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랑과 공격성에 관한 정신분석적 고찰과 치유상담

        안석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2

        본 논문은 사랑과 공격성에 대한 정신분석적 성찰에 관한 글이다. 사랑과 공격성은 정신분석의 고전적 주제이다. 그 이유는 사랑과 공격성은 대개 무의식의 세계와 깊이 연결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 안에서 사랑과 공격성을 결정짓는 추동의 세계, 무의식적인 체험과 환상의 세계, 현재 인간관계의 원형이 될 수 있는 심리내적 대상관계, 사랑과 공격성과 관련된 자아와 초자아의 기능 등에 대해 우리자신을 파악할 때 우리는 우리자신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랑은 공격성을 중화하고 통합할 수 있을까? 만약 그렇다면 어떻게 사랑은 공격성을 끌어안을 수 있다는 희망에 대해 우리는 말할 수 있는가? 사랑에 빠지는 역량은 커플 관계에 기초가 되는 초석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우선, 사랑에 빠지고 커플 되는 과정에 있어서 투사적 동일시의 위치를 살펴보았다. 본 소고는 커플관계의 감정적 양가성의 차원에 한정하여 사랑과 공격성을 살펴보았다. 언제 공격성이 나타나는가? 우리는 커플관계를 위협하는 공격성과 공격성의 이중의 의미, 대상을 향한 공격성, 시간적 차원에서 나타나는 공격성을 연구하였다. 특히 공격성은 커플이 공유한 시간적 차원에서도 다음과 같이 나타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노화와 질병에 대한 두려움, 파트너에게 매력을 잃게 되는 것의 두려움, 상대에게 과도하게 의존하는 것의 두려움, 다른 누군가에게 버림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자신이나 파트너의 신체건강에 대한 무모한 무관심으로 나타나는 시간의 현실을 무시하거나 부인하려는 무의식적 경향성은 모든 원천에서 비롯된 공격성이 드러나는 장이 될 수 있다. 그 후 우리는 성숙한 커플관계와 초자아의 기능, 용서할 수 있는 역량으로서 성숙한 초자아, 초자아의 기능과 사랑이 발달하고 지속되는 방법으로서의 감사, 자기 경계의 초월과 사랑대상과의 하나 됨의 측면을 살펴보았다. 특히 감사는 모든 인간관계를 원만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임을 지적하였다. 정신분석적 측면에서 볼 때 감사는 아주 이른 시기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발달한다. 우리는 초자아의 기능뿐만 아니라, 커플관계의 사랑이 발달하고 지속되는 방법으로서 감사에 대한 정신분석적 의미를 제시하였다. 본 소고는 사랑과 공격성에 대한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고전적 정신분석과 후기 프로이트 학파의 논의 중에서 컨버그(Otto Kernberg)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제한된 연구이나, 사랑이 어떻게 공격성을 중화하고 통합하고 끌어안을 수 있는지를 통찰하게 한다. This research examines love and aggressiveness from a psychoanalytical perspective. Love and aggressiveness are the traditional topics of psychoanalysis since both are related with the unconscious. We can understand ourselves in depth when we realize the drive force of love and aggressiveness, the illusions and the unconscious experiences, the psychological object relations that are the basis of present relationships, and the role of the ego and superego related to love and aggressiveness. Is it possible that love integrates aggressiveness? Being a couple is based on love. First of all, it observes the projective identification in the process that a man and a woman fall in love. It analyzes love and aggressiveness based on the emotional ambivalence of couples. When are they aggressive? It explores aggressiveness threatening the relationship of a couple and its meaning, aggressiveness for objects, and aggressiveness connected with time. Aggressiveness is associated with time that a couple has shared. As a result, aggressiveness appears when they unconsciously ignore and deny the time. Then, it deals with the mature relationship of a couple and the role of superego, mature superego that can forgive someone, thankfulness that can develop and maintain love and superego, and transcendence and becoming one with loving objects. Especially, thankfulness is suggested a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in making good relationships. Psychologically, thankfulness starts to develop in the very early stage of life. It discusses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thankfulness as a means developing and sustaining the love of a couple as well as the role of superego. It focuses on the theory of Freud and Kernberg who belongs to the post-Freudian school. It helps to understand how love can integrate and embrace aggressiveness.

      • KCI등재

        초기불교의 자기사랑에 관한 고찰

        안양규(An, Yang-Gyu)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6

        자기사랑에 대한 논의는 자기사랑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긍정적으로도 진행될 수 있고 또는 반대로 비판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고에선 자기사랑을 긍정적인 의미로 이해하여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나고 있는 자기사랑에 대한 정의를 살피고 자기사랑을 불교의 주요 교리와 연관하여 논의하였다. 붓다에 의하면 진정한 자기사랑은 결코 다른 존재를 해치지 않는 마음을 전제하고 있다. 자기 사랑은 적어도 다른 존재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것이며 적극적으로는 다른 존재의 행복을 염원하는 것이다. 초기경전에선 자애(自愛, atta-piya)라는 표현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자기자신에 대한 사랑을 적극적으로 가르치고 있다. 붓다는 자기사랑을 자기 보호, 자념(自念), 자애념(自愛念), 자기이익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가르치고 있다. 우리는 경전에서 자기 자신의 중요성을 다루고 있는 내용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자기사랑이 부정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자기사랑이 바른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가르치고 있다. 자신 내지 자신의 몸을 사랑하는 것은 본능적인 것이다. 붓다는 이러한 본능적인 자기애를 먼저 인정하고 있다. 일체 생명이 갖추고 있는 자기애는 악행으로 갈 수도 있고 선행으로 갈 수도 있는데 붓다는 진정한 자기애는 선행에서 완성된다고 가르치고 있다. 연기관과 자타불이의 관점에서 본다면, 자리와 이타가 모순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상호 호혜의 관계에 있다. 붓다는 자리가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일방적인 자기희생이 장려되지 않는다. 붓다가 건강한 자기 사랑을 부정하지 않지만, 동시에 무아(無我)를 가르치고 있다. 무아는‘나’라는 배타적인 자아의식과 그릇된 자아 애착을 부정하고 있다. 자아 애착의 소멸은 자타(自他)의 차별과 분별(分別)이 사라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아의 지각을 통해서 자만심을 소멸시킨다는 것이며 ‘아만심’의 소멸을 통해서 열반을 성취한다. 궁극적으로 무아에서 자아 애착이 부정되고 열반에서 자기사랑이 완성된다. Depending on how one understands self-love, discussion on self-love can be a one or a negative one. In this paper, I look at self-love from a positive perspective as it appears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This paper focuses on two main features: 1) Buddhist definition of self-love, 2) discussion on self-love in relation to the major doctrines of Buddhism such as non-self and so on. According to the Buddha, true self-love includes “never doing harm to other beings.” Self-love never excludes wishing happiness for other beings, not to mention welfare for oneself as well.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we find expressions such as “self-love” (atta-piya), “self-protection” (atta-rakkhita), self-concern, “self-loving concern,” and “self-interest.” These expressions represent the Buddhas positive teachings on self-love. We come across the Buddhas words on self-importance, which emphasizes self-reliance and self-discipline. The Buddha never denies self-love but instead teaches that self-love should proceed in the right direction. The Buddha recognizes the instinctive self-love first and then teaches that true self-love leads to love for others. From the point of view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non-dual teaching, ones self and others are not separate but connected. They are in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not in contradiction. The Buddha does not negate healthy self-love, but at the same time teaches selflessness (無我). Non-self denies exclusive self-consciousness and egocentric self-love. The disappearance of the ego means the extermination of discrimination between oneself and others (自他). Self-attachment or pride disappears through perceptions of the non-self, and nirvana is achieved through the disappearance of the “ego.” Ultimately, denial of self-attachment appears in non-self; self-love is completed in Nirvana.

      • KCI등재

        Harry G. Frankfurt의 사랑의 개념과 역할

        김대현(Kim, Dae-Hyu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2 敎育思想硏究 Vol.26 No.3

        이 연구에서는 Frankfurt의 저서에 나타난 사랑의 필수 조건과 삶에서의 역할을 알아보고, 그의 주장에 대해 여러 학자가 제기한 비판의 타당성을 검토한 다음, 마지막으로 그의 견해가 갖는 교육적 시사점을 찾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사랑의 필수 조건은 사심없는 관심, 동일시, 구체적인 대상 지향, 자발적인 통제 불가능이며, 사심없는 관심과 동일시는 서로 긴밀한 연관을 가져서 하나로 묶을 수 있다고 보았다. 사랑이 삶에서 갖는 역할은 사랑이 삶의 최종 목적을 부여함으로써 규범의 원천이 되며, 이를 통하여 실제적 이성의 방향을 안내하고 인간을 권태로운 삶에서 건져 올려 자율적인 존재가 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데 있다. 하지만 Frankfurt의 견해는 사랑받는 대상의 가치 요소를 배제한 점, 자연주의적 태도와 이에 따른 사랑의 정서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를 경시한 점, 인격 형성에서 내면의 갈등이 지닌 긍정적인 힘을 무시한 점, 비유적 화법의 남용에 따라 일부 핵심 주장이 명확하지 않은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사, 학생, 학부모는 사랑을 통하여 즉각적인 목표에서 벗어나서 삶의 최종 목적을 가지며 실제적 이성에 따라 행동할 것, 상대방이 지닌 가치를 기반으로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사랑함으로써 상대방에게 가치를 부여할 것, 상대방의 행복을 위하여 사심을 버리고 자신을 희생할 것, 학생 한 명 한 명 구체적인 대상을 사랑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essential conditions and functions of love in life from Frankfurt’s work, examine validity of critiques to his assertion by other scholars, and find out educational implications in his thought.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essential conditions of love included disinterestedness, identification, particular, and volitional necessity and the first two are closely interconnected to be categorized into one. The function of love in the life was that it was a source of every norm by imposing ultimate purpose of life, and in turn empowering one to be an autonomous being, saving him/her from boredom. His thought had been criticized for that it excluded cognitive elements for value of loved objects, it ignored naturalistic attitude and affective and social elements from the attitude, it excluded positive force of inner conflict in personality formation, and some points in his opinion was not clear by too much figurative expression.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for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to have not immediate purpose but ultimate purpose in life, behave according to practical reason, value someone by love instead of love based on someone’s value, sacrifice oneself with disinterestedness for other’s happiness, and love each particular student, not as a whole.

      • KCI등재

        Sternberg ‘사랑의 삼각이론’에 따른 기독교인 부부의 사랑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

        김선희,오오현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3

        본 연구는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기독교인 부부의 사랑 형태 변화에 대하여 결혼 지속 연수, 신앙 지속 연수, 성별에 따라, 배우자에 대한 사랑이 어떻게 변화하 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대상자 집단을 ‘가족생활 주기’ 단계로 나누어서 횡단적 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K시에 거주하는 기독교인 여성과 남성 445명을 대상으로 사랑의 삼각형 척도 검 사(Triangle Theory of Love Scale : TTLS)를 실시하였다. 20대에서 70대까지에 걸 친 포괄적인 연령대를 연구대상으로 취하여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하여 SPSS V. 12, 0을 사용하여 척도 결과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랑의 3요소 가운데 헌신요소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열정 요소의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결혼 지속연수 6-10년의 집단에서 사랑의 구성요소인 친밀감과 열정, 헌신요소와 요소별 합계점수가 다른 집단에 비해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셋째, 기독교인 부부의 사랑을 측정에 있어 결혼 지속연수 보다 신앙 기간의 의미가 크게 부각 되었다. 넷째, 여성에 비해 남성의 사랑의 요소별 합계점수 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기독교인의 결혼 및 신앙지속연수에 따른 사랑형태 변화를 살펴보았는데 신앙지속연 수에 따른 차이가 더 분명하게 나타났으므로 기독교인 부부의 사랑을 연구에 있어 신 앙지속연수와 결혼지속연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야 한다. 둘째, 본 연구의 연구대상 자는 현재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으며 기독교 신앙을 갖고 있는 기혼여성과 남성이 었다. 그러므로 부부가 같은 신앙인인지 아닌지를 구별할 수 없었다. 따라서 부부 단 위로 부부 상호 간의 사랑을 측정해 보거나 부부 신앙 여부에 따른 연구도 필요하다 고 본다. 셋째, 본 연구는 기독교인에 한하여 조사한 것이므로 일반인들과의 직접적인 비교 분석이 되지 않았다. 가족생활주기와 결혼 기간의 변화에 따른 양상을 같은 설 문지로 검사하여 연구한다면 좋은 비교 분석 연구가 될 것으로 위와 같이 제안한다. This research enforced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love of spouse changes according to marriage duration, the period of faith and the gender. We carried out cross-sectional analysis, splitting the subject of study up by 'the Family Life Cycle'. We executed the Triangle Theory of Love Scale Test to 445 Christian women and men who are living in City K. We took the comprehensive age group from 20's to 70's as the subject of study and did the survey. And we analyzed the measure of outcome using SPSS V. 12,0. The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First, out of three elements of love 'Commitment' scored the highest whereas 'passion' scored the lowest. Second, The group of marital duration for 6~10 years got the highest score than the rest of the group. The score includes that of intimacy, passion and commitment and the score of each elements combined. Third, when we measured the love of christian couple, significance of the period of faith stood out as compared to marital duration. And last, men got higher score of each elements of love combined than women. Here are some proposal for a follow-up study. First,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modification of love according to christian marriage and the period of faith. The period of faith made more difference. Therefore when you study love of christian couples, you should analyze the correlation of period of faith and marital duration. Second,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are christian women and men who are currently married. We couldn't know if their spouse are same believer as well. Thus we need to measure love of couple's interaction with marital unit and study with their spouse's religion status. And lastly, this research examined only christian people, a direct compairing analysis with the general public wasn't made. If you examine aspec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family life cycle and marital duration with same survey, it would be a great comparing analysis research. We suggest as above.

      • 생명사랑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인식 분석

        강민옥 인지발달중재학회 201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3 No.1

        본 연구는 유아와 교사의 생명사랑에 대한 인식수준을 분석하고 나아가 생명사랑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인식수준 차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유아 285명과 교사 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사랑에 대한 유아의 인식수준은 사랑의 요소 간에 차이가 있 으며, 생명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가장 높고, 생명에 대한 가치관과 존중의 정도가 낮다. 또 이러한 인식수준의 성별 간 차를 보면 전체적으로 여아가 남아보다 높으며, 구체적으 로 보면 생명사랑의 하위요인 중 존중과 관심에서 여아가 높으나 판단, 실천, 가치에서 는 차이가 없다. 둘째, 생명사랑에 대한 교사의 인식수준은 사랑의 요소 간에 차이가 있 으며 교사는 생명에 대한 가치의 인식 수준이 가장 높고, 또 존중, 실천, 판단, 관심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명사랑에 대한 인식수준은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없다. 그러나 이러한 차는 생명사랑의 하위요인 중 관심에서는 5년 미만의 교사가 5년 이상의 교사보 다 더 높다. 셋째, 생명사랑에 대한 유아와 교사 간 인식수준의 차는 관심에서는 유아가 더 높으나 다른 요소는 모두 교사가 더 높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유치원에 재원중인 285명의 3세, 4세, 5세의 유아와 교사 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기존 생명존중 설문지(김귀순, 2002; 이희옥, 2005)의 분석과 Fromm (1978)의 사랑의 요소, Sternberg(1988)의 사랑의 요 소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으며, 유아용과 교사용 두 종류로 개발하였다. 설문문항은 크게 생명존중, 생명관심, 생명판단, 생명실천, 생명가치 등 5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 로 6문항씩 모두 3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는 유아교육전 공 대학생과 1:1 면접조사를 하였으며 교사는 설문지를 배포하여 개별적으로 작성하도 록 하였다.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요소 및 변인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유의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생명사랑의 각 요소를 피험자 내 변인으로 하고 유아의 성별, 교사 경력, 유아와 교사 변인을 피험자 간 변인으로 하여 반복측정식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 였다. 그리고 각 집단간 차의 유의성을 구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 KCI등재

        일반눈문 : 깨진 사랑의 정치학 -1930년대 후반의 혁명, 사랑, 이별

        김예림 ( Yerim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7

        사랑의 정치적 의미는 크게 두 방향을 고려하며 탐색할 수 있다.먼저, 사랑이라는 것이 대항 정치적 역능과 가치 자체를 지시하고 의미할 때이다.이 경우 사랑은 국가, 자본, (피)통치 등 중요한 정치철학적 문제와 관련하여 억압성에 반하여 추구되고 구축되어야 하는 가치를 뜻한다.한편 사랑의 정치적 의미는 이와는 다른 방향에서 구축될 수도 있다.사랑은 정치적인 정황, 사안, 관계가 반영되거나 표현되는 장이기도 하기 때문이다.이 글은 현실을 반영하는 것으로서의 사랑을 ‘번역으로서의 사랑’이라 명명하면서 사랑과 혁명이 맺었던 의미론적 연관을 고찰하였다.사랑은 혁명을, 혁명은 사랑을 경유하여 표현되곤 했다.그러나 이 글에서 주목한 것은 깨진 사랑이다.1930년대 후반에는 혁명의 가능성이 저물면서 마치 시대적 상흔의 기록인 양 깨진 사랑의 서사가 등장한다.좌절된 혁명의 시대에 나온 부서진 사랑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특히 김남천의 「경영」과 「맥」에 주목하였다.이 작품에서 홀로 남은 여성은 그녀를 떠난 남성과 달리 ‘애도의 지속’이라는 윤리를 구현하고 있다.깨진 사랑, 이별한 연인의 표상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조명희와 이광수 그리고 최명익의 혁명-사랑-이별의 서사를 비교적 관점에서 함께 분석하였다. The political meaning of love in modern Korean literature can be analyzed in two ways. First, love represents the counter-force against dominant powers. It is a value that should be pursued and instilled as a form of resistance against the oppression of the state, the capital, and the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love is also a semantic horizon within which social situations and political relationships are depicted and reflected. This study calls the love that mirrors and represents reality “love as translation” and attempts to draw a link between love and the revolution. In literature, love is often expressed and described through the revolution, and vice versa. In particular,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broken love or the parting of lovers. In the late 1930s, stories of shattered love were created to record the injuries of that time when revolutionary dreams were fading. To examine the meaning of broken love in relation to frustrated revolutionary dreams, this paper focuses on KimNamcheon’s Kyungyung(「경영」) and Maek(「맥」). The woman who are left alone after parting from their lover embodies the ethics of “continuous mourning” for her los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representations of revolution, love, and separation by considering the works of Cho Myunghi, Lee Kwangsoo, and Choi Myungik.

      • KCI등재

        에로스에 대하여

        박찬영 ( Chan Young Park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48

        이 논문은 사랑의 본질을 연구한다. 여기서 문제 삼는 사랑은 아가페가 아닌 에로스이다. 사랑은 ‘존재의 승인’이다. 사랑은 ‘통일의 힘’이다.(피퍼) 사랑은 주는 일이며 사랑 안에는 마음-씀, 책임, 존경, 인식이 들어 있다.(프롬) 사랑은 의지이며 모든 가치를 창조하는 원천이다. 사랑이 없으면 우리의 인생은 무의미하다. 우리가 우리 자신을 사랑하는 일은 자연스럽다.(프랑크푸르트) 사랑에 대한 이러한 본질규정을 뒤이어 본 논문은 여러 가지 문제점과 이해하기 어려운 점을 확인하고 해명한다. 사랑이 감정인가 의지인가 사랑과 기쁨의 상관관계 문제, 즐김으로서의 사랑과 노력으로서의 사랑의 문제, 사랑과 인식의 문제, 자기-사랑의 문제가 다루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essences of love, not of agape, but of eros. Love is ‘the affirmation of being’ and ‘the power of unification’. Loving means giving, not receiving. The basic elements of love are care, responsibility, respect and knowledge. And love is the volitional configuration and the originating source of terminal value. Without loves our lives are meaningless. We love naturally ourselves. After these essential remarks on love the article investigates several important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of loving. Is love a feeling or a will The relation between love and pleasure, the problem of love as enjoying and love as effort, the problem of love and knowledge, the problem of self-love are investigated in this article.

      • KCI등재

        막스 셀러의 사랑의 현상학

        이영경 대동철학회 2005 大同哲學 Vol.31 No.-

        사랑의 본질을 철학의 한 주요 주제로 자리매김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것에 관한 탁월한 철학적 통찰을 제시하고 있는 철학자 중 한 사람은 분명 막스 셀러이다. 이 글은 사랑의 본질에 관한 이 막스 셀러의 현상학적 통찰을 현상학적으로 고찰하려 한다. 이때 우리의 탐구 방식은 사랑의 본질에 대한 셀러의 긍정적 규정과 부정적 규정을 천착하는 것이다. 본고는 셀러가 내린 사랑에 대한 긍정적 규정의 핵심을 사랑의 창조성에서 찾는다. 곧 사랑은 사랑하는 사람과 사랑받는 사람이, 그의 고유한 ‘이상적 가치상’, 다시 말하면 진상(眞相)을 구현하도록 돕는 것이다. 그렇다고 사랑은 가치 인식이나 가치 평가도, 또 사랑받는 사람의 진상을 실현시키려는 목적도, 의욕도 아니다. 나아가 사랑은 어디까지나 사랑받는 자의 절대 가치를 감지하는데 뿌리를 내리고 있어야 한다. 여기 뿌리 내리지 있지 않은 ‘사랑’, 예컨대 권태나 자기 회피, 자기 혐오 등에서 연유하는 타자에의 헌신, 곧 ‘이타적 사랑’은 사이비 사랑에 불과하다. 여기서 우리는 진정한 타자애와 진정한 자기애가 모종의 연관 관계를 맺고 있음을 눈치 채게 된다. 나아가 셀러는 참된 사랑은 신적 차원에 오르는 것이고 신적 사랑에 동참하는 것이라 보고 있다. 이렇게 볼 때 타자애와 자기애는 신에 대한 사랑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된다. 그러나 이 문제를 우리는 다음탐구의 과제로 남겨 둘 수밖에 없었다. Dle vorliegende Arbeit versucht, Schelers phaenomenologische Einsicht ins Wesen der Liebe phaenomenologisch darzulegen, die sich in zwei Hinsicht vollzieht: in der positiven Hinsicht und in der negativen Hinsicht. In jener Hinsicht fassen wir das Wesen der Liebe wie folgt zusammen: Die Liebe ist in dem Sinne kreativ, dass sie die Liebende und die Geliebte zum ihren wahren Selbst zurueckkehren laesst. Die Liebe bringt die hoehere und unendliche Wert-Welt ins Tage, die in der natuerlichen Weltanschaung verborgen bleibt. In dieser Hinsicht wird die Liebe wie folgt geklaert: Die Liebe ist kein Werterkenntnis. Sie allein erreicht das absolut intime Selbst des anderen. Sie ist kein Einsfuehlen. Sie richtet sich ursprunglich auf den Werttraeger. Endlich mussen wir bekennen, dass die vorliegende eine unvollendete Untersuchung ueber die Liebe bei Scheler ist. Sie haetten ins Auge bringen muessen, in welchem Zusammenhang die Selbstliebe, die Fremdeliebe, die Gottesliebe steht. Ausserdem haetten sie ‘ordo amoris’ und den Zusammenhang zwischen dem Schelers Verstaendnis ueber die Liebe und dem christlichen darlegen mussen. Diese ausser Auge gelassene Thematik wird hoffentlich in unserer naechsten Untersuchung behandelt.

      • KCI등재

        칸트와 헤겔의 철학에서 사랑과 존경

        김석수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6 철학논집 Vol.44 No.-

        사랑과 존경이라는 감정은 우리의 삶의 행복을 위한 필수적 조건이다. 그러나 사랑하지만 존경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존경하지만 사랑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사랑이 안겨주는 아픔 때문에 존경을 택하는 경우도 있고, 존경이 안겨주는 아쉬움 때문에 사랑을 택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인간은 이들 중 어느 하나만으로 살아갈 수 없다. 그래서 사람들은 사랑과 존경을 함께 갖추려고 한다. 그런데 사랑은 주로 미적 감정에 기초하고 있다면, 존경은 도덕적 감정에 기초하고 있다. 칸트의 경우, 미적 감정으로부터 도덕적 감정으로 나아가는 길을 택하고 있으며, 따라서 사랑에서 존경으로 향해 있다. 물론 그는 존경의 완성을 위해서 ‘자애’를 넘어 ‘실천적 사랑’을 주장하며, 또한 사랑과 존경을 조화시키기 위해 ‘도덕적 우애’를 강조한다. 그러나 헤겔이 보기에 칸트의 이런 시도는 사랑과 존경을 양립시킬 뿐 이들을 진정으로 사랑다운 사랑, 존경다운 존경으로 지양시켜내지 못하고 있다. 헤겔은 계몽주의와 낭만주의를 변증법적으로 종합하려고 하듯이, 그는 칸트 안에 작동하고 있는 사랑과 존경의 일면성을 비판하고 이를 지양시켜내려고 한다. 그래서 그는 사랑보다 존경에 더 비중을 두는 칸트의 자율성 철학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더 철저한 사랑을 통해 존경과 변증법적 종합을 이루어내려고 하며, 이를 통해 연대성의 철학으로까지 나아가려고 한다. 오늘날 자유주의적 시각이 낳고 있는 고립된 자아들의 문제를 풀어가기 위해서는 헤겔적인 시각이 더 많이 요구되기도 한다. 그렇지만 헤겔적인 이와 같은 시각이 강화되면 칸트적인 자율성이 뿌리내리고 있는 존경 감정의 긍정성이 위기에 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우리는 칸트의 존경 중심의 자율성과 헤겔의 사랑 강조의 연대성을 새롭게 종합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회칙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 (DEUS CARITAS EST)”에 대한 윤리 신학적 소고

        김정우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7 가톨릭신학 Vol.0 No.10

        The modern suprematism on development, the excessive possessiveness and the ascendandy of human being brougt the matters of poverity in our society, so that the poor have been living in the suffering. The Church as sacrament of Caritas for the human, since its early stage, has put the preferential option for the Caritas in practice. However, one may consider that the Church would abandon its universal mission, if the Church were to make such an option. In this point of view, by investigating the Moral theological foundation of the Encyclic "Deus Caritas Est" of Pope Benedict XVI., this thesis tries to show that this social teaching keeps up the continuity within traditional Catholic social teaching. In the Bible, the poor means especially those who are economically deproved, who are socially estranged. Jesus Christ accepted the poor as the primary recipient and promised the kingdom of God. In other words, God has mercy on the poor for the proverty is misery and the poor is suffering with the structual injustice. The preferentiial option for the Caritas does not mean the exclusive choice, but the preferential choice, so that there is nobody who is except from its option and Caritas. This preferential Caritas implies the preference of God's love. In fact, the preferencial love of God and His love can be seen in the parables of Good Samaritan (Luke 10,29-37), the Last Judge- ment (Matt 25,31-46), and Lazarus and Rich Man (Luke 16,19-30). God loves all unconditionally, but preferencially the Caritas. For the Caritas in virtue of their suffering and conflicting of human dignity would be reguested an more urgent and radical need than others. That is why, God primarily takes care of the Caritas in Fathers Charity. The preferential option is very theological result which is produced through the Church pays attention to God's love for the Caritas. The Church has been sent by Jesus Christ. The Church has to selflessly serve human beings in our society, With the Church 's mission to serve the Caritas and society moreover, when the Church practices the option for the Caritas, this option may realize God's will in our society. In doing so, our society would be a fraternal community. The evangelical claim for the Caritas, in fact, would lead the preferential option for the Caritas. There is, I would like to point out, Jesus Christ's compassion for the Caritas at the core of this option. When the Church treat a human being with the compassion, nomatter one is rich or not, and whether powerful or not, she may accept a weak human being. Futher- more, this compassion may make the Church serve to the Caritas. Conse- quently, the preferential option for the Caritas is a norm or a touchstone which can measure the Church as the prolongation of Christ's mission. We may say, therefore, the preferential option for the Caritas is a part of the essential activity in the Church. 삼천년기를 향하는 가톨릭 교회는 저명한 학자이며 시대적 혜안(慧眼)을 지닌 새로운 교회의 목자로 교황 베네딕토 16세를 맞이하였다. 이 사실은 삼천년기를 향해 나아가는 교회의 최고 목자로서 시대적 징표를 읽고 이 시대가 요구하는 교회상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최고의 적임자를 하느님께서 교회에 선물로 주셨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반영하듯 새 교황님께서는 교황 즉위이후 첫 회칙을 반포하셨다. 그러나 이 회칙은 일반의 기대와는 달리 의외의 내용을 담고 있는 대사회 회칙이었다. 이렇게 의외의 회칙을 반포하게 된 이유는 오늘날 교회가 처한 상황에 그 이유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스도교는 하느님의 사랑에 의해 시작되었고 그 사랑에 응답하는 사람들의 모임이고 그 사랑을 살고, 그 사랑 안에 머물며, 그 사랑을 선포하고 증거하며, 그 사랑에로 불리움을 받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곳이 교회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그리스도교는 사랑의 종교이고, 사랑을 바탕으로, 사랑을 실천하는 종교이다. 또한 2000년 교회가 지금까지 세상에 선포해 온 가장 중심적인 내용도 사랑일 것이다.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으로부터 흘러넘치는 사랑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드러난 사랑을, 성경을 통해서 전달되어진 사랑을 바탕으로 그 사랑을 살고, 전하며 사랑의 종교임을 외쳐온 것이 그리스도교이다. 하지만 2000년 역사를 반성해 볼 때 사랑을 외치면서도 현실적인 삶에서 가장 잘 실천하지 못한 삶이 있다면 그것은 사랑이기에 이런 사랑의 의미가 교회의 역사 안에서 그리고 오늘날 교회 안에서 뿐만 아니라 교회 밖에서도 그 의미가 뚜렷이 드러나지 못하고, 제도로서의 교회 안에 안주하면서 그 사랑의 실천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인해 생겨나는 많은 문제들을 오늘날 교회가 직면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해 오늘날 서구교회 뿐만 아니라 세계 도처에서 드러나고 있는 종교에 대한 외면과 반 그리스도교적 정서를 직시할 때, 과연 교회가 오늘날 시대에 시급하게 실천해야 할 교회의 진정한 역할이 무엇인가를 고민하게 되고 새로운 교회상(敎會像)을 확립해야할 시급한 시대적 요청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회칙이 반포된 주된 이유는 그리스도교적 사랑의 의미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그 배경에는 2000년 교회에 대한 반성과 삼천년기를 살아가야 할 교회의 방향 설정뿐만 아니라 이 시대에 필요한 교회상을 제시하기 위한 의도가 자리 잡고 있으며, 또한 이 사랑의 회칙을 통해 교회 스스로의 반성과 아울러 미래 지향적인 사랑 실천의 장소로서의 교회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취지에서 교황님은 이 회칙 안에서 교회의 삶의 근본원칙인 사랑의 중요성과 가치를 재인식시킴으로써 삼천년기를 향해 나아갈 교회의 미래지향적 방향 설정을 제시하신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교황님은 사랑이 너무 흔하게 쓰이고 있어 그 말을 담기조차 두렵지만 사랑의 본질을 드러내기 위해 다시 한 번 숙고해야 하며 사랑이 우리 삶을 비추도록 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첫 회칙 주제로 ‘사랑’을 선택하였다고 하시며 사랑을 첫 회칙의 주제로 선택하신 이유를 회칙 서두에서 설명하고 있다.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라는 회칙을 연구하면서 느낄 수 있었던 것은 바로 교황님의 교회와 세상에 관한 관심과 염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