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한 도시 공적공간의 변화

        황주성(Hwang, Joo-Seong),유지연(Yoo, Ji-Yeon) 한국공간환경학회 2005 공간과 사회 Vol.24 No.-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확산은 ‘이동 중 연결성’과 ‘상호작용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공간을 새롭게 구성하고 활성화시킬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을 개인공간과 사회공간, 그리고 공적공간으로 나누고 각 공간에서 휴대전화의 사용으로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개인공간에 있어서는 시공간의 미시적 조정이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다의적 장소성에 대한 경험도 상당히 관찰되었다. 사회공간측면에서는 물리적 만남을 확대하여 기존의 사회적 관계를 보완함과 동시에 휴대전화로 연결된 모바일친구로 인해 사회공간을 재구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공적공간의 유형에 따라 휴대전화의 이용행태에 차이가 있으며, 기술발달에 따라 공적공간에 대한 수요가 더욱 확대되며 공간 활력이 증대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Mobile communications is argued to reshape and activate the existing space by increasing ‘mobile communicability en route’ and ‘real time interaction’. This study is designed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on how different the use of a cellular phone is in each different space. In this study, the space is divided into three distinct parts including the private, social and public space. First, spatial micro-coordination and experience of polysemy of place are widely observed in the use of a mobile phone in the private space. Secondly, it is found that a mobile phone contributes to extending the scope of social contacts which in turn compliments the existing social relationship. Moreover, a full-time intimate community that is connected via a mobile phone results in reshaping the social space. Lastly, the study shows that the usage pattern of a mobile phone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public space.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envisaged to lead to more demand for the public space while facilitating the use of the public space.

      • KCI등재후보

        모바일매핑시스템을 이용한 거리표 자동 추출에 관한 연구

        정재승,정동훈,성정곤 한국국토정보공사 2008 지적과 국토정보 Vol.38 No.2

        A method is suggested for an automatic extraction of kilometer posts using RoSSAV(Road Safety Survey and Analysis Vehicle) front cameras and for calculating their coordinates. Real image of national road is experimented to apply developed algorithms. The algorithms were also tested to HPV(Highway Photologging Vehicle) as well as RoSSAV. After candidates are selected in acquired images using the RGB value of a kilometer post, an object is extracted using its boundary line among candidates. RGB value sampled of kilometer post in HPV general national road image as well as RoSSAV for choosing the RGB value. And then, Establish threshold to the RGB value and chose candidates. And then, candidate boundary lines detected, and search boundary line's structure for kilometer post. For use IMU data, transform a pair of camera positions by ‘Boresight transformation'. Calculate 3-dimension coordinate of kilometer post by space intersection method that using central point of kilometer post and GPS․IMU data. Developed algorithms by this study could be use efficient tool for manage and calculate position of kilometer posts.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 중인 도로안전성조사분석차량의 전방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거리표(도로표지판)를 자동 추출하고 3차원 좌표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하 였다. 특히 개발한 알고리즘의 적용 및 실용화를 위해 일반국도의 영상을 이용하여 실험하 였고, 도로안전성조사분석차량 뿐만 아니라 다른 모바일매핑시스템(도로영상취득차량)에도 제안한 알고리즘을 실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칼라 CCD카메라의 영상을 이용하여 RGB색상정보로 후보를 선정하고, 윤곽선을 이용하여 거리표를 자동으로 추출하였다. 거리표의 RGB 색상 조도값(pixel value)의 영역을 결정하기 위하여 도로안전성조사분석차량 뿐만 아니라, 전국의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영상을 취득하는 도로영상취득차량의 영상에서 거리표에 대한 색상 조도값의 샘플링을 실시 하였다. 결정된 각 RGB 조도값에 일정 영역의 오차범위를 두어서, 그 영역내의 객체를 거리표 후보로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후보들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윤곽선의 기하구조를 검토하여 거리표를 확정하였다. 그리고 IMU기준으로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 두 대의 카메라의 위치를 Boresight 변환하였고, CCD 영상에서 자동으로 추출된 거리표의 중심점과 촬영 당시의 GPS/IMU자료를 이용하여 공간전방교회법으로 거리표의 3차원 좌표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거리표 자동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할 경우, 거리표의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거리표 관리 및 위치정보 획득에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모바일 스페이스와 철도 시스템의 결합을 통한 구 서울역사의 재생에 관한 연구

        방정은(Bang Jung-Eyn),김광수(Kim Kwang-Soo)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7 No.1

        Old Seoul Station is a important cultural property that has been lived with the people since 1925. Now, Station lost its primary role and currently closed. As a landmark of Seoul, Old Seoul Station reusing attract public attention because of its centripetal symbolism. Based on above, I suggest a new utilizable proposal that can recover missed bygone networks, and use spaces la over simultaneously. That is cultural, economic, personal interchange between Seoul and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new railway culture system with two kinds of mobile spaces. Like mobile nature of station, this is a idea that Seoul Station’s spaces expand to the whole country by mobile spaces. The platform and rails connected with Old Seoul Station make this process work. This proposal will vitalize exchange between communities and make Old Seoul Station stand center again.

      • 복합공간으로서의 모바일카페 인테리어 디자인

        정현원(Jung, Hyun-Won),정지희(Jung, Ji-He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5

        It has been changing as customers look, touch, and feel personally on merchandise cognition and purchase activity, known as experiential marketing space. Business started considering about an effective way to present and experience their goods and brands to consumers in variable methods of marketing communication. In this reason, companies plan a complex space where helps the visitors to manage their waiting time in more efficient and comfortable on mobile opening process with coffee services. This combines mobile communication market and cafe into a single design, in which operates bright modern, moderated refinement that can lead to a successful management and variability by utilization with being contrary to each othe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모바일 규범과 공공장소에서의 폰 사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세분화된 규범 유형과 자기통제력 요인을 중심으로

        강미선,임선영 한국소통학회 2017 한국소통학보 Vol.16 No.1

        이 연구는 모바일 규범의 관점에서 공적 공간에서 모바일 폰 이용행동을 분석했다. 규범은 고정불변한 것이 아닌, 사회적 맥락 속에서 수정, 변형된다는 관점에서, 새로운 기술은 새로운 규범을 탄생시킨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적 공간에서 모바일 폰 사용이 전통적 규범을 침해한다는 기존 연구관점과는 차별화된 문제의식을 가지고, 새롭게 등장한 모바일 규범의 구체적 윤곽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모바일 규범의 하위 유형을 주관적 폰규범, 장소별 폰규범(강의실, 극장, 식당, 대중교통, 도로), 폰 용도규범(통화규범 대 무소음규범)으로 세분화하여 대학생이 지각하는 모바일 규범의 내용과 행태를 관찰하고, 실제 상황에서 규범대로 행동하는지를 분석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모바일 규범 수준이 높을수록 공적 장소에서 폰 사용은 자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소에 따라서도 모바일 규범 수준은 차이가 컸고, 용도 면에서 무소음 용도의 폰 사용보다는 소음이 발생하는 통화에 대해 엄격한 규범의식을 보였다. 그러나 주관적 폰규범은 공적장소에서 폰 사용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성격 변인으로 도입한 자기통제력은 공적 장소에서 폰 사용행동과 상관성이 크게 나타나, 자기통제력이 강할수록 공적 장소에서 폰 사용은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attern of how to use mobile phone in public from the point of the social norm. The mobile norm as a kind of social norm is continually redefined and varied in social context. not fixed at all. In addition, new technologies have kept introducing new forms of media etiquette. So the research investigated the profile mobile norm that has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This study divided mobile norm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subjective phone norm, phone norm in five spaces(classroom, movie theater, restaurant, transportation, road) and phone norm in functions(calling use vs. silent use).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300 smart phone users of university students. Overall, the results indicated strong correlations of mobile norm with phone usage in public places. The lower level of mobile norm the students had, the more they used mobile phone. Respondents have the highest level of mobile norm in movie theater but they used frequently use phone in restaurant or transportations. The college students didn't use a phone call without inevitable purpose in public space. But the subjective phone norm was not related to phone usage in public. The self-control as a personality variable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phone usage in public, so that the stronger the self-control of the users was, the less they used phone in public.

      • KCI등재

        모바일 메신저의 시공간적 특징에 관한 연구 -카카오톡에서 발생하는 공간적 변이와 치환을 중심으로-

        전광실 ( Kwang Sil Je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모바일 메신저로서 카카오톡은 현대 사회의 커뮤니케이션 도구이자 하나의 공간으로서 비물리적인 시공간을 소비하는 현대 사회의 공간적 특징을 보인다. 즉 우리는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자신만의 시공간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그 공간에 접촉된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기존과 다른 형태의 시공간들을 경험하게 된다. 이런 특징을 갖는 카카오톡을 들뢰즈/가타리의 공간 개념 및 사건 개념으로 설명하자면 우선 카카오톡의 인터페이스는 구획된 그리드에 의한 닫힌 공간으로서 홈패인 공간적 특징을 갖는다. 이 공간은 현실 세계에 뿌리를 둔 수목적 구조와 정주민적 이동 특징을 가짐으로써 현실 세계의 확장 적 공간이라 하겠다. 그런데 이 홈패인 공간은 청각적 질료가 잠재된 말풍선이 공간에 접속된 사건으로 발생되면 유연한 공간으로 변이되는데 이때 말풍선은 매끄러움과 홈패임으로의 구멍 뚫림이다. 즉 카카오톡의 말풍선은 매끄러운 공간으로의 진입을 위한 홈패인 공간의 사건적 울림이자 반대로 매끄러운 공간에서의 내적 심정이나 교감 등을 표현할 수 있는 도구로서 이런 말풍선의 지속적인 발생은 공감각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인터페이스 공간을 유연하게 만든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호작용의 몰입도 및 강밀도가 높아지면 이 공간은 한 단계 높은 층위인 의미작용의 질적 공간으로 전이되는데 바로 이것이 국지적이고 촉지적인 공간으로서 대상을 마음으로 읽는 들뢰즈/가타리의 매끄러운 공간이다. 이렇게 모바일 메신저로서 카카오톡은 하나의 고정된 공간이 아니라 서로 다른 공간들이 공존하며 교차적 변이를 일으키는 복합공간으로서 비물리적인 시공간을 소비하는 현대사회의 공간적 사용 양태를 확인 할 수 있는 사례라 하겠다. Kakao Talk, the most popular mobile messenger in South Korea, has spatial feature to consume non-physical space time, as a means of communication and a space in the modern society. In other words, not only do people form their own space time, but also have an experience on different types of spaces through diverse events contacted to the space. In the context of the Delueze / Guattari’s concept of space and event, with the features above, the interface of Kakao Talk has a spatial feature as striated space which is closed by divided grids. This space is an expanded space, which have features of tree-type structure and settler-like movement. When a text balloon in which the acoustic matter is latent occurs as an event, this striated space becomes transformed the smooth space. In this moment, the text balloons function as hole into smoothness and striation. The text balloon of Kakao Talk can be regarded as an event echo of the striated space for entering into the smooth space, and a tool for expressing feelings and communion in the smooth space. The continuous occurrence of the text balloon make the interface space smooth through synesthetic communication. Also, when the engagement and density of interaction increase, the space is shifted to the qualitative space of meaning, the upper level of space. This is the smooth space of Delueze / Guattari as local and tactile space, where a subject is read with minds. In this regard, Kakao Talk, the mobile messenger, is a complex space where different spaces coexist and make crossover changes one another, and can be regarded as an example shows an aspect of using non-physical space time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사회적 시공간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와 사용자 가치 분석 -모바일 앱 사용 사례를 중심으로-

        박수이(주저자) ( Su E Par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2 No.-

        모바일 사용자는 다양한 시공간적 환경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한다. 이러한 콘텐츠는 어떠한 시공간에서 사용되는가에 따라 다른 사용자 가치를 제공한다. 본연구는 사회적 시간과 공간 맥락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 종류와 이에 따른 사용자 가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사회적 시간은 여가 시간과 업무 시간, 사회적 공간은사적 공간과 공적 공간을 중심으로 이에 따른 사용자 가치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사용자를 대상으로 관찰 연구와 개인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분석과 근거 이론 분석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사회적 시간측면에서 여가 시간에는 의사소통콘텐츠가, 업무 시간에는 정보기반콘텐츠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에 대한 사용자 가치의 분석 결과, 의사소통 기반과 기능 기반 콘텐츠의 기능적 가치는 여가 및 업무 시간에 모두 소구되고, 감성적, 관계적 가치는 여가 시간에만 소구되었다. 사회적공간 측면에서 사적 공간에서는 오락기반 콘텐츠가, 공적 공간에서는 소통기반 콘텐츠의 사용이 높게 나타났다. 의사 소통기반 콘텐츠는 사적 및 공적 공간 모두 관계적 가치를 높이 소구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기능적 가치의 경우 공적 공간에서 주로 소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bile contents provide different user``s value depending on where and when those are us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e analysis of mobile contents in relation to use contexts and user values, expecially social contexts. Those are consist of social time and space context. To collect user data, we have conducted observation research. Also we accomplished individual interview. As the result, 4 kinds of mobile contents came up with 683 use case, which were based on communication, information, entertainment, and function. In terms of the social time, contents based on communication were used most frequently in free time. In terms of the social space context, contents based on communication were used most frequently at private and public spaces. Functional values served in free and working time. Also Relational Value served private and public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