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과 공간구성 요소의 상관성 중요도 연구 - 홈퍼니싱 브랜드를 중심으로 -

        김운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유통환경의 판매 공간에 있어 상품정보의 전달 역할과 판매촉진을 위한 수단으로 한정되었던 비주얼 머천다이징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써 그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급변하는 소비환경에 있어 효과적인 브랜드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고객접점의 최적화된 판매환경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과 공간구성 요소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중요도를 판매 공간사례를 통하여 그 중요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그 중요도에 따라 기업공간의 전략적 접근을 위한 효율적인 판매환경의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먼저 판매전시를 위한 주요 홈퍼니싱 브랜드 공간을 사례로 선정한다. 이어 이론적인 고찰 등을 통해 분석을 위한 평가표 및 이에 들어갈 평가항목 등을 추출한다. 그리고 리커트 척도기준의 정량적 평가 및 수치 결과에 따른 다이어그램 등으로 도식화하며, 정성적 평가를 병행한다. 아울러 평가표의 항목특성 간 상관관계 및 그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해석하고 결론 맺는다. (결과)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사례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은 조화성, 매력성, 유행성, 적합성, 기능성의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고,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공간구성 요소는 FP존, VP존과 HS존, PP존, IP존 순으로 그 중요도의 가중치가 높았다. 이는 조화성과 매력성의 구성요인과 FP존, VP존과 HS존의 공간구성 요소에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계획 시 주안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설명한다. 이에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과 공간구성 요소 간의 상관성에 관한 중요도를 그 가중치에 따라 파악함으로써 판매환경 공간에 있어 우선순위를 두고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들을 인식할 수 있었다. 아울러 고객의 체험을 중심으로 하는 최근의 소비 공간흐름은 비주얼 머천다이징으로 하여금 이전의 단순 판매 전략에서 벗어나 공간마케팅을 위한 전략적 관점에서의 역할을 필요로 한다. (결론) 이와 같이 기업의 브랜드에 의해 제공 되어진 판매 공간은 목적하는 공간마케팅을 위한 활동의 효율과 효과적인 표현전략의 수립을 위해서는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즉,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과 공간구성 요소 간의 상관성에 따른 중요도의 결과를 인식하고, 이를 통해서 브랜드 공간의 중요성을 인지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브랜드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고객접점의 최적화된 판매환경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Visual merchandising, which has been limited to the role of delivering product information and sales promotion in the sales space of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is play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effective communication. This shows that an optimized customer-contacting sales environment is required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the brand in a rapidly changing consumption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of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and spatial components by analyzing sales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efficient sales environment for a strategic approach to corporate space. (Method) First, the main home furnishing brand spaces for sales display are selected as examples. The evaluation table for analysis and the evaluation items are then extract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 quantitative evalu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Likert scale, and the numerical results are displayed in the diagram; a qualitative evaluation is also carried out.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tems in the evaluation table and the weights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are analyzed. (Results) Harmony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visual merchandising, followed by attractiveness, trend suitability, and functionality, while the spatial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had the highest weightage in terms of importance in the FP zone, followed by the VP zone, the HS zone, the PP zone, and the IP zone. This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components “harmony” and “attractiveness” and the spatial components of the FP, VP and HS zones when planning visual merchandis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on the importanc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and the spatial components according to their weights reveals what should be prioritized and considered in the sales environment space. Besides, the recent consumption space trend that focuses on customer experiences requires visual merchandising to play a role in space marketing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beyond the traditional simple sales strategies. (Conclusions) As such, the sales space provided by the company's brand should actively utilize visual merchandising to establish effective expression strategies for the purpose of space marketing.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study results on the importance of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and spatial components, and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brand space. This will be helpful in building an optimized customer-contacting sales environment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the brand.

      • 비주얼 머천다이징과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관계성과 표현전략 대한 연구 - 유통 업태를 중심으로 -

        강희수 ( Kang Hee-soo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1 전시디자인연구 Vol.8 No.4

        유통 업태마다 정체성 정립과 좋은 이미지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전략으로 비주얼 머천다이징이 상품의 공급과잉과 브랜드의 과다한 경쟁 속에서 중요시되고 있다. 비주얼 머천다이징은 머천다이징을 기반으로 인테리어, 그래픽, 디스플레이 디자인을 통해 비주얼 작업이 실행되며 세 분야의 협업으로 스토아 아이덴티티를 나타낸다. 디자인 분야 중 하나인 디스플레이 디자인은 매장의 분위기 조성과 상품 프레젠테이션으로 표현된다. 비주얼 머천다 이징이 전략시스템이라면 디스플레이 디자인은 매장을 통해 머천다이징을 디자인으로 표현하는 전술이라고 할 수 있다. 비주얼 머천다이징과 디스플레이 디자인도 다양한 유통업태마다의 마케팅과 머천다이징의 차이에 반영한 독창성과 차별성으로 고객을 만족시키는 유통채널로써 확립해나가고 있다. The Visual Merchandising, as a strategy for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and good image in every distribution retailer,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the midst of goods and the excessive competition of brand. The Visual Merchandising in which the visual task is being performed through interiors, graphics, display design on the basis of merchandising represents the identity of the store by virtue of the collaboration of these three sectors. Display design, one of the areas of design, is represented by the creation of the atmosphere of shops and the presentation of products. If the Visual Merchandising is a strategic system, the display design can be a tactic to express the merchandising by means of design. The Visual Merchandising and display design are also being established as the distribution channels satisfying their clients with the creativity and the differentiation reflecting the difference between marketing and merchandising of a various type of distribution retailers.

      • KCI등재

        경험디자인 구성요소와 VMD공간 구성요소 간의 상관관계 중요도 사례 연구 - 의류브랜드 공간을 중심으로 -

        김운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3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 rapid changes in consumption spaces have highlighted customer sensitivity. In addition, appropriate space marketing is required in combination with a corresponding amount of design experience. In response to these conditions, company brands want to offer competitive, positive customer experiences. For example, we try to offer excellent products and various customer experiences in store spaces during sales exhibitions. As such, companies are focusing on visual merchandising as a means of experience design, based on consumer sensibility and the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that are necessary to effectively communicate with consumers. This study focuses on experience design based on customer experiences and examines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merchandising and sales promotion through case analysi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visual merchandising based on experience design in sales spaces. (Method) The research methods were selected based on experience design and visual merchandising by finding and selecting major clothing brand cases in exhibition spaces where products are sold. In clothing brands’ sales spaces, which are the locales for customer experience and sales exhibition, the experience design component was applied to analyze the cases that reflect visual merchandising characteristics. In addition, performing quantitative evaluation and diagram analysis on the cases facilitated an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t implic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results. (Results) The study’s results, according to cas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 design components are very important to the item in the order of informativity, sensibility, interactivity, associativity, dynamics, and non-dailiness. The visual merchandising characteristics were weighted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in the order of items such as EP Zone, VP Zone, PP Zone, HS Zone, FP Zone, and IP Zone. This demonstrates that there is a need to re-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and the EP Zone, which is a staging area for experience and information within the store space, based on the consumer experience design. In other words, it is essential to provide new information and experiences in the store that trigger purchasing behavior.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a store space where people can experience products and brands. (Conclusions) In sum, there is a need for a strategic thinking marketing design that considers experience design and visual merchandising for the promotion of sales in sales exhibition spaces through a sensitivity that is rooted in the overall consumer experience. As such,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strategic thinking in the above-described approach to design marketing, the experience design is based on customer sensibility and consumer experiences. This will allow for the establishment of a sales space atmosphere that brings efficiency to a positive consumption and sales environments. (연구배경 및 목적) 급변하고 있는 최근의 소비 공간은 고객의 감성에 주목한다. 또한 이에 부합하는 체험의 디자인으로 적절한 공간마케팅을 필요로 한다. 이에 기업이 만들어낸 브랜드들은 경쟁적으로 긍정적인 고객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테면, 판매전시를 위한 매장공간에서 다양한 고객경험과 더불어 우수한 상품들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의 감성과 지각에 기초한 경험디자인과 이를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써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주력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객체험에 기초한 경험디자인에 주안점을 두고 판매촉진을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중요도를 사례분석을 통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판매 공간에 있어 경험디자인에 기반 한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중요성 인식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먼저 경험디자인과 비주얼 머천다이징을 바탕으로 상품판매를 위한 전시공간의 주요 의류브랜드 사례를 찾아 선정한다. 그리고 고객경험과 판매전시를 위한 의류브랜드의 판매 공간에 있어 경험디자인 구성요소가 적용되어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특성이 반영된 사례를 분석한다. 아울러 사례의 정량적인 평가 및 다이어그램 분석으로 그 결과에 따른 특성과 중요도를 살펴본다. (결과) 사례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경험디자인의 구성요소는 정보성, 감각성, 상호작용성, 연상성, 역동성, 비일상성의 순서로 그 항목에 있어 중요도가 높았다. 그리고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소는 EP존, VP존, PP존, HS존, FP존, IP존의 항목순서로 그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가 높았다. 이는 소비자의 경험디자인에 기초한 매장 공간 내 정보성과 체험의 연출공간인 EP존 등과의 상관관계에 따른 그 중요성을 재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즉, 매장 내 새로운 정보와 경험으로 구매행위를 유발하는 요소의 제공이 필수인 것이다. 또한 상품과 브랜드를 체험하는 매장공간의 제공이 필요한 것이다. (결론) 결국 총체적인 소비자의 체험에 기반 한 감성을 통하여 판매전시 공간에서의 경험디자인과 판매촉진을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관점에서 들여다보는 마케팅적인 전략적 사고의 디자인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경험디자인은 이러한 디자인마케팅의 전략적 사고 관점에서 살펴볼 때 고객감성과 체험에 기초한다. 그리고 이는 긍정적인 소비판매의 환경으로 효율을 가져다주는 판매 공간의 환경구축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 KCI등재

        전략적 체험 모듈과 비주얼 머천다이징 상관관계 중요도 사례 연구

        김운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2

        (Background and Purpose) Based on the theory of consumer behavior, companies are attempting to provide overall experiences using strategic experience modules, which are the starting point of experiential marketing, in the sales spac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cases of sales space planning that have used the space component of visual merchandising for sales promotion based on the strategic experience modules of experiential marketing. The analysis of these cases examines correlation and its impor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ategically recognize and reaffirm the importance of experiential marketing in the business space. (Method) As a specific method of study, firstly, major living and sports brands for sales display are selected as analysis targets for the case study. Next, the evaluation framework and evaluation tables for case analysis are made by extracting the evaluation items through theoretical review. These evaluation items are quantified on the basis of Likert scale for quantitative evaluation and schematized in diagram. The correlation and importance of the factors are analysed for the conclusion. (Resul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showed that emotion was the most important strategic experience module factor, followed by sense, behavior, cognition and relationship while FP was the most important visual merchandising space factor, followed by VP, HS, PP, and IP.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experience was confirmed in the sales space by analyzing the importance of correlation between visual merchandising and strategic experience module as a means of sales promotion. The experiential spaces strategically provided by companies will become even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Also, it showed that the recent consumption spaces revolve around experience. Accordingly, visual merchandising needs to be viewed from the point of view of experience-oriented marketing strategies, rather than the traditional marketing strategies. Likewise, visual merchandising, which has the role as a provider of the right experience, needs to establish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consumers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Conclusion) The changes in the consumption environment due to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emotional value hastened the advent of the so-called experiential economy, which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ustomer experience. In other words, companies and brands stimulate customer emotions through experience and provide special experiences. Through this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y, companies and brands will be able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and earn a key element of differentiation strategy. (연구배경 및 목적) 소비자행동 이론을 바탕으로 기업들은 판매 공간에 있어 전략적 체험 모듈, 즉 체험 마케팅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체험의 요소들을 활용하여 총체적인 체험을 경험하게 하려 시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체험 마케팅의 전략적 체험 모듈 요소를 기반으로 판매촉진 등을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공간구성 요소를 수단으로 하고 있는 판매 공간의 기획사례를 살펴본다. 이러한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상관관계 및 그 중요도를 살펴본다. 그리고 기업공간에 있어 체험 마케팅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하고, 그 중요도에 관해 전략적으로 인식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구체적인 연구의 방법으로써 먼저 사례연구를 위한 분석 대상은 판매전시를 위한 생활·스포츠의 주요 브랜드를 사례 선정한다. 이어서 사례분석을 위한 평가 틀은 이론적 고찰 등을 통하여 평가항목 등을 추출하고, 평가표를 유형화하여 만든다. 그리고 정량적 평가를 위한 리커트의 척도기준으로 수치화 및 다이어그램 등으로 도식화하며, 요소 간의 상관관계 및 그 중요도를 해석하고 결론을 맺는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례분석 결과는 전략적 체험 모듈 요소의 측면에서는 감성, 감각, 행동, 인지, 관계의 순으로 중요도가 있었고, 비주얼 머천다이징 공간구성 요소의 측면에서는 FP, VP, HS, PP, IP의 순으로 그 중요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판매촉진을 위한 수단으로써 비주얼 머천다이징과 전략적 체험 모듈의 상관관계에 관한 중요도를 사례분석을 통하여 체험의 중요성을 매장공간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기업들에 의해 전략적으로 제공 되어진 체험 공간이 앞으로 더 그 의미의 중요성이 배가 될 것이다. 또한 근래의 소비 공간 흐름이 체험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주얼 머천다이징은 이전의 단순한 판매 전략이 아닌, 체험중심의 마케팅 전략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이처럼 올바른 체험 제공자로서의 그 역할을 갖는 비주얼 머천다이징은 소비자와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우호적인 관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결론) 이와 같이 감성적 가치의 중요도 증가에 따른 소비 환경의 변화는 고객 체험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소위 체험 경제의 도래를 앞당겼다. 즉, 기업과 브랜드는 체험을 통하여 고객의 감성을 자극하고,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경쟁관계에서 먼저 우위를 선점할 수 있으며, 차별화 전략의 핵심요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체험 제공 수단과 VMD 구성요인의 상관성 중요도 사례 연구 - 스포츠 브랜드를 중심으로 -

        김운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소비환경은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감성을 효과적으로 자극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체험의 마케팅을 요구한다. 이에 다양한 고객체험을 창조함으로써 감성적 측면을 강조하여 구매를 유도하는 체험 마케팅은 그 주요관점이 과학적 사고체계에서 인간의 체험으로 옮겨지고 있는데,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이미 그 효과가 입증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기업들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자 신규고객 발굴 및 기존 고객들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의 체험에 주안점을 두고 판매촉진을 위한 마케팅 전략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즉, 전술적 체험제공수단과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상관성 전략 관점에서 살펴본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먼저 체험 및 비주얼 머천다이징을 수단으로 판매전시를 위한 주요 스포츠 브랜드 공간을 사례로 선정하고 그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테면, 체험경제에 기반 한 전술적 체험 제공 수단과 상품 판매촉진을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상관관계 및 그 특성과 중요도를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체험과 판매를 위한 스포츠 브랜드에 있어 체험 제공 수단 요소가 적용되어 비주얼 머천다이징 구성요인 특성이 반영된 공간의 사례를 분석한다. (결과) 연구결과 우선 사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체험 제공 수단의 요소는 공간적 환경, 시각적언어적 아이덴티티, 커뮤니케이션, 제품의 외형, 인적 요소의 순서로 그 중요도에 있어 가중치가 있었다. 그리고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구성요인은 조화성, 유행성, 매력성과 기능성, 적합성의 구성요인 순서로 그 중요도가 높았다. 이처럼 긍정적인 소비자 체험과 효율적인 판매를 위한 환경구축을 위해 그 상관성의 중요도를 재인식할 필요성이 있다. (결론) 결국 체험 경제를 위한 전략적 체험 모듈의 구체적 실행방안으로써 체험 제공 수단과 판매 공간에서 상품 판매촉진을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상관관계 관점에서 마케팅 전략을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즉, 감각 등 전략적인 체험모듈을 실행하기위한 전술적 체험의 제공수단은 판매촉진을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전개를 기업들이 제공하는 판매 공간에서 상호 연관관계를 갖고 고객체험 등 제 목적을 달성하고자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바라볼 때 체험 마케팅에 기반 한 긍정적 소비 체험과 효율적인 판매환경의 공간 구축이 가능해 질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nsumption environment requires the marketing of the most appropriate experience to effectively stimulate the emotions of fast-changing consumers. In this regard, experience marketing, which induces purchases by emphasizing the emotional aspect through the creation of various customer experiences, has shifted its main focus from the scientific thinking system to human experience, and its effects have already been proven in various industries. In addition, companies are striving to find new customers and maintain lasting relationships with existing ones to gain market share in the face of intense competi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sumer experience and analyzed it from the perspective of a marketing strategy for sales promotion. In other words, the study examined the strategic relationship between tactical experience provision and visual merchandising. (Method) First,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selecting the major sports brand spaces for sales exhibition by means of experience and visual merchandising as a case, and examining their importance. For example,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actical experience-providing means based on the experience economy and visual merchandising to promote product sales. Specifically, the study analyzed the case of a space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merchandising factors are reflected by applying elements of experience-providing means to sports brands for experience and sal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the elements of experience-providing means was weighted in terms of spatial environment, visual and linguistic identity, communication, product appearance, and human factors. The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were most important in terms of harmony, fashion, attractiveness, functionality, and fitness. As such, there is a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correlation in order to construct an environment for efficient sales and a positive consumer experience. (Conclusion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look at marketing strategy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merchandising and the experience-providing means to promote the sale of goods in the sales space as a concrete implementation plan for the strategic experience module of the experience economy. In other words, the means of providing tactical experiences in implementing strategic experience modules, such as sensations, should strive to achieve their objectives, such as customer experiences with mutual relations in the sales space provided by companies for the development of visual merchandising for sales promotion. From this perspective, it is possible to create space for a positive consumption experience and an efficient sales environment based on experiential marketing.

      • KCI등재

        인터넷 의류 쇼핑몰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대한 심층 고찰

        강은아,김세범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8

        We felt the need for research into visual merchandising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et shopping malls, and We classified users of internet apparel shopping mall into those using comprehensive malls and those using special malls. In order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more effective VMD strategies, five important VMD elements such as shopping mall differentiation, shopping mall composition, assortment of products, merchandising cues, and visual design were examined. The date were collected from 225 main users and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 t-test and chi-square. Accordingly, the research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tiation(unique website, visual differentiation), and shopping mall composition(ease of movement, simple composition), simple standard of classification in layout, color image, and preference of coordination. Accordingly, proper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main page' and 'coordination' in the VMD of apparel shopping malls. 본 연구는 시각적 정보에 주로 의지해야하는 인터넷 쇼핑몰 관점의 새로운 비주얼 머천다이징 필요성과 함께 VMD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의류 쇼핑몰 유형에 따라 더욱 효과적인 VMD전략 수립을 위해 인터넷 의류 쇼핑몰 주이용자를 경쟁형태의 종합몰과 전문몰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비주얼 머천다이징 요소인 ‘쇼핑몰 차별성’, ‘쇼핑몰 구성’, ‘상품구색’, ‘머천다이징 단서’, ‘시각적 디자인’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쇼핑몰 선택이유’, ‘쇼핑몰 차별성(시각적 구별, 이색적 사이트)’, ‘쇼핑몰 구성(간결한 구성, 간결한 분류기준, 이동 용이성)’에서 이용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며, ‘시각적 디자인’요소 중 레이아웃(상품 제시형태: 메인페이지 구조, 상품이미지 제시유형: 모델착용), 컬러이미지(모던한 느낌, 내추럴한 느낌), 코디네이션(환경, 혼합)의 선호도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인터넷 의류 쇼핑몰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있어서 ‘메인페이지’와 ‘코디네이션’에 특히 주목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2011스페인 귀금속 주얼리 숍의 비주얼 머천다이징 전략 분석

        석정원,문소이 한국귀금속보석학회 2011 한국귀금속보석학회지 Vol.5 No.1

        유럽시장에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스페인의 주얼리 브랜드의 쇼윈도 디스플레이 현황을 통해서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전략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1년 스페인을 대표하는 디자이너 주얼리 브랜드 매장의 쇼윈도 이미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비주얼 머천다이징 분석에는 VP 연출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인 쇼윈도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진 자료와 현장 방문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스페인의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따른 디스플레이 사례 분석 결과, 스페인 지역의 주얼리는 고유성과 전통성, 트렌드를 반영하는 개성 있는 브랜드 스토리와 컨셉을 가장 잘 표현하는 상품 위주형 쇼윈도 디스플레이 연출을 통해서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국내 주얼리 브랜드 업계의 세계 진출 전략의 기획에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전략으로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 KCI등재

        패션 비주얼머천다이징의 스토리텔링 전략과 유형 연구 - 쇼 윈도우를 중심으로 -

        김형숙,이진화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소비자와의 감성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스토리텔링을패션 비주얼머천다이징에 적용하여 마케팅 관점에서의 전략적 VM 유형을 도출해 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VM과 연관성 있는 분야의 스토리텔링 활용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패션 VM의전략과 유형을 도출하고, 전문가 집단을 통해 쇼 윈도우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사례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패션 VM의 스토리텔링 유형은 ‘사실기반형 스토리텔링’, ‘수정가공형 스토리텔링’, ‘창작형 스토리텔링’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 유형인 ‘사실기반형 스토리텔링’은 상품의 특성이나 일반적인 상황을 그대로 적용하여 현실적인 연출을 통해 구매로 연결시키는 유형으로 상품의 특성을 강조하여 사실적으로 연출하거나 브랜드 로고나 고유패턴, 슬로건 등을 활용한 상징적인 연출로 구성된다. 두 번째 유형은 ‘수정가공형 스토리텔링’으로 상품에 다양한 상황이나 공감대 형성을 위해 감각적인 구성을 더해 소비자의 구매 심리를 직접 자극하여 상품에 가치를 더하는 분위기적 연출과 상품의 의도적인 기대치, 용도, 효과 및동향 등을 표현함으로써 고객을 위한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정보적 연출로 표현된다. 마지막 유형인 ‘창작형 스토리텔링’은 재미와 흥미 중심의 상상적 연출과 특별한 스타일에 얽매이지 않고 극적인 느낌을 표현함으로써 소비자의 욕망과 상상의 세계를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초현실적 연출로 표현된다. 본 연구를 통해패션 VM은 스토리텔링 개념을 적용해 전략화 할 수 있으며, 마케팅적 관점에서의 유형은 3가지로 분류해볼 수 있고, 사례조사를 통해 각 유형은 다양한 표현기법을 통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가지 유형이 브랜드에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의 상황과 전략, 상품의 콘셉트와 테마, 트렌드 등에 따라 적절한 유형과 연출기법을 통해 브랜드 및 상품의 특징을 시각적으로 이야기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apply the storytelling, which is widely used as an emotional communication strategy to consumers in various fields, to the visual merchandising(VM), and was conducted to derive strategic VM types from the marketing point of view. For the methods of research, we analyzed the advanced research, utilizing storytelling in fields relevant to VM, synthetically, and deducted the strategy and type of fashion VM, and conducted the practical case study, on the basis of show window, via professional group. As a result of research, the storytelling types of fashion VM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uch as ‘fact-based type storytelling’, ‘corrected-processing type storytelling’ and ‘creative type storytelling.’ ‘Fact-based type storytelling’, the first type, is the type to apply the feature of goods or general situation, as it is, and to connect into purchasing via realistic direction. It consisted of a symbolic direction, emphasizing the feature of goods, directing realistically, or utilizing brand logo, intrinsic pattern, or slogan, etc. The second type is the ‘corrected-processing type storytelling’, to add sensitive composition for various situations for goods or formation of sympathy, to express the atmospheric direction, stimulating the purchasing mentality of consumers in person and putting value into goods, and to express the intentional expectation for goods, use, effect, and trend, etc. Thus, it leads to an informational direction to suggest the life style for customers. ‘Creative type storytelling’, the final type, is expressed as a supernatural direction to induce to purchase the world of desire and imagination for consumers, by expressing dramatic feeling, not bound by an imaginative direction, focused on fun and interest, and special style. Via this study, we figured out that fashion VM can be strategized by applying the concept of storytelling, and the typ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rom the marketing point of view.

      • KCI등재

        인터넷쇼핑몰의 VMD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Kim Kwang Seok(金光爽),Jong Kuk Shin(申??),Dong Mo Koo(具??) 한국마케팅과학회 2008 마케팅과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인터넷쇼핑몰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주요차원을 고객이 쇼핑몰에 진입한 후 정보탐색과 대안평가를 거치는 등의 쇼핑과정을 토대로 AIDA모형 관점에서 점포, 제품, 촉진에 초점을 맞추었다. VMD의 주요차원(primary dimensions)으로는 점포디자인, 머천다이징, 그리고 머천다이징단서로 구분하였다.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점포다자인의 하위차원으로는 차별성, 간결성, 위치확인성을, 머천다이즈의 하위차원으로는 제품구색, 명성, 정보성을, 그리고 머천다이징단서의 하위차원으로는 제품추천 및 링크를 설정하여 VMD태도와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이들 세 차원은 종속변수에 유의한 정의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primary dimensions of visual merchandising (VMD) of internet shopping mall, namely store design, merchandise, and merchandising cues, to be a attractive virtual store to the shoppers. The authors reviewed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major components of VM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IDA model, which has been mainly applied to the offline store settings. The major purpos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ries to derive the variables related with the 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sing through reviewing the existing literatures, establish the hypotheses, and test it empirically. Second,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ponents of VMD and the attitude toward the VMD, however, putting more emphasis on finding out the component structure of the VMD. VMD needs to be examined with the perspective that an online shopping mall is a virtual self-service or clerkless store, which could reduce the number of employees, help the shoppers search, evaluate and purchase for themselves, and to be explored in terms of the in-store persuasion processes of customers.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s related to store design, merchandise, and merchandising cues which might be relevant to the store, product, and promotion respectively. VMD is a total communication tool, and AIDA model could explain the in-store consumer behavior of online shopping. Store design has to do with triggering a consumer attention to the online mall, merchandise with a product related interest, and merchandising cues with promotions such as recommendation and links that induce the desire to pruchase. These three steps might be seen as the processes for purchase actions. The theoretical rational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VMD and AIDA could be found in Tyagi(2005) that the three steps of consumer-oriented merchandising are a store, a product assortment, and placement, in Omar(1999) that three types of interior display are a architectural design display, commodity display, and point-of-sales(POS) display, and in Davies and Ward (2005) that the retail store interior image is related to an atmosphere, merchandise, and in-store promotion. Lee et al(2000) suggested as the web merchandising components a merchandising cues, a shopping metaphor which is an assistant tool for search, a store design, a layout(web design), and a product assortment. The store design which includes differentiation, simplicity and navigation is supposed to be related to the attention to the virtual store. Second, the merchandise dimensions comprising product assortments, visual information and product reputation have to do with the interest in the product offerings. Finally, the merchandising cues that refer to merchandiser(MD)""s recommendation of products and providing the hyperlinks to relevant goods for the shopper is concerned with attempt to induce the desire to purchas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collect the data about the consumers who would shop at internet shopping malls frequently. To select the subject malls, the mall ranking data announced by a mall rating agency was used to differentiate the most popular and least popular five mall each. The subjects was instructed to answer the questions after navigating the designated mall for five minutes. The 300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consumers, 166 sampl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empirical testing focused on identifying and confirming the dimensionality of VMD and its subdimension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endogeneous and exogeneous variables was carried out in four parts. The second-order factor analysis was done for a store design, a merchandise, and a merchandising cues, and first-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attitude toward the VMD. &nb

      • KCI등재

        효과적인 비주얼 머천다이징을 위한 크리스마스 윈도우 디스플레이 디자인 요소 연구 - 영국 주요 백화점을 중심으로 -

        오승희,최진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1

        As a visual merchandising by department stores located in London, Christmas window display is developing into a realm of art expanding its functions beyond the primary functions of sales promotion and product display.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trends of Christmas display based on the analysis of design elements in the Christmas season window display visual merchandising by major department stores in the United Kingdom. The research objects included the 2015-2016 season window displays at Liberty, Selfridges, Harvey Nichols, and Harrods, and they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long content elements and formal elements. According to findings in terms of content elements, the window displays were not limited to the theme of Christmas but used as complex themes, providing multiple roles such as mixed-type display and marketing, communication, and a window display of culture and art. In terms of formal elements, the use of human and animal figures was prevalent while abstract and symbolic components were also in the window displays. In addition, amusing and visual targeting objets were used along with independent and direct modes of expression for them to highlight the products and the theme of the display. Main colors, navy, red, while orange, navy were used as assistance colors, and red and navy were used as basic colors. In the use of mannequins, realistic mannequins were predominantly used. As the size of window displays is scaling down compared to the increased importance of window display, it is expected that Christmas window display, which is expanding into an art form of its own, is revitalized as a medium that conveys the image and aesthetics of a department store to the consumers. 영국 런던에 위치한 백화점들의 비주얼 머천다이징인 크리스마스 윈도 디스플레이는 판매촉진과 상품을 진열했던 일차적 기능의 수단을 넘어 하나의 예술영역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국 주요백화점의 크리스마스 시즌의 비주얼 머천다이징인 윈도 디스플레이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고 그것을 토대로 크리스마스 디스플레이의 경향을 표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15-2016년 리버티, 셀프리지, 하비 니콜스, 해러즈이며, 연구방법은 윈도 디스플레이의 내용적 요소와 형식적 요소로 분류하여 분석한다. 연구결과 내용적 요소는 크리스마스라는 주제에 한정하지 않은 혼합형 디스플레이 및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문화․예술의 윈도 디스플레이 역할이 나타났다. 형식적 요소는 인체와 동물의 사용이 우위를 차지하고, 추상적이고 상직적인 구성요소가 나타났다. 오브제 유형은 유희․비주얼 타깃적인 유형, 오브제 표현 방법은 상품과 주제를 주체적이며 직접적인 표현이 나타났다. 주조색은 남, 빨강, 보조색은 주황, 남, 기본색은 빨강, 남이 나타났다. 마네킹은 사실적 마네킹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윈도 디스플레이의 중요성에 비하여 규모가 축소되고 있는 시점에서 예술로 확장되고 있는 크리스마스 윈도 디스플레이는 백화점의 이미지와 미학을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매체로 거듭나길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