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墓制를 통해 본 漢城期 百濟의 地域相-龍院里遺蹟圈을 中心으로-

        이현숙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2 百濟硏究 Vol.55 No.-

        This paper is related to the identity of Baekje local regions in the 4th~5th century. The case analysis was tried, through archeological material analysis,centering on the remains of Yongwon-ri which shows local identity best among 31 regions recognized as the basic units of Baekje local society. The local identity of Baekje in Hanseong Period was tried to be found centering around tomb relic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each local aspect could be reviewed in 31 regional units based on relic statues and topological conditions of 69 tombs of 4th~5th century. In these regional units, various distributions and transitions of tombs could be identified in each region, and it could be inferred a cultural domain showing local characteristics might exist in various scales ranging from 8~17km in each regional unit. That is, it could be known that each regional society maintained its independent cultural tradition and native order for a long term despite its subject position ruled by the central political power of Baekje. The case analysis was tried, centering on the remains of Yongwon-ri. The remains of Yongwon-ri is a tomb complex of the native group based on the pit-tombs, and through this relics, it is recognized how the material culture within the region changed due to the effect of Hanseong styled pottery of Baekje. This change was not limited to groups having equal tomb complexes, but also might affect the surround ng groups. That is, the hierarchic process of local society confirmed centering around the remains of Yongwon-ri is presumed to have proceeded with through the redistribution of prestige goods to groups of surrounding Hwaseong-ri region. Thus, based on this fact, it can be determined how local society underwent a hierarchic process based on horizontal rank. Together, this native group is determined to be a pit-tomb-centered group thatrapidly underwent the establishment of the order of rank and structural change of tombs such as the stone-lined tomb and stone-chamber tomb. However, a fact requiring another attention is that these new tomb structures related to stone-lined tombs and stone-chamber tombs have regional native attributes and various forms in which regional tomb type traditions of local society were reflected, rather than showing building regularity. The excavated artifacts come from hierarchically classified tombs mainly consist of prestige goods collecte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central region of Baekje, and from this view point, it can be comprehended that the hierarchic process of local society was a change occurring by local central forces actively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central region of Baekje. The pluralistic and opened country attributes of Baekje that incorporated multiple regional governing groups will be able to be comprehended through understanding various local identity and local cultures of Baekje as suggested before. There is limitation in examining the local identity of Baekje of 4th~5th century through the location analysis and patternization of tomb distribution areas, where the analysis and patternization are conducted based on material relics found in the limited regions. Nevertheless,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even part of identity of local societies that remain unclear today, based on an idea that the growth of ancient country, Baekje, was be enabled not only by the central political power but also by the efforts of local societie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actively and the engagement policy and effective ruling of central force of Baekje. 본고에서는 중서부지역의 4~5세기대 묘제를 중심으로 백제의 지역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례연구의 일환으로 묘제변화와 지역상이 뚜렷하게 확인되는 금강유역권의 천안 용원리유적권을 중심으로 지역상을 분석하여 한성기 백제 지방사회의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성기 백제의 지역상 검토는 한강 이남의 중서부지역에서 조사된 4~5세기대 고분자료 69지점의 유적현황과 지형분석을 통하여 31개의 지역상을 추론할 수 있었다. 각각의 지역별로 다양한 묘제의 분포와 변화상이 확인되었으며, 각 지역단위는 8~17㎞ 내외의 다양한 규모로 문화적 영역범위를 추론하였다. 이와 같이 지역별로 다양하게 확인되는 묘제전통을 통하여, 백제의 지방사회는 중앙과의 관계형성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독자적인 문화전통과 재지질서를 유지하고 있었음을 추론할 수 있다. 개별 지역상에 대한 사례연구는 용원리유적권을 중심으로 하였다. 용원리유적은 토광묘를 중심으로 하는 재지집단의 고분군으로, 백제 한성양식 토기와 같은 백제 중앙의 물질문화와 변화상이 인지될 뿐 만 아니라, 재지전통이 강하게 남아있는 토광묘중심 묘제에서 수혈식석곽묘와 횡혈식석실묘와 같은 새로운 묘제로의 변화와 계층화가 빠르게 진행된 집단이다. 이러한 계층화는 동일묘역을 조성하는 집단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인근의 화성리지역 집단에 대한 위세품의 재분여와 같은 형태로 확인된다. 따라서 이러한 모습을 통하여 수직적 위계에 기반한 지방사회의 계층화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수혈식석곽묘ㆍ횡혈식석실묘와 같은 새로운 묘제는 구조의 규칙성을 보이기보다는 지방사회의 재지 토광묘제 전통이 반영된 토착성과 구조의 다양성이 확인된다. 이러한 묘제의 다양성은 백제의 지방사회가 재지사회의 문화전통에 기반한 상태에서 백제 중앙과 적극적인 관계를 형성하면서 변화된 모습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백제지방사회의 다양한 지역상과 지역문화를 이해함으로써 다수의 지역정치집단을 포괄하고 있는 백제의 다원적이고 개방적인 국가 성격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한된 지역에서 확인된 고고자료를 중심으로 분포영역에 대한 입지분석과 유형화를 통하여 4~5세기대 백제의 지역상을 검토하는데 있어서 나름의 한계도 적지 않다. 그러나 본 논문은 백제라는 고대국가의 성장이 중앙의 정치세력 중심만이 아닌, 지방세력의 능동적인 관계형성의 노력과 광역의 지방세력에 대한 백제의 포용과 효과적인 통제로 가능하였을 것이라는 생각에, 아직 미답의 형태로 있는 백제 지방사회에 대하여 일부 단면만이라도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 KCI등재

        서울 석촌동 집단토광묘의 구조와 축조배경

        임영진 백제학회 2019 백제학보 Vol.0 No.30

        Baekje was founded at Hanseong, and transferred the capital to Woongjin at the year of 475. There are several types of tombs like Pit graves, Bungu tombs, Stone mound tombs and so on at Seokchon area in Seoul. All sorts of Baekje tombs have not same origin. Especially the tombs of Hanseong-period are diverse and the origin of each is different. It means that the members of Hanseong-period are diverse. So the origins of the tombs are very important to reveal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Baekje. The mass pit grave excavated at Seokchon-dong cemetry had reported that it had 8 wood coffins inside only one big pit. Recently it was pointed out that not only the mass pit grave divided into 8 pit graves each have separated pit but also these pit graves were originated from Puyeo. But this new claim is resulted from misunderstanding of original excavation report published at 1986. Pit graves including the mass pit grave were originated from the area of ancient Choseon around the late second century. After that Bungu tombs were began to substituted the pit graves at same area. During this process the special big pit was constructed to inter some persons who were killed by the newcomers. The newcomers who built Bungu tombs came along the Han-river from western seashore like Incheon. After that stone mound tombs of Koguryo-type originated from the area of Koguryo began to be built at Seokchon-dong cemetry around the middle of third century. Baekje was established, at least, during the middle of third century by the annexation of two power groups, one using the Stone mound tombs, the other, Bungu tombs. 백제 한성기에는 적석총을 비롯한 다양한 묘제들이 공존하였는데 각 묘제의 기원과 변화 과정을 파악하는 것은 백제 건국 세력의 출자와 건국 과정, 발전 과정을 밝히는데 꼭 필요한 작업이지만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 약보고서에서 8기의 목관이 공존한다고 하였던 서울 석촌동 대형토광묘를 하나하나 개별토광을 가진 토광묘군으로 보는 신보고서가 발간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부여 토광묘와의 관련 가능성을 제기하는 견해도 나왔다. 그러나 신보고서의 견해는 약보고서에 기술된 석촌동 대형토광묘의 구조를 잘못 이해한 것이며 출토된 토기와 칠기 등을 종합해 보면 2세기 중후엽에 한군현 치하의 고조선계 주민들이 이주하여 축조한 것이라는 약보고서의 견해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석촌동 대형토광묘에 대해 부여계일 가능성이 거론되었던 것은 『삼국사기』에 나오는 백제의 남부여 표방 기록 때문일 것이다. 백제가 남부여를 표방한 것은 사비 천도 직후에 있었던 역사적 사실임이 틀림없지만 한성백제 성립 즈음의 석촌동 대형토광묘를 약보고서와 달리 개별 토광묘 8기가 나란히 배열된 것으로 보고 부여 토광묘의 특징과 동일하다고 결론짓는 것은 설득력을 가지기 어렵다. 백제의 남부여 표방 기록이 역사적 사실을 반영하는 것이 분명하다면 그 배경은 다른 자료를 통해 찾아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약보고서에 기술된 석촌동 대형토광묘는 동일한 사건과 관련된 인물들이 동시에 안장된 특별한 토광묘이지만 명칭 자체는 규모가 큰 토광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집단토광묘로 고쳐 부름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성격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

        전북지역 마한·백제묘제의 양상과 그 의미

        최완규 ( Choi Wan-kyu ) 백제학회 2016 백제학보 Vol.0 No.18

        전북지역의 지형은 동고서저로서 금강하구·만경강·동진강 등 세 하천이 서해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 이들 세 하천을 중심으로 선사시대부터 끊임없는 문화 활동이 이루어져 왔고, 마한에서 백제시대에 걸쳐 각기 다른 분묘 축조양상을 보이고 있다. 금강하구역은 백제 한성기부터 사비기에 이르기까지 대외관문으로서 교통의 요충지였을 것으로 백제 중앙으로부터 꾸준한 관리대상 지역이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기층문화라 할 수 있는 마한 분구묘가 발전을 이루지 못하고, 다른 지역과 달리 5세기 중엽부터 백제 석축묘가 축조되었음이 확인된다. 만경강을 중심으로 남과 북의 익산이나 완주·전주지역에서는 점토대토기와 흑도장경호가 부장되는 토광묘가 제의유적과 더불어 집중적으로 발견되고 있는데, 마한 정치체 성립의 주체세력으로 상정된다. 따라서 이 지역에는 마한문화의 전통이 다른 곳보다 강하게 유지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곧 백제 영역화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마한 분구묘 축조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전주 혁신도시의 발굴조사 결과, 백제 석축묘의 축조과정에서도 마한 분구묘의 주구굴착 전통이 횡혈식석실분에도 지속되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동진강유역의 정읍 고부지역에는 운학리나 지사리와 같이 마한 분구묘가 제법 규모를 갖추고 있어 지배자 계층의 분묘로 추정된다. 이들 유적과 동일한 시간축에 있는 김제 벽골제는 강력한 경제적 기반이 되었고, 부안 백산성은 물류 거점과 같은 역할을 했을 것으로 발굴결과 확인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사비시대에 지방통치의 거점이 되는 백제 중방 고사부리성이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중방성의 치소는 고사부리성이며, 은선리 고분군을 비롯한 백제 횡혈식석실분이 집중적으로 축조되고 있는 점은 백제 중앙세력의 진출을 증명하고 있다. 특히 고창 오호리 3호 석실분에서 출토된 청동인장은 백제 지방행정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결국 전북지역의 백제문화는 강력한 마한문화 전통 위에서 금강하구·만경강·동진강 유역을 중심으로 각 각의 정치 문화적 특징을 가지고 전개되어 간 것으로 살필 수 있다. The geographical terrain of the Jeonbuk area is characterized by high elevation in the east and low elevation in the west, which allows for the flow of the Geumgang River, Mangyunggang River, and Dongjingang River into the Yellow Sea. Since prehistoric times, the area around the three rivers has been the center of cultural activities and from the Mahan Period until the Baekje Period, tomb construction methods went through varied degrees of changes. The estuary of the Geumgang River, serving as the external gate of the region was a strategic traffic point from the Hansung Baekje Period to the Sabi Baekje Period. Hence, the region must have been constantly under surveillance by the central government of the Baekje Kingdom. Consequently, Mahan mound tomb, which can be regarded as representative of the region`s basic culture, ceased to evolve and gave way in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o the stone chamber tombs of the Baekje Period. This wasn`t the case in other regions where Mahan mound tombs continued to be used. A series of pit tombs were discovered along with ritual relics in the areas south of the Mangyunggang River, north of this river in Iksan, and in Wanju and Jeonju areas. Inside these pit tombs were clay stripe potteries and black neck earthenwares and it is hypothesized that these tombs belonged to the ruling class that founded the Mahan Kingdom.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in these regions, Mahan traditions were maintained better than in other places. In fact, even after the Baekje domination of the region, Mahan tombs continued to be constructed. Furthermore, archaeological excavations carried out in the Jeonju Innovation City revealed that the Mahan tradition of digging ditches around the tombs continued well into the Baekje tomb construction process for tunnel style stone chamber tombs. The Mahan mound tombs that could be found in the Jeongeup Gobu region of the Dongjin River basin are speculated to be the tombs of the ruling class because of their considerable sizes. The Gimje Byeokgolje Reservoir, which belongs to the same historical period as these remains, was a strong economic base for the region. Excavations confirm that the Baeksan Fortress in Buan played the role of a distribution point. This served as the foundation on which the Baekje Kingdom`s Gosaburi Fortress was built - a site that would become the hub of regional rule in the Sabi Period. The main seat of power in the central castle was the Gosaburi Fortress. The concentration of Baekje tunnel style stone chamber tombs that have been excavated here and in Gobun-gun, Eunseon-ri, prove that the region was occupied by the main forces of Baekje. Particularly, the bronze seal found in the stone chamber excavated in Gochang, Oho-ri, provides a snapshot of regional administration during the Baekje Period. It can be said in conclusion that the Baekje culture of the Jeonbuk region was built on the foundations of Mahan cultural traditions and inspired separate polit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long the Geumgang River, the Mangyunggang River, and the Dongjingang River basins.

      • KCI등재

        고대 수묘제와 백제 수묘(守墓) 연구

        박초롱 ( Park Cho-rong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21 백제문화 Vol.0 No.64

        본고는 문헌과 고고자료를 통해 고대 수묘의 기초적 검토부터 백제의 수묘 흔적까지 그 일면을 그려보았다. 수묘와 관련한 기록은 백제를 제외한 고구려, 신라에서만 보이며, 이에 기존 문헌을 토대로 백제 수묘 가능성을 타진해보았다. 수묘인의 역할에 대해서는 단순히 묘를 지키는 것뿐만 아니라 청소와 관리, 그리고 제사를 지내는 업무까지 있음이 살펴졌다. 또한 『日本書紀』기록을 통해 능을 지키는 우두머리가 있었고, 백제 국명 성씨를 가진 ‘百濟春繼’라는 인물이 보인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를 백제와 관련한 인물 혹은 집단이 일본의 수묘에도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백제 지역 내 수묘와 관련한 고고학적 성과를 살펴보았다. 백제에서는 익산 석왕동 유적과 부여 능산리 서고분군을 주목해보았다. 석왕동 유적은 쌍릉 옆에 위치하면서 어느 정도 위계를 가진 유물이 출토되고 있다. 이를 사비기 무왕이 익산 쌍릉에 안장되고, 수묘하기 위한 집단의 안치와 이들을 관리하기 위한 시설의 조영으로 살펴보았다. 이는 최근 주변에서 발굴된 주거지와 취사용기, 농경과 관련한 흔적이 보여 뒷받침되고 있다. 또한 이전 시기의 영향으로 능산리 서고분군을 주목해보았다. 서고분군에 인접한 2호 건물지와 수혈 주거지는 고분 바로 옆에 위치하면서 난방과 취사시설, 그리고 옆의 의례적 성격이 있는 건물지 등을 보았을 때 빈장 혹은 수묘 등의 의례와 관련한 시설 정도로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본 논고는 기록에는 보이지 않지만, 주변 나라의 영향과 최근 발굴성과를 통해서 백제 내 수묘인의 모습을 상정해 보았다.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artifacts of the baekje guardian of tomb I checked out the traces. Guardian of tomb is related to the goguryeo, only visible in the shilla. So, to the literature of the baekje guardian of the possibility of tomb. Guardian of tomb simply about the role of the tomb as well as the cleaning and management, and Funeral rituals. In the “Nihon-Shoki” record, it is noted that there is a character named “bakjechungae” with the surname “bakje”.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a person or group related to baekje may have influenced the Guardian of Tomb in Japan. We looked at the archaeology related to the Guardian of Tomb in Baekje. We noted Iksan Seokwang-dong and west thombs of Neungsan-ri. Iksan Seokwang-dong is located next to Ssangneung, and artifacts with a high hierarchy are excavated. We looked at this as Sabi Muwang being buried in Ssangneung, a group's presence for Guardian of Tomb, and the contrast of facilities for managing them. We also noted the west thombs of Neungsan-ri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revious period. Located right next to the ancient tombs, a building site with heating, cooking facilities, and ceremonial characteristics was discovered in the Westombs of Neungsan-ri. This paper is not seen in the records, but the influence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recent excavation results have assumed the appearance of the Guardian of Tomb in Baekje.

      • KCI우수등재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분의 분포 특성과 지방지배 방식의 다양성

        박상민 한국고고학회 2023 한국고고학보 Vol.- No.129

        4세기 중후엽 백제 중앙에 채용된 횡혈식석실분은 세 단계를 거쳐 경기 지역에서 충청 내륙, 금강 하류역 등백제 각지로 확산한다. 횡혈식석실분의 단계별 분포 양상은 백제 세력이 마한 권역으로 확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 과정에는 백제의 지배 전략이 반영되어 있음을 말해준다. 이와 같은 횡혈식석실분의 분포는 마한묘제 중 적석분구묘 분포권에서 거의 확인되지 않지만, 성토분구묘와 주구토광묘 분포권에서 밀접한상관관계가 확인되며, 특히 주구토광묘 분포권에서 횡혈식석실분의 분포 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백제가 자신들의 기층문화와 이질적인 주구토광묘·성토분구묘 분포권에서는 횡혈식석실분을 집중적으로 확산시켜 지방지배를 관철시키고자 한 반면, 적석분구묘 분포권에서는 사회·문화적 동질성에 기반하여 비교적쉽게 지방지배를 해 나갈 수 있었으므로 굳이 횡혈식석실분을 확산시킬 필요가 없었던 것을 의미한다. 즉, 백제는 마한 사회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원삼국 단계의 문화권역별로 서로 다른 시스템을 적용하여 지방지배를실현하였던 것이다. 한편 기층문화가 이질적인 주구토광묘·성토분구묘 분포권에서 횡혈식석실분을 지역 사회에 확산시킨 후 전통적으로 이어지던 재지묘제를 단절시키거나 혹은 함께 공존시키기도 하고, 적석분구묘분포권처럼 재지묘제를 존중하면서도 위세품을 사여하여 간접지배를 실시하는 등 그 양상이 일률적이지는않다. 이는 큰 틀에서 백제가 기층문화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바탕으로 횡혈식석실분의 사용 규제를 통해 지방지배를 관철시키는 한편, 세부적으로는 각 지역 사회의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한 지배 방식을 채택하였음을의미한다. 이러한 지방지배 방식에는 중앙에 의한 묘제의 규제와 차별화, 지방의 중앙묘제 모방 욕구 이용, 재지묘제의 존중을 통한 지지기반 확보 등의 전략이 복합적으로 적용되었다. 그 결과 백제는 전 지역에 걸쳐 전방위적으로 영역화를 진행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을 만들었으며, 이로 인해 절감된 에너지를 바탕으로 목지국 등마한 소국들과의 경쟁에서 승리하고 효율적으로 마한 사회를 통합할 수 있었다.

      • KCI등재

        墓制의 變遷으로 본 漢城期 百濟의 地方 編制 過程

        朴淳發(Park Soon-bal) 한국고대사학회 200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48

        본 논문은 백제의 국가 성립 이후 영역의 확대와 더불어 진행되었을 지방편제 과정을 고고학자료를 통해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검토 대상 고고학자료는 원삼국시대 이후 한성기 백제에 걸치는 각지의 분묘군과 그 부장품 가운데 하나인 중국제 도자기의 시간적 공간적 분포 양상이다. 원삼국시대~한성기 백제의 지방 묘제는 대체로 단독장 주구토광묘→집단장 주구토광묘→토광묘→수혈식석곽묘→횡혈식석실묘의 순으로 변천하며, 지속기간으로 보면 Ⅰ군(원삼국단계만 존속), Ⅱ군(원삼국~5세기 전반), Ⅲ군(원삼국~한성기 백제 전기간), Ⅳ군(4·5세기~한성기 백제 전기간) 등 4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백제는 3세기 중·후엽경 반경 30㎞ 정도의 범위를 통합한 연맹왕국으로 성립된 이후 유력 小國들을 제압하는 동시에 협조적인 소국의 중심지나 종래 유력 소국에 인접한 새로운 중심지 등을 육성하여 지방 지배의 거점으로 활용하였다. 그러한 모습은 각지 분묘군의 묘제변천 및 지속성에 반영되어 있는데, Ⅰ군 분묘군은 백제가 연맹왕국으로 성립될 무렵 소멸된 유력 소국의 중심 읍락과 관련되며, Ⅱ군은 백제의 중앙에 인접한 소국들의 중심 읍락과, Ⅲ군은 백제에 협조한 소국들의 중심 읍락, 그리고 Ⅳ군은 소멸된 유력 소국에 인접한 것으로서 백제 중앙 세력에 의해 새롭게 육성된 지배 거점의 분묘군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지방 지배 과정에서 경제적 수취 관계를 반영하고 있는 자료가 중국 도자기의 분포이다. 중국 도자기는 중앙에서 일방적으로 賜與한 것이 아니라 중앙의 대중국교섭에 方物의 進貢 등을 통해 실제로 참여한 지역에 대한 백제 내적인 廻賜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서 이를 통해 지역 통합과 지방으로의 편제를 도모하였던 중요한 정치경제 수단이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comprehend the process of territory expansion to the periphery and thereby localization of the Early stage Baekche named Hansung period. The local cemetery's transformation, of which appears, continues and disappears, is the main data. Firstly, the change of burial structure is summarized as following. Single wood coffin grave with areal ditch → Coalesced wood coffin grave with areal ditch → Stone lined outer coffin grave → Stone chamber grave. While the pattern of cemetery continuation is to be classified 4 type. Ⅰ type lasts during Proto Three kingdom period until ca. 250 A.D. Ⅱ type lasts to the 1st half of 5th century A.D. Ⅲ type endures from Proto Three kingdom period to 2nd half of 5th century A.D. And IV type spans from 4th or 5th century to nd half of 5th century A.D. Each type has implication on the process of localization of periphery by Baehche central. Ⅰ type is assumed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main town defeated rival polity. Ⅱ type is related with some nearest neighbor polity's town of emerging Baekche state. Ⅲ type is understood as farther hence cooperative polity's town. Ⅳ type cemetery was to newly emerged local power supported by Baekche center. Finally, it deserves emphasize that Ⅲ and Ⅳ type cemetery often accompanied with imported Chinese porcelains, which is not so much a free gift to local elite as benefit in return of local's economical offering to Baekche government.

      • KCI등재

        마한·백제권 석곽묘의 변천

        이진우(Lee Jin-woo) 한국상고사학회 2015 한국상고사학보 Vol.88 No.-

        본고의 목적은 마한·백제권 석곽묘의 시·공간적 변천과정을 밝히는데 있다. 마한·백제권 석곽묘는 경기·충청·전라지역에서 많은 조사가 이루어졌지만 최근 자료에 대한 분석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또한 석곽묘의 형식학적인 연구에 있어서는 각 속성의 나열에 그치는 경향이 있으며 형식 간 유기적인 관련성에 대한 설명은 적은 편이다. 본고에서는 시간적인 흐름을 반영하는 속성을 기준으로 형식을 설정하여 각 형식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하였다. 명목형속성인 모서리형태와 석축형태가 시간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고 두 속성을 분석하여 다시 조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돌출석은 마한·백제권에서만 확인되며 초기석곽묘의 특징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석곽묘는 축조기술의 발달과 함께 변화하는 것으로 전제하고 명목형속성을 중심으로 8개 형식을 설정하였으며, 연속형속성을 이용하여 각 형식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출토된 유물을 바탕으로 석곽묘의 형식별 조영기간과 분포범위를 고려하여 3개의 분기와 3개의 권역을 설정하였다.마한·백제권 석곽묘는 선진문화의 접촉이 유리한 지리적인 이점을 바탕으로 아산만권에서 출현한 것으로 보이며, 금강유역권에서는 아산만권에서 파급된 석곽묘와 전북 동부지역의 영향을 받은 석곽묘가 성행하다가 하위계층화가 진행되면서 쇠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한·백제권 석곽묘 축조세력과 백제의 관계는 위세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당시 백제는 국내외적인 혼란으로 인해 중요 지역에 위치한 지방 세력과의 유대강화 및 통제를 위해 위세품을 사여하는 시기였다. 각 지방의 토착세력은 백제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들의 위계 표현을 위해 새로운 석곽묘를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 영산강유역권에도 부분적으로 석곽묘가 도입되지만 이 지역에서는 독자적인 대형 옹관묘가 성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석곽묘의 도입 시기가 늦으면서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are to specifically identify temporal and spatial change processes of stone outer coffin tombs in Mahan and Baekje area through the stone outer coffin tombs' type classification. The stone outer coffin tombs of Mahan and Baekje area are found in Gyeonggi, Chungcheong and Jeolla areas, and many surveys were made in terms of the number of the stone outer coffin tombs. However, an analysis on the recent data has hardly been conducted. Researches on the study of stone outer coffin tomb's type are mostly limited to the enumeration of each type's properties, and explanation on organic relevance between types has not been made greatly. To complement these limitations, this research examined relevance between each type by setting types based on properties reflecting temporal trends. Since this research regards that nominal properties, namely, the edge shape and stonework shape reflect temporality, a method to analyze the two properties and combine them again was used. The protruded stone structure was identified only in Mahan and Baekje area, and such a structure seems to be the characteristics of initial stage stone outer coffin tombs.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analyzed the protruded stones. In this research, there was a premise that stone outer coffin tombs would change in the direction of building technology development. This research set a total of 8 types, and investigated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each type using continuous properties. To review the validity of type classifica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d whether the change of the relics excavated from the stone outer coffin tombs and the change of the stone outer coffin tomb types matched. As a result of the review, type classification's validity was proved to some degree. Based on detailed chronology through such a finding and excavated relics, this research set 3 periods and 3 regions in consideration of building period and distribution scope by stone outer coffin tomb type. The stone outer coffin stones of Mahan and Baekje area seemed to appear in Asan Bay Region. In the Geum River basin, the stone outer coffin tombs were prevalent, centered on the two types: one that developed structurally by being introduced in Asan Bay Region and the other one affected by the eastern area of Jeollabuk-do Province. Since then, the sub-stratification of the stone outer coffin tombs was carried out, and then, the stone outer coffin tombs in the decline period was judged to appear. The stone outer coffin tombs of Mahan and Baekje area was considered to be built based on geographic advantage, where the contact with advanced culture was easier.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 with Baekje through prestige goods. The time of building stone outer coffin tombs corresponded to the period when Baekje awarded prestige goods to consolidate ties with local influence groups and control them that were located in important areas, because of internal and external confusion. Local influential group with some degree of autonomy seemed to introduce stone outer coffin tombs to differentiate their tomb system from Baekj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Baekje. Also, some stone outer coffin tombs were introduced to other small and medium influential groups and in the Yeongsan River basin in terms of mutually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stone outer coffin tomb building groups. However, the reason why introduction of stone outer coffin tombs was delayed in the Yeongsan River basin was that the introduction of them was not much needed, due to the region's unique culture of Jar Coffin Tombs and introduce of Stone chamber tomb of Wae's styles.

      • KCI등재후보

        백제의 태학

        배재훈(Bae, Jae hoo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5 한국고대사탐구 Vol.19 No.-

        본 논문은 <陳法子墓誌>에 나타난 太學正이라는 명칭을 중심으로, 백제의 官學기구인 太學과 그 學官인 博士에 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백제 관학의 설치 시점과 그 전개에 대한 검토를 수행한 연구이다. ?陳法子墓誌銘?에서 확인된 ‘태학’과 ‘태학정’은 각각 백제의 중앙 교육기구와 그 수장의 명칭이다. 이 중 태학은 內法佐平휘하의 屬司로서 적어도 ‘박사’라는 명칭이 삼국사기 에 등장하기 시작하는 근초고왕대부터는 운영되었을 것이다. 이 시기 태학에 속한 박사는 관료 예비군 및 太子에 대한 교육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한편, 문한적 기반을 중심으로 사서의 편찬도 담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태학의 설치는 백제 사회 내에 유교적 소양을 갖춘 일군의 관료 집단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이의 모습이 阿直岐나 莫古解등으로 나타난다. 또한 같은 시기 박사로 등장하는 高興이나 王仁등은 박사, 혹은 박사를 역임했던 인물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이 시기의 박사는 주로 한인계나 한군현계 인물들이 주축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후 중국 남조와의 교류를 통해 백제의 태학 및 박사제도는 발전을 거듭하게 되어, 무령왕대에는 개별 경전에 대한 높은 지식과 교육적 기능을 갖는 五經博士가 등장하게 된다. 아울러 陸?와 같이 새로운 禮學경향에 능한 박사를 梁으로부터 직접 초빙하는 모습도 확인된다. 한편, 이 시기에는 경전이나 예학 등의 학문영역 이외의 기술직 관료군에도 박사제도가 운영되었으며, 이들도 오경박사 등과 함께 일본에 정례적으로 파견되었다. 태학과 박사 제도의 또 다른 변화는 사비천도 이후 성왕대에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시기 중앙 관부의 개편에 맞물려 태학은 司徒部의 속사로 편성되었으며, 이의 총괄, 행정 업무를 전담하는 태학정이 설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진법자묘지>에 등장하는 위덕왕대의 太學正은 사비기 초반 성왕대 정치개혁의 산물로서 설치된 것이며, 이는 관학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정비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백제의 태학정은 중국제도의 博士祭酒?國子祭酒와는 다른 백제만의 독자적인 제도로 시행된 것이다. 아울러 이 시기에는 오랜 제도의 운영을 통해 종래의 漢人系뿐 아니라 백제의 귀족층에서도 문한적 능력이 뛰어난 인물들이 등장하게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는 사비기 백제의 발전된 문화상을 보여주는 중국 정사의 기록, 백제 귀족 사회의 뛰어난 한문학적 수준을 전하는 <砂宅智積碑> 등의 유물에서도 확인된다.

      • KCI등재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묘의 도입과 확산과정

        박신영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9 百濟硏究 Vol.70 No.-

        It is believ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stone chamber tomb in Baekje Hansung-period is influenced by the Brick Chamber Tomb of Nakrang and Daebang areas. Dongri-tomb, which is often referred to as the origin of the stone chamber tomb in Baekje, is believed to have technological genealogy relations through structural similarities, the background of time, excavated artifacts and othe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nect to directly to the square type of the stone chamber tomb of Hansung-period because rectangle type of the brick chamber tomb was constructed in 4th century Nakrang and Daebang areas. In addition, Goguryeo's influence, such as the white washed the brick chamber tomb, one-sided roads, has been reflected in the tombs since 313 and 314, which are not the basis of the original Goguryeo Kingdom theory, but some of the attributes of the tomb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stone chamber tomb in Baekje Hansung-period, was introduced with various systems under different influences. In the late 4th century, the stone chamber tomb in Baekje Hansung-period is introduced mainly in the area of Han-river and spread out to provinces gradually. In the process of spreading it is distinguishing to show a variety of structure by the situation of each local power and technological proficiency. In other words, the introduction of the new method of building a tomb, called the stone chamber tomb, is a result accomplished by the correlation of the central and local regions, not a one-sided spread from the center of Baekje to the region. It has been gradually shown to be regularized by the center force of Baekje. After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it has been standardized as a structure having square type of a tomb and right-sided roads. Thus, after Woongjin-period square type of the Songsan-ri stone chamber tomb was built in the most area of Gongju including Songsan-ri tombs while Geumhak-dong tombs, succeeded to the Pangyo-type of stone chamber tomb, were constructed in the area of Geumhak-dong and Singi-dong.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묘의 도입은 낙랑ㆍ대방지역의 전실묘에서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것으로 연구되어왔다. 낙랑기원설의 근거로 주로 언급되는 동리묘·남정리119호분은 판교형석실과 구조의 유사성, 시대적 배경, 출토유물 등을 통해 기술적 계보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4세기 대 낙랑ㆍ대방지역에서 장방형의 전실묘(단실)만이 축조되고 있어, 한성기 방형석실묘와 직접적으로 연결시키기 어렵다. 또한 4세기 이후 고구려가 낙랑·대방지역을 장악하면서, 전실묘에 고구려의 영향이 나타난다. 이는 정치적 주체가 변화하면서 전실묘에도 고구려적 속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백제 한성기 석실묘는 여러 요소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계통을 갖고 도입된 것으로 판단되며, 다원론적 시각에서 석실묘의 기술적 계보관계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4세기 후반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묘는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도입되어 점차 지방으로 확산된다. 확산과정에서 각 지방세력의 상황과 기술적인 숙련도 등에 의해 다양한 구조가 등장하는 점이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즉, 석실묘라는 새로운 묘제의 도입이 백제 중앙에서 지방으로 일방적인 전파가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중앙과 지방의 상호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결과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석실묘는 점차 백제 중앙세력에 의해 정착되는데, 5세기 중반 이후 방형+우편재연도의 구조로 정형화된다. 이후 웅진기에 접어들면서 송산리고분군을 비롯한 공주 일대 대부분에서 송산리형석실이 조영되는 반면, 금학동ㆍ신기동 일대에서는 판교형석실을 계승한 금학동고분군이 조영된다.

      • KCI등재

        원삼국~백제 한성기 시흥 지역 집단의 존재 양상과 변화

        한지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3 규장각 Vol.63 No.-

        본고에서는 원삼국~백제 한성기 시흥 지역의 생활·분묘 유적을 분석하여, 시흥 지역 유적군의 특징을 정리하고 백제의 진출에 따른 변화 양상과 그 역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시흥 일대는 물질문화 측면에서 김포․인천 등과 함께 경기 서부 지역에 속하면서도 유적의 중심 시기와 유구·유물 측면에서 차이점을 보이고 있어서, 3세기 후반 이후 백제가 경기 서부 지역에 영향력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시흥 지역의 생활․분묘 유적에서는 원삼국시대 이래의 사주식 주거지, 이형토기, 분구묘가 확인되고 있어 기본적으로 경기 서부권의 문화를 공유하였음을 보여준다. 다만 오이도 유적 출토 원저옹형토기와 은행동․계수동 유적의 이중구연호 부장 사례를 통해서, 시흥 지역이 경기 남부~충청 이남 지역과 연결되는 교통로에서 결절점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시흥 지역의 3세기 후반 이후 물질문화 양상은 백제와의 관계 측면에서 특징적이다. 시흥 지역에선 3세기 후반부터 대규모 취락이 등장하고, 해당 취락에서는 승문계 타날문 취사용기, 백제토기 등을 사용하며 백제 중앙과 토기 문화를 공유했다. 분묘 유적의 경우 4세기 중엽 이후 분구묘 전통이 중단되었고 5세기대 능곡동에서 석실묘가 축조되면서 부장품의 종류 또한 변화하였다. 능곡동 석실묘에서는 백제 중앙의 석실묘와 구조적인 공통점이 확인되고 장제 측면에서 방두정이 출토되는 등, 백제 중앙의 묘장제와 강하게 연결된 모습이 드러난다. 백제는 경기 서부 지역 방면으로 진출할 때 김포 등 한강 하류역의 유력한 세력을 의식하고 시흥 일대의 지역 집단과 먼저 관계를 맺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백제가 기존 전통적인 기반을 지닌 세력이 아닌 그 외곽의 지역 집단을 신흥 세력으로 육성하는 전략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4세기 후반부터 백제는 경기 서부 지역의 분묘 전통이 단절될 정도의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때 경기 서부 지역은 남부 지역에 비해 부장용 위세품, 저장용 단면 플라스크형 수혈, 백제토기 상위 기종과 같은 특수한 성격의 유구·유물이 상대적으로 적게 확인되고 있다. 이에 백제가 경기 서부 지역을 남부 지역과는 다른 방식으로 운영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s dwellings and tombs in Siheung dating from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Hanseong Baekje Period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heung region's site groups and to examine the proces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Baekje's advance into the area. The Siheung area belongs to the western Gyeonggi region along with Gimpo and Incheon. But it shows differences in terms of the period and characteristics of sites, suggesting that Siheung are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Baekje's expansion into the western Gyeonggi region after the late 3rd century. In the dwellings and tombs in Siheung, there are evidence of the four-pillars(四柱式) type houses, the differently-shaped potteries(異形土器), and mounded burials(墳丘墓) since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And it indicates that they basically shared the material culture of western Gyeonggi region. But the round bottom pottery jars(圓底甕形土器) from the Oido site and potteries with two-fold mouth(二重口緣土器) from the Eunhaeng-dong and Gyesu-dong sites suggest that Siheung area served as a nodal point on transportation routes connecting southern Gyeonggi and southern Chungcheong region. The material culture of the Siheung region area the late 3rd century onwards is characterized by the relationship with Baekje. In the Siheung area, large-scale settlements emerged from the late 3rd century. And they used earthenware similar to that of central Baekje, including Seungmun(繩文) beating pattern potteries and Baekje-potteries. In the case of tomb sites, the tradition of mounded tombs was discontinued after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Also the types of burial items changed with the construction of Neunggok-dong stone chamber tombs in the 5th century. The Neunggok-dong stone chamber tombs have some of the structural elements of the 'Pangyo-type of stone chamber tomb' and square-shaped nails were exacavted inside. This suggests a strong connection between the local group and central Baekje. It seems that Baekje was conscious of the powerful local groups in the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such as Gimpo. So Baekje established relationships with local groups around Siheung, before expanding into the western region of Gyeonggi. This can also be interpreted as a strategy to foster local groups of the outskirts of the region rather than those with traditional bases. From the late 4th century, Baekje exerted such influence that it led to the discontinuation of the local burial traditions the western Gyeonggi region. Compared to the southern Gyeonggi region, relatively few specialized artifact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western Gyeonggi region, such as prestige goods for burial, flask-shaped storage pits, and higher-rank Baekje-potteries. Therefore, it is likely that Baekje operated the western Gyeonggi region in a way different from that of the southern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