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몰입 및 전문직몰입과 이직의도의 선행요인 및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지역특화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이기동,이재훈 한국경영교육학회 2014 경영교육연구 Vol.29 No.4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chievement motivation and locus of control), job insecurity, profess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of turnover. Another major aims of this study try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OS(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focusing employees in local R&D centers. In order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to test the hypothese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294 members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Using collected data, correlation, validity analysis, reliability test,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carried out by using SPSS 18.0.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First, it was found that achievement motivation positively affect profess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achievement motivation negatively influence intention of turnover. Second, locus of control affected professional commitment in a positive way while locus of control didn’t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of turnover. Third, it was found that job insecurity positively affect intention of turnover while job insecurity didn’t influence profess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POS have moder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it didn’t have moder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locus of contro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of turnover. Further discussion,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direction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대표적인 지방 R&D인 조직인 지역특화센터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개인특성변수(성취동기와 통제위치)와 고용불안정성이 구성원의 태도(조직몰입 및 전문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알아보고, 그들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인구 통계적 변수들(학력, 직급, 근무형태, 근무기간)을 통제변수로 고려하였다. 전국의 지역특화센터 구성원 294명을 대상으로부터 회수된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요한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특화센터 구성원들에게 있어서 개인특성 중 성취동기는 전문직 몰입과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통제위치는 전문직 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용불안정성은 이직의도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문직 몰입과 조직몰입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지원인식은 구성원의 고용불안정성과 조직몰입간 관계에서 정(+)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특화센터에 근무하는 구성원들에 대한 관리적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국투자 한국기업 자회사 현지종업원의 조직몰입에 관한 실증 연구

        이홍희(Lee, Hongji),최석신(Choi, Sougshin),한병섭(Han, Byoungsop)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4 디아스포라 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중국에서 활동하는 한국기업 자회사의 중국인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한 조직몰입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이다. 실증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들을 통해 규명된 직무 가치(내재적 가치, 외재적 가치), 직무 특성(역할 모호성, 역할 갈등), 조직 특성(조직 지원, 배려적 리더십, 구조 주도적 리더십) 등을 독립변수로 사용했으며, 종속변수로는 Meyer and Allen(1991)의 조직몰입 삼차원 개념(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을 적용했다. 중국 현지 방문을 통해 수집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직무가치인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가 규범적 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특성인 역할 모호성과 역할 갈등은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특성인 조직지원은 정서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려적 리더십은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조 주도적 리더십은 조직몰입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is an empirically analyzed research paper done to Chinese employees in Korean FDI subsidiaries. We designed independent variables to compose three factors such as job values(intrinsic and extrinsic), job characteristics(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organizational support, leadership of consideration, structure leadership). We also designed dependent variables to compose three dimens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s such as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As a result, job value has some positive effects statistically. Job characteristics hav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to affective and normative commitments. Finally, organizational support such as incentive and advancement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to affective and continuance commitments. Even though consideration leadership have positive effects to affective, normative and continuance commitments respectively, structure leadershi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o organizational commitments.

      • KCI등재

        국내 조직몰입 연구의 현황과 향후 방향

        이목화(Lee, MokHwa),문형구(Moon, HyoungKoo) 한국인사관리학회 2014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8 No.2

        지난 20여년이 넘는 시간 동안 국내 조직몰입 연구는 비약적인 양적 성장을 이루면서, 조직몰입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지난 연구들을 종합해 보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하는 노력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86년 첫 번째 조직몰입 연구가 등장한 이래, 지난 27년 동안 국내 경영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조직몰입 연구들의 내용을 정리, 분석해 본 후, 이 내용을 바탕으로 미래 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학 관련 학술지에 실린 총 259편의 조직몰입 관련 연구들을 4개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째, 연구 현황 부분에서는 시대 별 연구 분포 및 연구 유형을 정리하였다. 둘 째, 개념 분석에서는 조직몰입의 정의와 차원(dimension)에 관련된 이슈들을 해외연구 결과와 비교, 정리해 보았다. 셋 째, 방법론 분석에서는 실증연구에서 사용된 자료수집 방법, 측정도구의 활용 빈도 및 활용 현황, 활용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넷 째, 내용 분석에서는 지금까지 검증된 조직몰입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선행 변수의 경우에는 그 양이 방대하여 이를 5가지 속성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여기서 나타난 국내 조직몰입 연구의 특징을 정리해 보면, 조직몰입을 Mowday, Steers, & Porter(1979)가 주장한 단일차원의 태도적 몰입으로 보는 경향이 강했으며, 이를 반영하듯 조직몰입 측정도구 중 OCQ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결과변수보다는 선행변수에 대한 검증이 더 활발했으며, 그 중에서도 그룹-리더관계와 작업경험에 해당하는 선행변수의 검증이 많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이루어질 조직몰입 연구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 째, 개념측면에서는 조직몰입을 단일차원으로 다룰 경우, Mowday, Steers, & Porter(1979)의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는 점과 Meyer & Allen(1987) 모델의 국내적용가능성에 대한 검증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 째, 연구방법론 측면에서는 측정도구의 엄격한 적용 및 이와 관련된 충실한 정보 제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셋 째, 연구 내용 측면에서는 조직 몰입의 부정적 효과에 대한 연구, 객관적 성과지표의 활용, 유지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의 결과 변수에 대한 연구, 그리고 조절변수를 검증함에 있어서 변수 유형의 다양화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해외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개념연구 및 리뷰연구의 필요성과 Meyer & Allen(1987)이 제시한 3가지 요인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함께 제안하였다.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 study of organization commitment has rapidly developed and been verified by diverse variables. However, the reviews of past stud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fforts for future research have been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based on a review of organization commitment research conducted in South Korean business administration field for the last 27 years, will became the basi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For this study, a total of 259 stud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were published in business administration journals are analyzed in four parts. In the first part, all studies were organized by period of distribution and research type. Second part, we compared international research on the definition and dimension of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he third part the trend of methodology on collecting data and the usage of measurement tools are reviewed. Finally, the variables 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are reviewe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ntecedents, the vast amount of variable enabled them to be divided and organized by five characteristics. If we review the internal research for organization commitment, Porter et al (1974) maintained that the influence of attitudinal commitment of a single dimension was strong; this thought was reflected by OCQ, which became the most popular measurement among organization commitment measurement tools. Furthermore, there was more active research on antecedents than on consequences and studies on the group-leader relation variables and work experience variables are more actively pursued. This study suggests the next direction for organization commitment as follows. Firstly, the conceptual aspect suggests applying Mowday, Steers, & Porter(1979)'s single dimension model and verifying Meyer & Allen model's validity. Secondly in the methodology aspect, we recommend the strict application of measurement tools with providing of substantial information. Thirdly in the content aspect, we suggests the study on the negative effects for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he consequences of continuance/normative commitment especially with the actual performance data. Also, in the study of verifying control variables more diverse set of variables is necessary. Lastly, this study explains the necessity for interaction effect among three components.

      • KCI등재

        직무몰입에 대한 직무 상황 및 개인적 특성의 영향

        배병룡 한국자치행정학회 201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조직내 개인들이 자신의 직무에 몰입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변수들의 영향을 받는지에 관해 경험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영향요인들은 의사결정참여, 공개적 토론, 집단만족, 집단신뢰, 역할모호성, 공식화, 왜곡된 의사전달 등 직무상황 요인들이다. 아울러 인구사회경제적 변수인 성, 연령, 학력, 근무연수, 직위 등의 차이에 따라 직무 몰입에서 차이가 나는가를 검증하였다. 그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몰입과 공식화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의사결정 참여와 집단 만족은 직무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모호성은 직무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설과는 정반대의 결과로서 차후의 연구에서 더 검증해 보아야 할 것이다. 넷째, 남성이 여성보다 직무 물입 정도가 약간 높고, 다섯째, 50대 연령층의 직무 몰입 정도가 다른 연령층들의 직무 몰입 정도 보다 높다. 여섯째, 대학원 이상의 직무몰입 정도가 가장 높고, 일곱째, 근무연수가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 보다 대체로 직무 몰입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직위가 높은 자일수록 직무에 더 몰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에 의한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 몰입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공식화 수준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고, 둘째, 참여적 의사결정을 촉진할 필요가 있으며, 셋째, 구성원들이 부서에서 만족을 느끼고 생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와 근로자 태도:

        권석균(Kwun, Seog-Kyeun) 한국인사관리학회 2018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2 No.3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목적을 가지고 설계되었다. 한 가지는 보편주의 관점에서 몰입지향의 인사제도가 아세안 국가의 근로자들에게도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고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와 근로자의 조직몰입 및 업무노력의 긍정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특수주의 관점에서 이들 간 관계가 종교문화권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비교문화 연구의 방법론에 따라 엄격히 개발한 설문문항을 사용하여 아세안 국가 중에서 불교문화권의 4개 국가인 태국,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와 이슬람문화권의 2개 국가인 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의 로컬기업과 다국적기업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세안 내 6개 국가의 92개 기업에서 총 3,286명의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의 결과에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는 조직몰입의 하위차원인 정서몰입, 지속몰입, 규범몰입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업무노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조직몰입의 업무노력에 대한 영향에서는 정서몰입과 규범몰입이 유의하였다. 이에 전체적으로 아세안 국가들에서도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의 보편주의적 입장의 가설이 지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교문화권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다중집단 구조방정식모델의 분석결과에서는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정서몰입과 규범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그 영향은 두 관계 모두에서 이슬람권이 불교권 근로자의 경우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의 지속몰입과 업무노력에 대한 영향에서는 종교권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근로자들의 조직관련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의 보편적효과를 제약하거나 촉진하는 종교권 차이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아세안 기업들에게 특수성을 부여해주는 여러 조건을 더 탐색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high commitment HR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dimensions and employee efforts in 92 local and multi-national companies in six ASEAN countries. High commitment HR management(HCHRM) is defined as a bundle of such HR practices as employee participation, job autonomy, intensive HR development, performance management, and high compensation. The study also explores the differing effects of the two religious groups, namely Buddhist and Islamic countries in ASEAN. The data from 3,286 employees working at 92 firms were collected in Malaysia, Indonesia, Thailand, Myanmar, Laos, and Cambodia. Survey questionnaires in English were translated into Malay, Indonesian, Thai, Myanmar, Lao, and Cambodian language by the two local university professors in each country. The data were composed of 1,683 from the two Islamic countries, Malaysia and Indonesia, and 1,683 from the other four Buddhist countries. Analyses of the data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resulted in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f high commitment HR management on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It also showe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employee efforts level. In addition, affective and normative commitment dimensions exerted strong influence on employee efforts, albeit continuance commitment not. Overall, the results strongly support the hypotheses of the universalistic view, suggesting the influential power of high commitment HRM in ASEAN companies. The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uggested that the effects of HCHRM were partly moderated by the differing religious groups of ASEAN countries. The effects of HCHRM on affective and normative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stronger in Islamic countries than in Buddhist countrie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continuance commitment and effort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ffective and normative commitment is bound with particularistic forces, but the others are not. From the empirical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erived. Several research agenda are suggested for future studies in the realm of inter-cultural studie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 KCI등재

        대학 수업에서 학습몰입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김란(Lan Jin),장지수(Jisu Jang),신서경(Suhkyung Shin)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대학교 교수학습 상황에서의 학습몰입과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학습몰입 연구에 활용된 주요 변인과 대학생의 학습몰입을 촉진하기 위한 교수설계 전략을 확인하고 이를 종합하여 학습몰입의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Oga-Baldwin(2019) 의 학습몰입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2017년부터 2022년까지 5년 동안 KCI에 등재된 대학 수업 맥락에서 수행된 국내 학습몰입 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대학 수업환경에서 수행된 학습몰입 연구는 매년 증가하는 양상을 띠고 학습몰입을 촉진하기 위한 교수전략은 대학 교육현장에서 다양하게 응용이 되고 있다. 학습몰입에 영향을 주는 선행변인으로는 학습자 특성 변인과 학습환경 특성 변인으로 분류할 수 있고, 학습몰입의 결과변인으로는 학습자의 만족도, 학습태도, 학습역량, 학업성취도로 분류할 수 있다. 끝으로 각 연구별로 제시한 학습몰입의 구성요인들을 Fredricks 외 (2004)의 연구와 Csikszentmihalyi (1990)의 몰입이론과 비교한 뒤, 국내 대학 수업 맥락에서의 학습몰입의 통합적 개념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대학 수업에서의 학습몰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학습몰입의 촉진을 위한 통합적 개념 모형을 제시하여, 국내 대학 수업 맥락에서 교수설계 시 학습몰입과 관련한 다양한 변인을 이해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설계 및 실천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in factors utilized in learning engagement research and the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to promote learning engagement among university student s. In addition, this study synthesizes these findings to propose a conceptual framework for learning engagement, suggesting a multifaceted set of factors to guide instructional design for learning engagement in college classes. To achieve this goal, we utilized Oga-Baldwin's (2019) learning engagement framework to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studies published in Korea on learning engagement in KC!-listed university classes from 2017 to 2022. Our findings show the number of learning engagement studies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teaching strategies to promote learning engagement are being applied in various ways in university education. The antecedents of learning engagement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learner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environment characteri stics. The outcome variables of learning engagement are learner satisfaction, learning attitude, learning compe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Following a comparison of Fredricks et al. 's (2004) engagement theory and Csikszentmihalyi 's (1990) flow theory, we present an integrated conceptual model of learning engagement in the Korean university classroom context.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learning engagement in university classes and presents an integrated conceptual model of learning engagement to promote learning engagement, providing a basis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practice to understand and systematically apply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learning engagement in instructional design in the context of Korean university classes.

      • KCI등재

        몰입의 정의와 몰입형 미디어 계보학의 문제

        오준호 한국영상학회 2014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2 No.1

        본 논문은 몰입이라는 용어가 뉴미디어 경험이라는 측면에서 사용되는 맥락과 몰입형 미디어를 실감미디어로 표기할 때 내재된 기술중심주의적이거나 형이상학적인 태도에 이의를 제기하고 대안적인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본 논문은 몰입에 접근하는 맥락을 ‘몰입-감각적 사실성’과 ‘몰입-성찰(거리두기)’의 쌍으로 구분하고, 뉴미디어 콘텐츠 관련 국내연구들 중에서 이와 같은 맥락에서 접근하는 연구들을 선별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몰입형 미디어의 계보학을 환영기술이라는 측면에서 기술한 올리버 그라우(Oliver Grau)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공간성(spatiality)과 장치(dispositif)의 관점에서 확장영화를 중심으로 한 예술적 실천을 몰입형 미디어의 계보로 서술하고자 한다. 몰입과 몰입형 미디어 관련 선행연구들은 몰입을 감각적 사실성의 차원에서 정의하고, 환영기술의 진보가 새로운 몰입을 가능하게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장치는 담론들, 건축적 형식들, 지식과 권력의 진술들과 전략들, 주관적 성향들과 문화적 경향들의 이질적인 집합이다. 그리고 장치 개념을 미디어에 적용하면, 장치는 미디어를 특징짓는 응시들의 공간적 또는 상징적 배치로서 공간성의 재구성을 의미한다. 재현의 투명성으로서 이미지, 사물, 장면, 환영기술에서 지각의 건축술로서 공간, 사건, 상황, 장치로 관점을 전환하면, 몰입을 가상의 지각을 실제화하기 위한 관객의 자기탐색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지각을 재구성하는 공간적 배치의 새로움을 중심으로 몰입형 미디어의 계보를 대안적으로 서술할 수 있다.

      • KCI등재

        몰입형 체험전시의 사용자 경험 요소에 관한 연구

        김채윤,권지은 한국영상학회 2023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21 No.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and derive implications through an analysis of immersive experienceexhibition case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actors that can increase immersion. To this end, first, theoretical research on experience and immersion factors in an immersive experience exhibition is condu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Second, four cases of immersive experience exhibitions that appeared in Korea were analyzed based on the three categories select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a FGI (focus group interview). These were physical and physiological aspects,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and social interactions and shared experien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ost immersive exhibitions induce immersion through audio-visual sensory stimulation using video objects of an overwhelming size with realistic sounds by multi-sided projection mapping, increasing immersion by creating interac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exhibit.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the audience recognized this and/or interacted with others. Finally, throug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directions and limitations with regard to increasing immersion in immersive experience exhibitions are discussed. Physical and physiological aspect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an immersive exhibition, and the synchronization rate of visual and auditory factors can be increased to enhance the immersion and impression of the audience. In terms of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characters in the video or objects that interact with each other are used to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audience and to induce interaction. In terms of social interactions and shared experienc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pecifications of movement lines, attention lighting, and the projector equipment used, among other factors, to reflect the audience's behavior and thus increase consensus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audience members while also inducing secondary experiences on SNS. The direction of immersion factors as derived here is expected to be used by those designing immersive experience exhibitions, which are continuously increasing. 본 연구는 몰입형 체험전시 사례 분석을 통해 현황 파악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 몰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요소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몰입형 체험전시에서의 경험과 몰입 요소에 대해 이론적으로 연구한다. 둘째, 문헌조사와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선정한 3가지 카테고리인 물리적 및 생리적 측면, 인지적 및 감성적 측면, 사회적 상호작용과 공유 경험을 기준으로 국내에서 전시되었던 몰입형 체험전시 4가지 사례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몰입형 전시는 다면 프로젝션 매핑에 의한 압도적 크기의 영상물과 실감 음향을 이용하여 시청각적 감각 자극을 통해 몰입을 유도하고 관객과 전시물의 상호작용을 생성하여 몰입도를 높이는 경우가 많았으며, 관객이 서로를 인식하거나 상호작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통해 몰입형 체험전시에서 몰입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향성 제시 및 한계점을 논의한다. 물리적 및 생리적 측면은 몰입형 전시에 있어서 가장 핵심 요소로, 관객의 몰입과 감동을 높이기 위해 시각과 청각적 요소의 싱크로율을 높인다. 인지적 및 감성적 측면에서는 관객의 주의를 끌어 상호작용을 유도하기 위해 영상 속 캐릭터나 인터랙션이 작동하는 오브제를 사용한다. 사회적 상호작용과 공유 경험 측면에서는 관객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감대를 높이고 SNS 상에서의 2차 경험을 유도하기 위해 관객의 행태를 반영할 수 있도록 동선과 조명, 프로젝터 기기 등의 사양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몰입 요소에 대한 방향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몰입형 체험전시 설계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몰입의 부정적 기능: 중요타인과의 관계적 맥락을 중심으로

        한성열,장훈 여가문화학회 2010 여가학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flow in relational context. Previous studies on the function of flow suggested that flow has a positive effect on personal growth and happiness in individual context. However, early studies were only focused on individual context and aspect.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function of flow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exts. To verify this assumption,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negativity of individual flow in relational context. Results of the study1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 negative effect of flow in everyday context that approximately 30% of participants(N=1805) were experienced relational conflicts for flow. In detail, 34.8% reported conflicts for other's flow pursuing in close relational context and 23.4% were perceived other's negative feelings for one's flow pursuing in close relational context. Flow conflict also statistically differed in flow domains. Study2 showed results that previous flow studies context was an individual context assuming significant other's conceding on flow and the function of flow changed negative on significant other's disapproval. These results discussed in social compatibility of personal flow. 본 연구는 기존의 몰입연구가 중요타인의 인정이라는 맥락을 전제한 상태에서 이루어져 긍정적으로 편향되었다는 점과 관계의 맥락이 추가되면 개인적 몰입이 부정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탐색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두 가지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대규모 조사를 통해 일상적인 맥락을 포괄한 상태에서 개인의 몰입이 중요타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일상적인 맥락의 30%수준에서 개인의 몰입은 상대방에게 상대방의 몰입은 개인에게 부정적인 영향이 있음이 나타났고, 몰입영역에 따라 부정적인 영향의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기존의 몰입연구가 중요타인의 인정을 전제로 진행되었다는 점과 인정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몰입의 개인적 효과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의 몰입연구 조건(통제조건)은 중요타인이 개인의 몰입에 대해 긍정 혹은 보통의 태도를 취하는 맥락과 유사한 상태였다. 중요타인이 개인의 몰입에 부정적인 태도를 취할 때는 개인의 긍정적인 정서가 감소함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당사자가 몰입이 타인에게 부정되면 타인뿐 아니라 자신에게 몰입이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은 추후 연구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고, 이와 관련된 부분을 논의 하였다.

      • 인문사회학편 : 공군사관생도의 조직 몰입에 관한 연구: 성별과 학년을 중심으로

        장완진 ( Wan Jin Jang ) 공군사관학교 2013 군사과학논집 Vol.64 No.1

        본 연구에서는 성, 학년 등 개인상황변수에 따라 공군사관생도의 조직 몰입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공군사관생도의 조직 몰입을 정서몰입, 근속몰입, 규범몰입으로 나누어 측정하고, 성별과 학년에 따라 조직 몰입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남생도의 근속몰입과 규범몰입 수준이 여생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년 별 조직 몰입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조직 몰입도의 성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되며, 4년간의 교육과정을 통해 생도들의 조직 몰입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Korea Air Force Academy cadets depending on gender, grade level. For this purpos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t-test and ANOVA(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indicate that male cadets have stronger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than female cadets. And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between grade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