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력성장기회와 LMX의 삼원조절효과

        이준혁(Junhyuk Lee),이인혁(Inheok Lee),이의연(YiRan Li),전정호(Jeongho Je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인사조직연구 Vol.28 No.2

        오늘 날 경영환경 및 고용관계의 변화에 따라 조직에 몰입하는 대신에 자신의 경력에 몰입하고자 하는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조직 측면에서는 조직의 성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을 증가시킬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구성원들의 변화하는 경력욕구를 이해하고, 조직몰입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구성원들의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선행연구자들의 견해에 주목하였다. 이에 경력몰입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환경적 특성인 경력성장기회와 관계적 특성인 상사-부하 교환관계(LMX: leader-member exchange, 이하 LMX)의 조절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먼저 경력성장 기회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다음으로 경력성장기회와 LMX의 삼원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상황에 따라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기업 재직자 311명에게 수집한 설문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경력몰입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경력몰입과 조직몰입의 관계는 경력성장기회에 의해 조절되었다. 구체적으로, 경력성장기회가 높을수록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강화되었다. 셋째, 경력몰입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는 LMX에 의해 조절되었다. 구체적으로, 경력성장기회가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 모두 LMX가 높을수록 경력몰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정(+)의 효과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력성장 기회가 높은 경우에는 LMX의 조절효과가 거의 없는 반면, 경력성장기회가 낮은 경우에 LMX의 조절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구성원들의 경력몰입 뿐만 아니라 조직몰입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인적자원관리 및 개발 측면에서의 유용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n employee’s CC (career commitment) effect on OC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understand changing career needs and to find ways to increase OC.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CGO (career growth opportunity) and LMX (leader-member exchange) and the roles they play in moderation and three-way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C and OC. As such,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CC on OC in specific situations by verifying the moderation effect of CGO and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CGO and LMX.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311 employees working in domestic companie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C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C.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C and OC, the moderating effect of CGO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positive effect of CC on OC was stronger when CGO was higher.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C and OC,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CGO and LMX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when CGO was high, the positive effect of CC on OC was stronger with high LMX than with low LMX. Likewise, when CGO was low, the positive effect of CC on OC was stronger with high LMX than with low LMX. However, in this case, the moderating effect of LMX was very strong when compared with high CGO situations.

      • KCI등재
      • KCI등재

        신뢰와 만족이 정서적 몰입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계산적 몰입의 조절효과 -

        권태윤,박성규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0 마케팅논집 Vol.18 No.4

        몰입은 B2C 관계에서 많이 연구되는 변수 중의 하나이며, 연구자들은 고객충성도의 주된 선행변수로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객충성도를 구축하는데 있어 은행서비스 상황에서 역할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몰입을 두 가지 구성 개념 즉 정서적 몰입과 계산적 몰입으로 구성한다. 본 논문은 신뢰와 만족은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정서적 몰입과 고객 충성도 간에 긍정적 관계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이전 연구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계산적 몰입을 조절변수로 포함하였다. 254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AMOS를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신뢰와 만족은 정서적 몰입의 중요한 선행변수로 파악되었으며, 정서적 몰입은 고객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적 몰입과 충성도 간의 관계에서 계산적 몰입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Commitment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studied variables in relationship marketing and several researchers propose it is the main antecedent of customer loyal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calculative commitment in creating customer loyalty. Commitment is consist of two constructs(affective commitment and calculative commitment). This paper hypothesized that trust and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 affective commitment. Additionally this paper assumed a positive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on customer loyalty. Finally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paper include calculative commitment as moderator in our model. Data from a survey of 254 customers of banking were us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was analyzed using AMOS program. Results in this paper indicate that Trust and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antecedents of affective commitment, and affective commitment positively influences customer loyalty. And the moderating role of calculative commitment was also support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offer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허구서사 애니메이션의 관객 몰입 메커니즘 연구

        김기홍(Kim Ki-Ho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7

        허구서사 애니메이션 감상 경험에 있어 관객의 몰입은 작품의 성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다. 특히, 대중 애니메이션의 경우, 흥행성공과 같은 사회경제적 성취 이외에도 관객의 몰입은 작품성 성취의 중요한 전제조건이 된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허구서사 애니메이션은 이야기가 (소리를 포함한) 이미지로 서술된다는 특성에 최근 2D 애니메이션에 비해 질료적 사실주의를 강조하는 3D 형식이 보편화된 현상까지 더해져, 서사체 텍스트와 가상현실의 수용자 몰입 방식을 일정부분공유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작품 텍스트 안에 몰입을 견인하는 요소가 내재되어 있다는 관점과, 매체의 물리적 특성이 수용자를 몰입하도록 강제한다는 이론 가운데 놓여있다. 어떤 경우에도 몰입하는 주체는 관객이므로, 허구서사 애니메이션에의 몰입에 대한 연구에 가장 유용한 이론은 작품(성) 분석이나 시청각 효과에 대한 연구보다 텍스트-관객의 관계를 중심에 둔 구성주의 인지서사학적 접근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사에 대한 수용자의 몰입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구성주의 인지서사학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애니메이션의 특수성에 적용하여, 관객을 작품에 몰입하게 만드는 애니메이션의 요인과 특성을 연구하였다. Immersion is the key factor in determining success or failure for fictional narrative animations. It does matter to not only for the socio-economic achievements like box-office success but to the asthetical achievement, immersion is very important prerequisite character that are raised in terms of research needs. Fictional narrative animation shares the audience's immersive method with the narrative content and Virtual Reality, since animation has the character which narrates itself with the visual image format (including sound) and added the fact that 3D format which emphasizes realism compared with the recent 2D animation has been ubiquitous phenomenon. In other words, the artistic for called 'animation' is located between the view point that text has the immersive point intrinsic and oppositely, specific function of the certain media which stays extrinsic of the text enforce the participants into the immersion. In any case, the subject who experience immersion is the audience, so the most useful theory to research the phenomenon 'immersion' is Constructivism cognitive narrotologic approach which lies the peader-spectator as the centric notion and is more useful than text analysis or research on the visual effects. In this study, research and review about the studies on the audience's immersive experience would be preceded particularly aroud the constructivism theories, and examine the uniqueness and naures of the animation which makes the audience immersive.

      • KCI등재

        신경미학을 기반으로 한 몰입형 전시의 시각적 호감에 관한 연구

        라오자리,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31 No.1

        전시는 예술을 전시하는 매체로서, 루이 14세 시대의 “살롱”에서 현대의 몰입형 전시로 발전해 왔다. 사회와 과학 기술의 발전, 그리고 경험 경제의 대두로 미적 요구가 증가하면서 전시 방식은 더욱 다양화되었고, 몰입형 전시가 새로운 추세로 자리 잡았다. 몰입형전시는 널리 주목받고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데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몰입형 전시회에서 활용되는 디지털기술, 심리학적 요인, 경험 경제와 예술 시장에 대한논의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몰입형 전시회의 특징이사람들에게 선호되는 본질적인 이유에 대해 미학적 관점에서 과학적인 설명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신경미학의 이론적 관점을 바탕으로 몰입형 전시를 감상하며 갖게 되는 시각적 선호의 본질적 원인을 탐색하고자 할 것이다. 먼저 전통적인 전시에서 몰입형 전시로의 발전 과정을 검토하고 현재 몰입형 전시를 관련된 연구를 간단하게 정리했다. 그리고 기존 일부 몰입형 전시 사례를 분석하여 몰입형 전시의 시각적 표현 특징을 정리했다. 다음으로, 뇌가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시각 정보 처리에서 넓은시야를 선호하고 전체적인 윤곽을 먼저 인식한 뒤 세부 사항에 집중하는 특성을 확인했다. 또한, MT(Middle Temporal Gyrus)는 동적인 시각 자극에선호하는 고유한 특성을 가졌다. 몰입형 전시에서 호감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다감각 통합에대해 논의했다. 시각적 및 청각적 자극을 통합함으로써, 뇌의 Superior Colliculus와 Superior Temporal Sulcus 등의 영역이 초가법적 반응을 보이며 감각 경험을 최적화한다. 특히 시각과 청각 자극이 시간과 공간에서 일치할 때, 다감각 통합은 관람자의 몰입감과미학적 즐거움을 현저히 증대시킨다. 마지막으로, 유창함을 감지하는 것이 뇌의 시각 정보 처리에 긍정적인영향을 준다는 시스템과 ‘신선한’ 시각적 자극은 전대상 피질(Anterior Cingulate Cortex)을 활성화한다는것을 통해 몰입형 전시회가 유발하는 시각적 선호의본질적 원인을 설명했다. 본 연구는 몰입형 전시의 미학적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과학적인 시각과 방법론을 제공하고, 전시 분야의 미학 연구에 이론적 지원을하며, 이 분야의 더 깊은 탐구를 촉진하고자 한다. Exhibitions, as a medium for showcasing art, have evolved from the “salons” of the Louis XIV era to modern immersive exhibitions.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advanc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rise of the experience economy, the growing demand for aesthetic experiences has led to a diversification in exhibition formats, with immersive exhibitions emerging as a new trend. In recent years, immersive exhibitions have garnered widespread attention and received high praise. Previous research has primarily focused on exploring the digital technologies employed in immersive exhibitions, psychological factors, as well as discussions surrounding the experience economy and the art market. However, there is a lack of scientific explanations within the field of aesthetics regarding the essential reasons behind the preferences for these exhibitions’ particular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features of immersive exhibition formats, aiming to investigate why people prefer immersive exhibitions over traditional ones. By integrating knowledge from neuroscience, includ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is paper highlights the neural mechanisms of visual preferences when appreciating immersive exhibi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aesthetics. First, this paper reviews the evolution and development of exhibitions from traditional to immersive formats, while also outlining the current research landscape of immersive exhibitions and providing a definition. Furthermore, the study explores the mechanisms involved in the brain’s processing of visual information, confirming that the brain prefers expansive fields of view and tends to first perceive the overall contours before gradually focusing on finer details. It is also established that the middle temporal gyrus exhibits a preference for dynamic visual stimuli. Additionally, multisensory integration is identified a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contributing to the aesthetic preferences elicited by immersive exhibitions. By integrating sensory inputs such as visual and auditory stimuli, regions of the brain like the superior colliculus and the superior temporal sulcus show super-additive responses, optimizing perceptual experiences. When visual and auditory stimuli are temporally and spatially synchronized, multisensory integration significantly enhances the viewer’s sense of immersion and aesthetic enjoyment. Finally, through the mechanisms of perceptual fluency and the brain’s reward system, the intrinsic reasons behind the visual preferences triggered by immersive exhibitions are further explained.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scientific perspective and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the aesthetic mechanisms of immersive exhibitions, offering theoretical support for aesthetic research in the field of exhibitions and striving to promote deeper exploration in this domain.

      • KCI등재

        몰입형 영상의 인지신경과학에 관한 연구

        오양진,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4

        Recently, multi-surface immersive images that project multiple channels such as walls, screens, floors, and roofs through the screen at the same time have attracted the attention of viewers. However, this kind of immersive image is only studied in terms of presentation and projection technology. Still, it does not explain why viewers are attracted to this kind of immersive image. This study suggests that by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viewers’ preferences for immersive images, we can plan images more proactively. To investigate the reason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immersion phenomenon and explored the structure of favorable feelings toward the immersion phenomen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immersion, there are four types of immersion: systematic immersion, narrative immersion, multisensory immersion, and challenging immersion. Secondly, based on the first research in cognitive neuroscience, we have organized the cognitive mechanism of the brain for immersion phenomena and grasped the structure of the occurrence of immersion phenomena. The immersion phenomenon can also be described as the concentration of a continuous unconscious state. In other words, in a state where self-consciousness disappears for a long period, the brain concentrates on the stimulus, and everything that is necessary to solve the cognitive problem is carried out in automatic neural activity. The cognitive processes in the brain that deal with this neurological phenomenon are as follows. First, the phenomenon of on major media sites brain immersion refers to the state of a temporary decrease in the cognitive state of the frontal lobe of the brain. This state temporarily inhibits the explicit system, embodies tacit knowledge and technology, and enhances cognitive flexibility and fluency. Second, in the immersion phenomenon, activation of the goal-directed compensatory system results in good feelings. Based on this, this study establishes an immersive image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system and makes suggestions. Designers can consider the factors in each current image, such as 3D, IMAX 3D, 4D, 5D, VR, and VR360 to induce input and apply them to the im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mmersive image design by proposing the structure and method of understanding immersive image design and research. 벽면, 화면, 바닥 면, 지붕 등을 스크린으로, 동시투영하는 다중채널의 다면적 몰입형 영상이 관람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렇게 비일상적 스크린을 사용하는 다면 영상은 관람자의 관심을 끌어 몰입하게 한다. 하지만, 이런 몰입형 영상은 표현의 양식과 투영기술에 관한 연구만 있을 뿐, 관객이 이에 몰입해 호감을 느끼는 구조를 연구하려는 시도는 부족하다. 몰입형 영상에 관람자가 느끼는 호감의 구조를 이해하면 더 능동적으로 영상을 기획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몰입 현상의 호감 구조를 탐구하기 위해, 몰입 현상의 개념과 특성을 분석한다. 몰입의 구조에따라 체계적 몰입, 서사적 몰입, 다감각적 몰입, 도전적 몰입 등 4가지로 구분한다. 다음으로 인지신경과학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몰입 현상에 대한 두뇌의 인지 메커니즘을 정리하고, 몰입 현상이 발생하는 구조를 파악한다. 몰입은 지속적인 무의식 상태의 집중이라고도 할 수 있다. 즉, 긴 시간 동안 자아의식이 소실된 상태에서 자극에 집중하고, 인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전하는 것 모두가 자동화된 신경 활동으로진행된다. 이러한 신경 현상에 대응하는 두뇌의 인지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뇌의 몰입 현상은 뇌의 전두엽이 일시적으로 인식상태가 저하된 상태를 말한다. 이 상태는 명시적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서, 암시적 지식과 기술을 구현하여 인지의 유연성과 유창성을 강화한다. 둘째, 몰입 현상 중 표적 지향보상 시스템을 활성화해 호감을 얻는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몰입 영상에 대한 분류 및 평가체계를 수립하고, 제안을 제공한다. 디자이너는 현재3D, IMAX 3D, 4D, 5D, VR, VR360 등 각 영상에 존재하는 몰입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해 영상에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몰입형 영상 디자인 및 연구의 인식적 구조와 방법의 제안으로써 몰입형 영상디자인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근로자 생산성 향상 몰입을 위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전략 :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분석

        문성옥,이종엽,이지만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3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3 No.3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근로자의 정규직 혹은 비정규직과 같은 상이한 고용형태가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알아본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용형태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독립변수로써 고몰입 인적자원관리 기법(고용안정성, 교육훈련, 퇴직관리, 복리후생)을 연구모형에 포함하였고, 종속변수로써 생산성 향상 몰입을 연구모형에 포함하였다. 상이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고용형태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조사하였다. 국내 대기업에 근무하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200명의 대상 중 응답한 159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과 소벨테스트(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결과는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 퇴직관리는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에서 고용형태는 교육훈련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복리후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은 생산성 향상 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퇴직관리는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고용안정성, 교육훈련, 복리후생에서는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통해 생산성 향상 몰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High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HCHRM) is consistently emphasized to enhance employee's productivity. There are few studies that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a different employment type like a standard and a temporary employe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of HCHRM and employment type on Organizational Commtiment(OC). This study included HCHRM practices, such as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retirement management and benefits as an independent variables and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in a research model. To find out the interaction effects of different employment type, we classified it into standard and temporary employee. Additionally, we examined mediation effects of OC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instruments from standard and temporary employees who engaged in a large firms. We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159 responded samples of 200 subjects. Sobel-test and regression were employed to test hypothesis of this study. First,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retirement management and benefits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OC. In the analysis of interaction effects, employment typ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and OC, and nega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nefits and OC. Second,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and benefits had a directly positive effects on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and retirement management had a negative effects on employee's commitment to productivity enhancement. Finally, employment security, training and benefits influenced the productivity commitment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on effects.

      • KCI등재

        영어몰입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박성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service training model for the English Immersion Education basically for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The English Immersion Program was originally planned to increase the limited time allotment of teaching English and let the students allow to have more chances to learn English. Actually the Program has not been executed at school yet, but in near future it will surely be executed firstly at elementary school level and then at secondary school. Before developing the model, the study has sought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English Immersion Education. Specifically, it investigated the perspectives of 94 in-service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nsified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 under the guidance of the KNUE In-Service Training Center. To this end, they were asked to respond to a 16-item questionnaire consisting of 6 subsections: perspectives for the English Immersion Program, dangling problems concerned with the program, managements for the program, capacities of the lectures, contents of the in-service training model, and the evaluation. The sample model for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 is made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frequency analysis and needs analysis. It is strongly suggested for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o make a full preparation for both human resources and financial phases. 본 연구는 영어몰입교육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영어몰입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연수를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다. 우선 문헌 연구를 통해 영어몰입교육의 필요성과 몰입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국내·외에서 실시하고 있는 몰입교육 연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영어몰입교육 또는 내용중심 언어교육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 결과들은 몰입교육이 영어와 내용교과를 통합적으로 가르침으로써 유의미한 언어 환경을 제공하고, 논리력과 창의력을 기를 수 있는 효과적인 영어 학습이며 학습 내용을 영어로 가르칠 경우 학문 중심의 언어 능력 학습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의사소통능력 월등히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능하고 헌신적인 몰입교육 교사 양성을 위한 효과적이고 실제적인 교수요목 구성을 위해 영어 심화연수를 받고 있는 94명의 초등 교사들에게 영어몰입교육 교사 연수에 기대하는 요구를 조사하였다. 우선 몰입교육을 실시한다고 할 때 교사의 언어능력이 충분한가에 대한 질문에 대부분의 교사는 부정적이라고 답하였다. 그리고 몰입교육에서 교사의 언어능력이 교과목에 대한이해나 수업기술보다도 더 중요하다고 답하였다. 연수 모형은 현행 영어 심화연수 프로그램을 개선하여 영어몰입교육의 주체가 될 교사들의 영어사용능력 향상, 몰입수업의 지식과 기술 습득, 다양한 수업의 활동 및 수업기술의 발전 도모를 중점적으로 강화했다. 교사 영어능력 향상을 위한 단계는 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몰입수업을 위한 실제적이며 내실 있는 내용중심의 영어를 습득하고 사용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 KCI등재

        몰입' 개념으로 본 3D 입체 영화의 미래

        김형래(Kim, Hyung-ra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 외국문학연구 Vol.- No.41

        기술의 발달로 영화의 실감과 몰입효과는 더욱 강화되고 있다. 몰입은 어떤 데에 ‘빠져듦’을 의미하는데 영화는 이런 효과를 여러 장치들을 통해 증강시키고 있다. 특히 3D 입체 영화는 입체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관객이 3D 이미지 속에 존재하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이러한 몰입효과는 최근의 3D 영상뿐만 아니라 예술사에서 모든 시각적 예술이 노렸던 효과인지 모른다. 더욱이 짧은 영화사만을 살펴본다고 하더라도 이 같은 사실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영화가 기술의 발달로 무성에서 유성으로, 흑백에서 천연색으로, 표준스크린에서 와이드스크린으로,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발전한 과정을 살펴보면 이 모두 몰입효과의 증대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몰입효과를 강화함으로써 관객은 더 영화관을 찾게 되고 이를 통해 영화산업이 발전할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영화사는 몰입의 영화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몰입 개념은 지금까지 주로 게임과 관련하여 다루어졌고 영화이론에서는 매우 단순하게 정의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 개념을 영화와 관련하여 세분할 필요성을 느끼고 영화사와 영화이론사를 통해 이 개념의 의미를 확장하고자 했다. 이에 그리피스의 연속 편집과 주제적 편집, 에이젠슈타인의 몽타주, 바쟁의 사실주의, 보드리의 장치이론, 캐롤의 인지주의이론 등이 몰입 개념을 중심으로 재고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영화에서의 몰입 개념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감각적 몰입, 지적 몰입, 내화면 몰입, 외화면 몰입이 그것이다. 그런데 3D 입체 영화와 관련하여 우리는 지금까지 ‘감각적 몰입’ 효과만을 거론한 경향이 있다. 앞으로 3D 영화가 산업에만 매몰되지 않고 예술적 기능을 다하려면 앞서 언급한 다양한 몰입 효과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깊은 고민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is paper tries to explain what the Stereoscopic 3D Cinema looks like in the future. In conclusion, in the near future it will get sensually more absorbing skills and images, so that it can be more successful in the film industry. However, its future is not determinated only in this way, but there will be the other ways, to develop the artistic potentiality of the Stereoscopic 3D films. To make this, I think that we should understand well, what the concept of the immersive effect is. I have classified four sort of immersive crafts in the films: there are the sensual immersion, the intellectual immersion, the on-screen immersion, and the off-screen immersion. At first they have been defined, and then they have been found out and renamed in the film history. The film history and its theories tell us that they are none other than a history of the immersion. According to my research, in the classical film theory of editing, the continuity editing and the alternate editing of Griffith belong to the sensual immersion, and his thematic editing to the intellectual immersion. And the Soviet montage of Eisenstein belongs not only to the in-screen immersion but also to the intellectual immersion. In addition, the realism of André Bazin has to do with the off-screen immersion and also with the intellectual immersion. As we have seen, the films have basically the innate absorbing characters. A French film theorist Jean-Louis Baudry criticizes this characters with his apparatus theory. But in opposition to Baudry, the american philosopher of art Noël Caroll is critical of the apparatus theory and develops his cognitive film theory. However, it shows that the cognitive strategies of the film produces also inevitably the absorbing and immersive effect. It means that we must acknowledge unavoidably the immersive character of the films. Therefore, instead of that we criticize the commercial characters of the absorbing effect, we should to try to choice the best combination of the four categories suggested above, to make a good film.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에 따른 유아의 놀이몰입 및 자기효능감

        이선경(Lee seon kyung),심성경(Sung-Kyoung Sim)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경험에 대한 전반적인 양상과 변인별 차이를 탐색하고, 유아교사의 교 수몰입도 수준에 따른 유아의 놀이몰입과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유아교사의 교 수몰입도를 알아보기 위해 전라북도 J, I, K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의 만 5세 담당 교사 227명을 대상 으로 하였다. 교수몰입도에 따른 유아의 놀이몰입, 유아의 자기효능감을 분석하기 위해 교수몰입도 분포 중 상집단 10%(23명)와 하집단 10%(23명)중에서 학력, 경력 등의 동질성을 고려하여 상집단의 교사 3명 과 유아 63명, 하집단의 교사 3명과 유아 59명을 표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도는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며, 연령과 경력이 많을수록, 기혼일 때 더 높았 으며, 월 급여가 가장 높은 교사가 몰입도 수준이 가장 높았다. 둘째, 교수몰입도 수준이 높은 교사의 유 아가 낮은 교사의 유아에 비해 놀이몰입 수준이 더 높았다. 셋째, 교수몰입도 수준이 높은 교사의 유아가 낮은 교사의 유아에 비해 자기효능감은 전체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부분적으로 인지적 영역의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statu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and the differences by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variable and then to analyze young children's play flow and self-efficacy in relation to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lev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7 teachers in charge of five-year-old children at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J, I and K cities in Cheollabuk province.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young children's play flow and self-efficacy in relation to the level of teaching flow, this study sampled total 6 teachers out of the teaching flow distribution of the above 227 teachers considering the similarity between teachers' academic career, work career, etc, and also 122 young children in their charge. They consist of 3 teachers out of the highest 10% group (23 teachers) of the distribution and all of the 63 young children in their charge, and 3 teachers out of the lowest 10% group (23 teachers) and all of the 59 young children in their charg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was slightly above the middle. The older and the more experienced the teachers were, the higher the teaching flow was. Also, it was higher among the married teachers group. Besides, the teachers getting the highest monthly wage showed the highest teaching flow. Second, young children in the class of teachers with higher teaching flow showed higher level of play flow. Third, though children in the class of teachers with higher teaching flow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compared to children in the class of teachers with lower teaching flow in general, they showed higher self-efficacy in the sub-factor, cognition, in p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