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1912)’의 제정 의도와 표기사적 문제점

        김주필 국어사학회 2017 국어사연구 Vol.0 No.25

        조선총독부에서는 1911년 7월 초, ‘諺文假名遣法’를 제정하기 위해 조사촉탁원(8인)을 선임하여 11월까지 회의를 5회 개최한다. 이 회의에서 ‘일본어 ウ단 음의 한글 표기와 ‘명사+조사, 용언 어간+어미’의 표기가 끝까지 문제되지만, 전자는 ‘ㅡ’로, 후자는 형태음소적 표기를 하기로 하는 등 10여 개의 연구 사항을 모두 결정한다. 그러나 총독부에서는 ‘형태음소적 표기’를 ‘표음적 표기’로, 일본어 ‘ウ단’ 표기를 ‘ㅡ’에서 ‘ㅜ’로 바꾸어 1912년 4월에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이라는 이름으로 공포한다. 그런데 총독부의 수정 내용은 검토위원 金澤庄三郞의 주장과 같다는 점에서 ‘이 철자법’의 제정에 金澤庄三郞가 깊이 관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金澤庄三郞는 1912년 3월, ≪倭語類解≫을 수정한 ≪日語類解≫를 급하게 편찬해 내면서, “國語[日本語]를 解하는 朝鮮人을 한 사람이라도 많이 養成하는 것이 今日의 急務이어서 …… 국어를 배우려는 조선인을 위해서”, “朝鮮語를 배우려고 하는 日本人을 위해서”라 하여 이 책의 표기에 자신이 구상하던 철자법을 적용하였다. 이 책의 이러한 편찬 의도를 통하여 ‘이 철자법’의 제정 의도도 추론할 수 있는데, 그것은 한국인에게 일본어를 배울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고, 또한 일본인이 한국어를 쉽게 배울 수 있는 표기법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추정은, ‘이 철자법’을 적용한 총독부 간행의 문헌을 통하여 확인된다. ‘이 철자법’은 가장 먼저 일본어 교재인 ≪速修國語讀本≫(1914)에 적용되고, 한국어 교재인 ≪朝鮮語法及會話書≫(1917)에도 충실하게 적용되었다. 전자에서는 일본어의 假名 音에 ‘이 철자법’의 ‘가나-한글 표기 규정’을, 일본어를 설명하는 한글에 ‘이 철자법’의 ‘한글 표기 규정’을 적용하고, 후자에서는 한국어 텍스트에 ‘한글 표기 규정’을, 한국어 발음의 한글 자모표에 ‘가나-한글 표기 규정’을 적용하였다. ‘이 철자법’은 거의 모든 조항에 문제점이 드러난다. 이러한 문제점은 한국어의 특징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채 一定한 표음적 표기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특히 한국어의 형태음소적 교체 환경에서 명사와 용언 어간의 기저형을 밝혀 적을 경우, 그 표기에 자동적으로 적용되는 다양한 음운규칙을 일본인 초보 학습자가 파악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간파하여 지나치게 단순화한 표음적 표기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철자법’은 형태음소적 표기를 지향해 온 國語 表記史의 흐름에 逆行한, 反歷史的 表記인 것으로 판단된다. From July to November in 1911, when it was an year after the annexation by Colonial Japanese General Government of Korea (C.J.K.), the government held five consecutive sessions to enact the Hangul Orthography for Elementary School. They proclaimed ‘Hangul Orthography’ made with 16 clause on the basis of the outcome of these sessions in 12th April 1912. The ‘Hangul Orthography’consists of 1 clause about ‘notation principle’, 11 clause on ‘Regulations of hangul writing system for Korean language’ and 3 clause on ‘Regulations of hangul notation for Japanese kana 50 syllables’. ‘Regulations of hangul notation for Japanese kana’ was created as tools of converting the 50 syllables, voiced sounds (dakuon), and long vowels of the Japanese kana into hangul by enacting the ‘Hangul Orthography’, which enabled Koreans to learn the Japanese language easier and faster by using their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and hangul. Moreover, the Regulations was not to help Koreans learn language effectively but to help Japanese people such as police and teachers …… etc, who needed Korean language skills in daily life. The actual intentions of enacting the ‘Hangul Orthography’ can be found in the text books which the orthography was used. The C.J.K. first applied ‘Hangul Orthography’ in publication of The Japanese Rapid Reading, 束修國語讀本 (1914), by C.J.K., and applied once again in publication of Korean Grammar & Conversation, 朝鮮語法及會話書 (1917), by C.J.K.. Thus the government (C.J.K.) and applied ‘the Hangul Orthography’ in Japanese pronunciation in The Japanese Rapid Reading, the Japanese textbook for Korean, and also in hangul which explains the Japanese text for Korean people. Furthermore, they applied the ‘Hangul Orthography’ to Korean Grammar & Conversation, the Korean textbook for Japanese, but the ‘Regulations of hangul notation for Japanese kana’ to hangul chart for Japanese to learn Korean pronunciation. According to these intentions, the C.J.K. enacted ‘Regulations of hangul notation for Japanese kana’ and made ‘phonemic writing system’ as a principle of the Korean writing system which writes and pronounces the principles of the writing systems in various allomorph, coming from the phonological phenomenon in the morpho-phonological substitution environment since those Japanese people of beginner level of Korean cannot learn easily. Before Korea was annexed to Japan, this notation principle was considered as going against the existing notation principle of Korean language and overriding the Proposal of the Korean Writing System, 國文硏究議定案, submit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to Hak-Bu, Department of Education, in December 1909.

      • KCI등재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1915)권1과 <언문철자법>(1912) -조선어 학습 방침과 규범 통제를 중심으로-

        이상혁 ( Sang Hyeok Lee ) 우리어문학회 2013 우리어문연구 Vol.46 No.-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1915)권1에 반영된 조선어 학습 방침과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1912)과 연관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과거나 현재를 막론하고 국어 교과서는 그 성격상 불가피하게 규범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런 의미에서 일제의 식민지 조선어 교육과정에서 1910년 이후 처음 출간된 교과서를 그 대상으로 삼았다. 논문을 통해 일제강점기 ``조선어독본``의 편찬과 개정에 대한 경과를 수정하여 제시해 보았고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1912)의 제정이 교과서에 미친 영향이 ``경성어``의 도입를 통한 규범 통제의 양상이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1915)권1의 체제가 그 이전과 이후의 다른 조선어 교과서와 다르다는 점을 논의하면서 세 가지 점에 주목하였다. 그 첫째는 교과서 서언(일러두기)에 투영된 조선어 교육 방침과 언어 의식에 대한 것이었는데 교과서를 통해서 관통하는 거시적인 언어관의 일면을 엿볼 수 있었다. 두 번째는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1915)권1의 자모 제시와 규범 반영 방식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전통적인 자모 제시와는 달랐던 이 교과서의 규범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마지막으로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1915)권1 본문이 일제강점기에 유일한 한문 학습 연계 교과서의 체계를 가지고 있는 점을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당시 규범을 제정한 의도는 표준화라는 언어정책적 측면과 조선어 교과서를 통한 통치 효율성에 그 기반을 둔 것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조선총독부가 직접 관여하여 규범 통제를 최초로 구현한 교과서가 『보통학교 조선어급한문독본』(1915)권1이었음을 강조하고자 했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s revealed in the Korean language(Joseoneo) textbooks(1915), publishe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in conjunction with Spelling Conventions(1912). Korean textbooks were influenced by spelling conventions historically. I dealt with the Korean language(Joseoneo) textbooks(1915)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since 1910 because it is literall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ces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aim of this article is two fold widely. First, it proposes to modify the progress of the compilation and revision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Second, it pointed out that The enactment of Spelling Conventions(1912) was the aspects of constraints to introduce standard language as ``Gyeongseongeo(seoul dialect at that time)`` in this textbook. it examines with emphasis on three points microscopically, while discussing the structure of the Korean language(Joseoneo) textbooks(1915) and other diffe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First, there ar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language consciousness in that introductory textbooks. I observed through entire textbooks the aspect of macroscopic language consciousness. Second, I argued the system of Korean alphabet presentation in Korean language textbooks(1915), it was different with the traditional method and like Japanese style. Third, in this article it is to research the only body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Joseoneo) textbooks(1915) which is discussed in conjunction with the Chinese learning by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period.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e government the Japanese Empire was based on intention to standardize Korean language and spelling convention as the language policy aspects and on the efficiency of the colonial rule. A result in the first implementation of Spelling Conventions(1912) constraints was down to the Korean language(Joseoneo) textbooks(1915)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as foreign language.

      • KCI등재

        어문 규범으로 보는 음운 현상의 표기 반영 양상,

        송미영 (宋美營) ( Song Mi-yo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2

        이 연구는 개화기(1894~1910) 이후 등장하는 어문 규범의 변천 가운데 내재된 음운 현상과 그 표기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국문 연구소를 비롯한 많은 학자들에 의해 어문 규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통일된 규정이 없어 많은 혼란이 있었다. 이후, 조선 총독부에 의해 세 차례에 걸쳐 「普通學校用 諺文綴字法」이 공표·개정되었고, 비로소 1933년에 조선어학회 주도의 「한글 마춤법 통일안」이 마련된다. 1·2차의 「諺文綴字法」이 표음적 표기법에 바탕을 두었다면, 3차의 「普通學校用 諺文綴字法」(1930. 2)은 표의적 표기법을 중심에 두었다. 또한 조선어학회의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 10)은 표의적 표기가 보다 강화되었으며, 음운 현상에 대한 설명과 그 종류가 상세화된다. 이에 구개음화와 두음법칙의 적용 환경을 순수 조선어와 한자어로 나누었다는 점, 사이 ㅅ의 표기와 관련하여 사잇소리 현상을 설명하였다는 점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phonological phenomenon and aspect of notation inherent in the Linguistic Norms appearing after the Enlightenment Period(1894~1910).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Linguistic Norms done by scholars such as Korean Language Institute, but there hasn't been unified norm, causing confusion. Later, 「the Korean Spelling System for Primary School」 was announced and revised three times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A Draft for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 was finally established by Korean Language Society in 1933. This Linguistic Norms was prepared to correct confusion, so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honological phenomenon of those days. While the first and the second 「the Korean Spelling System for Primary School」 were based on phonetic representation notation, the third 「the Korean Spelling System for Primary School」(February, 1930) focused on ideographic notation. In addition, 「A Draft for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October, 1933) by Korean Language Society had ideographic notation more reinforced, and the explanation on phonological phenomenon and its types are specified.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research the fact that the application environment of palatalization and first initial sound law is divided into pure Korean language and Sino-Korean words, and that the phenomenon of Saitsori is explained regarding the notation of Sai ㅅ.

      • KCI등재

        어문 규범으로 보는 음운 현상의 표기 반영 양상 ― 「普通學校用 諺文綴字法」과 「한글 마춤법 통일안」을 중심으로 ―

        송미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phonological phenomenon and aspect of notation inherent in the Linguistic Norms appearing after the Enlightenment Period(1894~1910).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Linguistic Norms done by scholars such as Korean Language Institute, but there hasn't been unified norm, causing confusion. Later, 「the Korean Spelling System for Primary School」 was announced and revised three times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A Draft for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 was finally established by Korean Language Society in 1933. This Linguistic Norms was prepared to correct confusion, so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honological phenomenon of those days. While the first and the second 「the Korean Spelling System for Primary School」 were based on phonetic representation notation, the third 「the Korean Spelling System for Primary School」(February, 1930) focused on ideographic notation. In addition, 「A Draft for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October, 1933) by Korean Language Society had ideographic notation more reinforced, and the explanation on phonological phenomenon and its types are specified.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research the fact that the application environment of palatalization and first initial sound law is divided into pure Korean language and Sino-Korean words, and that the phenomenon of Saitsori is explained regarding the notation of Sai ㅅ. 송미영, 2019, 어문 규범으로 보는 음운 현상의 표기 반영 양상, 182 : 47~72 이 연구는 개화기(1894~1910) 이후 등장하는 어문 규범의 변천 가운데 내재된 음운 현상과 그 표기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국문 연구소를 비롯한 많은 학자들에 의해 어문 규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통일된 규정이 없어 많은 혼란이 있었다. 이후, 조선 총독부에 의해 세 차례에 걸쳐 「普通學校用 諺文綴字法」이 공표·개정되었고, 비로소 1933년에 조선어학회 주도의 「한글 마춤법 통일안」이 마련된다. 1·2차의 「諺文綴字法」이 표음적 표기법에 바탕을 두었다면, 3차의 「普通學校用 諺文綴字法」(1930.2)은 표의적 표기법을 중심에 두었다. 또한 조선어학회의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10)은 표의적 표기가 보다 강화되었으며, 음운 현상에 대한 설명과 그 종류가 상세화된다. 이에 구개음화와 두음법칙의 적용 환경을 순수 조선어와 한자어로 나누었다는 점, 사이 ㅅ의 표기와 관련하여 사잇소리 현상을 설명하였다는 점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송헌석의 <최신속성 조선어자통(最新速成 朝鮮語自通)>(1928) 고찰—문자 및 발음 기술 양상을 중심으로—

        주현희 한글학회 2020 한글 Vol.- No.328

        This article examines Song Heon-seok’s Korean language study, Choisin-sokseong Joseoneo-jatong (1928), which discussed writing and pronunciation descriptio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 large number of Korean language study books were published for Japanese of which Choisin-sokseong Joseoneo-jatong (1928) was one such book. The author, Song Heon-seok, published various foreign language study books, including about Japanese and Chinese. There have been many prior studies of Song Heon-seok's Japanese and Chinese language study books, but there have been no studies of Korean language study books. So in this article reviewed his own Korean study book, Choisin-sokseong Joseoneo-jatong (1928), and compared it to his following book, Soksu Joseoneo-jatong (1926/1939). During this period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partially amended “The Korean Spelling System for Primary School,” which was enacted in 1912, and in March 1921 published “An Outline of the Korean Spelling System for Primary School (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 The Outline stipulated the abolition of Arae-A(·), the unification of the marking of a fortis ㅅ, the 7 final consonants, the Initial Sound Law, and palatalization. Choisin-sokseong Joseoneo-jatong (1928) examined how text and pronunciation were described in light of these revised regulations and compared the new described elements with those described in various Korean language learning books published in the 1920s. 이 논문에서는 송헌석이 저술한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서 <최신속성 조선어자통(最新速成 朝鮮語自通)>(1928)에 나타난 문자 및 발음 기술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1910년 일제의 국권 침탈 이후 일본인 대상의 한국어 학습서들이 대량으로 간행되었다. <최신속성 조선어자통>(1928)도 이 시기에 간행된 한국어 학습서 중 하나이다. 저자 송헌석은 여러 종류의 외국어 학습서를 간행한 이로 본고에서는 그의 한국어 학습서 <최신속성 조선어자통>(1928)을 고찰하고 이를 그가 이전에 저술한 <속수 조선어자통(速修朝鮮語自通)>(1926/1939)과 비교⋅분석하였다. 한편 조선총독부는 1912년에 제정한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을 일부 수정하여 1921년 3월에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 대요(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를 공표하였다. 여기에서는 아래아(ㆍ) 표기의 폐지, 된시옷 표기 통일, 7종성, 두음법칙, 구개음화 등의 표기 및 발음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최신속성 조선어자통>(1928)에서는 이 규정을 토대로 문자 및 발음을 어떻게 기술했는지 1920년대에 간행된 여러 한국어 학습서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 KCI등재

        노기주의 『應用自在朝鮮語法詳解』(1924) 고찰

        주현희 ( Ju Hyeon-hee ) 영주어문학회 2022 영주어문 Vol.51 No.-

        본 연구에서는 근대 시기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서에 나타나는 한국어 문법과 일본어 문법간의 영향 관계를 고찰하는 한편 어문정책에 따른 언문철자법의 기술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노기주(魯璣柱)가 저술한 『應用自在朝鮮語法詳解』(1924)의 문법 기술 양상을 고찰하였다. 먼저 저자의 생애와 이력을 살펴 이 책이 간행된 계기를 고찰하였고 음운 및 발음의 기술 양상과 품사 항목 설정, 교육 내용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저자 노기주는 경찰관강습소 교관으로 근무한 경험을 살려 경찰관의 한국어 강습 및 한국어 시험 대비 목적으로 이 책을 저술하였다. 또한 이 책은 음운 및 품사 분류 등의 문법 내용을 체계적으로 수록하여 문법 설명에 충실한 학습서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음운 및 발음의 기술에서는 조선총독부에서 1921년 3월에 개정, 공포한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대요」를 반영하였으며 영어 알파벳으로 발음을 표기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토(吐), 수사 등의 품사 설정에서 한국인 문법가의 문법 체계에 영향을 받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조동사의 설정은 일본어 문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자의 천자음과 단어집을 수록하였으며 화문선역(和文鮮譯)의 주의 사항을 제시하여 조동사 및 토(吐)의 용법을 주의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조선어장려시험에 대비하기 위한 학습 내용 구성으로 여겨진다. 조선어장려시험의 화문선역(和文鮮譯)의 문항은 문어체로, 국어선역(和語鮮譯)의 문항은 구어체로 답안을 작성해야 하는데 노기주(魯璣柱)의 『應用自在朝鮮語法詳解』(1924)에서는 이러한 한국어의 문어체와 구어체를 모두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 내용을 구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descriptional aspects of phonology and grammar of Noh Ki-ju’s 『應用自在朝鮮語法詳解』(1924), a Korean language study book for Japanese during the modern period. The author Noh Ki-ju worked as a police officer’s instructor, and since this book was published around the time of the < Joseon Language Encouragement Regulations > and < Joseon Language Tests >, this book examined the composition of Korean language classes and Korean language tests for police officers at that time. Meanwhile, in March 1921, the Chosun Governor-General revised and promulgated < Ordinary school Spelling system >, and a large number of learning books reflecting this in the learning contents were published. While many Korean language books around this time were written for various learning purposes for beginners, this book is characterized by setting public officials of a certain status as learners and for special educational purposes of preparing for the Korean language test. In addition, Noh Ki-ju’s 『應用自在朝鮮語法詳解』(1924) is characterized by being faithful to grammar explanations by systematically recording grammar contents. In addition, unlike other Korean language books written for police officers, it seems that the grammar system of Korean grammarians was introduced in the composition of grammar contents to describe the classification and content of parts. In terms of phonology and pronunciation, the < Ordinary school Spelling system Summary > revised and promulgated by the Governor-General of Joseon in March 1921 was reflected, and the pronunciation was written in English alphabets. In addition, it was influenced by Korean grammarians in the setting of parts such as ‘postposition’ and ‘numeral’, and the setting of ‘auxiliary verb’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Japanese grammar. On the other hand, a collec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a vocabulary book, and precautions for <和文鮮譯> are presented to pay attention to the use of ‘auxiliary verbs’ and ‘postposition’, which is in preparation for the < Joseon Language Recommend Test >. The questions of <和文鮮譯> should be written in written form, and the questions of <和語鮮譯> should be written in spoken form, Noh Ki-joo’s 『應用自在朝鮮語法詳解』(1924) found that the learning contents were composed so that both the written and spoken Korean could be learned.

      • KCI등재

        신조 준테이(新庄順貞)의 『鮮語階梯』(1918) 연구

        주현희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23 한국학연구 Vol.85 No.-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content composition and grammatical technology aspects of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book 『鮮語階梯』(1918) for Japanese written by Juntei Shinjou. The author, Juntay Shinjou, served as an undergraduate interpreter a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participated in the enactment of the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1912) promulg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12. His book, 『鮮語階梯』(1918), was published from July 1915 to October 1916, collecting a series of articles under the title of 「조선어의 연구(朝鮮語の硏究)」.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朝鮮彙報』(1915-1916) and 『鮮語階梯』(1918)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literary spelling methods of 1912 and 1921.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examine how the author reflected the research results of the Korean orthography, which was studied while participating in the enactment of the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1912) in 1912 and the review committee for the compilation of Korean dictionaries in 1918. In 『鮮語階梯』(1918),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compilation of 『鮮語階梯』(1918)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examples of technologies such as the law of acronyms, the rules of lotus tones, and the palatalization.

      • ≪일어유해≫의 음운론적 상태와 표기 특징 : ≪왜어유해≫와의 대비를 중심으로

        김주필 ( Kim Joo-phil )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018 語文學論叢 Vol.37 No.-

        The phonological state and notation of the Ileoyuhae 日語類解 can be summarized in two major ways. One was to mark the historical notation appearing in Waeeoyuhae 倭語類解 in the reality sound of Seoul as constant, The other was to sort the ‘voice type: notation type’ into ‘1:1’ relation, but notation of separating spelling between noun and particle, predicate stem and ending. By applying this notation,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notation of the book properly alleviates some of the various allonotations, but does not properly sort out or solve the problems that arise during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Korean language. In addition, this book expresses the notion that the voluntary phenomenon of Korean language as an essential phenomenon and the notation of Korean phonological phenomenon seems to be adapted to the phenomenon that occurs in Japanese. Furthermore, there is a notation that reflects the normative attitude, applying the standard uniformly to simplify various forms too much in the process of phonological changes of the Korean language. This phonological state and notation features appearing in this book also appear in the ‘Hangeul Spelling Law for Elementary Schools’ that Kanazawa Shozaburo 金澤庄三郞 was involved in during the compilation of this book. In other words, the phonological state and notation of Ileoyuhae is very similar to the notation principle or the detailed rules of “Hangeul Spelling Law for Elementary School”. In this context, it is judged that Kanazawa Shozaburo’s initiative was to establish the’ Hangeul Spelling Law for Elementary Schools’ which was enacted and promulgated by the Chosun Governor General on April 12, 191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