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시총화(東詩叢話)』(규장각본)의 저자 및 저본 고찰

        김보성 ( Kim Bo-sung ) 한국한문학회 201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8

        현재『東詩叢話』는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본과 일본의 東洋文庫에 소장된 본이 존재한다. 모두 필사본인데 서명만 같을 뿐 내용이 판이하여 별개의 본으로 간주된다. 본고에서 주목한 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동시총화』(이하 규장각본)이다. 최근에 조선말기와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鄭萬朝(1858~1936)의 비평서인 『榕燈詩話』가 『每日申報』에서 발굴되었다. 이를 계기로 『매일신보』에 연재된 또 다른 詩話를 유의 깊게 살펴본 결과, 1915년 3월 19일부터 1918년 8월 20일까지 3년 남짓 1면에 연재된 安宅重(1858~1929)의 『東詩叢話』(이하 『매일신보』 연재본)가 규장각본과 내용이 일치함을 확인했다. 따라서 『한국시화총편』 해제가 나온 이후 未詳으로 처리된 규장각본의 작자를 ‘安宅重’으로 바로잡아야 한다. 규장각본은 『매일신보』 연재본을 저본으로 한 축약본이다. 두 본을 비교 검토했을 때, ① 1915년 3월 19일부터 같은 해 5월 5일까지 게재된 『동시총화』 본편과 규장각본 본집 1권, ② 1916년 1월 7일부터 이듬해 8월 10일까지 게재된 『동시총화』속편과 규장각본 속집이 편차와 내용 면에서 크게 차이 났다. 예컨대, 『매일신보』 연재본에는 규장각본 본집 1권에 없는 序文 및 崔致遠·朴仁範·朴寅亮 등의 고려 문인에 관한 비평이 존재한다. 또 규장각본 속집에 李尙迪과 王士禎(초명 王士?)에 관한 항목만 있는 것과 달리, 『매일신보』 연재본에는 李晩用과 같은 근대 문인이나 『姑婦奇譚』과 같은 근대 간행물을 주목한 항목이 다수 보인다. 일제강점기에 기관지 지면을 통해 적극적으로 비평했던 문인들의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고 역시 『동시총화』(규장각본)의 저자를 밝히고 이본간의 편차 및 내용의 차이를 추적하는 데 중점을 두어 안택중의 비평에 관해서는 충분히 논의하지 못했다. 『동시총화』에 빈번히 등장하는 핵심어를 중심으로 비평의 실체를 분석하는 작업은, 『동시총화』를 뒤이어 『매일신보』에 장기 연재된 梅下山人 崔永年의 『詩家叢話』와의 비교를 통해 진행할 예정이다. Currently, DongShi-CongHua(東詩叢話) has two editions. One is a collection of the books in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奎章閣 韓國學硏究院)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other is a collection of the books in Japan’s Toyo Bunko(東洋文庫). Both editions are hand- written manuscripts, but they are regarded as different versions because although the names of the books are identical, the contents are very different. The focus of the current research is the collection of KyuJangGak(奎章閣). Recently, YongDeng-ShiHua(榕燈詩話) by Maeil-Shinbo(每日申報), a critique of Jeong Man-jo(鄭萬朝) who was activ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unearthed. Based on this new finding, I examined another ShiHua(詩話) series published by Maeil- Shinbo(每日申報), and found out the following. Between March 19, 1915 and August 20, 1918, DongShi-CongHua(東詩叢話) by Ahn Taek-Jung(安宅重, 1858~1929, pen name is Gueng-rae(肯來)) which was published on the first page for more than 3 years was identical with the content in the collection of KyuJangGak(奎章閣). In fact, DongShi-CongHua(東詩叢話) at KyuJangGak(奎章閣) is a brief version of DongShi-CongHua(東詩叢話) published by Maeil-Shinbo(每日申報). By comparing and reviewing the two editions, I also found out that the two parts were very different in terms of their contents as well as the order of the contents. In particular, ① ‘the main compilation(本編) published by Maeil-Shinbo(每日申報) between March 19, 1915 and May 5, 1915’ and ‘the main compilation(本集), Volume 1, in the collection of KyuJangGak(奎章閣)’ and ② ‘the sequel(續編) published by Maeil-Shinbo(每日申報) between January 7, 1916 and August 10, 1917’ and the ‘sequel(續集) in the collection of KyuJangGak(奎章閣)’ are quite different in terms of their contents and the order of the contents. For example, the criticisms about the writers of KoRyo(高麗) such as Choi Chi-won(崔致遠), Park In-beom(朴仁範), and Park In-ryang(樸寅亮) are found only in Maeil-Shinbo(每日申報). Also, a number of items that reviewed modern Korean writers such as Lee Man-yong(李晩用) and modern publications such as KoBuGiDam(姑婦奇譚) are found only in Maeil-Shinbo(每日申報).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writers who actively criticized through newspape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paper focuses on the investigation about the authors of DongShi-CongHua(東詩叢話) at KyuJangGak(奎章閣)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versions. Thus, the paper relatively lacks detailed discussion about Ahn Taek-Jung(安宅重)’s criticism. The work of analyzing the criticism itself, focusing on the frequently appearing key words in DongShi-CongHua(東詩叢話), will be conducted through comparing with Choi Yeong-neon(崔永年)'s ShiGa-CongHua(詩家叢話), which also had been published in Maeil-Shinbo(每日申報) for a long period of time.

      • KCI등재

        고소설의 동시사건 서술기법에 대한 사적(史的) 고찰

        박상석 열상고전연구회 2015 열상고전연구 Vol.47 No.-

        소설에 같은 시간, 다른 공간에서 각각 일어난 사건들이 차례로 서술되는 경우가 있다. 본고에서는 그러한 사건을 ‘동시사건’, 그것을 서술하는 기법을 ‘동시사건 서술기법’이라 명명했다. 한국 고소설에도 이러한 동시사건 서술기법이 활용되었다. 그런데 그것은 소설사(小說史)의 처음부터 활용되었던 것일까, 어느 시기에 와서 활용되기 시작했던 것일까. 본고에서는 이러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시기와 장르를 대표할 수 있는 표본 작품들을 대상으로 동시사건 서술기법의 활용 유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소설사의 초기 작품인 <금오신화>, <기재기이>, <구운몽>, <사씨남정기>, <소현성록> 등에는 이 기법이 활용되지 않았으며, 표본 작품 중에서는 <최척전>을 거쳐 <숙향전>부터 그것이 활용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고소설에 동시사건 서술기법이 등장한 이후 모든 작품에서 이 기법이 활용된 것은 아니다. 같은 장르 안에서도 작품에 따라 그것이 활용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했다. 판소리계소설의 경우 이 기법을 활용한 예를 찾을 수 없어 동시사건 서술기법의 배제를 하나의 장르적 표지(標識)로 볼 수 있겠다. 동시사건 서술기법은 왜 출현하게 된 것일까. 그것은 고소설의 인물이 많아지고 사건이 복잡해지면서 자연스레 나타난 기법이라고 생각하기가 쉽다. 하지만 <구운몽>이나 대장편소설 <소현성록> 같이 인물이 많고 사건이 복잡한 소설도 동시사건 서술기법을 사용하지 않은 채 얼마든지 서사를 끌고 나갈 수 있었던 예는 이 기법이 그렇게 저절로 나타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 준다. 동시사건 서술기법은 무엇보다 독자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고안 혹은 도입된 것이라고 보게 된다. 새로운 시간기법의 출현은 소설사의 획기적인 사건이 아닐 수 없다. 동시사건 서술기법이 처음 선보였을 때 당대 독자에게는 그것이 상당히 파격적이고 신선하게 느껴졌을 것이다. 그리고 이 기법은 고소설 독자로 하여금 나와 다른 공간에 존재하는 대상을 보다 적극적으로 상상할 수 있도록 했을 것이다. There is a narrative technique that tell the simultaneous events occurred in each place. We named that narrative technique of simultaneous events, and studied from when this technique have been used in the history of Korean old novels. At the beginning stage of Korean old novels, narrative technique of simultaneous events have not been used. <Geum-o-sin-hwa(金鰲新話)>, <Gu-un-mong(九雲夢)>, <Sa-ssi-nam-jeon-gi(謝氏南征記)> are examples of that. This technique have begun to be used in <Choi-chuk-jeon(崔陟傳)>, <Suk-hyang-jeon(淑香傳)>. Of course, since then this technique have not used in all the works. Using or not using of this technique was the option of each work. Especially this technique have nearly not been used in the works related with Pan-so-ri(판소리). Why have this technique appeared in the old novels? Otherwise common-sense point of view, the increase of character or complexification of events was not inevitable reasons of that. This technique have been devised or adopted consciously for the interests of a novel above all. Time technique is very important in the novel, and it influences a world view of reader. The narrative technique of simultaneous events would have made readers at that time imagine the others of other place more actively. So the appearance of this technique was very important event in the history of Korean old novels.

      • KCI등재후보

        박목월의 동시적 상상력 연구

        최명표(Choi, Myoung Pyo) 한국아동문학학회 2007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3

        이 글은 박목월의 동시적 상상력을 살핀 글이다. 이 글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동시 텍스트의 확정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시작하였다. 그의 동시 연구가 미진한 이유는 텍스트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 있다. 그의 사후로부터 시일이 경과했음에도 불구하고, 동시의 원본비평이 이루어지 않았으며, 각종 자료들이 정리되지 않았다. 이에 이 글에서는 선행 연구 들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그의 시와 동시를 교차 인용하며 양자의 상관성 을 탐색하고, 궁극적으로 그의 시세계를 이루고 있는 동시적 요소를 강조하였다. 그에게 동시는 ‘심혼(心魂)의 고향’이었다. 그는 동시에서 습득한 시적 기법 들을 활용하여 독특한 시세계를 구축하였고, 그 세계는 동시적 상상력의 외연과 내포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동시는 박목월의 시세계에 진입하기 위한 전단계 이면서, 동시에 시 자체였다. 그의 시는 동시적 상상력에 기반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의 동시적 상상력은 세계에서 그를 구원하는 원동력으로 작용 하는 동시에, 시대와의 불화에서 파생한 시인의 불만족스러운 영혼을 위로하여 새로운 세계로 진입하는 계기를 제공해주었다. 그는 한국전쟁의 충격 속에서 경상방언을 활용하여 고향의 원초적 세계를 옹호하였다. 그의 방언 사용은 고향에 대한 유별난 추억에서 기인하였다. 그는 경주의 역사적 의미에 애정을 보이면서 과거지향적 시간관을 지니게 되었다. 그의 시에서 구어적(oral) 세계를 노래한 작품이 다량으로 검출되는 이유도 이런 시간관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의 고향의식은 시적 이상향으로 확대되면서 환상 의 공간으로 변주되었다. 그곳은 자연이었으며, 지고지순한 짐승들이 거주하는 순수의 공간이다. 이것은 그의 시세계가 동시적 상상력에 의해 구축되었음을 입증해준다. This paper is a review of the children’s verse type imagination of Park Mok-wol. This paper starts from underlining the need of the establishment of children’s verse text for attaining the goal. There has been not much research into his children’s verse because there was no systematic organization of his text. Although time has passed since he passed away, there has been no critics of the original script of a children’s verse, and many materials were left unorganized.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tudies, this paper seeks the correlation of his poem and children’s verse by citing them crossly, and stresses children’s verse type factors that constitute his poetic world ultimately. To him, children’s verse was the “hometown of heart and soul”. He built a unique poetic world by utilizing poetic techniques acquired from a children’s verse, and the world comprised the extension and connotation of children’s verse type imagination. Therefore, a children’s verse was like a pre-stage for penetrating into Park Mok-wol’s poetic world, and was a poem itself simultaneously.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his poem is based on children’s verse type imagination. His children’s verse type imagination worked as a driver of salvaging him from the world, and at the same time, offered an opportunity to penetrate into the new world while consoling the poet’s dissatisfied spirit derived from the feud with his days. He supported the instinctive world of hometown by employing Gyeongsang dialect amid the shock of the Korean War. His use of dialect was originated from the distinctive memory of his hometown. He came to have a past-oriented view of time while showing affection toward the historical meaning of Gyeongju. Many of his poems sing about the oral world because of such a view of time. His awareness of hometown has been extended to poetic utopia, and varied into the fantastic space. The space was nature, and it was the space of innocence where supremely innocent wild animals live. This demonstrates that his poetic world was constructed by children’s verse type imagination.

      • KCI등재

        동시를 재구성한 북아트식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동시 짓기 능력과 정서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지영,이유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aking book art activities with reconstructed children’s poems on young children’s poem writing ability and emotional creativity.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ere 40 five-year-old children who attend Y kindergarten and D kindergarten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making book art activities with reconstructed children’s poems for 12 sessions over a period of 12 weeks. At the same time, the comparison group engaged in children’s poems reconstructing activities for 12 sessions. For measurement, Lee’s (2003) children’s poem writing ability and Baek and Kim’s (2007) emotional creativity test were used. t-verification of the independent sample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ere conducted to observe chang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Results found that making book art activities with reconstructed children’s poem positively influences young children’s poem writing ability and emotional creativity. 본 연구는 동시를 재구성한 북아트식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동시 짓기 능력과 정서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유아의 동시 짓기 능력과 정서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아교수 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총 40명으로 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이다.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동시를 재구성한 북아트식 책 만들기 활동을 처치하였고, 비교집단 유아에게는 동시 재구성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동시를 재구성한 북아트식 책 만들기 활동을 한 집단이 동시 짓기 능력과 정서 창의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어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에게 동시의 예술성과 문학성을 동시에 경험하게 함으로써 수준 높은 문학적 소양을 길러줄 뿐 아니라 동시를 활용한 교수방법으로서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동시를 재구성한 북아트식 책 만들기 활동의 다각적인 교수학습 방법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 동시 문학의 연구 현황 - 2000~2021년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신정아(Shin, Jung-a)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2 No.4

        이 글은 한국 동시 문학 연구 관련, 최근 20여 년간 산출된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 동시문학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아동문학, 동시 연구를 키워드로 하여 검색된 총 300여 건 중 동시 작가와 그의 작품 연구를 중심으로 추려진 114편의 학위논문을 연도별·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다음 세 가지 형태를 띠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작가와 작품 연구이다. 동시인의 생애와 문학세계를 다루고, 작품의 내용적·형태적인 특징을 고찰하였다. 2000년대 초반에는 주로 근대 동시작가 연구가 이뤄졌고, 이후 최근 십여 년간 현대 동시인을 대상으로 한 학위논문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다른 동시인과의 비교 연구이다. 유명 시인의 영향을 받은 동시작가와 작품이 적지 않다는 것을 비교연구 성과물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 동시인과 동시인, 텍스트와 텍스트의 관계 양상을 추적한 논의가 결락된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시간성의 층위를 고려해서 역사성이나 시대성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동시사 연구는 아동문학의 전체 테두리에서 일부 연구되는 것으로 과소평가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한국 동시사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창작 방향을 설정하는 것은 가장 주시해야 할 연구분야이기도 하다. 또한, 정전급 동시인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와 더불어 비정전급 동시인과 작품을 통해 동시사를 추적하고 기존연구에서 결락된 동시인을 발굴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총체적인 동시사 서술이 가능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ed to analyze the status of Korean children"s verse literature on how issues and study trends have changed according to researchers" interests and concerns for about 20 year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heses focusing on the genre of children"s verse have the following three types, in general. First, the theses studied about authors and their works. These kinds of studies dealt with children"s verse and the authors" lives and their world of literature and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and forms of the works. Second, they compared the authors of children"s verse with other ones. By comparing them, these kinds of studies paid attention to the authors’ originality or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ir works. Third, the studies about the literature history of children"s verse are proud in the history of Korean children"s verse. One of the studies paid the most attention to determine the history of Korean children"s verse and to establish the future direction. In addition, overall simultaneous description will be possible only when continuous discussions on non-constant simultaneous persons and works are followed by efforts to track simultaneous persons and discover those who have been omitted from existing studies.

      • KCI등재

        김영일 동시의 변모 양상 연구- 형태론적 변모과정을 중심으로

        권석순 한국국어교육학회 2008 새국어교육 Vol.0 No.78

        Kim yeong-il is admitted as a advocate of the free children's verse in history of Korean juvenile literature. As one of the various study for children's verses of kim yeong-il's, this article has a purpose to examine changing process of the children's verses, and this study focus on a stanza and a line of the verse. There was intended brief short poems in the “Squirrel 1” that is early poems of Kim yeong-il's that basic type of two stanzas were composed of, but “Squirrel 2” consisted of more stanzas, then four stanzas were marked in poem of “Going up to the hill in a spring weather.” Even children's verses in the latter period took more lines and four stanzas, they were the same form of poetry as much as children's verses in the early period consisted of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conclusion, although just two lines of two stanzas were composed of early poems, also they could have enough their power of expression. 김영일은 한국아동문학사에서 자유동시의 주창자로 인정받고 있다. 본고는 김영일 동시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위한 하나의 시도로써 형태적 지표가 되는 연ㆍ행을 중심으로 동시의 변모과정을 검토하였다. 김영일 동시의 초기 아동자유시집《다람쥐》는 2개의 연으로 구성된 동시를 기본적인 시형태로 간결한 단시를 지향하였다. 두 번째 동시집인 증보판《다람쥐》에서는 행의 수를 늘여 2연으로 구성된 동시가 점차 약세를 보이다가, 세 번째 동시집《봄동산에 오르면》에 와서 4연으로 구성된 동시가 강세를 보였다. 이는 2연 2행의 초기 동시가 후기로 오면서 점차 행의 수를 늘여 4연으로 구성된 동시로 확장되어 나갔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김영일의 동시의 형태적 변모는 행의 수를 늘여 시적 호흡이 길어졌을 뿐, 초기 자유동시의 틀을 그대로 유지하였음이 확인된다.

      • KCI등재

        발달지체 유아의 동시교육 현장 적용 방안 연구: 유아동시교육 실험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김현숙,이병인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7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7 No.1

        This study is a study that examined tendency of poetry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 of early childhood poetry education and then searched for application point of a site of poetry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 total of 78 master’s thes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poetry were analyzed depending on 11 standards, and frequency, percentage, and case percentage were calculated by SPSS. As a result, first, the studies related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poetry education were actively studied in the early 2000s, and has been recently receiving attention again. Second, experimental researches of early childhood poetry education were designed as a form that teachers mostly carried out targeting 5-year-old children during 6-10 weeks twice a week in kindergartens. Third, in poetry education, total curricula were mostly reached in large and small groups, and elective activity time, and there were many cases to accomplish goals related to communication. Fourth, in the selection of poetry, reference could not be confirmed in about half of theses. As a application point of a site of poetry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first, it is necessary to be concerned about related areas for effective poetry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s an area that receives attention again. Second, when poetry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s repeatedly carried out, an effect can be expected, but diversity of teachers, teaching environment, and object is pursued in practice. Third, poetry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hould be also carried out as an integrated activity, and an education sharing not only a goal related to communication but also artistry of children’s poem is needed. Fourth, there is not much detailed standard or reference to select a children’s poem in poet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o a follow-up study is needed. It is significant for this study to analyze advanced research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poetry education and then to seek application point of a site of poetry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o to offer basic information for poetry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본 연구는 유아동시교육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동시교육의 경향성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발달지체유아의 동시교육 현장 적용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이다. 총 76편의 유아동시 관련 학위논문을 11개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고, SPSS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케이스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동시교육 관련연구는 2000년대 초반 활발히 연구되었다가 최근 다시 주목되는 분야이다. 둘째, 유아동시교육 실험연구는 주로 만5세를 대상으로 유치원에서 교사가 주 2회, 6-10주간 실행하는 형태로 설계되었다. 셋째, 동시교육은 대소집단과 자유선택활동시간에 교과통합 형태의 활동이 주로 이루어지며 의사소통영역 관련 목표를 달성하려는 경우가 많았다. 넷째, 동시 선정에 있어 절반가량의 논문에서 참고자료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를 토대로 한 발달지체 유아의 동시교육 현장 적용 방안으로는 첫째, 최근 다시 주목되고 있는 분야로 발달지체유아의 효과적인 동시교육을 위해 관련 분야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둘째, 발달지체 유아의 동시교육 역시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실행에 있어 교수자, 교수환경, 대상에서 다양성이 추구된다. 셋째, 발달지체 유아의 동시교육 역시 통합적인 활동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의사소통 관련 목표 뿐 아니라 동시가 가진 예술성을 공유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동시교육 역시 동시를 선정하는데 구체적인 기준이나 참고할 자료가 많이 없으므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아동시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발달지체유아의 동시교육의 현장 적용 방안을 모색하여 향후 발달지체유아의 동시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일제 강점기 일간지 게재 부산.경남지역 동시 연구

        박경수(Park, Kyung-Su)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6 No.-

        이 글은 1920년 창간 때부터 1930년까지 발행된 조선일보에 발표된 동시(동요 포함) 작품들을 대상으로 부산경남지역 동시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집중 논의한 것이다. 첫째, 조선일보에서 부산경남지역 관련 동시로 처음 발표된 작품은 황 문경(부산)이 발표한 <겨울 아침>(1924. 1. 1)이다. 그런데 이 작품은 매일신보의 현상문예 공모에서 동요 부문에 1등 당선한 황문환의 동시와 동일 작품이었다. 이후 부산경남지역 관련 동시가 본격 발표되기 시작한 시기는 1927년이다. 진주고보 출신인 정태이와 소용수가 앞장서서 동시를 발표했다. 둘째, 1928년 이후부터 통영의 이구월, 진주의 정상규, 하동 출신의 김병호, 합천의 정기주, 동래의 조순규, 함안의 양우정 등이 동시를 발표했다. 1929년 이후부터는 논산 출신이지만 진주에서 교직에 있었던 엄흥섭, 언양 출신인 신고송, 진주의 손길상, 언양의 오영수, 하동의 남대우가 쓴 동시가 조선일보에 오르기 시작했다. 이중 이구월, 정상규, 김병호,양우정, 신고송, 손길상, 남대우의 동시 작품들이 일제 강점기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반영하거나 세태를 풍자하는 작품들이었다. 셋째, 1928년 7월 진주소년동맹이 결성된 이후, 진주를 중심으로 무산 소년문예운동이 본격화되었다. 특히 1929년 이후 진주새힘사, 진주새틀단, 진주동무회 등이 1929년 이후 조직되어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정상규는 손길상, 이재표, 차우영수 등은 ‘진주새힘사’를 조직하고 조선일보를 중요 매체로 삼아 무산소년문예운동을 활발하게 펼쳤다. ‘진주새틀단’에서는 안송, ‘진주동무회’에서는 정원규, 최재학, 이순기, 권주희, 천이청등 당시 진주제일공보 학생들이 중요 구성원이 되어 동시 작품들을 투고하여 발표했다.넷째, 1930년에는 마산의 이원수, 김해 출신의 김대봉, 부산 연고의 파리계애거, 울산의 김인원 등이 조선일보에 동시 작품을 발표했다. 이들의 동시 작품들도 현실 반영적인 작품들로 당시의 주류적 경향에 편승하는 작품들이 많았다.다섯째, 1920년부터 1930년까지 조선일보에 발표된 부산경남지역 관련 동시 작품은 모두 47명에 163편이었다. 이들 작품을 동시 발표자의 당시 지역 연고를 기준으로 구분해 보면, 서부경남 관련 동시가 전체의 61.35%로 가장 많고, 동부경남 관련 동시가 다음으로 26.38%, 중부경남의 12.27%로 나타났다. 이는 당시 서부경남 출신 동시 발표자의 상당수가 사회주의에 영향을 받거나 직접 사회주의 활동에 가담하여 활동하면 서 동아일보보다 항일․비판적 논조가 강했던 조선일보에 작품을 집중발표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form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nursery rhyme in Busan and Kyungnam region through the daily press during the colonial period. For this, I have surveyed and researched nursery rhymes which were published in Chosunilbo(1920-1930). The results so far achieved are in substance as follows. 1. I could find out 163 pieces of nursery rhymes as a work of juvenile literary man from Busan or Kyungnam in Chosun-ilbo(1920~1930). 2. The first nursery rhyme of Busan or Kyungnam in Chosun-ilbo is Mun-kyung Whang(from Busan)'s which is published at Jan. 1,1924. But this one is same work of Mun-whan Whang which is announced in Mail-shinbo at the same time. 3. We can check that many writers of Busan and Kyungnam published their nursery rhymes in Chosun-ilbo, such as Tae-ri Jung(from Jinju), Eul-yong Lee(from Tongyeong), Sang-kyu Jung(from Jinju), Beong-ho Kim(from Hadong), Woo-jung Yang(from Haman), Ki-ju Jung(from Hapcheon) after 1928, Hung-seop Eum(in Jinju), Ko-song Shin(from Eunyang), Young-su Oh(from Eunyang), Dae-woo Nam(from Hadong) after 1929, Dae-bong Kim(from Kinhae), Won-su Lee(in Masan), and the others after 1930. Especially there were many poets from Jinju and Hadong such as the above. 4. Among 163 pieces of nursery rhymes, there were the greatest numbers of rhymes in the west area of Busan and Kyungnam. And we could know that there were those of the east area and the central area of Busan and Kyungnam in the order of numbers.

      • KCI등재후보

        일제 강점기 동시문학의 지형도

        김상욱(Sangwook, Kim) 한국아동문학학회 2013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5

        이 연구의 목적은 일제 강점기 동시문학의 지형도를 그려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동시의 장르적 변화 과정과 함께 개별 작품들을 주요한 매체와 작품 선집을 중심으로 개관하고자 한다. 그 결과 이끌어낼 수 있는 잠정적인 결론은 1920년대와 1930년대 사이에 명확한 시기 구분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동요에서 동시로의 변화가 계기적이고 단선적이 아니라, 중첩되어있는 연속선상에 놓여 있다. 1920년대의 확장, 증폭이 1930년 대 동시문학의 특징인 것이다. 1920년대의 동요 속에 이미 동시적 자질들이 내연하고 있었으며, 동요 역시 1930년대의 주도적인 장르로 견고하게 작용하고 있었기에 그러하다. 동요에서 동시로의 발전이 아닌, 동요 자체의 발전 속에서 내적 분화의 과정을 겪은 것이다. 이 연구는 동요의 핵심적인 특성을 전래동요에 두고, 그 동요의 다채로운 양상에 따라 서정적인 전래동요와 놀이요로서의 전래동요, 동요의 외연을 확장한 프롤레타리아동요와 동요를 새로운 형식으로 모색한 동시 등으로 구획지어 그 전개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식민지시기 동시문학이 전래동요에서 동요로, 이어 동요와 유년동시, 프롤레타리아동시, 동시 등으로의 분화로 이어져온 것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1920년대 중후반 아동문학의 태동과 함께 이미 이들 경향들이 내재되어 있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This monograph is to map the terrain about the childrens poetry, Dong-yo, in 1920s and 1930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will explore the individual works and the major media and selected works, concurrently the genric process of change. As a result, a tentative conclusion is that the clear distinction is not ease between 1920s and 1930s childrens poems. Moreover the change process from Dong-yo to Dong-si is not linear and sequential but concurrent development. The characteristic of 1930s childrens poetry is the extension and amplification. Because the specific traits of Dong-si is connonate in 1920s Dong-yo and Dong-yo is sustainly developed as a leading genre. And then the realistic process is not the development form Dong-yo to Dong-si, but the process of internal division in the prospering of Dong-yo.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Dong-yo is establised on the traditional childrens folk songs. And then, according to the various aspects of Dong-yos, its developmental process is divided a lylical Dong-yo, a playful Dong-yo, a proletariats Dong-yo and a Dong-si as a new form. As a result, the childrens poetry in the colonial period is formed from the traditional folk song to the Dong-yo, and then gradually developed to the Dong-yo, playful early childrens Dong-si, proletariat Dong-si, Dong-si. And I wish to reveal the fact that these proto-tendency is inherent to the period of formation, 1920s mid and later childrens literature.

      • KCI등재후보

        최계락 동시의 세계

        김형만(Kim, Hyung Mann) 한국아동문학학회 2007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3

        최계락은 자유율로 순수 서정의 동심세계를 자유 동시를 선구하여 짝작쿵 동요를 넘어서는 1960년대 본격시 운동의 가교 역할이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동시집 『꽃씨』(예문관, 1959)와 『철뚝길의 들꽃』(청운출판사, 1966) 2권 과 유고 시선집 『외갓길』, 그 외에 동시집과 유고 시선집에는 수록되지 않았던 본 연구자가 발굴한 동요 15편, 동시 19편을 합하면 모두 동요 23편과 동시 105편 이 되는데 총 128편의 작품을 남겼다. 동시집 『꽃씨』에 나오는 작품들에서는 소재나 내용이 자연과의 교감이나 자연과의 시적 감동을 주로 하여 형상화한 시들이 많다. 자연을 소재로 한 작품이 44편으로 84.6 %을 점하고 있다. 초기 동시는 배경적 사물들의 시어나 서술적 표현 그 자체가 주제 의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하나의 정경을 제시함으로써 소박하고 아름다운 장면 그 자체가 곧 주제라 는 것을 보여 준다. 대체로 쉬운 낱말의 시어와 시 구조의 단순한 짜임으로 자연 중심의 순수 서정을 노래하고 있다고 집약해 볼 수 있다. 『철뚝길의 들꽃』에 나오는 대부분의 동시에서 궁핍과 부재 그리고 기다림과 그리움의 세계를 보여 주고 있다. 시대의 궁핍함은 사랑하고 소중한 사람들의 부재로 나타나며 이러한 결과 부재한 사람에 대한 기다림은 그리움으로 드러난 다. 살길이 막혀 비오는 날 고향을 떠나갔다는 표현을 통해 하나 둘씩 농촌을 떠날 수밖에 없었던 당대 삶의 현실적 인식을 보여 준다. 정든 고향을 떠날 수밖에 없는 구체적인 언급이 생략되어 있어 시대의 어려움과 아픔을 감내해 나가겠다는 의지가 부족해 보인다. 그러나 그 당시의 동시인들에게서는 보기 힘든 궁핍 한 시대의 회화적 표현만으로도 신선한 느낌을 주고 있다. 현실적 상황을 심각하게 고민하여 작품 속에 그것을 드러내 놓음으로써 궁핍한 현실을 넘어서려는 시도는 1960년대 말기 이후 동시에 현실을 담아내려는 시도에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1966년 이른 봄 이후 발표된 그의 동시의 면면을 살펴보면 사람생각, 세상풍경, 꿈(희망)꾸기, 설레임, 외로움 등으로 나타나는데 초기와 중 기처럼 소재는 거의 같으나 동시 속에 삶이 깊숙이 침투해 들어가 있음을 확연하게 볼 수 있다. 자연 광경의 관조에서 벗어나 현실속의 생활을 담으려 노력함으로 써 또한 동시의 폭과 깊이를 더하며 훨씬 세련되고 다양한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최계락은 1966년에 들어 ‘동시도 시이어야 한다’는 기치를 걸고 문학성을 중시하며 기성 시인들의 안일한 창작 태도를 비판한 <동시인동인회>에 가입하여 동시의 본격시 운동에 뛰어 들었다. 1966년에 발간된 동시집 『철뚝길의 들꽃』이후의 최계락의 작품들을 보면 시어와 짜임의 단순성에서의 탈피와 동심 세계의 확장을 볼 수 있는데 그가 시도한 ‘본격시’ 운동과 연관된다고 보여진다. Che Gae Rock, by free rhythms, led the way in free nursery rhymes for the world of childish innocence of pure lyricism. It is significant that he acted as a mediator in the movement for orthodox verse of 1960s which passed over babys hand-clapping nursery songs. He handed down the whole 128 works which were 23 nursery songs and 105 nursery rhymes. In the concrete, these works are the two collections of nursery rhymes, 『A flower seed』(Ye Moon Gwan publishing company, 1959) and 『Wild flowers in a railroad yard』(Chyung Un publishing company, 1966), the posthumous work of selected poems, 『The way facing my mothers maiden home』, and 15 nursery songs and 19 nursery rhymes which were not included in the collections of nursery rhymes and the posthumous work of selected poems and were excavated by the present investigator. There are lots of poems in which subject matters and contents were shaped, mainly, by mutual responses with nature or deep poetic impressions by nature in the collection of nursery rhymes, 『A flower seed』. There are 44 poems which used nature as their subject matter in the collection. And these kinds of poems occupy 84.6 percent in it. Narrative expressions or poetic languages of scenery objects were in itself related to theme-consciousness in his early nursery rhymes. They showed a single touching scene. And they showed that the rustic and lovely scene was in itself a main theme. It is intensively found that they sang pure lyricism on the basis of nature, mainly, by poetic languages of easy words and simple formation of structure of poetry. He showed worlds of poverty, absence, waiting and yearning in most of poems of 『Wild flowers in a railroad yard』. Poverty of the period was presented by absence of their beloved and precious persons in the poems. As a result, waiting for their absent persons was revealed as yearning. There are descriptions that they lost their livelihood and had to leave home on a rainy day in the poems. These descriptions presented the actual recognition for lives of those days that they couldnot help leaving home one by one. But, concrete mentions that they couldnot help leaving their familiar home are omitted. And the will that would like to endure pain and hardship in the period is lacking. Nevertheless, picturesque expressions for the poor period are in itself enough for giving a new impression. Because those expressions are rarely found in other poets of nursery rhymes of those days. He was seriously worried about the actual circumstances. And he presented them in his works for the purpose of overcoming the poor actual. The trial that passing over the poor actual came to take a role as the stepping stones between other trials which intended to include the actual since the last 1960s. Examining closely each one of his nursery rhymes that were published since the early spring of 1966, we find memories for acquaintances, worldly scenes, dreaming(hoping), fluttering with new hope, loneliness and so on from them. From them, we find that the subject matters are almost the same with his early works subject matters and his middle works. On the other hand, we definitely find that life deeply came to penetrate into his nursery rhymes. So to speak, he came to free himself from contemplating nature scenes and try to include the actual lives. At the same time, he came to increase the range and the depth of nursery rhymes and show by far refined and diverse worlds of nursery rhymes. Since 1966, Che Gae Rock considered literary nature seriously with Nursery rhymes must poetry as well as the slogan and joined in <The group of poets of nursery rhymes> which had criticized the existing poets idle creating attitudes and thrust himself into the movement for orthodox verse. Examining his works after 『Wild flowers in a railroad yard』 which was published in 1966, we find that they came to grow out of simplicity of poetic languages and format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