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몰입형 영상의 인지신경과학에 관한 연구

        오양진,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4

        Recently, multi-surface immersive images that project multiple channels such as walls, screens, floors, and roofs through the screen at the same time have attracted the attention of viewers. However, this kind of immersive image is only studied in terms of presentation and projection technology. Still, it does not explain why viewers are attracted to this kind of immersive image. This study suggests that by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viewers’ preferences for immersive images, we can plan images more proactively. To investigate the reason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immersion phenomenon and explored the structure of favorable feelings toward the immersion phenomen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immersion, there are four types of immersion: systematic immersion, narrative immersion, multisensory immersion, and challenging immersion. Secondly, based on the first research in cognitive neuroscience, we have organized the cognitive mechanism of the brain for immersion phenomena and grasped the structure of the occurrence of immersion phenomena. The immersion phenomenon can also be described as the concentration of a continuous unconscious state. In other words, in a state where self-consciousness disappears for a long period, the brain concentrates on the stimulus, and everything that is necessary to solve the cognitive problem is carried out in automatic neural activity. The cognitive processes in the brain that deal with this neurological phenomenon are as follows. First, the phenomenon of on major media sites brain immersion refers to the state of a temporary decrease in the cognitive state of the frontal lobe of the brain. This state temporarily inhibits the explicit system, embodies tacit knowledge and technology, and enhances cognitive flexibility and fluency. Second, in the immersion phenomenon, activation of the goal-directed compensatory system results in good feelings. Based on this, this study establishes an immersive image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system and makes suggestions. Designers can consider the factors in each current image, such as 3D, IMAX 3D, 4D, 5D, VR, and VR360 to induce input and apply them to the im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mmersive image design by proposing the structure and method of understanding immersive image design and research. 벽면, 화면, 바닥 면, 지붕 등을 스크린으로, 동시투영하는 다중채널의 다면적 몰입형 영상이 관람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렇게 비일상적 스크린을 사용하는 다면 영상은 관람자의 관심을 끌어 몰입하게 한다. 하지만, 이런 몰입형 영상은 표현의 양식과 투영기술에 관한 연구만 있을 뿐, 관객이 이에 몰입해 호감을 느끼는 구조를 연구하려는 시도는 부족하다. 몰입형 영상에 관람자가 느끼는 호감의 구조를 이해하면 더 능동적으로 영상을 기획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몰입 현상의 호감 구조를 탐구하기 위해, 몰입 현상의 개념과 특성을 분석한다. 몰입의 구조에따라 체계적 몰입, 서사적 몰입, 다감각적 몰입, 도전적 몰입 등 4가지로 구분한다. 다음으로 인지신경과학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몰입 현상에 대한 두뇌의 인지 메커니즘을 정리하고, 몰입 현상이 발생하는 구조를 파악한다. 몰입은 지속적인 무의식 상태의 집중이라고도 할 수 있다. 즉, 긴 시간 동안 자아의식이 소실된 상태에서 자극에 집중하고, 인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전하는 것 모두가 자동화된 신경 활동으로진행된다. 이러한 신경 현상에 대응하는 두뇌의 인지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뇌의 몰입 현상은 뇌의 전두엽이 일시적으로 인식상태가 저하된 상태를 말한다. 이 상태는 명시적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서, 암시적 지식과 기술을 구현하여 인지의 유연성과 유창성을 강화한다. 둘째, 몰입 현상 중 표적 지향보상 시스템을 활성화해 호감을 얻는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몰입 영상에 대한 분류 및 평가체계를 수립하고, 제안을 제공한다. 디자이너는 현재3D, IMAX 3D, 4D, 5D, VR, VR360 등 각 영상에 존재하는 몰입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해 영상에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몰입형 영상 디자인 및 연구의 인식적 구조와 방법의 제안으로써 몰입형 영상디자인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Extreme Sport에서의 몰입경험에 관한 연구

        안현균 한국체육철학회 2005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rticulat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and its components of flow experience in the so-called 'extreme sport' by describing and analyzing, from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For doing this, the study focused its main concern into the performer's own experiential-subjective experience. The 'experiential description and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was used to collect and analyze 10 research participants' flow experience and to categorize their meaning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articulat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1. Three experiential concepts were clarified as the definitional components of flow experience in extreme sport: 1) flow experience as a unique experience, 2) flow experience as the non-purposeful experience, 3) flow experience as a momental experience. 2. Based 10 research participants' description of flow experience in performing extreme sport,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were articulated as the essential na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meaning of flow experience: 1) concentration or flow, 2) unity of behavior and consciousness, 3) adventure and limitation, 4) resolving of nervousness and thrill, and 5) achievement. 3. The following things were proposed as the social values and human educational implications: 1) The flow experience in extreme sport would be clarified essential resources of the nature and structure of sport. 2) The meaning and value of flow experience in extreme sport would be the tool for achieving individual's self-realization and understanding others. 3) The value of the flow experience in extreme sport would be reconsidered for promoting and developing sport culture. 스포츠는 인간의 의식과 신체가 총체적으로 구현된 가장 원초적인 인간 경험이다. 그것은 생활세계의 발로이자 인간실존의 표현인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Extreme Sport 수행 중에 체험하게 되는 ‘몰입경험’의 본질적 특성과 구조를 현상학적 묘사를 통하여 규명하려는 것이다. 연구 참가자로 선정된 전문 Extreme Sport 참가자 10명의 몰입경험 체험이 현상학에 근거한 ‘체험적 묘사와 분석방법’을 통하여 범주화 및 의미화 되었다. 분석된 연구결과와 해석을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이 연구의 결론으로서 명료화되었다. 1. Extreme Sport에서 겪게 되는 몰입경험의 정의적 요소는 다음의 세 가지 체험적 특징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1) 독특한 체험으로서의 몰입경험, 2) 비자발적인 체험으로서의 몰입경험, 3) 일시적 체험으로서의 몰입경험. 2. Extreme Sport 수행시의 몰입경험의 와중에서 겪게 되는 체험적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체험의미범주로 명료화 할 수 있었다. 1) 몰두와 집중, 2) 행위와 인식의 일치, 3) 도전과 한계, 4) 긴장과 불안의 해소 5) 성취감. 이것들은 몰입의 상황에서 체득되는 몰입경험의 본질적 특성을 이해하는 척도라고 할 수 있었다. 3. Extreme Sport를 수행과 몰입경험이 가져다 줄 수 있는 교육적 의의는 일차적으로 체험적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는 스포츠 수행의 내재적 가치의 이해와 체험적 방식으로서의 스포츠 조명의 중요성이 다음과 같이 부각되었다. 1) Extreme Sport 수행에서의 몰입경험의 체험은 스포츠의 본질과 구조에 대한 보다 확연한 원천을 제공하여 줄 수 있다. 2) Extreme Sport에서의 몰입경험의 체험적 의미와 가치들은 개인적으로는 자아의 인식과 실현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체험이며 사회적으로는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타자 및 자연을 향한 존중감과 인성의 개발에 연결될 수 있다. 3) Extreme Sport의 참가에서 얻을 수 있는 몰입경험의 가치는 인간에게 있어서 스포츠 문화를 배양하고 고양시키는 원천이 될 수 있다.

      • 근로자 생산성 향상 몰입을 위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전략 :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분석

        문성옥,이종엽,이지만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3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3 No.3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근로자의 정규직 혹은 비정규직과 같은 상이한 고용형태가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알아본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용형태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독립변수로써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기법(고용안정성, 교육훈련, 퇴직관리, 복리후생)을 연구모형에 포함하였고, 종속변수로써 생산성 향상 몰입을 연구모형에 포함하였다. 상이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고용형태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조사하였다. 국내 대기업에 근무하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200명의 대상 중 응답한 159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과 소벨테스트(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결과는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 퇴직관리는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에서 고용형태는 교육훈련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복리후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은 생산성 향상 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퇴직관리는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에서는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통해 생산성 향상 몰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High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HCHRM) is consistently emphasized to enhance employee's productivity. There are few studies that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a different employment type like a standard and a temporary employe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of HCHRM and employment type on Organizational Commtiment(OC). This study included HCHRM practices, such as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retirement management and benefits as an independent variables and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in a research model. To find out the interaction effects of different employment type, we classified it into standard and temporary employee. Additionally, we examined mediation effects of OC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instruments from standard and temporary employees who engaged in a large firms. We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159 responded samples of 200 subjects. Sobel-test and regression were employed to test hypothesis of this study. First,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retirement management and benefits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OC. In the analysis of interaction effects, employment typ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and OC, and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nefits and OC. Second,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and benefits had a directly positive effects on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and retirement management had a negative effects on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Finally,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and benefits influenced the productivity commitment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on effects.

      • KCI등재

        조직몰입 구성개념의 개념화와 타당화:은행의 정규직 종사자를 중심으로

        안정원,이순묵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조직몰입 3요소 모형(Allen & Meyer, 1990)의 심리측정 및 개념화와 관련한 주요 문제들을 검토하고, 한국 직장인들의 조직몰입 개념을 확립하기 위해, 국내 은행재직자들을 대상으로 조직몰입 구성개념의 내적 구조를 파악하고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 및 선행연구 결과들에 기초하여 조직몰입 개념화의 방향과 연구 가설을 수립하고, 측정도구를 구성하였다(정서적 및 지속적 몰입: 3요소 모형의 문항을 일부 수정하여 사용, 규범적 몰입: Jaros, 2007의 6문항 사용). 분석을 위해 총 519명의 응답 자료에 대하여 은행 구성원들의 조직문화 인식을 검토한 후, 무선 할당을 통해 각각 290명과 229명의 독립된 2개의 자료 집단을 구성하였다. 290명의 응답 자료에 대해 탐색적 구조방정식 모형(ESEM)을 사용하여 조직몰입 구성개념의 내적 구조를 검토하였고(연구1), 229명의 응답 자료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교차타당화를 실시하였다(연구2). 분석 결과, 은행재직자들이 생각하는 조직몰입은 정서적 몰입의 단일 개념으로 정의하는 것이 경험적으로 타당함이 입증되었고 측정을 위한 10개 문항이 추출되었다. 그동안 한국 직장인을 표본으로 3요소 모형의 일반화가능성을 검토하고 구성개념 타당도 문제를 제기한 연구들은 있었지만 관련된 후속 연구는 전무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구와 다른 국내의 조직문화 특성을 반영한 조직몰입의 개념화 및 타당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 노력의 일환으로 국내의 은행 조직을 대상으로 시도된 본 연구는 그 자체로서 의미를 가지기에 충분하다.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는 몰입 차원의 경험적인 타당화, 조직몰입 개념으로서 정서적 차원의 의미 확장, 조직문화적 측면에서 몰입 개념을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내적 구조의 개방적 분석(ESEM 사용)을 통한 방법론적 강점을 지닌다.

      • KCI등재

        청소년용 학습몰입척도 개발 및 타당화

        조규판(Cho, Gyu-Pan),방희원(Bang, Hui-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용 학습몰입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론 및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학습몰입을 구성하는 요인으로 인지적 몰입, 정의적 몰입, 행동적 몰입의 세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구성요인에 부합하는 80문항을 제 작하였다. 측정하는 내용이 유사한 문항은 수정 또는 삭제하여 60문항을 1차 예비문항으로 선정하였다. 1차 예비문항에 대해 전문가 2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인지적 몰입 13문항, 정의적 몰입 13문항, 행동적 몰입 14문항의 40문항을 본 조사를 위한 2차 예비문항으로 선정하였다. 부산시 중·고등학생 401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한 뒤 타당화 과정을 거쳐 인지적 몰입 9문항, 정의적 몰입 9문항, 행동적 몰입 8문항의 3개 요인 총 26문항이 학습몰입척도의 최종 문항으로 선정되었다. 학습 몰입척도는 세 구성요인간의 상관이 높아 구인타당성이 입증되었으며, 문항내적합치도가 높아 신뢰도가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습몰입척도는 청소년들의 학습몰입을 측정하는 도구로써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ment the Learning Flow Scale for adolescent and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ree sub-factors of learning flow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 of literature review, which are cognitive flow, emotional flow, and behavioral flow. 80 items that represented the three factor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literature review. 60 items were selected as the first preliminary survey by modifying or deleting similar sentences, and then the content validity was reviewed by two expert. As a result, 40 items were selected as 13 cognitive, 13 emotional, 14 behavioral learning flow. 401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were sampled for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three factors with 26 items that are 9 items for the cognitive learning flow, 9 items for emotional learning flow, and 8 items for behavioral learning flow.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three factors and total score of the scale was computed and they were highly correlated each other. The scale also had hi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Therefore, the Learning Flow Scale has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so that it can be used to measure learning flow for adolescents.

      • KCI등재

        몰입의 정의와 몰입형 미디어 계보학의 문제

        오준호 한국영상학회 2014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2 No.1

        본 논문은 몰입이라는 용어가 뉴미디어 경험이라는 측면에서 사용되는 맥락과 몰입형 미디어를 실감미디어로 표기할 때 내재된 기술중심주의적이거나 형이상학적인 태도에 이의를 제기하고 대안적인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본 논문은 몰입에 접근하는 맥락을 ‘몰입-감각적 사실성’과 ‘몰입-성찰(거리두기)’의 쌍으로 구분하고, 뉴미디어 콘텐츠 관련 국내연구들 중에서 이와 같은 맥락에서 접근하는 연구들을 선별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몰입형 미디어의 계보학을 환영기술이라는 측면에서 기술한 올리버 그라우(Oliver Grau)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공간성(spatiality)과 장치(dispositif)의 관점에서 확장영화를 중심으로 한 예술적 실천을 몰입형 미디어의 계보로 서술하고자 한다. 몰입과 몰입형 미디어 관련 선행연구들은 몰입을 감각적 사실성의 차원에서 정의하고, 환영기술의 진보가 새로운 몰입을 가능하게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장치는 담론들, 건축적 형식들, 지식과 권력의 진술들과 전략들, 주관적 성향들과 문화적 경향들의 이질적인 집합이다. 그리고 장치 개념을 미디어에 적용하면, 장치는 미디어를 특징짓는 응시들의 공간적 또는 상징적 배치로서 공간성의 재구성을 의미한다. 재현의 투명성으로서 이미지, 사물, 장면, 환영기술에서 지각의 건축술로서 공간, 사건, 상황, 장치로 관점을 전환하면, 몰입을 가상의 지각을 실제화하기 위한 관객의 자기탐색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지각을 재구성하는 공간적 배치의 새로움을 중심으로 몰입형 미디어의 계보를 대안적으로 서술할 수 있다.

      • KCI등재

        국내 조직몰입 연구의 현황과 향후 방향

        이목화(Lee, MokHwa),문형구(Moon, HyoungKoo) 한국인사관리학회 2014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8 No.2

        지난 20여년이 넘는 시간 동안 국내 조직몰입 연구는 비약적인 양적 성장을 이루면서, 조직몰입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지난 연구들을 종합해 보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하는 노력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86년 첫 번째 조직몰입 연구가 등장한 이래, 지난 27년 동안 국내 경영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조직몰입 연구들의 내용을 정리, 분석해 본 후, 이 내용을 바탕으로 미래 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학 관련 학술지에 실린 총 259편의 조직몰입 관련 연구들을 4개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째, 연구 현황 부분에서는 시대 별 연구 분포 및 연구 유형을 정리하였다. 둘 째, 개념 분석에서는 조직몰입의 정의와 차원(dimension)에 관련된 이슈들을 해외연구 결과와 비교, 정리해 보았다. 셋 째, 방법론 분석에서는 실증연구에서 사용된 자료수집 방법, 측정도구의 활용 빈도 및 활용 현황, 활용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넷 째, 내용 분석에서는 지금까지 검증된 조직몰입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선행 변수의 경우에는 그 양이 방대하여 이를 5가지 속성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여기서 나타난 국내 조직몰입 연구의 특징을 정리해 보면, 조직몰입을 Mowday, Steers, & Porter(1979)가 주장한 단일차원의 태도적 몰입으로 보는 경향이 강했으며, 이를 반영하듯 조직몰입 측정도구 중 OCQ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결과변수보다는 선행변수에 대한 검증이 더 활발했으며, 그 중에서도 그룹-리더관계와 작업경험에 해당하는 선행변수의 검증이 많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이루어질 조직몰입 연구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 째, 개념측면에서는 조직몰입을 단일차원으로 다룰 경우, Mowday, Steers, & Porter(1979)의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는 점과 Meyer & Allen(1987) 모델의 국내적용가능성에 대한 검증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 째, 연구방법론 측면에서는 측정도구의 엄격한 적용 및 이와 관련된 충실한 정보 제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셋 째, 연구 내용 측면에서는 조직 몰입의 부정적 효과에 대한 연구, 객관적 성과지표의 활용, 유지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의 결과 변수에 대한 연구, 그리고 조절변수를 검증함에 있어서 변수 유형의 다양화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해외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개념연구 및 리뷰연구의 필요성과 Meyer & Allen(1987)이 제시한 3가지 요인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함께 제안하였다.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 study of organization commitment has rapidly developed and been verified by diverse variables. However, the reviews of past stud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fforts for future research have been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based on a review of organization commitment research conducted in South Korean business administration field for the last 27 years, will became the basi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For this study, a total of 259 stud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were published in business administration journals are analyzed in four parts. In the first part, all studies were organized by period of distribution and research type. Second part, we compared international research on the definition and dimension of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he third part the trend of methodology on collecting data and the usage of measurement tools are reviewed. Finally, the variables 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are reviewe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ntecedents, the vast amount of variable enabled them to be divided and organized by five characteristics. If we review the internal research for organization commitment, Porter et al (1974) maintained that the influence of attitudinal commitment of a single dimension was strong; this thought was reflected by OCQ, which became the most popular measurement among organization commitment measurement tools. Furthermore, there was more active research on antecedents than on consequences and studies on the group-leader relation variables and work experience variables are more actively pursued. This study suggests the next direction for organization commitment as follows. Firstly, the conceptual aspect suggests applying Mowday, Steers, & Porter(1979)'s single dimension model and verifying Meyer & Allen model's validity. Secondly in the methodology aspect, we recommend the strict application of measurement tools with providing of substantial information. Thirdly in the content aspect, we suggests the study on the negative effects for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he consequences of continuance/normative commitment especially with the actual performance data. Also, in the study of verifying control variables more diverse set of variables is necessary. Lastly, this study explains the necessity for interaction effect among three components.

      • KCI등재
      • KCI등재

        몰입의 부정적 기능: 중요타인과의 관계적 맥락을 중심으로

        한성열,장훈 여가문화학회 2010 여가학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flow in relational context. Previous studies on the function of flow suggested that flow has a positive effect on personal growth and happiness in individual context. However, early studies were only focused on individual context and aspect.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function of flow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exts. To verify this assumption,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negativity of individual flow in relational context. Results of the study1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 negative effect of flow in everyday context that approximately 30% of participants(N=1805) were experienced relational conflicts for flow. In detail, 34.8% reported conflicts for other's flow pursuing in close relational context and 23.4% were perceived other's negative feelings for one's flow pursuing in close relational context. Flow conflict also statistically differed in flow domains. Study2 showed results that previous flow studies context was an individual context assuming significant other's conceding on flow and the function of flow changed negative on significant other's disapproval. These results discussed in social compatibility of personal flow. 본 연구는 기존의 몰입연구가 중요타인의 인정이라는 맥락을 전제한 상태에서 이루어져 긍정적으로 편향되었다는 점과 관계의 맥락이 추가되면 개인적 몰입이 부정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탐색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두 가지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대규모 조사를 통해 일상적인 맥락을 포괄한 상태에서 개인의 몰입이 중요타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일상적인 맥락의 30%수준에서 개인의 몰입은 상대방에게 상대방의 몰입은 개인에게 부정적인 영향이 있음이 나타났고, 몰입영역에 따라 부정적인 영향의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기존의 몰입연구가 중요타인의 인정을 전제로 진행되었다는 점과 인정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몰입의 개인적 효과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의 몰입연구 조건(통제조건)은 중요타인이 개인의 몰입에 대해 긍정 혹은 보통의 태도를 취하는 맥락과 유사한 상태였다. 중요타인이 개인의 몰입에 부정적인 태도를 취할 때는 개인의 긍정적인 정서가 감소함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당사자가 몰입이 타인에게 부정되면 타인뿐 아니라 자신에게 몰입이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은 추후 연구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고, 이와 관련된 부분을 논의 하였다.

      • KCI등재

        고용형태별 여행사종사원의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몰입의 매개변수 역할검증을 중심으로

        김우진(Kim Woo-Jin),박상철(Park Sang-Chul),이기종(Lee Kee-Jong) 대한관광경영학회 2010 관광연구 Vol.24 No.6

        본 연구는 고용형태별 여행사종사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잠재적 요인들 가운데 연구의 초점을 그들의 직무몰입 수준에 맞추고 있다. 직무몰입은 그 자체가 선행변수로서 여행사종사원의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지만, 기술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직무자율성, 피드백경로 등 직무특성과 조직몰입 간의 인과관계에서 매개적인 역할을 나타낼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여행사종사원들의 객관적인 직무특성요인들 이외에 직무에 대한 몰입수준이 그들의 조직몰입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면, 여행사관리자들은 이들 종사원의 직무몰입 수준을 고려한 관리적 차원의 정책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특성적인 요인들 중에서 과업정체성과 과업중요성 그리고 피드백경로가 여행사종사원의 조직몰입을 결정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특성적인 요인들 중에서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과 여행사종사원의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몰입은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직무몰입 수준은 정규종사원의 경우가 비정규종사원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정규종사원에게는 과업정체성과 과업중요성이, 비정규종사원에게는 과업정체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조직몰입 수준도 정규종사원의 경우가 비정규종사원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정규종사원에게는 과업정체성과 과업중요성이, 비정규종사원에게는 과업정체성과 피드백경로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focused on job involvement among various potential factors which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ravel agency's employees. Job involvement could have direct effect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characteristics such as technical diversity, task identity, task significance, autonomy and feedback. If their job involvement has direct or indirect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ravel agency's managers must enforce the management policy with considering the level of their job involveme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ask identity, task significance and feedback among the job characteristic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job involvement turns out to have th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sk identity and task significance among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the level of job involvement of the regular employees turns out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irregular, the task identity and task significance of the regular employees and the task identity of the irregular have positive effects,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regular employees turns out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irregular, and task identity and task significance of the regular employees and the task identity and feedback of the irregular have positive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