 세울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있다고 하겠다. Public integrated case managements have been conducted with the goal of satisfyingdesires, independence and improvement of life of people with risks in local society. However, people with risks still take their own lives in reality. The reason is not lackof proper services but lack of reach of helps to blind spots. Accordingly, the studyaims at exploring meanings of people with risks in local society, which areexperienced by public integrated case managers, and public case management, and howto enhance functions of integrated case management and its manager for people withrisks in local society. For this, by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in-depth interviews and supervision on 9 integrated case managers were conducted, and then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records and diaries on theinterviews and supervision. As a result, the managers changed their own perception onpeople with risks in local society from the ‘subjects under my perception’ to ‘peopleavailable for change’. And for case management, even though it has features of both‘private case management’ and ‘public case management’, there is ‘limit of public casemanagement’ and it seems to be appropriate that public ‘integrated case management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private and public sectors’ in order to satisfy variousdesires of people with risks in local society. For strategies to enhance functions ofintegrated case managers, in initial phase, they ‘should be good at befriending withthese people’, and as their jobs are mature, they should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prepare prevention and responses on exhaustion’ and ‘strengthen supporting system’. First of all, through changing people with risks, ‘to seek hope in case management’ isan origin to reinforce their functions. Through this, core topic of strategies to enhancefunctions of integrated case managers for people with risks in local society is ‘to havedeep trust for human being and to become friends who progress patiently togethertoward possibilities of changes without giving up. The study has its own significancein aspect of establishment of practical strategies of enhancement of functions ofintegrated case managers.

      • KCI등재

        통합사례관리 법제화 및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에 따른 사회복지법제 교육 방안

        황미경 사회복지법제학회 2017 사회복지법제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법제 교육의 중요성과 사회복지법제 교육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회복지전달체계 및 통합사례관리법제화에 관한 사회복지법의 근거와 정책을 분석함으로써 사회복지전달체계 및 사례관리 관련 정책을 Gilbert & Terrell의 산물분석 방식으로 고찰하였다. 최근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 양태는 읍면동 복지허브화 구축에 따른 통합사례관리 체계로 확대되고 있다. 통합사례관리의 법적 근거는 2017년 3월 21일 사회보장급여의 이용ㆍ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제42조의2 신설로 법제화 되어 복지사각지대 해소와 맞춤형 서비스 제공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통합사례관리를 수행하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은 사회복지법률과 사회복지전달체계에 대한 통찰 수준에 따라 달리 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전달체계 내 통합사례관리 확대로 촉구되는 서비스 연계 및 민관협력의 근거가 되는 사회복지법제의 이해와 사회복지법제 교육의 중요성이 제고되어야 하는 시점이다. 이에 궁극적으로 평생사회안전망에 관여하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사회복지법제 교육의 기본적인 방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사회복지전달체계 및 통합사례관리에 관련된 정책 및 실천적 근거가 사회보장기본법 및 개별 사회복지법률에 명시된 바와 같이 사회복지법제 교육은 학제간 융복합 교육 방식을 통한 “사회복지법 교육의 실용화”를 통하여 확대하고 교육 방식을 다양화 해야 한다. 둘째, 사회복지법제 교육은 사회복지에 관련된 인권과 구체적인 복지권 보장의 기본 방향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사회복지사의 제너럴리스트 역할과 스페셜리스트 역할 증진에 기여하는 사회복지법제 교육의 성과에 대한 평가를 시도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양성과 전문성 증진을 위한 사회복지법제 교육은 사회복지법을 원활히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사회복지법 적용 방법론”으로 고안하고, 사회복지법제론을 교육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식은 “사회복지법 교육 방법론”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ducating social welfare legislation and to present ways to educate social welfare legislation by analyzing the grounds and policies for social welfare legislation according to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in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Therefore, policies and theories were examined by Gilbert & Terrell's policy analysis method based on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case management theory and social welfare legislation. Recently,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has been expanded to an integrated case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welfare hubs in eup, myeon, and dong. On March 21, 2017, the legal basis for integrated case management was established with the enactment of Article 42-2 on the use and provision of social security benefits and identification of beneficiaries, thereby focusing on eliminating welfare blind spots and providing customized services. In addition, the level of expertise of social workers performing integrated case management can be evalu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evel of insight into social welfare laws and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s. Therefore, it is time to enhance understanding of service linkage, which is promoted by expanding integrated case management in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and of social welfare legislation, the base of public-private cooperation, and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ducating social welfare legislation. Therefore, the basic direction of social welfare law education, which can ultimately strengthen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social welfare workers involved in lifelong social safety nets, was suggested in the following way. First, as for the policies and practical grounds related to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and integrated case management, as stated in the social security basic law and the individual social welfare laws,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legislation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through "practical use of social welfare legislation education" and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methods. Second,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legisl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basic direction of guaranteeing human rights and concrete welfare rights related to social welfare, and its performance should be evaluated in terms of promoting the role of social welfare workers as generalists and specialists. Third,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legislation for training social welfare specialists and promoting their expertise should be designed as "methodology of applying social welfare legislation" to educate them to utilize social welfare legislation smoothly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education of social welfare legislation should be developed into "the methodology of educating social welfare legislation".

      • KCI등재

        사례관리에서 자원연계 방해요인이 사례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서대석(SeoDae Seok),박미은(Park Mi Eun),서진(Seo Ji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社會科學硏究 Vol.27 No.4

        사례관리에서 다양한 자원의 연계를 필수적으로 강조하지만 사례관리자 개인 특성과 기관 내부 및 외부 특성이 이러한 자원연계를 방해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방해요인으로 인해 사례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례관리에서의 자원연계 방해요인이 사례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6대 광역시에 소재한 지역사회복지관의 사례관리자들 2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례관리 자원연계 방해요인 중 사례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는 사례관리 자원연계 업무에 대한 부담감과 실제로 수행하는 업무량, 그리고 지역사회 자원의 수준이었다. 이 같은 결과는 사례관리 현장에서 제기되던 사실이 실증적으로 밝혀진 것이며, 향후 사례관리자의 업무과중을 줄일 수 있는 방안과 지역자원의 발굴 및 연계방안을 적극 모색하는데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해준다. This study in vestigates 251 case managers working at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barrier factors in resource linkage on their job stress. The result from the research were 1 )Based on demographic and agency-related variables of the case manager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r positive relations between the case managers’ gender, age, work experience, marital status, degree of education and their job stress. 2) Based on personal and agency-related variables of the case managers as barrier factors of resource linkage, the respondents’ perception of the resource linkage, work time for case management, available community resource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ir job stress. Finally, the research recommends that effectiv eprevention strategies are needed in order to overcome the barrier factors of resource linkage and job stress of the case managers.

      • KCI등재

        Case Management Experience of Short-term Youth Shelter Workers in Gyeonggi Province

        Hee Youn Lee,Yun Na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Crisisonomy Vol.16 No.11

        본 연구는 단기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사례관리 실천경험의 실체적 의미를 밝히기 위해, 경기도지역 단기청소년쉼터 종사자 9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사례관리 개념 이해: 이론적 이해, 실천적 이해’, ‘사례관리 실무습득: 이론학습 및 매뉴얼 숙지, 도제식 또는 단계적 습득’, ‘사례관리 실천과정: 관계형성, 사정 및 계획, 실행, 종결 및 평가, 사후관리, ‘사례관리 성공요 인: 명확한 욕구와 클라이언트의 주도성, 클라이언트의 전인적 회복에 초점을 둔 통합적 지원, 일상 을 지지하고 기댈 곳이 되어줌, 강점관점에 기반한 클라이언트 중심의 개입’, ‘사례관리 실패요인: 표면적 욕구에 초점을 둔, 사례관리자 주도의 미숙하고 성급한 개입, 문제에 초점을 둔, 서비스 제공 중심의 개입’, ‘사례관리 어려움과 소진요인: 단기의 한계, 개입효과에 대한 의문과 관점의 혼란 행정 업무의 비효율성. 평가지표의 비현실성, 생활시설의 과도한 업무스트레스, 높은 이직률 문제’등 하위 범주 21개, 범주 6개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여성가족부의 청소년쉼터 사업 및 방향성 설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mis to identify the substantive meaning of case management performed by short term youth shelter workers in Gyeonggi Province, Korea. To this end, a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case management and learn how to practice case management. It is found that case management process consists of engagement,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lan, intervention implementation, termination and evaluation, and follow-up. Success factors for case management include a clear need and initiative of client, integrated support focused on holistic recovery of clients, support for everyday life, and client-oriented intervention, while failure factors include immature and rapid intervention focusing on superficial desire, and problem-focused delivery-oriented intervention. The difficulty in case management is mostly due to short term intervention, perspective confusion, administrative inefficiency, unrealistic evaluation criteria, excessive work stress, and high staff turn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to guide the direction of youth shelter projects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South Korea.

      • 2022년 서울시 정신건강복지센터 운영 컨설팅 보고서

        김세인,나은영,이승연,이해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2 정신건강연구집 Vol.12 No.-

        ▪Study Purpose: This survey was done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mental health case management and the current state of intensive case management service by focusing on the 25 local government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in Seoul for discussing the project issues and evaluation of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and for using them as the basic material for proposing the Seoul mental health policy. ▪Research Method: This survey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the case management of Seoul local government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on the basis of the Mental Health Information System (MHIS) statistical data by the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of each autonomous district from January 1, 2020 to December 31, 2021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intensive case management of Seoul local government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on the basis of the current state of the Intensive Case Management (ICM) service collected through the document survey by the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of each autonomous district from January 2021 to December 2021. (※ This survey was done on the current state for the last year, and the results on the part of analysis content were recorded in this study collection.) ▪Study Results: The 25 Seoul autonomous district local government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in Seoul handled total 250,057 general counseling (submission counseling) cases (10,002 cases in average) in 2021 resulting in the year-to-year increase by 87,713 cases (3,509 cases in average). The depression-related counseling cases take up the large portion of 35.1%. Counseling was done mainly with the type of telephone counseling (66.0%). Information provision (55.4%) takes up the large portion as the major measure. Registered members total 9,926 persons (397 persons in average). The members for maintenance or above total 5,818 persons (58.6%). The F30 code subjects take up the largest portion of 44.1%. New registered members total 2,694 persons (108 persons in average), and the new registration rate is 27.1%. Withdrawing members total 2,393 persons (96 persons in average). For the reason for withdrawal, the withdrawal caused from service end takes up the largest portion of 54.3%. Linked members total 2,105 persons (84 persons in average), and it was performed mainly with linkage with an arbitrary program (78.5%). Individual counseling totals 191,030 cases (7,641 cases in average), and resource adjustment totals 17,894 cases (716 cases in average). For the ISP project category, severe mental illness takes up the largest portion of 73.2%. Meeting totals 2,500 cases (80 cases in average). Networks such as seminars, advice, MOU, trip, etc. total 1,132 cases (45 cases in average). The total persons having received intensive case management consist of 9,402 subjects and 2,441 case managers. A case manager managed 3.9 subjects. The largest portions of the reasons for selection and end are 38.4% for unstable chronic mental illness subjects and 78.8% for management category change. The average intervention periods increased every year from 175.2 days for 2019 to 202.1 days for 2020 and 205.1 days for 2021. ▪Conclusion: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the project performance of the 25 autonomous district local government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in Seoul under the influence of COVID-19 by analyzing the case management service based on the Mental Health Information System (MHIS) and Intensive Case Management (ICM).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ystematic and administrative supports and core function and role of the professional manpower of the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doing the central role of a community mental health project and prepare the various policies for creating the proper circulation system and service environment. ▪Keywords: Mental health case management, Mental Health Information System, Intensive Case Management,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 ▪연구목적: 본 조사는 서울 지역 25개 자치구 기초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중심으로 정신건강 사례관리 현황과 집중사례관리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여,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사업 현안 및 평가를 논의하고 서울시 정신건강 정책 제안을 위한 기초자료 등에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본 조사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각 자치구 정신건강복지센터별 정신건강사례관리시스템(MHIS)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울시 기초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사례관리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2021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서면조사를 통해 수집된 각 자치구 정신건강복지센터별 집중사례관리 서비스(ICM) 현황을 기반으로 서울시 기초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집중사례관리 현황을 분석하였다. (※ 본 조사는 전년도 현황을 조사한 것이며, 분석 내용 일부에 대한 결과를 본 연구집에 수록하였다.) ▪연구결과: 2021년 서울시 25개 자치구 기초 정신건강복지센터 일반상담(접수상담)은 총 250,057건(평균 10,002건)으로 전년 대비 87,713건(평균 3,509건) 증가하였으며, 우울증 관련 상담 건이 35.1%를 차지하며 높게 나타났다. 상담은 주로 전화상담(66.0%)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주요 조치는 정보 제공(55.4%)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등록회원은 총 9,926명(평균 397명)으로 유지관리 이상인 회원은 5,818명(58.6%)으로 나타났으며, F30 코드 대상자가 44.1%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신규 등록회원은 총 2,694명(평균 108명)으로 신규 등록률은 27.1%로 나타났으며, 퇴록 회원의 경우 총 2,393명(평균 96명)으로 나타났다. 퇴록 사유는 서비스 종결로 인한 퇴록이 54.3%로 가장 높았다. 연계 회원은 총 2,105명(평균 84명)으로 나타났고, 주로 임의프로그램 연계(78.5%)로 진행되었다. 개별상담은 총 191,030건(평균 7,641건) 진행되었고, 자원조정은 총 17,894건(평균 716건) 진행되었다. ISP 사업 구분은 중증 정신질환이 73.2%로 가장 높았으며, 회의는 총 2,005건(평균 80건), 세미나, 자문, MOU, 견학 등 네트워크는 총 1,132건(평균 45건)으로 나타났다. 집중사례관리 연인원은 대상자 9,402명, 사례관리자 2,441명으로 사례관리자 1인당 대상자 3.9명을 관리하였으며, 선정 사유는 불안정한 만성 정신질환 대상자 38.4%, 종결 사유는 관리 구분 변경이 78.8%를 차지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균 개입 기간은 매년 증가하여 2019년 175.2일, 2020년 202.1일, 2021년 205.1일로 확인되었다. ▪결론: 정신건강사례관리시스템(MHIS) 및 집중사레관리 서비스(ICM) 기반의 사례관리 서비스 분석을 통해, 코로나19로 인한 영향 속에서 서울시 25개 자치구 기초 정신건강복지센터 사업 수행 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만, 지역사회 정신건강 사업의 중심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전문 인력에 대한 제도적·행정적 지원, 핵심 기능 및 역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며, 적절한 환류 체계 및 서비스 환경 조성 마련을 위한 다양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주요용어: 정신건강사례관리, 정신건강사례관리시스템, 집중사례관리, 정신건강복지센터

      • KCI등재

        공공 사례관리자의 지식과 기술수준에 관한 연구 - 경력과 교육, 상급자 지지의 영향을 중심으로 -

        최지선 한국사례관리학회 2014 사례관리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 사례관리자가 스스로 평가하는 지식과 기술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그 영향요인으로서 경력, 교육, 상급자 지지의 의미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국 시군구 희망복지지원단 소속 사례관리자 452명이며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자의 사례관리 지식과 사례관리 기술수준은 보통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복지업무 경력이나 사례관리 교육이수 시간의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사례관리자가 인식하는 상급자 지지수준이 높을수록 사례관리 지식과 사례관리 기술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공 사례관리자 교육에 있어서 프로그램 기획개념의 도입, 희망복지지원단 팀장 역량강화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