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문화 : 경성제국대학 안의 "동양사학" - 학문제도,문화사적 측면에서 -

        박광현 ( Kwang Hyeon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5 韓國思想과 文化 Vol.31 No.-

        경성제국대학 출신의 조선인 동양사학 전공자의 의식 속에 동양사학은 "국사학"이라는 권력과 잠재적 "국사학"=조선사학이라는 상상 사이의 중간지점에 있었다. 그들이 식민지 학문의 중추 역할을 맡았던 경성제대 출신이었기 때문에, 그런 학문의 권력 문제와 관련한 고민을 더욱 심각하게 받아들였는지 모른다. 그들은 "동양사학" 출신자라는 학문적 동질감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에, 다른 학과와 달리 자신들만의 학술공간을 만들지도 못했다. 그와 같은 동양사학 전공자로서의 정체성은 그들의 독립 이후 활동과 지위에서도 잘 나타난다. 그들은 동양사학자의 지위에서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건국과 함께 대학과 문부 행정에서 오히려 ``국사학=한국사학`` 건설에 깊이 관여하게 된다. 1970년대에 들어서는 동양사연구자들 사이에서 동양사를 "조선 및 인접 지역을 대상으로 했던 이른바 조선학의 연구전통" 위에 "국사의 외연이나 관계사의 일환"으로 여기는 태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비판하는 결과에 이른다. 그런 자기반성의 중심에는 이 대학의 출신자들이 있었다. 그들은 경성제대 사학과의 전공편성과 관련한 정치성의 자장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 존재였다. 따라서 그들의 존재는 한국의 동양사학 성립 과정에서 상징적이라고 할 것이다. When founded, Kyungsung(Keizo) Imperial University set it a goal to define the distinctive orientalism of Joseon based on cultural relationships with Japan and China. This is explained well by how Historical Studies department was organized. There were three majors including National History(that is Japanese History), Joseon History and Oriental History in that department. This was framed through modeling three major system in Imperial University in Japan while Joseon History major was included with World History left out. This disciplinary organization reflects how they tried to make this university as the supreme one in ``Japan empire`` as well as the center of ``oriental cultural studies``. Among three majors, Oriental History wa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one. It is notable that the consciousness of Korean students majoring in Oriental History was posited in a conflicting intermediate terrain between ``Japan History`` as power and ``Korean History`` as potential. They couldn`t help but doubt that their education and work were related to imperial power as the Kyungsung univers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lonial studies. Obviously, the Korean students didn`t identified themselves with ``Oriental History`` in the university so that they couldn`t harbour their ambition of enlarging their work. Their unique identities as Oriental History scholars had a particular effect on the position that they occupied after the liberation of Joseon. They had instrumental in setting up National History(Korean History) as a new discipline under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ince then, they continued to play important roles in that field. However, during 1970s the disciplinary scheme ran into the criticism from many researchers on the ground that it was narrowing Oriental History as a field by confining it to only "Korean History and other related countries` histories with it" and it came from colonial educational system, especially in 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Several researchers in favour of this criticism were in fact graduates of this university. And they were even right in the center of this criticism. In sum, they couldn`t stay away from the politics related with the disciplinary system coined in that university. Their positions stands as symbolic ones on the process of reestablishing Oriental History as a disciplinary in Korea.

      • KCI등재

        東洋美術史學의 형성과정에서 역사관ㆍ문화적 가치관

        후지하라 사다오(藤原貞郞),안재원(번역자) 한국미술연구소 2005 美術史論壇 Vol.- No.20

        20세기 초에 일본미술사를 확립한 일본의 미술사가는 자국의 미술사를 기반으로 하여 문화적 판도를 확장하고, 한국ㆍ중국의 미술을 포함한 동양미술사를 구상한다. 거의 같은 시기에 歐美의 오리엔탈리스트와 미술사가는 새롭게 개시하여 성과를 올린 고대중국의 고고학을 중심으로 한 동양미술사를 구상하고 있었다. 일본은 주로 전통적으로 전해온 중국의 서화골동을 대상으로 한 동양미술사를 인습적인 미적 가치관에 따라서 형성하려고 하였다. 한편 구미 각국은 고고학적 지식에 의해 새롭게 발견한 미술품을 대상으로 형식학을 방법론적 중심으로 한 양식사로서의 동양미술사를 지향하였다. 고유의 문화사적 배경을 가지고 서화골동을 애호 하는 동양적 가치관의 표상으로서의 미술사와 서양의 근대적 학문으로서의 미술사학은 동양 미술사 구상의 기원에서 일본과 구미 간의 역사관과 방법론에 대한 알력을 품게 되었다. 중국미술 연구가 국제적인 확장을 보인 1920년대부터 1930년대에 걸쳐서 동양미술사 편찬의 기원에 있어서의 일본과 구미의 알력은 서로 경합하고 반발하고 또 서로 이용하면서 복합적인 단층을 잇달아 만들어 갔다. 일본의 입장에서 보면 고고학적 고대를 고전적 규범으로 하는 서양의 미술사 이념은 皇統의 일관성을 전제로 하는 역사관과는 양립할 수 없으므로 불가피하게 고대의 고고학과 중세 이후의 서화 중심의 미술사관을 분리시키게 되었다. 구미와의 경합 내지 반발로부터 동양주의의 발로로서 특권적 지위를 부여받은 서화 연구가 미술사의 중심을 노리게 되는 한편, 구미가 전개한 고고학적 성과를 일본의 미술사관과 접촉할 수 없게 하여, 구미를 통한 연구자들에게 학문적 열등감을 품게 하였다. 실제 구미의 고고학ㆍ미술사는 중국의 고대로 눈을 뜨게 하고, 양식분석에 의한 많은 공헌을 가져왔다. 드디어 그 성과를 배경으로 해서 1930년대에는 일본의 단독 무대였던 회화사 연구에도 구미의 미술사가가 참가한다. 고대 그리스 연구의 성과를 중국 고고학에 응용한 것처럼 르네상스 회화의 연구의 성과를 동양의 회화에도 응용하려고 한 것이다. 체계적인 방법론을 기본으로 한 구미의 양식사관은 일본이 괴리시킨 고대미술과 중세미술을 일관된 역사적 관점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 역사관을 배경으로 일본의 동양미술사와 미적 가치관을 비판하는 것도 나타난다. 동양미술사학의 기원과 초창기에 관찰된 일본과 구미의 단층은 구미의 학문적 미술사의 우수성을 보여 준 것도, 일본(중심)적 미술사관의 (정치적) 오류를 보여 준 것도 아니며, 동양 미술을 둘러싼 미적 가치관의 소유권과 학문적 패권을 건 경합의 소산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아마 지금도 잔존하는 이 단층을 우리들은 안이하게 해소 내지 와해시키는 방법을 찾기보다는 국제적 경합 속에서 국경도 학문적 범주도 넘어서면서 분단화된 복합적인 20세기의 귀중한 역사적 현상으로서 다루고 싶었다. 국제화되고 국민주의가 대두한 오늘날, 그리고 학문의 보편주의도 인습적인 미적 가치관도 신뢰할 수 없게 된 오늘날, 동양미술사라는 학문사를 다시 묻는 것은 매우 의의 있는 일일 것이다. After having established the basis of Japanese art history in the early 20th century, Japanese art historians attempted to expand the domain of their art history, envisaging the creation of the Far Eastern art history including Chinese art and Korean art. In almost the same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Western orientalists and art historians started shaping another Far Eastern art history with the archeology of ancient China as its axis. The archeology of ancient China was begun in this period and was bearing fruit. The Western countries focused on ancient Chinese archeological objects discovered by their archeological survey in situ, envisaging the Far Eastern art history as a history of style using the formal analysis as a methodological base, whereas Japan tried to create the Far Eastern art history in accordance with Japanese conventional esthetic and cultural values, giving high priority to the Medieval Chinese pictures. Thus, at the dawn of the Far Eastern art history, there brought about the gap in historical perspectives as well as in methodology between the Oriental art historiography conceived by Japan and that projected by the Western countries. From the 1920s to 1930s, in the period when studies on Chinese art had been internationally developed, the conflict between Japan and the Western countries sequentially produce complex faults while they were competing, opposing and exploiting each other. From the viewpoint of Japan, the ideal of the Occidental art history, which regarded the archeological ancient era as a classical model, was incompatible with the Japanese historical perspectives considering the unbroken imperial line as the premise, inevitably isolating the prehistoric archeology from the art history mainly centering on the calligraphic works and paintings after medieval times. The studies on calligraphic works and paintings, which enjoyed a privileged position as the evidences of the Asia-centrism because of the rivalry with and the opposition to the Occident, were dominant in the art historiography. On the other hand, even Japanese art historians familiar with the Occidental culture failed to connect the archeological results developed by the Western countries to the Japanese art historical perspectives, and as a result, suffered from an academic inferiority complex. In fact, the archeology and art history established by the Western, focusing on ancient China,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art history. Then, in the 1930s, with the results of studies on ancient China, the Occidental art historians started taking up the studies on Chinese painting history that had been exclusively dominated by Japan until then. They wanted to apply the results of Renaissance painting studies to the Far Eastern paintings as they had applied the results of their studies on ancient Greece to the Chinese archeology. The occidental stylistic historical view based on a systematic methodology allowed the ancient art and me medieval art to be successfully put on the same historical perspective line, which had been isolated by Japan. From such a historical view, some Western art historians began criticizing the Far Eastern art history and the esthetic value established by Japan. The faults between japan and the Occident, observed in the origin and pioneer days of the Far Eastern Art historiography, exhibit neither the superiority of the Occidental academic art history nor the (political) erroneousness in japan (-centric) art historical perspectives; they should be regarded as the results of competition for the propriety light for an esthetic value and academic hegemony in the field of Far Eastern art. We are going to deal with the faults, possibly still existing even today, as a precious historical phenomenon in the 20th century in international conflicts rather than as a problem to be solved or settled. In this age of internationalization with the contradictory emergency of nationalism, the age w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동양사학의 계보와 ‘실증’주의의 스펙트럼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의 ‘만선사(滿鮮史)’ 연구를 중심으로-

        박준형 ( Park Junhyung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8 한국문화연구 Vol.34 No.-

        본 논문은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의 ‘만선사’ 연구를 중심으로 근대 일본의 동양사학의 계보를 재검토한 것이다. ‘전후 조선사학’을 이끈하타다 다카시는 전전의 동양사학, 특히 ‘만선사’를 인간 부재의 역사학이라 비판하고, 나아가 실증에만 천착하는 순수 학문의 존립 가능성에까지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때 대표적 인물 중 하나로 꼽았던 것이 자신의 스승이기도 했던 이케우치 히로시이다. 이케우치를 중심으로 일본 동양사학의 계보를 작성해 보면, 그 시원은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와 루드비히 리스(Ludwig Riess)를 매개로 랑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 계보를 따라 근대 과학으로서의 ‘실증’주의가 일본에 수용되었는데, 시라토리는 랑케의 ‘실증’주의뿐만 아니라 그의 역사철학을 통해 천황제 국가 일본을 국민국가로 진화하는 역사적 존재로 자리매김하고자 했다. 시라토리는 학문에 있어서도 오로지 학문을 위해 탐구를 행하는 순수성뿐만 아니라 국가의 필요에 봉사할 수 있는 실효성을 강조했으며, 이러한 이중적 태도는 일본동양사학의 제2세대인 이케우치와 이나바 이와키치(稻葉岩吉)에게 각각 계승되었다. 즉 이나바는 정세적 요구에 응답하는 차원에서 학문을 수행하려했던 데 반해, 이케우치는 학문의 실효성 자리를 나름의 ‘합리주의’로 대체하면서 자신만의 ‘실증사학’을 발전시켜 나갔다. 하타다 다카시(旗田巍)는 이케우치의 ‘합리주의’를 “일종의 논리학”이라고 비판했으나, 이케우치를 떠나 만철에 입사하여 그가 담당했던 일 또한 실증을 위한 현지 조사였다. 이처럼 ‘실증’주의는 다양한 논의들과 결합하면서 폭 넓은 스펙트럼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실증’주의의 경계는 애매모호할 수밖에 없으며, 그 경계를 긋는 행위 자체가 사실은 정치적일 수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reviews the genealogy of Oriental History in modern Japan, focusing on Ikeuchi Hiroshi(池內宏)’s studies of Manchurian-Korean History (滿鮮史). Hatada Takashi(旗田巍) who led the study of Korean history in post-war Japan, criticized Oriental History which was studied during the pre-war era, especially the specialty of Manchurian-Korean History. Further, he questioned the academic integrity that strives only for actual, empirical proof. Incidentally, it was Takashi’s teacher, Ikeuchi Hiroshi, who he present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s. The origin of Japanese Oriental History’s genealogy centering on Ikeuchi Hiroshi can be traced back to the famous German historian, Leopold von Ranke, through the works of Ludwig Riess and Shiratori Kurakichi(白鳥倉吉). As is well recognized, historical factualism as a scientific approach entered Japan through this genealogical route. By using historical factualism, informed by von Ranke’s historical philosophy, Shiratori tried to position the Japanese Empire as an historical entity that evolved into a nation state. Even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Shiratori emphasized academic integrity in the study of history to meet the needs of the state in addition to study for purely academic purposes. Shiratori’s dual perspective was passed on to Ikeuchi and Inaba Iwakichi(稻葉岩吉), the second generation of Japanese Oriental History specialists. While Inaba attempted to pursue academic tasks within the context of the political situation, Ikeuchi developed his own factual history by repla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cademic approach with rationalism. Hatada criticized Ikeuchi’s rationalism as being closer to logic than history, but his work, when he joined the South Manchuria Railway Co., LTD(南滿洲鐵道株式會社), was a field survey comple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mpirical proof. In this way, historical factualism, which was combined with various discourses, formed a broad spectrum. Therefore, its boundaries were ambiguous, and the act of drawing those boundaries could be based on political factors.

      • KCI등재

        특집 : 국민사상과 제국 -1930년대 쓰다 소키치(津田左右吉)의 중국,아시아론-

        이석원 ( Seok Won Lee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科學 Vol.0 No.54

        20세기 일본의 대표적 역사학자인 쓰다 소키치(津田左右吉, 1873∼1961)는 한국과 일본에서 전혀 다른 평가를 받는 대표적 지식인이다. 한국의 고대사를 왜곡하고 임나일본부설을 역사적 사실로 인정하는 ‘식민사학’의전형이라는 한국 역사학계의 인식에 반해, 일본에서는 객관적 과학적 역사서술을 통해 천황제와 대면하고 아시아·태평양 전쟁에도 비판적 입장을 취했다는 전향적인 평가가 다수 존재한다. 이 글은 ‘쓰다사학(津田史學)’을 가로지르는 ‘식민사학’과 ‘저항적 지식인’의 이분법을 극복하고, 그의 글쓰기에 나타난 본질적인 문명관과 역사관을 추적한다. 특히 본 논문은 1930년대 쓰다가 주창했던 중국론과 동양부재론(東洋不在論)을 면밀히 검토하여, 그가 궁극적으로 구축하려고 했던 독자적 문명으로서의 일본의 국민사상(國民思想)이 아시아 제국(諸國)을 식민화하고 중국을 침략했던 일본의 제국주의를 긍정하는 역사인식으로 귀결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Sokichi Tsuda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historians of Japan in the 20th century whose view is interpreted quite differently between Korea and Japan. The Korean history circles say Sokichi Tsuda distorted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with his “colonial view of history” as he had proposed that Mimana (任 那; renna; or imna in Korean) was a Japanese colony on the Korean peninsula that existed from the 3rd to the 6th century. The Japanese counterparts, however, have a favorable opinion that Tsuda confronted with the Emperor system of Japan and took a critical view of the Asia-Pacific War through his objective and scientific description of history. This study is aimed at chasing Tsuda’s basic view of civilization and history based on his writings by overcoming the dichotomy with regard to Tsuda and the Tsuda school of history (津田史學): “a historian with a colonial view of history” vs. “an intellect of resistance.” This paper intends to closely examine Tsuda’s theory of China and of the non-existence of the East he maintained in the 1930s and to find out that the national thoughts of Japan as an individual civilization - which Tsuda ultimately tried to establish - was fully based on his view of history based on which he took an affirmative view of imperialism of Japan that had colonized Asian nations and invaded China.

      • KCI등재

        李丙燾의 韓國古代史研究

        조인성(趙仁成)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5

        이 논문은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에 걸쳐 이루어진 한사군과 삼한의 역사지리에 대한 이병도의 연구를 검토한 것이다. 그는 한국 근대 실증사학을 대표하는 연구자이므로 이 논문은 한국사학의 성립과정과 배경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병도는 현도군 최초의 위치가 압록강 중류, 동가강 유역이었으며, 진번군은 황해도와 경기도 북부에 자리하였다고 하는 신 학설을 제기하였다. 진한이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발전했고, 伯濟가 진한 사회를 통합했다는 것, 신라는 변한 소국의 하나였다는 신 학설을 내놓았다. 이병도의 연구는 사료에 대한 철저한 비판과 학설에 대한 엄정한 비판 위에 이루어졌다. 그는 근본 자료에 대한 치밀한 분석, 기왕의 학설이 갖는 문제점에 대한 비판적 태도, 지리적 상태와 당시의 대세에 대한 고려를 중시하였다. 이병도의 역사지리연구는 일본인 학자들의 역사지리연구에서 촉발되었고, 방법론도 그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그는 白鳥庫吉로부터 津田左右吉, 池內宏 등에게 계승되었던 초기 일본 동양사학의 사료비판ㆍ고전비판의 정신과 방법을 이어 받았다. 뿐만 아니라 이병도는 실학자들의 역사지리연구의 성과를 비판적으로 계승하였다. 이병도의 한사군과 삼한의 역사지리연구는 국가의 성립 문제로까지 확대되었다. 그러므로 그것은 한국고대사를 체계화하는 작업으로서의 의의도 갖는 것이었다.

      • KCI등재
      • KCI등재

        森谷克己의 植民主義 杜會經齊史學 批判

        盧鏞弼(Noh Yongpil) 한국사학사학회 2010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2

        Moritani Katsumi(森谷克己,1904-1964) is one of the scholars in the socio-economic historical-science(materialism economic historical-science) who left substantial academic achievement while serving in the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between 1927 and 1945. Moritani was quite proud of having deeply influenced by Fukuda Tokuzo(福田德三,1874-1930), who had been the great authority in the socio-economic historical-science of Japan. Moritani was a hard-working scholar who authored many books, including translations, with sincere intention to succeed and advance the academic tradition. There are two characteristics in the researches of Moritani. First, he worked very hard to secure the firm theoretical bases. It is quite clear that he obtained such theoretical bases from the publications he had translated. Second, he had deep interest in the present. Therefore, he even interpreted the past facts to match with explanation on the present.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criticize Moritani in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Moritani was quite short of historical knowledge and he was not professional in the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knowledge. Second, he attempted to interpret the Asian socie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historical science of Karl Marx and Wittfogel; however, he always and thoroughly regarded Japan as an exception. Third, his academic attitude was not objective and he did not make fair assessments. He made thorough subjectiv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Greater East-Asia Co-prosperity Zone' theory of Japanese Empire. He accepted the theories of Marx and Wittfogel to firmly secure the theoretical bases. Since he had more interest in the present than the past and he interpreted the past facts based on such interest in the present so that the past facts would fit with the explanation on the present. Consequently, his research works contributed in the implementation of 'Greater Area Policy Theory' of the state policy of Japanese Empire during the Pacific War. Therefore, he ended up a representative socio-economic historical-scientist supporting colonialism.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