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국 다문화 교육의 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위스콘신주의 오클래르교육구를 중심으로

        박순호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0 사회과교육연구 Vol.17 No.3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u Clare Area School District, Wisconsin in the U.S. and attempted t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 for Korea. Korean polic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urrently shape international married migrants, foreign workers and their children to assimilate into Korean society. Howeve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U.S. trying to achieve educational reform helps minorities to hav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in school. Th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should be reconsidered from multiculturalism standpoint. To achieve the goal based on multiculturalism, the educational reform is needed. The central Korean government needs to encourage the local education office to generate measurements meet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Programs like 'new Beginning' are necessary to keep children of multicultual family from dropping out schools. The local community in which public school closely relates to community educational programs, generates synergy effect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 policies utilizing the volunteers should be created. 본 연구는 위스콘신주 오클래르 지역교육구를 사례로 다문화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기초로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정책은 국제결혼이주자와 외국인 근로자와 그 자녀를 한국문화에 동화시키고 사회화시키려는 성격이 강하다. 반면에 미국의 다문화교육은 주류와 비주류가 교육현장에서 동일한 지위를 가질 수 있는 교육개혁에 기반을 두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정책도 다문화주의에 입각하여 다문화교육 목표를 재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교육개혁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 중앙정부는 다문화교육의 대원칙을 제시하고 지역교육청 단위로 지역특성에 맞는 다문화교육정책을 수립·실시할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그리고 다문화 가정 취학자녀의 ‘탈학교현상’을 예방하고, 이들을 학교로 복귀시키기 위한 ‘새 출발(New Beginning)’과 같은 프로그램을 개발·실행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교육은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연계를 통하여 시너지효과를 제고하는 동시에 자원봉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정책대안이 요구된다.

      • 다문화 교사 교육과정의 실태와 개선방안

        모경환(Mo, Kyung-Hwan),이혜진(Lee, Hye-jin),임정수(Im, Jeong-Soo)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1

        교사의 다문화적 역량은 다문화교육의 성공여부를 결정짓는 핵심요인이며, 교사 양성기관은 다문화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사의 자질 육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교사양성 기관의 2010년 교과과정을 분석하여 다문화 교사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유아교육, 초등교육, 중등교육으로 나누어 전국 60개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전국 13개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그리고 전국 42개 사범대학의 교과과정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 관련 강좌의 개설 여부 및 내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국 사범대학 중 다문화강좌를 개설한 대학은 총 17개교인 것으로 나타나 2009년도 8개교에 비하여 양적 증가가 주목할 만하다. 초등교사 양성 기관은 정부 지원의 영향으로 2009년도와 마찬가지로 13개 교육기관 모두 강좌를 개설하고 있으며, 강좌 개설 주체가 다문화교육센터 및 연구소 등으로 다각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 중등 교사 양성기관의 대다수 강좌는 교양 강좌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해 위주의 개론적 강좌의 성격을 지 니고 있다. 유아교육과의 경우 다문화 강좌가 개설된 곳은 단 4곳에 그쳐 개설률이 매우 저조하다. 이상과 같은 현황을 볼 때 교사의 다문화적 역량 향상을 위한 강좌가 양적으로 확대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내용의 심화와 전문화가 요청된다. 또한 학교 현장과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현장 실습 경험을 폭넓게 제공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plementations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in Korea and seek directions for improvement. Curricula of pre-servic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rriculum offering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pre-school teacher education are minimal. Only 4 out of 60 institutions offer courses in that field. Second, programs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offer more courses than pre-school teacher education programs. However, programs should be more comprehensive and diverse. Third, 17 out of 42 second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offer cours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 are few opportunities to have field experiences. More cours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Also, the courses should include more field work experiences and subject-related topics.

      • KCI등재

        A Study On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s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박상욱(Park, Sang Wook),한진상(Han, Jin Sang)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활동의 문제점들을 NGO, 학교, 공공기관 그리고 다문화가정 아동들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고, 그들이 지각하는 인적자원개발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분석한 후, 인적자원개발교육으로서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제언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질적연구방법에 의하여 NGO와 학교 그리고 공공기관의 다문화담당자들과 다문화가정 아동들을 인터뷰하고, 그들이 지각하는 다문화교육활동의 문제점들과 다문화교육으로서의 인적자원개발교육의 필요성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현재의 다문화교육활동은 교육대상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한글교육과 문화체험 위주로 이루어지기에 다문화가정 아동들과 부모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들과 부모들 그리고 관련자들은 그들의 삶의 경험을 바탕으로 인적자원개발교육으로서의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절감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의 변화와 다문화교육 내용의 중요도에 대한 재검토, 그리고 다문화교육의 공간과 관계, 활동의 변화를 위한 노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sugges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s human resource development education after examining proble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interviewing NGO, schools, public organization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alyzing the necessit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education. The result of the interviews and analysis is summariz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does not appeal to children and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because it mainly consis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al experiences without considering the different circumstances that multicultural families are placed. Second, the children and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people related are acknowledging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human resource development education. In other word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eel keenly that they ne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ir life experience.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reviews the change of policies and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viding suggestions for places and rel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fforts for change.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인권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재우(Han Jae Woo),김용기(Kim, Yong-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역량, 다문화 교수효능감 및 인권의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교육역량 및 그 하위 요인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의식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2019년 04월 1일부터 2019년 5월 15일까지 전라남도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먼저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역량, 다문화 교수효능감 및 인권의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교육역량 및 그 하위 요인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의식의 매개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다문화 교육역량, 다문화 교수효능감 및 인권의식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교육역량, 다문화 교수 효능감 및 인권의식 상호간의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인권의식은 다문화 교수효능감 그리고 다문화 교육역량 및 그 모든 하위요인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직접적으로 다문화 교육역량 그리고 다문화 교육역량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인권의식에 영향을 주는 것을 통해 다문화 교육역량 및 다문화 교육 역량의 하위요인들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multicultural efficacy, and human right awareness, and then it is to find out the effects on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and its subfactors of multicultural teaching capability: what would be the results on mediating effect of human rights. The collected data was first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spective children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multicultural efficacy, and human rights. The Pearson probability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Baron and Kenny’s the three steps parametr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look if the mediating effects of human right awareness would be appeare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mpact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and the subordinate factor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relevant static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the multicultural efficacy, and human rights awareness . it means that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m. Second, human rights awareness of the prospective young children teacher appeared partial mediating effect vetween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and the rest of all subfactors. It shows that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effect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directly and the subfactor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However, it also previws that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could increas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and the subfactor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ppability.

      • KCI등재

        해양경찰교육생의 다문화 개방성·수용성·존중성·교육필요성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이진선,강영숙,오종철,노호래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9 경찰학논총 Vol.14 No.4

        최근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전환되면서, 해양국경과 바다인접 지역을 통해서 다국적 이주민들과 외국인들을 대응하는 해양경찰의 업무가 중요해졌다. 따라서 해양경찰관이 되기 전의 다문화교육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경찰교육생의 다문화개방성과 다문화수용성 그리고 다문화존중성의 수준을 알아보았다. 또한 각 요인들과 다문화교육 필요성과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해양경찰교육생들은 본 연구의 주요 변인들에 있어 총점 6점을 기준으로 모두 4점 이상의 높은 수준의 평균값을 보여주었다. 다문화개방성, 다문화수용성, 다문화존중성, 다문화교육 필요성은 입직경로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개방성과 다문화수용성, 다문화존중성, 다문화교육필요성의 인과관계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문화개방성과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존중성에 정(+)적인 관계를 가졌으며, 다문화교육필요성에는 다문화존중성과 다문화개방성이 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존중성이 정(+)적인 매개효과를 가져 다문화개방성과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존중성을 거쳐 다문화교육필요성의 경로를 가진다면 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Korea enters to be a multi-cultural society, the duties of marine police officers, who encounter various migrants and foreigners through the maritime borders and the adjacent seas, have become more importa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studied the degree of Multicultural Openness(MO), Multicultural Acceptability(MC), and Multicultural Respectability(MR) of the trainees before becoming the maritime police officers. Also, the researchers looked at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factor and needs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ME). As the result, the maritime police trainees have a high degree of average of 4 points or more based on the total score of 6 points in the major variables of this study. MO, MC, MR and needs for ME showed a varianc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employment paths. An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MO, MA, MR, and the needs for M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MO and MA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MR, and the MR and MO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needs of ME. In addition, the MR showe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and if MO and MA had the needs of ME through MR, the effect increased

      • KCI등재

        다문화 감수성 증진을 위한 미술교과 연계 다문화교육 실행연구

        이승희(Seunghee LEE) 한국조형교육학회 2022 造形敎育 Vol.- No.81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서로 다른 문화를 인정하며 나름의 독자성을 구축해 나가는 일은 시대적 당면 과제가 되었다. 아울러 미래세대들에게 다문화사회를 준비시키고 다문화사회의 구성원들을 이해시키기 위한 교육활동이 학교교육의 중요 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개별 교과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다문화 교육을 통해 다문화 교육의 지속성과 체계성을 확립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미술교과 내용에 다문화교육 관련 소재를 연관시켜 미술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여그 결과를 분석해 봄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미술 교과와 연계한 다문화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진단하고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첫째, 학생들은 작품 속 소수자를 타고난 인권을 지닌 존엄한 인간으로 생각하면서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보면서 공감적 태도를 보였고, 자신과 다른 점에 대한 ‘차이’에 대해서는 관용적 태도를 보였다. 둘째, 다문화감수성 교육에 대한 미술교과 연계 접근은 다문화 교육의 구체적 지향점과 학습자의 감정, 정서와의 통합을 강조함으 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공감적 이해’에 도달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학생들의 다문화 감수성 발달에 미술이 적극 기여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on the premise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of individual subjects can establish continuity and systemic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t classes are designed by linking multicultural education-related materials to art curriculum content, and are conduct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By analyzing the results, it was attempted to diagnos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art subjects at school sites, and to obtain implications.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first, that the students showed a sympathetic attitude in the light of their own experiences, thinking of minorities in the works as dignified human beings with innate human rights, and a tolerant attitude toward differences about their differences. showed Second, the art subject-linked approach to multicultural sensitivity education helped students to reach empathic understanding by emphasizing the specific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ntegration with learners emotions and emotions. In this process, the researcher was able to infer that art can active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udents multicultural sensitivity.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연구동향 분석

        채영란 ( Chae Young-ra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6

        본 연구는 2000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등재후보 이상의 학술지논문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 관련 연구를 수집하여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 논문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수집된 1,168편으로, 언어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00-2020년까지 주요 키워드 빈도분석결과 다문화, 다문화교육, 교육, 프로그램, 한국 등의 단어 빈도가 높았으며, 연결 중심성에서는 다문화교육,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교사 등에 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토픽모델링 결과 2000-2010년은 프로그램, 경험, 교육이, 2011-2015년은 인식, 교육, 방향이, 2016-2020년은 교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둘째, N-gram 분석결과 다문화교육, 다문화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다문화교육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효과와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2020년까지 전체네트워크 분석결과에서는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유아, 한국 등에 대한 연구들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난 20년동안 우리사회가 다문화사회로 변화하면서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고 향후 연구방향 모색에 도움이 될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by collecting multicultural education-related research from journal papers at the level above ‘registration candidate journal’,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20. The research targets were 1,168 articles collected using the database of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which were analyzed using the language network.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major keywords from 2000 to 2020, the frequency of words such as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education, education, program, and Korea was high. In terms of connection centrality, stud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ism, education, programs, and teachers were mainly conducted. Topic modeling analysis revealed that the abstract topics of 2000-2010 were program, experience and education; in 2011-2015, they were perception, education, and direction; and in 2016-2020, they were teache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rogram. Second, as a result of N-gram analysis, it was foun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ism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nd the studies related to programs and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predominant. In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entire network from 2000 to 2020, stud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children, and Korea were prevalent. These results show tha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as our society has develop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over the past 20 years, and thu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find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초등학교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가능성 탐색

        김성식 ( Kim Sung Sik ),추혜영 ( Chu Hye-young ),이수진 ( Lee Sujin ),장은영 ( Jang Eun-yo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2 No.S

        학교 현장에 이주배경 학생들이 증가함에 따라서 제기되는 과제 가운데 하나는 문화적으로 다양한 학생들을 어떻게 통합하는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는 학교교육에 대해서 모든 학생이 다문화 감수성과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는 단위학교에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재구성함으로써 기존 수업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다문화 감수성과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 교과 수업에서 교육과정재구성을 통해 다문화 프로그램의 운영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정체성, 다양성, 인권과 평등, 협력과 공존이라는 4개의 다문화교육 핵심영역으로 구성된 다문화 교육 IDEA 모형을 기반으로 기존 수업을 재구성하여 시범적으로 적용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3학년과 6학년 2개 학년을 대상으로 기존 교과 내용을 활용하여 각각 5차시와 13차시의 다문화교육 융합 교과수업을 개발하였고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실제 수업을 실행해본 결과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학급의 학생들보다 다문화 역량 및 감수성이 좀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위영역별로 볼 때는 정체성과 다양성 영역보다는 인권과 평등, 협력과 공존 영역의 향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는 특징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일반 교과 수업과정에서 여러 교과 수업들을 연계·배치하여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구조화하고 수업활동, 보조 학습자료 등을 관련 내용으로 대체 활용함으로써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다문화 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여 주었다는 의의를 갖는다. 한편, 이 연구는 학교단위에서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을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일부 시간이 아닌 단위학교 차원의 전체적인 접근이 필요하고, 다문화 교육 성취기준과 기존 교과목의 성취기준을 동시에 달성하고 있는가를 분석할 수 있는 연구설계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후속 연구 과제를 남긴다. As the number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CLD) students enrolled in South Korean schools has increased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schools encountered a task to create a harmonious and simultaneously effective learning community. This led to an urgent request for school-wide, subject-integrate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all students, not merely for CLD students. In this vein, this study aimed to prepare a program to cultivate students' multicultural sensibilities and competencies by reorganizing a school curriculum in an elementary education. Through reorganizing of school curriculum and implementing the programs in the classrooms, the possibility of operating a subject-integrated multicultural program was practically reviewed in this study.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was carried out based upon the IDEA mod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was developed with four core areas: multicultural identity, diversity, human rights and equality, and cooperation and coexistence. The pilot application was conducted in actual classes of elementary schools. Specifically, for the 3rd and 6th grades, 5 and 13 lessons respectively were developed taking advantage of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curriculum. Then,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based on pre-post experiment design. The result has showed that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sensitivity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lessons were noticeably improved, compared to the ones of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In particular, in the areas of human rights and equality, and cooperation and coexistence, participants’ scores in post-program survey appeared remarkably increased while there was no comparable changes in the areas of multicultural identity and diversity.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th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through reorganizing cu]rriculum were revealed and discussed with empirical data.

      • KCI등재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초등학교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가능성 탐색

        김성식,장은영,추혜영,이수진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특별호

        As the number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CLD) students enrolled in South Koreanschools has increased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schools encountered a task to create aharmonious and simultaneously effective learning community. This led to an urgent request forschool-wide, subject-integrate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all students, not merely for CLDstudents. In this vein, this study aimed to prepare a program to cultivate students'multiculturalsensibilities and competencies by reorganizing a school curriculum in an elementary education. Through reorganizing of school curriculum and implementing the programs in the classrooms, thepossibility of operating a subject-integrated multicultural program was practically reviewed in thisstudy.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was carried out based upon the IDEA model of multiculturaleducation, which was developed with four core areas: multicultural identity, diversity, human rightsand equality, and cooperation and coexistence. The pilot application was conducted in actual classesof elementary schools. Specifically, for the 3rd and 6th grades, 5 and 13 lessons respectively weredeveloped taking advantage of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curriculum. Then, the effects of theprogram were analyzed based on pre-post experiment design. The result has showed that themulticultural competence and sensitivity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lessonswere noticeably improved, compared to the ones of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d in theexperimental groups. In particular, in the areas of human rights and equality, and cooperation andcoexistence, participants’ scores in post-program survey appeared remarkably increased while therewas no comparable changes in the areas of multicultural identity and diversity. This study is ofsignificance in that th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developedthrough reorganizing cu]rriculum were revealed and discussed with empirical data. 학교 현장에 이주배경 학생들이 증가함에 따라서 제기되는 과제 가운데 하나는 문화적으로 다양한 학생들을 어떻게 통합하는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는 학교교육에 대해서 모든 학생이 다문화 감수성과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는단위학교에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재구성함으로써 기존 수업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다문화 감수성과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 교과 수업에서 교육과정재구성을 통해 다문화 프로그램의 운영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정체성, 다양성, 인권과 평등, 협력과공존이라는 4개의 다문화교육 핵심영역으로 구성된 다문화 교육 IDEA 모형을 기반으로 기존 수업을 재구성하여 시범적으로 적용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3학년과 6학년 2개 학년을 대상으로 기존 교과 내용을활용하여 각각 5차시와 13차시의 다문화교육 융합 교과수업을 개발하였고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실제 수업을 실행해본 결과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학급의 학생들보다 다문화 역량 및 감수성이 좀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위영역별로 볼 때는 정체성과 다양성 영역보다는 인권과 평등, 협력과 공존 영역의 향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는 특징이 있었다. 이러한연구결과는 일반 교과 수업과정에서 여러 교과 수업들을 연계‧배치하여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구조화하고 수업활동, 보조 학습자료 등을 관련 내용으로 대체 활용함으로써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다문화 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여 주었다는 의의를 갖는다. 한편, 이 연구는 학교단위에서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을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일부 시간이 아닌 단위학교 차원의 전체적인 접근이 필요하고, 다문화 교육 성취기준과 기존 교과목의 성취기준을 동시에 달성하고 있는가를 분석할 수 있는 연구설계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후속 연구 과제를 남긴다.

      • KCI등재후보

        봉사-학습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 인식과 요구도 조사

        박영미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8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3 No.3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education belief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service-learning programs, and to examine the their perceptions for developing the better service-learning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f 15 students and in-depth interviews of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and who participated in service-learn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education belief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participated in service-learn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were not participated in. And they were higher after the service-learning than befor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needs of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service-learning, pre-service teachers had the opportunity to interact directly with multicultural children and correct negative prejudice against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s a learner, pre-service teachers need service-learning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because they can learn the teaching methods of teachers who role modeling can be their. However, in order to continue the service-learning, universities should provide mutually beneficial supports such as expanding various multicultural education institutions and providing vehicles to move, and child care center should provide information about multicultural children and volunteer work. 본 연구의 목적은 봉사-학습을 통한 다문화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신념, 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고, 봉사-학습 후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전남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학과에서 유아다문화교육을 수강하면서 봉사-학습에 참가한 15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의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 인식, 다문화 교육신념과 교수효능감은 봉사-학습 전보다 봉사-학습 후에 더 높아졌으며, 봉사-학습에 참여했던 집단이 참여하지 않았던 집단보다 다문화 인식, 다문화 교육신념,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봉사-학습에 대한 인식,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봉사-학습을 통해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바로 잡고 다문화가정 유아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 기회를 갖게 되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학습자로서 예비유아교사들은 담임교사의 수업방법이나 교사의 역할모델링을 학습할 수 있어서 유아다문화교육 역량 강화를 위해 봉사-학습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봉사-학습을 더 지속하기 위해 대학은 다양한 다문화교육을 위해 봉사기관 확대와 이동할 차량 지원, 유아교육기관의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정보제공과 명확한 봉사자의 역할제시 등 상호 호혜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