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구 출신 판소리 명창들의 음악적 지향

        김혜정 판소리학회 2017 판소리연구 Vol.44 No.-

        대구의 판소리는 존재하는 것일까? 이와 같은 물음의 답을 찾기 위해 본고에서는 대구 출신 명창들의 음악을 통해 대구 지역 판소리의 음악적 지향이 어떤 것이었는지 다른 지역과 다른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굳이 대구지역 출신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보다 지역성에 집중하기 위함이며 판소리 생산지로서의 의미가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 출신 명창들은 1920-30년대 활동이 활발했던 여성 명창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는 대부분 권번을 통해 교육받은 이들일 것으로 생각된다. 이 지역의 세습무 집안 남자들이 판소리를 전승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대구 지역의 명창 배출은 특정 시기에 한정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성기음반 녹음 목록과 경성 방송국의 방송 목록을 확인한 결과 대구 출신 명창인 김추월, 강소춘, 박소춘, 김소향, 김초향 등은 이동백, 신금홍, 한성준 등 충청도나 경상도 출신 명인들과 함께 활동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단가를 자주 불렀으며 판소리에서도 특별히 더 선호하는 대목들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구 명창들이 선택한 대목의 음악적 특성을 살펴보면 호남의 토착 음계와 유사한 계면조를 최대한 배제하고 우조와 경드름, 설렁제, 동강산제 등 시김새가 두드러지지 않는 대목들을 선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에게 있어서 호남 지역의 음악을 표현하는 것은 부담이 되었을 것이므로, 이를 피해 자신들이 더 잘 할 수 있는 음악을 선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넷째,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음악문화라면 해당 장르에서만 그 특성이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지역의 음악문화와의 연계성 위에 설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대구는 음악학에서 한반도 동부의 메나리토리권으로 분류되는 지역이며 한반도의 서부 지역보다는 리듬이 발달한 곳이다. 대구 출신 명창들의 음악에는 그러한 그들의 미적 취향이 담겨 있다. 즉 대구지역의 기층 음악문화와 대구 출신 명창들의 음악이 일정한 연계성을 띈다고 할 수 있다. 한 가지 안타까운 점은 위와 같은 대구의 판소리가 현재는 선명하게 전승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존 판소리는 상당히 ‘남도화’되어 있다. 때문에 판소리가 전라도만의 문화로 이해되고 있기도 하다. 앞으로 대구에서 판소리를 더욱 적극적으로 계승하려 한다면 대구 지역 사람들의 취향이나 음악적 특수성을 감안하여 다시금 대구만의 판소리를 발전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Is Daegu Pansori a concept that can be established? In order to fi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musical orientation of Daegu Pansori and determine if there are differences from other regions based on the music of the musicians from Daegu. The reason for choosing musicians from Daegu is to focus on the regional aspects and because the meaning of Pansori producing area is most importa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 analysis of a gramophone-based recording list and a broadcast list from Kyungsung Broadcast shows that master singers from Daegu frequently worked together with master singers from Kyungsangdo and Chungcheongdo, such as Lee, Dongbak, Shin, Keumhong, Han, and Sungjun, and some part such as Danga, Ujo, and Sullungje were preferred more than others. Seco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from the parts chosen by Daegu master singers exclude Kyemyeonjo, which is similar to the unique scale of Honam, as much as possible, and prefer Ujo, Sullungje, Donggangsanje, and others that do not show remarkable use of sigimsae. For them, expressing the music of Honam could have been burdensome; therefore, it was a good decision for them to have chosen the kind of music they excelled at creating. Finally, it is important for a regionally based music culture to display not only its characteristics but also its connectivity to the music culture of the overall region. Daegu is categorized to be in the region of the Menaritori zone, from the eastern part of Korea, and shows more developed rhythms than the western part of Korea. In Daegu master singers’ music, such preferences are well reflected. In other words, there is consistency between the basic culture and the music of Daegu master singers. However, there is one regrettable issue: the true nature of “Daegu Pansori” is not clearly transmitted. The existing Pansori is highly “southernized,” which is why Pansori is considered an exclusive culture of Jeollado. If Daegu wants Pansori to achieve greater success, Daegu Pansori needs to be developed in a manner wherein the distinctive features and taste of the people from Daegu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 KCI등재

        와카(和歌)의 한국어역에 있어서 대구(對句)의 번역 ― 『만요슈(万葉集)』의 장가(長歌)를 중심으로 ―

        박일호 한국일본학회 2017 日本學報 Vol.112 No.-

        대구를 ‘같은 구조를 가지며 나란히 진행하는 문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등가의 요소를 공유하는 구조’라고 할 때에 그 등가의 요소는 각 언어마다 다른 특성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통사적 요소와 운율적 요소의 측면에서 각각의 언어는 자신들의 특성을 구현하고 있다. 한국어는 일본어와 통사구조가 유사하지만, 중국어나 서구어와는 다르다. 그리고 한국어는 일본어와 운율구조에 있어서 유사한 면도 있지만 다른 면도 많고, 중국어나 서구어와는 크게 다르다. 따라서 대구에 있어서도 언어에 따라 이러한 요소의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번역의 과정에서 그대로 옮겨지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한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통사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대구의 번역에 있어서도 통사적 요소는 잃는 것이 적으리라 예상된다. 이러한 말의 대응 형식은 등가의 의미만을 전하는 것이 아니라 관념성을 물질성으로 치환해 놓는 기능을 가진다. 장가의 5・7음의 나열은 마치 무색투명한 말의 나열과 같다고 할 수 있는데, 대구가 도입됨으로써 색채를 가진 말로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른바 언어의 물질화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수용자는 대구로 되어 있는 표현을 접하며 바로 의미를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물질처럼 지각을 통해 감각하고 이미지의 무게를 느끼게 된다. 통사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가진 언어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대구가 통사적 요소를 잃지 않고, 의미의 등가로 대응하는 구조로 정확히 번역될 수 있다. 그런데 대응하는 구조에 통사적인 요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운율적 요소가 있어서, 이 요소는 번역을 어렵게 한다. 일본 시가의 경우 압운은 운율적 대응구조를 만드는 요소로서는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고, 음절의 강약, 음의 고저, 음의 장단이라는 요소의 등가 또한 없다. 이 점은 한국 시가와도 공통되는 특성이다. 그러나 음수율의 등가와 동일음 또는 유사음의 등가 등은 대구 구성에 효율적인 요소로 활용된다. 이 중에서 동일음 또는 유사음의 등가에 근거한 운율적 대응구조는 일본시가의 대구에서만큼은 의미의 대응과 함께 압운 방식을 원용하여 대구의 구성을 보다 긴밀하고 완전하게 만드는 방법으로서 활용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번역에서 의미의 대응구조는 중시하나 운율의 대응구조는 놓치기 쉽다. 대구에 있어서 음성의 대응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이미지로 연결되기도 하고 단절되기도 하며 이른바 운율적 움직임을 만들어 낸다. 그래서 대구의 운율적 움직임은 단지 소리의 호응에 머물지 않고 심정의 움직임에 이어진다. 또한 운율적 일탈에 의해 서정을 새롭게 획득하기도 한다. 이러한 점들이 대구에 있어서 음성의 대응구조에 특히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의미의 대응구조와 통사의 대응구조 뿐만 아니라 운율의 대응구조도 함께 주목하여 번역할 때에 시의 수사적 의도가 바르게 전달된다. The arrangement in the fifth and seventh sound of Waka is similar to the colorless and transparent characteristic in words but it can have a kind of decorative effect by introducing the antithesis. It can be what is known as the materialization of language. Readers can not receive the meaning as soon as they hear an expression of antithesis but can watch and feel the weight of a visual image as though it were a sort of substance. Accordingly, the antithesis can be correctly translated into the structure corresponding with equivalence in meaning without losing the syntactical elements because language is likely to have a syntactically similar structure. However, there is a rhythmic element in the corresponding structure besides the syntactic element and it makes the translation work very difficult. In Japanese poetry rhythm is not that effective for creating a rhythmically corresponding structure and there is no equivalence in the elements such as accentuating a syllable, pitch, and beat of sound, either. This is highly similar to Korean poetry. However, equivalences such as a syllabic meter, tautosyllabic, or assonant are effectively used in the composition of an antithesis. Especially, a rhythmically corresponding structure based on the equivalence of an assonant is not a universal style in Japanese poetry but is being used as a way of making the composition of antithesis much more complete and, simultaneously, more well organized. The phonetic correspondence in an antithesis can form a so-called rhythmic movement over time, producing connected or disconnected images. Thus, the rhythmic movement of an antithesis is not intended to receive the response of sound but leads to the movement of feelings. This is wh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orresponding structure of sound in an antithesis. The rhetorical intention of a poem can be properly conveyed when we observe the rhythmically corresponding structure in translation besides the semantic and syntactic structure.

      • KCI등재

        조선 후기 『대구읍지』 편찬과 사족의 대응 -과거편과 인물편의 인물 수록 시기 분석을 중심으로-

        이재두 ( Jae Doo Lee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6 嶺南學 Vol.0 No.29

        이 글은 조선 후기 『대구읍지』의 편찬과 증보 과정 및 과거편과 인물편의 인물 수록 시기 분석을 통하여 읍지 편찬을 둘러싼 대구 지역 사족의 대응을 살펴보았다. 『대구읍지』는 1637년 처음 편찬된 이래, 1697년 현감 우석규, 1757년 진사 조춘경에 의하여 증보 작업이 이루어졌다. 현전하는 『대구읍지』(1768)는 조춘경 등이 『여지도서』의 저본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다. 1786년에는 우재악, 서발, 도술모 등에 의해 읍지가 수정·보완되었다. 『대구읍지』는전국 읍지 상송령에 따라 편찬된 『경상도읍지』(1832)·『영남읍지』(1871)·『영남읍지』(1895)의 일부, 혹은 『대구부읍지』(1899)로 보관되어 있으며, 『경상도읍지』(1832)의 초고본인 국립중앙도서관의 『대구부읍지』로도 남아 있다. 17세기 말 풍각과 화원 지역이 대구에 편입되면서 『대구읍지』의 증보가 필요하였다. 1697년 읍지 과거편에는 밀양을 연고로 하는 많은 인물들이 수록되었다. 『대구읍지』 과거편은 1786년을 마지막으로 19세기가 끝나가도록 추가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1786년 이후 『대구읍지』에서 18세기 말 이후의 과거 합격자가 수록되어 있지 않은 사실을 통해서도 입증된다. 1786년 추가된 인물 10명 중 8명은 고려 말 이래 인조 때까지의 인물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증보 사항은 『경상도읍지』(1832)부터 확인할 수 있는데, 1786년의 읍지는 전해지지 않기 때문이다.『대구읍지』 인물편 수록 인물의 추가 과정을 통해 조선 후기 대구 지역 사회를 주도해 나간 사족의 확대 양상을 살필 수가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읍지만으로는 1637년 읍지를 처음 편찬할 당시 수록되었거나 수록되었다가 빠진 인물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다만, 대구 지역 사족들은 『대구읍지』에 입록하기 위하여 자신의 선조들이 정구의 문인임을 밝히려고 노력하였음을 확인할 수있다. 『대구읍지』 인물편에 보이는 정구의 문인 22명은 1637년 4명이 처음수록된 이래, 1697년 15명이 추가되었고, 1832년 3명이 추가되었다. 조선 후기 지역 사회에서 읍지 입록은 후손들이 사족으로 인정받고 영향력을 확대하려고 노력한 결과였다. 대구 지역에서는 읍지 편찬 과정에서 새로 편입된 화원 지역(화원 8방) 사족들의 불만이 강하였다. 화원 지역에서는『대구읍지』에 화원 지역 인물들이 제대로 수록되지 않은 것에 불만을 품고화원읍지라 할 수 있는 『금성집언』를 편찬하기도 하였다. 관과 유착된 서인·노론계 사족들이 읍지 편찬을 주도하면서 이들에 대한 지역내 남인계 사족 세력이 불만을 가졌거나, 아예 사족 세력을 배제하고 관이 중심이 되어 향리들이 주도하여 읍지를 편찬하였으리라는 추정도 가능하다. 이는 19세기읍지에 지역 사회의 주요 인물들을 전혀 수록하지 않은 데서도 알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compiling and revising of Daegu Eupji(the town record of Daegu), and the people in the Civil Servant Examination and People Sections of the Eupji, and looked into the response of the gentry of the Daegu area. Daegu Eupji was first compiled in 1637 and revised by the mayor Wu Seok-gyu in 1697 and Jinsa(low-ranking public officer) Jo Chun-gyeong. The surviving Daegu Eupji(1768) seems to have appeared while Jo Chun-gyeong and others were making the original script of Yeojidoseo, the national geographical book. The Daegu Eupji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by Wu Jae-ak, Seo Bal and Do Sul-mo in 1786. Daegu Eupji is kept as a part of Gyeongsang Province Eupji(1832), Yeongnam Eupji(1871), and Yeongnam Eupji(1895), or as Daegu District Eupji(1899), and is left as Daegu District Eupji, which is the first edition of the Gyeongsang Province Eupji(1832). In the late 17th century, Daegu Eupji needed to be revised because Punggak and Hwawon areas were included in Daegu. In the Civil Servant Examination Section in the Eupji in 1697 many people who had a connection with Miryang city were included. The Civil Servant Examination Section in the Daegu Eupji did not have any additions since 1786 until the end of 19th century. Another proof of this fact is that since 1786, Daegu Eupji has not added anyone who passed the civil servant examination after the end of the late 18th century. The eight out of ten people who were added in 1786 were the people who lived betwee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the King Injo(1623∼1649)periods. This shows that the Eupji is the products of the efforts of the Daegu gentry of the late 18th century who included their ancestors in order to enhance their status in their town society. However, this addition can be confirmed from Gyeogsang Province Eupji(1832) since the 1786’s Eupji has not survived. Looking into the process of adding people to the People Section in Daegu Eupji, we can find expanding influence of the gentry who led Daegu society. By looking at the surviving Eupji,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people who were added, or who were added and then removed from the Eupji since it was first compiled in 1637. We can only confirm that the Daegu gentry tried to prove that their ancestors were the followers of the scholar Jeong Gu in order to include their ancestors in the Daegu Eupji. Out of the 22 followers of Jeong Gu in the People Section in Daegu Eupji, four people were first added in 1637, 15 in 1697 and three in 1832. In the local society of the late Joseon Dynasty, adding their ancestors to the Eupji was the result of the descendants’ efforts who wanted to be recognized as part of the gentry. When Punggak and Hwawon areas were newly added in the Eupji during the compiling time, the gentry in Hwawon(8 sub-divisions) were strongly dissatisfied with the compiled contents. They were dissatisfied that people in Hwawon area were not added properly, so they compiled the Geumseong Jipeon, a version of Hwawon Eupji. It is presumed that while the Westerners and the Norons who were linked to the seat of political power were instrumental in compiling the Eupji, the Southerners of the area were dissatisfied with the content. This can be confirmed from the fact that the main local leaders were not recorded in the 19th Eupji.

      • KCI등재

        대구대학교 발달재활학과 교육과정 운영 방향 제언

        김영준,이근용,김화수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대구대학교 발달재활학과 교육과정 운영 방향 제언김 영 준*ㆍ이 근 용**ㆍ김 화 수*** 요약: 본 연구는 대구대학교에 신설될 발달재활학과의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방향을 제언하는 데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대구대학교는 평생교육원 산하 K-PACE센터 등의 인프라를 통해 발달장애인 맞춤형 고등교육 및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활발히 개발 및 운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경을 통해 학위제 중심의 학과(전공)가 신설될 수 있다. 연구 방법은 전문가 자문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내용은 대구대학교 발달재활학과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내용과 적용 방법의 두 가지 범주로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대구대학교 발달재활학과는 발달장애인들의 독립생활을 위해 전 성인기 생애 동안 평생교육 지원체제의 기반을 형성하는 주요 토대라는 측면이 분석되었다. 또한, 장애인평생교육 유관기관 간 교육과정 연계도 리더할 수 있다고 분석되었다. 핵심어: 대구대학교, 발달재활학과, 교육과정, 운영 방향, 제언 □ 접수일: 2022년 2월 28일, 수정일: 2022년 3월 21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주저자, 조선대학교 연구교수(First Author, Professor, Chosun Univ., Email: helperman20@hanmail.net)** 공동저자, 대구사이버대학교 총장(Co-author, President, Daegu Cyber Univ., Email: jutsg@naver.com)*** 교신저자, 대구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평생교육원 K-PACE 센터 소장(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aegu Univ., Email: whasoolang@hanmail.net) Proposal of the Direction of Operation for the Curriculum of theDepartment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at Daegu UniversityYoungjun Kim, Kunyong Rhee, & Whasoo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to be newly established at Daegu University. Daegu University actively develops and operates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ailored to the developmental disabled through infrastructure such as the K-PACE Center under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and through this background, a degree-oriented department (major) can be established.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expert advice.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in two categories: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operation of Daegu University’s Department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and the application method. As a result, Daegu University’s Department of Development and Rehabilitation was analyzed as a major foundation for forming the basis of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during the entire adult life for the independent life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it can lead the linkage of curriculum between related institution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Key Words: Daegu University, Department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Curriculum, Direction of Operation, Suggestion

      • 대구지역 근대무용사에 있어서 정소산에 의한 정재무의 재발견

        김죽엽 영남춤학회 2014 영남춤학회誌 Vol.2 No.1

        For studies on Daegu's modern history of Korean dance, reillumination of artistic performances of Jung Sosan, a living witness and record of Daegu's modern dance history, and new reevaluation of dance history have an important meaning for correct understanding and value judgement of Daegu's modern dance. Jung Sosan is not only starting point of the pride in history for Daegu which is wasteland of traditional dance and hope for traditional dance of Daegu aiming at the future but also is boastful existence of Daegu's dance history and pride of Daegu's dance field. New understanding of existential value for Jung Sosan who played a pivotal role in modern dance history in Daegu of Yeongnam area can be a start of Daegu's modern dance history and will be an important criterion and record which are showing future-aimed artistic value. Under the periodical changes, the value of Jung Sosan who preserved and passed down the tradition and marked a milestone for local culture should be recognized and illuminated again. Thus, the activities will be earnest study on it as a new issue of dance field and an opportunity to find new directivity and measure of Korean dance in Daegu area. In addition, it will be variously interpreted for defining characteristics of modern dance in Daegu area. 현재 전통무용의 불모지인 대구지역에 전통무용이 존재하는가? 라는 질문은어느 누구도 생각하지 못한 발상이고 무용계에서도 상상하지도 못하는 발언이다, 본인 또한 정소산이란 인물이 대구 한국무용 근대사의 시조가 된다는 사실에직면하기 전까지 그러했다. 그럼 정소산이란 인물은 누구인가? 정소산은 대구출신으로 1900년대의 궁중무용(법무)을 전승. 보존하며 전통의 맥을 지켜 온 대구 지역의 근대 춤 사의 산증인이자 선구자인 동시에 대구지역의 한국무용이 발전할 수 있도록 기점을 마련한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존재감까지도 잊혀진 인물이다. 대구에서 정소산에 대한 인물이 거론 된 것은 정소산의 수건춤인 흥춤이백년욱에 의해 지방 문화재에 등록되어 심의되면서 화두에 오르기 시작했다. 대구 지역의 무용인들조차 그 존재를 아는 사람이 소수에 불과하다. 2009년 본인이 국악학 전국 학술대회에서 대구 근대사의 선구자 정소산을 연구하다가 귀중한 무용자료를 발견하였다. 그 자료는 정소산의 궁중무용(법무) 검무, 포구락, 무고가 1970년 말까지 대구에서 공연이 되어졌으며 1967년 경상북도 도 문화재로 심의되기도 했다. 현재 정소산의 유일 무일한 제자 백년욱은 정소산의 무고와포구락 그리고 검무를 공연한 제자로 그 맥을 지키고 있으며 대구 무용계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무용계의 한 획을 그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특히 정소산의 포구락은 연구해야 할 그 가치가 높다. 국립국악원 현행 포구락과 경상남도 문화재로 지정된 진주 포구락만 존재하고 있으며 그 외의 흔적은제주도에 그림으로 남겨져 있는 것이 모두이다. 현재 무용계의 이 이론을 뒤집을만한 반증이 대구의 무용계에 있다는 놀라운 사실이다. 이젠 무용계에도 대구 근대사의 역사를 증인해 줄 원로들이 그 수가 많지 않으며 아직 근대사적 무용사에대한 체계적인 학술적 이론과 재정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세대교체를이루는 마지막 교차점이라 할 수 있다. 서구문화에 젖어 우리의 것을 잃어가는이 시점에서 대구 근대 무용사의 시조이며 선구자인 정소산이란 인물의 재발견과 춤의 정립은 대구 지역에 전통무용에 대한 희망의 시발점이기도 한 동시에 대구지역 문화재의 새로운 방향 제시와 전통무용의 뿌리를 찾는 근간이 될 것이며대구 문화 상품의 재평가를 다시 생각하게 될 것이라 사료된다.

      • 대구시 장애인복지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

        이준상(Lee, Jun-Sang),임은자(Lim, Eun-Ja) 한국복지행정학회 2005 복지행정논총 Vol.15 No.1

        본 연구는 현재 실시하고 있는 대구시 장애인복지정책의 내용을 중심으로 대구시 장애인복지의 현황과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현행 대구시장애인복지정책이 중앙정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장애인복지정책의 큰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과 대구시장애인복지시설이 지역적으로 편중되어 있고, 특정 장애유형에 집중되어 있으며, 시설의 규모가 대규모라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본 논문은 지역복지계획수립에 기초하여 대구시의 장애인복지정책의 방향을 올바로 수립하기 위해서는 정책입안자들의 장애인복지에 대한 관점과 인식변화가 선행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또한 대구시도 장애인복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재정지원에 있어서는 소극적이라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대구시 장애인복지정책의 실질적 수립을 위해서는 현재 대구시장애인복지의 현황에 기초하여 개선점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presents the current situation and some improvements of social welfare policy for disabilities of Tae-gu city in the way of content analysis. The result is that the current disability welfare policy of Tae-gu city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central government and Tae-gu city s disability welfare facilities lay in a regional disproportion, concentrated on a specific type of disability. Furthermore the result showed that most disability welfare facilities are grand scale. With these reasons,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perspective and recognition of policy makers on disability welfare should be preceded for establishment of desirable disability welfare policy. This study, moreover, gets hold of the fact that though Tae-gu city s policy mak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isability welfare but they are passive and negative in aiding fund. With these respect,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a groping of improvement on the basis of current disability welfare situation for the purpose of substantial establishment of disability welfare policy of Tae-gu city.

      • KCI등재

        대구천 골목 분포의 특징과 발생 맥락

        송언근,이보영 한국지리학회 2022 한국지리학회지 Vol.11 No.4

        대구천 골목의 분포 특징과 발생 맥락을 밝히는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80년 전인 1943년, 대구 시내에는 대구천이 흘렀다. 당시 대구천은 3~5m 폭을 가진 작은 개울이었다. 이들은 도시화 과정에 유로의 방향, 형태, 길이, 폭 등을 유지한 채 골목으로 변하여 현재까지 이어진다. 대구천 본류 골목 중에서 대표적인 곳은 건들바위 버스정류장 서쪽의 이천로에서 대구초등 건너편의 봉산문화 2길까지이다. 반면 원도심의 대구천 본류 골목은 대부분 사라졌다. 대구천 분류 골목에서 대표적인 곳은 건들바위 맞은편 고운선한복 북쪽의 대봉로 43길에서 대봉치안센터 사이의 명륜로까지이다. 대구천 골목 분포의 지역적 차이는 도시 개발과 관련 깊다. 동성로 1길과 대봉로를 기준으로 동쪽은 일본인 거주지여서 계획적 도시 개발로 가로 구조는 직교형으로 발달했고, 넓은 부지의 공공시설들이 입지했다. 이로 인해 이 지역의 대구천 분류는 일찍 사라졌다. 반면 동성로 1길과 대봉로의 서쪽은 한국인 거주지이어서 도시개발에서 소외되었다. 이로 인해 이 지역의 대구천은 본류와 분류 모두 오랫동안 유지되었다. 해방 이후 도시화로 대구천은 골목으로 변했다. 현대에 와서도 대봉로 서쪽은 상대적으로 재개발되지 않아 이곳의 대구천 본류와 분류 골목은 현재까지 남아 있다. This study is on the origin of regional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alleys on the vestige of Daegucheon. The Daegucheon was still running through the city of Daegu in the year 1943. It was then a relatively small stream of width 3-5m. Later urbanization of the city had transformed the river into alleys maintaining similar directions, forms, lengths, and widths. One of the still remaining mainstream-turned-into-streets is the alley from the Geondlbawi bus stop(west-side) to the Bongsanmunhwa-2gil across from east-side of Daegu Elementary School. Most of the mainstream alleys of the inner city, however, have since disappeared. Among the tributary alleys, still remaining one is the alley extending from the clothes shop Gounsunhanbok across from the Geondlbawi, through the Daebongro-43gil northbound, to a neighborhood of the Daebong Police Station at Myungryunro and Daebongro. The regional distributive difference of Daegucheon alleys was a result of the city development. In the era of Japanese rule, the east side of Dongseongro-1gil ― Daebongro Line was re-developed as an area for Japanese and for large governmental buildings, while its west side was left undeveloped for Koreans. Rectangular re-development of the east side, therefore, resulted in the disappearance of stream alleys there, whereas in undeveloped west side, mainstream and tributary alleys had been left intact longer. After the end of Japanese rule, the remaining parts of Daegucheon were also turned into alleys according to the city development. Under-developed west side of the Daebongro has still some of the mainstream and tributary alleys.

      • 최계란 명창과 “대구아리랑” 고찰

        손태룡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4 대구경북연구 Vol.13 No.2

        Arirang, Korean folk song, has been newly established in various regions, with Kin-arari sung in Kangwŏn Province and Chajin-arari sung while conveying rafts along Han River spreaded. Futhermore, A variety of Arirang song was made after Bonjo-arirang (Seoul-arirang) and used in movie Arirang by Na Un-gyu(1902-1937), has known to public in 1926. In this social circumstance, Taegu-arirang was made and embeded in SP record by Ch'oe Kye-ran. The SP record was Taegu-arirang released by Million in 1936. Taegu-arirang has eight-ten time and Ŏnmori-changdan. The song was accompanied by Sŏnyang Orchestra with Kayagŭm, Changgu and violin. Sŏnyang Orchestra (鮮洋樂團) was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Kayagŭm, Changgu and violin perform together. Ch'oi Gye-ran who was born in Bongmu-dong, Tong-gu, Taegu went to Taegu-arirang in Taegu at age of 10, 1930 and was tutored by Kang T'ae-hong. And she made his appearance in Kyŏngsŏng broadcasting and recorded Taegu-arirang while performing, with her position belonging to Chosŏn-Kwŏnbŏn. The form of lyric and melody in Taegu-arirang in Million recorded by Ch'oi Gye-ran was old-fashioned. Especially, the song added familiarity by using terrain in Taegu such as Nakdong River and Gŭmho River. For Taegu-arirang to be regarded as one of representative and distinct folk songs in Taegu, Many things about the song should be discovered and many people should sing and pass down the song continuously. And better plan to pass down and conserve the song is required from now on. 우리나라 민요 <아리랑>은 강원도지역에서 모심기 때 불린 “긴아라리”와 대원군(李昰應, 1820-1898)이 경복궁을 중수할 때 한강으로 뗏목을 옮기면서 부른 “자진아라리”가 전국으로 전파되면서 각 지역의 <아리랑>이 새롭게 탄생하게 되었다. 더욱 1926년 나운규(羅雲奎, 1902-1937)가 제작한 무성영화 <아리랑>에 사용된 “본조아리랑”(서울아리랑, 나운규 편곡, 노래 이상숙)이 알려지게 된 이후에는 전국적으로 지역별 <아리랑> 노래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대구아리랑”이 창작되어 최계란(崔桂蘭, 1920-2001)에 의해 SP음반에 취입되었다. 그 음반이 바로 1936년 밀리온(Million)에서 발매한 “대구아리랑”이다. “대구아리랑”은 자진모리로 된 전주-간주-후주를 포함하여 8분음10박자의 엇모리장단으로 되어 있다. 반주로 사용된 장구와 가야금 그리고 바이올린과 함께한 선양악단(鮮洋樂團)이 반주를 하였다. 선양악단이라고 한 것은 장구와 가야금의 조선악기와 바이올린의 서양악기가 함께 한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대구시 동구 봉무동 출생인 최계란은 1930년 10세 때 대구 달성권번에 들어가 강태홍(姜太弘, 1893-1957)의 지도를 받았다. 그리고 임종성(林鍾成)에 의해 서울의 경성방송국 출연과 조선권번에 기적(妓籍)을 두고 활동을 하면서 “대구아리랑”을 취입했었다. 최계란이 밀리온음반에 취입한 “대구아리랑”의 선율과 가사의 형태는 고제(古制)에 해당된다. 특히 낙동강, 금호강 등 대구지역과 관련되는 지형을 가사에 이용함으로써 더욱 친밀감을 더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대구아리랑”을 취입한 최계란은 누구이며, “대구아리랑”은 어떠한 음악인지를 밝히는 작업이 연구목적이었다. 연구를 위해서 최계란을 추적하였고, 유성기음반에 담긴 “대구아리랑”을 통해서 가사를 채록하고 음원을 채보하여 오선보로 악보화 했다. 앞으로 “대구아리랑”이 대구지역의 특색 있는 대표적 민요로 규정되려면 지속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계속 불러 전승될 때 이루어질 것이다. 그리고 나은 전승 보존책이 시급히 요구된다.

      • KCI등재

        20세기 "대구문인화파(大邱文人畵派)"의 형성과 변천 연구

        이인숙 ( In Suk Lee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 嶺南學 Vol.0 No.18

        대구지역은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八下 徐錫止(1826~1906), 石樵 鄭顔復(1833?~?), 秋帆 徐丙建(1850~?) 등의 서화가들이 출현하였으나 1920년대부터는 전통 서화와 양화 모두 활발한 활동을 보였다. 그중에서 전통 화단은 묵죽과 묵란 등 문인화를 중심으로 3세대에 걸친 직접 사승으로 그 맥이 이어졌다. 대구문인화의 開祖에 해당하는 1세대 石齋 徐丙五(1862~1936)는 詩書畵를 교양으로 겸비했던 전통시대 지식인으로 자신의 시와 서예, 회화 창작 활동과 아울러 嶠南詩書畵硏究會를 설립하여 지역 서화계의 구심점을 형성하고 후진을 양성하여 대구의 문화적 역량을 진흥시켰다. 그 중심 시기는 1920~30년대로 서병오의 활동으로 말미암아 사군자화를 주류로 하여 전통 서화계가 형성되었고, 이후 詩書畵一律을 중시하는 창작정신에서 비롯한 寫意 화풍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2세대의 대표적 인물은 서병오가 발탁한 제자인 竹農 徐東均(1902~1978)이다. 서동균은 전문 작가로서의 삶을 살면서 서예와 회화작품을남겼고 嶺南書畵院 등을 통한 꾸준한 교수활동으로 대구의 많은 서예가와 문인화가를 길러냈다. 1950~60년대는 서동균이 영남서화원을 설립하고 활발한 활동을 한 시기로서 그는 묵죽을 비롯한 사군자와 화훼, 산수, 기명절지 등 여러 분야의 그림을 다 잘 그렸고 글씨도 잘 썼으나 서병오와 달리 漢詩에는 큰 조예가 없었다. 서동균에게 배운 千石 朴根述(1937~1993)은 1970년대에 묵죽으로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국무총리상(1976년) 등을 수상하는 등 두각을 드러낸 대구문인화의 3세대에 해당한다. 박근술은 文氣 높은 簡逸한 묵란과 묵죽을 남겼으며, 스승의 스승인 서병오에 대한 3편의 논문 등 학구적으로 문인화를 탐구하여 대구문인화의 고유한 전통을 확고하게 하였다. 박근술은 서동균의 書? 중 회화만을 계승하여 서예는 다른 제자들에게로 이어진다. 근대기 미술에서 書와 畵의 분리는 20세기 초에 이루어졌으나 대구에서는 3세대에 걸쳐 점차적으로 시서화가 분리되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시서화일률을 중시하는 문인화의 창작정신이 오래도록 유지될 수있었다는 점 또한 대구문인화의 한 특징이다. 20세기 대구지역 전통회화는 다른 지역과 달리 사군자화를 주 영역으로 고수하면서 묵죽과 묵란 중심의 寫意 화풍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특징은 학문과 시문서화의 전통교양을 중시하는 대구지역의 문화적 분위기와 시서화를 겸비했던 서병오로부터 3세대를 거치면서 스승과 제자 사이의 직접 사승에 의해 계승되었다는 점에서 비롯하였다고 생각된다. 일 백 여년 가까운 기간 동안 특정한 지역에서 사군자화의 전통이 이어 졌다는 점, 문인화의 창작정신에서 비롯한 寫意 화풍이 지속되었다는 점, 스승과 제자의 직접 전수에 의해 서병오→서동균→박근술의 3대로 이어졌다는 점 등에서 대구의 문인화는 20세기 한국미술사에서 ``大邱文人畵派``라는 하나의 유파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is these is written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n literati painting(文人畵)[the four gentleman paintings(四君子畵)], which is one of the streams of arts in Daegu in the 20th century. Including Korean empire period succeeded Choseon dynasty, modern period overlapped with Japanese colony, liberation and contemporary time after the Korean war, art in Daegu for the last 100 years in the 20th century made a great achievement in various area of western art flowed in newly with existing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which is recorded in the Korean modern-contemporary art history. Above all, literary artist`s style in Daegu formed a unique style of painting, which considers the spirit of literary artists as important. And it has been carried on the legacy for three generations as immediate teacher-pupil connection. The center figure among the first generation of Daegu literary artists is Seok-jae Seo Byeong-o(石齋 徐丙五, 1862~1936). He is a typically cultured person, who mastered poem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He was very active in making his own works, and he also founded ``Kyonam Association for research on poem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嶠南詩書畵硏究會)``, and it helped to disciple. But compare with Seo Dong-kyun, who painted various things, Park Gun-sul devoted himself to painting bamboo, so that he could body out the art spirit, understanding the inner side of the objects, deeply in spite of the transition of the time. Literati painting in Daegu has kept the consistency of the four gentleman paintings, which is like the spirit of the literary artists, even though the poems and the calligraphic works are dropped out in the passage of time of three generations. Moreover, it is considered as the reason that it formed a style of painting which can be named as ``Daegu literary artist`s school(大邱文人畵派)``, because it has been taught directly from the teacher to the disciple.

      • KCI등재

        일제강점 말기관찬 지방사에서의 지방 구현- 『대구부사(大邱府史)』(1943)를 중심으로 -

        정상우 동북아역사재단 2014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5

        This paper examines local history compil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rough Daegu-busa (大邱府史; The History of Daegu), a text published in 1943. Since the Joseon period,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yangban (在地士族) had compiled local histories for governing local society and ensuring their superiority in these areas. The local history of Daegu was also compiled during the Joseon period. Its main contents are administration, population, land, significant installations, and famous persons in Daegu. Even after Korea became a colony, local history continued to be compiled in Daegu, but this was undertaken primarily by Japanese who had settled in Daegu. Such compilation was to say that the development of Daegu owes to Japanese and colonial rul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id-1930s many provincial and local governments under the Government-General of Chōsen (朝鮮總督府) had published local histories, and had thus called in historians. Daegu-bu (大邱府) invited Suematsu Yasukazu (末松保和), who was a professor at Keijō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and deeply involved in the Association of the Compilation of Korean History (朝鮮史編修會), to compile Daegu-busa. This book, while covering the local history of the past, has attracted academic attention in two ways. One is that famous scholars, represented by Suematsu, were assembled. The other is that they utilized reliable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Joseon wangjo sillok, 朝鮮王朝實錄). Daegu-busa presented Empress Jingu’s (神功皇后) “Sankan seibatsu” (三韓征伐), or the conquest of the Three Han, as the beginning of the history of Daegu, and explained the history of Daegu in the relationship with Japan from its origins in to the Joseon period. In other words, Daegu-busa imparted new meanings to Daegu as “Daegu in Korea-Japan relations” and “Daegu in the empire,” but not as “Daegu in Korea.”The new meanings for Daegu have been demonstrated by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historical materials cited in Daegu-busa have one point in common. This is a result of the Government-General’s investigation and compil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Chōsenshi (朝鮮史), which was compiled by the Association of the Compilation of Korean History.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General’s investigation and compil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ensured the “scientific objectivity” of local history such as Daegu-busa. And Daegu-busa, whose text was based upon the historical materials summarized by the central authority, depicted Daegu as “Daegu of the Japanese Empire.” 이 논문은 식민지기 지방사 편찬을 1943년 대구부에서 간행한 『大邱府史』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식민통치기 지방사 편찬의 목적과 추이 및 일제 식민지배 말기 지방의 특성을 어떻게 역사적으로 드러내었으며, 중앙사 편찬과 지방사 편찬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지방사․지방지 편찬은 조선 시대 이래 중앙에서 지방 통치를 위해 편찬한 地誌나 재지사족들이 향촌에서 자신들의 지배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편찬한 邑誌와 같이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지지나 읍지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대구 역시 그 행정적 위상, 호구, 토지, 시설물, 인물 등에 대한 사항이 파악되었다. 지방사지류의 편찬은 강점 이후에도 계속되었는데 주로 지방청이나 대구에 이주해 온 일본인들에 의한 것이 많았다. 이는 이른바 일본인과 식민통치에 의해 대구가 발전했다는 것을 부각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지방사 편찬과 더불어 1930년대에 접어들어 대구 지방의 청소년 교육을 위한 독본류의 간략한 교육용 교재도 등장하였으며, 지방의 유지이자 ‘當局’과 연결된 유림층들이 총독부의 유교정책에 호응하여 전통시대의 것과 비슷한 체제와 내용의 읍지를 간행하기도 하였다. 한편 1930년대 중반 이래 조선총독부의 지방청에서는 전문 역사가를 기용하여 ‘道史’, ‘府史’를 발간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대구부 역시 조선사편수회의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던 京城帝大의 助敎授 末松保和에 의뢰하여 1943년 『大邱府史』를 간행하였다. ‘沿革編’, ‘府政編’, ‘特殊編’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 『大邱府史』는 조선 시대 이래 편찬된 대구 지역의 지방사지를 포괄하면서도 대구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강점 후 大邱府 설치 이후 대구의 변화상을 제시하고 있는 ‘府政編’의 경우 식민지화 이후 대구부의 발전을 드러내어 식민통치를 선전한다는 점에서 대구의 일본인들이 편찬했던 지방사와 대동소이하다. 그렇지만 ‘沿革編’과 ‘特殊編’은 발간 당시 학계의 주목을 끄는 것이었다. 이는 末松保和와 같은 당시 명망있는 학자들을 기용했다는 점과 조선왕조실록으로 대변되는 다양하고 확실한 사료를 활용했기 때문이다. 특히 ‘特殊編’은 末松만이 아니라 당대 내노라하는 10명의 학자들이 자신들의 전공분야와 관련지어 대구를 분석한 논문을 싣고 있는데, 이는 『大邱府史』가 단순히 대구의 발전상을 과시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적 권위를 갖는 것임을 시사한다. 한편 편찬을 담당한 末松保和의 역량이 가장 현저히 드러나는 것은 ‘沿革編’이었다. 300여 페이지의 방대한 분량을 과시하는 이 부분은 대구의 역사를 종합한 것으로, 역사가로서 末松保和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영역이기도 하였다. 그 내용을 보면 역사상 대구가 처음으로 드러나는 사건으로 神功皇后의 三韓征伐을 제시한 것을 시작으로 조선 전기 한일 무역에서, 임진왜란 당시 군사적 요충지로서, 또 일본에서 필요한 약재의 주요 시장으로서 대구가 중요한 지역이었음을 서술하고 있다. 즉 『大邱府史』에서 파악하고 있는 대구의 역사적 특성은 일본과의 관련성 속에 있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대구는 일본과의 관련 속에서 처음 모습을 드러내었고, 그 특성 역시 일본과의 관련성 속에서 부각되었다. 이때 대구는 ‘조선의 대구’라기 보다는 ‘한일관계 속의 대구’가 되며, 더 나아가서는 ‘제국의 대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