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울과 분노와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인지 내용 중 자기비난과 의존성의 매개효과 : 대학생을 대상으로

        김수연 ( Kim Soo Yeon )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9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증과 분노에 공존하는 비합리적 신념의 인지 내용 중 자기비난과 의존성의 관점에서 우울이 비합리적 신념을 매개로 하여 분노를 유발하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남녀 대학생 371명을 대상으로 우울· 비합리적 신념· 분노 척도로 구성된 설문 조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을 검증하기 위하여, 첫째, 우울· 비합리적 신념· 분노를 잠재 변수로 구성하고, 잠재 변수를 구성하는 관측 변수(심리적 우울, 생리적 우울, 자기비난, 의존성, 예민성, 실망감)가 타당하게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적 요인 분석으로 검토했다. 결과, 잠재변수를 구성하는 관측변수는 타당하게 구성되었고, 측정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을 독립 변수, 비합리적 신념을 매개 변수, 분노를 종속 변수로 한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구조모형 분석으로 살펴보았다. 결과, 우울은 비합리적 신념을 매개로 하여 분노에 영향을 끼치는 간접 요인으로 나타나, 비합리적 신념의 완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든 비합리적 신념의 인지 내용이 우울의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고, 비합리적 신념의 인지 내용에 따라 비합리적 신념의 역할은 다르게 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우울과 분노에 공존하는 자기비난과 의존성의 관점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우울과 분노 조절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aspect of the dependency and self-criticism of irrational beliefs coexisting in depression and anger, to investigate whether depression causes anger by mediating irrational belief. To this end, To this end, the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depression, irrational beliefs, and anger were conducted targeting 534(male: 214, female:329) of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ver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depression, irrational beliefs, anger are composed of latent variables. And the observation variables(psychological depression, physiological depression, self-criticism, dependency, sensitivity, disappointment) that constitute latent variables are to see whether was set validly, it was conducted to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the six observation variables were respond properly to latent variables, the measurement model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we set up a model with depress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irrational belief as a mediate variable, anger as a dependent variable.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irrational belief as a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As a result, depression appears to be an indirect factor affecting anger through the media of irrational beliefs, an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irrational beliefs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cognitive content of all irrational beliefs is the cause of depression. that is, it suggest the role of irrational beliefs may work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gnitive content of irrational beliefs. This study was contributed the theoretical basis for developing depression and anger control programs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irrational beliefs, in terms of self-criticism and dependency coexisting in depression and anger.

      • KCI등재

        남녀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

        최미경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irrational beliefs,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A sample of 288 1∼3th junior high school students(133 male and 155 female studen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on the levels of irrational beliefs,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career matur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basic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 multipl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iken and West's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interactive model's modality. It was adapted to SPSS version 19.0 for Window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rrational beliefs, as well as communication with parents was a predictor to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Secon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on career maturity; that is, for male student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between irrational beliefs(Deterministic belief/Overcarefulness and aversive belief/ Overdependent belief),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on career maturity(Career determinacy). For female student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between irrational beliefs(Overcarefulness and aversive belief/ Overdependent belief), and communication with father on career maturity(Career readiness/Career determinacy). Thes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possible intervention in relation to communication with parents levels and to improve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과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각각 진로성숙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나아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과 부모와의 의사소통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1-3학년생 총 310명(남학생: 133명, 여학생: 1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288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남녀 학생들은 비합리적 신념, 부모와의 의사소통, 그리고 진로성숙도에 관한 설문지에 답하였다. 데이터는 기초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 중다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통계처리 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비합리적 신념,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부모와의 의사소통의 하위변인 가운데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그리고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인 진로준비와 진로결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남녀학생 모두 비합리적 신념이 높을수록 아버지, 어머니와 문제적 의사소통을 많이 하였으며, 남학생은 아버지와, 여학생은 아버지, 어머니와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적게 하였다. 셋째, 남녀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의 하위요인들은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 가운데 진로결정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남학생은 아버지, 어머니와의 문제적 의사소통과 진로결정 간에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어머니와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진로결정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끝으로, 남학생의 경우, 비합리적 신념의 하위요인인 과잉 염려 및 회피적 신념, 과잉 의존적 신념과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비합리적 신념의 모든 하위요인인 결정론적, 과잉 염려 및 회피적 신념, 과잉 의존적 신념과 아버지와의 문제적 의사소통이 상호작용하여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인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여학생의 경우, 비합리적 신념의 하위요인인 과잉 염려 및 회피적 신념, 과잉 의존적 신념과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상호작용하여 진로준비에 영향을 미쳤으며, 과잉 염려 및 회피적 신념과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상호작용하여 진로결정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비합리적 신념과 부모와의 의사소통의 관련성을 파악하였으며, 나아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부모와의 개방적인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비합리적 신념과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낙관성의 매개효과

        권미소,오인수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敎育問題硏究 Vol.28 No.1

        This study identified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career maturity in terms of developmental perspectives. The effect of irrational belief, inverted narcissism and optimism on career maturity was examined. In particular, the inverted narcissism and optimism was postulated as mediators between irrational belief and career maturity. 312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survey was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a mediation analysis including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 with hierarchical regression. The inverted narcissism was found as a perfect mediator between irrational belief and career maturity, while optimism was found as a partial mediator between irrational belief and career maturity. Implication for effective career counseling was discussed and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는 진로문제를 발달적 관점에서 주목하고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요인의 규명과 함께 그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으로 비합리적 신념, 내현적 자기애 및 낙관성을 상정하고, 비합리적 신념과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대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비합리적 신념, 내현적 자기애, 낙관성, 진로성숙의 관계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비합리적 신념과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는 완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낙관성은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갈등과 부적응 행동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

        양수향,백지숙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2 청소년시설환경 Vol.20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갈등과 비합리적 신념, 부적응 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갈등과 부적응 행동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M시에 위치한 3개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과 2학년 학생 413명(남학생 206명, 여학생 207명)으로, 자녀가 지각한 부모 갈등 척도, 한국판 청소년 자기 행동 평가척도, 비합리적 신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7.0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되었다.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갈등과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 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갈등은 비합리적 신념, 내재화 문제, 그리고 외현화 문제와 유의한 정적관계를 나타냈으며, 비합리적 신념은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와 유의한 정적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갈등과 내재화 문제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비합리적 신념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갈등과 외현화 문제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비합리적 신념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축구선수의 비합리적 신념 도출

        임송이 ( Song Yi Im ),윤영길 ( Young Kil Yu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2 No.4

        목적: 본 연구는 축구선수의 비합리적 신념을 도출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152명의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개방형설문을 통해 축구선수의 신념을 수집하고, 축구지도자와 스포츠심리학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전문가회의와 선행연구 기반의 합리성 기준을 적용해 신념의 합리성을 판단한 후 축구선수의 비합리적 신념을 도출하였다. 결과: 축구선수의 신념으로 1,064개의 원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의미의 공통성과 유사성을 반영해 100개로 축소하였다. 축소된 100개의 축구선수 신념은 전문가회의를 통해 목표달성 강직성, 비논리성 및 비합리성, 파국적 사고를 비합리성 기준으로 설정하고 설정한 기준에 따라 비합리적 신념 여부를 판단하였다. 설정한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신념은 제외하고 세 가지 기준 모두에 해당되는 신념을 비합리적 신념으로 도출하였다. 축구선수의 비합리적 신념은 부상당하면 안 된다, 실수하면 안 된다, 퇴장당하면 안 된다, 득점해야 한다, 실점하면 안 된다, 무실점해야 한다, 패배하면 안 된다, 멘탈이 무너지면 안 된다. 등 8가지로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토대로 축구선수의 신념에 대한 이해의 폭과 깊이를 확장하는 동시에 운동선수의 비합리적 신념의 교정에 관심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rrational beliefs of football players. Methods: In this study, 152 football play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football players’ irrational beliefs were derived by open-ended questionnaire and judging whether to adopt irrational beliefs based on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the study, 1,064 raw data were collected as the beliefs of football players, and 100 football player beliefs were derived by accumulating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commonality and similarity of meanings. 100 football player beliefs, only beliefs that satisfy all of the criteria, such as whether it is goal-setting rigidity, illogicality and unreality, and the catastrophizing were derived as irrational beliefs. Results: The irrational beliefs of football players are ‘never get injured’, ‘never make a mistake’, ‘never be red carded’, ‘never lose, ‘never lose goal’ ‘must make a goal’, ‘never lose even one goal’, ‘never be meltdow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beliefs as affect the performance of football players and hope actively discuss the correction of beliefs.

      • KCI등재

        대학생의 비합리적 신념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의 매개효과검증

        하수경(Ha, Su Kyung)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1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비합리적 신념이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에게 발표불안 척도, 비합리적 신념 검사,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 성취동기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중다회귀 분석과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대학생의 발표불안,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자기효능감, 성취동기 점수는 평균 이상의 점수를 보였다. 둘째, 발표불안은 비합리적 신념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성취동기와 비합리적 신념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는 비합리적 신념과 발표불안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대학생들은 비합리적 신념이 높을수록 발표불안이 높고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는 낮았다. 또한, 비합리적 신념이 발표불안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발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동기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on relationship irrational beliefs and speech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measurements used for this study are Irrational Beliefs Test, Social Self-Efficacy Scale, Achievement Motivation Test and Speech Anxiety Test. This study used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Baron & Kenny’s metho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rrational beliefs, social self-efficacy, achievement motivation and speaking anxiety are scored above average. Second, Speech Anxiety and irrational belief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ut social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ir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relation of irrational beliefs, social self-efficacy, achievement motivation and speaking anxiety, social self-efficacy variable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among all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social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mediated partially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speaking anxiety. By looking at these results,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more speech anxiety as they have high irrational beliefs, as they have low social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re is a pract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that irrational beliefs, social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were found to be very important as an mechanism to reduce speech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Finally, a limit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KCI등재

        한국판 비합리적 수행신념 척도(iPBIK) 타당화 연구

        조화준(Hwa Jun Cho),박경애(Kyung Ae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5

        목적 본 연구에서는 원래의 영국판 28문항 iPBI를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반영한 한국판(iPBIK)을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비합리적 수행신념 척도(irrational Performance Beliefs Inventory: iPBI)는 성취, 실패 등과 같은 수행환경에서 비합리적 신념을 측정하기 위해, Ellis의 현대 합리적 정서행동치료(REBT) 이론에 근거해서 개발된 척도이다. 방법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전현직 교사 296명에게 온라인 설문 방법으로 번안된 비합리적 수행신념, 한국판 일반적 태도 및 신념, 정서적 스트레스를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 자료를 바탕으로 iPBI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병행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SPSS 29.0과 AMOS 29.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당위성 신념, 감내력 과소평가 신념, 파국화 신념, 자기비하 신념의 4요인 구조 28문항이 확인되었다.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사용한 1차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표준회귀계수가 낮은 8문항을 확인하였다. 2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20문항 iPBIK를 최종 모델로 선정하였다. 모델의 적합도는 오차항 분산을 허용함으로써 향상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iPBIK는 기존의 비합리적 신념 척도인 일반적 태도 및 신념 척도(GABS-K)와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불안, 우울, 분노를 측정하는 정서적 스트레스 척도와도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그리고 내적일관성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나 iPBIK는 신뢰도가 높고 타당한 척도임이 지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직장, 군대, 스포츠, 학교 등과 같은 수행환경에서 구성원들의 비합리적 신념이 정서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인지적 취약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iPBIK는 이러한 비합리적 신념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validate the original British version of the 28 items iPBI as a Korean version (iPBIK) reflecting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irrational Performance Beliefs Inventory (iPBI) is a scale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Ellis' modern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REBT) theory to measure irrational beliefs in performance environments such as achievement and failure. Methods 296 former and current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tested for translated irrational performance beliefs inventory(iPBI), general attitude and belief scale of korean version(GABS-K), and Stress Emotions Scale by online survey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iPBI were conducted in parallel.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9.0 and AMOS 29.0 programs were used. Result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28 items of the four-factor structure of the primary irrational belief, the low frustration tolerance, the awfulizing, and the depreciation were identified. In the firs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eight items with low standard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identified. A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select 20 items of iPBIK as the final model.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l fit was improved by allowing error term variance. Conclusions iPBIK showed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onventional irrational belief scale, the General Attitude and Belief Scale (GABS-K), and also with the Stress Emotions Scale that measures anxiety, depression, and anger, proving its validity. In addition, internal consistency was also found to be high, and iPBIK was supported as a reliable and reasonable measu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embers' irrational beliefs in performance settings such as work place, military, sports, and schools reflect cognitive vulnerabilities related to emotional stress, and iPBIK can be used as a useful tool to evaluate these irrational beliefs.

      • KCI등재

        합리적·비합리적 신념과 무조건적 삶 수용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김모라(Mo-ra Kim),박경애(Kyung-ae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비합리적 신념과 무조건적 삶 수용 사이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성인 750명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합리적·비합리적 신념, 무조건적 삶 수용,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684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상관분석 결과에서 합리적 신념, 무조건적 자기수용, 무조건적 삶 수용의 관계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합리적 신념은 무조건 자기수용, 무조건 삶 수용과 모두 부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합리적 신념과 무조건적 삶 수용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비합리적 신념과 무조건적 삶 수용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합리적·비합리적 신념과 무조건적 삶 수용,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관계와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비합리적 신념을 수정하고 합리적 신념으로 대치시키기 위한 논박과정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확장시켜 무조건적의 수용과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경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be-tween rational and irrational beliefs and unconditional acceptance of life. Method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750 adults in the metropolitan area from October 2022 to December 2022 to measure rational/irrational beliefs, unconditional acceptance of life,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684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rational belief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unconditional acceptance of life all had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irrational belief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unconditional acceptance of life. appear.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onal beliefs and unconditional acceptance of life. Thir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unconditional acceptance of life. Conclusion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and mediating effect between rational and irrational beliefs, uncondi-tional acceptance of life,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is study expand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n the process of refuting irrational beliefs and replacing them with rational belief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a path to increase satisfac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비합리적 신념과 교직 인·적성 관계 연구

        김진영(Kim Jin-Young),성원경(Sung Won Ky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인․적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예비유아교사의 비합리적 신념과 교직 인․적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D시 소재 K대 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학년에서 4학년 학생 279명이다. 비합리적 신념과 교직 인․적성 관계를 알 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비합리적 신념을 측정하기 위해 최정훈과 이정윤(1994)이 재구 성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교직 인․적성을 측정하기 위해 교과부(2013)가 교원양성기관에 배포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SPSS 22.0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 비합리적 신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에 완벽한 해결을 제외한 교직 인․적성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비합리적 신념이 낮은 집단의 교직 인․적성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합리적 신념이 교직 인․적성 전체를 예측하는 설명력은 42.4%였고, 가장 설명력이 높은 비합리적 신념의 하위변인은 문제회피로 설명력은 32.6%였다. 연구결과 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교직 인․적성을 높이기 위하여 교원양성과정에서 비합리적 신념을 유아교 사의 직무역량으로 인식하고 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rrational belief and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as a preliminary data to determine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development. Two hundred seventy nine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 university at D city responded to a irrational belief test and a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test. In order to seek the relationship between irrational belief scores and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score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rrational Belief was measured by the instrument used in Choy and Lee(1994). The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were measured by the Test of Measuring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distribu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2013). Using SPSS 22.0 th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scores between the groups, depending on the irrational belief scores. The group with lower irrational belief score tended to show a higher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score. The predictive power of the irrational belief on the total of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was 42.3%, and the most powerful predictor among sub-components in the irrational belief was the problem avoidance thought variable(32.6%).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ideas for realizing and reducing the irrational belief as a job competence were discussed to promote the teaching personality and aptitude in the teacher preparation course.

      • KCI등재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비합리적 신념 및 자살생각의 관계 -고등학교 재학중인 여학생을 대상으로-

        장은선,김광웅,조유진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stress and irrational belief on suicidal idea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irrational belief's moderating effect on suicidal ide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3 girl students in the 1st and 2nd grade in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ll subjects were tested with Adolescent's Stress Inventory, Irrational Belief Inventory and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SIQ)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AS statistics progra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cale, Cronbach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higher the family stress and self-esteem stress, the more suicidal ideation they have. Secondly, it appears that if the irrational belief is high the suicidal ideation is also high. Thirdly, it shows that the more irrational belief they have in family stress, the suicidal ideation is higher. This research confirms the influence of female adolescent's stress and irrational belief on desire of committing suicide, which is significant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본 연구는 자살생각이 남성보다 여성이 더 높다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여학생 중심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비합리적 신념 및 자살생각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 2학년 여학생 313명이었고, 자료 분석은 SAS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순회귀 및 조절적 중다회귀분석(Multiple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스트레스와 비합리적 신념 및 자살생각의 관계는 가정스트레스, 자아스트레스, 비합리적 신념과 자살생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 중 가정스트레스와 자아스트레스가 청소년 여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었으며, 또한 비합리적 신념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 중 가정스트레스, 자아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살생각을 더 많이 하였으며, 비합리적 신념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청소년 여학생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가정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비합리적 신념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정스트레스가 높은 청소년의 경우 비합리적 신념이 자살생각을 가중시켜 자살생각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비합리적 신념 및 자살생각의 관계를 확인하여 청소년의 자살예방에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