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능력 평가로서의 말하기 평가 내용 연구 - 한국어 말하기 평가 개발을 위한 국내외 말하기 평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원미진 ( Won Mi-jin ),황지유 ( Hwang Ji-you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8 어문론총 Vol.75 No.-

        본고는 언어 능력 평가로서 말하기 평가가 갖춰야 하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선행하는 외국어 능력시험의 말하기 평가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능력시험 말하기 평가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 연구이다. 본고에서는 영어, 중국어, 일본어 말하기 평가에서 제시되고 있는 평가 방법의 외적인 구성 형식과 내적인 측정 구인 및 채점 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시험 시간과 평가 문항의 유형을 검토하였고, 채점의 구인과 채점 척도 및 방법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말하기 평가 개발에 있어 고려해야 하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검토는 그간의 연구들이 이론적인 논의와 교실 현장에서의 말하기 능력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었다는 점에 비추어 실용적이고 타당도 높은 말하기 평가 개발을 위해 검토가 필요하다는 전제에서 이루어졌다. 한국어능력시험에서 말하기 평가가 개발될 때 갖춰야 하는 평가로서의 내적, 외적 타당도를 갖추기 위해서는 다른 외국어 시험의 말하기 평가와 비교하여 크게 다르지 않은 범위에서 한국어능력시험의 목적과 한국어의 언어 체계, 그리고 실제 활용가능한 실용성의 측면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본고의 결과는 다양한 말하기 평가의 검토를 통해 한국어 말하기 평가 개발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 평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various foreign language competence tests to guide the development of a Korean speaking test. Reviewing several other language competence tests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a speaking test. In this study, many speaking proficiency tests are analyzed in two parts: external forms and internal contents. External forms include the length of the test and the types of questions, and internal contents include the constructs of the test and scoring.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speaking tests at Korea and abroad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some points to consider when developing the Korean speaking test. These points are considered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practical and valid Korean speaking test. This is because the Korean speaking test should be developed similarly and be comparable to other foreign language speaking tests in order to have validity, and this development should also consider the Korean language system and the test’s practicality. This study suggests several points to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a Korean speaking test by reviewing various speaking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valuable for basic research in Korean speaking test development.

      • 초등학교 듣기·말하기 평가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성규 국어교과교육학회 2008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5 No.-

        인간의 의사소통 방법 중 듣기와 말하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또한 듣기와 말하기는 다른 언어 능력의 발달에 기여하고,학업 성취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듣기와 말하기 평가에 대한 관심은 교육현장에서 비교적 낮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듣기·말하기 평가 방향과 목표가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를 위해 먼저 듣기와 말하기의 능력과 그에 따른 지도 내용을 살펴보고,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평가 요소를 추출하고자 한다.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듣기·말하기 평가의 실태를 분석한 후 학생들의 듣기와 말하기의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 분석 과정과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제약이 된다.첫째,본 연구를 위한 듣기·말하기 평가 관련 자료 수집은 초등학교 10곳을 무작위 표집하였다.둘째,듣기·말하기 평가 방법에 대한 분석은 5학년 2학기 중간고사 평가지,수행평가 기준안, 교사의 설문을 대상으로 하였다.셋째,교사의 설문을 통한 자료 수집은 5학년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중간평가지의 분석 결과 전체 10개 학교 중에서 이원목적 분류표를 작성한 학교는 7개 학교이고,내용영역과 행동영역을 모두 작성한 학교는 2개 학교뿐이었다. 또한 전체 문항 중 듣기와 말하기 비율은 18%로, 전체 151 문항 중 듣기·말하기가 차지하는 문항 수는 27개뿐이었다.또한 평가 요소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문제도 전체 27문항 중 8문항(30%)이나 되었다. 평가 요소에 포함되지 않은 문항을 제외한 나머지 문항으로 문항 형식을 분석한 결과 전체 19개 문항 중 선택형 문항은 12문항(63%),서답형 문항은 7문항(37%)로,주로 선택형 문항이 주를 이루고 있다. 수행평가 기준안을 타당도와 신뢰도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타당도면에서 교육과정상의 목표,대단원 학습 목표에 적합한 평가 요소로 생각된다.하지만 신뢰도면에서 살펴보면 한 번의 수행평가를 가지고 학생의 듣기와 말하기 능력을 제대로 평가했다고 보기는 힘들 것 같다.또한 수행평가의 채점에 있어 교사 1인이 평가함으로 인해 채점의 신뢰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설문을 분석한 결과 주로 사용하는 평가 방식으로 면접과 구술평가, 그리고 지필평가를 뽑고 있다.하지만 지필평가로는 학생들의 듣기와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는 데에는 많은 제한점이 따른다.또한 교사 위주의 평가 방식을 선호하고,학생의 자기 평가나 학생간의 상호 평가는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듣기·말하기 영역의 평가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평가가 되기 위해서는 직접 평가가 되어야 한다.하지만 교육 현장의 상황을 고려할 때 간접 평가인 지필평가와 직접 평가를 병행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지필 평가로 듣기·말하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선택형 문항 보다는 서답형 문항을 보다 많이 출제해야 한다.또한 다양한 평가 방식을 선호하되 객관성을 마련해야 한다.이를 위해서는 평가 기준에 대한 객관성을 통해 평가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또한 하나의 능력을 한 번이 아닌 두 번 이상 측정함으로써 평가의 신뢰성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생태학적 말하기 평가를 위한 시론

        서현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9 No.-

        생태학적 관점은 역동적인 상호작용의 과정과 상황맥락을 반영하는 말하기 평가에 유용하다. 생태학적 말하기 평가에서 교수·학습의 과정과 평가는 서로 융합하며 순환성을 갖는다. 또한 실제적 말하기 상황을 포함하고, 교실의 고유한 말하기 문화를 반영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생태학적 관점의 말하기 평가가 온전히 실현되기 위한 중요한 전제 조건으로 말하기 수행 양상의 자료화와 전문가로서 교사의 역할을 들 수 있다. 말하기 수행 양상은 서술식 점수 채점표(Rubric)와 학생 수행의 예시, 즉 '본보기(Exampler)'의 설정을 통해 구체화되고 정교화가 가능하다. 생태학적 말하기 평가를 위한 전문가로서 교사의 역할은 교수·학습 과정이 이루어지는 교실 환경을 실제적인 국어사용의 생태계로 창출해 내는 것이다. 또한 교사는 학생들과 상호 작용할 때 의사소통 태도와 기능의 모범이 되어야 하며, 자연스러운 국어사용의 생태계가 조성되는 교실 분위기를 형성해야 한다. 이때, 교사는 생태계로서 국어사용의 교실 환경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얻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학생을 둘러싼 다양한 문식성 환경과 말하기 수행 능력의 발달 단계는 하나의 준거 체계로써 연구되고, 자세하게 공유되어야 한다. 그것이 개별 학급, 개별 학생의 말하기 능력을 살펴볼 수 있는 기준이 되며, 교사가 자신의 학급에 맞는 생태학적 평가 준거를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생태학적 말하기 평가가 하루 빨리 교육 현장에 자리 잡을 때, 학생의 말하기 수행 현상에 대한 이해와 구체적인 정보 수집이 좀 더 수월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cological aspect in language assessment is available to speaking assessment, reflect dynamic process and situational context. In the ecological speaking assessment,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are in harmony and are circulated. And It create real situation of speaking and culture of a language of korean language class. A condition precedent to do the ecological speaking assessment is a data about speaking performance of student and the role of teacher. An aspect of speaking performance is materialized to ‘Rubric’ and ‘Exampler’. The role of teacher for Ecological speaking assessment is to change mode of the speaking class into real oral language context. A korean teacher should be the model of a good speaker who have good communication skill and attitude, and made classroom liberal. And he or she should have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ecosystem of speaking class. It should be studied and shared to the diversity of speaking surroundings of student and the level of their speaking abilities. That can give a standard to detail personal level, and help teacher to establish their standard. As we establish the ecological speaking assessment in classroom, it is get more easily that a understand of student's speaking performance and it's data.

      • KCI등재

        한국어 말하기 시험의 구인과 과업에 관한 연구 - 교실 평가를 중심으로

        지현숙 ( Jee¸ Hyunsuk ),이혜란 ( Lee¸ Hyera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3

        교실 말하기 평가는, 특정한 기간 동안 말하기 능력을 숙달하기 위하여 어떻게 교수-학습했는가와 어떠한 말하기 능력을 성취하기 위해 노력했는가가 구체적으로 담기기 때문에 중요하며, 이후의 한국어 교수-학습에 강한 영향력을 끼치기 때문에 논의할 가치가 크다. 이 논문은 그간 외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진 말하기 평가 연구와 대규모 말하기 시험 체계를 검토한 후 한국어 말하기 시험의 ‘구인 및 과업’을 중심으로 논쟁점을 추출하고 기술하였다. 또한, 팬데믹 시기 동안 한국어 교실의 말하기 평가는 어떻게 수행되고 있는지와 한국어 교수자들은 말하기 교수-학습과 평가에 있어서 어떠한 문제 상황에 처해있는지도 조사하여 해결책을 제안하였다. 구인과 과업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수행되어온 한국어 말하기 평가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시험 개발자들은 말하기 시험의 과업 난이도를 다소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둘째, 학문 목적 학습자 대상의 시험 과업은 난이도도 조절되어야 하지만 ‘실제성’의 부면에서도 비판의 여지가 있다. 셋째,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구인 간의 위계화가 성글고 연관성이 부족하다. 이 연구의 일차적인 의의는 지금까지 다소 미진한 한국어 교실 평가 연구에 일조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한국어 교수자가 겪고 있는 팬데믹 시대의 교육 환경적 어려움과 말하기 평가 수행의 난점들을 기술하고 해결 방향을 제안함으로써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질적 향상에 기여한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extracted and described controversial points focusing on the 'constructions and tasks' of the Korean speaking test after reviewing the speaking assessment research and large-scale speaking test system that have been performed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during the pandemic, we investigated how the speaking assessment of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is being performed and what kind of problems Korean teachers face in speaking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and suggested solutions.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Korean speaking assessment performed so far focusing on constructs and task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ask difficulty of the speaking test is confusing by the test developer. Second, the difficulty of the test task for academic learners should be adjusted, there is also room for criticism in terms of ‘authenticity’. Third, the hierarchy among constructs for assessing speaking ability is sparse and there is a lack of correlation. The primary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its contribution to the assessment of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which has so far been rather inexperienced.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it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quality of Korean speaking assessment by describ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pandemic era and difficulties in performing speaking assessment and suggesting solutions.

      • KCI등재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영어 듣기‧말하기 평가도구의 현장적용 가능성 연구

        박재희(Park, Jae-hee),정현성(Chung, Hyuns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본 연구는 2015 개정교육과정 초등 영어 5~6학년군 듣기 말하기 성취기준을 교수·학습 및 평가의 준거로 반영한 평가도구를 개발한 후, 현장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와 학생설문을 실시하였다. 교사와 학생설문은 전국의 초등영어를 지도하고 있는 119명의 교사와 2017년 현재 G광역시 W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6학년 학생들 2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교사 및 학생 설문조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듣기 및 말하기 평가과업 개발 지침을 만들어 적용하였다. 첫째, 듣기평가 과업은 차시별 교수학습활동 과정 중 형성평가로 운영하며, 후속하는 표현활동의 토대가 되도록 구안한다. 둘째, 듣기는 이해기능의 특성상, 상중하로 이해한 정도에 따라 평가한다. 셋째, 평가 실행에 어려움이 많은 말하기는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외에, 평가기준의 상, 중, 하를 평정하기 위한 별도의 말하기 평가 루브릭을 제작한다. 넷째, 말하기 평가 루브릭은 말하기 채점기준에 포함되어 활용된다. 그 다음 듣기말하기 성취기준의 구체화 명료화 과정을 거쳤으며 명료화과정을 거친 듣기말하기 성취기준과 교사학생설문결과를 토대로 9차시 분의 평가과제를 개발하였다. 각 평가과제는 목표 및 채점기준, 입력자료, 수행과제, 활동절차,수행결과물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9차시분의 평가과제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두 차례에 걸쳐, 평가내용 타당도와 채점기준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평가과제 및 채점기준에 대한 타당도를 1차 검증을 받은 결과, 듣기·말하기 통합과제는 부자연스럽고 지나친 인지적 능력에 치우쳤으며, 채점기준이 불명확하고 너무 복잡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를 수정하여 듣기와 말하기가 자연스럽게 연계되도록 하였고, 듣기와 말하기 채점기준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수정하였다. 2차 검증을 받은 결과, 높은 점수로 평가과제의 타당도를 확보하고 수업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ssessment too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stening and speaking competence based on 2015 revised English curriculum and evaluate the validity and practicality of them in the classroom. For this purpose, survey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119 English teachers nationwide and 207 fifth and sixth graders in G Metropolitan Cit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listening and speaking assessment tasks were developed. First, the 5th and 6th graders’ listening and speaking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curriculum were analyzed. All fourteen achievements standards were evaluated in terms of curriculum conformity, clarity and practicality. Two of the standards needed to be revised, while the other standards were proved to be valid and practical. All fourteen standards were applied to developing listening and speaking assessment tasks. Each task consists of goals, input, activity and procedure, performance task, test criterion, and outcomes. Next, five experts measured these tasks on their content validity and criteria validity.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he assessment tasks had low validity in their task and criteria. Integration of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was not authentic and communicative. The results led us to revise the tasks in three ways: First, listening and speaking have been integrated gradually and naturally. Second, the listening and speaking criteria have been made simple for the ease of administration. Third, the level descriptors of listening and speaking assessment have been clearly specified for the sake of practicality in the classroom.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의 쟁점과 과제

        민병곤,이성준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6 국어교육연구 Vol.38 No.-

        This paper examines recent approaches to developing speaking tests and in particular the testing of Korean speaking for academic purposes. The first approach is concerned with testing theory of the language for specific purposes (LSP) and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KAP) as a means of verifying the claims for speaking test development. The second approach is analyzing the validation procedures of TOEFL and IELTS as representative academic speaking tests and relating them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speaking tests for academic purposes. The article argues that the development of Korean speaking tests for academic purposes is found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speaking tests, construct setting, item writing, connecting testing method and validation, scoring rubric and rating scale development, and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washback and impact. From this view point, developing Korean speaking tests for academic purposes can be justified in terms of practical needs analysis, construct validity projects, circumstantial specification, and rater effect analysis, and it is suggested that continuous concurrent and predictive validation research be conducted to improve speaking tests.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도구의 개발과 관련한 주요 쟁점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학문 목적 말하기 평가를 구성하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특수 목적 언어 평가 연구와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육, 그리고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에 관한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대표적인 국외 학문 목적 말하기 시험을 실시하고 있는 TOEFL과 IELTS에서 말하기 시험이 개발되어 현재의 모습으로 사용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의 쟁점으로 제시한 것은 평가의 개념 정립과 구인 설정, 평가 과제 개발, 평가 방법 선택 및 타당화, 채점과 척도 개발, 교육적 환류와 영향력이다. 끝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의 개발을 위한 앞으로의 과제로서 개발 과정에서 응시 목적을 고려하여 요구 분석을 실시하고, 구인타당도 확보와 면밀한 평가 계획서 작성, 그리고 채점자 분석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예측타당도와 공인타당도 연구를 통해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의 안정화와 품질 개선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성인화자의 말하기 평가 방법 ; 의사소통과정으로서의 말하기 평가 -대규모 성인 말하기 평가 시스템을 중심으로-

        김평원 ( Pyoung Won Kim ) 한국화법학회 2007 화법연구 Vol.11 No.-

        본 연구는 국어 말하기 평가를 ``텍스트를 수용 생산하는 역동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파악하고 평가자(rater) 간의 편차를 오차(error)로 규정하는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평가 상황 자체를 하나의 피드백 정보로 제공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피험자가 문항 텍스트를 접하는 과정과 이를 바탕으로 반응 텍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다시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은 언어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일종의 커뮤니케이션에 해당 한다.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말하기 평가는 수험자를 말하기 능력에 따라 줄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수험자에게 자신의 말하기 능력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평가 본질에 충실한 것이다. 따라서 말하기 평가 연구 역시 평가 도구의 제작이나 결과의 해석과 관련된 기존의 측정 중심의 논의에서 더 나아가 피드백 방법과 교육적 활용에 대한 모색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평가 기관이 주최하는 대단위 말하기 평가의 목적이 직무와 관련된 말하기 능력을 공신력 있는 평가 시스템에 의해 공증해주는 것이라면 평가 과제와 점수만을 제공하는 기존의 방식을 넘어 평가 결과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그러한 결과가 나왔는지를 모두 공개하고 수험자가 말하는 상황 맥락 자체를 중요한 피드백으로 제공하는 평가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The essence of an assessment is not ranking students in order, but providing them with information. It is true that test results are used as a method of having students graded. However education should not be the means to teach the techniques of getting good marks. The grade to rank the testee is not what the testee needs to get concerning the speaking test. He has to be given useful information to improve speaking skills, which is essential in an assessment. Speaking test is complicated process in which a testee produces a new form of spoken text from a given text. The testee reads the question and he works out a strategy. Then the market gives him a grade. That process becomes the communication by means of a language. Therefore the condition in an assessment should be considered as seriously as measuring speaking skills.

      • 자기평가 활동이 초등학생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경은,김정환 한국교원대학교교육연구원 2006 敎員敎育 Vol.22 No.3

        본 연구는 자기평가 활동이 초등학생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첫째, 자기평가 활동이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자기평가 활동이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 수준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K시 소재 4학년 2개 학급 6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처치는 본 연구자가 4주간 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에 투입한 자기평가 도구는 자기점검식 평정방법과 학습 일지 방법을 혼합하여 본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말하기 능력 측정 도구로는 말하기 능력 4가지 하위요소에 대해 3점 척도의 자기점검 평정표로 제작한 자기평가지로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말하기 능력은 교사 채점자 3인이 말하기 내용선정, 말하기 내용조직, 표현 및 전달, 자신감 있게 말하는 태도의 각 요소에 대하여 3점 척도의 분석적 평가를 한 후 그 결과를 평균하였다. 말하기 능력은 실험 전인 사전검사와 8회기 자기평가를 적용한 정보를 전달하는 말하기 실험 후의 사후검사, 그리고 4주 후의 지연검사를 통해 측정되었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첫째, 자기평가 활동이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켰으나 지속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자기평가는 말하기 능력 상, 중, 하위 집단간 비교에서 상위집단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켰으나 지속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평가 활동이 장기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교육적 대안이 될 수 있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self-assessment on speaking abil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 were as follows ; (1) Self-assessment affect speaking ability? (2) Self-assessment show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speaking ability?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is research. Sixty two 4th grade children(actually two classes) were selected for performing experiment. One group was the self-assessment group(n=31) and the other was the control group(n=31). These treatments administered 8 times for 4 weeks in the classroom situation. It took for 40 minutes to complete each experiments. The used instruments were speaking ability test which was scored by three teacher assessor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btained from these tests were analysed with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COVA, MANOVA, MANCOVA.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1) Self-assessment wa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speaking ability. But the effect of self-assessment did not continue. (2) Self-assessment showed the signifiant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speaking ability. The self-assessment improved speaking ability more positively in high level class than medium level class and low level class. But the effect of self-assessment in high level class did not continue. Consequently, Self-assessment made positive influences on increasing speaking ability. But it is required for improving speaking ability to need the more time training.

      • KCI등재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듣기·말하기 평가의 변천 과정 검토

        박종훈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0 No.-

        In this article, the transition aspects of oral communication evaluation was reviewed through investigating elementary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acher’s guidebooks for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main finding is as follows: 1) Segmented evaluations changed into integrated ones. 2) The cognitive and process-centered access has continued to be dominant. 3) The evaluations has gained the differentiation of oral communication area. 4) The available evaluation tools have been augmented. 5) The authentic help for teachers expanded. 6) The abstractness of discussion changed into the concreteness. 7) The statistic methods has been introduced. 8) Researches on massive performance assessment started recently. We suggests as follows: 1) We need to devise integral evaluation for listening and speaking. 2) We need to study about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듣기·말하기 영역 평가 및 이와 관련된 연구의 변천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제시하면, 1) 분절적 평가에서 통합적 평가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어 왔다. 2) 평가중점과 관련해서는 인지적/과정 중심적 접근이 여전히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3) 듣기·말하기 영역의 차별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 왔다. 4) 활용 가능한평가도구의 종류가 확대되었다. 5) 교사에게 실질적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발전되어 왔다. 6) 듣기·말하기 평가에 대한 일반적 논의에서 구체적인 담화 유형이나상황에 따른 평가에 대한 논의로 범위가 확장되어 왔다. 7) 이론과 사변에 의한평가 방안 제시에서 나아가 통계적 방법을 활용한 평가 방법의 검증이나 정교화에이르기까지 연구 방법적 측면의 확대가 이루어졌다. 8) 최근에는 듣기·말하기능력에 대한 대규모 직접 평가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초등 듣기·말하기 평가의 개선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1) 듣기·말하기의 상호교섭적 특성을 평가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듣기와말하기의 통합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듣기·말하기 평가의 이론과 실천간의 괴리를 유발하는 외적 요인 및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중학교 듣기·말하기 총괄평가에 대한 비판적 고찰

        유옥경 국어교과교육학회 2008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5 No.-

        이 글은 중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듣기·말하기의 총괄평가에 대한 실태를 살펴보고 그 비판적 고찰을 하고자 하였다. 국어과 듣기·말하기 평가는 직접 평가 및 수행평가를 지향하는 것이 학생의 능력 평가에 유용하나 실제 중학교 국어과 평가에서 총괄평가의 반영 비율이 전체의 70%로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고에서는 중학교 국어과 듣기·말하기 영역 총괄평가가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피고자 하였다. 광주광역시 소재 일부 중학교의 듣기·말하기 총괄평가의 이원목적 분류표와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해 문항의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학교 3학년 총괄평가 4회 중,1년 동안 단 한 문항을 듣기·말하기 영역에서 출제는 등 학교 현장에서 듣기·말하기 관련 문항 출제가 적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이는 학교 현장의 사정에 따라 「생활 국어」는 단원을 선택적으로 가르칠 때,특정 영역에 편중하여 선택·평가한 데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었다. 간혹 총괄평가에 '듣기·말하기'영역 문항이 출제되었으나,'듣기·말하기'영역 평가라기보다 읽기 영역 평가로 볼 수 있는 문제들이 출제되었다. 일상 언어생활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듣기·말하기 영역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도 비중 있게 관련 교육이 이루어지며 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등을 신장시킬 수 있는 해당 영역에 적합한 평가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더불어 관련 총괄평가도 체계적이고 분석적이며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앞으로 이와 관련한 논의가 다양해져서 전통적 평가에서보다 교사의 시간과 노력은 최소화하고 채점 기준과 평가 기준에 신뢰성을 확보하며 기존의 선택형 문항에서 측정이 불가능했던 능력의 평가도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