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쓰기에서 드러난 대학생들의 반전의식과 교육적 방안

        김윤정 ( Kim Yune J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반전의식에 대한 대학생들의 글을 통해 대학생들의 전쟁, 반전, 통일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반전의식에 대한 공감을 확산 시킬 수 있는 교육의 원리와 내용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적 거리감 이론을 적용하여 ‘전쟁에 관한 인식’, ‘반전의식 수용 양상’, ‘반전 주체’를 분석의 틀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들은 전쟁에 대해 ‘나’의 문제로 공감하거나 ‘우리’의 문제로 인식하기보다는 범국가적인 문제로 자신과 거리감을 두고 감성보다는 이성적으로 접근하는 양상을 보였다. 반전의식 수용 양상에 있어서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근거로 전쟁은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완전수용적 입장, 자국의 안정을 위협하는 예외적 상황을 제외하고 전쟁을 부분수용 하는 입장을 보였다. 반전 주체 관련해서 대다수의 학생들은 전쟁을 막고 평화를 유지해야 하는 주체를 ‘국가’로 상정하고 있었다. 대학생들에게 반전의식은 세계 평화를 위해 전쟁에 반대하는 일반적인 논의일뿐 ‘나’와 직접적 관련성이 있는 가까운 사회적 거리로 인식되지 못하였다. 또한 학생들 글의 대다수가 반전 논의에 대한 귀결점을 우리나라의 통일 문제로까지 확산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반전의식과 관련된 논의를 보다 다각적 시각에서 바라보고 우리나라가 직면한 문제와 연계시켜 생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전의식에 대한 공감 확산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원리로 본고에서는 ‘내적 의사소통을 통한 반전의식에 관한 자신의 입장 확립’, ‘타인의 반전의식에 관련 견해에 대한 존중과 이해’, ‘감성적 상호작용을 통한 반전의식에 대한 공감의 확산’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article on the consciousness of anti-war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d their perceptions of war, unification and presented the principles of education for empathy-diffusion about antiwar consciousness. Based on social distance theory, perception of war, anti-war acceptance patterns, and anti-war subjects were used as the framework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university students seem to have a rational approach to war, not a problem of ‘I’ or a problem of ‘us’, In terms of anti-war acceptance, most students have found that based on the economic damage caused by the war, they are completely receptive to war, and partially accepting it except for exceptional situations that threaten the stability of their country. As for the anti-war subject,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assumed that it was a 'state' who had to prevent war and maintain peace. For university students, the anti-war sentiment was not recognized as a close social street directly related to 'I' as a general argument against war for the sake of world peace. Also,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writings have failed to extend the culmination of the anti-war debate to the issue of the nation's reunification. Education is needed to spread the consensus on the idea of a anti-war in order to see the discussion related to it from a more diverse perspective and to link it to the problems facing the nation. In this principle, the school presented the principle of anti-war education by establishing its own position on anti-war consciousness through internal communication, respecting and understanding of the other's views on anti-war consciousness, and spreading the consensus on anti-corruption consciousness through emotional interaction.

      • KCI등재

        고스기 미세이「촉루탑의 필자」론

        김선기 ( Sun-gi Kim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5 No.2

        「촉루탑의 필자」는 러일전쟁 체험을 통해 형성된 고스기 미세이의 반전의식이 반전예술과 반전예술가에 대한 깊은 성찰로 발전하는 양상을 보여주는 시편이다. 본고는, 미세이의 본격적인 반전예술 전개의 중요한 출발점일 뿐만아니라, 시와 그림을 넘나드는 미세이의 반전예술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친 작품이지만, 지금껏 학술적으로 논의되지 못한 「촉루탑의 필자」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이 시편의 탄생 배경과, 시편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반전의식과 태도,반전문학으로서의 의의를 조명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촉루탑의 필자」는, 「돌아가라 동생이여」에서 처음으로 명확하게 나타난 미세이의 반전의식이, 러시아의 반전화가 베레시차긴의 죽음을 계기로, 반전예술에 대한 깊은 성찰과 반전예술가로서의 소명의식으로 심화된 양상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둘째, 「촉루탑의 필자」는 전쟁에 대항하는 반전예술의 의미와 비판적 힘을 시어로 형상화하고, 전쟁과싸우는 예술가의 이미지를 부각함으로써 반전시의 새로운 영역을 보여주었다. 전쟁에 대항하는 예술과 예술가의 문제를 중심으로 전쟁을 성찰하고 이를 시어로 예술화한 점에서, 「촉루탑의 필자」는, 명치기 반전문학의 전개에 있어 독특한 위상을 갖는다. 셋째, 「촉루탑의 필자」에 담긴 반전의식과 시적 구성의 원리는 미세이의 대표적인 장편 연작시 「전쟁의 죄」 탄생의 중요한 시적 토대가 된다. 또한 「촉루탑의 필자」에 나타난 반전예술의 원리와 인류애에 입각한 반전예술사상은, 전쟁의 참혹함과 고통을 화폭에 담은 미세이의 반전화 「전후」나 「포로와 그 형」으로 이어진다. 「Dokuroto no hissya 」is the poem that showing a tendency that Kosugi Misei``s anti-war thinking which formed through the Japanese- Russian War Experience, develop into a deeper reflection on the anti-war art and anti-war artist. This paper, a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the Misei``s authentic deployment of anti-war art, also the work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ctivities of misei``s anti-war art activity that cross the poetry and the picture. Though, it did not ever discuss academically. So I analyzed 「Dokuroto no hissya 」intensively, cast light on the birth background of the poem, the anti-war thinking and attiude of the poetic narrator appears at poem, and significance as anti-war work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okuroto no hissya 」is the work that, Misei``s anti-war thinking that clearly indicated in the 「Kaere ototo」, for the first time, triggered by the death of Vereshchagin, Russia``s anti-war painter, symbolizes the aspect that deepened through the deep reflection about anti-war art and vocation as an anti-war artist. Second, 「Dokuroto no hissya 」, embodied the meaning of the anti-war art which against war, and critical power to poetic diction, also, by highlighting the image of an artist fighting the war, showed new area of the anti-war poem. Focusing on the problem of art and artists that against the war, in that, embodied it to poetic diction,「Dokuroto no hissya 」has a unique phase in the depolyment of MEIJI anti-war literature. Third, anti-war thinking and the principles of poetic configuration in 「Dokuroto no hissya 」, became important poetic foundations of the birth of 「Ikusa no tsumi」, Misei``s typical feature-length series poetry. Also, principle of anti-war art and anti-war art ideology based on humanity appeared at 「Dokuroto no hissya 」, carried over to Misei``s anti-war drawing 「Sengo」, 「Horyo to sonoani」 which containing the cruelty and suffering of war on canvas.

      • KCI등재

        21세기 한국과 중국의 전쟁 영화에 담긴 반전(反戰) 의식

        김종수 한중인문학회 2019 한중인문학연구 Vol.62 No.-

        본고에서는 21세기 한국과 중국의 전쟁 영화에 담긴 반전의식이 전쟁에 대한 역사적 재평 가와 맞물리면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알 포인 트>(2004)와 중국의 <진링의 13소녀>(2011)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국가적 차원의 공적 담 론에서 은폐하거나 외면해온 베트남 전쟁과 난징대학살을 21세기에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는 점과 전쟁의 재현과정에서 젊은 여성을 피해자의 표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두 작품은 공통점이 있다. <알 포인트>에서는 그동안 국가 담론이 유포했던 것과는 달리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한 국 병사들이 공포에 시달리고 있는 존재였음이 여성 귀신의 시선으로 관찰되고 있다. 베트남 에서 성병에 걸린 참전 병사들이 흰 아오자이를 입은 베트남 소녀 귀신으로부터 벗어나지 못 한 채 서로에게 총질을 하는 것에는 베트남 참전 병사들의 죄의식이 담겨 있다. 여기에는 그 동안 국가 담론에 의해 억압되었던 한국인들의 반전의식이 내포되어 있다. 한편 <진링의 13소녀>는 중국 현대사에서 곤혹스러우면서 치욕적이기까지 한 난징대학살 을 소녀의 시선으로 회고하며 전쟁의 희생자였던 여성을 영웅으로 호명하여 항일, 반전 의식 을 고취한다. 여기에는 치욕적인 패배의 역사를 재소환하여 무기력했던 국가적 경험을 은폐하 고 전장의 비극을 애국주의로 전유하는 반전 의식의 국가 이데올로기적 특성이 내포되어 있다. In this article, it paid attention to how the consciousness of anti-war in Korean and Chinese war films of the 21st century are combined with the historical reevaluation of the war each country. For this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on Korea 's R-Point (2004) and China' s The Flowers of War (2011). The 21st century is re-illuminating the Vietnam War and the Nanjing Massacre, which Korea and China have concealed or ignored in public discourse at the national level. In the process of recreating the war, the two works are common in that they deal with young women as victims' representations. It is shown that the veterans who are observed by the ghosts of the female ghosts have been frightened unlike the ones that have been circulated by the national discourse in R-Point. In particular, the suffering of Vietnamese soldiers who have suffered from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in Viet Nam confronts the Vietnamese girls who are symbolized as historical victims. This shows the anti-consciousness of the Koreans who have been suppressed by the national discourse. On the other hand, The flowers of War recalls the war of the past, which has been a harsh and humiliating war in Chinese modern history. The woman, who was the victim of the war, is called a hero and inspires anti-Japanese and consciousness of anti-war in the current situation. It conceals the national experience that has been helpless by recalling the history of disgraceful defeat and it has a national ideological character of anti-war consciousness that appropriates the tragedy of the battlefield to nationalism.

      • KCI등재

        서사의 반전과 욕망의 역설 -최인호의 「술꾼」과 오정희의 「저녁의 게임」

        곽상순 ( Guahk Sang-soon ) 국제어문학회 2005 국제어문 Vol.34 No.-

        본고는 최인호의 데뷔작 「술꾼」과 오정희의 「저녁의 게임」을 서사의 반전이라는 주제 하에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본고는 하나의 서사가 전달하는 다양한 효과들이 어떻게 반전을 통해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그러한 서사 작용과 효과가 갖는 함의는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서사의 반전은 독자의 지식 측면과 관련된다. 그러나 서사적주체인 등장인물의 측면에서 반전의 서사에 접근하게 되면 우리는 반전을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얻게 된다. 우리의 착안은 대개의 경우 서사의 반전이 주체의 욕망의 충족 불가능성과 관계 맺고 있다는 것이다. 즉, 서사의 반전은 인물의 자기 욕망 충족의 과정을 따라 발생하며, 궁극적으로는 욕망의 역설적 측면을 드러내는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본고의 대상이 되는 최인호의 단편 「술꾼」은 이러한 욕망의 충족 불가능성뿐만 아니라 욕망의 실제의도가 완전한 만족에 있지 않다는 역설적 사실을 반전의 서사 작용을 통해 예시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한편 서사의 반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는 결정적인 절망적 상황의 도 래라 할 수 있는 욕망의 실재를 회피하고자 하는 주체의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술꾼」의 아이가 자신의 현실을 적극적으로 부정하는 무지의 태도로써, 즉 자신에게는 아직 찾아야할 아버지가 있다는 환상을 통해 자신이 세상에 의지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냉혹한 현실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면, 「저녁의 게임」에 나오는 인물은 현실적인 결핍과 죄의식을 스스로 창출함으로써 보다 근원적인 죄의식이 주는 심리적 압박을 덜어내고 있다. 요컨대 「술꾼」의 아이가 `무지로의 도피`라 부를 수 있는 주체의 태도를 보여준다면, 「저녁의 게임」의 주인공은 `죄의식으로의 도피`라는 방식으로 궁극적 파멸을 피하려 한다는 것이다. 덧붙여 말하자면, 두 경우에 공통적인 것은 서사의 반전이 이처럼 일련의 욕망의 변증법을 둘러싸고 전개된다는 점인데, 「술꾼」에서는 아이의 현실적결핍과 욕망이 실은 전적인 현실 부정으로부터 비롯되었다는 사실이 폭로됨으로써 반전이 일어나는 데 반해, 「저녁의 게임」에서는 강박증적 의무감이 배어 있는 연극적 의례로부터 근원적 결핍의 회피를 위한 죄의식의 창출로 주체의 태도가 급격히 전환되면서 서사의 반전이 일어난다. Choi in-ho`s unknown work, an Alcoholic and Oh jung-hee`s Night Game reveal the reversal structure turning the result which can be anticipated through the information suggested in the process of narrative at the end of the works into an abruptly unexpected direc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structural distinction of these novels through exposing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revers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narrative desire in these novels showing the narrative of reversion under the supposition that the reversal structure function as a creative means to control the character`s desire process effectively.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dure, this thesis examines the two ways of gesture which has an intention to avoid the Real of a Desire by controling the subject`s anxiety. In these cases, the Narrative Reversion shows a Paradox of a Desire in which the subjects never succeed in doing something good or getting the result they want. If they succeed in doing or getting what they have wanted, they will lost everything they have. So the subjects of a reversal narrative want to avoid the Real of a Desire which means a conclusional end to make them extremely frightened. The first way of an avoid the Real of a Desire is to hide themselves into an ignorance. An Alcoholic, Choi in-ho`s work, is an example of this case. And the Second way is to hide themselves into a guiltiness. Oh jung-hee`s Night Game is an example of this case.

      • KCI등재

        이병주 문학과 학병 체험

        정호웅 한중인문학회 2013 한중인문학연구 Vol.41 No.-

        학병 문제를 다룬 이병주 문학은 전체적으로 보아 비슷한 유형의 인물, 체험, 사유의 동어반복에서 크게 벗어 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보이는데, 그 가장 큰 이유는 학병에 지원하여 일본의 침략전쟁에 협력한 사실을 용 납할 수 없다는 부정의식이 작가를 짓눌렸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작가의 학병 체험과 관련된 문학에서 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타자의식은 거의 찾을 수 없는데 그 요인의 하나는 앞에서 말한 부정의식에 압도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중국과중국인에 대한 타자 의식의 결여는 다른 요인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보편적 인간 형에 대한 작가의 관심이 구체적인 시공간에 존재하는 개별자에 대한 관심을 가로막은 것을 그 주요한 요인의 하나로 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부정의식에 짓눌려 동어반복을 거듭하는 가운데서도 이병주는 학병 체험자의 의식을 깊이 파고들어 우리 문학사에서는 달리 찾을 수 없는 개성적인 문학을 건설하였다. 학병 문제를 바라보는 작가의 의식은 크게 일본이 내세운 전쟁 명분에 동의하지 않았다는의식과 자기부정의 의식으로 나눌 수 있다. 앞의 것은 다시 반전 의식과 이단자 의식으로 변주되고, 뒤의 것은 자기 처벌의 의식, 자기 연민의 의식으로 변주된다. The most important experience in Lee, Byungju’s Literature is the Experience of student soldier that he had experienced in 1944-1945. Lee,Byungju had taken this experience from his first novel to his last work. Lee, Byungju’s Literature that had taken problem of Student Soldier has the limit of palilalia of characters, experiences, thoughts. The most considerable cause is the pressure of deny-consciousness which could not accept the act of cooperation in japanese aggressive war. The most considerable cause that we can not identify the sense of others to china is also the pressure of this deny-consciousness. Under the pressure of this deny-consciousness, Byungju had dig into the consciousness of student soldier, so had cultivated the unique literature. The sense of Lee, Byungju that see the problem of student soldier is divided into two those of not- agrement and self-denial. The former is variated into the consciousness of antiwar and the consciousness of heretic. The other is variated into the consciousness of self punishment and self sympathy.

      • KCI등재

        신동문 연작시 「풍선기」에 나타난 공기 이미지 연구

        신기용(Shin, Ki-Yong)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6

        신동문은 6 · 25 한국전쟁 기간 중 공군 병사로 복무하며 전쟁 체험에서 비롯된 반전(反戰) 의식을 형상화한 장편 연작시 「풍선기(風船期)」를 창작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연작시 「풍선기」에 나타난 공기 이미지를 공기의 추락 이미지, 공기의 형태 유희 이미지, 공기와 대지의 조화 이미지로 임의로 범주화하고, 이들 공기 이미지가 의미하는 자의식, 반전(反戰) 의식, 평화 의식 등 주제 의식의 특징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시집 『풍선과 제3포복』(1956)에 수록된 연작시 「풍선기」를 텍스트로 삼아 주제학 연구 방법과 주제 비평적 방법을 토대로 공기 이미지 관련 주제를 분석 해석하고, 원형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해석하려고 한다. 특히 공기 이미지 분석은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의 이론을 원용한다. 이 연구를 통해 「풍선기」에 나타난 공기 이미지가 의미하는 주제 의식의 세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기의 추락 이미지는 존재론적 성찰과 자의식을, 둘째, 공기의 형태 유희 이미지는 허무 의식과 반전 의식을, 셋째, 공기와 대지의 조화로운 이미지는 자유로운 공기적 삶, 즉 평화 의식을 의미한다고 요약할 수 있다. While serving the Republic of Korea Air Force as a soldier during the Korean War, Shin Dong-Mun wrote the serial poetry “Pungseongi(Balloon Period)” that embodied the anti-war sentiment from his experience in w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image of air shown in “Pungseongi” into the image of air’s falling, the image of air’s formative play, and the image of harmony between air and land and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uch as self-consciousness, anti-war consciousness and the spirit of peace. In this study, the serial poetry “Pungseongi” was chosen from the poet’s collection “Balloon and the Third Crawl” (1956) as the target for study. The subjects related to air image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based on the subject theory research and subject critical method as well as the original form research method. Especially, for the analysis of the image of air, the theory of Gaston Bachelard was used.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the image of air shown in “Pungseongi”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mage of air’s falling shows the existential observation and self-consciousness. Second, the image of air’s formative play shows the sense of nothingness and the anti-war sentiment. Third, the image of harmony between air and land symbolizes a free life like air, in other words, the spirit of peace.

      • KCI등재

        한중 교육에 나타난 반전의식에 대한 고찰 ― 현대시 교육을 중심으로

        김미혜 한중인문학회 2019 한중인문학연구 Vol.63 No.-

        이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전쟁 반대의 문제의식이 어떠한 방식으 로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한국과 중국의 교육에 나타난 반전의식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의 경우 교육과정 총론과 고등학교 선택과목인 『문학』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중국의 경우 교육과정 총론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격적인 논의를 위해 양국의 현대시 교육에 초점을 맞춰 한국의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와 중국의 9학년 『어문』 교과서를 비교·분석하였다. 교육과정의 수준에서는, 한국의 교육은 보편적 인간애에 토대를 둔 반전과 평화를 지향하 는 한편 중국의 교육은 역사교육을 중심으로 한 애국주의 이데올로기를 강조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양국의 현대시 교육에 나타난 전쟁과 반전에 대한 인식을 교과서 수록 시 작품과 관련 학습 활동 등을 통해 살펴본 결과, 한국의 현대시 교육에서는 한국전쟁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데 비해 중국의 현대시 교육에서는 중일전쟁이 중요한 사건으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한국의 『문학』 교과서에는 휴머니즘적 관점에서 전쟁 너머의 세계를 지향하는 구상의 시가 보조 교재로 수록되어 있었다. 이에 비해 중국의 『어문』 교과서에는 애국심과 항전의식이 드러나 있는 다이왕수와 아이칭의 시가 수록되어 있어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Korean and Chinese curriculum and textbooks deal with the anti-war sentiment. In the case of Korea, I analyzed the general guidelin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of “Literature” which is a high school elective course. In the case of China, only the general guideline of the National Curriculum was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the anti-war sentiment in Korea-China Education, I analyzed the contemporary poetry education of both countries. In terms of the curriculum, Korean education was aimed at anti-war and peace based on universal humanity. On the other hand, Chinese education emphasized the ideology of patriotism centering on history education. And in both countries’textbooks, I investigated the contemporary poems and related activities. The Korean War was being treated as an important event in Korea, but the Sino-Japanese War was being treated significantly in China. The point of view of the war was also based on humanism in Korea, and patriotism and resistance in China.

      • KCI등재

        허수경 시에 나타난 전쟁 표상과 생명의식

        이혜원 문학과환경학회 2019 문학과 환경 Vol.18 No.1

        In this paper, I looked at the aspects of anti-war and life-expression through the representations of war that appeared in Heo Soo-kyung’s poetry. To Huh, war is considered an absolute evil and any war is criticized fundamentally. In her poems, strong representations such as “Military boots” and “black soldiers” reveal the absolute nature of violence through the misery of the weak’s life being destroyed by the violence of the strong and continuous trauma. Heo’s anti-war spirit is expressed in a stark way through the damaged physical images of war victims. She emphasizes the unjust violence by highlighting the fact that war kills countless people and sacrifices even the weak, children, women, and the elderly. As a female poet, Huh has a different insight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war and women. Her poems evoke the mothers’ strong will to protect life, as well as the feminine values associated with life’s consistency and vitality. Heo Soo-kyung’s poetry continue to have a thread of Korean war literature that is becoming rare as the distance between time and time from the Korean War is getting longer. More important than this continuity, however, is the clear anti-war and life-conscious expression expressed in Huh’s poems. Huh notes the extreme violence that appears in wars throughout the world, not only in the Korean War, but also in wars that continue until now, and clearly shows her willingness to deny and resist to war. Also, her poetry is marked by women’s viewpoint on understanding and criticizing about the masculine and violent nature of war. War literature has often reflected men’s viewpoint, and female poets are not just in the opposite position. Heo’s poetry has special meaning to remind women of the damage they suffer as objects of war and highlight the value of the reversal they hold. It is also notable that Huh’s poetry shows the logic of rebutting the traditional view that war has been rationalized as a natural phenomenon. In her poetry, war is represented as an act of extreme destruction, which is anti-natural and anti-life. Heo Su-kyung’s achievements are huge in that she is discovering newly the role of women to protect human nature and lives against war. 본고에서는 허수경 시에 나타나는 전쟁 표상을 통해 반전의식과 생명의식의 발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허수경에게 전쟁은 절대 악으로 인식되며 어떤 전쟁도 근본적인 비판의 대상이 된다. 그녀의 시에서 “군화 발자국”이나 “검은 군인” 등의 강렬한 표상은 강자의 폭력으로 약자의 삶이 뿌리째 붕괴되는 참상과 지속적인 트라우마의 양상을 통해 폭력의 절대성을 표출한다. 허수경의 반전의식은 전쟁 피해자들의 훼손된 신체이미지를 통해 적나라하게 표출된다. 전쟁은 수많은 사람들을 살상하며 전쟁의 주체가 아닌 아이들, 여자들, 노인들 같은 약자들까지 희생시킨다는 점을 부각시켜 그 부당한 폭력성을 강조한다. 여성시인으로서 허수경은 전쟁과 여성의 관련성을 남다르게 통찰한다. 그녀의 시는 생명을 지키려는 어머니들의 강한 의지를 비롯하여 삶의 항상성과 생명력과 관련된 여성적 가치를 일깨운다. 허수경의 시는 한국전쟁으로부터 시간적 거리가 멀어지면서 드물어지는 한국 전쟁문학의 맥락을 잇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연속성 이상으로 중요한 것은 허수경의 시에서 표명되는 분명한 반전의식과 생명의식이다. 허수경은 한국전쟁뿐 아니라 현재까지 계속되는 세계 도처의 전쟁에서 나타나는 극도의 폭력성을 주목하고 그에 대한 부정과 저항의 의지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또한 여성의 시각에서 전쟁이 지니는 남성적이고 폭력적인 속성을 간파하고 비판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전쟁문학은 남성의 시선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았고, 여성시인이라고 해도 반전의 입장에만 서는 것은 아니었다. 허수경의 시는 전쟁의 타자로서 여성이 당하는 피해를 적시하고 여성이 보유하는 반전의 가치를 부각시켰다는 의미를 지닌다. 허수경의 시는 전쟁을 자연적인 현상으로 합리화해온 기존의 관점을 반박할 수 있는 논리를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그녀의 시에서 전쟁은 반자연적이고 반생명적인 극단적 파괴행위로 표상된다. 전쟁에 저항하여 인간의 자연적 본성과 생명을 지키려하는 여성들의 역할을 새롭게 발견하고 있다는 점에서 허수경 시의 성과는 적지 않다.

      • KCI등재

        종군작가의 전후(戰後) 반전의식 -하야시 후미코의 작품세계를 중심으로-

        이상복 ( Sang Bok Lee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6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2

        이 논문에서는 후미코의 작품을 전, 중, 후반부로 나누어 분석한 후, 후반부에 속하는 전후 작품을 중점적으로 반전의식을 고찰하였다. 전반부에 자신의 방랑생활, 중반부에 전쟁 중 펜부대 일원으로서의 활약상을 그리고 있다면, 후반부에 속하는 전후 작품부터는 전쟁으로 인한 불안한 사회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사회현상들을 주제로 삼고 있다. 후미코는 전후 첫 작품 『눈보라』『비』」에서 부터 전장에서의 실상과 남겨진 가족의 아픔을 시작으로, 마지막 작품 『밥』에 서는 전후 6년을 맞이한 오사카의 쌀파동과 임금인상을 위해 데모를 하는 서민들의 생활상을 그리고 있다. 특히, 전쟁미망인과 복원병의 문제, 그리고 불안한 사회에서 경제적 어려움을 감수해야만 하는 서민들의 고통에 관심을 가지며, 전쟁으로 인한 사회현상을 섬세하게 작품 속에 담아내어 반전의식을 고취시키고 있다 This thesis paper divides the works of Fumiko Hayashi into three groups - first, middle, and last - and analyzes each group. It mainly focuses on Hayashi’s anti-war sentiments in her post-war works which fall under the last of the three groups that are analyzed. In the first group, she describes her vagabond life, and in the middle, she portrays her accomplishments as a member of the pen unit during the war. But, most importantly, in her post-war works - in the last group - her major theme is about social phenomena with which people have to live in an unstable society as a result of the war. Hayashi begins by portraying the realities of war at the frontline and the sorrows experienced by the families of the soldiers on active duty, in her first post-war works Snowstorm and Rain. In her last work Rice, she describes the rice crisis in Osaka on the 6th anniversary of the end of the war, and the lives of the common people who stage protests for higher wages. She attempts to inspire anti-war sentiments in her reader by reflecting on the social phenomena caused by war through focusing especially on the problems of war widows and demobilized soldiers, and the hardships suffered by the common people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in an unstable socie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