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주도적 독서를 위한 독서인증제도 연구

        이희영(Hee-young Le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reading certification programs run by universities and to find the direction in which a college s reading education will proceed. In the course of the course, Paichai University presented detailed examples of its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sharing its achievements, and suggesting ways for future reading certification programs. Paichai University s reading certification is a basic activity for learners to read three books a semester, complete the ēvolútĭo book, and perform creative tasks. ēvolútĭo book is a workbook developed for reading certification at Paichai University, a summary of the bibliographic items and preface, creating a mind map, Keyword search, an impressive partial memo, transcription, finding a topic and writing one s thoughts. This reading certification activity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encourages students autonomous reading activities and leads to a critical and creative internalization process. Also, it suggests a desirable way for college students to pursue reading in the sense that it reject quantitative study based on evaluation and create a self-directed reading opportunity 이 논문은 대학에서 운영 중인 독서인증 프로그램을 살펴보면서 대학의 독서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그 과정에서 배재대학교의 독서인증제도인 ‘읽기인증제도’ 사례를 자세히 소개하여 그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의 독서인증제도의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 배재대학교의 읽기인증은 학습자가 한 학기에 3권의 책을 읽은 뒤 에월루티오북을 작성하고, 창의적 과제를 수행하는것을 기본 활동으로 한다. 에월루티오북은 배재대학교 읽기인증을 위해 개발된 워크북으로 서지사항 요약, 서문 요약, 마인드맵 작성, 키워드 찾기, 인상적인 부분 메모, 필사하기, 주제 찾기, 자기 생각쓰기로 구성된다. 에월루티오북을 활용한 읽기인증 활동은 학습자의 자율적 독서 활동을 촉진하고,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내면화 과정을 이끌어내며, 자기주도적 독서 능력을 강화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의미하다. 또한 평가 중심의 양적 독서를 지양하고, 자기주도적 독서 계기를 만들어준다는 점에서 대학생 독서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방안을 제시한다고 하겠다.

      • KCI등재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독서 인증제 실시 방안 연구

        정대현(Jeong Dae hyun),김경남(Kim Kyung nam)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6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0 No.1

        이 글은 대학의 독서 인증제 실시와 관련하여 파생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검토하고 지식 기반 사회에서 대학의 독서 인증제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표를 둔 논문이다. 핵심 역량은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꼭 필요한 능력을 의미하며, 현대의 교육에서 강조되는 개념이기도 하다. 2015년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총론에서‘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을 핵심 역량으로 설정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역량을 배양하는 데 독서 교육은 절대적인 역할을 한다. 독서 인증제도 이러한 역량 배양 교육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그러나 현재의 인증제는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데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이 글에서 논의한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 인증제의 대학 내 또는 사회적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차원에서 인증제의 개념을 살피고자 하였다. 법적인 차원에서 인증은‘ 행위나 문서’,‘ 정당한 절차’,‘ 공적 기관’이라는 세 요소를 포함한다. 독서 인증제의 경우도 인증 대상으로서 독서 행위, 인증 시스템, 인증제 운영 기관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신뢰성 있는 제도를 구축해야 함을 의미한다. 둘째, 대학의 인증제 실시 현황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인증제에 대한 몇 편의 선행 연구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현재 대학 단위에서 독서 인증제를 검증할 수 있는 기관은 4~5개에 불과하다. 이는 대학의 독서 인증제가 그만큼 내실 있게 운영되지 못함을 의미한다. 셋째, 독서 교육이 지식 기반 사회에서 강조하는 핵심역량 배양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차원에서 핵심 역량의 개념과 범위, 독서와의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넷째, 기존의 독서 인증제에서 파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살피고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본적인 조건을 살피고자 하였다. This paper aims to seek ways that the effectiv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for developing core competencies in college education. Some colleges have practiced this program, but the concepts of certification are unclear and the effect have not been enough. The core competencies mean autonomic and general ability needed for a knowledge-based society. These competencies emphasis in the latest educational theories.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divided these competencies into six types; self management,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reative thinking, esthetic sensibility, communicative ability and community sprit. Reading education contributes to developing these competencies.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require internal college or social credibility. This system needs to have proper objects rational processes and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have pubic credibility. This system has some problems which are the composition of organ, selecting books, evaluation methods and awards. Effectiveness verification is very important.

      • 중등학교현장에서의 독서인증제도 활용 방안

        성태모 국어교과교육학회 2005 국어교과교육연구 Vol.9 No.-

        교육당국이 독서이력철을 추진하고 있는 배경에는 지식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폭넓은 독서문화를 유도하고, 효과적인 독서환경을 조성하여 양서를 통한 독서감상을 생활화해 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했다. 이러한 독서이력철 내지 독서인증제도의 운영방향은 우선 각 고교별로 교과별 필독 · 권장도서를 선정, 수업에 활용한 뒤 교과담당 또는 담임교사가 평가해 학생부에 기록하게 된다. 대학은 고교로부터 이 자료를 받아 어느 정도로 대입전형에 반영할지 자율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독서이력철이나 독서인증제도 추진은 몇 가지 면에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다. 첫 번째는 독서활동이 그간 국어교과 위주의 독서 수준에서 전교과 영역의 독서 수준으로 확대된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단계별로 읽도록 제도화된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교과의 내용과 연계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점 이 다. 이러한 점에 의의를 두고 본고에서는 중등학교현장에서의 독서인증제도 활용방안으로 크게 2가지를 제시하였다. 제1안은 독서인증시험(지필평가)에다 독서활동 결과를 점수화하여 이를 합산한 후 급수를 인증해주는 방안이다. 이는 독서 인증시험을 독서활동에 연계하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 2안은 각 급수별로 독서인증시험 대상 도서를 주고 평가하는 방안이다. 이 방안은 다시 평가의 유형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두어 3가지 방안으로 구체화시켰지만 일반적인 자격시험 형태를 취하고 있다는 점에 서 큰 차이가 없다. 이제 독서인증제도는 우리의 교육의 한 중심에 서 있다. 그간의 학교교육에서 독서교육은 미흡한 것이 많았다. 그 이유가 입시제도 때문에 밀려나 있건 아니면 독서여건 기반이 미흡하였든 간에 독서의 환경은 예전의 상황이 아니다. 이제부터라도 독서교육의 역할과 그 중요성에 대해 정말 심각하게 생각할 때가 되었다고 본다. 아무리 첨단 과학이 발달할지라도 독서의 의미와 그 가치는 너무너무 필요한 세상이 되었기 때문이다. Nowadays,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trying to collect students' reading record files because the Ministry would like to induce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read intensively and to habituate the reading appreciation. Each high school set must books in this system, then teacher will make the records after applying them to classes. Universities will judge whether they use the score or not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This system dropped some hints to us. Reading activities of this system will be enlarged from the subject of Korean field to all subjects fields, and it will be systemized and optimized harmonizing with students' capabilities. Next, learning effects linked among contents of school work will be the maximum efficiency through the reading activities. Therefore, it goes to show two plans as the applications of reading attestation system in the secondary school field in this study. At First, it is a method that a reading attestation writing score is going to be added up to the result of reading activities. Second, it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must books of each level. This second plan divided into three types, which have no difference on the side of being like general qualification tests.

      • 웹 기반 독서 인증 시스템의 검토와 독서 과정을 고려한 보완 방안

        김복희 국어교과교육학회 2005 국어교과교육연구 Vol.9 No.-

        이 논문의 목적은 독서 교육의 한 방안으로 실시되고 있는 웹 기반 독서 인증 시스템에 대해서 검토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독서 인증제의 목적은 독서를 생활화와 독서 능력 향상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독서 인증 과정은,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독서하는 습관을 기를 수 있어야 하고, 학생들의 다양한 독서 반응을 수용할 수 있어 야 한다. 또 자기 주도적인 독서가 가능하도록 독서의 보조자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하며, 인지적 독서 능력 외 정의적 독서 능력이나 상위 인지 독서 능력의 향상도 고려해야 한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웹 기반 독서 인증 시스템은 문제 풀기라는 한 가지 방식이 중심이 되어, 학생들의 다양한 독서 반응을 수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인지적 독서 능력 외 정의적 독서 능력이나 상위 인지 독서 능력을 향상시키기에 부족하다. 그리고 독서 인증이 결과 중심으로만 이루어져 학생들의 독서 보조자의 역할을 하지 못하여, 원래 독서 인증제가 의도하고 있는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독서 과정을 고려한 독서 인증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 한 독서 인증 과정은 학생들의 독서를 이끌어 줄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여러 가지 안내가 제시된 독후감 쓰기, 독서 토의, 통합 읽기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독서 반응을 표현할 수 있다. 독서 이력 점검 과정은 그동안 소홀히 다루어 왔던 학생들의 상위 인지 독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앞으로 독서 인증제가 학생들의 독서 생활에 더 유의미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책의 의미를 내면화할 수 있는 독서 활동 방안이 다양하게 연구 되어야 한다. 독서 인증은 독서 교육을 위한 여러 방안 중의 하나의 방안 이다. 하나의 방안만이 중심이 되어서는 독서교육의 효과를 보기 어렵다. 사회에서 가정에서 학교에서 독서를 위한 여러 가지 방안과 노력들이 꾸준히 함께 어울려 진행될 때 비로소 독서는 하나의 문화로그 사회에 정착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Web, then to propose the improvement of it. For the sake of achieving the purpose, to begin win,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must help students to be used to the reading habit. Second, it must be able to accept various response of reading students. Third, it must be able to play role of the reading assistant for self-leading reading. Lastly it must consider not only recognitive reading ability but also emotional reading ability and meta-recognitive reading ability. Up to now,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Web has been carried out by one way. So it is being not able to accept various response of reading students. It wants improving emotional or meta-recognitive reading ability. It can't play role of the reading assistant, because it focuses on the results of reading. Consequently, it can't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which it intents. This study suggests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considered reading process. It can play role to lead students' reading. It can accept various response of reading students, by writing impression with various guidance, reading discussion, unified reading. This study searches for the method to improve meta-recognitive reading ability by examining reading records. In the future, for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to be beneficial to students's reading life, the method, which can internalize the meaning of reading through various reading activities, must be searched continually.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is one of ways for reading education. Only one way can't easily make reading education effective. In the society, at home, in the school, until ways and efforts for reading are carried out harmoniously, reading will be established as culture in the society.

      • KCI등재후보

        독서 인증제의 비판적 고찰

        홍인선 ( In Seon Hong ) 한국독서학회 2004 독서연구 Vol.- No.12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명확한 개념 규정 없이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독서 인증제에 대해 정확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먼저, 현행 독서 인증제의 개요를 살펴보고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실태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독서 인증제의 시행 실태를 바탕으로 독서 인증제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비판적 논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독서 인증제의 개념 정의가 잘못되었음을 지적하고 새로운 개념 정의를 내리고 있다. 다음으로, 무엇을 인증해야 할 것인지를 분명히 하여 인지적 독서 능력과 정의적 독서 능력 그리고 기타의 독서 소양으로 나누어 독서 인증의 평가 범주를 제시하였다. 세 번째로 독서 인증의 방식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인증의 이유를 경제적 측면과 교육적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있다. 아울러 독서 인증제의 명과 암을 지적하고 그 발전 방안을 세부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an accurate standard of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that is currently in operation in our country without a precise conceptual regulation. The critical argument presented in this thesis is as follows. First, this thesis indicated that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was incorrect and therefore presented a new one. Second, this thesis shows precisely what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has to certify. That is, this thesis presented the evaluation category about the system such as cognitive reading ability, emotional reading ability, and extra reading attainment. Third, this thesis presented the reading certification method in a concrete way. Next, this thesis considered the reason of certification, dividing economic aspects and educational aspects. At the same time, this thesis indicated the affirmative and the negative aspects of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and presented the improvement methods in detail.

      • KCI등재

        독서 인증제가 읽기 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경화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effect of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which is applied at the elementary school on the reading motivation of the student. The results of the surveys which are done at the two classes(3rd grade and 5th grade) of the K-elementary school are as follows; First,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shows close relation with the recognition and competition factors among the reading motivation factors. It implies that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has foundation on the comparison or competition logic. Second,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is effective for the upper class students or the boy students who have relatively weak reading motivation. This fact shows that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s effective at encouraging the students who hate reading to read books. Therefore, the teacher and the school should find a way to adopt the reading certification at school without being dominant by the comparison or competition logic.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실천되고 ‘독서 인증제’가 학생들의 읽기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독서 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는 K초등학교 3학년, 5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읽기 동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 인증제는 읽기 동기 구성 요인 중 주로 ‘인정·경쟁’요인에 주로 영향을 미친다. 이는 현재의 독서 인증제가 주로 비교나 경쟁 논리에 근거하고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둘째, 독서 인증제는 읽기 동기가 상대적으로 낮은 고학년이나 남학생들에게 효과적이다. 즉 현재의 독서 인증제는 책을 읽기 싫어하는 학생들에게는 책을 읽도록 하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와 학교는 독서 인증제가 경쟁이나 비교의 논리를 벗어나서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고학년과는 차별되는 저학년만의 독서 인증제를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경기도 가평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의 독서인증제 운영에 관한 연구

        유연이,강순애,Ryu, Yeon-Yi,Kang, Soon-Ae 한국비블리아학회 201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3 No.1

        독서인증제는 독서교육 방법의 하나로 학생들의 독서 및 독후활동 이후 이를 담임교사나 사서가 인증해주고 그에 대한 보상을 통해 독서동기를 유발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가평지역 초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독서인증제의 운영현황 및 효과를 조사 분석하고 문제점과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문헌조사를 통해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과 독서인증제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고, 사서와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현황, 효과, 만족도, 독후활동, 독서동기 요인 등의 항목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도출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권장도서 선정, 다양한 보상체계를 위한 자체 예산배정, 참여율이 저조한 학생을 위한 독후활동 개발 등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각 초등학교에서 독서인증제 시행 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독서인증제 적용에 대한 인식 전환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is a form of reading education, a program in which homeroom teachers or librarians certify and reward students' reading and reading activities in order to raise motivation for reading.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management of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i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Gapyeong County, indicating problems and providing ways to resolve them by examining theories on school libraries' reading education and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through a documentary survey and by conducting a survey of librarians and students on the categories of management, effectiveness, satisfaction levels, reading activities and reading motivation factors. An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yielded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ere should be a recommended books selection, a separate budget for a diverse reward system and more reading activities for students with low participation levels. I hope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used as a reference when implementing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in elementary schools, and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in changing perspective when applying the system.

      • 독서 인증을 위한 평가 문항의 제작 기법 연구

        홍인선 국어교과교육학회 2005 국어교과교육연구 Vol.9 No.-

        이 연구는 독서 인증을 위한 평가문항의 제작 기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독서 인증 평가와 측정, 검사의 차이점을 밝히고, 독서 능력 평가의 범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독서 능력 평가의 유형과 원리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인 평가 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법의 실제를 언급하면서, 독서 평가 문항 제작자의 자격에 대해 언급하고 좋은 독서 평가 문항의 조건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항 제작의 절차에 대해 언급하고 그 절차에 따른 구체적인 기법을 실례를 중심으로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make clear the method of the evaluation for reading certification. For this purpose, at first, this study show the difference of the conception: a evaluation, a measurement, a examination. And this study present the category of evaluation about reading ability, specifically. Next, this study present the pattern and principle, a method of evaluation, for reading certification. And,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qualification of the person who make evaluating question about reading ability. At the same time, this study present the condition of a good evaluating question. At the last, this study present the making procedure and example of a question about reading ability.

      • KCI등재후보

        교양교육 과정과 연계한 독서인증제에 대한 고찰

        서기자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3

        대학생은 독서를 통하여 시·공간을 초월한 넓고 깊은 삶을 경험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폭넓고 유능한 사람으로 도약할 수 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독서 실태는 심각한 상황이어서 대학은 제도적 장치를 통해서라도 이를 담보해내려는 노력을 강구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대학에서는 책 읽는 풍토 조성을 위하여 독서관련 교과를 교양교육 전반에 걸쳐 강화하고 있으며 교과목 이외에 독서운동 확산의 방법으로 여러 대학에서 독서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미 독서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는 강원대학교, 조선대학교, 카이스트, 경상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인천대학교의 독서인증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독서인증제 와는 또 다른 새로운 방법으로 읽기, 말하기, 듣기, 쓰기의 통합적 운영을 목표로 교양교육과정과 연계한 독서인증제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그 예는 목원대학교 독서인증제의 사례로서 교양핵심 7개 영역에 독서인증 교과를 두어 읽기를 통한 내용 이해, 말하기를 통한 표현능력 함양, 주제에 대한 쓰기와 첨삭지도를 통한 글쓰기 능력 향상 및 자아성찰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하고 있다. Through reading, university students can experience the wide and deep life beyond time and space and leap as an extensive, capable people based on that. The reason is that reading must be the most important means to broaden the width of life experience indirectly and solve life tasks. Reading has a meaning as a guide of our life and an indicator to be proceeded toward, not a conceptual problem which is separated from life. For the university students who play the role of bridge in entering the society, reading will be a foothold of leap for their change and growth. However, in fact, the actual condition of reading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is so poor that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ies to guarantee that they would read a lot even through the institutional device. For this methodological approach, in this study, the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of each university of Korea where it had been already implemented was examined and the introduction of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which is connected with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as considered as an advanced alternative of methodolog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application of methodology to teach the university students of Korea so that they might lead to the change in their thinking and life through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 독후감 검증 키워드를 통한 독서 인증제의 문제점과 보완 방안

        김소영 국어교과교육학회 2005 국어교과교육연구 Vol.9 No.-

        이 연구는 학생들의 독서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키고 올바른 독 서 습관 형성을 위해 마련된 독서 교육의 한 방안인 독서 인증제의 여러 가지 인증 방식 중, 독후감 키워드 검증의 문제점과 보완 방안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검증 실태의 문제점은 현재 독서 인증제를 시범 운영하고 있는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학생들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 기술하고, 그 문제점을 밝혔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들의 독서 인증 실태를 살펴 보니, 책 본문을 그대로 인용하거나 독후감 속에 내용과 관련 없는 문자를 기록한 경우도 인증이 되고 있었다. 반면에, 글 줄거리보다는 감상을 중심으로 쓴 감상문 은 오히려 인증되지 않아 독후감 검증 키워드 방식의 한계를 보여 주었다. 그러므로 독후감 검증 키워드 방식의 장점을 살리는 방향으로 이 프로그램을 보완하려면, 학생들의 독후감 쓰기보다는 독후감 검증 키워드를 이용 한 이야기 만들기, 줄거리 완성하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 이 다. 또한, 선정된 책 속에서 검증에 적합한 키워드를 선정하는 단계를 제시 하였다. 먼저, 선정 원리를 밝히고 원리에 따라, 어휘 빈도수를 조사하고, 텍스트 분석을 통한 핵심어 조사, 교육용 어휘를 기준으로 한 독후감 키워드 수준 검토, 유의어 검색을 토대로 어휘량을 확장하는 단계를 거치는 실례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은 학생들의 독후 활동 검증에 좀더 정확한 평가로 이루질 수 있으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ocusing on finding the problem of keyword and drawing up a plan for fundemental improvement, which is one of ways for reading certification program being made for inducing any interest and motivation. The problem of verifying is stated and unveiled with materials of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which is performing it as a trial recently. As looking into the status of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students of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many have being performed to quote the original text or state irrelavant characters with the actual contents of a description of their impressions. On the other hand, the description of impressions focusing on the impressions rather than the plots shows the limitation against the verification methods of keyword since it has not been certificated. Therefore, if we can improve this program to stand out merits of the methods of keyword certification, it will be efficient to create stories with the keyword, completing plots, etc other than writing impressions through students' reading. As well, the after-reading activities of students would be recognized more exactly, as choosing the keyword in a book via the systemical ste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