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북한 종교정책의 변화와 현재

        정영철 남북문화예술학회 2008 남북문화예술연구 Vol.0 No.3

        공산주의에서 종교는 인민의 계급의식을 마비시키고, 지배계급의 이익 을 위해 봉사하는 반동적 세계관으로 규정되었다. 따라서 종교는 공산주의의 ‘과 학적 세계관’에 의해 조만간 소멸될 존재로 정의되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사회 주의·공산주의 국가에서도 종교는 소멸되지 않았고, 오히려 탈공산주의와 함께 화려하게 부활하였다. 북한에서 종교에 대한 정책은 역사적으로 변화해 왔다. 이 러한 종교정책의 변화에는 북한의 종교관의 변화가 자리하고 있다. 초기에 북한 의 종교관은 맑스의 그것과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항일무장투쟁 과정에서 종교 인들과의 통일전선을 형성했던 경험을 가진 김일성은 종교 그 자체가 아니라 종교를 빙자한 정치를 더욱 문제시했다. 즉, 종교가 제국주의자들의 침략과 개입의 구실을 했던 역사적 경험을 문제시했고, 이에 따라 종교의 사대주의를 배격하고, 민족을 우선에 내세울 것을 요구했다. 물론, 종교에 대해서도 초기에는 신비주의 적 세계관, 계급의식의 발전을 가로막는 반동적 세계관으로 규정했다. 그러나 이 러한 종교관은 1970년대를 거치면서 변화하였다. 그 변화의 핵심은 종교에 대한 인본주의적 해석이었다. 여전히 종교적 세계관을 관념론으로 규정하였지만, 종교 에 내재하는 사랑과 평화, 즉, 유토피아적 이상의 긍정성을 부분적으로 인정하였 다. 이러한 종교관의 변화는 주체사상을 통한 종교의 재해석으로 이어졌다. 북한 종교정책의 변화는 크게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해방과 전쟁을 거친 종교의 사회주의와의 조우기이다. 이 시기는 아직 사회주의적 개혁이 이루어지지 않은 시기였지만, 토지개혁 등을 통해 종교의 물질적 토대가 제거되었다. 또한, 전쟁의 경험을 거치면서 종교인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심화되었다. 특히, 미군 의 무차별 공습과 학살이 기독교와 겹치면서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반미 주의와 결합되어 확산되었다. 둘째는 사회주의 속에서의 생존 모색기(1953~1972 년)로서 북한의 종교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던 시기였다. 이 시기는 종교에 대한 북한 당국의 탄압과 통제가 심화되었다. 북한의 종교 역사에서 가장 암울했 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는 사회주의적 종교생성기(1972~1988년)이다. 북한의 종교정책이 일정하게 변화하면서, 비록 중앙 조직에 국한되었지만 종교단 체들이 활동을 개시하고, 부분적으로는 종교 활동이 인정되기 시작하였다. 마지 막으로 종교 정책의 변화기(1988년 이후)이다. 북한 당국의 종교정책이 변화되어 종교활동이 규정된 울타리 안에서 허용되었고, 교회 건립, 사찰 복원 등의 종교시 설의 복원과 건설도 재개되었다. 헌법상에도 ‘반종교 선전의 자유’가 삭제되고, 다 만 종교의 외세 개입만을 금지하였다. 북한의 종교 정책이 변화한 이유는 종교에 대한 인본주의적 시각의 강화, 종교의 통일에의 기여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평가 등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과 거 김일성 등 북한 지도부가 종교인들과 가졌던 경험과 종교의 현실에서의 위기 극복의 유용성 등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북한 종교 정책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북한에서 종교는 여전히 미약한 상태일 뿐만 아니라, 당의 통제, ‘신앙 의 자유’만으로 제한되는 포괄적인 ‘종교 자유’의 제약 등이 한계로 남아 있다. 최 근에는 어려운 경제 현실과 사회적 이완 등으로 ‘지하교회’까지 등장하고 있는 것 으로 보인다. 앞으로 북한의 종교정책은 계속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북한 의 종교정책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종교가 가질 수 있는 사대주의, 특히 친미주의의 확산 등에 대해서는 철저한 경계를 늦추지 않을 것이다. 북한 종교 정책의 변 화가 가지는 가장 큰 한계는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북한 종교 정책에 따른 신앙생활 실천방안

        남덕우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2

        본 연구는 북한 성도들의 신앙생활을 한국교회가 선교적 측면에서 돕기 위한 실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북한 종교의 정의, 북한 종교의 헌법적 근 거와 주체사상, 기독교 종교 정책 변천과정, 북한 종교 정책에 따른 신앙생활 실천 방 안을 제시하였다. 북한 종교의 헌법적 근거와 주체사상에서 북한 헌법적 근거는 신앙의 자유를 부분 적으로 허용하는 것 같으나 실제 북한 사회에서는 신앙의 자유가 허용되지 않고 있으 며, 북한의 신앙에 대한 태도는 해방 직후부터 사회주의 혁명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으며, 사회주의 건설 이용의 목적으로써 헌법ž형법을 수정하며 부분적으로 허용 하였다. 주체사상은 1980년 제 6차 당 대회를 통해 북한정권은 당 규약 전문에 “조선 로동당은 오직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의 주체사상, 혁명사상에 의해 지도 된다.”라 고 명시함으로써 주체사상은 공식적인 정치지도 이념으로 규정되었다. 또한 1982년 12월 17일 김정일은 ‘주체사상에 대하여’라는 논문을 발표하고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철학적 견지에서 보다 구체화함으로서 김정일과 김정일의 지위를 확보하는 논리를 성 립하였다. 기독교 종교정책 변천과정에서는 회유와 억압 병행기(1945~1950년), 탄압기 (1950~1953년), 지하교회 핍박기(1945~1971년), 종교자유 위장기와 선전기(1972-1998년), 경제 지원 유치기(2000년~현재) 로 구분할 수 있다. 회유와 억압 병행기에서는 북 한 지역의 기독교는 막강한 정치세력을 갖고 있었으며 김일성이 북한을 통치하기 위 해서는 기독교 인사들의 잠정적인 협력이 필요했기 때문에 뿌리 깊은 기독교 세력을 의식, 회유와 억압을 병행했던 시기이다. 탄압기에서는 기독교인들을 반혁명 세력으로 몰아 탄압을 본격화하였기 때문에 그 후 기독교는 지하로 들어갈 수밖에 없게 되었 다. 핍박기에서 예배는 예전이 없었으며 농장에서 일하다가 휴식시간에 삼삼오오로 흩어져 논두렁 등에서 행해졌다. 종교자유 위장기에는 종교말살 정책에 따라 지하 교 인을 색출하며 종교의 자유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고 기독교인들을 반 정부 투쟁으 로 선동하려는 것과 선전기에는 1988년에 김일성 종합 대학에 종교학과가 설립되고, 1989년에는 종교학과 내에 기독교 강좌가 신설되는 획기적인 변화를 일으키기도 했 다. 그러나 북한은 여전히 기독교인들을 핍박하고 있다. 이제는 한국교회가 보다 적극 적으로 북한 성도들의 신앙생활을 도와야 하며, 본고에서는 그 방안으로 첫째, 인쇄 미디어 활용에 따른 실천 방안, 둘째, 음성 및 영상 미디어 활용에 따른 실천 방안, 셋째, 문화·예술 활용에 따른 실천 방안, 넷째, 경제특구 활용에 따른 실천 방안, 다섯 째, 탈북자 활용에 따른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easures for faithful practices with which Korean church help believers in North Korea in their faith from the missional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esents definition of religion in North Korea, constitutional ground of religion in North Korea and self-reliance ideology, change in religion policy for Christianity and measures for faithful practice according to religion policy in North Korea. The constitutional ground for religion in North Korea is that North Korea seems to partially permit freedom of religion, but in practice it is not allowed. The attitude of North Korea toward religion is that they have regarded religion as disturbing to socialist revolution since Korea's independence, and they amended constitution and criminal law to partially permit religion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on of socialist revolution. As for the self-reliance ideology, North Korea regime specified in the preface of party's rules "Labor Party of North Korea is only directed by the great leader Kim Il Seong's self-reliance ideology and revolutionary ideology" at the 6th anniversary meeting in 1980, which defined the self-reliance ideology as an official ideology for politics in North Korea. In addition, Kim Jeong Il published an article titled "About Self-Reliance Ideology" on December 17, 1982, which substantiated self-reliance ideology from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to establish the rationale to secure the status of Kim Il Seong and Kim Jeong Il. As for the change in the religion policy for Christianity, it may be divided into conciliation and repression period (1945-1950), oppression period (1950-1953), suppression period for underground church (1945-1971), camouflage of freedom of religion and propaganda period (1972-1998) and induction of economical support period (2000-present). During the conciliation and repression period, Christianity in North Korea had a strong political power. Since Kim Il Seong needed their tentative support to rule North Korea, they tried to convert deep-rooted Christians as well as repress them. During the oppression period, they regarded Christians as anti-revolutionary group and actively oppressed them. Thus Christians needed to gather as underground church. There was no official church so that they had to worship on the rice field during their break time. During the camouflage period, they searched underground Christians based on religion elimination policy but camouflaged that they have freedom of religion. During the propaganda period, a religion department was opened at Kim Il Seong University in 1988 and Christianity department was also opened in 1989, which was seemingly ground-breaking. However, North Korea still oppresses Christians. It is time for Korean church to help the believers in North Korea more actively. This article proposes some measures: First, measure using printed media; Second, measures using video media; Third, measures using culture and art; Fourth; measures using economic special zone; Fifth, measures using escapers from North Korea.

      • KCI등재후보

        남북한 종교교류 활성화의 당위성 연구

        정교진(Jung, Kyo Jin) 북한학회 2011 북한학보 Vol.36 No.2

        한국 전쟁 이후 북한에서 김일성 1인 독제 체제가 수립되는 1960년대 중반에 북한 정권은 북한 종교기관들의 활동을 전면 중단 시키고 강력하게 종교 제거 정책을 시행했다. 이때는 북한 종교의 ‘암흑기’였다. 1970년대 들어서면서 주변 국가들의 냉전체제가 화해의 방향으로 전환되면서 한반도의 정치적인 역학관계에도 변화가 모색되었다. 남북은 비밀접촉을 통해 1972년 7월에 「7ㆍ4 남북 공동성명」을 발표하게 된다. 이 ‘중대 전환점’을 기점으로 북한 정권은 북한 종교 기관들의 활동을 재개시켰는데 목적은 ‘통일전선’으로 활용하기 위해서였다. 이때부터 북한 종교 안에 사회주의 종교 규범이 강하게 나타나기 시작했다. 북한 정권이 북한 종교를 정치적 목적으로 활용했지만 점차적으로 북한 종교들이 종교적 차원의 교류도 하게 된다. 1980년대 말 이후 소련 및 동구 사회주의 국가들이 개혁·개방의 변화를 적극 모색하는 과정에서 사회주의 체제의 급격한 변화와 붕괴 현상이 일어났고 1988년에 남한에서는 ‘88 서울 국제올림픽’이 개최 되었다. 충격을 받은 북한 정권은 서울 올림픽을 견제하기 위해 1989년에 평양에서의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 개최를 계획하고 준비하면서 종교부문에서도 각 종교들의 외형건물을 세웠는데 이 무렵부터 북한 종교안에 종교 본연의 규범이 표출되기 시작했다. 1992년도에는 그 종교적 기능이 가장 정점에 이르렀다. 2008년 2월에 이명박 정부가 출범, ‘실용주의’ 대북정책을 추진하면서 남북관계가 경색국면에 놓였지만 남북한 종교교류는 계속 추진되었다. 그러나 2009년 하반기부터 김정은에 대한 우상화가 진행되었고 2010년 3월 ‘천안함 폭침’과 9월에 김정은의 후계자 공식화, 11월에 ‘연평도 포격’등으로 남북관계가 급격히 얼어붙으면서 대북지원 및 종교 교류도 잠정 중단된 상태이다. 작금의 종교 교류 정체 상황을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 향후, 남북한의 종교 교류는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야 되는가? 본 연구는 남북한의 종교교류 문제를 북한 종교의 제도적 변화와 연관시켜 그 답을 찾고자 했다. 그래서 북한 종교제도의 구성과 북한의 종교 정책에 의한 제도의 변화를 신제도주의 이론으로 접근하여 북한 종교 안에 제도적 변화와 남북한 종교교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남북한 종교교류의 방향을 제시했다. In the 1960s the dictatorship of Kim Il Sung North Korea to stop the activities of religious organizations and religious institutions were closed. this time was the dark ages of North Korea religion. At the turn of the 1970s, around the country come back to the Cold War system is put in the direction of the North and South Korea’s political landscape has also changed. North and South Korea in 1972, the “7.4 North-South Joint Declaration” will be released. With this ‘critical juncture’ in North Korea regime has resumed the activities of religious organizations. The objective was to utilize the united front. Since then, North Korea religion is displayed in a strongly socialist religion norms. The regime, North Korea has tried to use religion for political purposes. But gradually the South and North religions have religious exchanges. Since the late 1980s, the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 socialist countries of reform and openness in the process of actively seeking to change the socialist system and the collapse of the sudden change phenomenon occurred. And in 1988, ’88 Seoul Olympics in South Korea was held. The regime had a big impact. So in order to check the Seoul Olympics in 1989, “the 13th World Youth and Students Festival” held in Pyongyang tried. In preparation for this conference has set the building looks religions. At this time, in religion, religious norms began to appear natural. In 1992, the religious function came to a head. Lee Myung-bak government launched in February 2008, ‘pragmatic’ policy toward North Korea while promoting North-South relations were bad. However, the two Koreas did not stop religious exchanges. However, in the second half of 2009 cult task for eun, March 2010 ‘Cheonan pokchim’ and Kim Jung Eun’s successor, formulated in September, November ‘Yeonpyeongdo artillery’ had. 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oreas rapidly froze. And support for North Korea and religious exchanges are hung. Today’s stop religious exchanges How should the situation? In the future, the religion of the two Koreas exchange flows in what direction to go with that? This paper dealt with the problem of the two Koreas religious exchanges. And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institutional change in North Korea. So, ‘new-institutionalism’ aspect of it was analyzed. And the future direction of exchange of the two Koreas were presented.

      • KCI등재

        분단시대 북한종교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회고

        류성민 한국종교학회 2019 宗敎硏究 Vol.79 No.2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aim of analyzing and understanding both the existence and status of religion in North Korea after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This paper is also seeking to understand the role religion can play in improving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during a time of potential future “peace period.” From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until the 1970s, North Korean religion was dominated by Socialism’s negative view of religion, along with the extreme anti-religious sentiment stemming from the Korean war. However, since the emergence of North Korea’s self-reliant ideology, Juche, religious facilities have at least partially been restored or rebuilt. As a result of Juche ideology, a small number of religious groups have also resumed activity. North Koreans are generally not interested or ignorant about religion. Some are even hostile towards religion. However, most of the heads of North Korea’s religious groups have served as representatives of the Supreme People’s Assembly of the North, and they have even held relatively high political status. These representatives focus on inter-Korean unification and other activities in the North’s social and state organizations. This means that the status of religion in North Korea cannot be understood solely by statistical figures. It also shows that “pure” religious activities are impossible. Given this, and if future inter-Korean relations can move toward a “peace period,” the South Korean religious community should clearly recognize that the religions in North Korea are under North Korea’s unique socialist system. The South Korean religious community also needs to understand that expanding inter-Korean religious exchanges through unification-related activities is realistic. At the same time, I also believe that North Korean religious studies should think deeply about inter-Korean relations, which strive to help move the two Koreas from confrontation to cooperation, from conflict to harmony and co-prosperity, and finally from division and armistice to peace. 이 논문은 남북 분단 이후 북한에서의 종교 이해와 현실 및 종교의 위상 을 분석하고 향후 ‘평화시’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종교가 할 수 있는 역 할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쓴 것이다. 남북 분단 이후 1970년까지 북한에서는 종교에 한 사회주의적인 부 정적 이해와 6.25 전쟁을 통한 극도의 반종교적 정서가 지배적이었다. 주체 사상이 북한의 유일 지도 이념으로 등장한 이후 1980년부터는 주체사상 에서의 종교에 한 제한적 긍정을 통해 부분적으로나마 종교시설을 복구 하거나 재건했고, 종교단체들의 활동도 재개되었으며, 그 결과가 그 이후의 북한 종교 현실로 나타났다. 북한의 종교현실이 종교 교당의 수나 신도 수 혹은 성직자 수 등에서는 남한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미미한 수준이고, 북한 주민들은 체로 종교에 해 관심이 없거나 무지할 뿐만 아니라 여 전히 적적인 태도도 다분하다. 그런데 북한 종교단체의 장들은 부분 북 한 최고인민회의 의원을 역임했고, 남북통일 관련 남 혹은 외 활동에 주력하는 북한의 사회단체나 국가기구에서 고위직으로 활동하는 등 비교적 높은 정치적 위상을 지녀왔다. 이는 북한의 종교현실을 통계적인 수치로만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 동시에 북한의 종교에서 ‘순수한’ 종교 활동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그리고 향후 남북관계가 ‘평화 시’로 나갈 수 있다면, 남한 종교계는 북한의 종교가 북한 특유의 사회주의 체제 하의 종교임을 분명히 인식해야 하고, 통일 관련 활동을 통해 남북 종교계의 교류를 확하는 것이 현실적 이라는 사실도 주지해야 한다고 본다. 동시에 북한 종교 연구에서도 결에 서 협력으로, 갈등과 분쟁에서 조화와 상생으로, 분단과 정전에서 종전과 평화로 이행되는 남북관계를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

        북한의 종교관과 종교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마금석 한국평화종교학회 2020 평화와 종교 Vol.0 No.10

        김정은체제에 있어 종교는 정권유지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에서는 “종교는 아편이다”라는 논리를 내세워 종교를 탄압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해방 전까지만 해도 매우 큰 교세(敎勢)를 자랑하던 북한지역에서는 종교가 말살될 정도로 척박하게 되었다. 이런 북한의 현실과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북한의 종교관과 주체사상, ‘유일사상체계 10대 원칙과 종교정책 등“에 관한 실상을 고찰하였으며, 이와 함께 앞으로의 대북 선교시 어떤 대책과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를 고찰하였다. 북한의 종교실상과 관련하여 우리가 기장 주목해야 할 점은 최고지도자의 종교관과 이에 기반한 북한의 종교정책이 어떤 대내외적 요구에서 변화해 왔는가 하는 점이다. 외형적으로는 헌법을 통해 ‘종교의 자유’를 허용하면서도 대내적으로는 종교인이나 종교시설에 대해 매우 큰 탄압과 억압책을 쓰면서도 시대적 상황변화에 따라서는 그 궤(軌)를 달리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1970년대에는 ‘7.4남북공동성명’에서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의 통일 원칙”을 대내외에 공표하면서 마치 그들 사회에도 종교의 자유가 있는 것처럼 과시하기 위해 헌법에 그 자유를 명시하였으며,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남북한간 종교적 접촉과 교류가 이루어지면서 종교단체를 조직하고, 내세우는 가운데 교회나 성당, 사찰 등을 중심으로 한 종교시설에의 참배를 제한적으로 허용하기도 하였다. 이렇듯 북한에서는 김일성이 통치하였을 당시의 주체사상을 지배이데올로기로 삼았을 당시에는 종교의 지형이 축소지향이었다면, 황장엽의 “인간중심철학과 주체철학”이 대두되면서부터는 종교에 대한 배타성이 다소 약화되는 등 종교지형의 변화가 드러나게 되었으나, 김정일에 의해 주체사상이 수령중심주의로 바뀌면서 다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듯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북한종교는 1990년대 들어서면서 한때 소련 및 동구권 사회체제의 붕괴여파로 위기를 느낀 나머지 체제방어적 차원에서 외부사건의 유입을 차단하는 등 조치를 취하기도 했으나, 집권 10년차에 접어들고 있는 김정은정권하에 있어서의 종교에 관한 실상은 아직까지 확실하게 드러나고는 있지 않다. 그러나 김정은이 선대 수령 보다는 나이도 어리고 스위스에서의 유학경험을 감안 할 때 자신의 정권과 체제유지에 큰 장애를 초래하지 않는 선상에서 비록 제한적인 이기는 하겠지만 ‘종교의 자유’에 관한 좀 더 유화적인 입장과 자세를 내보일 것으로 예견된다. 이것이야 말로 ‘정상국가의 지도자’라는 이미지를 대외에 과시할 수 있는 하나의 변수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남북종교계는 교단들을 초월한 종교교류활성화 방안을 위한 대책과 변화를 모색하는 데는 논리적이고 충분성과 적합성을 갖춘 이론과 실천적 통합을 향한 노력 가운데 종교계가 불협화음이 아닌 합력해서 선을 이루어가는 다양성속에서 독특함을 이루어가는 창발적 방안을 수렴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Religion works as the biggest obstacle to maintaining the regime under Kim Jong-un. For this reason, North Korea has persecuted religion by using the logic that “religion is opium,” and this has led to the excise of religion, which in North Korea boasted a very large level of religious tax until the liberation. In respect to this reality of North Korea, this paper examined the reality of North Korea’s religious views, the Juche ideology, and the “10 Principles and Religious Policies of the Unique Ideological System,” and examined the question of what measures and countermeasures should be taken in future missions to North Korea. When it comes to North Korea’s religious reality, what we should pay most attention to is the supreme leader’s religious views and the North Korean religious policy based on it, which has changed in some internal and external demands. While the Constitution allows “religious freedom” externally, it represses and oppresses against religious people and religious facilities, internally, but also shifts differently to the changing context of the times. In the 1970s, the regime announced “The Principles of Independence, Peace, and Reunification of the National Unity” in the “7.4 North-South Joint Statement”, proclaiming their freedom in the Constitution in order to present the case as if there was religious freedom in their society. By the 1980s, religious contacts and exchanges between the North and South had been established, and in the midst of organizing and proposing religious organizations, practices in religious facilities centered on protestant and catholic churches and Buddhist temples were restrictively permitted. As such, in North Korea, the religious topography had been declining at the time when the Juche ideology had been treated as ruling ideology under Kim Il-sung’s reign. However, with the rise of Hwang Chang-yop’s “Human-Centered Philosophy and Subject Philosophy”, changes in the religious landscape were revealed, such as a somewhat weakened exclusion of religion. However, as the Juche ideology shifted to a leader-centric ideology, it now appears to be stuck in any further development. Particularly, in the aftermath of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the Eastern bloc in the 1990s, North Korea has defensively taken measures such as blocking the influx of external information to the rest of the system. However, under the Kim Jong-un regime, which is entering its ninth year in power, the reality of religion in North Korea stays similar to that of the Kim Il-sung era. In conclusion, it seems that the Inter-Korean religious community must converge on a creative plan to achieve a uniqueness in the diversity of the religious community, which is not dissonant, but rather a diversity of efforts to achieve a better future, while it seeks to find measures and changes to promote religious exchanges that transcend denominations and strives for a logical theory of adequacy, application and practical integration.

      • KCI등재

        북한 종교인가족의 존재양식에 관한 고찰: 기독교를 중심으로

        김병로 통일연구원 2011 統一 政策 硏究 Vol.20 No.1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n understanding of the modes in which the so-called “religious families” exist and operate within North Korea at present. To this e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how these families were formed and how their activities were carried out following the emergence of the socialist government will be analyzed in depth. This paper reexamines from a critical perspective the view that religious activity in North Korea serves solely as a means for the state to attract foreign currency or to display conditions of religious freedom to the outside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to deny that the management and organization of religion in North Korea occurs according to state mobilization, but rather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state mobilization of religion is actually carried out and who is involved in these efforts. Based on detailed analysis of North Korean defectors, this paper seeks to show that the “religious families” in North Korea, as major participants in both the formal and informal spheres of religious activity, are a key component of North Korea’s religion. After the Korean War, and in particular the severe persecution of religion of 1958, religious communities of North Korea experienced a collapse in organization, having to subsist in the form of individual practice or small-scale gatherings among family and relatives. In the years following 1972, some of these “religious families” were mobilized by the state as officially recognized organizations. The 1980s saw a revitalization of state-sponsored religious activity and the separate family worship services in accordance with external publicity purposes as well as the domestic social needs. Afterwards, following the food crisis of 1995, religious participation became concentrated in the activity of so-called “underground churches.” As a result, “religious families” in North Korea today can be found existing in one of the following three modes: first, as very loosely formed communities centered on the individual or relations among family and relatives; second, as active members of state-sponsored religious organizations; or third, in pursuit of organized religious activity in the context of underground churches. From this perspectiv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ligious families” of North Korea are key players with a central role in the country’s religious sphere. 본 논문의 목적은 사회주의 정권 등장 이후 종교인가족의 역사적 수난 배경과 신앙활동의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북한 내 종교인가족의 현재의 존재 양식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즉 과거 종교인가족이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 어떤 운명을 맞았는가에 대한 삶의 궤적을 추적해 봄으로써 현재 북한종교의 특성을 밝혀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북한의 종교활동을 단순히 외화벌이 목적으로 보거나 혹은 종교의 자유를 대외적으로 선전하기 위한 정치적 목적으로 간주하는 입장을 비판적 시각에서 재검토하고자 한다. 이는 북한종교가 당국의 동원에 의해 관리·운영되고 있다는 사실을 부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동원 과정과 동원 대상에 대한 면밀한 관찰 및 분석을 통해 북한종교의 심층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근거로 북한의 종교인가족이 북한의 공식적 혹은 비공식적 종교 활동에 주요 구성원으로 참여하고 있고 현재 북한종교의 핵심적 구성부분이라는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북한의 과거 종교인가족으로 불리는 신앙공동체는 한국전쟁 이후, 특히 1958년의 대대적 탄압 이후 와해되어 개인적으로 신앙을 유지하거나 가족·친척 내 소규모 가정예배 모임으로 생존을 유지하였다. 1972년 이후에는 북한당국에 의해 공인 종교조직으로 일부가 동원되었고, 1980년대에는 대외적 과시 목적 및 사회내적 필요성에 의해 공인 종교조직으로 동원되거나 개별 가정예배 모임의 활성화가 진행되었으며, 1995년 식량난 이후에는 이른바 ‘지하교회’ 활동에 핵심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 결과 현재 북한의 종교인가족은 첫째, 개인적 혹은 가족·친인척 중심의 모임으로 매우 느슨한 공동체로 존재하거나, 둘째, 국가에 의해 동원된 공인 종교조직의 구성원으로 활동하며, 셋째, 지하종교의 공간에서 조직적 신앙 활동을 주도하는 등 세양식으로 존재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북한종교인가족은 현재 북한 종교의 핵심적 구성원이며 중추적 역할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종교 단체의 역할과 과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개신교 단체의 지원과 갈등을 중심으로

        최승주 ( Choi Sung-joo ) 평화문제연구소 2017 統一問題硏究 Vol.29 No.2

        남한사회에서의 적응과 통합을 위해 정부 주도로 시작된 북한이탈주민의 지원 정책은 민간단체들의 참여로 확대되고, 특히 개신교로 대표되는 종교 단체의 활동이 두드러진다. 그 결과 대다수의 북한이탈주민이 탈북과 국내 정착의 과정 중 종교 생활을 시작하게 되지만, 최근 북한이탈주민의 종교참여율은 감소하고 종교 집단과 북한이탈주민의 기대 차이로 인한 갈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북한이탈주민의 종교 활동의 변화에 대한 배경과 원인을 그들만의 독특한 종교성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필자는 종교사회복지로서의 종교계 지원을 그 대안으로 제시한다. 남한의 종교 단체는 북한이탈주민을 도구화하는 것을 멈추고 북한이탈주민 그 자체를 환대하는 종교의 사회적 책임을 회복해야 한다. 또한 종교계 스스로 세속적이고 성장 중심적인 모습을 반성할 뿐만 아니라, 북한이탈주민이 경험한 단절과 상실을 치유하는 대안으로 작용하여 개인에게 삶의 의미와 방법을 제시할 책임을 회복해야 한다. The support policy of North Korean refugees, initiated by the government for adaptation and integration in the Korean society, has been expanded to the intervention of civilian organizations and especially the activity of religious groups represented by Protestant organizations. As a result, the majority of North Korean refugees start their religious activities during the process of defecting and settling. Recently, however, the rate of religious participation by North Korean refugees has decreased and conflicts have increased due to differences in expectations between the religious organizations and refugees. The background and cause of the change of religious activities were surveyed focusing on their unique religious orientations. To overcome these conflicts, the author suggests religious support as a religious social welfare. First, Protestant and other religious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must restrai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religion, stop the tooling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welcome them by themselves. In addition to reflecting the secular and growth centered perspectives, it is necessary to recover responsibility for presenting meaning and means of life to North Korean refugees by acting as an alternative to healing disconnection and loss.

      • 북한의 종교인식 변화 가능성과 한계성

        문장순 남북문화예술학회 2007 남북문화예술연구 Vol.0 No.1

        This paper analyzes a change of North Korea‘s religious recognition. After Kim Il Sung consolidated his hold on power, religious adherents and their families were labeled as “counter-revolutionary elements” and targeted for repression. Recalling his policies to diminish the power of religion in North Korea, Kim Il Sung admitted that: We [could not] turn into a Communist society along with the religious people. Religious adherents who remained in North Korea, as well as their descendents, were eventually classified on the lowest strata of this complex system of 51 social categories, receiving fewer privileges and opportunities in such areas as education and employment.However, due to a changed international environment in the 1970s, the regime decided to allow the reemergence of a highly circumscribed and controlled public religious practice. It is this revival of highly circumscribed and tightly monitored and controlled religious practice, organized and supervised through a series of religious “federations” for Buddhism, Chondokyo, and Protestant, Catholic and, most recently, Orthodox Christianity, that is cited by North Korea authorities to indicate that North Korea respects religious freedom. It is exist to Juche /Kimilsungism as a religious ideology to the exclusion of other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통일논의가 다양화해가면서 북한 종교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종교는 문화의 실체로서 사회성원들의 삶의 양식과 가치관을 규정하는 중요한 작용을 한다. 그래서 북한 종교의 파악은 주민의 생활상과 사회의식을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가 될 수 있다. 나아가 통일에 대비한 종교통합의 방향을 설정하는데도근거가 된다. 북한은 사회주의 체제의 속성상 종교를 수용할 수 없었지만, 김일성체제의 유지에도 방해물로 간주했다. 그래서 북한은 체제의 수립시기부터 종교에대해서는 호의적이지 못했고, 체제를 공고화해가는 과정에서 반종교적 입장을 분명히 했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김일성체제화, 국제사회의 변화와 남북한관계의 진전 등과 함께 종교에 대한 인식도 엿보이기 시작했다. 그 결과, 종교단체의 재건, 각종 종교행사, 종교건물 건립, 국제종교단체와 남북한 종교단체간의 교류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북한의 종교인식의 변화는 체제의 성격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신앙수준이나 종교의 자유의 정도가 매우 제한적이다. 북한이 국제적 환경변화에 적응하기위한 노력을 계속 경주한다면, 북한의 종교인식의 변화의 폭도 더욱 커질 수밖에없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북한종교 연구의 동향과 평가

        박균열,이원봉,송승호 한국통일전략학회 2009 통일전략 Vol.9 No.3

        This paper tries to analyze and evaluate results of researches on the religion of North Korea. Even though lots of researchers have different ideas, rough main stream to research North Korea w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have been researched on religious mind or consciousness. Second, there have been researched on the changing of religious policy of North Korea. Third, there have been researched on Juche in the scope of doctrine or tenet, finally, researches on whether religions still exist or not in North Korea. Thus this paper shows that the researches on religion in North Korea mainly have been focused on comprehensive interesting or data collecting avaliable 북한이 논문은 북한의 종교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평가를 하고자 한다. 연구자들마다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는데, 북한종교에 대한 공통적인 연구동향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북한의 종교관 및 종교인식에 대한 연구동향이다. 둘째, 북한 종교정책의 변화를 북한당국자의 측면과 북한주민의 입장에서 분석하는 연구동향이다. 셋째, 주체사상을 종교교리와 연계해서 분석하는 연구동향이다. 넷째, 북한에서의 종교 존재유무에 관해 분석하는 연구동향이다. 결국 북한종교에 대한 연구는 포괄적인 관심사 위주로 또는 자료수집이 가능한 분야로 제한되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