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범망경』 「상권」과 「하권」의 관계에 대한 소고 - 심지(心地) 수행과 계율(戒律) 실천의 병행(竝行) -

        신규탁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29 No.-

        「상권」과 「하권」 두 권으로 구성된 『범망경』이 중국에서 만들어진 문헌이라는 점에 대해 학자들 사이에 이견(異見)은 없다. 그렇다면 이 책이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 이상, 그 속에는 만든 이의 의도가 들어있을 것이다. 그 의도는 무엇인가? 바꾸어 말하면, 이 책 속에는 어떤 사상들이 들어 있을까? 필자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계승하여, 『범망경』속에 담긴 대승 사상을 일곱 가지로 요약했다. 그렇다면 과연 『범망경』이 출현하게 된 이유가 일곱 가지만인가? 필자가 보기에 『범망경』출현에는 특별한 의도가 있다. 그럼 그 의도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답을 찾기 위하여 필자는 「상권」과 「하권」 사이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상권」에는 계율에 관한 이야기는 전혀 없고, 석가모니 자신은 심지(心地)를 수행해서 부처가 되었음을 고백하고, 동시에 또 거기에 도달하기 위한 40단계의 과정을 소상하게 설명하고 있다. 반면 「하권」에는 10종의 무거운 죄와, 48종의 가벼운 죄에 대하여 조목조목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필자는 「하권」의 앞부분 속에, 「상권」과 「하권」을 연결시키는 중요한 이야기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 이야기란, 석가모니는 심지(心地) 수행을 시작하는 던 첫 단계에서 ‘광명금강보계(光明金剛寶戒)’를 항상 암송했는데, 바로 이 계로부터 10종의 무거운 죄와 48종의 가벼운 죄에 대한 계목(戒目)이 생겨났다고 하는 이야기이다. 필자는 바로 이 이야기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즉 ‘심지 수행’과 ‘계율 실천’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고, 더 나아가 이 두 관계를 경전의 형식을 빌려 널리 주장하기 위해서 법성(法性) 사상을 선양하려는 누군가가 범망경』을 편집했다. 『화엄경』과 『대승기신론』에 의거하여 기존에 이미 구축된 법성(法性) 사상 위에, 기존의 대승 율장에 나오는 계율의 조목을 연결시킴으로써, 계율 실천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했다. 즉, 계율의 근거를 심지 수행으로부터 찾은 것이다. There is no disagreement among scholars on the fact that Brahmajāla-Sutta(『梵網經 ; Fan wang jing』), consisted of two volumes, was made in China. If this book was created by someone at least, there would be author's intent. What is the intention of writing the book? In other words, what are the main thoughts in these volumes? Succeeding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I summarize Brahmajāla-Sutta into 7 main ideas. In my opinion, there might be a special intention to produce the Brahmajāla-Sutta. What is its intent? To fi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volumes. The first volume does not give a talk on the precepts, but makes a confession of Buddha's self-discipline and explains the 40 steps to become Buddha. The second volume explains about 10 grave charges and 48 minor offenses. I notice that it is in front of the second volume that there is an important story, which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volumes. It is the story that Buddha has repeated ‘guang ming jin gang bao jie(光明金剛寶戒)’ from memory whenever he starts to discipline his mind, and the commandments of 10 grave charges and 48 minor offenses have come into being from that. I focus on the story and conclude the following: There has been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mind practice and practical commandments, and someone, who had the theory of dharmatā, compiled the Brahmajāla-Sutta in order to argue widely about the relationship. The editors provided theoretical foundations of practical commandments by connecting the Buddhist commandments with the existing traditional Mahayana precepts, under the provision of dharmatā thought, according to Hua yan jing(『華嚴經』) and Da cheng qi xin lun(『大乘起信論』). Therefore, mind practice has become a foundation for the commandments.

      • KCI등재

        『梵網經』異本을 통한 고려대장경과 돈황 유서 비교 연구

        조은수(Eun-su Cho) 보조사상연구원 2009 보조사상 Vol.32 No.-

        본 논문은 梵網經 (K. 0527, T. 1484)에 대해 돈황사본, 고려 초조대장경, 그리고 고려 재조대장경의 다른 판본들을 대조하여, 범망경의 구성과 성립 과정에 대해 시사점을 가지는 문헌상의 몇 가지 특징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범망경은 5세기경 중국에서 성립된 위경이며, 대승보살계를 설하는 주요 경전으로 동아시아 불교의 계율사상 형성에 핵심이 되는 문헌이다. 본 연구에서는 50종 총 342 점에 이르는 돈황사본을 활용하여 이들 사본과 인경본들을 검토한 결과 범망경은 그 글자의 출입이 상당하며 오랜 시일을 거쳐 많은 교열 과정을 거친 것으로 여겨진다. 고려대장경 재조본은 상권·하권이 모두 존재하는 반면, 초조본은 하권만 존재하는 등, 판본에 따라 경전의 수록 범위도 다르며, 글자 교열을 통해서 내용의 수정도 가해져서 흥미로운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이같이 필사본과 인쇄본 등을 대조 연구함으로써 상이한 매체에 따라 어떻게 지식이 교정되고 선택되며 표준이 정립되어 가는지에 대한 추정이 가능하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notable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various recensions of the Fanwangjing (K. 0527, T. 1484) by conducting a comparative examinations of the many Dunhuang manuscripts and the first and the second-editions of the Tripitaka Koreana. The Fanwangjing, an apocrypha Buddhist text, presumably created around 5th century China, is a popular sutra in East Asian Buddhism, famous as a major textual source that systematically presents the Mahayana Bodhisattva precepts. Over time, significant corrections were made, hence the breadth of changes to the contents, and even the range of the inclusion of texts varied depending on the versions. By investigating these exciting features of diversity and variation, we were able to come up with an explanation about the course of the life of the Fanwangjing, presenting an interesting case study of how knowledge can be distribu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media, how it can be corrected and selected in order to make a standard version that asserts an authenticity both in the form and contents it provides.

      • KCI등재

        『梵網經菩薩戒本私記卷上』 元曉 진찬여부 논쟁에 관한 재고

        손영산 한국불교학회 2010 韓國佛敎學 Vol.56 No.-

        This paper will explore the controversy over authorship concerning the Beommagyeong-bosalgyebonsagi (『梵網經菩薩戒本私記』: from hereon Sagi) and attempts to approach this problem with a special focus on the concept of the three bodies(三身) as represented in the Sagi. Beommagyeong, a text recording the East Asian Māhāyana Buddhist Precepts, is an apocryphal text constructed around the 5th century in China. Nevertheless, it was considered a text of great importance in East Asian Buddhism, and major commentaries have been based on it, of which Sagi is one. Up until recent times, the Sagi has been classified as one of the many writings of Wŏnhyo(617-686) of the Silla dynasty. But in 1980,Sensho Kimura(木村宣彰) started to raise doubts about this uncontested fact, which entailed an emergence of scholastic controversy over this issue concerning Wŏnhyo’s authorship on that particular text. A number of scholars taking part in this debate supported their views by paying close attention to Wŏnhyo’s style of writing: common formats, usage of concepts, and a comparison with his other writings. In this paper, I introduce an issue that has not yet been at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namely, ‘The theory of the three bodies of Buddha’ in the Sagi. Historically, the names of each Buddha within the concept of the three bodies differ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text and school. The typical names include the dharma body(法身),reward body(報身), response body(應身), and transformed body(化身). Wŏnhyo, generally employs many different variations in order to explain the three bodies instead of just one set of terms. Yet, in the Sagi we notice an exception in Wŏnhyo’s style. In this particular text, the three bodies are explained using the set, dharma bodyresponse body-transformed body, without any mention of other terms. Furthermore, the perfect correspondence of each body with Vairocana(毘盧遮那)-Rocana(盧舍那)-Śākyamuni(釋迦牟尼) cannot be located in any other writings by Wŏnhyo. As such, I show a critical reconsideration to the claim that Sagi is a writing of Wŏnhyo. 본고는『梵網經菩薩戒本私記卷上』(이하『私記』)의 元曉 진찬여부에 관한 논쟁을『私記』에 나타난 三身說 등의 용례를 중심으로 재검토한다. 『梵網經』은 5세기 무렵 중국에서 편찬된 대승계율에 관한 텍스트로서, 동아시아 불교사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이에 대한 주석서 또한많이 있는데『私記』는 그 주석서들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私記』는 신라 元曉(617-686)의 저술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1980년 키무라 센쇼(木村宣彰)가 신라 元曉 진찬설을 의심한 이래, 몇몇 학자들에 의해 글의 체재와 용례, 다른 元曉 저술과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私記』 元曉 진찬설이 비판적으로 검토되었던 바 있다. 본고는 기존에 제기되지 않았던,『私記』에서의 三身 이해가 元曉 진찬설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이를 중심으로『私記』 진찬자 문제를 재검토한다. 元曉는 그의 저술들에서 三身說, 즉 역사적으로 法身ㆍ報身ㆍ應身ㆍ化身 등 여러 이름을 가지고 구성되는 三身의 구도에 대해 대체로 폭넓게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私記』에서는 三身이 유독 法身-應身-化身의 구도로 규정되고 있다. 더욱이 그 각각의 身에 毘盧遮那-盧舍那-釋迦牟尼를 대응시키는 부분이 있는데, 이것은 元曉의 주장이라고 보기에는 매우 이례적이다. 특히 ‘ 毘盧遮那’ 에 대한 언급이 元曉의 다른 저술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용례라는 점에서,『私記』의 元曉 진찬설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私記』 元曉 진찬설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때, 이를 통해 기존에 논의되었던 문제들을 새롭게 환기시키는 계기가 마련되며, 아울러『私記』의 저술시기 및 삼론사상과의 관계, 그리고 진찬자 문제 등과 같은 유의미한 쟁점들이 새로이 도출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동곡 일타 대종사의 불교관과 그의 선사상

        신규탁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80 No.-

        This paper explores the Seon thought of Donggok Ilta through an analysis of his writings. Given Ilta’s viewpoint, as presented in his Beommanggyeong-Bosalgye (梵網經菩薩戒, Bodhisattva Precepts of Brahamajala Sutra), I see his thoughtas being based on the “doctrine of dharmata (法性宗).” Therefore, I’ve attempted to interpret Ilta’s thought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philosophy of dharmata (法性敎學)”, which is founded on the belief in the existence of the “originally awakened mind (本覺眞心)” innate to all human beings. Some of the prominent aspects of Ilta’s thought can be summarized as the “philosophy of lotus in water (水中蓮),” which emphasizes the pursuit of the "absolute truth (眞諦, paramartha-satya)" while referring to the “worldly truth (俗諦, samvrti-satya),” the “philosophy of practicing Samantabhadra (普賢行),” which stresses the conduct of goodness in accordance to the Buddhist teachings, and the “philosophy of adopting the old⋅creating a new (法古 創新)”, which advocates practical reformation of Buddhist education based on the basic principles of Buddhism. The Seon thought of Ilta encompasses various aspects of Buddhism both in terms of theory and practice - for example, the combination of “contemplation of hwadu (看話)” and “quotations from old masters” as well as the emphasis on the observance of precepts (持戒) and rules (戒律) - are eventually to culminate in the actual practice of hwadu (話頭, big doubt), which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light as the “philosophy of dharmata” asserting the originally enlightened nature of mind. This perspective is also shared by many other Seon masters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이 논문은 동곡 일타의 선사상을 그의 작품에 의해 분석한 것이다. 그가 해설한 『梵網經菩薩戒』 속에 나타난 사상은 법성종의 입장에 기반하고 있다고필자는 보았다. 그래서 필자는 법성교학의 입장에서 그의 사상을 조망했다. 법성교학이란 모든 중생들은 누구나 할 것 없이 모두 본각진심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런 일타의 사상은 크게 셋으로 요약할 수있다. 첫째는 ‘水中蓮花의 철학’인데, 이는 속제 속에 진제의 순수성을 강조하는 것이고, 둘째는 ‘普賢行願의 철학’인데, 이는 부처님의 말씀대로 수행하는것이고, 셋째는 ‘法古創新의 철학인데’, 이는 옛 제도를 계승하면서 새 시대에알맞게 변화시키는 것이다. 일타의 선사상은 실천과 이론 면에서 불교의 여러 측면을 아우르고 있는데, 예를 들면 화두를 관찰하는 ‘看話’와, 화두를 설명하는 ‘說話’의 두 측면을병행하되 계와 율을 지키면서 하는 것이다. 이 모두를 필자는 법성교학의 지평에서 이해하고 조망했는데, 이 점은 한국 근현대의 여타 선사들에도 적용되는 것이었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의적(義寂) 연구의 현황과 과제

        최연식 ( Yeon Shik Choe ) 동국사학회 2014 동국사학 Vol.56 No.-

        의적에 대한 초기의 연구는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1940년대부터 60년대에 걸쳐 일본 중세 정토신앙을 연구하던 학자들은 일본의 정토신앙 관련 문헌에 의적의 저술이 빈번하게 인용되는 것에 주목하여 그 일문들을 모아 『無量壽經述義記』 輯逸本을 편찬하였고, 나아가 그 내용에 의거하여 의적의 정토사상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이어서 60년대 말과 70년대 초에는 역시 일본의 불교 문헌들에 인용되고 있는 의적의 『大乘義林章』과 『梵網經菩薩戒本疏』의 사상 내용이 검토되면서 정토사상만이 아니라 유식사상과 계율사상에서도 의적이 다른 사상가들과 구별되는 독자적 사상을 가지고 있었고, 그것이 일본 불교계에까지 영향을 미쳤음이 확인되었다. 국내에서는 60년대부터 80년대에 걸쳐 신라 정토사상 및 대승계율사상의 흐름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의적의 『무량수경술기』와 『범망경보살계본소』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검토되었다. 이 과정에서 원효, 경흥, 태현 등 대표적 신라 불교사상가들과 의적의 사상적 同異點이 자세히 밝혀졌다. 아울러 국내에 전하는 의적 관련 전승 및 자료들을 검토하여 화엄종 의상의 제자로 알려진 의적이 실제로는 화엄학승이 아니라 유식학파의 승려일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편 이 시기 일본에서는 의적이 편찬한 『法華經集驗記』가 새롭게 발굴, 소개되었다. 90년대 이후에는 국내와 일본에서 의적의 사상에 대한 연구가 보다 심화되었다. 유식학 관련 저술의 일문들이 폭넓게 수집, 검토되어 그의 유식사상이 중국 법상종 주류와는 구별되는 일승적 측면이 있음이 논의되었다. 또한 『법화경집험기』와 『法華經論述記』에 대하여 책의 구성 및 편찬 배경, 중국의 관련 문헌들과 비교 등의 검토가 있었고, 이를 통해 정토사상, 유식사상에 이어 법화사상가로서 의적의 면모가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나게 되었다. 한편 일본의 도서관에서 『무량수경술기』 일부의 원본이 확인, 공개되었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통하여 의적의 사상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었지만,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대부분 그의 다양한 사상 내용 중 한 측면만을 살피는데 그치고 그의 사상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기존 연구 대부분이 그의 저술 중 하나 혹은 둘 정도만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 교학의 내용을 검토하였을 뿐 다른 교학과 관련하여 포괄적으로 이해하려고 시도하지 못하였다. 이런 점에서 의적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기초적 단계를 넘어섰다고 보기 힘들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의적의 저술 전반을 대상으로 하여 그의 사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가 많이 나와야 할 것이다. Research on Uijeok`s thought was initiated by Japanese scholars who had studied Japanese medieval pure land beliefs. In scrutinizing the Japanese pure land literature, they found not a little citations of Uijeok`s Commenatry on Amitabha Sutra were shown in the literatures. They edited collections of the citations and started to study Uijeok`s understanding on the pure land belief. During the late of sixties and early seventies other Japanese scholars who studied Yogacara thoughts and Buddhist Commandments also found that Uijeok`s other books, such as the Explanations on Mahayana theories and Commentary on Indra`s net Sutra, had given not a little influence on Japanese Buddhism and started to examine them. In Korea, from sixties to eighties when some scholars tried to systemize Shilla Buddhist thoughts, his Commentary on Amitabha Sutra and Commentary on Indra`s net Sutra were scrutinized and his thoughts on pure land belief and Buddhist Commandmen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Shilla monks such as Wonhyo, Taehyeon and Gyeongheung. And some scholars who examined his works and some fragmentary records on his life argued that he had been much more a famous Yogacara scholar than a Huayan monk, though some records tells that he was a disciple of Uisang, the founder of Korean Huayan school. During the same period another work of Uijeok, the Compilations of Miraculous records related to Lotus Sutra, was found in Japan. Since the nineties the studies on Uijeok`s thoughts have developed much more. Some scholars scrutinized the citations of his the Explanations on Mahayana theories, the minute cathchism on Yogacara philosophy, remained in some Japanese literatures. They found out that his Yogacara thought had some peculiarities in some important aspects and different from that of Chinese Yoagcara scholars. Others examined the contents and philosoph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his works on Lotus Sutra, the Commentary on Lotus Sutra Sastra and Compilations of Miraculous records related to Lotus Sutra, and compated them to the similar contemporary Chinese works. Through these, Uijeok came to be recognized as a great scholar whose interests covering not only the pure land belief and Commandment thoughts but also the Yogacara philosophy and Lotus Sutra. Now he was regarded one of the great Buddhist generalist of Shilla. Despite of these recent developments, most of the studies on Uijeok`s thoughts dealt only one aspect of his thoughts and failed to examine Uijeok`s thoughts comprehensively. There have been no trial to compare and synthesize all of his works. In this sense the research on Uijeok`s thoughts can be said to be still in the rudimentary level. Now the studies trying to synthesize and characterize his thoughts by comparing all of his works are needed.

      • KCI등재

        義寂 연구의 현황과 과제

        최연식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4 동국사학 Vol.56 No.-

        Research on Uijeok’s thought was initiated by Japanese scholars who had studied Japanese medieval pure land beliefs. In scrutinizing the Japanese pure land literature, they found not a little citations of Uijeok’s Commenatry on Amitabha Sutra were shown in the literatures. They edited collections of the citations and started to study Uijeok’s understanding on the pure land belief. During the late of sixties and early seventies other Japanese scholars who studied Yogacara thoughts and Buddhist Commandments also found that Uijeok’s other books, such as the Explanations on Mahayana theories and Commentary on Indra’s net Sutra, had given not a little influence on Japanese Buddhism and started to examine them. In Korea, from sixties to eighties when some scholars tried to systemize Shilla Buddhist thoughts, his Commentary on Amitabha Sutra and Commentary on Indra’s net Sutra were scrutinized and his thoughts on pure land belief and Buddhist Commandmen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Shilla monks such as Wonhyo, Taehyeon and Gyeongheung. And some scholars who examined his works and some fragmentary records on his life argued that he had been much more a famous Yogacara scholar than a Huayan monk, though some records tells that he was a disciple of Uisang, the founder of Korean Huayan school. During the same period another work of Uijeok, the Compilations of Miraculous records related to Lotus Sutra, was found in Japan. Since the nineties the studies on Uijeok’s thoughts have developed much more. Some scholars scrutinized the citations of his the Explanations on Mahayana theories, the minute cathchism on Yogacara philosophy, remained in some Japanese literatures. They found out that his Yogacara thought had some peculiarities in some important aspects and different from that of Chinese Yoagcara scholars. Others examined the contents and philosoph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his works on Lotus Sutra, the Commentary on Lotus Sutra Sastra and Compilations of Miraculous records related to Lotus Sutra, and compated them to the similar contemporary Chinese works. Through these, Uijeok came to be recognized as a great scholar whose interests covering not only the pure land belief and Commandment thoughts but also the Yogacara philosophy and Lotus Sutra. Now he was regarded one of the great Buddhist generalist of Shilla. Despite of these recent developments, most of the studies on Uijeok’s thoughts dealt only one aspect of his thoughts and failed to examine Uijeok’s thoughts comprehensively. There have been no trial to compare and synthesize all of his works. In this sense the research on Uijeok’s thoughts can be said to be still in the rudimentary level. Now the studies trying to synthesize and characterize his thoughts by comparing all of his works are needed. 의적에 대한 초기의 연구는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1940년대부터 60년대에 걸쳐 일본 중세 정토신앙을 연구하던 학자들은 일본의 정토신앙 관련 문헌에 의적의 저술이 빈번하게 인용되는 것에 주목하여 그 일문들을 모아 『無量壽經述義記』 輯逸本을 편찬하였고, 나아가 그 내용에 의거하여 의적의 정토사상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이어서 60년대 말과 70년대 초에는 역시 일본의 불교 문헌들에 인용되고 있는 의적의 『大乘義林章』과 『梵網經菩薩戒本疏』의 사상 내용이 검토되면서 정토사상만이 아니라 유식사상과 계율사상에서도 의적이 다른 사상가들과 구별되는 독자적 사상을 가지고 있었고, 그것이 일본 불교계에까지 영향을 미쳤음이 확인되었다. 국내에서는 60년대부터 80년대에 걸쳐 신라 정토사상 및 대승계율사상의 흐름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의적의 『무량수경술기』와 『범망경보살계본소』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검토되었다. 이 과정에서 원효, 경흥, 태현 등 대표적 신라 불교사상가들과 의적의 사상적 同異點이 자세히 밝혀졌다. 아울러 국내에 전하는 의적 관련 전승 및 자료들을 검토하여 화엄종 의상의 제자로 알려진 의적이 실제로는 화엄학승이 아니라 유식학파의 승려일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편 이 시기 일본에서는 의적이 편찬한 『法華經集驗記』가 새롭게 발굴, 소개되었다. 90년대 이후에는 국내와 일본에서 의적의 사상에 대한 연구가 보다 심화되었다. 유식학 관련 저술의 일문들이 폭넓게 수집, 검토되어 그의 유식사상이 중국 법상종 주류와는 구별되는 일승적 측면이 있음이 논의되었다. 또한 『법화경집험기』와 『法華經論述記』에 대하여 책의 구성 및 편찬 배경, 중국의 관련 문헌들과 비교 등의 검토가 있었고, 이를 통해 정토사상, 유식사상에 이어 법화사상가로서 의적의 면모가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나게 되었다. 한편 일본의 도서관에서 『무량수경술기』일부의 원본이 확인, 공개되었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통하여 의적의 사상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었지만,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대부분 그의 다양한 사상 내용 중 한 측면만을 살피는데 그치고 그의 사상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기존 연구 대부분이 그의 저술 중 하나 혹은 둘 정도만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 교학의 내용을 검토하였을 뿐 다른 교학과 관련하여 포괄적으로 이해하려고 시도하지 못하였다. 이런 점에서 의적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기초적 단계를 넘어섰다고 보기 힘들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의적의 저술 전반을 대상으로 하여 그의 사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가 많이 나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신라(新羅) 자장(慈藏)의 계율(戒律)활동과 전법

        양숙현 ( Sook Hyeon Y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신라불교는 한국고대기의 원류이자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라자장의 계율정립 또한 현대 한국불교 단일계단의 원류라 할 수 있다. 자장에 대한 선행연구는 많았으나 신라자장의 계율행이 현 조계종 단일계단의 수계내용으로 이어짐을 보인 연구는 없었으며, 이러한 연구는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한 개인이 승가의 일원이 되려면 반드시 계단에서의 수계의식을 통해서 가능하다. 자장이 수계의식의 근본 도량인 통도사 계단을 창설한 의미는 중요한 것이다. 본고는 조형물로서 계단의 의미보다 통도사 戒壇定礎의 계율행이 현재 단일계단에 면면히 내려오고 있음을 보고자 한다. 자장의 계율활동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울 수 있다. 자장은 입당 전 고골관과 五戒, 입당해서는 대승계와 대재의 출가授戒를 하였으며, 귀국후 대승론을 강하고 四衆에게 보살계본을 설했다. 그리고 대국통으로서 반월설계를 시행하고 통도사에 사리와 가사를 봉안한 계단을 정립하였다. 여기서 사중이 존재했음은 대승율에는 없는 구족계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보살계본은 대승계경이다. 그러므로 그 당시 자장은 대소승율을 겸하고 있었던 것이다. 고대신라에서 대소승을 겸수한 바와 같이 현 종단의 단일계단에서도 소승계인 사분율과 대승계인 범망경보살계를 겸수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은 자장에서 비롯된 것이다. 당시 자장의 계율정립이 지금의 단일계단으로 이어지고 있음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근래에 들어 대승불교와 더불어 초기불교의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데 서로 배타적이 아닌 상호보완의 관계를 유지한다면 종단의 발전에 보탬이 되리라 본다. The Shilla Buddhism is referred to as the source and center of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And Jajang Jeongyul(定律: to decide rules) can be also regarded as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of today``s Korean Buddhism. Despite of many preceding researches on Jajang,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to verify that Jajang``s Vinaya activities is succeeded by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s ordination content of the current Jogye Order. Accordingly, attempting to conduct such a research is of great significance academically.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Shilla Jajang``s vinaya activities and propagation It is possible for a person to become a member of Sangha only through the ordination ceremony. Therefore, the Tongdo Temple ordination platform, established by Jajang, has an enormous meaning as the basic Bodhi-mandala. I suggest that the current single ordination platform is not so much a historically important structure as, to date, the evidence showing the views of Sila and Vinaya initially expressed through the platform. Jajang``s Vinaya activities may be characterized as three parts: First, contemplating the human skull and the five basic precepts before his stay in Tang. Next, the complete precepts and the ordination ceremony for renunciation of the secular life at the feast given to monks. Finally, preaching on Mahayana argument(大乘論), exposing the Sutra of Bodhisattva Precepts(菩薩戒本) to the fourfold assembly(四衆), giving an exposition of precepts at the end of half month as Chief Abbot of State (大國統) and establishing the ordination platform which enshrined sacred relics and kasaya at the Tongdo Temple. Here, the fourfold assembly represents Upasampada (具足戒: the full precepts) which doesn``t exist in the Mahayana Vinaya, and the Sutra of Bodhisattva Precepts are from the Mahayana Sutra. These facts indicate both the Mahayana and Hinayana Vinaya were practiced. As the Mahayana and the Hinayana were simultaneously practiced in the Ancient Shilla, Dharmagupta(ka)vinaya (四分律) as the Hinayana Sutra and the Sutra of Bodhisattva Precepts (梵網菩薩戒經: 菩薩戒本) as the Mahayana Sutra are simultaneously used in the single ordination platform of the current Order in a similar way. The system has been originated from Shilla Jajang. Based on thi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tent of Jajang Jeongyul has been inherited to today``s single ordination platform. In recent years, the early Buddhism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long with Mahayana Buddhism. Keeping such a trend in mind, maintaining a complementary relation, not an exclusive one, would grea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our Order.

      • KCI등재

        조계종 「결계 및 포살에 관한 법」 고찰

        손학모(정관) 한국불교학회 2020 韓國佛敎學 Vol.9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an overall review of the Korean Buddhist Jogye Order's precepts meetings (uposatha) and suggest some methods of improvement. In 2008, the Jogye Order established rules for the uposatha. It was revised and newly established several times after its implementation.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uposatha ceremony, five items are investigated regarding the number of ceremonies to be preformed, the master of the ceremony, the code of the precepts (pāṭimokkha), participation of lay Buddhists, and repentance. Of these five uposatha pāṭimokkha, the participants of Bodhisattva pāṭimokkha uposatha, and the master of uposatha ceremony are topics of particular interest. In the uposatha ceremony, the Brahmajāla Sūtra (『梵網經』), a Mahāyāna Sūtra, is used to carry out the Bodhisattva pāṭimokkha uposatha. Furthermore, Bhikkhu pāṭimokkha and Bikkhunī pāṭimokkha uposatha are considered optional. Currently, the Jogye Order is a monkcentered saṅgha or community. Therefore, there is room for reconsideration regarding the Bhikkhu pāṭimokkha and Bhikkhunī pāṭimokkha uposatha. To improve the ceremony it is suggested that, bhikkhus and bhikkhunīs carry out the uposatha along with the pāṭimokkhas. It is also suggested that both monks and lay people join in the Bodhisattva pāṭimokkha uposatha together. By doing so the Mahāyāna and Hīnayāna Saṅgha as well as the lay community can operate harmoniously according to a unified standard. In this paper, the relevant legal provisions of the Jogye Order were reviewed, focusing on these problems. It also suggests an alternative so that the policy on the operation of the precepts and the ceremony would be set in a more meaningful direction. 본 논문은 「포살법」의 변천 과정과 포살법회 현황 및 기록을 조사하여 조계종 포살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포살법」은 가산 지관이 총무원장으로 취임하면서 종단 내 대중 이탈과 범계 문제를 해결하고자 법제화한 것이다. 종단은 2008년에 「포살법」을 제정, 이후 현재까지 포살을 시행해 오면서 부족하고 미비한 법조항들을 5차에 걸쳐 개정하고 신설하였다. 개정·신설된 법조항들은 대부분 구체적인 기간과 명칭을 변경하는 등 세부적인 부분들을 보완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중 포살법회 현황을 중심으로 포살 시행 횟수, 법사, 계본, 재가자의 포살 참여, 참회의 다섯 가지 항목을 집중적으로 조사하였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포살 계본과 보살계 참여 구성원, 그리고 포살법사의 문제이다. 「포살법」에서는 대승경전인 범망경을 계본(戒本)으로 보살계 포살을 실시하도록 의무규정화 하는 한편, 비구·비구니계 포살은 선택사항으로 제정하였다. 하지만 조계종은 대승불교를 표방한다고는 해도 승속이 엄격하게 구분되어 있는 출가자 중심의 승가공동체이다. 따라서 비구·비구니계 계본인 「바라제목차」를 포살 계본으로 사용할 것을 의무화하지 않은 것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또한 보살계 포살은 승속의 구분이 없어야 한다는 점에서 볼 때, 현재 대다수 교구에서 보살계 포살에 재가자가 참여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도 모순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지계 실천을 점검하는 포살의식을 실행하면서 계율과 관련 없는 비구를 법사로 위촉하는 경우가 많은 것도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중심으로 조계종 「결계 및 포살에 관한 법」을 검토하고, 좀 더 내실 있는 포살 운영에 관한 방향성을 모색해 보았다.

      • KCI등재

        『범망경』보살계와 유식학파 보살계의 비교 연구

        이상엽(Lee, Sang-yop) 불교학연구회 2010 불교학연구 Vol.27 No.-

        5세기 중후반경 중국에서 성립한 위경 『범망경』 (梵網經)의 보살계본(菩薩戒本)은, 일찍이 제기되었던 경전의 진위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후 중국 불교 내 보살계 이해와 수행의 보편적인 전거로서 자신이 모방한 한역 보살계본들을 대체하게 된다. 본고는 이와 같은 『범망경』 보살계의 성공적인 유행을 해명하기 위하여, 『범망경』이 기반하고 있는 불성 사상과 한역 보살계 문헌들의 유식 사상이 인성에 대해 상이한 관점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범망경』의 보살계본이 그 구성파 형식을 모방하였다고 알려진 『보살지지경』(菩薩地持經) 및, 본 연구에서 『범망경』 보살계본과의 유사성이 새로이 확인된 『우바새오계위의경』(優婆塞五戒威儀經)을 비교 대상으로 삼아 양자 간의 차이점을 고찰해보면, 한역 유식학파 문헌들이 보살계를 '악한 마음에서 발생하는 악행의 금지'로 제시하는 경향이 강한 반면 『범망경』은 보살계를 '선한 마음에서 유발되는 선행의 장려'로 보는 해석을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번뇌장(煩惱障), 소지장(所知障)과 같이 인간과 부처 사이의 간극을 강조하는 유식 사상의 인성론적 입장과, 반대로 인간도 부처로서의 본질, 불성(佛性)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불성 사상의 인성론적 입장의 차이가 계율 수행의 해석에 있어서도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범망경』과 한역 보살계 문헌의 이와 같은 차이점은 시대적 배경을 고려하였을 때 그 의의가 부각된다. 당시 중국 불교의 양적인 성장에 따라 성행했던 배불(排佛) 논변들을 살펴보면, 중국의 문언들이 불교를 비판하는 논거로 '본성에 인위를 가하여 악행을 제거하려는 불교는 열등하며, 선한 본성에 따른 자연스러운 선행을 장려하는 중국의 사상은 우월하다'는 주장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인간의 열악함을 전제하고 그것의 개선에 주목하는 한역 유식학파 문헌들에 비하여 동일하게 보살계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으면서도 불성사상에 기초하여 불교 계행의 긍정적인 이면을 강조한 『범망경』이 당시 중국의 불교도들에 의해서 선호되었을 것이다. The Fanwang jing is a Sinitic apocryphal text composed sometime during the mid to late fifth century mainly to provide an alternative set of the bodhisattva precepts in imitation of the Yogacara text Bodhisattvabhumi-sastra. Despite early concerns about its dubious provenance, the sutra was greatly utilized by the Chinese Buddhists and eventually overtook the Chinese translations of the Bodhisattvabhumi as the most popular source for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the bodhisattva precept. This study attempts to account for such success of this apocrypha in Chinese Buddhism. If we compare the Fanwang jing with Chinese translations of the Bodhisattvabhumi such as the Pusa dichi jing and the Yuopose wujie weiyi jing(which the resemblance of the latter to the apocrypha is newly attested to in this study), we find that the apocrypha did not only imitate these translated texts, but also attempted to redefine the purport of the bodhisattva precept by introducing the idea of universal Buddha-nature. The translated texts tend to present the bodhisattva precepts as prohibitions of wrongdoings that result from defiled minds -a view which pertains to the Yogacara school's interest in explicating various obstructions (varana) that hamper a being from reaching the Enlightenment. The Fanwang jing, on the other hand, terms the bodhisattva precepts in the form of promotions of good deeds resulting from virtuous motives. This new, positive approach has its foundations on the Buddha-nature thought which holds human beings to be no different from the Buddha in their essence or na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difference is critical when we consider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time. Prompted by the rapid growth of the Buddhist Order in China, anti-Buddhist movements and propaganda prevailed during this period. One of the Chinese literati's preferred method of criticizing Buddhism as an inferior religion was to point out its negative approach to human morality; that it seeks to rectify a person by unnatural manipulation of human nature, as opposed to Chinese teachings that encourage spontaneous good deeds through development of innate virtues. Given such circumstances, it is natural to conclude that Chinese Buddhists preferred the apocryphal Fanwang jing over the translated bodhisattva precept texts of the Yogacara school for its emphasis of the positive and active aspect of Buddhist precept practice based on the Buddha-nature thought.

      • KCI등재

        신라 승려 義寂과 菩薩戒受戒儀禮

        김영미(Kim Young Mi) 한국사학회 2017 史學硏究 Vol.0 No.126

        신라에서는 삼국통일을 전후한 시기부터 『범망경』 보살계에 대한 연구와 수계가 이루어진다. 본고는 그동안『범망경』 보살계 사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연구를 벗어나, 신라사회에서 행해진 구체적 보살계 수계의례를 파악하려고 하였다. 그런데 『범망경』에서는 구체적 수계 의례에 대한 언급이 없고, 신라 승려들의 『범망경』 주석서에서도 찾아보기 어렵다. 예외적인 사례가 義寂과 勝莊의 저술이다. 승장은 주로 중국에서 활동하였으므로, 의적의 『보살계본소』에 나타난 수계의례를 분석함으로써 신라사회에서 행해진 보살계 수계의례의 모습을 파악하였다. 의적은 『범망경』 보살계를 설명하면서, 수계의례의 순서에 대해서는 『보살지지경』의 8단계의 수계의례에 근거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이는 유가계에 속하는 것으로, 『범망경』과는 그 흐름이 다르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 것은 당시 전하던 『범망경』이 120권으로 된 廣本(大本)이 아니므로, 계율의 조목은 자세히 포함하고 있으나 수계의식이 번역되지 않았다는 인식에 기인한다. 이에 『보살지지경』과 유가사지론에 의거할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그렇지만 의적은 수계의식에 대해서는 중국의 여러주장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에 의적이 참고했을 중국의 수계의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In Silla, the study of the Bodhisattva precepts on the Brahma’s Net Sutra(梵網經) began and the ordination was performed around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Regarding this topic, most research has covered Buddhist philosophy of the Bodhisattva precepts. Therefore,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ordination ceremony of Bodhisattva precept’s performed in Silla. However, a detailed account on the ritual for receiving the precepts is hardly found in Brahma’s Net Sutra as well as commentaries on the Sutra composed by the Silla monks except for the ones by monk Uijeok and Seungjang(勝莊). Since monk Seungjang spent most of his time in China, the ceremony for Bodhisattva precept’s ordination during the Silla period will be covered by analysis of monk Uijeok’s Commentary on Text of Bodhisattva Precepts(菩薩戒本疏). Explaining the Bodhisattva precepts from the Brahma’s Net Sutra, Uijeok mentioned that the stages of ordination ceremony were based on the eight stages from Bodhisattva bhumi Sutra(菩薩地持經). As the Bodhisattva bhumi Sutra forms a part of Yogācāra Bodhisattva precepts, how the ordination ceremony was performed shows differences from the Brahma’s Net Sutra. The difference results from the circumstances that then-read Brahma’s Net Sutra was not the full 120 volumes; Brahma’s Net Sutra contained each point of the precepts but the volume on the ordination ceremony was not translated. In consequence he had to explain the stages of ordination ceremony on the basis of the Bodhisattva bhumi Sutra and Treatise on the Stages of the Yogācāra(瑜伽師地論). Nevertheless, he also indicated various arguments on the ceremony in China. Thus this study deals with the ceremony for Bodhisattva precept’s ordination in China which he could have referred t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