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더덕 사포닌의 최적 추출방법 및 사포닌 함량 증대 방안

        임동현,권현민,김종혁,노일래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5 No.4

        더덕은 뿌리를 약용 또는 식용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최근 더덕 추출물의 약리효능이 각인되면서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서 흥미를 끌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더덕의 주요한 사포닌인 lancemasides의 추출방법을 확립하고, UV (A, B, C) 처리와 발효(5종의 유산균 및 효모) 처리를 통해 더덕의 사포닌 함량을 증대시키고자 수행하였다. 추출방법은 autoclave를 이용한 열수 추출방법이 기존의 초음파 추출방법보다 추출 효율이 더 우수하였다. 더덕의 사포닌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수확한 더덕 뿌리에 UV 처리와 발효 처리를 한 결과 UV 및 발효 처리는 각각 무처리에 비해 사포닌 함량이 약 20%, 22% 증가한 UV-C와 Bacillus subtilis 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UV-C 처리의 경우 수확한 더덕 뿌리에서보다는 생육 중인 더덕 잎에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그러므로 더덕의 사포닌 함량은 생육 중인 더덕 잎에 UV-C 처리 후, 수확한 뿌리에 B. subtilis 발효 처리를 통해 87%까지 증대시킬 수 있었다. 이것은 UV-C 처리는 스트레스 초기에 반응하는 사포닌류 생성에 관여하고 발효 처리는 사포닌의 상 전환에 관여하여 사포닌 함량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roots of Codonopsis lanceolata are used for medicinal or edible purposes and has recently attracted interest as a raw material in functonal foods that pharmacological efficacy of its extracts has been prove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extraction method for saponin lancemasides in C. lanceolata and increase the saponin content by UV (A, B and C) and fermentation (5 kinds of lactobacillus and yeast) treatments. The result showed that hot water extraction using autoclave was superior to the coventional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The result of UV and fermentation treatment to increase the saponin content in C. lanceolata root was that UV-C and Bacillus subtilis treatment were most effective to be increased saponin content by about 20% and 22% compared to non-treatment. In addition, UV-C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in growing C. lanceolata leaves than in harvested C. lanceolata roots. As a result, the saponin content in C. lanceolata can be increased by 87% through fermenting with B. subtilis at harvested root after UV-C irradiation on growing C. lanceolata leaves. It is assumed that UV-C treatment i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a kind of saponin by reacting initial-stress and fermentation treatment is related to increase saponin content by transiting within a kind of saponins.

      • KCI등재

        더덕과 팥의 성분분석과 더덕양갱연구

        채현석(Chae, Hyun-Seok) 한국외식경영학회 2016 외식경영연구 Vol.19 No.5

        더덕과 팥의 실용적 활용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더덕과 팥의 일반성분 분석, 식이섬유, 유리당, 폴리페놀화합물 함량분석과 항산화 활성 측정을 통해 양갱의 기능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더덕과 팥의 총 폴리페놀 함량 더덕 5.74 mg/g, 팥 4.14 mg/g과 총플라노 보이드 함량이 더덕 5.07mg/g, 팥 1.29 mg/g,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은 더덕 31.42%, 팥 37.98% 검출되었다. 또한 SOD 유사활성은 더덕은 25.24%, 팥은 35.33%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여 더덕과 팥이 양 갱의 부 원료로 기능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더덕을 첨가한 양갱은 더덕 첨가량이 14~21%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way to use Codonopsis lanceolata and adzuki beans practically, and to increase a possibility as raw material of sweet jelly through general componential analysis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adzuki beans, content analysis of dietary fiber, free sugar, and polyphenol compound, and antioxidative activity measurement to develop material of functional processed food. Moisture content of Codonopsis lanceolata is 90/45%. About free sugar content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adzuki beans, glucose content of Codonopsis lanceolata is 2.56%, fructose content of Codonopsis lanceolata is 18.26%, and saccharose content of Codonopsis lanceolata is 1.15%. In addition, glucose content of adzuki beans is 0.85%, fructose is not detected in adzuki beans, and saccharose content of adzuki beans is 7.41%. Total polyphenol compound content of Codonopsis lanceolata is 5.74mg/g, and total polyphenol compound content of adzuki beans is 4.14mg/g. Total flavonoid content of Codonopsis lanceolata is 5.07mg/g, and total flavonoid content of adzuki beans is 1.29mg/g. About antioxidative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adzuki bean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is 31.42%,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dzuki beans is 37.98%. SOD-like Activity is similar to DPPH Activity, so SOD-like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is 25.24%, and SOD-like Activity of adzuki beans is 35.33%. As amino acid content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adzuki beans is 18 kinds, asparagine and glutamic acid are the highest amino acid. Amino acid content of adzuki beans is 15 kinds, and tyrosine is the highest amino acid as 150.26ppm, and much aspartic acid and arginine are contained in adzuki beans. About Yanggaeng preference with Codonopsis lanceolata , a non-addictive group shows the lowest value as 5.58, and the preference is in the order of 21%>14%>28%>7%>0%. Therefore, adding 14~21% of Codonopsis lanceolata is the most fitting addition.

      • KCI등재

        더덕 추출물의 소취효과 및 항균활성 평가

        이상무,유민정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9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7 No.2

        Purpose: The antioxidant effects and antibacterial effects on 7 types of dermatitis of Codonopsis lanceolata (C. lanceolata) ethanol and water extracts were investigated to study its potential as an ingredient of antibacterial cosmetics for skin and functional cosmetics for hair by testing its deodorization effects on ammonia. Methods: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electron donating abil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 lanceolata extracts were investigated for its antioxidant effects and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c. lanceolata extract on 7 different germs causing dermatitis were explored with the paper disc method. In addition, a gas detection method was employed to test the deodorizing effects on ammonia.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tioxidant effects tes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C. lanceolata ethanol and water extracts were 88.86±1.64 and 76.46±1.23 μg/ mL, respectively,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measured 78.29±1.13 and 60.02±1.35μg/mL, respectively. As for the 2,2-diphenyl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was 78.78% and 62.12%. The test on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diammonium sal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was 80.12% and 72.24%. For the 7 dermatitis germs, C. lanceolata ethanol extract and water extract showed antibacterial effects at the concentration of 5 mg/mL. For the deodorization effects of C. lanceolata extract on ammonia, ethanol extract revealed 98% of deodorizing effects after 30 min. Conclusion: C. lanceolata ethanol extract had greater antioxidant effects and antibacterial effects on the 7 dermatitis germs than water extract; with higher deodorizing effects, it is considered suitable for making antibacterial cosmetics for skin and functional products for hair. 목적: 더덕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효과 및 피부염 7종에 대한 항균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암모니아에 대한 소취효과를 평가하여 피부용 항균소재 및 기능성 모발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더덕 에탄올 및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2,2-diphenylpicrylhydrazyl (DPPH) 전자공여능,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diammonium salt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조사하여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고, 피부염 관련 균 7종에 대한 더덕 추출물의 항균 효과를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가스 검지법을 이용하여 암모니아에 대한 소취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항산화 효과 측정 결과 더덕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88.86± 1.64, 76.46±1.23 μg/mL 이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8.29±1.13, 60.02±1.35 μg/mL의 함량이 확인 되었다. DPPH 소거활성은 500 μg/mL에서 더덕 에탄올 추출물은 78.78%, 열수 추출물은 62.12의 소거능이 확인 되었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결과, 500 μg/mL에서 더덕 에탄올 추출물은 80.12% 열수 추출물은 72.24%의 소거능이 확인 되었다. 피부염 7종 균에 대한 더덕에탄올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은 5 mg/mL 농도에서 항균효과가 확인 되었다. 암모니아에 대한 더덕 추출물의 소취효과는 에탄올추출물이 30 min 부터 98%의 소취력이 확인 되었다. 결론: 더덕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항산화 효과 및 피부염 7종 균에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소취력도 높게 확인 되어, 피부용 항균소재 및 기능성 모발 화장품 소재로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강원 횡성 및 제주지역 더덕밭 잡초발생양상

        송회근,김창석,이정란,서현아,최경미,이인용 한국잔디학회 2015 Weed & Turfgrass Science Vol.4 No.3

        강원 횡성 및 제주 지역의 더덕밭에 발생하는 잡초 발생상황을 파악하여 더덕밭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위하여 2014년 5월부터 10월까지 총 3회 조사하였다. 더덕밭에서 발생하는 잡초는 47과 207종으로 일년생잡초가 87 종, 월년생잡초가 47종, 그리고 다년생잡초가 73종이었다. 잡초의 형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에서 광엽잡초는 182종, 화본과잡초는 18종, 사초과잡초는 7종이었다. 우점도가 높은 잡초는 쑥, 바랭이, 닭의장풀, 개여뀌, 돌피 등이었다. 더덕밭 발생잡초 중 외래잡초가 59종으로 전체의 29%를 차지하였으며, 개망초, 주홍서나물, 미국가막사리, 서양금혼초 등이 발생하였다. PCA 분석 결과, 강원 횡성 더덕밭의잡초군락은 개망초군락, 털진득찰군락과 닭의장풀군락으로분석되었으며, 제주 더덕밭의 잡초군락은 주홍서나물-참방동사니군락, 들개미자리군락, 새포아풀군락과 뽀리뱅이군락으로 분석되었다. The weed flora in the Codonopsis lanceolata upland fields were surveyed in Hoengseong and Jeju in May, August, and October of 2014.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use the survey data for establishing weed control methods and to bring awareness of possible problematic weeds occurred in C. lanceolata upland fields in Korea. Altogether 207 weed species of 47 families were identified, of which 87 were annual, 47 species were biennial and 73 were perennial.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leaves, 182 species were broad leaves, 18 species were grasses, and 7 species were sedges. The dominance was highest in the Artemisia princeps followed by Digitaria ciliaris, Commelina communis, Persicaria longiseta and Echinochloa crus-galli etc. Fifty-nine species were exotic weeds with 29% of a total presence, of which Erigeron annuus was highest, followed by Crassocephalum crepidioides, Bidens frondosa, Hypochaeris radicata etc. In the PCA plot, weeds presented in the C. lanceolata upland fields of Hoengseong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E. annuus, Sigesbeckia pubescence and C. communis communities and those of Jeju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 crepidioides-Cyperus iria, Spergula arvensis, Poa annua and Youngia japonica communities.

      • KCI등재

        UPLC-QTOF-MS분석를 이용한 국내산 더덕 주산지의 표지물질 선정

        안영민 ( Young Min An ),장현재 ( Hyun-jae Jang ),김두영 ( Doo-young Kim ),백남인 ( Nam-in Baek ),오세량 ( Sei-ryang Oh ),이대영 ( Dae Young Lee ),류형원 ( Hyung Won Ryu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21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4 No.3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은 주로 한국, 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 재배되고 있으며, 더덕의 뿌리는 기침, 기관지염, 천식, 결핵, 소화 불량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기능성 식품 및 전통 의학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보고된 바에 의하면 phenylpropanoids, polyacetylenes, saponins, flavonoids와 같은 다양한 식물 천연물 성분들이 항비만, 항염, 항암, 항산화, 항미생물 활성과 같은 약리학적 작용에 관여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MS기반 대사체학 분석을 이용한 주산지의 마커 성분을 선정하는 것은 다른 지역에서 재배된 약용 식물의 안전성뿐만 아니라 화학적 조성과 생물학적 효능의 변화와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부작용 없이 더덕의 유익한 효과만을 보장하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더덕의 주산지 특성을 구별하기 위해 UPLC-QTOF-MS를 기반으로 하는 대사체 프로파일링과 다변량 통계분석 기법인 PCA 분석을 수행하여 판별모델을 확립하였다. 그 결과 인제(강원도), 횡성(강원도), 무주(전라북도)의 3개 그룹이 PCA와 loading plot 분석결과 tangshenoside I, lancemaside A, lancemaside G는 더덕 주산지를 구별하기 위한 잠재적 대사체 마커들로 제안하였다. Codonopsis lanceolata (Deoduk) was grown in East Asia, including Korea, China, Japan, and Russia, and the roots of C. lanceolata have been used as functional foods and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symptoms of cough, bronchitis, asthma, tuberculosis, and dyspepsia. The phytochemicals of C. lanceolata have been reported such as phenylpropanoids, polyacetylenes, saponins, and flavonoids that are involved in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anti-obesity, anti-inflammation, anti-tumor,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Selecting marker substances of the main producing area by MS-based metabolomics analysis is important to ensure the beneficial effect of C. lanceolata without side-effects because differences in cultivated areas of plants were related not only to the safety of medicinal plants but also to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efficacy. In our present study,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quadrupole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combined with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was applied to recognize the main producing area of C. lanceolata in South Korea. As a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loading plot analysis of three groups, Inje (Kangwon-do), Hoengseong (Kangwon-do), and Muju (Jeonlabuk-do), several secondary metabolites of C. lanceolata including tangshenoside I, lancemaside A, and lancemaside G, were suggested as potential marker substances to distinguish the place of main producing area of C. lanceolata.

      • 資源稙物의 光合成 및 物質生産에 관한 硏究 : 1.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Use Efficiency and Changes in Photosynthetic rate under different light intensity of Codonopsis lanceolata Trauty 第1報 더덕의 光 强度別 光合成速度 變化와 水分利用率의 特性

        李忠烈 密陽産業大學校 農業技術硏究所 1999 農業技術開發硏究所報 Vol.3 No.1

        더덕의 光 强度별 光合成速度의 變化와 水分利用效率 등을 밝히기 위하여 더덕을 이랑너비 70cm, 두둑 높이 25cm로 만들어 4월 30일에 40cm 간격으로 이식한 후, 開花始 以後에 완전 전개한 잎을 이용하여 Ll-6400 휴대용장합성측정장치로 自然光下에서 光合濫 速度, 蒸散作開, 水分利用效率 등을 측정하였고, Ll 6400-02 LED의 인공광선으로 0, 100, 300, 500, 700, 1000, 1500, 2000 mol/m2/s의 광에서 光合成速度를 測定하였다. 또한, 光合成速度의 測定이 완료 후 잎의 수분포텐셜과 SPAD 등을 調査하였다. 1. 더덕의 光合成速度는 光 强度가 增加함에 따라 光合成速度도 增加하는 傾向이었으며, 光飽和点 은 700-1500 mol/m2/s이었다. 2. 더덕의 水分利開效率은 4.81∼5.96사이로 나타났으며, 遮光 處理한 잎이 정상적으로 生育한 잎보다 다소 높은 傾向이었다. 3. 光合成速度와 蒸散作開과의 關係는 -次 直線回 歸式 Y= 3.14X+4.41(Y:光合成速度, X:蒸散作開)로 나타났으며 相關係數가 0.712**로서 兩者間에 高度의 有愈性이 認定되었다. The Condonopsis lanceolata was planted 70cm x40cm in field to investigate on the changes of photosynthesis followed by the investigation on the light intensity and water use efficiency. The photosynthetic rate was increased as the PAR was increased to 700 μmol/m2/s in leaves of SPAD value 40, and was increased as the PAR was increased to 1500μ mol/m2/s in leaves of SPAD value 50. The light saturation point of the Condonopsis lanceolata was 700-1500μ mol/m2/s. The water use efficiently of the Condonopsis lanceolata was 4.81-5.96, and was showed higher shading treatment leaves than the control. A linear equation were obtained between net photoynthetic and transpiration rate.

      • 더덕재배시 잡초경감을 위한 피복재료의 효과

        오세명,정형진,정규영,권순태 安東大學校 農業科學技術硏究所 1998 農業科學技術 硏究論文集 Vol.5 No.-

        답전윤환에 의한 1년차 더덕재배에서 총 43종의 잡초가 관찰되었는데, 그 중 일년생이 25종, 이(월)년생이 9종, 다년생이 9종이었다. 전 년도에 논포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더덕재배의 문제잡초는 좀명아주, 뚝새풀, 마디풀, 여뀌, 바랭이 등과 같은 밭잡초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덕의 직파재배에서 무피복재배구에 비해 건물증을 기준으로 왕겨피복이 58.7%, 볏짚피복이 50.4% 비닐피복이 51.6%의 잡초 경감효과를 보였다. 직파재배한 1년근의 수량은 비닐피복구가 가장 높았고 제초제처리구, 왕겨 피복, 볏짚피복 및 무피복 순이었다. 1년생근을 이식재배한 경우 잡초 발생량은 더덕과 경쟁할 수 없는 미약한 수준이었고, 왕겨피복과 볏짚피복 재배는 비닐피복 재배에 비해 각각 22% 및 15%의 수량증가 효과 있었다. A total of 43 weed species belonging to 25 annuals, 9 biennials and 9 perennials were identified in paddy-upland field rotational croppings of Codonopsis lanceolata Benth. et HooK. Regardless of former paddy field, upland weeds such as Chenopodium ficifolium. Alopecurus aequalis, Ploygonum bellardi, Persicaria hydopiper, and Digitaria sanguinalis, were major weeds in C. lanceolata fields. Based on weed dry weight, rice-husk, rice-straw and PE film mulching plots were decreased 58.7%, 50.4%, and 51.6% of weed occurence as compared with no mulching plot, respectively. In direct seeded plots, yields of one year old roots were higher in PE film mulching plot, herbicide applied plot, rice-husk, rice-straw mulching and no-mulching plots in order. In case of transplanted cultivation using one year old roots, weed occurrence was negligible even in no-mulching plot. Riec-husk and rice-straw mulching increased 22% and 15% root yields as compared with PE film mulching, respectively.

      • 더덕(Codonopsis Lanceolata)로부터 추출한 사포닌의 항산화효과

        김영희(Young Hee Kim) 상명대학교 공학기술연구소 2007 공학기술연구 Vol.2007 No.0

        먼저 사포닌을 메탄올로 추출하고 다음에 에테르 추출, 황산에 의한 침전 및 투석 등으로 정제하였다. 이 단계에서 많은 양의 조사포닌을 얻을 수 있었다. 사포닌을 더 정제하고 성분별로 분리하기 위하여 조사포닌을 TLC에 점적하고 용매를 써서 전개하여 표준 사포닌과 비교하여 사포닌임을 확인하였다. 더덕 사포닌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한 Reducing power test는 농도에 따른 변화를 보였다. 즉, 사포닌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왜냐하면 사포닌이 free radical로 옮겨졌기 때문이다. DPPH에 따른 전자공여능 (EDA)은 더덕의 사포닌에 α-tocopherol를 첨가한 것이 α-tocopherol과 더덕의 사포닌만을 따로 반응시킨 것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더덕사포닌은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aponins extracted from dodok. A rapid method of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saponins from dodok was deviced. The saponins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and purified by ether extraction, precipitation with ammonium sulfate and dialysis. For the further purification and the separation of saponin components,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spotted with the saponins mixture was unidirectionally developed twice using two different solvent systems. Saponins were compared with the standard ginsenoside. Antioxidant activity of Reducing power experiment showed a Large change according to a change of density of an added sample. According to increasing quantity of saponin, antioxidant activity was increased, because saponins removed a free radical.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to DPPH(α,α-diphenyl-β-picrylhydrazyl) of dodok saponin with α-tocopherol was higher than that of α-tocopherol or dodok saponin alone, respectedly. Therefore, we concluded the saponins from dodok has the ability of antioxidizing activity.

      • KCI등재

        더덕포장 선충발생 상황 및 당근뿌리혹선충에 의한 피해

        임주락,황창연,김종엽,박춘봉,김대향,최정식,추병길,Lim, Ju-Rak,Hwang, Chang-Yeon,Hwang, Jong-Yeon,Park, Chun-Bong,Kim, Dae-Hyang,Choi, Jung-Sick,Choo, Byug-Bil 한국응용곤충학회 200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4 No.4

        우리나라 더덕의 주 재배지인 전라남북도, 경상북도, 경기도, 강원도, 제주도, 울릉도 등 15지역 116개 재배포장을 대상으로 한 식물기생선충의 분포와 피해를 조사하였다. 분포가 확인된 9속의 선충 중 Ditylenchus citri, Meloidogyne hapla, M. incognita, Pratylenchus neglectus, Tylenchorynchus claytoni 등 5종이 동정되었다. 이들 중 M. hapla의 포장검출률이 61.9%로 가장 높았고, Tylenchu spp. 16.1%, Pratylenchus neglecrus 7.8%, Ditylenchus citri 5.1%, Helicotylenchus sp. 5.1%순이었다. 더덕 2년생을 대상으로 한 지역별 당근뿌리혹선충에 의한 피해는 포장감염률과 감염주율이 각각 67.0%, 60.2%였으며 평균 감수율은 10%였다. 전북지역 더덕 재배지에서 당근뿌리혹선충에 의한 피해는 재배년수가 길어질수록 많았고, 평야지가 산간지나 중산간지보다 많은 경향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plant-parasitic nematodes and their damages on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at 116 fields of 15 major cultivation areas in Korea. Among the 9 plant-parasitic nematode genera detected in the fields, Ditylenchus citri, Meloidogyne hapla, M. incognita, Pratylenchus neglectus, Tylenchorynchus clayton were identified. M. hapla Chitwood showing the highest field infection rate of 61.9% followed by Tylenchus spp. 16.1%, Pratylenchus neglectus 7.8%, Ditylenchus citri 5.1%, and Helicotylenchus sp. 5.1%. Average field infection rate of root-knot nematodes in 2-year-old C. lanceolata was 67.0%, and the average plant infection rate was 60.2%. The average yield decrease rate was 10%. The damage rate by the root-hot nematode increased as the cultivation year extended in Jeonbuk province, and the damage was also higher in flat land than in mountainous areas.

      • KCI등재

        더덕에서 약용식물을 이용한 당근뿌리혹선충 증식 억제 효과

        임주락,황창연,류정,최영근,Lim, Ju-Rak,Hwang, Chang-Yeon,Ryu, Jeong,Choi, Yeong-Ge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5 No.3

        약용식물 25종 중 지모, 창포, 쇠무릎, 짚신나물, 패랭이, 큰뱀무, 약모밀, 원추천인국, 아주까리, 현삼, 흑참깨, 기린초, 오이풀 등 13종의 식물체 추출액 5배와 10배의 희석농도에서 살선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덕을 Pot에 파종하여 13종의 식물 추출액 5배액의 살선충 효과를 평가한 결과 짚신나물을 제외한 12종의 식물체 추출액에서 살선충 효과가 있었고, 지모, 쇠무릎, 창포, 패랭이, 원추천인국, 아주까리 등 6종의 추출액은 80% 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선발된 약용식물을 재배했었던 포장에 더덕을 파종하고 당근뿌리혹선충의 감염정도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짚신나물을 제외한 지모 등 12종의 식물 포장에서 뿌리혹 및 토양 내 유충밀도가 적게 발생하였으며, 8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선발된 약용식물을 퇴비처럼 처리한 포장에 더덕을 파종하였을 때는, 뿌리혹수 및 난낭수, 토양 내 유충밀도가 무처리에 비해서 흑참깨 처리를 제외하고는 적게 발생하였으나, 방제효과는 선발된 약용식물을 재배했던 포장에 비해 크게 떨어졌으며, 쇠무릎과 창포 처리의 방제가만 70% 이상으로 다른 식물에 비해 좋았다. Possible nematicidal effects of plant extracts of 25 species uninfected by M. hapla were observed at the 5 times dilutions in all treatments and at the 10 times dilutions in Anemarrhena asphodeloides, Acorus calamus, Achyranthes japonica, Agrimonia pilosa, Dianthus chinensis, Geum aleppicum, Houttuynia cordate, Rudbeckia bicolor, Ricinus communis, Scrophularia buergeriana, Sesamum iindicum, Sedum kamtschaticum, and Sanguisorba officinalis. The 13 species plant extracts of 5 times dilutions were evaluated for the suppression effects on reducing densities of M. hapla by treating to C. lanceolata sown and transplanted later in pots. All the plant extracts showed suppressive effects on M. hapla except for.A. pilosa. The suppressive effects of A. asphodeloides, A. japonica, A. calamus, D. chinensis, R. communis, and S. buergeriana were over 80%. When the selected plants had been incorporated into the soil before C. lanceolata was sown, the numbers of root galls, egg sacs and $J_{2}$ appeared lower in the treatment of 12 plant species than in control except for S. indicum. But the suppressive effects were lower than the effects of selected plants being cultivated simultaneously in the field. A. calamus and A. japonica exhibited over 70% suppressive effects, among the tested pl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